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06 19:05:54

해의만

파일:은관문화훈장 약장.png
은관문화훈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1974
박화성
소설가
1978
김환기
화가
1978
나운규
영화감독
1978
이중섭
화가
1978
현진건
소설가
1980
박수근
화가
1980
조치훈
바둑기사
1984
박두진
시인
1988
김광균
시인
1988
김중업
건축가
1988
이봉상
화가
1989
조남철
바둑기사
1989
조훈현
바둑기사
1992
김영주
화가
1992
김춘수
시인
1992
장리석
화가
1992
전광용
소설가
1992
한갑수
교수
1995
박노수
화가
1995
전왕영
시인
1996
이창호
바둑기사
1998
김남조
시인
1999
박홍근
아동문학가
2001
권영우
화가
2001
박용철
시인
2001
박태현
작곡가
2001
신경림
시인
2001
유종호
문학평론가
2001
이지관
문화연구가
2001
최일남
소설가
2001
홍연택
지휘자
2002
고은택[1]
시인
2002
김종하
화가
2002
나춘호
출판가
2002
민경갑
화가
2002
박보희
한국문화재단 총재
2002
이수홍
한국문화협회 이사장
2002
이오덕
아동문학가
2002
이형기
시인
2002
이호철
소설가
2002
정수봉
교육인
2003
박봉석
사서,국립도서관학교 교장
2003
신동엽
시인
2003
이종상
화가
2003
천상병
시인
2003
황병기
국악인
2004
김동혁[2]
연극인
2004
김사엽
국문학자
2004
김서봉
화가
2004
김충현
서예가
2004
김희조
지휘자
2004
박연희
소설가
2004
엄대섭
도서관연구회장
2004
임동권
민속학자
2005
고우영
만화가
2005
김성구[3]
불교인
2005
김충실[4]
무용가
2005
전숙희
수필가
2005
이문열
소설가
2006
이규태
언론인
2006
임영방
국립현대미술관장
2006
한명희
국립국악원장
2006
홍기삼
교육인
2007
김주영
소설가
2007
이강덕
종묘제례악 명예보유자
2007
안병희
국어학자
2008
박광진
예술인
2008
오세영
시인
2008
최종태
조각가
2008
한백유[5]
화가
2009
이미자
가수
2010
김희진
무형문화재 매듭장
2010
레프 콘체비치
러시아인 한국학자, 훈민정음 해례본 러시아어 번역 공로
2010
백건우
피아니스트
2010
백성희
연극배우
2010
장민호
연극배우
2010
전혁림
화가
2011
신영균
영화배우
2011
이수만
가수, 연예기획사 사장
2011
하춘화
가수
2011
이근배
시인
2011
해의만
국악인
2012
최영필[6]
가수
2012
김기덕
영화감독
2012
김순옥[7]
드라마 작가
2012
손숙
연극배우
2012
윤일봉
배우
2013
구봉서
희극인
2013
안성기
영화배우
2013
조용필
가수
2013
최인호
소설가
2013
김혜자[8]
가수
2014
김승옥
소설가
2014
박정란
드라마 작가
2014
송해
희극인
2014
최영한[9]
배우
2015
이천백[10]
희극인
2015
이덕화
배우
2015
이성희
음반제작자
2016
김윤식
문학평론가
2016
백영수
화가
2016
홍경일[11]
배우
2016
김명자[12]
배우
2016
김덕용[13]
희극인
2017
김남진
가수
2017
박근형
배우
2017
윤여정
배우
2018
이순재
배우
2018
김민기
가수
2018
조동진
가수
2019
김혜자
배우
2019
양희은
가수
2019
봉준호
영화감독
2020
변인철[14]
배우
2020
고두심
배우
2021
김병기
화가
2021
이장희
가수
2021
이춘연†
영화인
2021
안숙선
국악인
2021
한석홍†
사진 작가
2022
강수연
배우
2022
박찬욱
영화감독
2023
원종철
삼원인쇄 대표

