최근 수정 시각 : 2025-01-26 21:48:24

강희맹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의정부 좌찬성
강희맹
|Kang Hŭimaeng
<nopad> 파일:강희맹.jpg
출생 1424년
(세종 6년)
한성부
사망 1483년 (향년 58~59세)
(성종 14년)
한성부
묘소 경기도 시흥시 하상동 산2[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시호 문량(文良)
본관 진주 강씨 (晉州 姜氏)
경순(景醇)
사숙재(私淑齋)
국오(菊塢)
만송강(萬松岡)
운송거사(雲松居士)
학력 1447년 문과 친시 1등 급제
부모 부친 - 강석덕(姜碩德)
모친 - 청송 심씨[2]
부인 안씨
자녀 4남 3녀
장남 - 강귀손, 차남 - 강학손
}}}}}}}}}
1. 개요2. 생애3. 저작4. 여담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조선 전기의 문신, 화가, 농학자, 저술가. 본관은 진주(晉州), 는 경순(景醇), 는 사숙재(私淑齋).

고사관수도를 그린 강희안의 동생이다.

2. 생애

1424년 한성부에서 강석덕(姜碩德)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1447년(세종 29년) 문과 친시에 장원 급제하여 관직에 입문하한 뒤, 세조 때에 예조판서형조판서를 지냈다.

1463년, 진헌부사(進獻副使)가 되어 명나라에 파견 근무를 다녀왔다.

1468년(예종 원년) 남이(南怡)를 옥사와 관련한 공으로 이듬해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책봉되었다. 1473년병조판서가 되었고, 이어서 판중추부사, 이조판서, 판돈녕부사, 우찬성을 역임한 뒤, 좌찬성의 자리에 올랐다.

말년에는 금양현[3]의 자택에서 농사를 지으며 농서 금양잡록을 집필하였고, 1483년 세상을 떠났다.

3. 저작

  • 저서
    • 금양잡록(衿陽雜錄)[4]
    • 농구십사장(農謳十四章): 농요집(農謠集)
    • 사숙재집(私淑齋集): 시문집[5]
    • 촌담해이(村談解頤): 기담집(奇談集)
  • 그림
    • 독조도(獨釣圖)[6]

4. 여담

금천구 시흥4동 신흥초등학교 인근 주택가에 집터가 있으며 '강희맹 살던 곳' 표지석이 세워져 있다.

5. 둘러보기


[1] 강희맹선생묘및신도비[2] 영의정부사를 역임했던 심온(1375~1419)의 둘째딸.[3] 衿陽縣, 지금의 서울특별시 금천구 일대.[4] 현재 일본 도쿄 내각문고(內閣文庫) 소장.[5] 강희맹 사후 그의 유문(遺文)을 취합해 서거정이 편찬하였다.[6] 현재 일본 도쿄국립박물관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