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망스어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letter-spacing:-0.5px" | 라틴어† 중세 라틴어 민중 라틴어 | <colbgcolor=#b0c9fd,#415ca2> 서부 로망스어군 | <colbgcolor=#b0c9fd,#415ca2> 갈리아이베리아어 | 이베리아로망스어 | 갈리시아포르투갈어 | 포르투갈어 · 갈리시아어 |
아스투리아스레온어 | 레온어 · 미란다어 · 아스투리아스어 | |||||
카스티야어 | 스페인어 · 라디노어 | |||||
아라곤어 | 아라곤어 | |||||
모사라베어 | 모사라베어† | |||||
갈리아로망스어 | 오크로망스어 | 오크어 ( 랑그도크어 · 가스코뉴어 ) · 카탈루냐어 ( 발렌시아어 ) | ||||
오일어 | 프랑스어 · 노르만어 · 왈롱어 | |||||
프랑코프로방스어 | 프랑코프로방스어 (리오네 방언 · 도피네 방언 · 사부아 방언 · 아오스타 방언 · 보 방언 · 쥐라 방언) | |||||
레토로망스어 | 로망슈어 · 라딘어 · 프리울리어 | |||||
갈리아이탈리아어 | 갈리아이탈리아어 ( 피에몬테어 · 리구리아어 · 롬바르드어 · 에밀리아어 · 로마냐어 · 모나코어 ) | |||||
이탈리아달마티아어(1) | 토스카나어 ( 이탈리아어 · 코르시카어 ) · 중부 이탈리아어 · 움브리아어(2) · 칼라브리아어 · 나폴리어 · 아브루초어 · 시칠리아어 · 이스트리아어 · 달마티아어† · 베네토어 | |||||
동부 로망스어군 | 루마니아어 · 아루마니아어 · 이스트로루마니아어 · 메글로루마니아어 | |||||
남부 로망스어군 | 사르데냐어 · 아프리카 로망스어† | |||||
* ※ † 표시가 된 것은 사멸된 어군 혹은 언어 | }}}}}}}}} |
프랑스어 관련 틀 | ||||||||||||||||||||||||||||||||||||||||||||||||||||||||||||||||||||||||||||||||||||||||||||||||||||||||||||||||||||||||||||||||||||||||||||||||||
|
<colcolor=#fff><colbgcolor=#65a7da> 프랑스어 불어(佛語) | Français French language | ||
■ : 국어 ■ : 공용어 ■ : 제2언어 ■ : 소수 언어 | ||
유형 | 굴절어 | |
어순 | 주어-서술어-목적어 (SVO) | |
서자 방향 | 좌횡서 (왼쪽부터 가로쓰기) | |
문자 | 라틴 문자 | |
점자 | 프랑스 점자 | |
모어(제1언어) 사용 지역 | [[프랑스| ]][[틀:국기| ]][[틀:국기| ]] [[룩셈부르크| ]][[틀:국기| ]][[틀:국기| ]] [[모나코| ]][[틀:국기| ]][[틀:국기| ]] [[벨기에| ]][[틀:국기| ]][[틀:국기| ]][일부] [[스위스| ]][[틀:국기| ]][[틀:국기| ]][일부] [[캐나다| ]][[틀:국기| ]][[틀:국기| ]][일부] [[콩고민주공화국| ]][[틀:국기| ]][[틀:국기| ]] [[콩고 공화국| ]][[틀:국기| ]][[틀:국기| ]] [[니제르| ]][[틀:국기| ]][[틀:국기| ]] [[코트디부아르| ]][[틀:국기| ]][[틀:국기| ]] [[세네갈| ]][[틀:국기| ]][[틀:국기| ]] [[기니| ]][[틀:국기| ]][[틀:국기| ]] [[베냉| ]][[틀:국기| ]][[틀:국기| ]] [[토고| ]][[틀:국기| ]][[틀:국기| ]] [[가봉| ]][[틀:국기| ]][[틀:국기| ]] | |
공용어(제2언어) 지정 지역 | [[마다가스카르| ]][[틀:국기| ]][[틀:국기| ]] [[카메룬| ]][[틀:국기| ]][[틀:국기| ]] [[차드| ]][[틀:국기| ]][[틀:국기| ]] [[르완다| ]][[틀:국기| ]][[틀:국기| ]] [[부룬디| ]][[틀:국기| ]][[틀:국기| ]] [[아이티| ]][[틀:국기| ]][[틀:국기| ]] [[코모로| ]][[틀:국기| ]][[틀:국기|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틀:국기| ]][[틀:국기| ]] [[적도 기니| ]][[틀:국기| ]][[틀:국기| ]] [[지부티| ]][[틀:국기| ]][[틀:국기| ]] [[바누아투| ]][[틀:국기| ]][[틀:국기| ]] [[세이셸| ]][[틀:국기| ]][[틀:국기| ]] [[알제리| ]][[틀:국기| ]][[틀:국기| ]] [[모로코| ]][[틀:국기| ]][[틀:국기| ]] [[튀니지| ]][[틀:국기| ]][[틀:국기| ]] [[모리셔스| ]][[틀:국기| ]][[틀:국기| ]] | |
기타 사용 지역 | [[베트남| ]][[틀:국기| ]][[틀:국기| ]] [[캄보디아| ]][[틀:국기| ]][[틀:국기| ]] [[라오스| ]][[틀:국기| ]][[틀:국기| ]] [[레바논| ]][[틀:국기| ]][[틀:국기| ]] [[모리타니| ]][[틀:국기| ]][[틀:국기| ]] | |
원어민 | 약 8,000만 명[4] | |
총사용자 | 약 3억 2,000만 명[5] | |
계통 | 인도유럽어족 이탈리아어파 로망스어군 갈리아 로망스어 오일어 프랑스어 | |
언어 코드 | <colcolor=#fff><colbgcolor=#75b5e7> ISO 639-1 | FR |
ISO 639-2 | FRE(B) FRA(T) | |
ISO 639-3 | FRA |
[clearfix]
1. 개요
프랑스어로 읽은 세계 인권 선언 제27조 이 사람은 베냉 출신이며, 표준 프랑스어를 구사하고 있다.[6] |
반면 프랑스어에서 똑같은 합성어는 형태 없는 죽처럼 즉시 녹아 버린다. 결국 성급하고 강압적인 독일어 문장은 이내 자갈이 구르는 듯하고 개가 짖는 듯한 소리가 된다. 조각상이나 로봇이 독일어와 어울릴 것이다. 반대로 들러붙고 미지근한 우리 프랑스 사람들은 부드러운 일드프랑스의 말투를 선호한다.
미셸 투르니에, 《마왕》[7] (1970)
로망스어군의 대표적인 언어이자 유엔 공용어 중 하나인 세계적인 언어이다. 불어라는 표기도 매우 대중적으로 알려져 있다. 영어가 잉글랜드어를 뜻하듯이 불어도 프랑스어를 뜻한다.[8]미셸 투르니에, 《마왕》[7] (1970)
프랑스, 캐나다 일부, 벨기에 일부, 스위스 일부에서 모국어로 사용하며, 프랑스가 영국과 함께 가장 많은 식민지를 가졌던 영향으로 과거 프랑스 및 벨기에의 식민지였던 아프리카의 다수 국가들이 공용어로 사용한다. 아프리카 내에서도 북아프리카, 서아프리카 + 마다가스카르에 분포되어 있다.
의외로 프랑스어 화자 수가 한국어 화자보다 적다는 통계가 종종 나오는데,[9] 집계 기준을 모국어 화자로 한정했기 때문이다. 아래 서술대로 프랑스어는 모국어 화자보다 비모국어 화자가 더 많다. 총화자 수가 3억 명 정도이고 그중 2억 3천만 명이 일상생활에 프랑스어를 사용한다. 1 2 3
2. 현황
2.1. 28개국의 공용어
프랑스어권을 프랑코포니라 한다.[10]프랑스어가 국어인 국가 및 지역 | |
프랑스어가 공용어인 국가 및 지역 | |
프랑스어가 제2 언어인 국가 및 지역 | |
프랑스어가 소수 언어인 국가 및 지역 |
지역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 유럽
- \
[[프랑스| ]][[틀:국기| ]][[틀:국기| ]] - \
[[벨기에| ]][[틀:국기| ]][[틀:국기| ]]
수도 브뤼셀 및 왈롱 지방의 주요 언어이자 연방 공용어 3개 중 하나이다. 인구 40%의 모국어이며 제2 언어 화자도 포함하면 인구 90% 정도가 프랑스어 화자들이다. - \
[[스위스| ]][[틀:국기| ]][[틀:국기| ]]
제네바, 로잔 등 로망디 지방의 주요 언어이자 연방 국어 4개 중 하나이다. 인구 25%의 모국어이며 제2 언어 화자도 포함하면 인구 절반 이상이 프랑스어 화자들이다. - \
[[룩셈부르크| ]][[틀:국기| ]][[틀:국기| ]]
헌법상 행정 언어이며 실질적 공용어이다. 국민 절대다수가 프랑스어를 구사할 수 있다. - \
[[모나코| ]][[틀:국기| ]][[틀:국기| ]] - \
[[안도라| ]][[틀:국기| ]][[틀:국기| ]]
공용어는 카탈루냐어이이며, 스페인어와 프랑스어는 제1 외국어 및 제2 공용어 역할을 한다. - \
[[틀:국기| ]][[틀:국기| ]][[저지 섬| ]]
Jerriais라는 저지섬의 프랑스 방언 격인 언어가 있다. 들어보면 본토 프랑스어와는 발음과 표기상의 괴리감이 조금 있다. 본토인들은 "술 마신 영국인이 프랑스어를 영어식으로 발음하는 것 같다"는 의견이 많다.
- 아메리카
- \
[[캐나다| ]][[틀:국기| ]][[틀:국기| ]]
영어와 더불어 연방 공용어다. 인구 25% 정도가 프랑스어를 모어로 쓰며(대부분 퀘벡 거주), 제2언어 화자까지 포함하면 인구 1/3이 프랑스어를 할 수 있다. - \
[[캐나다| ]][[틀:국기| ]][[틀:국기| ]] 퀘벡
공용어 및 주요 언어. 주민 80% 정도가 프랑스어를 모어로 쓰며 95%가 프랑스어를 구사한다. - \
[[캐나다| ]][[틀:국기| ]][[틀:국기| ]] 뉴브런즈윅
영어와 프랑스어가 공동 공용어. 주민의 35%가 프랑스어를 모어로 쓴다. -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루이지애나 - \
[[아이티| ]][[틀:국기| ]][[틀:국기| ]] - \ 프랑스령
[[틀:국기| ]][[틀:국기| ]][[생피에르 미클롱| ]], 프랑스령 기아나, 마르티니크, 과들루프, 생바르텔레미, 생마르탱
- 아프리카
- \
[[콩고민주공화국| ]][[틀:국기| ]][[틀:국기| ]],
[[마다가스카르| ]][[틀:국기| ]][[틀:국기| ]],
[[카메룬| ]][[틀:국기| ]][[틀:국기| ]],
[[코트디부아르| ]][[틀:국기| ]][[틀:국기| ]],
[[니제르| ]][[틀:국기| ]][[틀:국기| ]],
[[세네갈| ]][[틀:국기| ]][[틀:국기| ]],
[[르완다| ]][[틀:국기| ]][[틀:국기| ]][11],
[[기니| ]][[틀:국기| ]][[틀:국기| ]],
[[차드| ]][[틀:국기| ]][[틀:국기| ]],
[[부룬디| ]][[틀:국기| ]][[틀:국기| ]],
[[베냉| ]][[틀:국기| ]][[틀:국기| ]],
[[토고| ]][[틀:국기| ]][[틀:국기|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틀:국기| ]][[틀:국기| ]],
[[콩고 공화국| ]][[틀:국기| ]][[틀:국기| ]],
[[가봉| ]][[틀:국기| ]][[틀:국기| ]],
[[코모로| ]][[틀:국기| ]][[틀:국기| ]],
[[모리셔스| ]][[틀:국기| ]][[틀:국기| ]],
[[적도 기니| ]][[틀:국기| ]][[틀:국기| ]][12],
[[지부티| ]][[틀:국기| ]][[틀:국기| ]],
[[세이셸| ]][[틀:국기| ]][[틀:국기| ]],
[[상투메 프린시페| ]][[틀:국기| ]][[틀:국기| ]][13] - \
[[모로코| ]][[틀:국기| ]][[틀:국기| ]],
[[모리타니| ]][[틀:국기| ]][[틀:국기| ]],
[[알제리| ]][[틀:국기| ]][[틀:국기| ]][14],
[[튀니지| ]][[틀:국기| ]][[틀:국기| ]]
프랑스어가 공용어는 아니지만 오히려 공용어로 지정한 다수 아프리카 국가들보다 더 널리 통용된다. 독립 이후 아랍어 정책을 꾸준히 시행했음에도 불구하고 의무 교육 과정 일부분은 아직도 프랑스어로 진행하고 있고, 고등 교육에서는 프랑스어로 강의하는 대학이 오히려 다수일 정도다.
프랑스어 공영 방송도 있다. 대체로 고등학교만 나온 사람이라도 프랑스어로 기본 대화는 할 줄 알고, 유창히 하는 사람들도 많이 있다. 외국인에게 말을 걸 때 영어보다 먼저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모로코는 친불 정책으로 독립 이후부터 프랑스어 교육이 특화되었다. - \ 프랑스령 레위니옹, 마요트, 남방 및 남극 지역
- 아시아
- \
[[레바논| ]][[틀:국기| ]][[틀:국기| ]]
오랫동안 프랑스의 영향을 받은 나라로서 교육, 상업에서 널리 쓰이는 상용 언어이다. 이 동네는 하도 영어와 프랑스어를 많이 쓰다 보니 아랍어 보호 운동까지 일어나고 있다. - \
[[인도| ]][[틀:국기| ]][[틀:국기| ]] 퐁디셰리[15]
과거 프랑스 지배 영향으로 인도의 지역 공식 언어로도 지정되어 있다. - \
[[베트남| ]][[틀:국기| ]][[틀:국기| ]],
[[캄보디아| ]][[틀:국기| ]][[틀:국기| ]],
[[라오스| ]][[틀:국기| ]][[틀:국기| ]]
공용어는 아니지만 과거 프랑스 식민지다 보니 프랑스어 방언 정도는 남아 있으며, 현재 프랑코포니와 프랑스의 무진 노력을 통해 프랑스어 이중 언어 교육 프로그램 등 다양한 협력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덕분에 프랑스어를 구사하는 소수 엘리트를 어느 정도 꾸준히 배출시키긴 하나 일상에선 사라진 언어라고 할 수 있다.
베트남에서는 남베트남 시절까지는 프랑스어가 비공식적인 공용어의 지위를 인정받고 있었지만[16] 베트남이 통일되면서 공용어의 지위를 잃었다. 다만 라오스는 프랑스어를 다른 나라보다 다방면에 쓴다. 허나 현재 베트남에서는 일상 언어로는 거의 쓰이지 않으나, 고급 교육(대학 교육 내지 대학원 교육 등)에서는 베트남어 대신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비중이 꽤 있다고. 베트남의 공산당 독립운동가들은 프랑스어로 언론 인터뷰를 하고, 선전 자료를 배포했는데, 호치민이나 보응우옌잡 장군의 프랑스어 육성이 유튜브에 남아있다. 영국에서 공부하고 영국 치하에서 공무원이나 변호사로 활동을 시작한 인도의 독립운동가들과도 비슷한 면모가 있는 것이다.
프랑스어는 영어나 스페인어와 달리 모어보다는 교육용 언어, 실무 언어로서 보급되었는데, 각 열강이 펼쳤던 식민 정책이 달랐던 것을 원인으로 볼 수 있다. 영국은 원주민을 몰아내어 비운 땅에 백인들과 흑인 노예를 이주시켜 '개척'했고, 스페인은 원주민들을 말살시키거나 혹독하게 동화시켜서 현지 언어를 스페인어로 대체해 버렸다.
그러나 프랑스는 캐나다나 알제리를 제외하면 다수가 해외로 이민했던 경우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 때문에 현지인을 몰아내기보다는 몇천에서 몇만 명 단위의 소수 인원만 보내 지배하는 형식을 택하면서 현지인들과 소통할 때 쓰이는 '공용어' 정도로 자리 잡은 것이다.
그래서 서유럽 및 캐나다 밖에서 프랑스어를 모어로 쓰는 경우는 비교적 드문데, 요즘은 북아프리카 국가들과 콩고공화국, 콩고민주공화국, 가봉, 카메룬 등 중부 아프리카에서도 젊은 세대 위주로 프랑스어가 모국어화되는 추세라고 한다.
2.2. 국제 공용어
프랑스는 역사적으로 유럽에서 3위권 바깥으로 밀려난 적이 없는 강대국이며, 아무리 짜게 평가하더라도 13세기부터[18] 시작해서 19세기가 끝날때까진 유럽을 대표하는 나라였다. 물론 국력에선 19세기에 영국이 프랑스를 앞섰으나, 유럽 내부의 위상과 통용에선 프랑스어가 강했다.이에 따라 프랑스어는 루이 14세 때부터 20세기 초중반까지 국제 공용어 위치에 있었는데 알렉상드르 뒤마의 걸작인 몽테크리스토 백작에선 등장인물들이 서로 프랑스어를 할 줄 아는지 물어볼 때 프랑스어를 국제어(langue internationale)라고 부르는 부분이 있다.[19]
현재 제일 국제 공용어 자리는 영어에 내어주었기에 한국에서는 실감이 안 날 수도 있지만 프랑스어는 여전히 국제적인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국제 무대에서 외교관이나 국제 중재 변호사로 일하려면 영어뿐만 아니라 프랑스어 구사 능력이 중요하다.
프랑스어는 유엔의 공용어 중 하나일 뿐만 아니라 영어와 더불어 일상 업무를 보는 실무 언어이다. 중국어, 러시아어, 스페인어, 아랍어가 국제 연합의 공용어이기는 하나 유엔 내 사무에서는 보통 사용되지 않는 것과는 다르다. 그러므로 유엔 직원들은 영어 이외에 다른 언어는 몰라도 프랑스어는 어느 정도 구사할 필요가 있다. 일례로 유엔의 사법 기능을 담당하는 국제사법재판소에서는 프랑스어와 영어만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다. 반기문 전 UN 사무총장이 처음 선출될 당시, 괜히 프랑스가 "프랑스어를 잘 못한다"고 딴지를 걸었던 게 아니다.
유엔 말고도 대부분의 거대 국제단체들은 프랑스어를 공용어로 사용한다. 특히 만국우편연합(UPU)과 국제올림픽위원회(IOC), UNESCO는 명목상 프랑스어를 제1 공용어로 두고 있다. FIFA도 프랑스어를 공용어 중 하나로 쓰는데, FIFA란 이름도 프랑스어에서 나온 것이다. IOC와 FIFA 모두 프랑스인이 주도해 세운 단체이기 때문에 그런 것.
그 외에도 교육, 행정, 외교,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존재감을 떨치는 언어다. 프랑스어 제목을 갖고 있거나 프랑스어로 발행되는 학술지의 양과 질은 영어 다음이며, 특정 분야에서는 영어보다 널리 쓰이는 언어다.
2.2.1. 유럽에서의 프랑스어
유럽에서 프랑스어는 매우 인기 있는 언어이다. 왜냐하면 프랑스가 서유럽 문화의 중심지였기도 하고, 중세 시대 이후부터 프랑스어가 서유럽 내 공용어의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현대에도 외교, 국제 정치, 인문학, 수학 등에서 프랑스어의 영향이 강하다.실제로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시절부터 제2차 세계 대전 이전까지 프랑스어는 전 유럽 공용어였다. 영국, 스페인, 독일에서도 모국어는 할 줄 몰라도 프랑스어는 할 줄 아는 사람들이 꽤 있었을 정도였다.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이탈리아어 등 로망스어군 화자들은 물론이고 게르만어군 소속인 영어 화자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일단 영국과 지리적으로 가깝고 영어의 단어 중 프랑스어 차용어가 많다. 그래서 어휘는 같은 서게르만어권인 독일어, 네덜란드어보다 프랑스어와 더 유사하다.[20]
서유럽 문화의 중심지라는 점답게 고급 문화 및 요리로 프랑스 문화, 프랑스 요리가 유명했고, 인문학, 사회 과학, 자연 과학 등에 프랑스가 끼친 영향이 상당하며 당대 지식인들은 프랑스어를 필수적으로 공부했다.
당장 엘리자베스 2세와 찰스 3세 등 영국 군주들[21]은 물론이고, 토니 블레어, 데이비드 캐머런, 테레사 메이, 보리스 존슨 등 정치인, 엠마 톰슨, 엠마 왓슨, 고든 램지나 여러 유명 인사들도 프랑스어를 곧잘 구사하며, 영국의 고등학교나 대학에서 외국어 과목으로 프랑스어를 많이 선택한다.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 독일어권, 이탈리아, 스페인, 포르투갈, 몰타, 그리스, 키프로스, 튀르키예, 네덜란드, 아일랜드, 핀란드, 덴마크, 스웨덴, 노르웨이, 아이슬란드에서도 프랑스어 학습이 활발하다.
공용어로 프랑스어를 쓰는 벨기에, 모나코, 룩셈부르크, 스위스도 그렇지만 이들 나라에서도 프랑스어가 전통적인 주요 제2외국어이며 영국과 같이 프랑스어 교육 수요가 많고, 프랑스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쇤브룬 궁전, 돌마바흐체 궁전, 마드리드 왕궁 등 서유럽에 있는 유적이나 일부 문화재 역시 프랑스의 영향을 받은 증거이다. 이탈리아에서도 발레다오스타 지역에서는 프랑스어가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으며[22] 이탈리아를 통일한 사보이아 가문이 프랑스계였다 보니 피에몬테에서도 프랑코프로방스어와 같은 프랑스어의 방언이 통용되기도 한다.
2.2.2. 북아메리카에서의 프랑스어
프랑스의 프랑스어와는 다른 방향으로 발전한 캐나다에서 쓰이는 프랑스어. 프랑스어는 캐나다 연방 법에서 영어와 동등한 권리를 갖고 있는 공용어다. 캐나다의 퀘벡주와 뉴브런즈윅주에서는 주법상 프랑스어가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다.캐나다의 퀘벡은 아예 프랑스어권이고, 뉴브런즈윅은 영어, 프랑스어를 모두 쓰며, 온타리오, 노바스코샤, 매니토바에는 프랑스어 화자들이 많이 있다. 그 외 지역에도 프랑스어 화자가 매우 많다.
그리고 공용어가 캐나다 프랑스어인 만큼 영어, 프랑스어가 상품 라벨 등에 의무적으로 표기되어 있어야 하고 공공 서비스 역시 프랑스어 제공은 필수이다. 캐나다 의회, 캐나다 정부에서도 프랑스어는 영어와 동등하며 총리, 장관, 정무 차관은 프랑스어와 영어 구사력이 좋아야 한다.
