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1 22:25:25

데이비드 크로넨버그


데이비드 크로넨버그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펼치기 · 접기 ]
데이비드 크로넨버그의 주요 수상 이력
{{{#!wiki style="min-height: calc(1.5em + 2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파일:베니스 국제 영화제 로고.svg

베니스 국제 영화제 명예 황금사자상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70년1971년1972년
오슨 웰스 잉마르 베리만 마르셀 카르네 존 포드 찰리 채플린
1972년1982년
아나톨리 골로브냐 빌리 와일더 알레산드로 블라세티 루이스 부뉴엘 프랭크 카프라
1982년
조지 큐커 장뤽 고다르 세르게이 유트케비치 알렉산더 클루게 구로사와 아키라
1982년1983년
마이클 파웰 사티야지트 레이 킹 비더 세자르 자바티니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1985년1986년1987년
마노엘 드 올리베이라 존 휴스턴 페데리코 펠리니 타비아니 형제 루이지 코멘치니
1988년1989년1990년1991년
요리스 이벤스 로베르 브레송 마르첼로 마스트로야니 얀초 미클로시 마리오 모니첼리
1991년1992년1993년
지안 마리아 볼론테 잔느 모로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파올로 빌라조 스티븐 스필버그
1993년1994년
로버트 드니로 로만 폴란스키 클라우디아 카르디날레 알 파치노 수소 체키 다미코
1994년1995년
켄 로치 우디 앨런 모니카 비티 마틴 스코세이지 알베르토 소르디
1995년1996년
엔니오 모리코네 주세페 드 산티스 조프레도 롬바르도 알랭 레네 로버트 올트먼
1996년1997년
비토리오 가스만 더스틴 호프먼 미셸 모르강 제라르 드파르디유 스탠리 큐브릭
1997년1998년1999년
알리다 발리 워렌 비티 소피아 로렌 안제이 바이다 제리 루이스
2000년2001년2002년2003년
클린트 이스트우드 에릭 로메르 디노 리시 디노 드 로렌티스 오마 샤리프
2004년2005년2006년
스탠리 도넌 마노엘 드 올리베이라 미야자키 하야오 스테파니아 산드렐리 데이비드 린치
2007년2008년2009년
팀 버튼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에르만노 올미 존 라세터 브래드 버드
2009년2010년2011년
피트 닥터 앤드루 스탠튼 리 언크리치 오우삼 마르코 벨로키오
2012년2013년2014년2015년
프란체스코 로시 윌리엄 프리드킨 델마 스쿤메이커 프레더릭 와이즈먼 베르트랑 타베르니에
2016년2017년2018년
장폴 벨몽도 예지 스콜리모프스키 제인 폰다 로버트 레드포드 데이비드 크로넨버그
2018년2019년2020년
바네사 레드그레이브 줄리 앤드류스 페드로 알모도바르 허안화 틸다 스윈튼
2021년2022년2023년
로베르토 베니니 제이미 리 커티스 카트린 드뇌브 폴 슈레이더 양조위
2023년2024년2025년
릴리아나 카바니 피터 위어 시고니 위버 베르너 헤어조크 킴 노박
}}}}}}}}} ||

역대 칸 영화제
파일:칸 영화제 로고.svg
특별심사위원상
제48회
(1995년)
제49회
(1996년)
제50회
(1997년)
크리스토퍼 햄튼
(캐링턴)
데이비드 크로넨버그
(크래시)
마뉘엘 푸아리에
(웨스턴)
}}}}}}}}} ||
데이비드 크로넨버그
David Cronenberg
OC
<nopad> 파일:데이비드 크로넨버그.webp
<colbgcolor=#1e2436><colcolor=#FFF> 본명 데이비드 폴 크로넨버그
David Paul Cronenberg
출생 1943년 3월 15일 ([age(1943-03-15)]세)
캐나다 자치령 온타리오토론토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캐나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75cm
가족 누나 데니즈 크로넨버그(1938.10.1~2020.5.22)
배우자 마가렛 힌슨(1972년 결혼~1979년 이혼)
배우자 캐롤린 제이프만(1979년 결혼~2017년 사별)
딸 카산드라 크로넨버그(1972년생)
아들 브랜든 크로넨버그(1980.01.10 출생)
딸 케이틀린 크로넨버그(1984.10.27 출생)
학력 토론토 대학교 (영문학 / 학사)
직업 영화감독, 배우, 작가
데뷔 1966년 영화 'Transfer'
링크 파일:IMDb 로고.svg

