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레더릭 와이즈먼의 주요 수상 이력 | |||||||||||||||||||||||||||||||||||||||||||||||||||||||||||||||||||||||||||||||||||||||||||||||||||||||||||||||||||||||||||||||||||||||||||||||||||||||||||||||||||||||||||||||||||||||||||||||||||||||||||||||||||||||||||||||||||||||||||||||||||||||||||||||||||||||||||||||||||||||||||||||||||||||||||||||||||||||||||||||||||||||||||||||||||||||||||||||||||||||||||||||||||||||||||||||||||||||||||||||||||||||||||||||||||||||||||||||||||||||||||
| |||||||||||||||||||||||||||||||||||||||||||||||||||||||||||||||||||||||||||||||||||||||||||||||||||||||||||||||||||||||||||||||||||||||||||||||||||||||||||||||||||||||||||||||||||||||||||||||||||||||||||||||||||||||||||||||||||||||||||||||||||||||||||||||||||||||||||||||||||||||||||||||||||||||||||||||||||||||||||||||||||||||||||||||||||||||||||||||||||||||||||||||||||||||||||||||||||||||||||||||||||||||||||||||||||||||||||||||||||||||||||
| <colcolor=#fff><colbgcolor=#3b4137> | |
| 이름 | 프레더릭 와이즈먼[1](Frederick Wiseman) |
| 국적 | |
| 출생 | 1930년 1월 1일 ([age(1930-01-01)]세) |
| 미국 매사추세츠 보스턴 | |
| 거주 | 미국 |
| 학력 | 윌리엄스 칼리지 (학사) 예일 대학교 (법학과 / 학사) |
1. 개요
미국의 다큐멘터리 감독. 다이렉트 시네마 운동의 기수로 꼽힌다. 정작 본인은 다큐멘터리라는 단어를 싫어한다.
유대인 가정 출신으로 예술 전공후 예일 대학교 로스쿨에 다녔고, 법학 강사를 하면서 다큐멘터리 공부를 시작했다. 1963년 셜리 클라크의 <The Cool World> 프로듀서로 경력을 시작하고 1967년 <티티컷 풍자극>(Titicut Follies)라는 다큐멘터리로 데뷔했다. 로스쿨 시절 만난 지포라 뱃쇼Zipporah Batshaw랑 결혼했으며 [2], 부인의 이름을 딴 지포라 필름즈를 설립해 [3] 90이 넘겨서 정정하게 활동해왔다. 작업 속도가 빨라서 늦어도 2~3년 단위로 신작이 나올 정도.
다이렉트 시네마 시절 경력을 시작한 다큐멘터리 감독답게 내러티브와 감독의 참여가 배제된, 관찰/기록에 충실한 다큐멘터리를 만든다. 주로 다루는 소재의 (주로 공공기관이나 특정 사회가 대다수다.) [4] 작동방식과 구조를 보여주는 것에 탁월하다는 평가를 받으며 와이즈먼의 이런 다큐멘터리 만들기는 후대 다큐멘터리 감독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전반적으로 분량이 긴 것도 특징. [5]
한국에서는 <라 당스>, <크레이지 호스>, <내셔널 갤러리>, <뉴욕 라이브러리에서>가 정식 개봉했고, <버클리에서>[6],
여담으로 일본의 유명 다큐멘터리 감독인 소다 카즈히로의 방법론인 관찰영화론은 그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졌다.
2025년 1월 은퇴를 시사했다. 가장 큰 동기로는 체력 저하라고. 2023년 발표한 메뉴의 즐거움 작업 후 상당히 아팠다고 한다. 출처 대신 이전작들을 복원하는 작업에 주력해 완료했고 [8] 뉴욕에서 1달짜리 회고전을 열었다.
