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 |
| | | |
| | | |
| | | |
| †: 개통예정 / * 서스캐처원 · 매니토바 · 뉴브런즈윅 · 노바스코샤 ·PEI · 뉴펀들랜드 래브라도 · 북부 3준주 에는 도시철도가 없다. | ||
| 파일:Montréal_logo_1.png 몬트리올의 대중교통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fff,#2d2f34><colcolor=#d71920> 도시철도 | |
| 광역철도 | ||
| 버스 노선 | ||
| 버스터미널 | 몬트리올 버스 터미널 ・ 상트르빌 터미널 | |
| 공공자전거 | 빅시(BIXI) ・ 점프(Jump) | |
| 페리 | 나바크(NAVARK) | |
| 공항 | 몬트리올 (YUL) ・ | |
| 관련 기업 | STM ・ EXO ・ RTL ・ STL ・ 비아 레일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8181d> | 몬트리올 광역 경전철 REM Réseau express métropolitain Metropolitan Express Network | }}} | ||
| | |||||
| REM 차량 | |||||
| 노선 정보 | |||||
| 분류 | 도시철도 | ||||
| 기점 | 브로사드 | ||||
| 점점 | 상트랄 | ||||
| 역 수 | 5개 | ||||
| 개업일 | 2023년 7월 31일 | ||||
| 소유자 | 퀘벡주 | ||||
| 운영자 | CDPQ infra[1] | ||||
| 사용차량 | 알스톰 메트로폴리스 | ||||
| 노선 제원 | |||||
| 노선연장 | 67㎞ | ||||
| 궤간 | 1,435㎜ 콘크리트 표준궤 | ||||
| 선로구성 | 복선 | ||||
| 급전방식 |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 ||||
| 최고속도 | 100km/h | ||||
| 지하구간 | 상트랄 ~ 에두아르-몽프티 | ||||
| 통행방향 | 우측통행 | ||||
| 홈페이지 | |||||
| REM 소개영상 [2] |
Réseau Express Métropolitain
1. 개요
REM은 캐나다 퀘벡 몬트리올 광역권의 경전철 노선이다. 2023년 7월 31일 개통하였다. 기존의 커뮤터 레일 EXO 6호선이 운행하던 구간을 넘겨받아 노선망을 더욱 확장시켰다.당초 2021년 10월 개통을 목표로 공사가 진행중이었으나, 공사 도중 발견된 몽 루아얄 터널의 구조적 결함문제와 COVID-19의 여파로 인하여 1차 개통시기가 2022년 말, 전구간 개통시기가 2024년 말로 으로 연기되었다. 이후 2022년 9월 공사 도중 공사 장비의 추돌사고가 발생하여 1차 개통시기가 2023년으로 다시 연기되었고, 계획대로 개통하였다.
차량은 알스톰 메트로폴리스로, 106편성 212량이 운행한다. 평시에는 2량 편성의 열차들이 운행하며, 출퇴근 시간에는 2편성이 병결하여 4량 편성의 열차들이 운행한다. 열차자동운전장치를 도입하여 전 구간 무인운전(UTO)을 하고 있다.
공항 지선이 개통할 경우 광역 경전철과 더불어 몬트리올의 공항철도의 역할까지 수행하게 된다.
2. 상세
3. 경과
- 2020년 10월 REM의 초도 편성이 반입되었다.
- 2020년 12월 19일 브로사드 구간에서 시운전이 시작되었다.
- 2021년 여름 REM 실차 목업차량이 몬트리올 다운타운에서 공개되었고, 뒤이어 캐나다 철도 박물관에서도 전시되었다. 이어서 REM의 안내방송 시안 3개가 공개되었다. #
- 2023년 7월 28일, 1차 구간의 개통식이 열렸다. 개통식에는 캐나다 총리 쥐스탱 트뤼도, 퀘벡 주 총리 프랑수아 르고 등이 참석하였다. #
- 2023년 7월 31일, 1차 구간이 개통하였다.
- 2025년 2월부터 연장구간 개통 준비의 일환으로 주말 서비스가 중단된다. 중단된 구간은 각각 STM, RTL의 임시 셔틀버스로 대체된다. 탑승장소는 Place Bonaventure앞 고슈티에르 거리 지도
- 2025년 7월 5일부터 8월 17일까지 2차 구간 개통 작업을 위한 조치로 1차 구간 전체가 임시 운영 중단되었다.
- 2025년 8월 18일부터 전 구간 운행이 다시 재개되었으며, 주말 운휴는 계속 유지된다. 또한 전 열차가 실제 A2, A3선 연장개통과 동일한 다이아로 운영되는 관계로 상트랄 역에서 보안요원이 전 인원 하차를 유도하고 있다.
- 2025년 11월 2일, 8~9일간 개통 막바지 시운전을 위해 영업이 중단된다. [4]
- 2025년 11월 17일 A2노선 두몽타뉴 구간이 개통 예정이다.