영어가 모어인 캐나다인들은 제1외국어로 프랑스어를 이수하며, 공무원이나 공기업 등 정부 기관 채용, 에어캐나다 등 항공사, 비아 레일 소속 조종사, 객실 승무원 등은 영어, 프랑스어를 구사해야 가산점이 붙는다. 그리고 방송 역시 프랑스어 방송이 많다.
미국의 경우 캐나다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메인, 버몬트, 뉴햄프셔, 매사추세츠, 뉴욕 등 북동부 지역이나 프랑스계 미국인 비율이 높은 루이지애나의 경우 프랑스어 교육 수요가 많고, 루이지애나의 공용어는 영어, 프랑스어다. 20세기까지만 해도 영어가 모어인 미국인이 학교에서 외국어를 배운다면 이는 기본적으로 프랑스어를 의미했다. 현재는 (특히 서부, 남부를 중심으로) 스페인어의 실용성이 매우 높아져서 프랑스어의 비중이 다소 줄어들기는 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랑스어는 여전히 가장 많은 미국인들이 공부하는 외국어 중 하나다.
2.2.3. 아프리카에서의 프랑스어
아프리카를 프랑스어의 미래가 달린 대륙으로 보는 것은, 전세계 프랑스어 화자의 59%가 아프리카에 살고 있는 것에서 기인한다. 당장 알제리, 튀니지, 모로코 등 북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 콩고, 세네갈, 차드, 카메룬 등 서아프리카 등을 보면 영어와 같이 아프리카를 반분하고 있다.# # 게다가 프랑스어권 최대 도시는 프랑스의 수도 파리가 아닌 콩고민주공화국의 킨샤사이다.아프리카에서의 프랑스어 영향력은 막강한데, 예를 들면 국경없는의사회는 에이전트나 의료 종사자 면접에서는 영어와 더불어 프랑스어 능력을 반드시 요구한다. 참고로 국경없는의사회의 약자 MSF 역시 프랑스어에서 온 것이다. 물론 단체가 프랑스인 의사들에 의해 프랑스에서 처음 만들어진 것도 한몫하겠지만.
프랑스어 사용자는 아프리카에서 집중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2014년 기준 진한 남색으로 색칠된 아프리카 프랑스어권의 인구는 약 3억 7천만 명인데, 2050년이면 약 7억 8500만 명에서 8억 3700만 명까지 증가할 듯하다.[23]
아프리카의 잠재력이 급부상하면서 프랑스어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중국도 아프리카 국가들과의 관계가 활발해지면서 중국 내 프랑스어 전공자들이 아프리카에 대거 진출하고 있다. # #
다만 현재 아프리카의 치안은 차라리 라틴 아메리카가 상대적으로 나아 보일 정도이니 정말 프랑스어의 미래를 책임질 만한 국가들로 성장하려면 아직은 갈 길이 멀어 보인다.[24] 국가별 살인율 통계를 보면 대체로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이 아프리카 국가들보다 상위권에 위치해 있어서 착각하기 쉬운데, 과거 프랑스 식민지령이었던 아프리카 국가들은 자국의 치안 통계조차도 제대로 내는 것조차 불가능한 파탄 국가들이 절대 대다수임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중서부 아프리카의 경우, 수많은 토착 언어를 구사하는 사람들끼리 쓸 수 있는 중립적인 언어다. 콩고민주공화국만 하더라도 확인된 언어가 240개가 넘고, 모로코, 알제리, 튀니지, 모리타니, 지부티, 차드는 아랍어가 모어이지만 식민지 시절의 영향, 중상층의 프랑스어 선호 덕에 널리 쓰이는 언어가 되었다. 특히 모로코는 프랑스와 관계를 고려해 프랑스어가 공용어이다.
이 중 몇몇 나라는 아랍 문화권이거나 이슬람이 강세라 아랍어를 통용어로 쓸 수도 있겠지만, 아랍어 방언이 워낙 다양해서 같은 나라인데도 지역마다 의사소통이 되지 않을 정도이고, 아랍어를 쓰지 않는 소수 민족들도 있어 결국 프랑스어를 쓰게 되었다.
다만 프랑스어권 아프리카 국가들도 요즘 영어를 더 우선시하는 경향이 늘고 있는데, 특히 북아프리카 국가들이 그러하다. 프랑스를 불구대천으로 보는 알제리야 예전부터 그랬지만, 튀니지와 모로코도 점차 젊은 층이 프랑스어에만 매달리지 않고 영어나 독일어, 이탈리아어 등을 교육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미국이나 영국의 대중문화로 대표되는 영어에 비해 프랑스어는 좀 예스러운 이미지가 있다고. 하지만 공용어인 프랑스어가 영어로 대체될 가능성은 매우 희박한데, 우선 기득권층이 이미 프랑스어권에 흡수되었고, 정책상 공용어를 바꾸기에는 기존 인프라 및 교육 과정을 다 바꿔야 하는데 이에 드는 비용과 노력이 어마어마하다.
소수이지만, 프랑스어권 아프리카 국가들과 활발한 교류를 하고 있는 감비아, 기니비사우, 가나, 적도 기니, 상투메 프린시페는 프랑스어가 주요 외국어 또는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고 프랑코포니에도 가입했다. 나이지리아도 주변국이 프랑스어권 국가들이라서 일부 프랑스어 교육이 실시된다고 한다.
2014년 3월 20일에 프랑스의 로랑 파비위스 외무 장관은 아프리카에서 프랑스어 교사 10만 명 양성 계획을 발표했다. #
2.2.4. 국제 위상의 변천
프랑스어는 중세 유럽 시기부터 이른바 왕족과 귀족의 언어라는 고급진 인식이 가득했고, 이 때문에 각국 왕족과 귀족들은 자기 나라 말은 잘 못하더라도 프랑스어만큼은 대부분 유창하게 구사했다.- 잉글랜드의 플랜태저넷 왕조와 하노버 왕조의 시조가 각기 프랑스와 독일 지역에서 유래했기 때문에 재미있는 일이 많이 일어났다. "사자심왕" 리처드 1세는 생애의 대부분을 프랑스 영지에서 보냈기에 영어를 할 줄 모르고 프랑스어를 구사했다.[25] 하노버의 선제후로서 영국 왕위를 물려받은 조지 1세도 영어는 할 줄 몰랐으나, 당시 유럽 상류층의 기본 소양이었던 프랑스어를 구사할 줄 알았기 때문에 영국 귀족들과 어렵지 않게 대화할 수 있었다. 현재 영어에서는 같은 뜻의 단어가 둘 이상 있는 경우, 대체로 귀족들이 주로 사용했던 용어는 프랑스어에서 차용된 어휘가 많다.[26]
-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2세는 일상어로 독일어가 아닌 프랑스어를 썼으며, 정무를 볼 때도 프랑스어를 사용했다.
- 러시아 또한 귀족 및 부르주아 계층은 러시아어뿐만 아니라 프랑스어를 하는 게 기본 교양이었다. 지체 높은 귀족들 중에는 러시아어는 구사한다고 보기 어려울 정도로 어물거리면서도, 오히려 프랑스어는 모어로서 유창한 사람들도 있었다. 사상가 및 문학가들 역시 프랑스어로 글을 쓰거나 연설한 사례가 적지 않았다. 일례로 레프 톨스토이의 작품을 원서로 접하면, 평범하게 러시아어가 이어지다가 아무런 예고 없이 프랑스어가 갑툭튀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러시아 소설 석박사급 전공자들은 겸사겸사 프랑스어를 공부하기도 할 정도.[27]
- 오스만 제국도 19세기부터 상류층이 프랑스어를 배우기 시작하면서 프랑스어에서 쓰이는 로마자를 같이 사용했을 정도이다.
1635년 리슐리외 추기경의 전폭적인 후원 아래 설립된 아카데미 프랑세즈 덕분에 표준어 정립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서 그 밖에 주변국들의 어휘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스페인 왕립 학술원(Real Academia Española)도 아카데미 프랑세즈를 본떠서 세운 기관이다.
제국주의 시기 서양 열강이 지구 대부분의 땅에 진출했기에 당시 범세계적 국제 공용어였다고 할 수 있다. 지금의 영어와 다른 점은 세계화 및 정보화 시대가 아니었기 때문에 일반 사람들까지 프랑스어를 한 건 아니고 상류층이나 외교관들의 공통 언어였다.
20세기 초반까지만 해도 프랑스어는 유럽의 공용어로서 대접을 받았지만, 프랑스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에 점령당하는 굴욕을 겪어 급격히 쇠퇴하고 국제 질서가 급속히 미국 중심으로 개편된 바람에 영어에 그 지위가 밀리고 말았다. 그래도 아직 프랑스와 프랑코포니 국가들 덕분에 어느 정도 위상은 차지하고 있다.
프랑스어의 사용이 줄자 프랑코포니 회원국들을 중심으로 유엔, 유럽 연합 내에서 프랑스어 사용을 늘리려는 움직임이 생겨나고 있다.#
3. 다른 언어와의 연관
프랑스어와 타 언어와의 어휘 유사성은 다음과 같다. 출처. 이 통계는 문법이나 발음이 아닌 "기초적인 어휘"의 유사도를 분석한 것이다. 같은 어군(서부 로망스어군)에 속한 언어가 유사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이탈리아어 | 89% |
사르데냐어 | 80% |
로망슈어 | 78% |
스페인어(에스파냐어) | 75% |
포르투갈어 | 75% |
루마니아어 | 75% |
독일어 | 29% |
영어 | 27% |
3.1. 라틴어
프랑스어는 라틴어의 후예이므로 프랑스어의 어휘는 대부분 라틴어에서 기원한 것이다. 당장 인사말만 해도 Bonjour, Bonsoir, Bonne nuit의 bon, bonne는 라틴어 bonus, jour는 '날' 을 의미하는 라틴어 diurnum[28]에서, soir는 늦저녁을 뜻하는 라틴어 sera에서, nuit는 밤을 의미하는 라틴어 noctem[29][30]에서 기원했다. 다만 라틴어 원어민의 후손들이 형성한 다른 로망스어들과는 달리 발음이 완전히 켈트-게르만식으로 변형되어 라틴어와의 발음 괴리는 심하다.3.2. 갈리아어
프랑스어 원어민의 조상 중 상당수가 라틴족과 골족의 혼혈이다. 켈트어파에 속하는 갈리아어는 프랑스어의 제1 기층 언어(substratum)로, 그래서 프랑스어는 라틴어를 기반으로 형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켈트어 어휘가 어느 정도 있다. 프랑스어를 배우다 보면 다른 유럽 언어들 기준으로는 상당히 생소한 기초 어휘가 꽤 나오는데 이것들은 갈리아어에 기반을 두고 있다.예를 들어 aller(가다)[31] battre(때리다), manteau(망토, 외투), petit(작은) 같은 단어들은 갈리아어에서 기원한 단어들이다. 켈트계 언어 중에서 국가 단위의 공용어는 아일랜드어 하나뿐이고 그 아일랜드어가 공용어인 아일랜드에서도 영어가 더 많이 쓰이기 때문에, 오늘날 켈트어 원어민의 후손들이 쓰는 언어이자 켈트어 어휘를 가장 많이 쓰는 메이저 언어는 오히려 프랑스어이다.
또한 켈트어 때문에 프랑스어가 더 어려워지기도 했는데, 라틴어가 10진법을 쓴 반면 켈트어는 60진법을 썼기 때문에 70 이상의 숫자를 표기하는 프랑스어의 규칙은 굉장히 괴상하다. 오늘날 프랑스어의 괴상한 숫자 표기법은 켈트어의 잔재라고 할 수 있다. 본토 프랑스어 기준으로 69까지는 정상적이나, 70은 soixante-dix(60+10), 80은 quatre-vingts(4x20), 90은 quatre-vingt-dix(4x20+10)라고 한다. 참고로 캐나다 아카디아 프랑스어, 스위스 프랑스어, 벨기에 프랑스어에서는 70(septante), 80(huitante), 90(nonante)로 쓴다.
여기서 특이하게 이렇게 켈트식으로 변형된 라틴어 단어만이 프랑스어를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라틴어에서 직수입된 단어도 그대로 프랑스어에 들어왔는데, 이 때문에 위에 열거된 방식으로 전환된[32] 라틴계 단어를 켈트 계열로 간주한다면 프랑스어 내에서 켈트 계열 단어는 약 30%에 달한다.[33]
3.3. 프랑크어
프랑스어는 기본적으로 라틴어에서 파생된 언어이고, 서로마 제국 멸망 이후 갈리아 지방에서 쓰인 고대 갈로-로망어의 직계 후손이지만, 파리에 사는 모든 프랑스어 원어민의 조상이 라틴어나, 켈트어나 갈로-로망어를 썼던 것은 아니었다.본격적으로 프랑스어의 시대를 연 것은 서로마 제국을 유린했었던 숱한 게르만 부족들 중에서도 지배층으로서 지금의 파리에 해당하는 위치에 번듯한 나라(프랑크 왕국)를 세운 뒤론 통치상의 필요성 때문에 일찌감치 모국어인 고대 게르만어를 버리고 중간 계층의 갈로-로망어를 받아들인 프랑크족이었다.
하지만 원래 대대로 쓰던 말을 버리는 게 쉽지는 않았는지 상당수의 고대 게르만어 어휘들을 섞어 썼고 그 흔적이 남아 있다. 다만 비율로는 표준 프랑스어의 약 20% 어휘는 고대 게르만어 계통로 분류될지라도, 그 대부분이 너무 오래된 프랑크족의 사투리라서 현대에도 남아 있는 독일어나 영어와 연관 지을 수 있는 정도로 유사한 단어의 수는 매우 적다. 예시) bleu(blau, blue), bateau(Boot, boat), haut(hoch, high)
다만 프랑크족의 영향의 결과 프랑스어의 발음과 문법은 오히려 게르만어에 가깝게 되어버렸다. 프랑스어는 갈리아이베리아어 중에서 유일하게 유음화 3대 마찰음 /β/, /ð/, /ɣ/가 없는데, 초창기에는 있었으나 프랑크족의 동화 과정에서 전부 사라졌다.
프랑스어에 존재하는 수많은 어말 묵음들은 프랑크족이 끝내 발음해 내지 못했던 갈리아이베리아어 마찰음의 소실에서 기인했다. 특히 아랍인이 v 발음을 못 해서 스페인어에 v 발음이 사라진 것과 반대로 프랑크족은 β 발음을 못 해서 원래 β였던 것들을 v로 바꿔 읽었다.(libro -> livre, saber -> savoir, cabra -> chèvre)
또한 로망스어 특유의 중설 저모음이 전설 저모음과 후설 저모음으로 변질된 것도 명백한 게르만어 모음 체계의 영향이다. 특히 전설 저모음은 추가적인 구개음화까지 일으켰다.(cammello->chameau, gamba -> jambe)
게다가 프랑스어는 통상적인 로망스어들과 달리 주어를 생략할 수 없다는 점 그리고 성수 일치가 불필요한 주어 대명사가 존재한다는 점 또한 게르만어와 같다.
이와 같이, 프랑스어는 갈리아이베리아 조어와 프랑크 중세 라틴어가 공동 기층 언어로 작용하여 크게 4가지 음운 변화 현상을 일으켰다. 로망스화된 켈트족은 갈리아와 이베리아를 통틀어 서로망스 조어에 유성화 현상을 통한 3대 공통 마찰음 /β/, /ð/, /ɣ/를 부여했지만, 파리 근처에서는 로망스화된 프랑크족이 갈리아인에 대한 우세를 확고히 하면서 갈리아어 마찰음을 없애버려 갈리아이베리아어에서 프랑스어가 분기하게 된다.
1. 유성화 현상(Sonorisation) p → v, c → i
lat. sapere → fr. savoir(알고 있다)
lat. concipere → fr. concevoir(품다)
lat. lact- → fr. lait (우유)
lat. noct- → fr. nuit(밤)
lat. conduct- → fr. conduit(이끌린)
lat. facere → fr. faire(만들다)
lat. placere → fr. plaire(기쁨을 주다)
lat. tacere → fr. taire(말을 하지 않다)
(b → p → v)
lat. habere → fr. avoir(갖고 있다)
lat. debere → fr. devoir(해야 한다)
2. -l → -u
lat. salvar- > fr. sauver(구원하다)
lat. alter- → fr. autre(다른)
lat. aliqui unum → fr. aucun(아무)
lat. bell- → fr. beau(아름다운)
lat. pell- → fr. peau(가죽)
3. [u:] > [y]
lat. dur- → fr. dur (단단한)
4. 장음의 이중 모음화(diphthongization) e, o > ie, eu/œu
lat. heri → fr. hier(어제)
lat. potest → fr. peut(할 수 있다)
lat. senator → fr. sénateur(상원 의원)
lat. orator → fr. orateur(웅변가)
lat. actor → fr. acteur(배우)
또한 알파벳 r의 음가가 전동음에서 구개수음으로 변했고 알파벳 c의 구개음화된 음가가 후기 라틴어의 [ts]에서 [s]로 변했다.
3.4. 영어에 끼친 영향
독일어 문법에 프랑스어 낱말을 얹으면 영어 작문이 된다는 농담이 있을 정도로 영어의 어휘 체계에 프랑스어가 끼친 영향은 크다. 본래 고대 영어는 게르만족의 일파인 앵글로색슨족의 언어로, 같은 서게르만어에 속하는 독일어, 네덜란드어와 매우 밀접한 언어였다. 그리고 특히 프리지아어와는 사실상 같은 언어였다.하지만 노르만족이었던 윌리엄 1세의 잉글랜드 왕국 정복 이후 사회 및 종교 지도층이 프랑스 문화에 동화된 북유럽계 노르드 출신인 노르만족으로 대거 교체되었고, 이후 노르만 왕조가 몰락한 후에도 또 다른 프랑스계 가문인 플랜태저넷 왕조가 들어서게 되어 이들이 백성들의 언어인 앵글로색슨어를 구사할 때 자신들의 모어인 프랑스어 단어를 대거 차용하여 쓰고, 또한 잉글랜드의 백성들 역시 프랑스계 상류층의 어휘를 배워 쓰면서 프랑스어 단어가 대량으로 영어의 어휘에 편입되었다.
더 자세하게 들어가면, 사실 노르만 왕조는 앵글로색슨족 백성들이 그들의 언어인 고대 영어를 쓰건 자신들의 언어인 변형 프랑스어(노르만어)를 쓰건 별로 신경 쓰지 않았다. 따라서 정작 노르만 왕조 시기에는 프랑스어가 영어에 끼친 영향이 그리 많지 않았다.영어가 프랑스어의 강력한 영향을 받게 된 시기는 오히려 노르만 왕조의 바로 다음 왕조인 프랑스 앙주 지방에서 기원한 플랜태저넷 왕조의 지배 시기[34]였다. 플랜태저넷 왕조가 앵글로색슨족 백성들에게 공식 문서 언어로 프랑스어를 쓸 것을 강요하면서, 하층민이었던 앵글로색슨족 백성들은 이를 따를 수밖에 없었다.
이로 인해 수백 년간 중세 영어는 공식 언어가 아닌 피지배 민족의 하층민 언어로 전락했었다. 그래서 고급 어휘는 프랑스어의 영향을 받았다.
백년전쟁을 전후해 '잉글랜드'라는 국가 의식이 떠오르기 이전까지 많은 잉글랜드의 지도자들과 지식인들은 자기들끼리 영어가 아닌 변형 프랑스어인 앵글로-노르만어로 의사소통하고 명령을 내리는 경우가 많았고, 당연히 이들의 지시를 따르거나 수발을 들어야 하는 앵글로색슨족 백성들도 이들의 언어를 배울 수밖에 없었다.
또한 프랑스 앙주 지방에서 기원한 프랑스계 왕조였던 플랜태저넷은 프랑스어를 유일한 공식적인 문서 언어와 사무 언어로 지정해 당시 중세 영어를 모어로 쓰던 하층민 앵글로색슨 백성들에게 이를 강요했다. 플랜태저넷이 잉글랜드 왕국을 지배하던 중세 시대에는 명령문 하나 잘못 읽어서 따르지 않으면 교수형에 처해질 수도 있는 생사가 걸린 문제였다.
따라서 오늘날 영어 어휘의 약 40%는 프랑스어에서 유래하였다. 이후 근대 영어(Early Modern English) 시기에 르네상스의 전파가 프랑스를 통해 이뤄졌고, 또 그 이후에는 근대 과학-기술 분야와 외교 분야, 스포츠 분야, 그리고 인문학 분야에서의 프랑스어의 영향력이 강했기 때문에 프랑스어는 지속적으로 영어의 어휘 체계에 영향을 미쳐왔다. 때문에 영어는 로망스어 어휘가 가장 광범위하게 많이 쓰이는 게르만어가 되었다.[35]
그래서 오늘날의 영어의 초급 어휘는 독일어, 네덜란드어, 덴마크어 등과 비슷한 단어가 많고 프리지아어는 아예 영어를 제법 할 줄 알면 초급 어휘들로 작성된 아주 간단한 문장은 대충 이해할 수 있는 수준까지 되지만, 중급 어휘가 활용된 문장들에서부터는 해당 언어들과 아예 통하지가 않는다.
오히려 중급 이상의 어휘들에서는 영어 화자가 프랑스어를 읽어도 핵심 어휘들을 대충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프랑스어와 철자와 활용형이 아예 같거나 매우 유사한 어휘의 비율이 압도적이다. 영어에서 난이도가 높은 어휘[36]나, 인문학이나 스포츠, 과학 기술, 요리[37] 등 특정 분야들에서 사용하는 전문 용어들 중 많은 수가 프랑스어에서 나온 것이라 쳐도 과장이 아닐 정도. 다음은 그 예시.
(프랑스어)
Bien au contraire ! Car si tu persistes à garder le silence dans les circonstances présentes, le salut et la délivrance viendront d'ailleurs pour les Juifs, mais toi et ta famille, vous périrez.
(영어)
Quite the contrary[38]! For if you persist[39] in keeping silence in the present circumstances[40], salvation and deliverance[41] will come from elsewhere for the Jews, but both you and your family[42] will perish.[43]
(독일어)
Ganz im Gegenteil! Denn wenn du weiterhin in den gegenwärtigen Umständen schweigst, wird es von anderswo her Rettung und Erlösung für die Juden kommen, aber du und deine Familie werdet alle umkommen.
(네덜란드어)
Integendeel! Want als jij in de tegenwoordige omstandigheden blijft zwijgen, zal er voor de Judeeërs wel ergens anders vandaan redding en verlossing komen, maar jij en je familie zullen allemaal omkomen.
(한국어)
이런 때에 왕후께서 끝내 입을 다물고 있으면, 다른 데서라도 구원의 손길이 와서 유다인들 앞에 살길이 열릴 것이오. 그렇게 되면 왕후는 일가친척들과 함께 망할 줄 아시오.
구약성서 에스델 4장 14절
물론 고대 독일어에 북유럽어 문법을 덧씌운 영어[44]와 프랑스어의 문법적 차이가 큰 것은 지극히 당연하다. 마냥 똑같지는 않다는 것이다.Bien au contraire ! Car si tu persistes à garder le silence dans les circonstances présentes, le salut et la délivrance viendront d'ailleurs pour les Juifs, mais toi et ta famille, vous périrez.