1. 개요2. 활동3. 필모그래피4. 평가5. 기타6. 좋아하는 영화들7. 관련 문서8. 참고

1. 개요

<nopad> 파일:스크린샷_31-7-2025_18458_www.facebook.com.jpg
"거만한 것이 아니라, 저는 영화 제작자로서 밑바닥부터 저 자신을 창조할 수 있다고 느꼈습니다."

캐나다의 영화 감독, 배우, 작가.

자신만의 색깔이 뚜렷한 독창적인 영화를 만들어내는 것으로 유명한 감독이다.

2. 활동

이름에서 드러나듯 중산층 유대인 집안 출신으로 저널리스트 아버지가 영화광이었으며 [1] 본인도 영화랑 SF를 좋아했다고 한다. 원래는 자연과학 쪽으로 토론토 대학교에서 식물학 및 곤충학을 공부하다가 전공을 바꿔 영문학으로 수석 졸업했으며, 동급생의 영화 '겨울은 오히려 따뜻했다 Winter Kept Warm Us'를 본 후에 영화계에 뛰어들게 되었다고 한다. [2] 훗날 ‘고스트 버스터즈’를 연출하는 아이반 라이트만하고는 이때부터 알고 지냈다고.
파일:비디오드롬 크로넨버그.jpg 파일:크로넨버그 크래쉬 1996.jpg
1983년《비디오드롬 1996년《크래쉬
파일:czxc.jpg 파일:Fly_1986_1RGBfeat.jpg
1991년《네이키드 런치 1986년《플라이
그의 영화는 인체개조물이라 해도 무방할 정도의 신체 변형과 극단적으로 그로테스크한 표현으로 악명이 높았다. 감독 경력의 초창기인 70년대부터 파편들, ‘열외인간(Rabid)’, ‘브루드’ 같은 영화들로 그러한 그로테스크함의 극단을 보여준다. 영화계에서는 1980년 SF호러 ‘스캐너스’의 큰 상업적/비평적 성공으로 본격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허나 그가 단순히 극단에만 탐닉한건 아니다. 극단적인 신체 변형의 묘사를 통해 인간이 만든 테크놀로지의 폭력성과 인간 본연에 대한 진지한 고찰로 영화계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비디오드롬>과 <네이키드 런치>, <크래시>가 대표적이다. 또한 고전 SF 영화 플라이를 헐리우드에서 리메이크하기도 했다.[3] 그렇기 때문에 장르로서는 B급 호러에 발을 담그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80년대 후반부터 영화계의 주목과 인정을 받았다.

탑건, 로보캅 시리즈, 제다이의 귀환, 캣칭 파이어 등 감독 후보에 오르기도 했지만 거절했다. 토탈 리콜은 각본작업에도 참여를 하였지만 플라이를 작업하기 위해서 하차했다.[4]

B급 호러 영화를 연출하면서도 꾸준히 평론가들과 장르 마니아들의 사랑을 받은 감독이다. 웨스 크레이븐이나 토브 후퍼, 존 카펜터[5], 샘 레이미피터 잭슨 같은 감독들도 비슷한 경우라 볼 수 있겠으나 크로넨버그는 단순한 호러감독이라기보다는, 작가주의 영화감독의 이미지가 강하다. [6]

