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 | | |
가나 | 가봉 | 감비아 | 기니 | |
| | | | |
기니비사우 | 나미비아 | 나이지리아 | 남수단 | |
| | |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레소토 | |
| | | | |
레위니옹 | 르완다 | 리비아 | 마다가스카르 | |
| | | | |
말라위 | 말리 | 모로코 | 모리셔스 | |
| | | | |
모리타니 | 모잠비크 | 베냉 | 보츠와나 | |
| | | | |
부르키나파소 | 부룬디 | 상투메 프린시페 | 세네갈 | |
| | | | |
세이셸 | 소말리아 | 수단 | 시에라리온 | |
| | | | |
알제리 | 앙골라 | 에리트레아 | 에스와티니 | |
| | | |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이집트 | 잔지바르 | |
| | | | |
잠비아 | 적도 기니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지부티 | |
| | | | |
짐바브웨 | 차드 | 카메룬 | 카보베르데 | |
| | | | |
케냐 | 코모로 | 코트디부아르 | 콩고 공화국 | |
| | | | |
콩고 민주 공화국 | 탄자니아 | 토고 | 튀니지 | |
| ||||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f> | 서부아프리카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wiki style="color:#000;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000; margin:-6px -1px -11px" | Zone A | ||||
| | | | | |
감비아 | 기니 | 기니비사우 | 라이베리아 | 말리 | |
| | | | ||
모리타니 | 세네갈 | 시에라리온 | 카보베르데 | ||
Zone B | |||||
| | | | | |
가나 | 나이지리아 | 니제르 | 베냉 | 부르키나파소 | |
| |
코트디부아르 | 토고 |
}}}}}}}}} |
| |||
감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 |||
Gambia national football team | |||
<colbgcolor=#FF0000><colcolor=#ffffff> 정식명칭 | Gambia national football team[1] | ||
FIFA 코드 | GAM | ||
축구협회 | 감비아 축구 연맹 (GFF) | ||
대륙 연맹 | 아프리카 축구 연맹 (CAF) | ||
지역 연맹 | 서아프리카 축구 연맹 (WAFU-UFOA) | ||
홈 구장 | 인디펜던스 스타디움 (Independence Stadium, 40,000석) | ||
별칭 | The Scorpions (전갈) | ||
감독 | |||
주장 | 오마르 콜리 (Omar Colley) | ||
FIFA 랭킹 | 123위 (2025년 7월 10일 기준 / #) | ||
Elo 랭킹 | 95위 (2025년 9월 8일 기준 / #) | ||
{{{#!wiki style="color: #ff0000; margin: 5px -10px -5px" {{{#fff {{{#!folding [ 대표팀 기록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F0000><colcolor=#ffffff> A매치 최다 출전 | 오마르 콜리 (Omar Colley) - 56경기 / 1골 | |
A매치 최다 득점 | 아산 시세이 (AAssan Ceesay) - 41경기 / 13골 | ||
첫 국제경기 출전 | [[감비아| (감비아 / 1953년 2월 9일) | ||
최다 점수차 승리 |
감비아 vs
레소토 6:0 승(감비아 반줄 / 2002년 10월 13일) | ||
최다 점수차 패배 |
감비아 vs
기니 0:8 패(기니 / 1972년 5월 14일) |
{{{#!wiki style="color: #ff0000; margin: 5px -10px -5px" {{{#fff {{{#!folding [ 대회별 성적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F0000><colcolor=#ffffff> 대륙대회 | ||
네이션스컵 | [진출] 2회 [최고] 6위/8강 (2021) |
유니폼 | 홈 | 어웨이 |
상의 | 빨강 | 하양 |
하의 | 파랑 | 하양 |
양말 | 초록 | 하양 |
1. 개요
감비아의 축구 국가대표팀. 홈구장은 인디펜던스 경기장이다. 전갈들(The Scorpions)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역대 FIFA 랭킹 최고 순위는 65위(2009년 6월 3일), 최저 순위는 179위(2017년 3월 9일)이다.
2. 상세
월드컵과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출전한 기록은 없었으나 2021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처음으로 출전하게 됐다.이상하게 서아프리카의 이웃나라들에 비해 전력이 심하게 뒤쳐젔던 나라다. 삼프도리아의 오마르 콜리 정도를 제외하면 네임드 선수들이 존재하지 않는데다, 국가대표 선수들의 평균 출전 경력도 매우 짧은 편이다[2]. 그래서 요즘은 이중국적의 힘을 빌어 전력을 강화하고 있는데, FC 로스토프에서 뛰는 알리 소우, 레알 바야돌리드 CF의 사이디 얀코, 잉글랜드 프리미어 리그와 전북 현대 모터스에서 뛰기도 했던 모두 바로우, 볼로냐 FC에서 뛰고 있는 무사 바로우 등이 합류해 굉장히 젊은 팀으로 거듭나는 중이다. 또한 국내 정세가 안정되면서 그동안 대표팀 소집에 응하지 않던 선수들도 합류하면서 무시할 수 없는 팀으로 변모하고 있다. 최근엔 AS 로마의 에브리마 다보, BSC 영 보이즈의 에브리마 콜리, FC 크로토네의 무사 주와라,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의 얀쿠바 민테 등 어린 나이에 유럽 빅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가 늘면서 장래가 기대되는 팀이 되었다.