(영어)
Quite the contrary[38]! For if you persist[39] in keeping silence in the present circumstances[40], salvation and deliverance[41] will come from elsewhere for the Jews, but both you and your family[42] will perish.[43]
(독일어)
Ganz im Gegenteil! Denn wenn du weiterhin in den gegenwärtigen Umständen schweigst, wird es von anderswo her Rettung und Erlösung für die Juden kommen, aber du und deine Familie werdet alle umkommen.
(네덜란드어)
Integendeel! Want als jij in de tegenwoordige omstandigheden blijft zwijgen, zal er voor de Judeeërs wel ergens anders vandaan redding en verlossing komen, maar jij en je familie zullen allemaal omkomen.
(한국어)
이런 때에 왕후께서 끝내 입을 다물고 있으면, 다른 데서라도 구원의 손길이 와서 유다인들 앞에 살길이 열릴 것이오. 그렇게 되면 왕후는 일가친척들과 함께 망할 줄 아시오.
구약성서 에스델 4장 14절
그러나 그와 별개로 문체의 유사성 덕분에 영어로의 번역성은 프랑스어가 오히려 게르만 계열 언어들보다 낫다. 구글 번역기로 돌려도 가장 깔끔하게 나온다.
이는 순수한 게르만어였던 고대 영어가 노르만 정복 이후 프랑스계 상류층에 의해 프랑스식 문체로 재구성되는 과정을 거쳤기 때문이다.
실제로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문학 작품이나 킹 제임스 성경에서 보이는 근대 영어(Early Modern English)의 전치사 동반 간접 목적어 어순은 오늘날의 영어와 비교하면 이해할 수 없는 혼돈의 도가니탕인데, 바로 프랑스어식이기 때문이다. 시제도 프랑스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철자 및 발음상 영향도 있다. 예컨대, 고대 프랑스어의 ch 발음은 /tʃ/였기 때문에 이때 노르만인들을 통해 중세 영어에 유입된 프랑스계 단어들 역시 ch가 /tʃ/로 발음되었고 프랑스 본토에선 중기 프랑스어로 접어들면서 이것이 /ʃ/로 바뀐 반면, 일찍이 영어로 유입된 노르만-프랑스계 단어들은 이런 변화를 거치지 않아 여전히 ch가 /tʃ/로 발음되는 것이다. 물론 라틴어, 그리스어 등 비프랑스어 어휘들과 중세 이후 유입된 프랑스어 어휘 등은 해당 없는 얘기다. 이에 맞춰 고대 영어의 구개음화된 c/tʃ/ 역시 중세 영어에선 ch 표기로 개정되었다.
j도 다른 게르만어파 언어에서는 /j/ 발음이지만, 고대 프랑스어에서 j가 /dʒ/로 발음되었기 때문에 영어에서도 j를 /dʒ/ 음가 표기에 썼고, 대신 게르만계 어휘의 /j/는 g의 아일랜드식 서체에서 유래한 Ȝ(요흐, yogh)를 이용해 표기하다가 이후 y로 적는다. 또, /k/ 발음의 c는 로망스어군에서 자주 쓰이고 게르만어파 언어에서 잘 안 쓰이는 반면에, 영어에서는 자주 쓰인다. 고유어인 고대 영어(앵글어) 및 아일랜드어(게일어)와 외래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프랑스어+라틴어(+ 라틴어화를 거쳐 유입된 그리스어) 모두 /k/ 발음을 표기하는 데 c를 선호했기 때문이다.
4. 역사
최초의 프랑스어 사용례이자 프랑스어 문헌으로 손꼽히는 것은 842년 2월 14일 작성된 스트라스부르 서약이 유명하다. 당시 서프랑크 왕국과 동프랑크 왕국은 연합하여 중프랑크 왕국의 로타리우스 1세를 협공했다.그는 아버지인 경건왕 루트비히가 죽은 뒤 프랑크 왕국 전체를 통틀어 자신을 왕국의 왕으로 선언하는 과실을 저지른다. 이에 서프랑크와 동프랑크가 협공해 841년 7월 25일 퐁트느와 전투에서 로타리우스 1세는 패하여 아헨으로 피신하고, 둘은 스트라스부르에서 동맹 맹약을 맺었고 이를 그 자리에서 문서화한 것이 바로 스트라스부르 서약이다.
당시 서약은 서류상 내용은 라틴어로 적혀 있고, 두 왕이 선서한 내용만은 각 왕들의 말을 라틴어 번역 없이 그대로 옮겼다. 카를 2세의 말은 고대 프랑스어로, 루트비히 2세의 말은 고지 독일어로 작성되어 문헌적 가치가 상상을 초월한다. 두 언어가 어떻게 파생되어 변형되었는지를 살펴볼 때, 바로 그 초기 원형을 보여주는 귀중한 사료이기 때문이다.[45]
서류는 카를 2세의 친척이자 샤를마뉴의 외손자인 니타르트 후작이 자필로 작성했는데, 그는 최초로 프랑스어를 사용(기록)한 자라는 칭호를 갖고 있다. 니타르트는 후에 카를 2세의 상속과 관련된 서류 등을 기록으로 남긴다.
언어학에서 프랑스에게 붙여준 별명 중 하나인 방언의 왕국이 증명하듯, 16세기까지인 중기 프랑스어까지만 해도 표준어가 없이 수많은 방언이 각지에서 사용되고 있었다. 대표적으로 사용되던 언어는 수도가 위치한 파리 등지의 방언인 프랑시앵어(francien)였고, 왕궁에 드나드는 귀족이나 귀족에 소속된 문장관들은 모두 프랑시앵어를 사용할 줄 알았다.
그럼에도 당시 문학이 주로 생산되던 곳은 교회였기에, 라틴어 자료들이 여전히 월등히 많았고, 백성들을 위해 알기 쉬운 고대 프랑스어로 창작된 몇 개의 성가극이나 <롤랑의 노래>처럼 구전되던 옛 전설을 기록한 작품들, 크레티앵 드트루아의 아서왕 연작 등의 자료는 그에 비하면 소수에 불과했다.
그러다가, 13세기 프랑스 남부의 카타리파를 진압하면서 발루아 왕조는 봉건 영주 통합의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이에 프랑수아 1세는 빌레르-코트레 칙령(L'ordonnance de Villers-Cotterêts)을 발표해 공적인 자리에서의 모든 방언 사용을 금지해 버린다.
봉건 영주들이 각 지방어 사용을 자제하게 되면서 프랑시앵어가 지방 귀족을 중심으로 빠르게 퍼지기 시작했고, 이때부터 16세기까지를 중기 프랑스어의 시대로 규정한다. 이때부터 프랑스어의 표준어라는 개념이 확립되었다.
이 시기동안 생산된 문헌 사료의 양은 이탈리아나 다른 유럽 국가들처럼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방대한데, 당시 유럽 국가들처럼 프랑스 역시 사람들의 모든 사회 활동과 행정적 업무를 문서로 남겼기 때문이다.
특히 문학에 있어서는 라틴어에서 본격적으로 독립하기 시작하기는 했지만서도 여러 변형이 아직 정리되지 못하기도 했으며 작가들이 자기네 지방에서 사용하던 용어를 작품에 올리면서 해석이 막히는 경우 등 아직 혼란한 상황이 연출되고 있었다.
그러다가 대재상 리슐리외의 전적인 후원 아래 아카데미 프랑세즈가 설립되었다. 이 시기 현대 프랑스어가 완성되기도 했다. 당시 중앙 집권을 강화하던 루이 14세에게 언어의 통합만큼 중요한 것이 없다고 강조했고, 왕의 지원으로 아카데미 프랑세즈의 사전 편찬은 날개를 달았다.
당시 사전에 수록할 표준 어휘와 백성들에게 가르칠 표준 문법을 정리했는데, 표준 어휘를 정하는 기준은 특별한 게 없고 당시 회원들의 토론으로 결정했다고 한다. 당시 회원 대부분은 귀족 신분이었던 탓에 지방 백성들이 쓰던 표현들은 당연히 거들떠보지도 않았다.
사전을 만드는 작업 자체도 품이 많이 드는 탓에 여러 재정난을 이유로 몇 번 중단되기도 했고, 한 회원은 리슐리외가 하도 닦달하는 탓에 제대로 검수도 하지 못하고 사전을 냈다고 회상했다.
언어적으로는 줏대 없는 가위질에 문법이 잘려나갔지만, 문학적으로는 가장 풍성한 시기였다. 시인 롱사르를 필두로 플레이아드파가 결성되었고 이들은 고전 문법인 알렉상드랭을 부활시켰다.
모차르트가 그랬던 것처럼 그리스 고전과 라틴어 문학에서 벗어나 프랑스어의 고급화, 문예화를 꿈꿨던 그들은 12격 음율인 알렉상드랭[46]을 다시 사용해 적극적으로 작품을 만들었다.
아카데미와 반대로 이들은 프랑스어는 물론 각종 지방어, 이탈리아어, 라틴어 등에서 어휘를 적극 차용해 문학적 언어로서 프랑스어를 더욱 풍부하게 했다. 알렉상드랭은 이후 희곡작가들에게 적극적으로 사용되게 이르는데, 프랑스 3대 대작가로 꼽히는 피에르 코르네유, 장 라신, 몰리에르가 적극 사용했다.
5. 문자
복사용 문자는 언어별 확장 라틴 문자 목록 참고 |
q는 라틴어의 영향으로 많이 쓰이는 데다가 어말의 /k/를 나타내는데 que가 많이 쓰이고, coq(수탉), cinq(5)처럼 어말의 q가 단독으로 오는 경우도 있다. x 역시 -aux, -eux, -oux 꼴로 많이 쓰인다.
프랑스어는 음운 변화에 따른 정서법 개혁에 적극적이지 않아 철자와 발음의 이질성이 큰 편이다. 정서법이 아예 안 바뀐 건 아니여서 이질성 끝판왕인 영어보다는 낫다. 고어 표기와 현대어 표기에 여러 가지 차이가 있긴 하다.
5.1. 기본 문자
문자 (대문자/소문자) | 명칭 | 발음 |
A a | 아(a) | /ɑ/ |
B b | 베(bé) | /b/ |
C c | 세(se) | /k/, /s/ |
D d | 데(dé) | /d/ |
E e | 으(e)[49] | /e/, /ə/, /ɛ/, 묵음 |
F f | 에프(effe) | /f/ |
G g | 제(gé) | /g/, /ʒ/ |
H h | 아슈(ache) | 묵음 |
I i | 이(i) | /i/, /j/[A] |
J j | 지(ji) | /ʒ/ |
K k | 카(ka) | /k/ |
L l | 엘(elle) | /l/ |
M m | 엠(emme, /ɛm/) | /m/ |
N n | 엔(enne, /ɛn/) | /n/ |
O o | 오(o) | /o/, /ɔ/ |
P p | 페(pé) | /p/ |
Q q | 퀴(ku) | /k/ |
R r | 에르(erre) | /ʁ/ |
S s | 에스(esse) | /s/ |
T t | 테(té) | /t/ |
U u | 위(u) | /y/, /ɥ/[A] |
V v | 베(vé) | /v/ |
W w | 두블 베(double vé) | /w/,/v/ |
X x | 익스(ix) | /ks/, /gz/, /s/, /z/ |
Y y | 이 그레크(i grec) | /j/ |
Z z | 제드(zède) | /z/ |
5.2. 다중 문자 및 확장 문자
5.2.1. 모음
- à - /a/
- â - /ɑ/
- aen - /ɑ̃/
- ai - /ɛ/
- ain - /ɛ̃/
- am - /ɑ̃/
- an - /ɑ̃/
- aon - /ɑ̃/
- aou - /u/
- aoù - /u/
- au - /o/
- é - /e/
- è - /ɛ/
- ê - /e/
- ë - /e/
- eau - /o/
- ei - /ɛ/
- en - /ɑ̃/
- eu - /ø/
- eû - /ø/
- î - /i/
- ï - /i/
- ien - /ɛ̃/
- il - /j/
- ill - /j/
- im - /ɛ̃/
- in - /ɛ̃/
- œ - /œ/
- œu - /œ/
- ô - /o/
- oi - /wa/
- oy - /waj/
- oin - /wɛ̃/
- oû - /u/
- ou - /u/
- où - /u/
- om - /ɔ̃/
- on - /ɔ̃/
- um - /œ̃/
- un - /œ̃/
5.2.2. 자음
- ç - /s/
- ch - /ʃ/
- dj - /d͡ʒ/
- gn - /ɲ/
- gu - /g/
- ph - /f/
- qu - /k/
- tch - /t͡ʃ/
- th - /t/[52]
6. 음소
자세한 내용은 프랑스어/발음 문서 참고하십시오.6.1. 자음
양순 | 순치 | 치경 | 후치경 | 치경구개 | 경구개 | 연구개 | 구개수 |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
<colbgcolor=white,#1f2023> 비 | m | n | ȵ | |||||||||||||
파열 | p | b | t | d | k | ɡ | ||||||||||
파찰 | t͡ʃ | d͡ʒ | ||||||||||||||
마찰 | f | v | s | z | ʃ | ʒ | ʁ | |||||||||
접근 | j | |||||||||||||||
[ruby(접근, ruby=설측)] | l | |||||||||||||||
[ruby(연구개, ruby=양순)] | [ruby(경구개, ruby=양순)] | |||||||||||||||
무 | 유 | 무 | 유 | |||||||||||||
접근 | w | ɥ |
6.2. 모음
전설 | 중설 | 후설 | ||||
U | R | U | R | U | R | |
<colbgcolor=white,#1f2023> 고 | i | y | u | |||
중고 | e | ø | o | |||
중 | ə | |||||
중저 | ɛ / ɛ̃ | œ / œ̃ | ɔ / ɔ̃ | |||
근저 | ɐ | |||||
저 | a | ɑ / ɑ̃ |
7. 문법
자세한 내용은 프랑스어/문법 문서 참고하십시오.8. 방언
프랑스어 방언 관련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프랑스의 지방어 및 방언 관련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표준 프랑스어 | ||||
프랑스의 지방어 모음[53] | ||||
프랑스어(프랑스)의 방언 모음[54] | ||||
옥시타니 지역 억양 |
벨기에 프랑스어권 지방어 및 방언 관련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표준 벨기에 프랑스어 | ||||
왈롱 지역 지방어[55] | ||||
브뤼셀 방언(프랑스어)[56] |
기타 프랑스어 방언 관련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퀘벡 프랑스어 | ||||
스위스 프랑스어 | ||||
코트디부아르 프랑스어 |
}}} ||
프랑스의 지방어 지도 |
왈롱의 지방어 지도 |
지방어 들어보기(프랑스 본토, 외부 영토/국외, 벨기에)
프랑스어의 방언은 지방어와 프랑스어(오일어)에서 파생된 각 지방의 방언 그리고 벨기에, 캐나다, 스위스, 아프리카 국가의 방언과 그 국가의 각 지방에서 쓰이는 방언 등으로 나누어진다.
물론 영어나 스페인어가 그렇듯이 나라 혹은 지역마다 발음과 어휘상 약간의 차이가 있다. 예를 들자면 weekend(주말), parking(주차) 등 영어 단어를 많이 사용하는 프랑스의 프랑스어와는 달리 캐나다 프랑스어는 좀 더 보수적인 입장을 취한다. 그래서 주말을 weekend라 하지 않고 fin-de-semaine[57]이라는 단어를 쓴다.[58]
Stop(정지)도 캐나다에서는 Arrêt[59]으로 표현한다. 그래서 캐나다 퀘벡과 뉴브런즈윅에서는 Stop이 아닌 Arrêt 표지판만 보인다. 캐나다 프랑스어의 발음은 미국인이 영어식으로 프랑스어를 하는 발음처럼 들리기도 한다. 프랑스어 특유의 혀끝에 힘이 들어가는 악센트가 본토 프랑스어보다는 약하다.
또 요상하게도 프랑스에서는 70을 soixante-dix라고 하는데, 직역하자면 60+10이라는 뜻이다. 이는 고대 프랑스어의 태동기에 로마인의 10진법 숫자를 갈리아인의 60진법으로 표기한 것이 그대로 남았기 때문이다.
그래도 80을 60+20이라고까지 표기하기는 난감했는지 quatre-vingts, 그러니까 직역하면 4 곱하기 20이라는 요상한 표현을 쓰고 90은 80을 표기하는 방식을 동일하게 적용해서 quatre-vingt-dix라고 쓴다. 그러니까 4×20+10이다. [60]
다만 스위스 프랑스어와 벨기에 프랑스어권은 역사적으로 게르만족(저지 프랑크, 알레만)이 갈리아인(벨가이, 헬베티)을 배제한 권역이라 다른 표현을 쓴다. 스위스 프랑스어 한정으로 80을 huitante, 스위스 프랑스어와 벨기에 프랑스어에서는 70을 septante, 90을 nonante라고 한다.[61]
캐나다 프랑스어에서도 아카디아 프랑스어 한정으로 70(septante), 80(huitante), 90(nonante)로 쓴다. 다만 표준 퀘벡 프랑스어에서는 그런 거 없다.
한편 중세 영어에서도 이 방식이 존재했는데 오늘날은 거의 쓰이지 않지만 score가 20을 뜻하는 데에 그 흔적이 남아있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노르만 왕조 시기 영어 숫자를 보면 80은 four score, 87은 four score and seven, 90은 four score and ten, 100은 five score 식으로 셌다. 당시 스포츠가 보통 20점 내기였던 탓에 스코어는 점수라는 뜻이 되고 말았다. 오늘날 프랑스어와 같은 방식이다. 아프리카 프랑스어들도 악센트가 있지만 캐나다만큼 심하지는 않다.[62]
위는 말 그대로 조금 억양 정도가 다를 뿐이지만, 프랑스 본토의 로망스어군 방언 연속체에는 수많은 방언들이 속하는데, 이들 중에는 표준 본토 프랑스어와는 매우 달라 언어학적으로 별개의 언어로 취급되는 언어가 많다. 그러나 프랑스 정부가 과거부터 이를 표준화하려고 밀어붙이고 있어 언어들이 사라져 가고 있다. 자세한 것은 프랑스의 지방 언어 문제 문서 참조.
미국에서도 프랑스어를 쓰는 공동체의 경우에는 루이지애나 프랑스어, 미주리 프랑스어 등 프랑스 본토의 표준 프랑스어와는 다른 방언을 쓸 때가 있다. 그러다보니 본토 프랑스어와는 차이점이 매우 크다.#
그리고 아프리카에서도 쓰이는 프랑스어의 경우에는 아프리카 쪽 억양에 영향을 받거나 아프리카 쪽의 토착어에서 유래된 어휘를 쓸 때가 많다. 심지어는 북아프리카의 프랑스어 국가들에서는 아랍어 어휘를 그대로 쓰는 경우도 많다.