[1] 필명 고은[2] 예명 김동원[3] 법명 월운[4] 예명 김백봉[5] 예명 한묵[6] 예명 금사향[7] 예명 김수현[8] 예명 패티김[9] 예명 최불암[10] 예명 남성남[11] 예명 남궁원[12] 예명 김지미[13] 예명 남보원[14] 예명 변희봉
}}}}}}}}} ||

해의만
海義滿, Hae Ui-Man
파일:해의만.jpg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1]
귀화전 이름 앨런 찰스 헤이먼 (Alan Charles Heyman)
본관 서울 해씨[2]
출생 1931년 3월 16일
미국 뉴욕주 뉴욕시
사망 2014년 3월 1일 (향년 88세)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동
학력 콜로라도 주립대학교 (음악학 / 학사)
컬럼비아 대학교 대학원 (음악학 / 석사)
가족 부인 최옥자
장남 해선주
차남 해성광
장녀 해람

1. 개요2. 상세3. 수상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미국계, 백인계 한국인 출신의 원로 국악인.

2. 상세

1931년 3월 16일 미국 뉴욕주 뉴욕시에서 태어났다.

1952년 콜로라도 주립대학교 음악학과를 졸업하고 1953년 한국전쟁의무병으로 참전하면서 한국과 인연을 맺었다. 강원도 야전병원에서 근무하던 중 태평소 소리에 매료되어 정전 협정이 체결된 뒤 미국으로 돌아가 컬럼비아 대학교 대학원에 진학했고, 1959년 음악학 석사 학위를 취득한 뒤 1960년부터 한국에 정착했다.

정착한 해에 개교한 한국국악예술학교(현 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에 무작정 찾아가 학생들에게 영어를 가르치는 대신 자신에게 국악을 가르쳐달라 요구했고, 당시 초대 교장인 박헌봉은 흔쾌히 승락했다고 한다. 이후 홍원기, 박녹주, 지영희, 신쾌동에게 국악을 사사했고, 1995년 한국인으로 귀화해 '서울 해씨'의 시조가 되었다.

1963년 미국인 최초로 '뉴욕 아시아학회'에서 한국전통음악에 대한 발표와 함께 바라춤을 직접 선보였다. 1964년에는 '한국삼천리가무단'을 인솔해 미국 27개 대학과 뉴욕 카네기홀 공연을 이끌었고, 1973년에는 국립국악원 연주단과 함께 이란, 프랑스, 서독 등에서 여러 차례 공연 및 강의를 통해 한국의 전통소리와 춤을 세계에 알렸다. 영국 에든버러대 민속음악 학자 존 레비가 1964년 한국에서 50일간 머물면서 궁중음악과 민속음악을 비롯해 신쾌동, 한일섭, 김소희, 박초월, 이창배, 김옥심, 이정렬 등 국악 명인의 소리와 연주를 담은 '한국음악 컬렉션'을 제작하는 것을 주선하기도 했다.

2011년에는 수십년간 모은 <서애악부>, <정축진찬의궤>, <설중회춘곡> 등을 비롯해 희귀악서와 고서, 1960년대 국악 연주 녹음자료 등 희귀 자료 60점을 국립국악원에 기증했다. 또한 한국외국어대와 국민대, 한세대 등에서 학생들에게 영어와 전통음악을 가르치기도 했다. 주요 저서로 <삼천리 나라의 무용>, <한국판소리해설>, <한국 민속음악과 무용> 등 5권이 있으며, <한국가면극>, <한국민속무용해설>, <한국전통악기> 등 수십권을 영문으로 번역했다.

2014년 3월 1일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동에서 노환으로 별세했다.

3. 수상

  • 1982년 한국국제문화협회 문화상
  • 1991년 한국유네스코위원회 문화상
  • 1995년 국악의 해 국무총리 표창
  • 2011년 은관문화훈장

4. 관련 문서




[1] 1995년 귀화.[2] 시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