그 결과 2019년 지부티, 앙골라 (무려 1:3으로 승리)에 이어 6월 천선전에서는 무려 아프리카 피파랭킹 2위인 모로코를 0:1로 격파하는 기염을 토하였다. 아프리카 피파랭킹 1위이자 디펜딩 챔피언인 알제리와도 비기며, 단순 돌풍이 아님을 과시했으며 2020년에는 가봉, 콩고를 이겼다. 2021년에 들어서는 앙골라, 니제르, 토고를 이기고 사상 처음으로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올랐다.
2022년 1월 16일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모리타니를 격파, 말리와 비기며 골득실 차로 F조 1위에 올랐으며 뒤이어 튀니지까지 이겨버리는 기염을 토하며 F조 2위로 16강 진출이라는 쾌거를 이루었으며 16강에서 기니를 이기고 8강까지 진출하였다. 비록 8강에서 카메룬한테 졌지만 현지에서는 축제 분위기다. 비슷한 사례로는 코모로가 있다. 현재 유니폼 스폰서는 saller다.
2023 U-20 월드컵 아르헨티나에서는 검은 돌풍을 일으킬 아프리카 팀이 될 수도 있었지만, 당시 대회에서 우승한 팀인 우루과이를 16강에서 너무 일찍 만나는 바람에 감비아의 선전을 아쉬워하는 사람들이 많았다.[3] 또한 2024년 1월에 열린 202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코트디부아르에서는 24강 조별리그에서 3전 전패 24위 꼴찌로 대회를 마감해버렸고, 가나와 함께 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모로코 예선에서 탈락해서 24강 조별리그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3. 코칭 스태프
4. 선수 명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rowcolor=#fff>포지션 | 등번호 | 이름 | 생년월일 | 출장 | 골 | 소속 클럽 |
GK | 1 | 에브리마 자리우 Ebrima Jarju | 1998년 3월 16일 ([age(1998-03-16)]세) | 9 | 0 | | |
22 | 바부카르 가예 Baboucarr Gaye | 1998년 2월 24일 ([age(1998-02-24)]세) | 17 | 0 | | ||
16 | 조르디 빌랄리 단소 Jordi Bilali Danso | 2007년 4월 23일 ([age(2007-04-23)]세) | 0 | 0 | | ||
DF | 2 | 모모두 라이언 은지 Momodou Lion Njie | 2001년 12월 10일 ([age(1994-06-20)]세) | 4 | 0 | | |
3 | 사이니 사냥 Sainey Sanyang | 2003년 4월 18일 ([age(2003-04-18)]세) | 0 | 0 | | ||
12 | 알라지 사이네 Alagie Saine | 2003년 1월 20일 ([age(2003-01-20)]세) | 0 | 0 | | ||
13 | 바부카르 은지 Baboucarr Njie | 1995년 6월 5일 ([age(1995-06-05)]세) | 3 | 0 | | ||
14 | 셰리프 시냔 Sheriff Sinyan | 1996년 7월 19일 ([age(1996-07-19)]세) | 8 | 0 | | ||
15 | 무사 자타 Musa Jatta | 2004년 12월 20일 ([age(2004-12-20)]세) | 1 | 0 | | ||
21 | 무하메드 산네 Muhammed Sanneh | 2000년 2월 19일 ([age(2000-02-19)]세) | 13 | 0 | | ||
23 | 오마르 가예 Omar Gaye | 1998년 9월 18일 ([age(1998-09-18)]세) | 6 | 0 | | ||
24 | 뎀보 사이디칸 Dembo SaidyKhan | 2004년 1월 20일 ([age(2004-01-20)]세) | 0 | 0 | | ||
MF | 5 | 사이코 투레이 Saikou Touray | 2000년 6월 6일 ([age(2000-06-06)]세) | 1 | 0 | | |
4 | 제스퍼 시세이 Jesper Ceesay | 2003년 3월 4일 ([age(2003-03-04)]세) | 0 | 0 | | ||
6 | 무하마두 드라메 Mouhamadou Drammeh | 1999년 3월 15일 ([age(2000-04-27)]세) | 1 | 0 | | ||
11 | 알라사나 만네 Alasana Manneh | 1998년 4월 8일 ([age(1998-04-08)]세) | 20 | 1 | | ||
17 | 마흐무두 바조 Mahmudu Bajo | 2004년 8월 15일 ([age(2004-08-15)]세) | 6 | 0 | | ||
18 | 프란시스 고메즈 Francis Gomez | 2006년 2월 28일 ([age(2006-02-28)]세) | 0 | 0 | | ||
FW | 7 | 지브릴 실라 Gibril Sillah | 1998년 9월 7일 ([age(1998-09-07)]세) | 1 | 0 | | |
8 | 유수파 사냥 Youssoupha Sanyang | 2005년 8월 31일 ([age(2005-08-31)]세) | 1 | 0 | | ||
