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2 22:03:05

프랑스-일본 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벨기에 민간기.svg
벨기에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파일:코르시카 깃발.svg
코르시카
파일:프랑스 원형.png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아메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도미니카 연방 국기.svg
도미니카 연방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
세인트루시아
파일:그레나다 국기.svg
그레나다
파일: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국기.svg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아프리카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
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
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가봉 국기.svg
가봉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
파일:세이셸 국기.svg
세이셸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파일:베냉 국기.svg
베냉
파일:코모로 국기.svg
코모로
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토고 국기.svg
토고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바누아투
파일:누벨칼레도니 기.svg
누벨칼레도니
파일:프랑스 원형.png
다자관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영프독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미국·영국·프랑스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미국·캐나다·프랑스
파일:아프리카 연합 기.svg
아프리카
과거의 대외관계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프랑스-나치 독일 관계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독일 국기.svg
프랑스-바이마르 공화국 관계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청나라 국기.svg
프랑스-청나라 관계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프랑스 국장.svg Politique étrangère de la France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6자회담 당사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아시아
파일:제주특별자치도기.svg
제주특별자치도
파일:대한민국 원형 국기.svg
파일:오키나와현 현기.svg
오키나와현
파일:일본 원형 국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만주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파일:티베트 국기.svg
티베트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쿠르드족 깃발.svg
쿠르드
파일:튀르키예 원형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이란 원형 국기.png
유럽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아메리카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아프리카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파일:팔라우 국기.svg
팔라우
파일:마셜 제도 국기.svg
마셜 제도
파일:나우루 국기.svg
나우루
파일:미크로네시아 연방 국기.svg
미크로네시아 연방
파일:투발루 국기.svg
투발루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다자관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한중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한미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한러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대한민국·대만·일본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Quad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미중일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미영일
파일:아프리카 연합 기.svg
아프리카
과거의 대외관계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수나라
발해 통일신라 파일:고려 의장기.svg
고려
파일:조선 어기.svg
조선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러시아 제국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일본 제국 해군기.svg
추축국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프랑스 일본

1. 개요2. 역사적 관계
2.1. 21세기 이전2.2. 21세기
2.2.1. 2010년대2.2.2. 2020년대
3. 일본의 프랑스 문화 애호4. 프랑스의 일본 문화 애호5. 대사관6. 관련 문서

파일:external/www.animemaru.com/FranceJapan.jpg
일본의 도쿄 타워와 프랑스의 에펠 탑
파일:external/www.banque-france.fr/france-japon.gif
佛日關係
프랑스어 : Relations entre la France et le Japon
일본어 : 日仏関係 (にちふつかんけい)

1. 개요

프랑스일본 간의 관계. 지리적으로 멀고, 영토, 역사, 군사적 분쟁이나 접점이 중일전쟁[1], 제2차 세계 대전 시기를 제외하고는 거의 없어서 관계가 많이 좋은 편. 제2차 세계 대전 때도 자유 프랑스와는 공식적으로 적국이었지만, 직접적으로 싸운 적은 없다.[2] 그래서 양국 간의 관계는 주로 문화적인 면에 국한되는 편. 현재 프랑스는 유럽 최고의 일본 문화 소비국이며, 일본 역시 프랑스에 대한 이미지가 긍정적인 편이라 서로의 관계는 매우 좋은 편이다. 또한, 양국 간에도 거주하는 주민들도 있어서 프랑스 내에서도 일본인들이 거주하고 있으며 또한 일본 내에도 프랑스인들이 거주하고 있어서 프랑스인 공동체가 형성되어 있다. 파리에도 일본인 공동체가 존재한다. 양국은 G7에 속해 있고 서로간에 협력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2. 역사적 관계

2.1. 21세기 이전

일본과 프랑스의 관계가 좋기만 했던 건 아니다. 1980년대의 일본의 버블경제에 대해선 프랑스에서도 일본을 꽤 경계했으며 프랑스 정부에서 대일 무역적자 확대에 대한 대항 조치로 일본에 무역 보복 조치를 대대적으로 실시하기도 했고 에디트 크레송 전 총리가 일본인들은 침략자, 노란 개미떼들이라 발언하는 바람에 관계가 틀어지기도 했다. 1992년 7월 28일에도 일본측이 프랑스를 포함한 유럽으로부터 수입되는 식품에 대해 방사능 유무와 관련, 엄격히 대처하고 있는데 이에 따른 보복조치로 프랑스 정부가 8월부터 일본제 식품의 수입을 잠시 중단한다고 선언한 적도 있었다.#

2.2. 21세기

2003년에는 이시하라 신타로프랑스어의 20진법[3]을 두고 '수를 셀 수 없는 언어'라고 비하해서 프랑스 대사관측으로부터 항의를 받기도 했다.

