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06 18:52:59

김광균

파일:은관문화훈장 약장.png
은관문화훈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1974
박화성
소설가
1978
김환기
화가
1978
나운규
영화감독
1978
이중섭
화가
1978
현진건
소설가
1980
박수근
화가
1980
조치훈
바둑기사
1984
박두진
시인
1988
김광균
시인
1988
김중업
건축가
1988
이봉상
화가
1989
조남철
바둑기사
1989
조훈현
바둑기사
1992
김영주
화가
1992
김춘수
시인
1992
장리석
화가
1992
전광용
소설가
1992
한갑수
교수
1995
박노수
화가
1995
전왕영
시인
1996
이창호
바둑기사
1998
김남조
시인
1999
박홍근
아동문학가
2001
권영우
화가
2001
박용철
시인
2001
박태현
작곡가
2001
신경림
시인
2001
유종호
문학평론가
2001
이지관
문화연구가
2001
최일남
소설가
2001
홍연택
지휘자
2002
고은택[1]
시인
2002
김종하
화가
2002
나춘호
출판가
2002
민경갑
화가
2002
박보희
한국문화재단 총재
2002
이수홍
한국문화협회 이사장
2002
이오덕
아동문학가
2002
이형기
시인
2002
이호철
소설가
2002
정수봉
교육인
2003
박봉석
사서,국립도서관학교 교장
2003
신동엽
시인
2003
이종상
화가
2003
천상병
시인
2003
황병기
국악인
2004
김동혁[2]
연극인
2004
김사엽
국문학자
2004
김서봉
화가
2004
김충현
서예가
2004
김희조
지휘자
2004
박연희
소설가
2004
엄대섭
도서관연구회장
2004
임동권
민속학자
2005
고우영
만화가
2005
김성구[3]
불교인
2005
김충실[4]
무용가
2005
전숙희
수필가
2005
이문열
소설가
2006
이규태
언론인
2006
임영방
국립현대미술관장
2006
한명희
국립국악원장
2006
홍기삼
교육인
2007
김주영
소설가
2007
이강덕
종묘제례악 명예보유자
2007
안병희
국어학자
2008
박광진
예술인
2008
오세영
시인
2008
최종태
조각가
2008
한백유[5]
화가
2009
이미자
가수
2010
김희진
무형문화재 매듭장
2010
레프 콘체비치
러시아인 한국학자, 훈민정음 해례본 러시아어 번역 공로
2010
백건우
피아니스트
2010
백성희
연극배우
2010
장민호
연극배우
2010
전혁림
화가
2011
신영균
영화배우
2011
이수만
가수, 연예기획사 사장
2011
하춘화
가수
2011
이근배
시인
2011
해의만
국악인
2012
최영필[6]
가수
2012
김기덕
영화감독
2012
김순옥[7]
드라마 작가
2012
손숙
연극배우
2012
윤일봉
배우
2013
구봉서
희극인
2013
안성기
영화배우
2013
조용필
가수
2013
최인호
소설가
2013
김혜자[8]
가수
2014
김승옥
소설가
2014
박정란
드라마 작가
2014
송해
희극인
2014
최영한[9]
배우
2015
이천백[10]
희극인
2015
이덕화
배우
2015
이성희
음반제작자
2016
김윤식
문학평론가
2016
백영수
화가
2016
홍경일[11]
배우
2016
김명자[12]
배우
2016
김덕용[13]
희극인
2017
김남진
가수
2017
박근형
배우
2017
윤여정
배우
2018
이순재
배우
2018
김민기
가수
2018
조동진
가수
2019
김혜자
배우
2019
양희은
가수
2019
봉준호
영화감독
2020
변인철[14]
배우
2020
고두심
배우
2021
김병기
화가
2021
이장희
가수
2021
이춘연†
영화인
2021
안숙선
국악인
2021
한석홍†
사진 작가
2022
강수연
배우
2022
박찬욱
영화감독
2023
원종철
삼원인쇄 대표

[1] 필명 고은[2] 예명 김동원[3] 법명 월운[4] 예명 김백봉[5] 예명 한묵[6] 예명 금사향[7] 예명 김수현[8] 예명 패티김[9] 예명 최불암[10] 예명 남성남[11] 예명 남궁원[12] 예명 김지미[13] 예명 남보원[14] 예명 변희봉
}}}}}}}}} ||


金光均
1914년 1월 19일 ~ 1993년 11월 23일

1. 개요2. 생애

1. 개요

대한민국시인, 기업인이다. 본관은 웅천(熊川), 호(號)는 우사(雨社), 우두(雨杜)이다. 종교는 개신교였다가 가톨릭으로 개종하여 세례명은 요셉이다. 일제 시대에는 대표적인 모더니즘 시인의 한 사람이었으나, 한국전쟁 이후로는 시 집필을 그만두고 기업인이 되었다.

간송 전형필과는 사돈이다.

2. 생애

1914년 1월 19일 경기도 개성군에서 포목 도매상으로 일하던 아버지 김창훈과 어머니 한순복 사이의 3남 3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송도상업학교를 졸업하고 고무공장 사원으로 근무하면서 어린 시절부터 시를 쓰기 시작하였다.

불과 열세 살의 어린 나이인 1926년 "가신 누님"으로 창작 활동을 시작하여 이후 와사등, 기항지, 은수저 등의 시를 썼다. 대표적인 모더니즘 작풍의 시인으로 유명해졌다. 교과서에서 '공감각적 심상'의 예시로 단골 등장하는 '분수처럼 흩어지는 푸른 종소리' 역시 그의 작품 '외인촌'의 구절이다.

6.25 전쟁 중 납북된 동생이 운영하던 건설상회를 대신 운영하며 중견 기업으로 키워내는 등 기업인으로도 활동했다. 무역협회 부회장,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이사를 역임하면서 당시까지 일본어 일색이던 경제용어를 우리말로 바꾸었다. 지금 우리가 쓰고 있는 수표(일본어 小切手), 어음(手形), 환(爲替), 환전(兩替) 등의 용어도 그가 만든 것이다.

1993년 11월 23일 저녁 8시 25분 서울특별시 종로구 부암동 129-44번지 유원빌라 4동 101호 자택에서 숙환으로 별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