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221e1f> | }}} | |
{{{#!wiki style="color:#fff; margin:-0px -10px -5px; min-height: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샤요 궁전 Palais de Chaillot | 이에나 다리 Pont d'Iéna | |
에펠 탑 Tour Eiffel | 마르스 광장 Champ de Mars | 군사학교 École Militaire | |
팔레 드 도쿄 Palais de Tokyo | 파리시립현대미술관 Musée d'Art Moderne de la Ville de Paris | 알마 다리 Pont de l'Alma | |
그랑 팔레 Grand Palais | 프티 팔레 Petit Palais | 알렉상드르 3세 다리 Pont Alexandre III | |
앵발리드 Les Invalides | 부르봉 궁전 Palais Bourbon | 콩코르드 다리 Pont de la Concorde | |
마들렌 사원 L'église de la Madeleine | |||
오르세 미술관 Musée d'Orsay | 루브르 Louvre | ||
예술의 다리 Pont des Arts | 파리 조폐소 Monnaie de Paris | ||
뇌프 다리 Pont Neuf | 생제르맹 록세루아 Saint-Germain-l'Auxerrois | 팔레 드 저스티스 Palais de Justice de Paris | |
오 셩쥬 다리 Pont au Change | 샤틀레 분수 Fontaine du Châtelet | ||
생 미셸 다리 Pont Saint-Michel | 노트르담 다리 Pont Notre-Dame | ||
파리 시청사 Hôtel de Ville | 생루이 다리 Pont Saint-Louis | 대주교의 다리 Pont de l'Archevêché | |
투르넬 다리 Pont de la Tournelle | 마리 다리 Pont Marie | 쉴리 다리 Pont de Sully | |
}}}}}}}}} |
<colbgcolor=#FFF><colcolor=#000> 오르세 미술관 Musée d'Orsay | |
| |
| |
국가 | 프랑스 |
위치 | |
Esplanade Valéry Giscard d'Estaing 75007 Paris | |
개관 | 1986년 |
운영 시간 | 09:30 ~ 18:00[1] |
[clearfix]
1. 개요
파리 세느 강변에 위치한 미술관으로 주로 19세기 중반에서 20세기 초반의 작품을 전시한다. 19세기 신고전주의 및 인상파 화가들의 작품과 동 시대 조각가들의 작품이 주된 전시물이다. 1986년 개관했으며, 프랑스 내 유명 미술관 중에서 비교적 역사가 짧은 편이다.루브르 및 퐁피두 센터와 더불어 프랑스의 파리의 3대 미술관 중 하나로 꼽힌다. 참고로 오랑주리 미술관과 같은 운영위원회에 의해 운영되는데, 두 미술관을 동시에 둘러볼 수 있는 공동 입장권도 있다.
2. 상세
사진도 예술로 인정하여 컬렉션에 포함시켰다. 이 결정은 비교적 이른 시기인 1970년대에 했다. 당시 프랑스에는 사진을 전시하는 미술관이 없었는데, 오르세 미술관에서 최초로 사진을 전시물에 포함시켰다. 소장하고 있는 사진 작품만 해도 4만 5천 장이라고 한다. 이 사진은 19세기 중반에서 20세기 초반의 작품으로 이 시기는 사진의 초창기로 사진 기술이 열악할 때 찍힌 작품들이다. 이 사진의 등장이 이 미술관이 주제로 삼고 있는 인상파가 나오는 원인이 되었다는 것을 생각하면 꽤 아이러니한 부분이기도 하다.[2] 그리고 건축도 다루고 있다. 19세기 중반~20세기 초반에 해당되는 각종 건축물의 모형 등이 전시되어 있다. 특히 파리 오페라 극장(오페라 가르니에)의 설계와 건축 모형은 눈여겨 볼 만하다.오르세 미술관 건물은 미술관 용도로 지어진 건물이 아니라, 기차역(Gare d'Orsay)로 지어진 건물이었다.[3] 1900년 세계 박람회의 수요에 맞춰 지은 건물로, 오를레앙 철도회사의 터미널역이었다. 역사는 빅토르 라루가 건축했는데, 당시 기준에서는 대단히 현대적인 건축물로 그 당시에는 볼 수 없었던 여러 시설이 들어차 있었다. 그러나 오르세역은 승강장 길이가 짧다는 한계가 있었고, 철도가 발전하면서 객차의 길이가 길어지고 연결되는 차량 수도 많아지자 더 이상 감당할 수 없게 되었다. 결국 1939년에 장거리 열차의 운행은 중지되었고, 근거리 로컬 열차만 운행하게 되었다. 이후 이용객이 줄면서 여객 영업을 종료하였고, 1973년에는 호텔마저 운영을 중지하면서 폐역이 되어 버렸다. 그리고 1978년부터 역 건물을 미술관으로 리모델링을 시작했고, 1986년에 미술관으로 재개장했다. 참고로 오르세역을 폐역시킨 RER C선은 1979년에 영업을 시작했고, 오르세 미술관역이 오르세역을 대체하게 되었다.[4]
2023년 박물관 관람객 수 순위에서 7위(387만명)를 차지했다. #
3. 주요 소장품