2. 필모그래피
| <rowcolor=#fff> 년도 | 제목 | 연출 | 제작 | 편집 | 비고 |
| 1967 | 티티컷 풍자극 Titicut Follies | ○ | ○ | ○ | 데뷔작 |
| 1968 | 고등학교 High School | ○ | ○ | ○ |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 선정 |
| 1969 | 법과 질서 Law and Order | ○ | ○ | ○ | TV 영화 제21회 에미상 다큐상 수상 |
| 1970 | 병원 Hospital | ○ | ○ | ○ | TV 영화 제22회 에미상 다큐상 수상} |
| 1971 | 기초 군사 훈련 Basic Training | ○ | ○ | ○ | |
| 1972 | 에세네파 Essene | ○ | ○ | ○ | |
| 1973 | 청소년 법원 Juvenile Court | ○ | ○ | ○ | |
| 1974 | 영장류 Primate | ○ | ○ | ○ | |
| 1975 | 복지 Welfare | ○ | ○ | ○ | |
| 1976 | 고기 Meat | ○ | ○ | ○ | |
| 1977 | 운하 지구 Canal Zone | ○ | ○ | ○ | |
| 1978 | 시나이 현장 임무 Sinai Field Mission | ○ | ○ | ○ | |
| 1979 | 작전 훈련 Manoeuvre | ○ | ○ | ○ | |
| 1981 | 모델 Model | ○ | ○ | ○ | |
| 1983 | 백화점 The Store | ○ | ○ | ○ | |
| 1985 | 경주로 Racetrack | ○ | ○ | ○ | |
| 1986 | 청각 장애인 Deaf | ○ | ○ | ○ | |
| 시각 장애인 Blind | ○ | ○ | ○ | ||
| 적응과 일 Adjustment & Work | ○ | ○ | ○ | ||
| 복합 장애 Multi-Handicapped | ○ | ○ | ○ | ||
| 1987 | 미사일 Missile | ○ | ○ | ○ | |
| 1989 | 임사 Near Death | ○ | ○ | ○ | 제40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포럼 부문 국제비평가연맹상(FIPRESCI) 수상 |
| 1990 | 센트럴 파크 Central Park | ○ | ○ | ○ | |
| 1991 | 애스펀 Aspen | ○ | ○ | ○ | |
| 1993 | 동물원 Zoo | ○ | ○ | ○ | |
| 1994 | 고등학교 2 High School II | ○ | ○ | ○ | |
| 1995 | 발레 Ballet | ○ | ○ | ○ | |
| 1996 | 코메디 - 프랑세즈 La Comédie-Française ou L'amour joué | ○ | ○ | ○ | |
| 1997 | 공공 주택 Public Housing | ○ | ○ | ○ | |
| 1999 | 벨파스트, 마인 Belfast, Maine | ○ | ○ | ○ | |
| 2001 | 가정 폭력 Domestic Violence | ○ | ○ | ○ | |
| 2002 | 가정 폭력 2 Domestic Violence 2 | ○ | ○ | ○ | |
| 마지막 편지 La dernière lettre | ○ | ○ | ○ | 극영화 | |
| 2005 | 정원 The Garden | ○ | ○ | ○ | |
| 2006 | 주 의회 State Legislature | ○ | ○ | ○ | |
| 2009 | 라 당스 La danse | ○ | ○ | ○ | 제34회 세자르상 장편다큐멘터리상 후보 |
| 2010 | 복싱 체육관 Boxing Gym | ○ | ○ | ○ | |
| 2011 | 크레이지 호스 Crazy Horse | ○ | ○ | ○ | 제36회 세자르상 장편다큐멘터리상 후보 |
| 2013 | 버클리에서 At Berkeley | ○ | ○ | ○ | |
| 2014 | 내셔널 갤러리 National Gallery | ○ | ○ | ○ | 제39회 세자르상 장편다큐멘터리상 후보 |
| 2015 | 잭슨 하이츠에서 In Jackson Heights | ○ | ○ | ○ | |
| 2017 | 뉴욕 라이브러리에서 Ex Libris: The New York Public Library | ○ | ○ | ○ | 제74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경쟁 부문 초청, 국제영화비평가연맹(FIPRESCI)상 수상 |
| 2018 | 몬토비아, 인디애나 Monrovia, Indiana | ○ | ○ | ○ | |
| 2020 | 시티 홀 City Hall | ○ | ○ | ○ | 카이에 뒤 시네마 선정 2020년 베스트 1위 |
| 2022 | 부부 A Couple | ○ | ○ | ○ | 극영화 제79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경쟁 부문 초청 |
| 2023 | 메뉴의 즐거움 - 트와그로 가족 Menus-Plaisirs – Les Troisgros | ○ | ○ | ○ |
3. 외부 링크
<뉴욕 라이브러리에서> 프레더릭 와이즈먼 감독 - '그것'들이 영화가 되기까지...[1]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법 및 프레더릭 와이즈먼의 일부 연출작들을 국내에 배급 중인 영화사 진진에서 표기 중인 이름이 '프레더릭 와이즈먼'임에 따라 이것으로 표기합니다.[2] 부인은 2021년 타계.[3] 본인 다큐멘터리 배급 및 홈 비디오 발매도 여기서 담당하고 있다.[4] 때문에 제목 대다수가 간결한 명사다.[5] 다만 초창기엔 그리 길지 않았고 짧거나 일반적인 수준이었고, 198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분량이 늘어나기 시작한다. 초창기엔 TV 다큐멘터리 쪽에서 활동해서 그런듯.[6] 영화사 진진 수입[7] 2021년 최근 상영된 DCP 상영본에는 자막이 가로로 처리되어있었으나, 이 문의 답변글에 의하면 수입된 것은 아니라고 한다.[8] 복원판 크레딧에 따르면 스티븐 스필버그가 복원을 지원해줬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