9. 기본 회화
발음 설명은 생략한다.(낮에 만났을 때) 안녕하세요. | <colbgcolor=#ffffff,#1f2023>Bonjour. 봉주르.[63] |
(낮에 헤어질 때) 안녕히 가세요. / 좋은 하루 되세요. | Bonne journée. 본 주르네.[64] |
(저녁에 만났을 때) 안녕하세요. / 좋은 저녁/밤입니다. | Bonsoir. 봉수아르.[65] |
(저녁에 헤어질 때) 안녕히 가세요. / 좋은 저녁(밤) 되세요. | Bonne soirée. 본 수아레.[66] |
좋은 밤 되세요. | Bonne nuit. 본 뉘이.[67] |
안녕. | Salut. 살뤼.[68] |
잘 가. | Ciao. 차오.[69] |
여러분, 안녕하세요. | Bonjour à tous. 봉주르 아 투스.[70] |
자, 잘 시간이에요. | Allez, au lit. 알레, 오 리. |
나는 자기 싫어요. | Je ne veux pas dormir. 주 느 뵈 파 도르미르. |
저는 피곤합니다. | Je suis fatigué(e). 주 쉬이 파티게. |
잘 자요. | Bonne nuit. 본 뉘이. |
안녕히 주무세요. | Dormez bien. 도르메 비앵.[71] |
좋은 꿈 꿔. | Fais de beaux rêves. 페 드 보 레브. |
좋은 꿈 꾸세요. | Faites de beaux rêves. 페트 드 보 레브. |
오늘이 무슨 요일이죠? | Quel jour sommes-nous? 켈 주르 솜누? |
지금 몇 시죠? | Il est quelle heure? 일 에 켈 외르? |
일어날 시간입니다! | C'est l'heure de te lever! 세 뢰르 드 트 르베! |
나 좀 자게 내버려 둬. | Laisse-moi dormir. 레스무아 도르미르. |
일어나! 이러다가 늦겠어! | Réveille-toi! Tu vas être en retard. 레베유 투아! 튀 바 제트르 앙 르타르. |
예(응). | Oui. 우이.[72] |
아니요(아니). | Non. 농. |
반갑습니다(반가워). | Enchanté/Enchantée. 앙샹테.[73] |
만나서 반갑습니다. | Enchanté(e) de vous rencontrer. 앙샹테 드 부 랑콩트레. |
오랜만입니다(오랜만이야). | Ça fait longtemps. 사 페 롱탕. |
요즘 어떻게 지냈어요? | Que faites-vous ces derniers temps? 크 페트부 세 데르니에 탕? |
어떻게 지내세요? | Comment allez-vous? 코망 탈레부?[74] |
무슨 일 있어요? | Qu'est-ce qu'il y a? 케스 킬 리 아? |
어디 안 좋아요? | Ça ne va pas? 사 느 바 파? |
주말 어떻게 보냈어요? | Qu'avez-vous fait ce week-end? 카베부 페 스 위켄드? |
잘 지내? | Ça va? 사바?[75] |
잘 지내. | Ça va. 사 바.[76] |
항상 좋아요. | Bien comme toujours. 비앙 콤 투주르. |
그럭저럭 지내. | Pas mal. 파 말.[77] |
오늘은 기분이 별로예요. | Je ne suis pas de bonne humeur aujourd'hui. 주 느 쉬이 파 드 본 위뫼르 오주르뒤이. |
(그 일) 잘되어 가고 있어요? | Ça marche? 사 마르슈? |
(그 일) 어떻게 되어가고 있어요? | Comment ça marche? 코망 사 마르슈? |
잘 가요. / 안녕히 가세요.(헤어질 때) | Au revoir. 오 르부아르.[78] |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 Bon week-end. 봉 위켄드. |
내일 봐요. | À demain. 아 드맹. |
연락하고 지냅시다. | Restons en contact. 레스통 앙 콩탁트. |
명함 한 장 주시겠어요? | Pourrais-je avoir votre carte de visite? 푸레주 아부아르 보트르 카르트 드 비지트? |
여기 제 명함입니다. | Voici ma carte. 부아시 마 카르트. |
너 어디 살아? | Tu habites où? 튀 아비트 우? |
저는 □□에 삽니다. | J'habite à □□□ 자비트 아 □□□. |
파리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 Bienvenue à Paris. 비앵브뉘 아 빠히. |
모두 환영합니다. | Bienvenue à tous. 비앵브뉘 아 투스. |
제 집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 Bienvenue chez moi. 비앵브뉘 셰 무아. |
저희 집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 Bienvenue chez nous. 비앵브뉘 셰 누.[79] |
실례합니다. | Excusez-moi. 엑스퀴제무아. / Pardon. 파르동. |
저기요.(상대방이 남자일 경우 부를 때) | Monsieur. 므시외.[80] |
저기요.(상대방이 기혼 여자일 경우 부를 때) | Madame. 마담. |
저기요.(상대방이 미혼 여자일 경우 부를 때) | Mademoiselle. 마드무아젤.[81] |
우리 아버지. | Mon père. 몽 페르.[82] |
당신의 이름은 무엇입니까? | Comment vous appelez-vous? 코망 부 자플레부?[83] |
당신의 이름은 무엇입니까?(공적인 상황) | Quel est votre nom? 켈 에 보트르 농? |
내 이름은 □□입니다. | Je m'appelle □□. 주 마펠 □□.[84] |
내 이름은 □□입니다.(편한 상황에서) | Moi c'est □□. 무아 세 □□.[85] |
내 성은 '부르봉'이고 이름은 '루이'입니다. | Mon nom de famille est 'Bourbon', et mon prénom est 'Louis'. 몽 농 드 파미유 에 '부르봉', 에 몽 프레농 에 '루이'. |
당신 이름의 철자가 어떻게 됩니까? | Pourriez-vous épeler votre nom? 푸리에부 에플레 보트르 농? |
당신의 직업은 무엇입니까? | Qu'est-ce que vous faites dans la vie? 케스 크 부 페트 당 라 비?[86] |
나는 파리 은행에서 일하고 있어요. | Je travaille à la banque de Paris. 주 트라바유 아 라 방크 드 빠히. |
나는 리옹 3대학 학생입니다. | Je suis étudiant/étudiante à l'Université Lyon 3. 주 쉬이 제튀디앙/제튀디앙트 아 뤼니베르시테 리옹 트루아.[87] |
나는 선생입니다. | Je suis professeur. 주 쉬이 프로페쇠르.[88] |
당신은 어디에서 왔습니까? | D'où venez-vous? 두 브네부? |
나는 한국인입니다. | Je suis Coréen/Coréenne. 주 쉬이 꼬레앙/꼬레엔.[89] |
나는 프랑스인입니다. | Je suis français/française. 주 쉬이 프항세/프항세즈. |
너 한국인이야? | Tu es Coréen/Coréene? 튀 에 꼬레앙/꼬레엔? |
너는 어디서 왔어? | Tu es d'où? 튀 에 두? |
저는 파리에서 왔습니다. | Je suis de Paris 주 쉬이 드 빠히. |
그는 어디에서 왔습니까? | Il est d'où? 일 레 두? |
그는 마르세유에서 왔습니다. | Il est de Marseille. 일 레 드 마르세유. |
그녀는 어디에서 왔습니까? | Elle est d'où? 엘 레 두? |
그녀는 베를린에서 왔습니다. | Elle est de Berlin. 엘 레 드 베를랭. |
저는 독신입니다. | Je suis célibataire. 주 쉬이 셀리바테르. |
저는 혼자 삽니다. | J'habite seul(e). 자비트 쇨. |
감사합니다. | Merci. 메흐시.[90] |
천만에요. | De rien. 드 리앵.[91] |
과찬이십니다. | Vous me flattez. 부 므 플라테. |
미안합니다. | Je suis désolé/désolée. 주 쉬이 데졸레.[92] |
괜찮습니다.(사과에 대한 응답) | Ce n'est pas grave. 스 네 파 그라브.[93] |
당신의 사과를 받아들이겠습니다. | J'accepte vos excuses. 작셉트 보 젝스퀴즈. |
뭐라고요?(잘 알아듣지 못할 때) | Pardon? 파르동? / Comment? 코망? |
한 번 더 말해주시겠어요? | Pouvez-vous répéter encore une fois? 푸베부 레페테 앙코르 윈 푸아? |
좀 더 천천히 말해 주세요. | Parlez plus lentement, s'il vous plaît. 파를레 플뤼 랑트망, 실 부 플레. |
좀 더 크게 말해 주세요. | Parlez plus fort, s'il vous plaît. 파를레 플뤼 포르, 실 부 플레. |
죄송합니다.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 Pardon, je n'ai pas compris. 파르동, 주 네 파 콩프리. |
실례합니다. 잠시 지나가도 될까요? | Pardon, puis-je passer? 파르동, 퓌이주 파세? |
당신은 프랑스어를 할 줄 아십니까? | Vous parlez Français? 부 파르레 프랑세? |
네, 저는 프랑스어를 할 줄 압니다. | Oui, je parle Français. 우이, 주 파를 프랑세. |
당신은 한국어를 할 줄 아십니까? | Vous parlez Coréen? 부 파를레 코레앙? |
아니오, 저는 중국어를 할 줄 모릅니다. | Non, je ne parle pas Chinois. 농, 주 느 파를 파 시누아. |
예, 약간 할 줄 압니다. | Oui, un peu. 우이, 욍 푀. |
여기가 어디입니까? | Où sommes-nous? 우 솜누? |
길을 잃은 것 같아요. | Je crois que je me suis perdu(e). 주 크루아 크 주 므 쉬이 페르뒤. |
지금 여기가 지도상 어디죠? | Où sommes-nous sur la carte? 우 솜누 쉬르 라 카르트? |
에펠탑은 어디에 있습니까? | Où est la tour Eiffel? 우 에 라 투르 에펠? |
오른쪽으로 도세요. | Tournez à droite. 투르네 아 드루아트. |
왼쪽으로 도세요. | Tournez à gauche. 투르네 아 고슈. |
직진하세요. | Allez tout droite. 알레 투 드루아트. |
누구? | Qui? 키? |
뭐라고요? | Quoi? 쿠아? |
얼마라고요? | Combien? 콩비앵? |
조용히 하세요! | Silence! 실랑스! |
입 닥쳐! | Ta gueule! 타 괼![94] |
(친한 남자에게) 너 오늘 멋지네. | T'es beau aujourd'hui. 테 보 오주르뒤이. |
(친한 여자에게) 너 오늘 아름답네. | T'es belle aujourd'hui. 테 벨 오주르뒤이.[95] |
배고프세요? | As-tu faim? 아튀 팽?[96] |
배고파요. | J'ai faim. 제 팽. |
밥 먹자! | À table! 아 타블! |
우리 뭐 먹지? | Qu'est-ce qu'on mange? 케스 콩 망주? |
맛있게 드세요. | Bon appétit. 보 나페티. |
맛있어 보여요. | Ça a l'air bon. 사 아 레르 봉. |
맛있어요. | C'est bon. 세 봉.[97] |
정말 맛있어요. | C'est délicieux. 세 델리시외. |
식사 다 하셨어요? | As-tu fini de manger? 아튀 피니 드 망제?[98] |
건배! | À votre santé! 아 보트르 상테![99] |
축하해요! | Félicitations! 펠리시타시옹![100] |
결혼 축하해요! | (Toutes mes) félicitations pour votre mariage! (투트 메) 펠리시타시옹 푸르 보트르 마리아주! |
메리 크리스마스! | Joyeux Noël! 주아이외 노엘! |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Bonne année! 본 아네! |
즐거운 부활절 되세요! | Joyeuses Pâques! 주아이외즈 파크! |
즐거운 여행 되시길! | Bon voyage! 봉 부아야주! |
생일 축하합니다! | Bon anniversaire! 본 아니베르세르! |
당신의 생일은 언제입니까? | Quand est votre anniversaire? 캉 에 보트르 아니베르세르?[101] |
당신은 남자친구가 있나요? | Avez-vous un petit ami? 아베부 욍 프티 타미? |
당신은 여자친구가 있나요? | Avez-vous une petite amie? 아베부 윈 프티트 아미? |
난 너에게 반했어. | Je craque pour toi. 주 크라크 푸르 투아. |
널 좋아해. / 당신을 좋아합니다. | Je t'aime. 주 템. / Je vous aime. 주 부 젬. |
넌 내 이상형이야. | Tu es mon idéal. 튀 에 모 니데알. |
우리는 함께입니다. | On est ensemble. 오 네 탕상블. |
나와 결혼해 줄래? | Veux-tu m'épouser? 뵈튀 메푸제? |
내 아내가 돼 줄래? | Est-ce que tu veux devenir ma femme? 에스 크 튀 뵈 드브니르 마 팜? |
우리 헤어지자. | Séparons-nous. 세파롱누. |
우리는 끝이야. | C'est fini entre nous. 세 피니 앙트르 누. |
널 다시 만나지 말았어야 했는데. | J'aurais souhaité ne jamais te rencontrer. 조레 수에테 느 자메 트 랑콩트레.[102] |
분실물 센터가 어디에 있나요? | Où est le bureau des objets trouvés? 우 에 르 뷔로 데 조브제 트루베? |
분실 신고를 하려고 합니다. | Je voudrais faire une déclaration de perte. 주 부드레 페르 윈 데클라라시옹 드 페르트. |
잃어버린 물건이 무엇인가요? | Qu'est-ce que vous avez perdu? 케스 크 부 자베 페르뒤? |
조심하세요. | Fais attention 페 아떵씨옹. |
도둑이야! | Au voleur! 오 볼뢰르! |
살려주세요! | Au secours! 오 쓰꾸르! |
기다리세요. | Attendez. 아땅데. |
저리 비키세요! | Allez-vous en! 알레 부 장! |
여기 사람이 쓰러졌어요! 도와주세요!! | Un homme s'est évanoui! Au secours! 욍 옴 세 테바누이! 오 스쿠르! |
피가 멈추질 않아요. | Il n'arrête pas de saigner. 일 나레트 파 드 세녜. |
빨리 대피하세요! | Mettez-vous vite à l'abri! 메테부 비트 아 라브리! |
불이야! | Au feu! 오 푀! |
욕실이 어디에 있나요? | Où est la salle de bain? 우 에 라 살 드 뱅? |
목욕하려고 해요. | Je vais prendre un bain. 주 베 프랑드르 욍 뱅. |
화장실이 어디에 있나요? | Où sont les toilettes? 우 송 레 투알레트? |
오늘 날씨는 어때요? | Quel temps fait-il aujourd'hui? 켈 탕 페틸 오주르뒤이? |
그곳 날씨는 어때요? | Quel temps fait-il là-bas? 켈 탕 페틸 라바? |
내일 날씨는 어떨까요? | Quel temps fera-t-il demain? 켈 탕 프라틸 드맹? |
오늘 날씨가 맑아요. | Il fait clair. 일 페 클레르. |
오늘은 날이 흐려졌어요. | Le ciel se couvre. 르 시엘 스 쿠브르. |
비가 올 것 같아요. | Le temps est à la pluie. 르 탕 에 아 라 플뤼이. |
여보세요. | Allô. 알로. |
당신은 누구세요? | Qui est à l'appareil? 키 에 아 라파레유? |
'이' 선생님과 통화할 수 있을까요? | Pourrais-je parler à Monsieur 'Yi', s'il vous plaît? 푸레주 파를레 아 므시외 '이', 실 부 플레? |
기다려 주시겠어요? | Voulez-vous patienter? 불레부 파시앙테? |
들리세요?(전화) | Vous m'entendez? 부 망탕데? |
잘 안 들려요.(전화받을 때) | Je vous entends mal. 주 부 장탕 말. |
전화 끊지 마세요! | Ne quittez pas! 느 키테 파! |
좀 부탁드려도 될까요? | Puis-je vous demander une faveur? 퓌이주 부 드망데 윈 파뵈르? |
기운 내세요! / 힘내세요! | Bon courage! 봉 쿠라주! |
행운을 빕니다. | Bonne chance. 본 샹스. |
포기하지 마세요. | N'abandonne pas. 나방돈 파. |
자신감을 가지세요. | Crois en toi. 크루아 장 투아. |
훌륭해요! | Bravo! 브라보! |
저는 ~을 원합니다. | Je voudrais ~. 주 부드레 ~.[103] |
정말? 그래?(맞장구칠 때) | Ah bon? 아 봉? |
그렇구나. 알겠어. | Ah bon. 아 봉. |
(그게) 정말이야? | C'est vrai? 세 브레? |
(그건) 말도 안 돼! 설마! | C'est pas vrai! 세 파 브레! |
(그건) 가능해. | C'est pas possible. 세 파 포시블. |
(그건) 불가능해. | C'est impossible. 세 탱파시블. |
- 사람을 부르는 표현으로 남자는 므씨유(Monsieur, 약어로 M.)[104], 여자는 기혼일 경우 마담(Madame, 약어로 Mme)[105] 미혼 또는 젊은 여자일 경우 마드므와젤(Mademoiselle, 약어로 Mlle)[106]이 있다. 왕과 왕비의 호칭으로 2인칭(직접 대면하거나 말을 걸 때 사용하는 표현)은 Votre Majesté(보트르 마제스테), 3인칭(제3자를 언급할 때)은 Sa Majesté(사 마제스테, 약칭은 S. M.)라 하고, 왕자 및 왕녀의 호칭은 2인칭으로 Votre Altesse(보트르 알테스), 3인칭으로 Son Altesse(송 알테스, 약칭은 S.A.)라고 한다. 모나코 공가 귀족들의 경칭은 3인칭은 Son Altesse Sérénissime(송 알테스 세레니스임, 약칭 S.A.S.)[107], 또는 줄여서 Son Altesse(송 알테스)이며, 2인칭의 경우 남자는 Monseigneur(몬시뇰), 여자는 Madame(마담)이라고 한다.
10. 한국에서
대한제국 시기 관립 외국어 학교의 프랑스어 교사[108]와 학생들의 사진.[109] |
개화기 한국이 최초로 서구 국가들과 교류를 시작하면서 프랑스어 역시도 한국에 소개되었다. 1880년 펠릭스 클레르 리델[110] 주교에 의해 최초의 한불 사전 한법자전(韓法字典)이 편찬되었고, 1901년 샤를 알레베크에 의해 불한 사전인 '법한자전(法韓字典)' 역시 나왔다. 대한제국 시절에는 서울 정동에 설립된 관립 외국어 학교에서 프랑스어를 가르쳤었다.
그 후 광복 이후까지 영어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프랑스와 프랑스어의 영향력만큼 주요 언어의 위치를 차지했다. 고등학교에서도 제2 외국어로 가르치고 대학에도 불어불문학과가 설치된 곳이 다른 언어에 비해 꽤 되었다. 1990년대까지만 해도 중고등학교에서 제2외국어는 독일어와 프랑스어였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프랑스어의 영향력이 쇠퇴하고, 라틴아메리카의 발전으로 인해서 스페인어의 영향력이 두드러지면서, 한국에서 점점 더 그 인기가 떨어지는 중이다. 한국인 입장에서는 웬만해서 프랑스어를 쓸 일도 없다 보니 영어 외에 주변국 언어인 일본어나 중국어를 배우는 경우가 압도적이다.
그나마 영어를 제외한 서유럽의 언어를 배우고자 할 때에는 스페인어를 많이 선택한다. 서울시 내 고등학교에서 프랑스어교사가 심각하게 줄어들면서 이에 교원을 늘리자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
게다가 한국 제2외국어 교육에서 프랑스어 교육, 독일어 교육이 위기를 겪고 있어서 이에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당장 주한 프랑스 대사관, 주한 캐나다 대사관 등에서 프랑스어 교육에 신경쓰고 있다. #
물론 영어권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은 한국에서는 영어에 가려서 일상에서 프랑스어를 접하기가 쉽지 않지만, 프랑스어 특성상 고상하고 멋스러운 느낌 덕분에 각종 고유명사나 유행어로는 상당히 잘 쓰인다. 관련 사례들은 하위 문단에 자세히 소개되어 있다.
한국은 2015년에 프랑코포니의 참관국으로 가입하게 되었고, 2018년에 한국은 프랑스와 프랑코포니의 활동 확대, 한국 내에서의 프랑스어 교육 확대 등을 하기로 합의했다. 22년 만에 서울시 공립고등학교, 중학교에서 독일어 교사, 프랑스어 교사가 선발됐다.# #
그리고 취업 등에서도 프랑스어가 필요한 경우가 많지는 않지만, 프랑스어가 필요한 경우 DALF C1 수준[111] 또는 FLEX 성적, 토익 성적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상술한 아프리카의 프랑스어 사용자의 증가로 인해 아프리카에 진출하는 한국 기업들의 경우에는 프랑스어 능력을 요구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 그리고 북아프리카와 사하라 이남의 아프리카를 포함한 아프리카 내에서 프랑스어 사용자가 많다 보니, 프랑스어와 관련된 한국 기업들도 아프리카에 진출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10.1. 한국에서 자주 쓰이는 프랑스어 출처 외래어
10.2. 한국어로 표기되는 프랑스어 인명 및 고유명사의 표기
한국인들은 프랑스어 로마자를 두고 그 발음을 영어식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일본식 발음법의 영향, 과거의 비규범적 표기가 뒤섞이니 프랑스어 표기가 원 발음과 달라진다. 한국에 진출한 프랑스어권 기업의 예를 들자면 '미슐랭-미쉐린, 봉바르디에-봄바디어'를 꼽을 수 있다. 방송인 로빈 데이아나도 한글 '호방 데이아나'로 자신을 인식하고 '로빈'은 방송용 활동명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출처: 별다리 유니버스 프랑스인 편)10.3. 교육 기관
수능 제2외국어 영역의 한 과목이다. 1990년대까지만 해도 대부분의 고등학교에서 독일어와 함께 흔한 정규 과목이었으나 2000년대 초부터 중국어와 일본어를 가르치는 학교가 많아졌고, 2005년부터는 아랍어의 급부상으로 인기가 많이 줄었다. 물론 엄연한 제2외국어 영역 교과의 하나며 이 때문에 프랑스어를 배우고자 한다면 EBSi에서 수능특강 강좌를 들을 수 있다. 무료로 전 강좌를 수강할 수 있다.관련 학과로 불어불문학과가 있으며, 몇몇 대학교의 어학당에는 프랑스어 수업이 개설되어 있다.
알리앙스 프랑세즈(Alliance française)는 프랑스어를 배울 수 있는 프랑스 교육부 산하의 공인된 기관으로, 전 세계에 있으며, 대한민국에는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전주에 설치되어 있다. 생각보다 그렇게 비싸지 않은 교육비로 양질의 프랑스어를 배울 수 있다.
그 외에도 프랑스어를 배우기 위해 프랑스, 캐나다, 벨기에, 스위스에 유학, 어학연수를 하러 가는 경우가 많고, 심지어 모로코, 알제리, 튀니지에도 프랑스어 어학연수를 하러 가는 경우도 있다.
10.4. 수험 과목
- TCF (Test de connaissance du français)
699점 만점으로, 연말에 1번 볼 수 있는 시험이다. 2년의 유효 기간이 있다. - FLEX 프랑스어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주관한다. - SNULT 프랑스어
서울대학교에서 주관한다. - TEF(Test d'évaluation du français)
TCF와 마찬가지로 2년의 유효 기간이 있다. 2010년 이후로 한국에서는 시행되지 않는다. 응시를 원할 경우 다른 나라로 이동해야 한다. - 공무원 시험
5급 공채 국제통상직과 7급 외무영사직 선택 과목 중 하나이다. 과거 외무고시에서도 출제된 적이 있다. - 독학사
1, 4단계에서 영어 대신 선택할 수 있다.
10.4.1. DELF/DALF
자세한 내용은 DELF/DALF 문서 참고하십시오.10.5. 난이도
한국에서 프랑스어를 처음 접하는 사람은 2가지 생소한 난관에 맞닥트리게 되는데 첫째는 명사의 성(性)이고, 둘째는 변화무쌍한 동사 변화다. 명사에 성이 있다고 함은 모든 명사의 암수가 구별된다는 것이고 이에 따라 관사나 형용사의 형태가 굴절한다는 의미다. 동사변화는 영어에도 존재하지만 프랑스어의 동사 변화는 훨씬 더 다양하다.처음에는 프랑스어 특유의 아름다운 발음과 주요 국제 기관들의 공용어라는 것 그리고 많은 나라에서 쓰인다는 메리트가 매력적으로 다가올 수 있다. 하지만 배우기 시작함과 동시에 생각이 변한다. 너무 많은 예외로 인해 이게 과연 체계적으로 정리된 '언어'가 맞는지 의문이 들 정도다. 하지만 더 깊이 알아보면 수많은 예외와 변화들로 보였던 것들이 거의 모두 규칙적이라는 점에 놀랄 것이다.
확실히 영어, 일본어, 중국어 등 이러한 특징을 지니지 않는 언어에만 익숙한 대부분의 한국어 화자로서는 이러한 점이 굉장히 낯설고 부담스럽게 다가오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문법적 성이나 복잡한 동사 변화 같은 특징은 의외로 세계의 언어를 둘러보면 꽤나 널리 분포하는 것이다(특히 인도유럽어족 제어가 그렇다). 어디까지나 영어가 특이한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외국어와 비교해 프랑스어가 특별히 더 어렵다고 하는 것은 불공평한 감이 있다.
명사에 성별이 있으며, 보통 2개로 나뉜다. 남성명사, 여성명사, 중성(양성)명사까지 고루 갖고 있는 언어도 허다하다.[112] 동사 변화도 스페인어를 보면 개수가 아기자기한 수준[113], 프랑스어의 철자법이 귀찮게 꼬여있기는 해도 영어와는 달리 그 꼬여 있는 방식이 상당히 규칙적이다.[114] 적어도 쓰는 것과 읽는 법이 현저히 차이 나는 단어는 몇 가지밖에 없다. 그러므로 이러한 점은 오히려 영어보다 쉽다고 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로망스어파의 성격을 가지고 있기에 게르만어파와 슬라브어파에 비해 다중자음이 적어 단어 구조가 간단해 단어 암기가 쉽고 문법 구조도 이들보다 간단하면서 영어에 비해 불규칙 요소도 적어 오히려 난이도가 딱 균형이 맞춰졌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영어를 할 줄 알거나 영어 실력이 고급 실력을 갖췄다면 프랑스어를 빨리 배울 수 있을 정도이다. 물론 그 반대도 가능하다.
여담으로 프랑스어로 숫자를 셀 때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왜냐하면 20진법의 잔재로 일부 숫자들은 그냥 세는 걸 넘어 거의 산수를 하는 수준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60까지는 정상적으로 세는데 70부터는 60 + 10, 80은 4 x 20 이렇게 곱해서 말한다. 90은 심지어 4 x 20 + 10으로 곱셈과 덧셈이 같이 있는 혼종이다.[115] 캐나다에서도 아카디아 프랑스어 한정으로 70(septante), 80(huitante), 90(nonante)로 쓴다. 다만 표준 퀘벡 프랑스어에서는 그런 거 없다.