2002년에 개봉된 작품 <스파이더>[7]를 기점으로 점점 그로테스크함은 줄어들고 대신 인간의 정신적인 변형, 폭력성과 섹슈얼리티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다만 그럴 때도 폭력 묘사 같은건 에둘러 표현하지 않고 화끈하게 보여줘서 옛 팬들을 환호하게 만들었다.)
파일:스크린샷_16-6-2025_182627_www.google.com.jpg
▲ 2005년 《폭력의 역사》
크로넨버그는 후에 비고 모텐슨을 주연으로 폭력의 역사를 선보였다. 이 영화는 폭력이 단순히 피를 흘리는 육체적 행위를 넘어, 인간 정신에 깊은 상처를 남기고 관계를 파괴하는 본질적인 힘을 지닌다는 것을 보여주며 호평을 받았다. 또한 BBC 선정 '21세기 위대한 영화 100편'에 59위에 오르는 기념을 토했다.
파일:스크린샷_16-6-2025_18277_www.google.com.jpg
▲ 2007년 《이스턴 프라미스》
2년 뒤 비고 모텐슨을 다시 주연으로 하여 런던의 러시아 마피아 세계를 배경으로 한 느와르 스릴러 이스턴 프라미스를 발표한다. 이 두작품으로 호러 외의 장르에도 '거장'의 무게를 달게 됐다.

그 이후 정신분석학적인 내용을 그려내는걸 좋아하는 지라 2011년에는 대놓고 지그문트 프로이트카를 융을 주인공으로 하는 데인저러스 메소드를 연출하기도 했다. 이스턴 프라미스 후편이 제작비 문제로 아직 나오지 못하고 있어, 마니아들이 많이 속상해하고 있다.
파일:스크린샷_16-6-2025_182751_www.google.com.jpg
▲ 2014년 《맵 투 더 스타》
줄리앤 무어를 칸 영화제 여우주연상 수상자로 만들어준 맵 투 더 스타는 2000년대 이후의 심리 스릴러 적인 면과 과거 영화의 섬뜩한 모습을 적절히 절충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사상적으로는 소설가 제임스 G. 발라드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발라드의 대표작인 크래시(1996년 영화)를 영화화하기도 했다.
파일:Decker-800x480.png
▲ 심야의 공포에서 살인마 '데커 박사' 역으로 분한 크로넨버그
이런 저런 공포영화에 얼굴 비추는 걸 상당히 좋아한다. 13일의 금요일 시리즈 10편인 <제이슨X>의 감독직을 제안 받자 거절하였는데, 대신 "제이슨에게 죽는 배역으로 나오고 싶다."라고 했다. 그래서 그 10편에 배우로 깜짝출연해서 제이슨에게 죽는다. 그 밖에도 클라이브 바커가 감독한 <심야의 공포>에서는 연쇄살인마로 나왔다. 데커 박사의 가면은 꽤나 개성있어서 소수의 마니아들에게 인기있는 편이지만 영화 자체는 좋은 평을 듣지 못했다. 거스 밴 샌트 감독의 니콜 키드만 주연의 <투 다이 포>에도 출연했다.

릭 앤 모티 시즌1 6화에서 언급된다.[8]

20년 2월 히어로물 영화에 대해서 평가하길, 너무 판에 박혀있고 감정적인 공감 측면에서 너무 청소년 연령대에 맞춰줘 있다고 평했다.# 그러나 배우로서는 배트맨을 연기해볼 의향이 있다고... 비욘드라면 몰라도 영감님 연세가 좀...

2020년 10월 시작된 스타 트렉: 디스커버리 시즌 3의 다섯 번째 에피소드 "Die Trying"에 32세기 스타플릿의 요원인 코비크(Kovich)로 출연하여 23세기에서 넘어온 필리파 조지우(거울)를 심문하며 미스테리한 아우라를 풍긴다. 마지막 시즌인 시즌5까지 계속 출연했다.
파일:crimes of the future.jpg
▲ 2022년 《미래의 범죄들》
2022년에 미래의 범죄들[9]로 8년만에 감독으로써 복귀했다. 칸 영화제 프리미어로 상영되었다.

2024년 더 슈라우즈를 연출했다. 이번에도 칸 영화제에 공식 초청되었다.