4. 노선
4.1. A1선 (상트랄 본선)
| REM 본선 | ||||
| 연번 | 역명 | 환승노선 | 비고 | 소재지 |
| 01 | 브로사드 Brossard | 브로사드 | ||
| 02 | 뒤 카르티에 Du Quartier | |||
| 03 | 파나마 Panama | |||
| 04 | 일-데-쇠르 Île-des-Soeurs | 몬트리올 | ||
| 05 | 그리핀타운-베르나르-랑드리 Griffintown–Bernard-Landry | |||
| 06 | 상트랄 Central | ● 오렌지선 보나방튀르 ● 몽-생-틸레르 선 | [지하][6] | |
| 07 | 매길 McGill | ● 초록선 | [지하] | |
| 08 | 에두아르-몽프티 Édouard-Montpetit | ● 파랑선 | [지하] | |
| 09 | 카노라 Canora | |||
| 10 | 빌-드-몽-루아얄 Ville-de-Mont-Royal | 몽루아얄 | ||
| 11 | 코트-드-리에스 Côte-de-Liesse | ● 마스쿠시 선 | 몬트리올 | |
| 12 | 몽필리에 Montpellier | |||
| 13 | 뒤 뤼소 Du Ruisseau | |||
| 14 | 부아-프랑 Bois-Franc | [9] | ||
| ▽ 두-몽타뉴, 랑스-아-로름, 몬트리올 공항 | ||||
4.2. A2선 (두몽타뉴 지선)
| REM 두-몽타뉴 지선 | ||||
| 연번 | 역명 | 환승노선 | 비고 | 소재지 |
| △ 부아-프랑 | ||||
| 01 | 서니브룩 Sunnybrooke | 몬트리올 | ||
| 02 | 로즈보로-피에르퐁 Roxboro-Pierrefonds | |||
| 03 | 일-비그라 Île-Bigras | 라발 | ||
| 04 | 생트-도로테 Sainte-Dorothée | |||
| 05 | 그랑-물랑 Grand-Moulin | 두-몽타뉴 | ||
| 06 | 두-몽타뉴 Deux-Montagnes | |||
과거 광역철도인 EXO 6호선이었으며 현재는 REM 운행을 위해 시설 개량 공사중이다.
4.3. A3선 (랑스아로름 지선)
| REM 두-몽타뉴 지선 | ||||
| 연번 | 역명 | 환승노선 | 비고 | 소재지 |
| △ 부아-프랑 | ||||
| 01 | 데 쑤흑스 Des Sources | 포인트클레어 | ||
| 02 | 페어뷰-포인트-클레어 Fairview-Pointe-Claire | |||
| 03 | 커클랜드 Kirkland | 커클랜드 | ||
| 04 | 랑스-아-로름 L'Anse-à-l'Orme | 생트 안 드 벨뷰 | ||
4.4. A4선 (공항 지선)
| REM 공항 지선 | ||||
| 연번 | 역명 | 환승노선 | 비고 | 소재지 |
| △ 부아-프랑 | ||||
| 01 | 마리-퀴리 Marie-Curie | 몬트리올 | ||
| 02 | 몬트리올 공항 YUL–Montréal–Trudeau Airport | 도르발 | ||
5. 연장논의
===# REM 2.0 (폐기) #===2020년 몬트리올 북쪽 도시인 몽레알노르드(Montréal-Nord), 퐁트오트렝블(Pointe-aux-Trembles)까지의 연장이 적극적으로 논의되었으나, 지역 주민들의 고가전철에 대한 반대로 지하화 변경에 따른 공사비 증가와 지하철 중복투자 등의 이유로 2023년 폐기되었다.
2025년부터 동일한 지역을 잇는 신규 트램 프로젝트로 대체되었다.
5.1. 도르발 연장
몬트리올 공항 ~ 도르발 철도역간 800M 정도의 연장 구간이다. 도르발시를 중심으로 현재 연장이 논의되고 있으며, 구체적인 사항은 미정이다.6. 사건 사고
- 몬트리올 시장의 독단적인 결정으로 몬트리올 남쪽에 위치한 그리핀타운에 신설될 역명이 베르나르 랑드리[10]라는 정치인의 이름으로 지어질 뻔해서 논란이 일었다. 현재는 지역사회와 타협으로 병기역명 수준으로 조정되어 논란은 가신 상태.
- 2020년 COVID-19로 인한 근로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공사 일정이 지연되었다.
- 2020년 몽루아얄 터널을 보수하던 과정에서 다이너마이트가 폭발하는 사고가 발생하여 공사가 중단되었는데, 원인은 과거 터널을 발파할 때 불발 된 다이너마이트를 제대로 처리하지 않고 그대로 공구리를 쳐버렸기 때문에 터널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이들이 발견된 것. 이후 2021년 7월까지 크고 작은 폭발이 계속되어 공사지연은 물론이고, 작업자들이 작업을 거부하는 등 심각한 공사지연이 이어졌다. 또한 염화칼슘으로 인한 터널 부식이 발견되어 보수 기간이 더욱 길어지게 되었다.#
- 2022년에는 우크라-러시아 전쟁의 여파로 인하여 당초 개통하려던 2022년 가을에서 연말까지 약 3개월의 공사 일정이 지연 되었다.
- 2022년 9월 8일 일-데-쇠르(넌즈 아일랜드)역 구내에서 공사 장비가 추돌하는 큰 사고가 발생하였다. 이로 인하여 상당한 물적 피해가 발생하여 개통이 2023년으로 미뤄지게 되었다.#
[1] Caisse de dépôt et Placement du Québec 퀘벡연기금 공사의 자회사[2] 해당 구간은 파나마-일데쇠르(넌즈아일랜드) 구간이며 샴플랑 다리(Champlain bridge)를 건너는 구간이다.[3] 그리핀타운-베르나르-랑드리(Griffintown–Bernard-Landry) 역 제외. 해당 역은 2차 개통이 완료된 이후 개업할 예정으로, 정확한 일자는 미정이다.[4] 하지만 해당 일자에 STM 파업 진행이 예상되어, STM에서 위탁 운영하는 셔틀 버스 노선 서비스는 매우 제한 될 예정이다, STL 노선은 정상운행.[지하] [6] 이 역과 매길역 사이에 핑크선과 환승되는 빌 마리역을 신설할 계획이 있다.[지하] [지하] [9] 향후 오렌지선의 연장 계획이 있다.[10] Bernard Landry, 쿼벡의 전 주지사로 몬트리올 서부 재개발에 도움을 준 정치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