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30 18:41:21

토고 축구 국가대표팀

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파일:가나 국기.svg
파일:가봉 국기.svg
파일:감비아 국기.svg
파일:기니 국기.svg
가나
가봉
감비아
기니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파일:남수단 국기.svg
기니비사우
나미비아
나이지리아
남수단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니제르 국기.svg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파일:레소토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니제르
라이베리아
레소토
파일:레위니옹 기(기학 협회 제안).svg
파일:르완다 국기.svg
파일:리비아 국기.svg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레위니옹
르완다
리비아
마다가스카르
파일:말라위 국기.svg
파일:말리 국기.svg
파일:모로코 국기.svg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말라위
말리
모로코
모리셔스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파일:베냉 국기.svg
파일:보츠와나 국기.svg
모리타니
모잠비크
베냉
보츠와나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파일:부룬디 국기.svg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파일:세네갈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부룬디
상투메 프린시페
세네갈
파일:세이셸 국기.svg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세이셸
소말리아
수단
시에라리온
파일:알제리 국기.svg
파일:앙골라 국기.svg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알제리
앙골라
에리트레아
에스와티니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파일:우간다 국기.svg
파일:이집트 국기.svg
파일:잔지바르 기.svg
에티오피아
우간다
이집트
잔지바르
파일:잠비아 국기.svg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지부티 국기.svg
잠비아
적도 기니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지부티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파일:차드 국기.svg
파일:카메룬 국기.svg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짐바브웨
차드
카메룬
카보베르데
파일:케냐 국기.svg
파일:코모로 국기.svg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케냐
코모로
코트디부아르
콩고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파일:토고 국기.svg
파일:튀니지 국기.svg
콩고 민주 공화국
탄자니아
토고
튀니지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f> 파일:서부아프리카축구연맹.png 서부아프리카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
{{{#!wiki style="color:#000;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000; margin:-6px -1px -11px"
Zone A
파일:감비아 국기.svg
파일:기니 국기.svg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파일:말리 국기.svg
감비아
기니
기니비사우
라이베리아
말리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파일:세네갈 국기.svg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모리타니
세네갈
시에라리온
카보베르데
Zone B
파일:가나 국기.svg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파일:니제르 국기.svg
파일:베냉 국기.svg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가나
나이지리아
니제르
베냉
부르키나파소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파일:토고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토고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Togo_FA.png
토고 축구 국가대표팀
Équipe du Togo de football
<colbgcolor=#FFFF00><colcolor=#000> 정식명칭 Équipe du Togo de football[1]
FIFA 코드 TOG
협회 토고 축구 연맹 (FTF)
연맹 아프리카 축구 연맹 (CAF)
지역연맹 서아프리카 축구 연맹 (WAFU-UFOA)
홈 구장 스타드 드 케구에 (Stade de Kégué, 40,000석)
감독
[[토고|]][[틀:국기|]][[틀:국기|]] 다레 니봄베 (Daré Nibombé)
주장
C
다코남 제네 (Dakonam Ortega Djené)
FIFA 랭킹 119위 (2024년 11월 28일 기준 / #)
Elo 랭킹 115위 (2024년 11월 21일 기준 / #)
{{{#!wiki style="color: #ff0000; margin: 5px -10px -5px"
{{{#000 {{{#!folding [ 대표팀 기록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FF00><colcolor=#000> A매치 최다 출전 압둘가파르 마마 (Abdoul-Gafar Mamah)
- 93경기
A매치 최다 득점 엠마누엘 아데바요르 (Emmanuel Adebayor)
- 87경기 / 32골
월드컵 최다 득점 모하메드 카데르 (Mohamed Kader)
- 1골 (2006)
첫 국제경기 출전 [[프랑스령 토고|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 토고 vs [[영국령 골드코스트|
파일:영국령 골드코스트 국기.svg
]] 가나 1:1
(프랑스령 토고 / 1956년 10월 13일)
최다 점수차 승리
[[토고|]][[틀:국기|]][[틀:국기|]] 토고 vs
[[에스와티니|]][[틀:국기|]][[틀:국기|]] 스와질란드 6:0
(가나 아크라 / 2008년 11월 11일)