2.2.1. 2010년대

2015년 3월 11일, 프랑스와 일본 양국은 아프리카에서 대테러 작전 협력을 논의하기로 했다.#

일본 정부는 2018년에 프랑스-일본 수교 160주년을 맞이해 자포니즘 2018이란 타이틀을 내걸었다.#

2018년 7월 13일에 일본 정부는 국무회의에서 자위대와 프랑스군이 식료품과 탄약, 연료 등 물품과 수송 편의를 서로 제공할 수 있는 상호군수지원협정(ACSA)을 체결하기로 의결했다.# 그리고 7월 14일에 일본 자위대는 프랑스 파리를 3번째로 방문하면서 군사퍼레이드를 열었다.#

2018년 10월 17일에 아베 총리는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과 만나면서 중국을 견제하고 일본 자위대와 프랑스군의 공동훈련 및 함정의 상호왕래 확대 방안에 협의할 것이라고 니혼게이자이 신문이 보도했다.# 그리고 일본은 프랑스 항공모함과 자위대의 연합훈련을 추진하기로 합의했고,# 북한의 불법 환적을 막기 위해 일본에 해군 함정을 파견하기로 밝혔다.#

2018년 11월 19일 카를로스 곤 구속 사건으로 인해 외교 갈등을 빚고 있다.# 프랑스의 언론들은 일본을 비난하고 나섰으며 심지어 일본의 언론들마저 프랑스인들 사이에서 일본에 대한 불만이 터져나온다고 우려의 기사를 내기도 했다.

카를로스 곤 전 회장이 출국 금지라는 보석 조건을 어기고 레바논으로 출국하면서 15억엔(약 160억원) 규모의 보석 보증금이 모두 몰수되고 재판 절차에도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보도했으며 일본 정부는 NHK에 "곤 전 회장의 출국이 사실이라면 일본 국내 사법 절차가 제대로 진행될 수 있도록 외교 경로를 통해 레바논 정부에 협조를 요청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 그리고 프랑스 정부는 곤 전 회장이 프랑스로 온다면 일본으로 돌려보내지 않을 것이라고 밝히면서 양국간의 관계가 악화되고 있다.#

2018년 11월 30일에 마크롱 대통령과 아베 총리는 아르헨티나에서 열리는 G20정상회의에서 르노와 닛산자동차 동맹관계는 공고하다고 밝혔다.#

2019년 1월 11일에 다케다 스네카즈 일본 올림픽위원회 회장이 2020년 도쿄올림픽 유치 투표 등 과정에서 뇌물 제공 혐의로 프랑스에서 조사를 받고 있다고 일본 언론이 보도했다.# 그리고 프랑스 검찰이 일본 유명 광고업체인 덴쓰를 정조준하고 있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2019년 1월 20일에 프랑스 정부 대표단이 방일하면서 르노-닛산을 통합추진의사를 밝히자 일본측은 반발했다.# 그러자 프랑스의 브뤼노 르메르 재정경제부 장관은 르노-닛산의 합병을 부인했다.#

일본 정부는 2019년 3월 8일에 북한 상선의 불법 환적을 막기 위해 프랑스도 참여한다고 밝혔다.#

일본은 프랑스와 인도-태평양 전략연대도 강화하고 있다.#

2.2.2. 2020년대

2020년부터 일본은 독일, 프랑스와 협력해 재사용(reusable) 로켓 개발에 나선다고 밝혔다.#

10월 5일에 스가 총리와 마크롱 대통령은 첫 전화회담을 가지면서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인도-태평양 구상과 북한 문제에서 협력하기로 의견일치를 보였다.#

프랑스, 일본, 미국이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2021년 5월에 합동 군사 훈련을 시행하기로 합의했다.#

프랑스의 제약회사 사노피가 일본에서 코로나19 백신 임상 3상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2022년 1월 18일에 일본 외무성이 프랑스와 일본이 1월 20일에 2+2 외교·국방장관 회담을 화상으로 개최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2024년에 프랑스 육군과 육상 자위대가 일본에서 첫 공동훈련을 했다.#