3. 필모그래피

데이비드 크로넨버그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 연도 제목 연출 각본 출연 비고
1969 스테레오
Stereo (Tile 3B of a CAEE Educational Mosaic)
O
1970 미래의 범죄들
Crimes Of The Future
O
1975 파편들
Shivers
O
1977 열외 인간[10]
Rabid
O
1979 패스트 컴퍼니[11]
Fast Company
O
1979 브루드
The Brood
O
1981 스캐너스
Scanners
O
1983 비디오드롬[12]
Videodrome
O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 선정
1983 초인지대
The Dead Zone
O
1986 플라이
The Fly
O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 선정
1988 데드 링거(1988)
Dead Ringers
O O 카이에 뒤 시네마 선정 1989년 올해의 영화 공동 3위
1991 네이키드 런치
Naked Lunch
O 제42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경쟁 부문 초청작
1993 M.버터플라이
M. Butterfly
O 카이에 뒤 시네마 선정 1994년 올해의 영화 공동 10위
1995 투 다이 포
To Die For
O
1996 크래시
Crash
O O 제49회 칸 영화제 특별심사위원상 수상
1999 엑시스텐즈
eXistenZ
O O 제49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은곰상 : 예술공헌상 수상
2001 제이슨 X
Jason X
O
2002 스파이더
Spider
O 제55회 칸 영화제 경쟁 부문 초청작
2005 폭력의 역사
A History of Violence
O 제58회 칸 영화제 경쟁 부문 초청작
2007 그들 각자의 영화관 中
At the Suicide of the Last Jew in the World in the Last Cinema in the World
O 옴니버스 영화 참여, 단편
2007 이스턴 프라미스
Eastern Promises
O 제80회 아카데미 시상식 남우주연상 후보작
2011 데인저러스 메소드
A Dangerous Method
O 제68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경쟁 부문 초청작
2012 코스모폴리스
Cosmopolis
O O 제65회 칸 영화제 경쟁 부문 초청작
2014 맵 투 더 스타
Maps to the Stars
O 제67회 칸 영화제 여우주연상 수상작
2022 미래의 범죄들
Crimes Of The Future
O O 제75회 칸 영화제 경쟁 부문 초청작
2024 더 슈라우즈
The Shrouds
O O 제77회 칸 영화제 경쟁 부문 초청작
캐나다 감독이지만 전반적으로 북미보다는 유럽에서 더 인정받는 감독으로, 프랑스의 유력영화지 카이에 뒤 시네마에서 특히, 더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4. 평가

"영화가 끝났을 때, 저는 영화를 좋아하지 않는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1년 후, 저는 그 영화에 대해 생각하고 누구에게나 말하고 싶어하는 자신을 발견했습니다... 그것은 정말 충격적이고, 파괴적이며, 초현실적이고, 아마 우리 모두가 마땅히 받아야 할 결말입니다"
마틴 스코세이지 #
"그러다 '와, 이거 예상했던 것보다 좀 더 거칠어지고 있는데'라고 생각했어요. 수술 장면에서 의사가 간호사의 손가락을 가위로 자르는 순간, '세상에, 내가 뭘 보고 있는 거지?'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쿠엔틴 타란티노 #
신체를 다루는데 있어선 크로넨버그 보다 뛰어난 감독은 없다.
로저 이버트

인간의 신체, 기술, 정신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탐구하며 독자적이고 충격적인 미학을 구축하고 특히 '바디 호러(Body Horror)'라는 장르를 개척하고 발전시킨 선구자로 평가받으며, 그의 작품들은 열광적인 추종자를 거느림과 동시에 강렬한 호불호가 갈리는 것으로 유명하다. 그 특징들 때문에 평론가들에겐 매우 높은 평가를 받지만 일반 관객들에겐 종종 낮은 평가를 받기도 한다.

캐나다 감독이지만 전반적으로 북미보다는 유럽에서 더 인정받는 감독으로, 프랑스의 유력영화지 카이에 뒤 시네마에서 특히, 더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칸 영화제 심사위원장 경력도 있다.