오랑주리가 클로드 모네 전문이라면, 이곳은 귀스타브 쿠르베, 장프랑수아 밀레, 에두아르 마네 등 유명한 19세기 인상파 화가들의 중요 작품들을 모아놓은 곳이다.[5] 교과서나 광고 등에서 자주 나오는 그 유명한 밀레의 '이삭 줍는 여인들'도 이 박물관의 소장품이다. 프랑스 화가 외에도 에드바르트 뭉크, 폴 고갱, 빈센트 반 고흐 같은 해외 인상파 화가들의 작품도 소장하고 있다. 그리고 앵그르를 비롯한 신고전주의 화가들의 명작 또한 즐비하다. 뿐만 아니라 '지옥의 문'이나 '청동시대'로 유명한 오귀스트 로댕의 작품을 다수 소장하고 있어, 조각 컬렉션도 상당한 수준이다. |
풀밭 위의 점심식사(Le Déjeuner sur l’herbe), 에두아르 마네 |
|
올랭피아(Olympia), 에두아르 마네 |
|
피리 부는 소년(Le Fifre), 에두아르 마네 |
|
물랭 드 라 갈레트의 무도회(Bal du moulin de la Galette), 르누아르 |
|
오베르의 교회(The Church at Auvers), 빈센트 반 고흐 |
|
론강의 별이 빛나는 밤(La Nuit étoilée), 빈센트 반 고흐 |
3.1. 관람 정보
2024년 현재 기본 입장권은 16유로, 오디오 가이드는 별도로 6유로 이다. 매주 월요일 휴관하며, 5월 1일과 12월 25일도 휴관일이다. 관람 시간은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6시 까지이며, 매주 목요일은 오후 9시 45분까지 입장할 수 있다. 폐관 시간부터 1시간 전까지만 표를 팔고, 30분 전까지는 입장을 완료해야 한다. 물론 컬렉션의 규모가 상당하기 때문에 1시간 이내로는 절대 제대로 된 관람을 할 수 없다. 간다면 시간을 넉넉히 잡고 가자. 그리고 루브르 못지 않게 줄이 긴 곳이므로, 줄이 없는 오랑제리에서 통합 입장권을 사서 오랑제리를 먼저 보고 오르세로 가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통합 입장권은 구입 후 4일동안 오르세와 오랑제리를 각각 한 번씩 입장할 수 있으므로 꼭 같은 날에 보지 않아도 된다.대한항공에서 힘쓴 덕에 루브르 박물관과 더불어 한국어 오디오 가이드를 지원하는 곳이다. 루브르 박물관과 달리 오르세 미술관의 오디오 가이드는 스피커를 귀에 대고 듣는 방식이므로, 이어폰을 따로 챙겨가면 좋다.
사진 촬영이 금지되어 있다는 설명이 이전에 쓰여 있었으나, 2018년 현재 특별히 제지한다는 안내도 없을 뿐더러 경비원 아무도 제지하지 않고, 대부분 관광객이 사진을 찍는다. 빈센트 반 고흐의 '론 강의 별이 빛나는 밤' 같은 명작 앞에서는 사진 찍는 사람들이 몰려있다. 다만 카메라 플래시를 터트리면 제지당하고, 여기 뿐만 아니라 다른 박물관/미술관들도 마찬가지이니 주의하도록 하자.
4. 사건사고
드보라 드 로베르티스(Deborah De Robertis)라는 룩셈부르크 예술가가 세상의 기원 그림 앞에 앉아 치마를 걷고 다리를 벌려 자신의 성기를 관람객들에게 보여주는 퍼포먼스를 벌여 화제를 일으켰다. ‘기원의 거울’이라고 명명한 이 퍼포먼스를 벌인 이유에 대해 그녀는 ‘여성의 성기를 그리는 것은 예술이고 보여주는 것은 왜 외설이냐’는 질문을 던지기 위해서라고 밝혔다. 오르세 미술관 측은 “예술이냐, 외설이냐가 아니라 미술관 규칙을 지키느냐, 안 지키느냐의 문제다”라고 규정했다. 유튜브와 그녀의 페이스북에 다양한 응원 댓글이 올라오고 있다. 이미 유튜브에 이 행위예술가의 퍼포먼스 영상이 올라와 있는데 유튜브 쪽에서는 예술행위로 인정한 모양인지 성인인증 외에는 모자이크 처리 같은 검열도 하지 않고 있었다. 유튜브 기사 |
당시 모습 |
5. 관련 문서
[1] 월요일 휴관[2] 이전까지의 미술은 사실성을 중시했는데, 있는 것을 그대로 비추는 사진의 등장으로 인해 미술계는 큰 위기감과 함께 변화의 필요성을 느꼈다. 19세기 중반부터의 미술은 사실성을 중시하기 보다는 작가의 표현과 독특한 예술관을 부각시키는 쪽으로 발전하게 되었다.[3] 이 당시 오르세역에는 호텔도 같이 입주해 있었다. 이때는 아직 항공 교통이 발전하지 못했던 때라서 초장거리 운송은 철도와 선박이 담당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터미널역에서 열차나 선박으로 환승하기 위해 하룻밤 머무는 승객들이 많았고, 역사 내에 호텔을 운영하는 경우가 많았다.[4] 참고로 서울역도 이와 비슷한 과정을 겪었다. 정확히 말하면 서울역은 추후 경부고속선 서울 시내 구간 건설에 따라 경부선 KTX와 호남선 KTX는 지하의 경부고속선 전용 플랫폼으로 이전하고, 강릉선 KTX는 GTX-B 노선과 공용하는 지하 플랫폼으로 이전할 계획이다. 그러나 ITX-새마을, 무궁화호는 현재의 지상 플랫폼에서 계속 운영할 예정이라 오르세 역과 완전히 같다고 볼 수는 없다.[5] 물론 오르세 미술관에도 모네의 작품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