☞재미 삼아 읽을거리: 나는 어떻게 17일 만에 프랑스어를 익혔나 다만, 이 글을 쓴 사람은 영어가 모국어인 사람이며, 스페인어를 배운 적이 있는 사람이다. 영어는 게르만어지만 노르만 정복 로마 제국 근대 시기 프랑스어가 국제어였던 영향으로 인해 영단어의 27%가 프랑스어에서 유래됐다. 프랑스어뿐만 아니라 라틴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까지 합치면 라틴계 외래어 차용 단어 비중은 거의 55%에 달한다. 또한 셋 다 같은 인도유럽어이기 때문에 기본 어휘 또한 비슷한 경우가 많다. 비유하자면, 한국어가 모국어에 중국어를 할 줄 알고 한자를 잘 아는 사람이 일본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경우보다도 더 큰 어드밴티지가 있다고 볼 수 있다.
10.6. 팁
- 프랑스 정부가 운영하는 두 방송국(TV5MONDE, RFI)에서도 교육용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듣기 자료의 경우 각 방송국 내의 실제 프로그램 혹은 뉴스에서 추출해 오기 때문에 학원을 통해 공부하는 학생들도 많이 이용한다.
- 사전은 보통 LAROUSSE(라루스)와 le Robert(르 로베르) 둘 중 하나를 많이 쓴다. 두 사전 모두 현재 무료 온라인 사전을 서비스 중이다. 학습자용 종이 사전으로는 le Robert micro poche가 싸고 알찬 편. 아카데미 프랑세즈 무료 웹 사전도 좋은 대안이다.
- 문법서는 주로 CLE의 Grammaire progressive du francais를 많이 사용한다. 보통은 중급 단계인 Intermédiaire를 많이 쓴다. 구성은 영어 문법서 중에서 잘 알려진 Grammar in Use와 비슷하다.
- 고급 사용자용 어법 사전 le bon usage가 있다. 책이 아주 두껍다.
11. 기타
11.1. 구사자
※ 프랑스어를 모국어로 삼는 사람은 제외.- CL - 대한민국
- PAIIEK - 대한민국
- In-Grid - 이탈리아
One More Time으로 유명한 가수. 이탈리아 출신이지만 그녀가 낸 노래 중에서는 프랑스어로 된 가사가 많다. - MIKA - 영국
- Siv HD - 네덜란드
- 가와시마 에이지 - 일본
- 강수진 - 대한민국
- 강주헌[116] - 대한민국
- 게이브 미나케 - 나이지리아/미국
- 계륜미[117] - 대만
- 고든 램지[118] - 영국
- 고영환 - 대한민국
- 고정훈 - 대한민국
- 골쉬프테 파라하니 - 이란
- 국가비 - 대한민국/아르헨티나
- 그레이스 박 - 미국/캐나다
-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 - 필리핀[119]
- 글로리아 에스테판 - 미국
- 기타나스 나우세다 - 리투아니아
- 김규식 - 대한민국
- 김광수 - 대한민국[120]
- 김대건 안드레아 - 조선
프랑스어와 라틴어를 할 줄 알았다고 한다. - 김선혜[121] - 대한민국
- 김성도[122] - 대한민국
- 김소니아 - 대한민국/루마니아
한국어, 루마니아어 외에 영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등 5개 언어를 구사할 줄 안다. - 김수민 - 대한민국
- 김양건 - 북한
- 김운용 - 대한민국
- 김중만[123] - 대한민국
- 김지민[124] - 대한민국
- 김진환 - 대한민국
- 김태희[125] - 대한민국
- 김화영 - 대한민국
- 김현[126] - 대한민국
- 김희중 - 대한민국
- 나나 아쿠포아도 - 가나
- 나디아 나딤 - 덴마크
- 나루히토 - 일본
- 나성호 - 대한민국
- 나스타샤 킨스키 - 독일
- 너새니얼 모트 - 미국/프랑스
3OH!3의 멤버로 모계가 프랑스계 미국인이고 게다가 프랑스어도 할 줄 안다. - 노박 조코비치 - 세르비아
- 니콜 파시냔 - 아르메니아
- 다니엘 바렌보임 - 아르헨티나/이스라엘/팔레스타인/스페인
스페인어, 영어, 히브리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독일어를 자유롭게 구사하는 다국어 능력자이다. - 다니엘 브륄 - 독일
- 다니엘 스눅스 - 호주
- 다닐 메드베데프 - 러시아
- 다비 - 대한민국
불문학과 교수를 맡은 적이 있다. - 다비드 루이스 - 브라질
- 다이쇼 덴노 - 일본
- 다이앤 크루거 - 독일/미국
- 다카도노미야 히사코 - 일본
2020년 도쿄 올림픽 홍보 연설 때 프랑스어를 했다. - 달리아 그리바우스카이테 - 리투아니아
- 대니얼 태멋 - 영국
- 댄 아비단 - 미국
- 덩샤오핑 - 중국
- 데이비드 맬패스 - 미국[127]
- 데이비드 제 - 미국
주 부산 미국 영사로 한국어, 러시아어, 프랑스어를 할 줄 안다.# - 데이비드 캐머런 - 영국
- 도리안 프린스[128] - 영국
- 도영심 - 대한민국
- 드리스 메르텐스 - 벨기에
- 드미트리 글루홉스키 - 러시아
- 디켐베 무톰보 - 콩고민주공화국
- 라자 나잉골란 - 벨기에
-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 - 나치 독일
- 라파엘 코레아 - 에콰도르
- 라파우 트샤코프스키[129] - 폴란드
- 레자 팔라비 - 이란
- 레프 트로츠키 - 러시아/소련
- 로버트 파우저[130] - 미국
- 로자 룩셈부르크 - 독일
- 로저 페더러 - 스위스
- 루키노 비스콘티 - 이탈리아
- 리사 쿠드로 - 미국
- 리스쩡 - 중화민국
- 릭 밴덴헐크 - 네덜란드
- 릴카[131] - 대한민국
- 마티아스 스후나르츠 - 벨기에
- 마르반 켄자리 - 네덜란드
- 마르코 베라티 - 이탈리아
- 마르키저이 페테르[132] - 헝가리
- 마르타 아르헤리치 - 아르헨티나
- 마르틴 슐츠[133] - 독일
- 마리아나 반 젤러[134] - 포르투갈
- 마사코 황후 - 일본
- 마히 더 블록 - 벨기에[135]
- 막스웰 - 브라질
- 막시마 소레기에타 - 아르헨티나/네덜란드
- 매들린 올브라이트 - 미국
- 매즈 미켈슨 - 덴마크
- 맥도날드 할머니[136] - 대한민국
- 맥스웰 테일러 - 미국
- 메넬리크 2세 - 에티오피아
- 멜라니아 트럼프 - 미국
- 멜리티나 스타니우타 - 벨라루스
- 모니카 - 대한민국
- 모니카 벨루치 - 이탈리아
-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 - 이란
- 무라카미 하루키 - 일본
- 문메이슨 - 대한민국/캐나다
- 문정희 - 대한민국
- 문충성[137] - 대한민국
- 미랄렘 피아니치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미르체아 엘리아데 - 루마니아
- 미르야 말레츠키 - 독일
- 미와 아키히로[138] - 일본
- 미헤일 사카슈빌리[139] - 우크라이나[140]
- 민병권[141] - 대한민국
- 민선희 - 대한민국
아리랑 TV의 아나운서로 영어, 스와힐리어, 프랑스어를 할 줄 안다.# - 밀라 요보비치 - 미국
- 밀란 쿤데라 - 체코
- 밀로라드 아르세니예비치 - 유고슬라비아
- 밋 롬니 - 미국
- 바르토메우 마리 리바스 - 스페인
2015년부터 2018년까지 국립현대미술관의 관장을 맡았고, 스페인어,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포르투갈어, 이탈리아어, 네덜란드어를 할 줄 안다. # - 바히드 할릴호지치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박근혜 - 대한민국
- 박상근 - 대한민국
현재 3군단장인 인물이다. 학군사관 25기. - 박세직 - 대한민국
- 박재호 - 대한민국
부산외국어대학교 불어과 출신이다. - 박종규 - 대한민국
- 박현선 - 대한민국
- 반기문 - 대한민국
- 백건우 - 대한민국
- 벤저민 디즈레일리 - 영국
- 변혁 - 대한민국
- 보리스 존슨 - 영국
1973년에 아버지를 따라서 벨기에에서 거주한 적이 있어서 프랑스어도 유창한 편이다. # - 보응우옌잡 - 베트남
베트남 인민군 총사령관 겸 북베트남 국방장관. 프랑스 식민지 당시 교육받은 베트남 지식인들은 프랑스어에 유창했다. 베트남 전쟁 당시 유창한 프랑스어로 외신들과 기자회견을 하면서 미국의 속을 긁었다.# - 브루노 브루니 주니어 - 독일
- 브루스 지테 - 호주/코트디부아르
- 브래들리 쿠퍼 - 미국
- 브룩 실즈[142] - 미국
- 브리짓 닐슨 - 덴마크
- 블라다 로슬아코바 - 러시아
-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 러시아
- 블라디미르 레닌 - 러시아/소련
레닌은 하급 귀족 출신인데, 제정 러시아의 귀족들의 상용어는 러시아어가 아니라 프랑스어였다. 전쟁과 평화의 많은 대사도 프랑스어로 되어 있다. 레닌도 어릴 때부터 프랑스어 가정교사를 두고 배웠다. - 비고 모텐슨 - 미국
- 비탈리 김 - 우크라이나
미콜라이우 주지사인 고려인으로 영어, 프랑스어, 한국어를 할 줄 안다.# - 빅토르 부트 - 러시아
모국어인 러시아어를 포함해서 영어, 프랑스어, 포르투갈어, 아랍어, 페르시아어를 구사할 줄 안다.# - 빅토리아 잉리드 알리스 데지레 - 스웨덴
- 사이먼 스미스[143] - 영국
- 사이온지 긴모치 - 일본 제국
- 산드라 오 - 캐나다, 미국
- 새미 제인 - 캐나다
- 샘 오취리 - 가나
가나는 공용어가 영어이지만, 프랑스어권에 둘러싸여 있어서 프랑스어가 주요 외국어이고 프랑코포니 회원국이다. - 샤키라 - 콜롬비아
- 서영택 - 대한민국
- 석매튜 - 캐나다
- 성귀수 - 대한민국
- 세르게이 라브로프 - 러시아
- 서지 이바카 - 스페인
- 세자로 - 스위스
- 소향 - 대한민국
- 스즈키 카즈타 - 일본[144]
- 스카 켈러 - 독일[145]
- 스텔라 장 - 대한민국[146]
- 스티븐 하퍼[147] - 캐나다
- 슬라보예 지젝 - 슬로베니아
- 실비아 크리스털 - 네덜란드
- 심규혁[148] - 대한민국
- 이부진[149] - 대한민국
- 아나 이크망 - 브라질
- 아나스타샤 니콜라예브나 로마노바 - 러시아
-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 독일
- 아다마 트라오레 - 스페인
- 아흐마드 샤 마수드 - 아프가니스탄
- 아신 - 인도
- 안드레아스 자클리스 - 그리스[150]
- 알비누 말룽구 - 앙골라
주한 앙골라 대사로 모국어인 포르투갈어를 포함해서 영어, 프랑스어 등 8개 언어를 할 줄 안다.# - 안토니우 구테흐스 - 포르투갈
- 알렉산더 - 마카오
- 알렉산데르 스투브 - 핀란드
핀란드의 전 총리로 핀란드어, 스웨덴어,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를 할 줄 안다.# - 알렉산드르 푸시킨 - 러시아
- 알렉스(2004)[151] - 독일
- 알렉스 맞추켈리 - 스위스
- 압뒬하미트 2세 - 오스만 제국
- 앙드레 클뤼탕스 - 벨기에, 프랑스
안트베르펜 출신으로 모국어는 네덜란드어이다. 프랑스 국적은 1939년에 취득했고 인생의 절반 이상을 프랑스에서 살았다. 이 외에도 독일어와 영어, 러시아어도 구사할 수 있는 다국어 능력자이다. - 앙헬 디마리아 - 아르헨티나
- 얀 베르통언 - 벨기에
- 앤서니 이든 - 영국
- 에길스 레비츠 - 라트비아
라트비아의 대통령으로 라트비아어, 영어, 러시아어, 독일어, 프랑스어를 할 줄 안다. - 에딘손 카바니 - 우루과이
- 에버 앤더슨 - 미국
- 에이브릴 라빈 - 캐나다
- 엔베르 호자 - 알바니아
- 엘리자베스 2세 - 영국
- 엠마 왓슨 - 영국
어렸을 때 프랑스에서 살았기 때문에 약간의 프랑스어는 할 줄 안다. - 엠마 톰슨 - 영국
- 예지원 - 대한민국
- 오스카르 1세 - 스웨덴/노르웨이
- 오드리 헵번 - 영국
- 오토 폰 비스마르크 - 독일
- 올가 쿠릴렌코 - 우크라이나/프랑스
- 올랜도 블룸 - 영국
- 응우옌반티에우 - 남베트남
-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 독일
- 움베르토 에코 - 이탈리아
프랑스어로 철학 강의를 할 수 있을 정도로 프랑스어에 능하다. - 움베르투 코엘류 - 포르투갈
- 와인킹 - 대한민국
- 와파 두푸르 - 미국/스위스
- 왕후닝 - 중국
상하이사범대학 간부학교 외국어교육반에 들어가 프랑스어를 공부한 적이 있었다.# - 웬디(Red Velvet) - 대한민국
- 윌리엄 제임스 사이디스 - 미국
- 윌리엄 번스 - 미국
CIA 국장으로 영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아랍어를 할 줄 안다. - 윌리엄 존스 - 영국
- 완린 - 중국
샤샤의 새로운 멤버로 모국어인 중국어를 포함해서 한국어, 영어, 프랑스어를 할 줄 안다. - 올더스 헉슬리 - 영국
프랑스어 교사였다. - 요시 코헨[152] - 이스라엘
- 윤대녕[153] - 대한민국
- 윤산 - 대한민국
- 윤정희 - 대한민국
- 율 브리너 - 미국
- 율리안 드락슬러 - 독일
- 이라클리 가리바슈빌리 - 조지아
- 이만 무함마드 압둘아지드 - 미국
- 이위종 - 러시아
원래는 대한제국의 외교관이었고 영어, 러시아어, 프랑스어 등 7개 언어를 할 줄 안다. 이름의 로마자 표기도 프랑스어식이 가장 널리 쓰인다. - 이지현 - 대한민국
오버워치에서 위도우메이커를 맡았는데, 프랑스어를 전공했다고 성우 인터뷰에서 밝힌 바 있다. - 이케자와 하루나 - 일본
NHK 프랑스어 강좌에도 출연했다. - 일함 알리예프 - 아제르바이잔
- 임태경 - 대한민국
스위스의 르 로제를 다닌 적이 있어서 프랑스어가 유창하다.# - 잉그리드 버그만 - 스웨덴
- 자말룻딘 알 아프가니 - 이란/아프가니스탄
모국어로 추정되는 페르시아어, 파슈토어외에도 아랍어, 프랑스어, 우르두어/힌디어가 유창했다. - 자이먼 혼수 - 미국
- 잔니 인판티노 - 스위스
- 장 르노 - 프랑스/스페인
- 장만옥 - 영국
- 장 클로드 반담 - 벨기에
- 장 클로드 융커 - 룩셈부르크
유럽 연합의 집행위원장으로 룩셈부르크어,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를 할 줄 안다.# - 제임스 조이스 - 아일랜드
- 재레드 다이아몬드 - 미국
- 잭슨 - 홍콩
- 저우언라이 - 중국
프랑스 유학파이다. - 전진배 - 대한민국
한국외대 프랑스어학과 출신이고 파리 주재 특파원이기도 했다. - 정수일 - 대한민국
- 정재형 - 대한민국
- 조니 뎁 - 미국
- 조디 포스터 - 미국
- 조란 밀라노비치 - 크로아티아
- 조르자 멜로니 - 이탈리아
- 조르지오 추칼로스 - 스위스
- 조성진 - 대한민국
- 조셉 고든레빗 - 미국
- 조수미 - 대한민국
독일어,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영어, 러시아어가 가능하다. - 조수진 - 대한민국
고려대 불어불문학과 출신이다. - 조승연 - 대한민국
- 조지 웨아 - 라이베리아
프랑스 축구팀에서 뛴 적이 있기 때문에 영어와 프랑스어가 유창하다.# - 조지프 콘래드 - 영국
- 조 본프레레 - 네덜란드
네덜란드어를 포함해서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아랍어를 할 줄 안다. - 존 시나 - 미국
2012년 9월 10일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린 Monday Night Raw에서는 프랑스어도 구사했다. - 존 엘칸 - 이탈리아
- 존 케리 - 미국
- 존 퀸시 애덤스 - 미국
- 주제 무리뉴 - 포르투갈
- 주철기 - 대한민국
외교관 출신으로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중국어를 할 줄 안다.# - 줄리 - 대한민국
- 줄리어스 로버트 오펜하이머 - 미국
-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 - 스웨덴
- 진예찬 - 대한민국
- 집에서안나와 - 스위스
- 쩐레쑤언 - 남베트남
- 찰스 3세 - 영국
- 최양업 - 조선
- 최윤정 -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소프라노로 영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를 할 줄 안다.# - 치아구 시우바 - 브라질[154]
- 카롤리나 코스트너 - 이탈리아
- 카를로스 고리토 - 브라질
- 카를로스 곤 - 브라질/프랑스/레바논
영어, 프랑스어, 포르투갈어, 아랍어를 할 줄 알고 2020년 1월 8일에 있었던 기자회견에서 4개 언어로 답변을 했다. - 카를 구스타프 에밀 만네르하임 - 핀란드
- 카린 크나이슬 -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의 총리로 독일어를 포함해서 아랍어,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히브리어, 헝가리어, 이탈리아어를 구사할 줄 안다.#, # -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 카자흐스탄
- 카야 칼라스 - 에스토니아[155]
- 카카 - 브라질
- 칼리파 하프타르 - 리비아
- 케네스 와인스타인 - 미국
2020년 3월 13일에 부임한 주일미국대사로 프랑스어와 독일어가 유창하다.# - 케르스티 칼률라이드 - 에스토니아
- 케빈 더브라위너 - 벨기에
- 케이트 베킨세일 - 영국
- 캐서린 제타존스 - 영국
- 콘돌리자 라이스 - 미국
- 콜린 크룩스 - 영국
- 크리스토프 발츠 - 미국/오스트리아
- 크리스토퍼 대니얼 페플러 - 일본
독일계 미국인과 일본인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로 일본어, 영어, 프랑스어를 할 줄 안다. - 크리스토퍼 플러머 - 캐나다
-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 불가리아
- 크리스 파인 - 미국
- 크리스틴 스콧 토머스 - 영국/프랑스
19살 때 프랑스로 건너간 이후로 계속 프랑스에서 거주하고 있으며 프랑스인과 결혼했었고 프랑스 시민권까지 획득했다. 그만큼 유창하게 잘하며 프랑스 영화에도 많이 출연한다. - 키리아코스 미초타키스 - 그리스
- 킬리언 머피 - 아일랜드
- 타일러 라쉬 - 미국
- 타키가와 크리스텔 - 일본
프랑스인 아버지와 일본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 테레사 메이 - 영국
- 토니 블레어 - 영국
프랑스에서 1년동안 알바하고 살았던 적이 있어서 프랑스어가 유창하다.# - 토니 블링컨 - 미국
바이든 대통령 당선인의 새 국무장관으로 내정되었는데, 프랑스에서 교육을 받아서 영어와 프랑스어를 할 줄 안다.# - 토니 유 - 캐나다
- 토마시 가리크 마사리크 - 체코슬로바키아
- 톰 히들스턴 - 영국
- 티모시 샬라메 - 미국, 프랑스
- 티머시 스나이더 - 미국
미국의 역사학자로 프랑스어, 독일어, 폴란드어, 우크라이나어를 할 줄 알고 체코어, 슬로바키아어, 러시아어, 벨라루스어도 읽을 줄 안다. #1, #2 - 티보 쿠르투아 - 벨기에
- 파라 제이넵 압둘라 - 튀르키예
- 파우 가솔 - 스페인
- 파울레타 - 포르투갈
- 페드로 산체스 - 스페인
- 페트르 체흐 - 체코
- 페트르 파벨 - 체코
- 펠릭스 멘델스존 - 독일
- 풍기 사무엘 - 앙골라
- 프란스 팀머만스 - 네덜란드
유창한 프랑스어, 독일어, 이탈리아어, 러시아어를 구사한다. - 프레데릭 멘디 - 프랑스, 기니비사우
영어, 프랑스어, 포르투갈어를 할 줄 안다. # - 프레디 하이모어 - 영국
- 피트 부티지지 - 미국
- 필리페 센데로스 - 스위스
- 필립 헤레베헤 - 벨기에
겐트 출신이며, 유창한 프랑스어와 독일어를 구사한다. - 푸미폰 아둔야뎃 - 태국
- 하디세 - 터키
- 하인리히 슐리만 - 독일
- 하미드 카르자이 - 아프가니스탄
- 황기철 - 대한민국
- 황재근 - 대한민국
- 해리 스타일스 - 영국
- 해이 - 대한민국
불문과 전공자이기도 하고, 영문과도 복수 전공해서 영어도 잘한다. 프랑스어로 노래 부르면서 장난을 치는 정도까지 가능하다. 심지어 최근에는 중국어도 가능하다고 한다. -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 오스트리아
유창한 프랑스어를 구사한다 - 헨리 카빌 - 영국
- 헨리크 미키타리안 - 아르메니아
-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 아르헨티나
- 호찌민 - 베트남
- 홍성민 - 대한민국, 동아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프랑스 파리에서 유학생활을 하여 프랑스어가 매우 유창하다
- 홍세화 - 대한민국
- 홍종우 - 대한제국
- 홍석현 - 대한민국
중앙일보 전 회장. 프랑스어로 프리토킹이 가능한 수준으로 능하다고. - 후고 마이슬 - 오스트리아
- 후안 안토니오 사마란치 - 스페인
11.2. 대중문화에서
프랑스에 대한 동경과는 별개로, 프랑스어는 일단 발음이 매우 어렵고, 비직관적이기[156] 때문에 동아시아에서는 순정물을 제외하면 자주 쓰이지 않는다.[157]이 때문에 프랑스 애호가 강한 일본의 경우도 오히려 독일어는 대중매체에서 이름이나 마법 주문, 노래 가사 등으로 매우 자주 채용하는 반면, 프랑스어의 경우 유명한 몇몇 프랑스어 단어를 적절히 섞은 고유명사 외에는 거의 보기 힘들다.
마찬가지로 오덕 계열에서도 프랑스어를 접하기가 힘든데, 위에 설명한 대로 판타지계에선 거의 보기 힘들고 순정에서 간간히 쓰이는 정도다. 고상한 언어라는 취급을 반영하여서인지 부자 혹은 아가씨, 도련님 속성 캐릭터의 이름이나 혹은 프랑스인 캐릭터와 그 캐릭터에 관련된 것들에서 프랑스어 어휘 정도를 가져오는 경우는 있다.