9 | 알라지 세이두 트라왈리 Aiagie Seidou Trawally | 2001년 3월 1일 ([age(2000-03-01)]세) | 0 | 0 | | ||
10 | 아다마 시디베 Adama Sidibeh | 1998년 6월 25일 ([age(1998-06-25)]세) | 4 | 1 | | ||
20 | 자카리아 사워 Zakaria Sawo | 2000년 1월 11일 ([age(2000-01-11)]세) | 0 | 0 | | ||
19 | 압둘리 만네 Abdoulie Manneh | 2004년 9월 29일 ([age(2004-09-29)]세) | 1 | 0 | | ||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6월 9일 | }}}}}}}}} |
5. 역대전적
5.1. FIFA 월드컵
연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점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영국의 식민지 | |||||||||
1930 우루과이 | 독립 이전(영국령 감비아) | ||||||||
1934 이탈리아 | |||||||||
1938 프랑스 | |||||||||
1950 브라질 | |||||||||
1954 스위스 | |||||||||
1958 스웨덴 | |||||||||
1962 칠레 | |||||||||
※ 감비아 공화국 | |||||||||
1966 잉글랜드 | 축구 협회 창립 이전 | ||||||||
1970 멕시코 | 불참 | ||||||||
1974 서독 | |||||||||
1978 아르헨티나 | |||||||||
1982 스페인 | 24개국 본선 진출 실패 | ||||||||
1986 멕시코 | |||||||||
1990 이탈리아 | 불참 | ||||||||
1994 미국 | 기권 | ||||||||
1998 프랑스 | 32개국 본선 진출 실패 | ||||||||
2002 한국/일본 | |||||||||
2006 독일 | |||||||||
2010 남아공 | |||||||||
2014 브라질 | |||||||||
2018 러시아 | |||||||||
2022 카타르 | |||||||||
2026 캐나다/멕시코/미국 | 48개국 본선 진출 실패[4] | ||||||||
2030 스페인/포르투갈/모로코 | ? | ? | ? | ? | ? | ? | ? | ? | ? |
2034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 | ? | ? | ? | ? | ? |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5.2.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역대 순위 : 27위대회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영국의 식민지 | |||||||||
1957 수단 | 독립 이전(영국령 감비아) | ||||||||
1959 아랍연합공화국 | |||||||||
1962 에티오피아 | |||||||||
1963 가나 | |||||||||
1965 튀니지 | |||||||||
※ 감비아 공화국 | |||||||||
1968 에티오피아 | 불참 | ||||||||
1970 수단 | |||||||||
1972 카메룬 | |||||||||
1974 이집트 | |||||||||
1976 에티오피아 | 예선 탈락 | ||||||||
1978 가나 | 불참 | ||||||||
1980 나이지리아 | 예선 탈락 | ||||||||
1982 리비아 | |||||||||
1984 코트디부아르 | |||||||||
1986 이집트 | |||||||||
1988 모로코 | |||||||||
1990 알제리 | 기권 | ||||||||
1992 세네갈 | 예선 탈락 | ||||||||
1994 튀니지 | 불참 | ||||||||
1996 남아공 | 예선 도중 기권 | ||||||||
1998 부르키나파소 | 출전정지 | ||||||||
2000 가나/나이지리아 | 기권 | ||||||||
2002 말리 | 예선 탈락 | ||||||||
2004 튀니지 | |||||||||
2006 이집트 | |||||||||
2008 가나 | |||||||||
2010 앙골라 | |||||||||
2012 가봉/적도 기니 | |||||||||
2013 남아공 | |||||||||
2015 적도 기니 | 출전정지 | ||||||||
2017 가봉 | |||||||||
2019 이집트 | 예선 탈락 | ||||||||
2021 카메룬 | 8강 | 6위 | 5 | 3 | 1 | 1 | 4 | 3 | 10 |
2023 코트디부아르 | 조별리그 | 24위 | 3 | 0 | 0 | 3 | 2 | 7 | 0 |
2025 모로코 | 예선 탈락 | ||||||||
2027 케냐/탄자니아/우간다 | ? | ? | ? | ? | ? | ? | ? | ? | ? |
합계 | 본선진출 2회 / 8강 1회 | 8 | 3 | 1 | 4 | 6 | 10 |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