[[토고|]][[틀:국기|]][[틀:국기|]] 토고 vs
[[모리셔스|]][[틀:국기|]][[틀:국기|]] 모리셔스 6:0
(토고 로메 / 2017년 11월 12일)
최다 점수차 패배
[[토고|]][[틀:국기|]][[틀:국기|]] 토고 vs
[[모로코|]][[틀:국기|]][[틀:국기|]] 모로코 0:7
(모로코 / 1979년 10월 28일)

[[토고|]][[틀:국기|]][[틀:국기|]] 토고 vs
[[튀니지|]][[틀:국기|]][[틀:국기|]] 튀니지 0:7
(튀니지 튀니스 / 2000년 1월 7일)
}}}}}}}}}}}} ||
{{{#!wiki style="color: #ff0000; margin: 5px -10px -5px"
{{{#000 {{{#!folding [ 대회별 성적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FF00> 세계대회
월드컵 [진출] 1회
[최고] 30위/조별리그 (2006)
대륙대회
네이션스컵 [진출] 8회
[최고] 8위/8강 (2013)
}}}}}}}}}}}} ||
유니폼 컬러 어웨이
상의
하의 21 9
양말

1. 개요2. 역대전적3. 연령별 대표팀
3.1. U-20 대표팀
4. 기타

[clearfix]

1. 개요

토고축구 국가대표팀을 다루는 항목.

감독은 다레 니봄베이다. 새매(Les Eperviers)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2006년 독일 월드컵 32강 본선에 오른 뒤[2] 첫 번째로 대한민국과 경기를 치르게 되었다. 그리고 전반 30분 토고 역사상 월드컵 첫 득점을 모하메드 카데르 쿠바자의 선취골로 화려하게 신고했다. 그러나 후반전에 이천수안정환에게 연속골을 내주고 대한민국에 1:2로 역전패를 당하면서 대한민국의 월드컵 원정 경기 첫 승의 희생양이 되었다. 당시 토고 선수들이 첫 경기에서부터 역전패를 당하고 경기 종료 후에 눈물을 흘리는 것을 한국 선수들이 위로해주는 장면이 훈훈함을 연출하기도 했다. 또한, 경기 도중에 이을용 선수가 쥐가 나서 쓰러지자 수비수였던 마사마소 창가이[3]가 응급처치로 다리를 풀어주는 모습을 보여줘 토고 팀의 스포츠맨십이 엿보이기도 했다. 이 경기로 인하여 한국에서 토고라는 국가에 대한 인지도가 상당히 높아졌다.

참고로 당시 토고 대표팀은 콩가루팀으로 악명이 높았고[4], 첫 진출 국가라는 이유만으로 약체로 보는 시선이 있었으나, 그럼에도 한국전에서 보여준 위협적인 모습을 상기하며 남은 두 경기에서 선전하길 바라는 축구팬도 꽤나 있었다. 그러나 스위스전에서는 0-2로 패배하면서 탈락[5] 확정되었고, 결국 프랑스에게마저 패하고 1골 3전 전패하여 16강에 실패하며 월드컵 30위로 마쳤다. 2무로 탈락 위기에 몰린 프랑스를 구원해준 꼴이 되고 말았다.[6]

월드컵 이후에는 유럽 무대에 진출해서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었던 엠마누엘 아데바요르, 알렉시스 로마오, 플로이드 아이테, 모하메드 카데르 쿠바자, 코시 아가사 등이 팀의 에이스로 활약해오다가 2010년 앙골라에서 개최된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 출전하던 대표팀이 테러리스트들에게 공격을 받는 참사가 벌어졌다.[7] 결국 토고는 이 대회에 기권했다. 이에 대해 아프리카 축구 연맹은 토고의 기권 결정이 정치 권력에 의한 간섭이며 대회 규정을 따르지 않고 일방적으로 철수했다고 주장하여 네이션스컵 2회 출전 정지 징계를 내렸으나 FIFA의 중재로 철회하였다.

현재 유니폼 스폰서는 푸마다.