3. 일본의 프랑스 문화 애호

19세기 중반에 막부의 권위가 떨어지고 개화기에 접어들기 시작한 일본은 유럽의 제도 및 문화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려 했는데, 1854년미국에 억지로 개항한 이후 일본은 국력 차이에 통감하며 유럽의 제도와 문물을 거의 그대로 수입하는 입장이었기 때문이다. 일본 민법으로 대표되는 각종 사회 제도 등은 프랑스의 영향을 받은 흔적이 많다.[4] 이와쿠라 사절단의 유럽 견문 내용을 보면 1871년,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에서 프랑스가 패배한 직후 유럽 정가에서 프랑스 거품설이 한창 돌던 시절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측 사절들은 "전쟁에서 패하긴 했지만 프랑스는 여전히 강성하며 전혀 만만하게 볼수 없는 나라이고, 문화나 제도적 측면에선 승자인 프로이센보다 여전히 더 뛰어난 면이 있다"며 상당히 개방적이고도 강하게 친프랑스적인 의견을 표했다. 이후로도 일본의 지식인, 정치인들이 서양을 바라보는 관점에선 익히 알려진대로 기본적인 대민정책, 군사조직의 틀에선 독일 제국의 사례를 많이 참조했고, 정치구조와 지정학적인 관점에선 영국을 참조하고 동맹도 맺었지만, 문화적인 차원에서는 프랑스를 높이 평가했다.

파일:FirstJapaneseMission.jpg

▲ 분큐 유럽 파견 사절단 (文久遣欧使節)

두 나라의 정식적인 교류는 1858년네덜란드, 프랑스, 영국, 프로이센, 포르투갈과 맺은 수호통상조약에서 니가타, 효고 두 항구와 에도, 오사카 두 도시의 개항과 개발을 하기로 합의로 시작되었다.

그 후 '분큐 유럽 파견 사절단' 중 한 명이었던 후쿠자와 유키치는 프랑스를 비롯한 서구 문명에 대해 느낀 경험을 살려 메이지 유신을 이끌어내었다. 메이지 유신 때 사회 제도의 표본으로 삼은 것이 당시의 세계 최고의 선진국이었던 영국, 프랑스, 독일이었고, 특히 고상한 선진 문화의 표본은 전통적인 유럽 문화의 중심지였던 프랑스였다. 다만 당시 일본 제국구제고등학교의 외국어 커리큘럼을 보면, 모든 학교들이 영어를 제1외국어로 하는 ‘갑류’와 독일어를 제1외국어로 하는 ‘을류’ 학급을 설치했지만, 프랑스어를 제1외국어로 하는 ‘병류’ 학급을 설치한 학교는 극소수였다.[5] 즉 문화적인 이미지는 강했지만, 일본 제국의 제도적 롤모델이 주로 독일 제국대영제국이었기에, 외국어 교육은 영어와 독일어가 중심이었고, 프랑스어는 주로 문학이나 예술을 전공하려는 학생들이 배우는 정도였다. 시기적으로 독일 제국의 붕괴나치 독일과의 동맹의 사이라 신생 바이마르 공화국과의 외교적 관계가 드문드문하던 1920년대의 국비 유학생 파견국을 보아도 50% 이상이 독일(특히 베를린 대학교는 일본 최고의 엘리트들이 많이 유학하는 대학이었다)이었고, 프랑스는 10% 이하였다.

일시적 에피소드지만 태평양 전쟁 이후 시가 나오야프랑스어를 일본의 공용어로 할 것을 주장하기까지 했다. 물론 일본 정부에서 이를 수용하지 않고 무시했지만 말이다.

파일:12039494948AF.jpg

▲ 일본 미디어 매체에 등장하는 프랑스인 캐릭터

현재도 프랑스 하면 일본에서는 고급스러움의 대명사로 통하는 인식이 남아있어 여기저기에 프랑스어를 집어넣는다.[6] 일본 만화 또는 일본 애니메이션프랑스인 캐릭터가 나오면 그 캐릭터는 대부분 어딘가 우아하고 품위있는 캐릭터이다. 프랑스를 방문했다가 현실을 마주하면서 괴리를 견디지 못한 몇몇 일본인들[7]이 자신들이 생각했던 이미지와 거리가 먼 현실에 멘탈이 붕괴되어 파리 신드롬이라는 정신 질환이 화제가 되기도 했다.[8]

그외에도 일본의 다양한 작품들에서 실존하지 않는 가상의 유럽 국가를 모토로 할 때 배경으로 많이 나온다. 대표적인 사례가 프랑스의 도시 스트라스부르를 모델로 한 주문은 토끼입니까와, 모나코 왕국과 프랑스의 지역을 적절히 섞은 GOSICK의 소뷔르 왕국 등이 있다.