예외로,《아룬드 연대기》 세계관의 이스나미르어는 현재까지 드러난 바론 프랑스어와 어감이 유사하다고 한다.[158] 또, 고대 이스나미르어의 경우는 더 심해서, 한글로는 적을 수 없는 오묘한 발음이 된다고 한다. 그리고, 한 등장인물에 따르면 하루만 그 언어를 써도 평생 말하기가 싫어질 거라고도 한다.
동양에서의 낮은 활용과는 반대로 서구권에서의 프랑스어는 소위 세련된 귀족 언어라는 위상 때문에 생각보다 자주 접할 수 있다. 나 홀로 집에 2에서 2인조 악당 중 마브가 지나가다 마음에 든 여자에게 프랑스어로 작업을 거는 장면이 있는데 이게 바로 유식한 척 하려고 프랑스어를 쓴 것이다.
그리고 의외이지만, 프랑스에서는 일본 만화가 프랑스어로 번역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서 양덕후 중에는 프랑스어로 번역된 일본 만화를 읽기 위해 프랑스어를 배우는 경우(!)가 많이 있다. 한자의 장벽과 문화의 장벽이 없다 보니 일본어를 배우는 것보다는 훨씬 쉽기 때문이다.
영화 노다메 칸타빌레에서 주인공인 노다 메구미가 치아키 선배와 같이 프랑스에 왔지만, 정작 프랑스에 어릴 적 오래 살았던 치아키 선배에 비해 프랑스어를 할 줄 몰라 속앓이를 하다가, 프랑스인 친구가 빌려준 프랑스어 더빙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를 수십 번 돌려보고 나서 프랑스어를 할 줄 안다는 내용도 나온다.
11.2.1. 게임
스타크래프트 2 등 다국어 버전으로 제작된 게임의 설정을 프랑스어로 바꾸면 들을 수 있다. 또한 iOS 버전의 하스스톤은 글로벌 출시를 위해 세계 각국의 언어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데 한국 더빙이 되어 있는 것처럼 지원하는 언어로 전부 더빙이 되어있다. 영웅들의 대사뿐만 아니라 그 수 많은 카드(말을 할 줄 아는 하수인이라면)의 등장/호출 대사까지 전부. 또한 모던 워페어 3 등의 게임도 스팀에서 프랑스어로 설정하면 프랑스어 음성으로 전부 바뀐다.월드 오브 탱크 역시 설정에서 승무원들의 대사를 '국가'로 바꾸면 전차의 국적에 따라 승무원들의 언어가 바뀌는데, 월드 오브 탱크에는 프랑스가 존재하므로 프랑스 전차로 플레이한다면 '도탄되었습니다!'를 프랑스어로 들을 수 있다. 알아듣기 쉬운 동사도 나오는 편이지만, 대다수의 대사가 군사 용어 범벅이라 쉽지는 않다. 또한 어쌔신 크리드 유니티도 프랑스가 배경인지라 대사 언어를 프랑스로 바꿔 모든 대사 처리를 프랑스어로 들을 수 있다.
오버워치의 위도우메이커도 프랑스인이라서 프랑스어 대사가 존재한다.
어쌔신 크리드 유니티의 경우도 배경이 프랑스인 만큼 음성 언어로 프랑스어가 지원된다. 상황에도 더욱 어울리고, 영어 음성이 불필요한 영국식 억양으로 혹평을 받고 있기에 프랑스어로 바꾸는 걸 추천하는 사람이 많다.
11.2.2. 캐릭터
단순히 주문이나 마법 스킬명을 프랑스어로 외치는 것은 제외, 프랑스어권 출신 캐릭터는 제외. 단 하프나 쿼터인 경우 등재. 하프나 쿼터인 경우 볼드체로 표기.- C.M.B. 박물관 사건목록 - 사카키 신라, 토마 유우
- DC 확장 유니버스 - 원더우먼
- NCIS - 지바 다비드
- NCIS: LA - 켄지 블라이
- 가면라이더 가부토 - 텐도 소우지. 마지막 화에서 프랑스어로 말하는 장면이 있다.
- 검은머리 미군 대원수 - 유진 킴
- 교정 뒤에는 천사가 묻혀있다 - 하치야 아이
- 김전일 37세의 사건부 - 하야마 마린
- 그레이 아나토미 - 크리스티나 양
- 꼬마마법사 레미 - 아스카 모모코
소설판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프랑스 유학을 위해 프랑스어를 배운다는 언급이 있다. - 꿈빛 파티시엘 - 아마노 이치고
학교에서 프랑스어 수업을 듣는 장면이 있고 야마기시 레몬에게 프랑스어로 말을 걸려는 장면이 있다. - 나홀로 집에 1편 - 피터 맥콜리스터
파리에서 아들을 찾으려는 전화를 걸면서 잠시 프랑스어로 물어보는 장면이 있다. - 노다메 칸타빌레 - 노다 메구미, 치아키 신이치
- 대도서관의 양치기 - 시라사키 츠구미
- 도쿄 구울 - 츠키야마 슈
- 디지몬 어드벤처 - 타카이시 타케루
라스트 에볼루션 키즈나의 설정에서 대학교 1학년생이 되어 프랑스어를 배우기 시작했다고 나온다. - 로젠메이든 - 히나이치고
전 마스터인 코린느 포세가 프랑스인이었다. 원작 기준으로는 로젠이 프랑스인일 가능성이 더 높다. 신쿠도 프랑스어를 쓰고. 자세한 사항은 로젠 메이든의 5번 설정 문단 참고. - 마블 코믹스 - 울버린, 카르마
각각 영어와 프랑스어가 둘 다 공용어인 캐나다, 프랑스의 지배를 받았던 베트남 출신이다. - 마스터 키튼 - 다이치 키튼
프랑스어 외에도 다른 외국어를 할 줄 아는 폴리그롯이다. - 맨 프롬 엉클 - 알렉산더 웨이버리
- 메탈기어 시리즈 - 리퀴드 스네이크
영어, 스페인어, 말레이어, 프랑스어, 일본어, 아랍어를 할 줄 안다. - 몬스터(만화) - 볼프강 글리머
작중에서 프랑스어 회화는 안 나왔지만, 스파이 교육 중 프랑스어를 배웠다는 언급이 있다. - 미션 임파서블: 폴아웃 - 이단 헌트
작중에서 프랑스어로 말하는 장면이 있다. - 바스터즈 : 거친 녀석들 - 한스 란다
- 베리베리 뮤우뮤우 - 후지와라 자쿠로
프랑스어를 비롯한 6개 국어를 할 줄 안다. - 보이스 - 박은수
영어, 일본어, 중국어, 러시아어, 프랑스어를 할 줄 안다.# - 브레이브하트 - 윌리엄 월레스
이사벨과 평화 회담을 하러 오던 시종이 프랑스어로 월레스를 험담하자 월레스가 프랑스어로 항의하는 장면이 있다. - 셜록 홈즈 시리즈 - 셜록 홈즈
작중에서 프랑스계 영국인이자 프랑스어, 독일어, 이탈리아어, 라틴어를 할 줄 안다. - 소년탐정 김전일 - 아케치 켄고
- 소공녀 - 세라 크루
인도 제국에서 살던 프랑스계 영국인(어머니가 프랑스인)이었기에 프랑스어 이외에도 모국어인 영어와 힌디어 구사가 가능하다. - 슈퍼전대 시리즈
- 특명전대 고버스터즈 - 엔터
말할 때 프랑스어를 섞어서 말한다. - 쾌도전대 루팡레인저 VS 경찰전대 패트레인저 - 타카오 노엘
쾌도(괴도)이기 때문에 당연히 프랑스 계열이며 국제경찰과 있을 때 국제경찰 프랑스 본부에서 왔다고 한다. 20화에서 간단한 프랑스어를 가끔씩 사용하는 모습이 밝혀졌다. - 스위트 프리큐어♪ - 호조 마리아
- 신의 물방울 - 칸자키 시즈쿠
- 심슨 가족 - 바트 심슨
S1 E11에서 프랑스 시골 마을로 교환학생을 가서 고생하다가 경관을 만나서 갑자기 프랑스어를 할 수 있게 된다. - 아이돌 마스터 - 쿠로이 타카오
- 아즈망가대왕 - 타니자키 유카리 (미국판 한정)
일본판에서는 영어 교사이지만, 미국에서는 영어가 국어이기에 미국판에서 프랑스어 교사로 설정이 변경되었다. - 암살교실 - 아사노 가쿠슈
- 야쿠시지 료코의 괴기 사건부 - 야쿠시지 료코
원어민 수준이다. - 오란고교 사교클럽 - 스오우 타마키
어렸을 때 프랑스에서 살았고 자신 있는 과목은 영어외에도 프랑스어이다. - 월드 인 컨플릭트 - 제레미 소이어
- 원 더 우먼 - 조연주
국내 외국인 범죄 담당을 맡고 있다 보니 베트남어와 같이 잘하는 외국어이다 작중에 베트남인 고참급 가정부와 서로 베트남어로 집안을 까는 게 개그. - 인사이드 아웃 시리즈 - 따분
- 조커 게임 - 하타노. 파리 악센트로 사용한다.
- 좀비 랜드 사가 시리즈 - 타츠미 코타로
- 전쟁과 평화 - 돌로호프
- 절대가련 칠드런 - 미나모토 코이치
프랑스어를 포함해서 일본어, 영어, 독일어, 러시아어, 이태리어, 중국어 7개 국어를 능숙하게 구사할 수 있는 것도 모잘라 스페인어와 한국어도 어느 정도 한다고 한다. - 지금, 헤어지는 중입니다 - 하영은, 윤재국, 황치숙
- 지붕뚫고 하이킥 - 줄리엔
미국 출신으로 영어와 프랑스어를 할 줄 안다. 참고로 줄리엔을 맡은 줄리엔 강도 프랑스어를 할 줄 안다. - 철권 시리즈 - 리리 로슈포르
모나코 출신이다. - 청담동 앨리스 - 한세경 (문근영)
- 카구야 님은 고백받고 싶어 ~천재들의 연애 두뇌전~ - 시노미야 카구야, 후지와라 치카
- 코믹 메이플스토리 - 슈미[159]
- 크레용 신짱 - 스오토메 아이
- 킬링 이브 - 빌라넬
- 프렌즈 - 피비 부페이
- 프리큐어 시리즈
- Go! 프린세스 프리큐어 - 아마노가와 키라라
파리로 가기 전에 프랑스어책을 가지고 나오는 장면이 있다. - 키라키라☆프리큐어 아라모드 - 키라호시 시엘
- 흑집사 - 시엘 팬텀하이브
세바스찬과 프랑스어로 대화하는 장면이 나온다. - 포켓몬스터 - 그린(포켓몬스터)
- 스물다섯 스물하나 - 나희도
- 더 패뷸러스 - 조세프, 에스더(조세프의 비서), 홍지선
7회에서 프랑스어를 하는 장면이 나온다. 조세프의 비서 에스더의 경우는 조세프의 엄마 옥진에게 잠깐 통역해주는 장면이 등장한다. - 크레용 신짱 - 키타모토
11.3. 들어보기
13세기 중세 프랑스 십자군 노래 Le Roi Louis
Wikitongues의 프랑스어 기록. 이 외에 퀘벡 프랑스어, 루이지애나 프랑스어도 기록되어 있다.
프랑스의 국가인 〈라 마르세예즈(La Marseillaise)〉.
벨기에 국왕 필리프의 크리스마스/신년 연설(프랑스어)
프랑스 샹송 가수인 에디트 피아프의 〈Non, Je ne regrette rien〉(아니, 난 아무것도 후회하지 않아). 아마 영화 《인셉션》의 대박 흥행 후 국내 젊은 층에게 가장 유명한 곡일 듯하다.
프랑스 영화 배우인 이자벨 아자니의 〈Ohio〉. 한밤의 TV연예 로고송으로도 유명하다. 구할 수만 있다면 〈Ok pour plus jamis〉도 들어보면 아주 좋다.
영화 바스터즈: 거친 녀석들에서의 슈트루델 씬. 프랑스 유대인인 쇼샤나 드레퓌스(멜라니 로랑)와 나치 친위대의 한스 란다 대령(크리스토프 발츠)의 대화 장면이다. 프랑스어는 1분 40초 부분부터 나온다. 그 전은 독일어 대화다.
인터넷 밈으로도 잘 알려진 코트디부아르의 살충제 광고인 쉬페르 티모르.
한 번쯤 들어 보았을 조 다생의 〈Les Champs-Élysées〉(샹젤리제).
프랑스어 노래 하면 샹송만 생각하던 국내에 충격과 공포를 던져준 프랑스어 랩 댄스뮤직 〈Nuit de folie〉(광란의 밤).[160] 386세대 중 이거 모르는 사람 많이 없을 듯. 개그우먼 조혜련의 노래인 〈숑크숑크숑〉이 이 노래를 번안한 것이다.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의 Le Petit Prince
카미유 로우가 말하는 프랑스어
Théophile Gautier(테오필 고티에)[161]의 La Morte Amoureuse[162]
MIKA의 Elle me dit와 Boum boum boum[163]
퀘벡 출신 가수 브루노 펠티에의 S.O.S. d'en terrien en detresse. 프랑스에서 굉장히 유행했던 뮤지컬인 스타마니아 수록곡이다.
프랑스 가수 Daniele Vidal의 Pinocchio
디즈니 애니메이션 인어공주의 OST 'Under the Sea'의 프랑스어 버전인 Sous l'océan
『팀 포트리스 2』 미트 더 시리즈 단편집의 프랑스어판.
라이온 킹의 삽입곡인 <Be Prepared>의 프랑스어판 〈Soyez prêtes〉.
일본의 TV 프로그램인 《원피스》의 프랑스어판 중 한 장면.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시리즈 구애니판 오프닝 곡 문 라이트 전설의 프랑스어 버전.[164]
디즈니의 애니메이션 영화 《겨울왕국》의 삽입곡인 〈Love Is an Open Door〉 프랑스어판 〈L'amour est un cadeau〉
디즈니의 애니메이션 영화 《미녀와 야수》의 등장인물 개스톤이 마을 사람들을 선동하는 곡 〈Tuons La Bête〉 (야수를 죽여라)
디즈니의 애니메이션 영화 《노틀담의 꼽추》의 여는 노래인 노틀담의 종의 프랑스어판 〈Les Cloches de Notre Dame〉 위의 미녀와 야수와 함께 이 두 작품은 프랑스가 배경이므로, 이 자체는 원어 더빙이라고 할 수 있다. 심지어 이들의 원작도 프랑스 작품이다.
2012년 TV 프로그램 Littlest Pet Shop의 삽입곡 "Chez Paris"의 프랑스어판
Golden Moustache의 동영상
프랑스의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 대회 Iron Squid의 프랑스어 중계#
로비 윌리엄스의 〈Supreme〉 프랑스어판
프랑스 3대 뮤지컬 중 하나인 《노트르담 드 파리》의 넘버 'Le Temps des Cathédrales' (영어로 직역하면 'The age of the cathedrales')
Indila의 Dernière Danse (마지막 댄스)
프랑스어 라디오 채널: 1 2
무료 오디오북 서비스: #
디시인사이드 성우 갤러리에서 프랑스어 성우계에 대한 정보를 정리해 놓은 글. #1 #2
이자벨 위페르가 출연한 다가오는 것들의 한 장면
프랑스의 군가《양파의 노래》
거의 구개수음(ㅎ)에 가까운 R 발음을 노래에서는 치경 전동음(ㄹ)으로 비교적 부드럽게 발음하는 편이다.
11.4. 언어학 올림피아드
국제 언어학 올림피아드에서 2003년 1회 대회 개인전 5번 문제로 프랑스어 동사를 주제로 한 문제가 출제되었다. 주어진 데이터만 가지고 규칙을 파악해야 하는 언어학 올림피아드 문제의 특성상, 프랑스어와 같이 큰 영향력을 가진 메이저 언어가 출제되는 것은 초창기를 제외하고는 찾아보기 힘들다. 당시 프랑스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는 프랑코포니 국가에서 대표팀을 보내지 않기는 했지만 프랑스어를 배워 본 학생이 출전자 중에 과연 없었을까.12. 언어별 명칭
한국어 | 프랑스어, 불어 |
한자 | 佛語, 法語 |
중국어 | 法语 |
프랑스어 | Langue Française |
영어 | French language |
13. 관련 문서
1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colbgcolor=#ce1126> 상징 | <colcolor=#000,#fff>국가 |
역사 | 역사 전반 | |
사회 | 사회 전반 | |
정치·치안·사법 | 정치 전반 · 모나코 연합 · 그리말디 가문 | |
외교 | 외교 전반 · 프랑코포니(국제기구) · 여권 · 유럽안보협력기구 | |
경제 | 경제 전반 · 유로 | |
국방 | 모나코군(프랑스군) | |
문화 | 문화 전반 | |
언어 | 프랑스어 · 리구리아어 · 오크어 | |
스포츠 | 모나코 축구 국가대표팀 · 모나코 그랑프리 | |
지리 | 모나코(도시) · 몬테 카를로 · 알프스 | |
기타 | 프랑스인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ae042><colbgcolor=#ed2939> 상징 | 국가 |
역사 | 역사 전반 · 부르고뉴령 네덜란드 · 합스부르크 네덜란드 ·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 벨기에 합중국 · 네덜란드 연합왕국 · 연합 네덜란드 주권공국 · 벨기에 왕국 · 벨기에 식민제국 | |
사회 | 사회 전반 · 인구 · 행정구역 | |
정치·치안·사법 | 정치 전반 · 국왕 · 행정구역 · 벨기에 왕조 · 벨기에 연방의회 | |
선거 | 유럽의회 선거 | |
외교 | 외교 전반 · 베네룩스 · 옛 식민지 국가들과의 관계 · 여권 · 유럽연합 | |
경제 | 경제 전반 · | |
교육 | 교육 전반 | |
국방 | 벨기에군 · NATO | |
교통 | 철도 환경(벨기에 국철 · 유로스타 · Thalys · ICE) | |
문화 | 문화 전반 · 영화 · 요리 · 보렌반트 · 관광 | |
언어 | 벨기에/언어(벨기에 플람스 공동체 · 벨기에 프랑스어 공동체 · 벨기에 독일어 공동체) · 프랑코포니 · 네덜란드어 연합 | |
스포츠 | 축구 국가대표팀 · 풋살 국가대표팀 · 벨기에 그랑프리 | |
기타 | 벨기에인(한국계) 벨기에계 미국인 · 벨기에계 멕시코인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ED2939 70%, #ED2939 80%, #fff 80%, #fff 90%, #00A1DE 90%, #00A1DE);")";"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colbgcolor=#ed2939> 상징 | <colcolor=#000,#fff>국가 |
역사 | 역사 전반 · 네덜란드 연합왕국 · 연합 네덜란드 주권공국 · 룩셈부르크 대공국 | |
사회 | 사회 전반 · 인구 · 룩셈부르크 역 | |
정치·치안·사법 | 정치 전반 · 룩셈부르크 의회 · 룩셈부르크 총리 | |
선거 | 유럽의회 선거 | |
외교 | 외교 전반 · 베네룩스 · 여권 · 유럽연합 | |
경제 | 경제 전반 · | |
교육 | 교육 전반 | |
국방 | 룩셈부르크군 · NATO | |
문화 | 문화 전반 · 요리 · 관광 | |
언어 | 룩셈부르크어, 프랑스어, 독일어 | |
스포츠 | 축구 국가대표팀 | |
지리 | 룩셈부르크(도시) | |
기타 | 룩셈부르크인(룩셈부르크계 미국인)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colbgcolor=#da291c> 상징 | <colcolor=#000,#fff>국호 · 국가 · 국기 |
역사 | 역사 전반 | |
정치 | 정치 전반 · 의회 원내 구성 · 스위스 대통령 | |
외교 | 외교 전반 · 스위스 연방 여권 · EFTA · JUSCANZ | |
경제 | 경제 전반 · 스위스 프랑 | |
교통 | 철도 환경(스위스 연방철도 · ICE · TGV 리리아) | |
국방 | 스위스군 · 육군 · 공군 · 스위스군 특수부대사령부 · 스위스 군사경찰 · 스위스 군사정보국/예방보호국 | |
치안·사법 | 스위스 연방경찰실 | |
문화 | 요리 · 관광 · 언어(독일어(스위스 독일어) · 프랑스어 · 이탈리아어 · 로망슈어) · 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 | |
지리 | 주 목록(틀) · 베른 · 취리히 · 알프스산맥 · 보덴 호 | |
디아스포라 | 스위스계 미국인 · 스위스계 아르헨티나인 · 스위스계 캐나다인 · 스위스계 러시아인 | |
기타 | 스위스인(러시아계 · 한국계) · 스위스 근위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ed161f 10%,#fff 10%,#fff 90%,#ed161f 90%)";"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00a750><colbgcolor=#fff> 상징 | <colcolor=#000,#fff>국가 · 국기 · 국장 · 백향목 · 줄무늬하이에나 |
역사 | 역사 전반 · 페니키아 · 레바논 아미르국 · 1958년 레바논 위기 · 레바논 내전 | |
정치·치안·사법 | 정치 전반 · 헤즈볼라 · 레바논 대통령 | |
외교 | 외교 전반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 |
경제 | 경제 전반 · 레바논 파운드 | |
국방 | 레바논군 | |
문화 | 문화 전반 · 요리 · 후무스 · 레바논 축구 국가대표팀 · 레바논 영화 · 아랍어 · 프랑스어 | |
인물 | 카림 하비브 · 타이거 루아스 | |
지리 | 베이루트 | |
사회 | 레바논 마피아 | |
민족 | 레바논인 · 레바논계 브라질인 · 레바논계 아르헨티나인 · 레바논계 호주인 · 레바논계 멕시코인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radial-gradient(circle, #fff 60.9%, transparent 61.1%), linear-gradient(to left, #e70013 15%, #e70013 15%, #e70013 85%, #e70013 85%, #e70013 85%)"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e70013><colbgcolor=#fff> 상징 | <colcolor=#000,#fff>국가 |
역사 | 역사 전반 · 고대 카르타고 · 아글라브 왕조 · 파티마 왕조 · 하프스 왕조 · 튀니지 혁명 | |
정치·치안·사법 | 정치 전반 · 엔나흐다 · 민주적 흐름 | |
외교 | 외교 전반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 아프리카 연합 · 튀니지 공화국 여권 | |
경제 | 경제 전반 · 튀니지 디나르 | |
국방 | 튀니지군 | |
문화 | 문화 전반 · 요리 · 쿠스쿠스 · 타진 · 라블라비 · 튀니지 영화 · 튀니지 축구 국가대표팀 · 튀니지 농구 국가대표팀 · 튀니지 리그 프로페시오넬레 1 · 아랍어 방언 · 프랑스어 | |
인물 | 하비브 부르기바 · 벤 알리 · 모하메드 부아지지 | |
지리 | 사하라 사막 · 카르타고 · 제르바 섬 | |
관광 | 튀니지/관광 | |
민족 | 마그레브 아랍인 | |
기타 | 튀니지 국민4자대화기구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63deg, #007fff 75%, #f7d618 75%, #f7d618 77%, #ce1021 77%, #ce1021 85%, #f7d618 85%, #f7d618 87%, #007fff 87%)"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7d618><colbgcolor=#ce1021> 상징 | 국가 |
역사 | 콩고민주공화국/역사 · 콩고 왕국 · 벨기에 식민지 콩고 · 콩고 독립국 · 벨기에령 콩고 · 레오폴드빌 콩고 · 자이르 · 콩고 내전(콩고 전쟁) | |
정치·치안·사법 | 정치 전반 | |
외교 | 외교 전반 · 아프리카 연합 · 프랑코포니(국제기구) · 동아프리카 공동체 | |
경제 | 경제 전반 · 콩고민주공화국 프랑 | |
국방 | 콩고민주공화국군 | |
문화 | 문화 전반 · 요리 · 콩고민주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 프랑스어 · 콩고어 · 링갈라어 | |