세계 최빈국 중 하나라 대외에 보이는 축구 인프라가 상당히 열악하고,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도 변변치 않은 결과를 거둬 운빨로 월드컵 본선에 찔끔 올라온 약체라는 인식이 있지만, 세네갈을 탈락시키고 32개국 본선에 진출한 2006년 독일 월드컵을 계기로 국가대표의 수준은 한 차원 높아졌다는 평이다. 특히 2007년에는 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을 5-0으로 털어버린 전적도 있을 정도로 잠재력은 만만치 않은 팀이다. 다가오는 2022년 카타르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더라면 충분히 이변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되는 팀이었으나, 2차 예선에서 탈락하며 월드컵 본선 진출은 다음을 기약해야 했다.

주요 선수로는 라리가 최고의 센터백 중 하나인 헤타페 CF제네 다코남, 대표팀의 주포로 활약하는 코조 포 도 라바, 프랑스 청소년대표 출신 로이크 베실레, 올랭피크 리옹 유스 출신인 말콤 바르콜라, 호펜하임일라스 베부 등이 있으며 결코 만만히 봐서는 안 되는 스쿼드를 보유 중이다.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1차예선에서 코모로를 합산 스코어 3-1으로 누르고 2차예선에 진출했다. 2차예선은 세네갈, 콩고 공화국, 나미비아와 함께 H조에 편성되었다. 다만 첫 경기부터 세네갈에 완패하고, 나미비아에서도 패배하는 등 전력의 한계로 예선 탈락했다. 사실 네 팀 중에서 가장 낮은 시드를 받았기 때문에 본선 진출의 가능성이 처음부터 높게 점쳐지지 않기도 했다. 그래도 4포트로 조 2위를 기록하며 유종의 미를 거둔만큼, 미래의 활약이 기대되는 팀이다.

2. 역대전적

2.1. FIFA 월드컵

역대 월드컵 전적 순위: 71위
연도 결과 순위 경기 승점 득점 실점
프랑스의 식민지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1930년 우루과이
독립 이전(프랑스령 토고)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1934년 이탈리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1938년 프랑스
파일:브라질 국기.svg
1950년 브라질
파일:스위스 국기.svg
1954년 스위스
파일:스웨덴 국기.svg
1958년 스웨덴
※ 토고 공화국
파일:칠레 국기.svg
1962년 칠레
불참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66년 잉글랜드
파일:멕시코 국기.svg
1970년 브라질
파일:독일 국기.svg
1974년 서독
본선 진출 실패[16개국]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978년 아르헨티나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2년 스페인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파일:멕시코 국기.svg
1986년 멕시코
기권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90년 이탈리아
파일:미국 국기.svg
1994년 미국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1998년 프랑스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2002년 한일
파일:독일 국기.svg
2006년 독일
조별리그[12] 30위 3 0 0 0 3 1 6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0년 남아공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4년 브라질
파일:러시아 국기.svg
2018년 러시아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2년 카타르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2026년 북중미
? ? ? ? ? ? ? ? ?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모로코 국기.svg
2030년 월드컵
? ? ? ? ? ? ? ?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34년 사우디
? ? ? ? ? ? ? ? ?
합계 본선진출 1회 0 3 0 0 3 1 6

다른 나라들과의 상대전적은 다음과 같이 나와있으며, 볼드체로 표기된 팀은 역대 월드컵 우승팀이다.
프랑스 : 1패(2006)
대한민국 : 1패(2006)
스위스 : 1패(2006)

대륙별 상대전적은 다음과 같이 나와있다.
유럽 : 2패
아시아 : 1패

토고가 패배를 기록한 상대는 대한민국(1패), 스위스(1패), 프랑스(1패)로 이들 세팀에게 모두 전패를 기록중이며, 아직까지 승리는 없다.