5. 기타

  • 2014년 영화 《맵 투 더 스타》로 칸 영화제에 참석했을 당시, 기자회견에서 “내 영화들은 전부 코미디적으로 보면 재미있다”고 발언했다. 이 말에 옆에 있던 줄리안 무어로버트 패틴슨이 웃음을 참지 못하고 실소를 터뜨렸다.
  • 사실상 로버트 패틴슨을 지금의 연기파 배우 위치로 끌어올려 준 감독이다. 패틴슨이 크로넨버그의 코스모폴리스에 출연 하면서 부터 위상이 달라진건 패틴슨 본인도 인정했었다.
  • 쿠엔틴 타란티노는 크로넨버그의 '열외 인간'이 지금까지 본 감염 관련된 영화 중 제일 재밌는 영화라고 한다.
  • 미국 보단 유럽 쪽, 특히 프랑스에서 엄청난 높은 평가를 받는 감독이다.
  • 누나가 있으며 의상 디자이너로 동생 영화에 전속으로 참여를 하였다. 크로넨버그 감독의 영화에 의상 담당으로 자주 크레딧에 올라가는 데니즈 크로넨버그(Denise Cronenberg)가 바로 그녀. [13] 아들 브랜든 크로넨버그도 가업을 잇듯이 바디 호러 장르의 영화감독으로 데뷔했다. 데뷔작 '안티바이럴'을 통해 2012년 캐나다 토론토 영화제 신인감독상을 받았고, 2020년에 ‘포제서’ 라는 특유의 기괴하면서도 SF적인 영화로 호평을 받았다. 차녀 케이틀린 크로넨버그도 사진 작가로 활동하다 감독으로 데뷔한 상태다. 이외 2013년 이후 활동이 없지만 첫 아내랑 얻은 장녀도 아버지 영화에 스태프로 참여한 적이 있다.
  • 캐나다에서 작위를 받았다. 또한 아마추어 카레이서로도 유명하다. 그래서인지 패스트 컴퍼니, 크래쉬, 코스모폴리스 등 자동차가 내용상 중요하게 등장하는 영화가 꽤 있다.
  • 유럽에서는 상당한 거장으로 평가받지만 북미권에서는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진다. 1980년대 찍었던 스캐너스플라이, 초인지대 정도를 제외하면 모두 흥행 실패. [16] 애초에 감독 성향이 지나치게 아스트랄하고 엽기적이라서 일반 대중들이 이해하기 쉬운 영화는 아니며, 웬만큼 잔인한 영화를 잘 보는 사람들에게도 충격적인 영화들이 대부분이다.[17] 본인은 이러한 대중의 반응에 대해 섭섭해하는지 본인 영화는 그리 난해한 편은 아니라고 강조하곤 한다.
  • 크로넨버그의 페르소나 중 한 명인 배우 비고 모텐슨은 데이비드 크로넨버그는 살아있는 거장이며, 오스카 주요 후보에 한번도 들지 못 한 것이 이해가 안 된다고 밝혔다. #

6. 좋아하는 영화들

<colbgcolor=#000000,#010101><colcolor=#ffffff,#dddddd>
▲ 2025년 David Cronenberg's Closet Picks
  • 라 스트라다 (La Strada, 1954, 페데리코 펠리니) : 영화의 진정한 힘을 깨닫게 해준 작품. 어렸을 때 이 영화를 본 크로넨버그는 영화관에서 어른들이 흐느끼며 눈물을 흘리는 모습을 보고 큰 충격을 받았다고 한다. 이전까지 영화를 단순히 오락거리로만 생각했던 그에게, 길은 사람들의 감정을 깊이 움직이고 슬픔과 연민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예술 매체라는 것을 일깨워 주웠다.
  • 제3의 사나이(Odd Man Out, 1947, 캐롤 리드): 이 영화가 할리우드 영화의 명확한 서사나 다른 유럽 영화의 전형적인 스타일과는 다르게, 아주 우울하고 애수에 잠긴 분위기며서도 강렬한 느낌을 준다고 말한다. 특히 주연 배우 제임스 메이슨의 연기는 크로넨버그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 이레이저 헤드 (Eraserhead, 1977, 데이비드 린치): "독특하게 미국적인" 영화에 대한 통찰을 제공. 이 영화가 할리우드나 유럽 영화에서는 볼 수 없는 미국 문화의 기이하고 불안한 단면을 보여준다고 평가.
  • 늑대의 시간 (Hour of the Wolf, 1968, 잉마르 베르히만): 늑대의 시간에는 한 인물이 극심한 고뇌 속에서 벽을 기어 올라가는 기이한 장면이 나오는데, 이 장면이 크로넨버그 감독 자신의 1986년작 더 플라이에서 주인공이 변형되어 벽을 기어 올라가는 장면을 만드는 데 영감을 주었다, 더 나아가, 크로넨버그 감독은 베르히만이 더 플라이 DVD를 소유하고 있었다는 이야기를 듣고 베르히만과 "피를 나눈 형제" 같은 느낌을 받았다고한다.