인물 | 파트리스 루뭄바 · 조제프 카사부부 · 모부투 세세 세코 · 로랑 데지레 카빌라 · 조제프 카빌라 · 펠릭스 치세케디 | |
지리 | 콩고 분지 · 콩고 강 · 탕가니카 호 | |
민족 | 콩고족 · 반투족 · 음부티족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45deg, #fff 5%, #d7141a 5%, #d7141a 6%, #fff 6%, #fff 50%,transparent 50%), linear-gradient(to bottom, #6ab2e7 50%,#12ad2b 50%)" | ||
<colcolor=#fff>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d7141a><colbgcolor=#fff> 상징 | <colcolor=#000,#fff>국가 |
역사 | 역사 전반 | |
정치·사법·치안 | 정치 전반 · 지부티 대통령 | |
외교 | 외교 전반 · 아프리카 연합 · 아랍 연맹 | |
경제 | 경제 전반 · 지부티 프랑 | |
국방 | 지부티군 | |
문화 | 소말리아 · 지부티 요리 · 지부티 축구 국가대표팀 · 프랑스어 · 소말리어 · 아파르어 · 아랍어 | |
지리 | 아프리카의 뿔 · 지부티(도시) | |
민족 | 소말리인 · 아파르족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D01C1F 10%,#00A95C 10%,#00A95C 90%,#D01C1F 90%)"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c400><colbgcolor=#00A95C> 상징 | <colcolor=#000,#fff>국가 · 모리타니/국장 |
역사 | 역사 전반(가나 제국) | |
정치·치안·사법 | 정치 전반 | |
외교 | 외교 전반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 아프리카 연합 | |
경제 | 경제 전반 · 모리타니 우기야 | |
국방 | 모리타니군 | |
교통 | 모리타니 항공 | |
문화 | 문화 전반 · 언어 · 요리 · 모리타니 축구 국가대표팀 · 아랍어(하사니야어) · 프랑스어 | |
지리 | 누악쇼트 · 누아디부 · 사하라의 눈 | |
기타 | 배의 무덤 | |
민족 | 무어인 · 마그레브 아랍인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77F00 33%,#fff 33%,#fff 66%,#009E60 33%)"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colbgcolor=#F77F00> 상징 | <colcolor=#000,#fff>국가 |
역사 | 콩 제국 · 아샨티 제국 · 제1차 코트디부아르 내전 · 제2차 코트디부아르 내전 | |
외교 | 외교 전반 · 아프리카 연합 · 이슬람 협력기구 · 프랑코포니(국제기구) | |
경제 | CFA 프랑/서아프리카 | |
국방 | 코트디부아르군 | |
문화 | 문화 전반 · 요리 · 코트디부아르 축구 국가대표팀 · 코트디부아르 농구 국가대표팀 · 프랑스어 · 트위어 · 풀라어 · 하우사어 · 밤바라어 · 모시어 | |
인물 | 알라산 와타라 | |
지리 | 아비장 · 부아케 · 야무수크로 · 콩(코트디부아르) | |
민족 | 아칸족 · 아샨티족 · 하우사족 · 밤바라족 · 모시족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008751 25%, transparent 25%), linear-gradient(to bottom, #FCD116 50%, #E8112D 50%, #E8112D 100%)"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E8112D><colbgcolor=#FCD116> 상징 | 국가 |
역사 | 역사 전반 · 다호메이 왕국 · 프랑스령 서아프리카 · 다호메이 공화국 · 베냉 인민공화국 | |
정치·치안·사법 | 정치 전반 | |
외교 | 외교 전반 · 프랑코포니 · 이슬람 협력기구 · 아프리카 연합 | |
경제 | 경제 전반 · CFA 프랑/서아프리카 | |
국방 | 베냉군 | |
문화 | 문화 전반 · 요리 · 베냉 축구 국가대표팀 · 부두교 · 프랑스어 · 퐁어 · 모시어 · 하우사어 · 요루바어 · 에웨어 · 송가이어 | |
인물 | 마티외 케레쿠 · 파트리스 탈롱 | |
지리 | 포르토노보 · 코토누 · 나이저 강 | |
민족 | 퐁족 · 모시족 · 하우사족 · 요루바 · 에웨족 · 송가이족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e05206 10%,#fff 10%,#fff 90%,#0db02b 90%)"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colbgcolor=#0db02b> 상징 | 국가 |
역사 | 역사 전반 | |
정치·치안·사법 | 정치 전반 | |
외교 | 외교 전반 · 이슬람 협력기구 · 아프리카 연합 | |
경제 | 경제 전반 · CFA 프랑/서아프리카 | |
국방 | 니제르군 | |
문화 | 문화 전반 · 요리 · 니제르 축구 국가대표팀 · 프랑스어 · 송가이어 · 하우사어 · 투아레그어 · 풀라어 · 카누리어 | |
지리 | 니아메 · 나이저 강 · 아가데즈 · 사하라 사막 · 차드 호 | |
민족 | 송가이족 · 하우사족 · 투아레그족 · 풀라족 · 카누리족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53F 33%,#FDEF42 33%,#FDEF42 66%,#E31B23 33%)"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00853f><colbgcolor=#FDEF42> 상징 | <colcolor=#000,#fff>국가 |
역사 | 졸로프 왕국 · 세네감비아 연합 | |
외교 | 외교 전반 · 아프리카 연합 · 프랑코포니(국제기구) · 포르투갈어 사용국 공동체 | |
경제 | 경제 전반 · CFA 프랑/서아프리카 | |
국방 | 세네갈군 | |
문화 | 문화 전반 · 언어 · 요리 · 세네갈 축구 국가대표팀 · 애틀랜틱스 · 프랑스어 · 만딩카어 · 풀라어 · 월로프어 · 밤바라어 · 하사니야어 | |
인물 |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 |
지리 | 다카르 · 카자망스 · 세네갈강 · 감비아 강 | |
민족 | 만딩카족 · 풀라족 · 월로프족 · 세레르족 · 밤바라족 · 소닝케족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45deg, #D21034 17%, #fff 17%, #fff 20%, #D21034 20%, #D21034 35%, #006A4E 35%, #006A4E 80%, #FFCE00 80%, #FFCE00 85%, #006A4E 85%, #006A4E 90%, #FFCE00 90%, #FFCE00 95%, #006A4E 95%)"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006A4E><colbgcolor=#FFCE00> 상징 | 국가 |
역사 | 역사 전반 · 아샨티 제국 · 다호메이 왕국 · 스웨덴령 골드코스트 · 독일령 서아프리카 · 동토고 · 사헬 내전 | |
정치·치안·사법 | 정치 전반 | |
외교 | 외교 전반 · 영연방 · 프랑코포니 · 이슬람 협력기구 · 아프리카 연합 | |
경제 | 경제 전반 · CFA 프랑/서아프리카 | |
국방 | 토고군 | |
문화 | 문화 전반 · 요리 · 토고 축구 국가대표팀 · 부두교 · 프랑스어 · 퐁어 · 요루바어 · 에웨어 | |
인물 | 냐싱베 에야데마 · 포르 냐싱베 | |
지리 | 로메 | |
민족 | 에웨족 · 아샨티족 · 요루바 · 아칸족 · 퐁족 | |
기타 | 아코데세와 주물 시장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15%, #d21034 15%, #d21034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to bottom, #003082 25%, #FFF 25%, #FFF 50%, #289728 50%, #289728 75%, #ffce00 75%)"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ce00><colbgcolor=#003082> 상징 | <colcolor=#000,#fff>국가 · 국장 |
역사 |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우방기샤리) · 중앙아프리카 제국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내전 | |
정치·치안·사법 | 정치 전반 · 대통령 | |
외교 | 외교 전반 · 아프리카 연합 · 프랑코포니(국제기구) | |
경제 | 경제 전반 · CFA 프랑/중앙아프리카 | |
국방 | 중앙아프리카공화국군 | |
문화 | 문화 전반 · 요리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 프랑스어 · 상고어 | |
인물 | 장 베델 보카사 · 앙드레 콜링바 · 프랑수아 보지제 | |
지리 | 방기 · 우방기 강 | |
민족 | 우방기어족(반다족·바야족) · 사라족 · 풀라족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0deg, #009543 25%, #fbda4a 25%, #fbda4a 75%, #dc241f 75%)"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dc241f><colcolor=#fbda4a> 상징 | <colcolor=#000,#fff>국가 · 국기 |
역사 | 콩고 왕국 ·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 · 콩고 인민공화국 · 콩고 내전 | |
정치·치안·사법 | 정치 전반 | |
외교 | 외교 전반 · 아프리카 연합 · 프랑코포니(국제기구) | |
경제 | 경제 전반 · CFA 프랑/중앙아프리카 | |
국방 | 콩고 공화국군 | |
문화 | 문화 전반 · 요리 · 콩고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 프랑스어 · 콩고어 | |
인물 | 조아킴 욤비오팡고 · 드니 사수 응게소 | |
지리 | 콩고 분지 · 콩고 강 | |
민족 | 콩고족(라리족) · 팡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9E60 10%,#FCD116 10%,#FCD116 90%,#3A75C4 90%)"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3A75C4><colbgcolor=#FCD116> 상징 | 국가 · 가봉/국기 |
역사 | 역사 전반 ·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 | |
정치·치안·사법 | 정치 전반 · 가봉 민주당 | |
외교 | 외교 전반 · 영연방 · OPEC · 프랑코포니 · 아프리카 연합 | |
경제 | 경제 전반 · CFA 프랑/중앙아프리카 | |
국방 | 가봉군 | |
문화 | 문화 전반 · 요리 · 가봉 축구 국가대표팀 · 프랑스어 | |
지리 | 리브르빌 · 포르장틸 · 중앙아프리카 | |
민족 | 팡 | |
인물 | 오마르 봉고 · 알리 봉고 온딤바 · 브리스 클로테르 올리기 응게마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2664 33%,#fecb00 33%,#fecb00 66%,#c60c30 33%)"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c60c30><colcolor=#fecb00> 상징 | 국가 |
역사 | 카넴-보르누 제국 · 와다이 술탄국 · 바기르미 술탄국 · 실루크 왕국 ·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프랑스령 차드) · 차드 내전 | |
정치·치안·사법 | 정치 전반 · 대통령 | |
외교 | 외교 전반 · 아프리카 연합 · 프랑코포니(국제기구) · 이슬람 협력기구 | |
경제 | 경제 전반 · CFA 프랑/중앙아프리카 | |
국방 | 차드군 | |
문화 | 문화 전반 · 요리 · 차드 축구 국가대표팀 · 프랑스어 · 카누리어 · 풀라어 · 하우사어 · 아랍어(차드 아랍어) · 차드어군 · 카스카라 | |
인물 | 프랑수아 톰발바예 · 이센 아브레 · 이드리스 데비 · 마하마트 데비 이트노 | |
지리 | 은자메나 · 차드 호 · 사하라 사막 · 사헬 | |
민족 | 카누리족 · 사라족 · 투부족 · 풀라족 · 바까라족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cd116><colbgcolor=#ce1126> 상징 | 국가 |
역사 | 코토코 · 독일령 서아프리카 · 영국령 카메룬 / 프랑스령 카메룬 | |
정치·치안·사법 | 정치 전반 · 카메룬 대통령 · 암바조니아 | |
외교 | 외교 전반 · 아프리카 연합 | |
경제 | 경제 전반 · CFA 프랑/중앙아프리카 | |
국방 | 카메룬군 | |
문화 | 문화 전반 · 요리 · 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 · 카메룬 농구 국가대표팀 · 카메룬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카메룬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 영어 · 프랑스어 · 풀라어 · 팡어 | |
인물 | 아마두 바바투라 아히조 · 폴 비야 | |
지리 | 야운데 · 두알라 · 베누에강 · 사나가 강 · 차드 호 · 바카시 반도 | |
사회 | 보코 하람 | |
민족 | 반투족 · 팡족 · 풀라족 · 바까라족 |
[일부] 일부 지역에서 제1언어 사용자 다수 거주[일부] [일부] [4] 제1언어 사용자 기준.[5] 제1언어 + 제2언어 사용자 기준.[6] 한국어 해석: 1. 모든 사람은 공동체의 문화생활에 자유롭게 참여하며 예술을 향유하고 과학의 발전과 그 혜택을 공유할 권리를 가진다. 2. 모든 사람은 자신이 창작한 과학적, 문학적 또는 예술적 산물로부터 발생하는 정신적, 물질적 이익을 보호받을 권리를 가진다.[7] '마왕'은 미셸 투르니에가 1970년에 공쿠르상을 수상하게 만든 걸작이며, 한 병사에 대한 이야기에 운명적인 서사 구조를 덧붙이고 식인귀 신화를 중첩시킨 프랑스 전후 문학의 걸작으로 평받는 문학 작품 중 하나이다.[8] 일본식 음역인 불란서(佛蘭西)에서 유래됐다. 중국식 음역은 법란서(法蘭西)라서 '법어'라고 부른다. 여담으로 불어(佛語)와 법어(法語)는 둘 다 부처의 말을 뜻할 때도 쓰인다.[9] 사실 그렇게까지 놀라운 일은 아닌 것이, 남북한 인구를 합치면 프랑스 인구보다 많다.[10] 엄밀히 말하면 프랑코포니는 2개의 의미가 있다. 소문자 "la francophonie"는 프랑스어권 세계를 뜻하고, 대문자 "la Francophonie"는 프랑스어권 세계와 협력을 추진하려는 국가들이 모이는 국제기구의 이름이다. 프랑스어가 널리 통용되는 알제리는 두말할 것 없는 프랑스어권(la francophonie)의 일부지만 정치적인 이유로 프랑코포니 기구(la Francophonie)의 회원국은 아니다. 반면 대한민국은 프랑코포니 기구의 참관국이지만 프랑스어권에 조금도 속하지 않은 나라이다.[11] 르완다에서는 폴 카가메의 독재 정치와 프랑스어 배제 정책 때문에 현재 프랑스어 사용이 점점 줄어드는 추세다.[12] 적도 기니는 스페인과 프랑스의 식민 지배를 받아 수도가 있는 섬 지역은 스페인어, 뭍 지역은 프랑스어를 공용어로 쓴다. 포르투갈어 사용국 공동체에 들어가 포르투갈의 경제 지원을 받으려고 한 일이 있지만, 2012년 헌법 개정으로 포르투갈어가 공용어에서 빠졌다.[13] 포르투갈어가 주요 공용어지만, 프랑스어도 공용어로 정했다.[14] 알제리 전쟁과 프랑스령 시절의 가혹한 프랑스의 지배가 비수가 되고, 독립 전후 프랑스와의 외교 분쟁으로 인해 프랑코포니 기구에 가입하지 않았다.[15] 영어로는 폰디체리, 인도화된 발음은 푸두체리이며, 프랑스어 발음은 퐁디셰리이다.[16] 프랑스가 세운 남베트남의 전신인 베트남국 정부의 지배층의 다수가 프랑스어로 교육받고 자라 소수의 친불 기득권을 형성하고 있었기에 이들은 일종의 선민의식을 가지며 베트남이 분단되자 북에서 내려온 지주, 식자층과 함께 자기들끼리 프랑스어를 사용했다. 당연하지만 베트남이 공산화되는 과정에서 이들의 상당수는 미국이나 프랑스 등 해외로 도피하며 사회 지도층의 언어로서의 프랑스어도 소멸되었다.[17] 프랑스가 북태평양에 보유한 유일한 영토다.[18] 제4차 십자군 원정에 의한 동로마 제국의 쇠퇴, 호엔슈타우펜 왕조의 몰락, 학술 분야에서의 파리 대학 독주 등[19] 서유럽 한정으로는 상류층 기준으로 중세 시대에도 준공용어로 대접받았다. 리처드 1세만 하더라도 영국 국왕임에도 불구하고 프랑스어를 모어로 여겼으며, 서유럽 각지에서 몰려온 기사들로 가득했던 예루살렘 왕국도 프랑스어를 준공용어로 취급할 정도였다.[20] 백 년 전쟁 이전까지 잉글랜드 왕가가 프랑스에 가스코뉴 등의 영지를 갖고 있어서 자신들의 '주인'인 프랑스 왕가와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프랑스어를 익혀두어야만 했고 이것이 점차 '평민은 영어만 쓸 줄 알지만 상류층은 프랑스어도 할 줄 안다'는 특권 의식으로 발전해서 백 년 전쟁으로 두 나라가 원수지간으로 찢어지기 전까지는 프랑스어의 유입이 활발했다. 앙코르, 데자뷔, 쿠데타 등이 이렇게 프랑스어에서 넘어간 영단어의 대표적인 예시이다.[21] 이들은 프랑스어가 공용어인 캐나다의 국왕직을 겸한다.[22] 심지어 발레다오스타는 프랑스 왕국보다 프랑스어의 공용어 선언이 더 빨랐다.[23] 게다가 독일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중국어, 튀르키예어, 아랍어, 페르시아어, 베트남어, 인도네시아어, 태국어와 함께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다. 이 숫자는 여기의 인구 자료에서 프랑스어권 인구의 수를 모두 합한 것이다.[24] 그리고 아프리카 내에서도 나름 인권이 지켜지며 살만하다고 여겨지는 안정된 국가들은 대부분 프랑스어를 일상어로 쓰지 않는다. 그나마 알제리와 모로코 정도.[25] 애시당초 그의 가문인 플랜테저넷 가문부터가 본래는 프랑스인 귀족 가문으로서 앙주 지역을 다스리던 프랑스 영주 집안이었다. 노르만 왕가와 인척 관계를 맺고 있다가 아버지인 앙리(헨리 2세)가 단절된 노르만 왕가의 뒤를 이어 잉글랜드 왕위를 가진 것이므로 바로 그 아들 세대인 리처드 1세는 엄밀히 말하면 프랑스인으로서의 정체성이 훨씬 강할 수밖에 없었다.[26] 위키백과 영어판 해당 항목 참고.[27] 한편 알렉산드르 푸시킨, 안톤 체호프 등의 희곡을 전공하는 학생들 역시 프랑스어를 배우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장 라신 등 프랑스 극작가들의 정전을 공부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28] 형용사 diurnus의 중성형[29] nox의 대격(목적격)[30] 영어 단어로도 어느 정도 짐작이 가능하기도 하다. Diurnum은 diurnal, noctem은 nocturnal, nuit야 당연히 night[31] 얘는 좀 특별한데, 단순 미래, 조건법의 어간 ir-는 라틴어 ire(가다)에서, allons과 allez를 제외한 현재형은 라틴어 vadere(가다)에서 왔다. 단어 세 개가 합쳐져 하나가 된 것이다.[32] 타 로망스어군에서도 겪은 4번째 과정(장음의 이중 모음화)을 제외[33] 참고로 로망스어군이 속한 이탈리아어파와 켈트어파는 인도유럽어족에서 비교적 최근에 갈라진 편이다.[34] 1154~1485[35] 프랑스어뿐만 아니라 이탈리아계 로망스어와 이탈리아어도 르네상스의 전파나 문화적 교류 과정에서 유입됐고, 오늘날에는 미국 남부와 서부 지역 영어를 중심으로 스페인어 어휘들의 유입 및 차용 또한 활발하다.[36] 라틴어에서 직접 영향을 받은 경우도 있으니 어원을 확인해야 한다. 대부분 -ate 접미사가 붙은 동사나 라틴어 원형 그대로 온 어휘들은 직접 라틴어를 거처 온 경우가 많다.[37] 마찬가지로 이쪽은 로망스어 어감이 나도 마찬가지로 풍부한 요리 문화를 지닌 이탈리아나 스페인의 영향을 받은 경우도 제법 있으니 어원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물론 그마저도 결국 차용은 프랑스어에서 차용한 어휘가 많긴 하다.[38] 고대 프랑스어 contraire와 영국 방언 노르만 프랑스어 contrarie를 거처 온 영어 단어이다.[39] 라틴어 persistare를 거처 고대 프랑스어 persister에서 온 단어이다.[40] 형용사 present도 역시 고대 프랑스어 present에서 온 영어 단어, circumstance는 라틴어 circumstantia와 고대 프랑스어 circonstance를 거처 온 영어 단어이다.[41] 이 두 단어도 고대 프랑스어 출신이다. salvation은 고대 프랑스어 salvacion에서, deliverance은 고대 프랑스어 delivrance에서 온 것이다. 참고로 현대 프랑스어에서 구원을 의미하는 단어는 salut이라고 한다.[42] 이 단어는 라틴어 familia를 통해서 온 단어이다.[43] 라틴어 perire에서 고대 프랑스어 perir의 3인칭 복수 어근인 periss- 부분에서 영어식으로 만들어 온 단어이다.[44] 영어와 문법 구조적으로 가장 유사한 주요 언어는 덴마크어와 노르웨이어와 스웨덴어를 비롯한 북유럽 언어들이다.