2.2.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역대 순위 : 21위
대회 결과 순위 경기 득점 실점 승점
프랑스의 식민지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1956-1970).svg
1957
독립 이전(프랑스령 토고)
파일:시리아 국기.svg
1959
※ 토고 공화국
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
1962
불참
파일:가나 국기.svg
1963
불참
파일:튀니지 국기.svg
1965
불참
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
1968
예선 탈락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1956-1970).svg
1970
예선 탈락
파일:Flag_of_Cameroon_(1961-1975).svg
1972
조별리그 7위 3 0 2 1 4 6 2
파일:이집트 국기(1972-1984).svg
1974
기권
파일:에티오피아 국기 (1975–1987).svg
1976
예선 탈락
파일:가나 국기.svg
1978
예선 탈락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1980
예선 탈락
파일:리비아 국기(1977–2011).svg
1982
예선 탈락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1984
조별리그 8위 3 0 1 2 1 7 1
파일:이집트 국기.svg
1986
예선 탈락
파일:모로코 국기.svg
1988
예선 탈락
파일:알제리 국기.svg
1990
기권
파일:세네갈 국기.svg
1992
예선 탈락
파일:튀니지 국기.svg
1994
예선 도중 기권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1996
예선 탈락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1998
조별리그 12위 3 1 0 2 4 6 3
파일:가나 국기.svg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2000
조별리그 10위 3 1 1 1 2 3 4
파일:말리 국기.svg
2002
조별리그 12위 3 0 2 1 0 3 2
파일:튀니지 국기.svg
2004
예선 탈락
파일:이집트 국기.svg
2006
조별리그 15위 3 0 0 3 2 7 0
파일:가나 국기.svg
2008
예선 탈락
파일:앙골라 국기.svg
2010
본선 진출 후 기권[14]
파일:가봉 국기.svg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2012
예선 탈락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3
8강 8위 4 1 1 2 4 4 4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2015
예선 탈락
파일:가봉 국기.svg
2017
조별리그 16위 3 0 1 2 2 6 1
파일:이집트 국기.svg
2019
예선 탈락
파일:카메룬 국기.svg
2021
예선 탈락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2023
예선 탈락
파일:모로코 국기.svg
2025
예선 탈락
파일:케냐 국기.svg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파일:우간다 국기.svg
2027
? ? ? ? ? ? ? ? ?
합계 본선진출 8회 / 8강 1회 25 3 8 14 19 41 17

3. 연령별 대표팀

3.1. U-20 대표팀

3.1.1. FIFA U-20 월드컵

연도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파일:튀니지 국기.svg
1977년 튀니지
파일:일본 국기.svg
1979년 일본
파일:호주 국기.svg
1981년 호주
파일:멕시코 국기.svg
1983년 멕시코
파일:소련 국기.svg
1985년 소련
파일:칠레 국기.svg
1987년 칠레
조별리그 15위 0 3 0 0 3 1 9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1989년 사우디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1991년 포르투갈
파일:호주 국기.svg
1993년 호주
파일:카타르 국기.svg
1995년 카타르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97년 말레이시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1999년 나이지리아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001년 아르헨티나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03년 아랍에미리트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2005년 네덜란드
파일:캐나다 국기.svg
2007년 캐나다
파일:이집트 국기.svg
2009년 이집트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2011년 콜롬비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2013년 터키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2015년 뉴질랜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년 대한민국
파일:폴란드 국기.svg
2019년 폴란드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023년 아르헨티나 [15]
합계 본선진출 1회 0 3 0 0 3 1 9

4. 기타

2010년 9월 바레인에서 가짜 토고 대표팀이 나타난 적이 있다. 사건의 전말은 바레인 협회가 토고 초청의 중개를 맡긴 싱가포르인 중개인[16]승부조작 상습범이었고, 그가 토고 협회가 붕괴되어 임시 조직이 운영하고 있는 것을 틈타 전임 토고 감독을 포섭하고 토고 임시 협회 공문을 위조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짜 토고팀이 워낙 허술한 탓에[17] 반대로 초청한 바레인 협회, 특히 현 AFC 회장이기도 한 살만 빈 이브라힘 알 칼리파의 비위 의심을 샀다.