7. 관련 문서

8. 참고


[1] 정작 어렸을땐 아버지가 보여준 잉그마르 베르히만 감독의 제7의 봉인보다 버트 랭카스터 모험/서부극 영화를 좋아했다고 한다.[2] 영화 학교를 거치지 않고, 스스로 독학해 영화계에 입문한 케이스라, 영화인 양성에 있어서 제도권 교육에 너무 얽매이지 말자는 입장을 보이곤 한다. 당시 아방가르드/인디 영화의 자주성이 많은 영감을 줬다고 말하기도. 실제로 극초기작은 다니던 대학교에서 찍었다.[3] 대부분이 알고 있는 <플라이>는 바로 리메이크 버전이다. 원작 역시 단편소설을 각색한 57년 SF 고전 영화로, 당시로는 신선하고 충격적인 설정. 리메이크는 당시 SFX 기술의 극한을 보여주며 원작보다 높은 평가를 받았지만, 감독 본인은 제작자들 입김으로 훼손된 졸작이라고 무척 싫어했다.[4] 그런데 최근 인터뷰를 보면 필립 K. 딕 스타일의 각본으로 썼는데 제작자들이 우주판 레이더스로 만들려고 해서 포기했다고 한다. #[5] 이 감독도 단순히 B급 장르영화 감독이 아닌 굉장한 영화적 성취를 이뤄낸 장르감독으로 평가받는다.[6] 사실 호러 영화 감독은 발 루튼 같은 예외적인 케이스를 제외하면 작가주의 비평에서는 대접이 다소 미묘한 편인데, 크로넨버그는 명백히 호러 장르를 기반으로 하면서도 작가주의 감독으로서 커리어패스를 이뤄 주목받은 케이스에 속한다. 기예르모 델 토로, 구로사와 기요시, 로버트 에거스, 아리 애스터, 쥘리아 뒤쿠르노 같은 호러 계열 작가주의 영화감독들의 선조 격인 셈.[7] 랄프 파인즈 주연[8] 모든 지구인이 그로테스크하게 변해버린 걸 크로넨버그화(...)되었다고 표현한다[9] 국내엔 2024년 7월17일에 개봉되었다[10] 한 여성이 사고 후에 피부를 이식받은 후 흡혈귀가 된다는 내용의 영화. 여주인공은 포르노 배우로 유명한 마릴린 챔버스.[11] 특이하게도 레이싱이 주 소재가 되는 영화. 그다지 기괴하거나 음산한 장면이 없다는 점이 감독 이력으로서는 독특한 작품이다.[12] 케이블 채널 사장이 TV 프로그램을 구매하려고 돌아다니다가 영상과 정신을 결합시키려는 연구가에 의해 육신이 기괴하게 변한다는 내용의 작품.[13] 안타깝게도 2020년 타계했다.[14] 때문에 크로넨버그 영화는 구체적인 설정이 없다면 시공간이 애매하게 현대 북미권으로 설정된 경우가 많다.[15] 맵 투 더 스타도 실내 장면은 토론토에서 찍었다.[16] 북미권에서는 스캐너스, 플라이와 초인지대 당시만 해도 흥행 성적 잘 나오는 신예 호러 감독 그런 이미지가 생겼지만 이후로는 감독 작품 세계가 일반 호러 영화로 팔기에는 애매해지면서 인지도가 떨어져 간 케이스.[17] 그냥 대중적으로 잔인한 공포영화가 아니며 매우 엽기적이고 잔혹한 신체 훼손이나 일반적인 상식을 뒤집는 정신병적인 성적 행위 묘사[18], 극단적인 심리 묘사가 많다. 게다가 이런 작품이 한두편이 아니라 필모그래피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로튼토마토에서는 그의 작품 미래의 범죄들를 두고 "크로넨버그의 팬이라면 환호할 것이지만 팬이 아니라면 고문과도 같을 것"이라고 평가했을 정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