[45] 고고지 독일어 사료는 스트라스부르 서약문이 발굴된 가장 오래된 자료는 아니지만, 역사적 가치는 월등하다.[46] 한 행에서 음절을 12개로 나누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연결된 두 행의 어미로 각운을 만든다.[47] 서양 언어권이 아닌 곳에서 온 외래어의 케, 키 발음은 que, qui가 아니라 그냥 ke, ki로 표기한다. 어말 ㅁ, ㄴ 발음도 -me, -ne가 아니라 -m, -n으로 적는다.[48] 각각 1.362%, 0.427%로 로마자 사용 언어 중 가장 높다.[49] 영어를 제외한 유럽 언어 중 유일하게 e의 명칭이 /e/~/ɛ/가 아닌 /ə/이다.[A] 다른 모음과 겹칠 경우[A] [52] 독일어 등에서 차용한 외래어에서만.[53] 지방어가 잘 보존되어 있는 극히 일부 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지방어는 현지인들조차 생소하게 생각한다.[54] 지방어가 아닌 프랑스어의 방언은 한국어의 방언과 같이 전체적으로는 차이가 크진 않다. 한국어 방언 중 동남 방언의 개성이 강한 것처럼 프랑스어의 방언 중에서도 프로방스 특히 마르세유 방언의 개성이 강하다.[55] 프랑스어 공동체가 아닌 왈롱 지역의 지방어이기 때문에 게르만계 언어도 포함되어 있다.[56] 프랑스어에 플람스어 어휘가 섞여있다.[57] 말 그대로 한 주의 끝[58] 사실 스페인어와 포르투갈어로 주말이라고 쓰는 말과 똑같은 형식이다. 스페인어와 포르투갈어로는 fin de semana.[59] 프랑스에서 Arrêt는 버스 정거장을 가리킨다.[60] 대성당들의 시대에서도 1482를 Mill quatre-cent quatre-vingt deux라고 한다.[61] 이러한 표현 방식은 벨기에의 식민지였던 콩고민주공화국에서도 마찬가지다.[62] 실제로 프랑스인이 캐나다에 가면 한동안 정말 말을 못 알아듣기도 한다. 캐나다 사람이야 TV를 비롯한 여러 매체에서 프랑스식 발음을 많이 접하니 그런 문제는 없지만.[63] 이 인사를 단순히 '좋은(bon) 아침(jour)'이라고 그대로 직역하면 오류가 생길 수 있다. 왜냐하면 실제 용례에서는 해가 뜨기 시작한 아침부터 해가 어둑해지기 전인 오후 5~6시까지 계속 쓰이기 때문이다. 이 인사만 가지고 '아침'에 한 인사인지 '오후 4시'에 한 인사인지 구분할 수 없다. (어린 왕자를 새로 번역한 모 출판사 대표의 논리인데 '봉주르 = 좋은 아침'은 이래서 잘못된 번역이라는 비판이 끊이지 않는다. 게다가 헤어질 때는 여성형인 'Bonne journée'로 변하는데, 그런 논리로 이건 어떻게 번역할 건지?) 또 드물지만 밤에도 그냥 이렇게 인사하는 현지인도 더러 있다.[64] 프랑스어는 만날 때와 헤어질 때의 인사가 다르다. 정말 아주 간단히 말하면 만났을 땐 남성형, 헤어질 땐 여성형을 쓴다. 따라서 반드시 세트로 기억해야 한다.[65] 대개 오후 6시부터 새벽까지 계속 쓰인다. 간단히 말해 '낮 인사 = 봉주르, 밤 인사 = 봉수아르' 이렇게 생각하면 쉽다. (만났을 때) Salut는 '봉주르'와 '봉수아르'를 모두 대체할 수 있는, '만났을 때'의 인사법이다. 반면 Au revoir, Bonne nuit는 '헤어질 때'의 인사다. 다만 Bonsoir를 저녁에 헤어질 때 쓰는 경우도 많다. 상황에 따라서는 아래의 'Bonne soirée'를 대체하기도 한다.#[66] 보통 오후 6시부터 늦은 밤까지 헤어질 때 쓰는 인사다. 참고로 soirée는 '저녁'의 여성형 단어이지만 우리나라로치면 회식이나 모임, 생일 등이 아닌 다른 이유로 여는 파티, 리셉션 등을 가리킬 때 쓰이기도 한다.[67] 위에 설명했듯이 여성형 표현으로 된 인사는 '헤어질 때' 쓰인다. Bonne nuit는 밤이든 새벽이든 만났을 때는 쓰지 않는다. 그리고 '잘자'의 의미가 담겨 있기 때문에 밤 10시나 11시 이후(상대방이 이제 자러 갈 거라 생각되는 시각) 완전히 헤어질 때 쓰인다.[68] 영어의 Hi에 해당하는 표현. 게이머들이라면 오버워치에서 위도우메이커의 인사 표현으로 들었을 단어다. 우리나라에서 꽤 많은 어른들이 상대가 한참 나이가 어리면 '모르는 사이'라도 반말을 쓰는 경향이 있는데 프랑스도 어느 정도 그런 경향이 있다. 상대가 한참 아래면 그냥 막 반말(tutoiement) 해도 상관하지 않는다. 물론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당연히 무례지만, 버스 정류장이나 공원 등에서 마주친 꼬마에게 어른이 Salut라고 인사했다고 부모가 화내는 경우는 없다. 또한 주인장이 상당히 '친절한' 가게 같은 곳에서는 좀 더 친근하게 대하려고 Salut로 인사하기도 한다. 그러니 '내가 어려 보인다고 무시하나?' 이런 오해는 금물. 본래는 Salutation이었으나, 이 말은 묻혀버리고 salut로 줄여졌다. 하스스톤에서 언어를 프랑스어로 설정하고 안두인 린으로 인사를 하면 Salut가 아니라 이렇게 말한다. salutation은 편지에서나 형식적으로 쓰이는 표현이었는데 요즘은 형식상에서도 쓰는 경우가 거의 없다.[69] 이탈리아어에서 온 인사인데 친하거나, 편하게 말할 수 있는 사이거나, 좀 더 살갑게 굴려는 가게의 '주인장'들이 보통은 '헤어질 때' 쓸 수 있는 말이다. tchao로도 쓴다. 가까운 사이와 전화를 끊을 때도 빈번하게 쓰인다.[70] 많은 사람에게 인사할 때 사용한다.[71] 상대가 여럿이거나 가까운 사이가 아닐 경우 사용한다.(가깝더라도 존대를 해야 하는 경우.) 근데 이 경우는 명령법이기 때문에 우리 식으로 '안녕히 주무세요'라는 뜻은 차라리 위의 Bonne nuit가 더 가깝고, 이건 청유에 더 가까운 표현이다.[72] 조금 친한 사이(반말을 쓰는 사이)라면 ouais(우에, 영어의 yeah 정도에 해당하는 말) 사용 가능. 단, ne가 들어가는 부정 의문문에 긍정으로 답할 때는 Si.라고 한다.[73] 형용사로 반갑다는 뜻이며, 앞에 Je suis가 생략되었다. 영어의 (I am) Pleased to meet you를 생각하면 된다. 자신이 여자라면 글로 쓸 때 (e)를 추가해 여성형으로 만들어줘야 한다. 발음은 똑같다.[74] Vous allez bien?(부 잘레 비앵)이나 Comment vas-tu?(코망 바튀)라고도 할 수 있으며 영어의 'How are you?', 'How is it going?'과 같은 뜻이다. allez는 불규칙 3군 동사 aller의 2인칭 단수 격식 혹은 2인칭 복수형이며, '가다'라는 뜻이지만 이런 식으로도 쓰인다. 한국어에는 딱 들어맞는 동일한 어휘가 없다. 대답은 긍정적인 대답으로 Je vais bien(주 베 비앵), 부정적인 대답으로 Je vais mal(주 베 말), 그저 그런 Pas mal이나 약간 예스러운 표현이지만 Comme ci, comme ça쯤으로 해주면 된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Ça va로 답해도 된다. Comment vas-tu?는 2인칭 비격식 대명사인 tu를 사용한 형태로, 말을 놓는 상대에게 사용한다. 대답은 동일. (첨언하자면 주 베 비앵, 주 베 말 등의 표현은 우리식으로 하면 '어떻게 지내요?'라고 상대가 물었는데 '저는 잘 지냅니다'식으로 대답하는 것. 우리 생각에 서양어는 주어 동사 딱딱 넣어서 만들어야 말이 된다고 여기는데 그렇지 않다. 보통 bien, bon처럼 부사나 형용사 하나로 간단하게 '잘요', '좋아요'로 대답하는 게 더 자연스럽고 일반적이다.[75] 역시 'How are you?'같이 안부를 묻는 인사지만, 매우 간소화된 형태다. Ça는 그것/이것이라는 Cela/Ceci의 구어체 형태며, va는 상술한 aller 동사의 3인칭 단수형이다. 지인은 물론 처음 만나는 사람에게도 사용 가능하며,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안부인사다. 또한 수업이나 작업 중에 집중을 안 하고 있을 때 이걸 사용해서 주의를 환기 시키는 용도로 사용하기도 한다.[76] 위에 대한 응답으로, 역시 매우 간단하다. 문법을 엄격하게 적용하면 Ça va bien(사 바 비앵), Je vais bien(주 베 비앵), Très bien(트레 비앵) 등으로 대답하면 된다.[77] Bof(보프), 약간 옛스러운 표현인 Comme ci comme ça(콤 시 콤 사)라고도 대답할 수 있다.[78] 작별 인사 중에서는 가장 많이 쓰인다. 흔히 알려진 Adieu(아디외)는 진짜 송년 때나 누가 죽었을 때 쓰인다. 영원히 다시 만날 수 없는 것을 떠나보내는 느낌이기 때문이다. 차라리 "À bientôt"(아 비앵토, '곧 다시 봐요')를 쓰자.[79] 동거인이나 가족이 함께 손님을 맞이하는 상황에서 쓴다.[80] 여담으로 므시외는 'mon + sieur'(나의~ + 귀하)의 합성어다. 그래서 복수형은 두 단어 모두 복수형으로 바꾼 messieurs(메시외)로 좀 불규칙하게 변한다. 아래의 마담과 마드무아젤도 마찬가지라 각각 mesdames(메담), mesdemoiselles(메드무아젤)로 변화.[81] 하지만 21세기에 들어서 남녀 차별 문제로 인해 사장되어, 아무리 젊은 여성도 마담이라고 부르는 편이 좋다. 받아들이는 사람에 따라 마드무아젤은 실례로 생각할 가능성도 크다.[82] 옛날에는 프랑스에서 사제를 부를 때 쓰는 말로, 어원적으로는 "나의 아버지"라는 뜻이기 때문에 아버지로도 사용이 가능해진 것인데, 일상에선 남에게 '우리 아버지', '저희 아버지'의 표현으로 쓰인다. 프랑스는 가톨릭이 약화된 지 오래라 신자 수도 날이 갈수록 줄고 '사제' 역시 인력 부족 현상이 심하다. 보통 누가 mon père라고 하면 자기 아버지를 말하는 거지 사제를 말하진 않는다. 게다가 사제와 친한 경우, 신자들도 그냥 사제의 이름을 막 부른다. (이름이 곧 우리의 세례명인 서구권에선 그냥 본명을 막 부르는 것.) 또 글에서 사제를 지칭할 땐 P를 대문자로 쓰는 게 보통 Père.[83] 더 쉽게 Vous vous appelez comment?(부 부 자플레 코망?)이라고 해도 된다. 한국어처럼 주어 동사 도치 없이 그냥 문자 끝을 올려 발음해도 의문형이 된다.[84] 직역하면 '나는 나를 □□라고 부릅니다'라는 뜻이다. 이 문장은 영어 사용자는 익숙하지 않을 대명 동사(verbe pronominal)를 사용한 문장이며, 프랑스어에는 이러한 표현이 많다. 참고로 독일어의 'Ich heiße~'와도 일맥상통한다.[85] 여러 명이 모여 있는 상황에서 한꺼번에 자신의 이름을 소개할 때 쓴다.[86] 친한 사이일 경우에는 간단하게 "Tu fais quoi?"(튀 페 쿠아?)라고 할 수 있다.[87] 화자가 여자라면 여성형인 étudiante를 써야 한다.[88] professeur는 영어 professor에 대응되는 말이지만, 프랑스에서 professeur는 초등학교부터 대학교까지의 모든 교사를 지칭한다.[89] 여성일 경우는 여성형을 반드시 지켜준다. 'Je suis'가 영어의 'I am'에 대응하므로 다른 형용사 및 명사를 이용해 다양한 표현을 만들 수 있다.[90] 세계 어디를 가든 같겠지만, 자주 쓸수록 좋은 인상을 얻을 수 있다. 고마움을 더 표현하고 싶다면 Merci beaucoup(메흐시 보쿠) = '정말 고맙습니다'라고 부사를 하나 넣어주자.[91] 이 표현은 가까운 사이에 쓴다. 처음 보는 상대라든지 격식을 차려야 한다면 Je vous en prie(주 부 장 프리, 존대)나 Je t'en prie(주 탕 프리, 반말)를 쓴다.[92] 앞에 Je suis가 생략되어 있는 형태로도 자주 쓰이며, 영어의 sorry와 대응된다. 자신이 여성이라면 역시 말 뒤에 e를 붙여주자.[93] 'C'est pas grave(세 파 그라브).'처럼 축약해서 말하기도 한다. 직역하면 '심각하지 않아요.' 정도.[94] 공적인 자리에선 절대 쓰면 안 된다.[95] 예쁘다고 하고 싶다면 jolie(졸리)를 쓰면 된다.[96] 그리고 보통 이런 표현은 주어 동사 도치를 시키지 않고 그냥 'Tu as faim?(튀 아 팽?)' 정도로 끝에만 올려서 말한다. faim은 종종 '팜'으로 들리기도 한다. 여자, 아내를 말하는 팜(femme)과 혼동하지 말자.[97] '좋네'라는 뜻. 두루두루 쓰임. 여기에 '아주'라는 뜻의 부사를 붙인 것이 그 유명한 C'est si bon이다.[98] 이 경우도 보통 주어 동사 도치를 하지 않고 편하게 말한다. 근데 사실 이것보단 "T'as terminé?"(타 테르미네?) 직역하면 '끝냈어?'에 해당하는 표현을 더 많이 쓴다.[99] 직역하면 '당신의 건강을 위하여!'인데 일상에서 흔히 사용하는 건 'tchin-tchin(친친)'이다. 우리말로 하면 '짠'이다. 이건 진짜 잔을 부딪치며 하는 말.[100] 이 표현은 상대가 무언가 힘들게 성취한 것을 축하할 때 쓰는 말이다. 시험을 통과했다든가, 직장을 구했다든가, 아기를 낳았다든가.[101] 정확한 날짜를 묻는 경우는 "Quelle est la date de votre anniversaire?"(켈 에 라 다트 드 보트르 아니베르세르?)[102] aurais souhité는 영어의 had p.p에 해당한다.[103] ~ vouloir의 완곡 표현이다. 예를 들어서, "Je voudrais une chambre"(방 하나를 원해요), "Je voudrais partir tout de suite"(저는 즉시 떠나기를 원해요), "Je voudrais un jus d'orange"(저는 오렌지 주스를 원해요). 프랑스에 가서 유용하게 쓸 수 있는 구문이므로 꼭 알아두자.[104] 복수형은 메씨외 Messieurs(MM.)이다.[105] 복수형은 메담 mesdames(Mmes)이다.[106] 복수형은 메드므와젤 mesdemoiselles(Mlles)이다.[107] 가령 모나코 공 알베르 2세는 Son Altesse Sérénissime le Prince Albert II de Monaco(송 알테스 세레니스임 르 프행스 알베르 되 드 모나코), 그의 아내인 모나코 공비 샤를린 위트스톡은 Son Altesse Sérénissime la Princesse Charlène de Monaco(송 알테스 세레니스임 라 프행세스 샬렌 드 모나코)라고 한다.[108] 최초로 불한사전인 '법한자전(法韓字典)'을 편찬한 샤를 알레베크이다.[109] 학생들의 신분이 캡션에서는 '왕자'라고 나와 있는데, 아마도 왕족이나 종친 정도 되는 사람들이었던 듯하다.[110] 천주교 서울대교구 제6대 교구장[111] 최소 DELF B2이기는 하나, 이 경우 고득점 성적이 우선시된다.[112] 대표적인 언어가 독일어와 러시아어. 사실 남성과 여성과 중성은 단수일 경우고, 복수까지 고려하면 성이 4개나 마찬가지. 독일어와 러시아어를 먼저 접하면 프랑스어의 명사의 성은 간결한 편이다. 그래도 프랑스어는 복수에서도 남성와 여성을 구분하지만 독일어와 러시아어는 복수에서는 사실상 성 구별이 없다시피 하다.[113] 스페인어에서는 불규칙 동사 변화가 프랑스어보다 훨씬 더 많이 등장한다.[114] Renault를 르노라고 읽는다는 것을 알면 Yves Saint Laurent을 왜 이브 생 로랑으로 읽는지 이해할 수 있다.[115] 스위스나 벨기에의 프랑스어권 지방은 이런 식으로 세지는 않는다. 그들은 프랑스보다 정상적인 숫자로 세기 때문.[116] 한국외국어대학교 프랑스어학과 출신이다.[117] 담강대학 불어불문학과 전공이고, 프랑스에 교환학생으로 활동했었다.[118] 프랑스에서 요리 수업을 배웠고, 파리 시내 레스토랑에서 근무했다.[119] 출처는 영어 위키백과[120] 농협금융회장으로 영어와 프랑스어를 할 줄 안다.#[121] 대학교에서 프랑스어를 전공했다.[122]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에서 유학 생활을 했다.[123] 사진작가로 유년 시절을 부르키나파소에서 지냈고 비정상회담에서 프랑스어로 유창하게 말한 적이 있다.[124] 조지타운 대학교와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정치외교학, 국제관계학을 전공했고 영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일본어 등 5개 언어를 구사할 줄 안다.#[125] 전MBC아나운서로 한국외대 프랑스어학과 출신이었다.[126]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에서 유학 생활을 했다.[127] 미국의 경제학자로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러시아어를 할 줄 안다.#, #[128] 웨일스 출신의 전 주한 EU대사로 영어, 웨일스어,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포르투갈어, 아랍어, 중국어, 튀르키예어, 러시아어, 그리스어, 네덜란드어, 스웨덴어, 덴마크어, 라틴어를 할 줄 안다.##[129] 폴란드의 정치인으로 폴란드어, 영어, 러시아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를 할 줄 안다.#[130] 프랑스어 외에도 한국어, 일본어, 독일어, 스페인어, 라틴어, 몽골어 등을 할 줄 안다.#[131] 프랑스에서 태어나 9살까지 자랐다. 불문학을 전공했으며 에어프랑스에서 통역원으로 2년간 근무했다.[132] 헝가리의 정치인으로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스페인어를 할 줄 안다.#[133] 프랑스어 외에도 독학으로 영어, 스페인어, 네덜란드어, 이탈리아어를 배웠다고 한다.#[134] 포르투갈의 기자이자 NGC 다큐멘터리의 기자로 포르투갈어, 영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일부 아랍어를 구사할 줄 안다.#[135] 네덜란드어권 자유주의 정당 OpenVLD 소속 보건부 장관이며 플람스 억양이 들어가 있긴 하지만 유창한 프랑스어를 구사한다. 의회에서도 발언할 때 프랑스어와 네덜란드어를 섞어 쓴다. 플란데런의 유명 정치인들은 거의 다 프랑스어를 유창하게 구사한다고 보면 된다. 독립파로 유명한 N-VA의 대표인 바르트 더 베버르도 프랑스어가 유창하다.[136] 본명은 권하자 할머니. 한국외대 프랑스어문학과 출신으로 본래는 외교부 출신이었다.[137] 한국외대 프랑스어학과 출신이었다.#[138] 전공이 샹숑이었고, 프랑스인 가톨릭 선교사가 건립한 학교에서 프랑스어를 배웠다.[139] 본래는 조지아 대통령이었지만, 이후에 우크라이나로 망명을 갔고 우크라이나로 귀화했다.[140] 우크라이나 정부에 의해 우크라이나 국적을 잠시 박탈당했다. 하지만 젤린스키 대통령이 국적을 회복시키는 법안에 서명하면서 우크라이나 국적을 회복했다.[141] 고등학교 때 제2외국어로 프랑스어를 배웠다고 밝혔다.[142]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프랑스어를 전공했다.[143] 전 주한영국대사로 모국어인 영어를 포함해서 독일어, 러시아어, 프랑스어, 우크라이나어, 일본어, 한국어를 구사할 줄 안다.#[144] 다만 이쪽은 국적만 일본이고 사실상 프랑스인에 더 가까운데, 출생 직후 성인이 되어 대학 진학 때까지 프랑스에서 거주했다고 하며, 제1언어로 프랑스어를 습득하고 제2언어로 모국어인 일본어, 제3언어로는 영어를 습득했다. 실제로 2021 월즈 인터뷰 때 인터뷰 내용이 길어지고 어려워지자 기자들에게 양해를 구하고 프랑스어로 인터뷰를 대응하는 모습을 보여준 적이 있다.[145] 독일의 정치인으로 모국어인 독일어 이외에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튀르키예어, 아랍어를 할 줄 안다. ##[146] 프랑스에서 유학 생활을 했기 때문에 프랑스어가 유창하다.[147] 단, 프랑스어 발음이 좋지 못했다.[148] 불어불문과 전공.[149] 프랑스어과를 공부했다.[150] 국제농구연맹의 사무총장으로 그리스어, 영어, 스페인어, 독일어, 프랑스어를 할 줄 안다.#[151] DRIPPIN의 前 멤버.[152] 이스라엘의 정보 기관 모사드의 수장으로 히브리어, 영어, 프랑스어, 아랍어를 할 줄 안다.#[153] 단국대학교 불어불문학과 출신이다.[154] 프랑스 국적도 보유하고 있다.[155] 출처는 영어 위키백과[156] 영어를 제외하면 한국인이 접하는 다른 주요 유럽어들은 프랑스어보다 직관적이다. 스페인어, 이탈리아어는 말할 것도 없고, 독일어도 합성어가 많은 특성 때문에 처음에는 읽기 곤란해보여도 발음법은 일관적이라 조금만 배운다면 쉽게 읽을 수 있다. 유럽 언어 중 가장 이질적인 핀란드어도 발음 하나는 매우 직관적이다.[157] 에어리어 88에서 롤랑 봇슈가 카자마 신을 자신의 아지트에 데려오면서 이 건물은 루이 왕조 시대에 혀가 말리다가 기도를 막을 거 같은 이름의 귀족이 지은 건물이라고 소개하는 것만 봐도 어떤 취급인지 알 수 있다.[158] 작가가 학창 시절 프랑스어에 흥미가 있었다고 한다.[159] 43권[160] 사실 샹송이 프랑스어로 노래라는 뜻이라 프랑스어로 불렀다면 모두 샹송이 되겠지만 뜻을 모르던 국내에서는 특유의 우아하고 차분한 노래 장르라고 아는 사람이 많았기 때문이다.[161] 1800년대 프랑스의 시인이자 소설가. 원래 화가 지망생이었지만 빅토르 위고의 영향으로 글을 쓰게 되었다.[162] '죽은 연인'이라는 뜻이다. 한국에는 《클라리몽드》라는 제목으로 e북 출간되었다. 동명의 단편 기담집과 혼동하지 말자. 출판사 '지식을 만드는 지식'에서 출간된 《고티에 환상 단편집》에는 '사랑에 빠진 죽은 여인'이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었다.[163] 미카는 영국인이지만, 영국 내에 소재한 프랑스 정부가 설립한 학교를 다닌 적이 있어서 프랑스어가 유창하며, 때문에 종종 프랑스어 노래를 내기도 한다.[164] 정작 프랑스에서 세일러문을 방영할 때는 독자적인 주제가를 사용했었다. 이는 세일러문 20주년 헌정음반에 프랑스 가수 클레망틴(Clémentine)이 커버한 '문 라이트 전설' 프랑스어 버전을 수록한 것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