[1] 프랑스어[2] 무려 2002년 월드컵에서 당시 피파랭킹 1위 & 디펜딩챔피언 프랑스에게 쇼크를 안긴 주역이자 첫 진출에 8강(7위)까지 진출한 세네갈을 탈락시키고 월드컵 본선에 올라왔다.[3] (1978~2010) 선수 시절 베네벤토 칼초, 더 흐라프스합 등 유럽 각지의 팀에서 뛰었던 선수로, 주 포지션은 센터백라이트백이었다. 독일 월드컵 당시 팀의 부주장을 맡았으며, 스위스전에서는 원래 주장이던 장 폴 아발로의 퇴장 징계로 인해 대신 주장 완장을 차고 활약하기도 했다. 안타깝게도 2010년 8월 8일, 자신의 32번째 생일에 급성 심장마비요절하고 말았다.[4] 축구협회와 선수들 간에 봉급 문제로 갈등이 있었다. 그런데 사실 아프리카 대표팀들에서는 이런 일이 꽤 자주 벌어진다. 카메룬, 나이지리아, 세네갈 같은 강호들도 비슷한 일이 있었다. 이는 선수들이 10명이 넘는 대식구들을 먹여살리는 가장이 많아서 돈이 많이 필요하다고. 뿐만 아니라 당시 토고 국내에서는 기네스북에도 오른 장기 집권한 냐싱베 에야데마 대통령이 사망한 뒤라 분위기가 흉흉하던 터에, 사망한 전 대통령의 아들 포르 냐싱베가 정권을 잡고 첫 월드컵 진출을 빌미로 국민들의 아우성을 잠재우던 시기였다.[5] 대한민국 2006월드컵 17위[6] 1차전 당시 프랑스는 스위스와 0-0으로 비겨서 월드컵 본선에서만 네 경기 연속으로 무득점을 하는 기록을 남겼고, 2차전 때도 한국을 상대로 티에리 앙리가 선취점을 기록했으나 결국 박지성에게 동점골을 허용하며 1-1 무승부로 승점 1점을 넘기고 말았다. 결국 3차전이 시작되기 전 스위스 1승 1무 골득실 +2, 한국 1승 1무 골득실 +1, 프랑스 2무 골득실 0, 토고 2패 골득실 -3이었다. 그리고 프랑스는 3차전 전반전이 종료될 때까지 토고와 0-0으로 비기고 있었다. 여기서 토고가 프랑스를 상대로 실점을 하지 않고 끝까지 버티거나 승리했다면 한국이 스위스에게 0:2로 패했음에도 16강에 진출하며 2018년 월드컵의 카잔의 기적을 뛰어넘는 쾰른의 기적이 벌어졌을지도 모른다. 만약 그랬다면 프랑스는 2010년 남아공 대회까지 묶어서 3대회 연속 32강 조별리그 탈락이라는 망신스러운 기록을 썼을지도 모른다.[7] 이 당시 대표팀 코치와 버스 운전기사, 통역 등 3명이 사망했다. 또한 대표팀 감독도 총상을 입었으며 몇몇 선수들은 심한 부상을 입어 선수 생활을 은퇴했으며, 엠마누엘 아데바요르는 이 사건으로 충격을 받아 대표팀 은퇴를 선언했다가 이후 다시 복귀했다.[16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24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24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12] 당시 아프리카 예선에서 세네갈을 탈락시키고 2006월드컵 32강 본선에 진출하였다. 월드컵 첫 데뷔골&선제골(vs 대한민국 전)[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14] 지역예선을 통과했으나 앙골라 루안다로 이동하던 도중 무장괴한에 총격 피습당하면서 3명이 사망, 대회를 포기해야 했다. 안타까운 비보에 전세계 축구팬들의 조문이 이어졌으며, 곧이어 열릴 남아공 대회의 치안문제도 다시 한 번 화제로 떠올랐다.[15] 2021년 대회는 코로나 사태로 인해 취소[16] 정황상 정식 FIFA 경기 에이전트는 아니다. 1995년과 2011년에 승부조작 적발로 실형을 살았고 토고 초청 중개 당시에도 수배중이었다고 한다.[17] 우선 실제 토고 대표팀은 해당 경기 3일 전에 보츠와나에서 네이션스컵 예선 경기를 치르던 중으로 일정이 나오지가 않는 데다, 경기 당일 나타난 자칭 토고 대표팀의 몰골은 누가 봐도 이들을 월드컵 본선 출장 경력이 있는 강호로 생각할 수 없을 정도였다. (하다못해 유니폼이라도 좀 대표팀같이 보이게 베껴와야 하는데 그조차도 하지 않았다) 선수 명단이 경기 당일 듣도보도 못한 이름으로 바뀐 것은 보너스. 게다가 바레인은 2009년 11월에도 '진짜 토고'와 평가전을 가졌는데 단 1년만에 다시 초청한 선수단을 못 알아볼 리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