다만 이 항목을 포함해 몇몇 한국의 인터넷 글들이 현대 일본인들의 프랑스 동경을 실제보다 훨씬 부풀려서 서술하는 경향이 있다. 대부분의 일본인들에게 프랑스는 멀리 떨어진 유럽의 주요 강대국 중 하나이며, 프랑스를 포함한 유럽의 존재감은 지리적으로 가까운 중국이나 최대 동맹국인 미국보다 훨씬 옅다. 일본에서는 일반적으로 대학에서부터 제2외국어를 배우는데, 프랑스어는 비록 꾸준한 인기가 있었기는 하지만, 메이지 시대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는 독일어에 밀려 콩라인이었고[9][10], 2020년대 현재는 스페인어중국어가 가장 인기가 높다. 사실 프랑스 문화를 고상하다고 여기는 거는 전세계적인 인식인지라, 일본인이 특별히 프랑스를 사랑한다고 하기에는 근거가 약하다. 일본어에서 국가 이름들 중 유독 프랑스에만 존칭인 お를 앞에 붙여 ‘おフランス’(오후란스)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는데, 주로 프랑스제 명품임을 강조할때나 프랑스를 동경하는 몇몇 사람들이 쓰는 정도지, 이것을 가지고 대부분의 일본인들이 프랑스를 동경한다고 보기에는 어렵다.

이와는 별개로 일본인들에게 유럽에서 일본과 가장 비슷한 나라가 어디냐고 물으면 대다수는 독일을 꼽는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경제 부흥, 제조업 강국, 근면장인정신, 성문법, 사교성과 유머 감각이 다소 떨어지며 질서와 조직을 중시하는 국민성, 어디서든 신용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영미권과 달리 현금 사용을 선호하는 사회 분위기 등이 그 이유다.

식문화 면에서 보면 이탈리아 요리에 밀려 프랑스 요리가 고전하고 있는 대한민국에 비해 일본의 경우는 프랑스 요리가 매우 인기가 많다. 그렇다고 해서 피자파스타, 리소토 같은 이탈리아 요리가 일본에서 인기가 없다고 생각한다면 큰 오산인데, 실제로 타베로그에서 검색하면 2025년 7월 기준으로 수도인 도쿄에서 프렌치 레스토랑은 3,071개인 반면 이탈리안 레스토랑은 그 2.31배인 7,108개가 있다는 결과가 나온다. 재일 프랑스인의 60% 가까이가 수도권인 도쿄와 가나가와에 거주한다는 점[11]이나 프랑스 요리의 가격이 전반적으로 이탈리아 요리보다 비싼 점 등이 이유로 지방으로 갈수록 이 격차가 커져, 오사카에서는 프렌치 848개 vs 이탈리안 2,852개(3.36배), 아이치에서는 프렌치 537개 vs 이탈리안 1,951개(3.63배), 홋카이도에서는 프렌치 378개 vs 이탈리안 1,458개(3.86배)이다. 전국 합계는 프렌치 11,118개 vs 이탈리안 34,142개으로, 외국 음식점 중 가장 숫자가 많은 중국 요리36,955개와 비교해도 뒤지지 않을 정도로 이탈리아 요리는 일본에서 가장 대중적인 유럽 요리이다. 즉 일본인이 프랑스를 특별히 동경해서라기보다, 동아시아에서 가장 서양 음식이 빨리 보급된 나라다보니 그만큼 프랑스 요리의 저변이 아시아에서 가장 넓은 거라 볼 수 있다. 일본과 비슷한 시기에 서양 음식이 들어온 홍콩도 도쿄와 함께 동아시아에서 최상급 프렌치 레스토랑이 가장 많은 양대 도시이지만, 더 대중적인 유럽 요리는 이탈리안이다.

르노, 알핀, 푸조, 시트로엥, DS 오토모빌 등 프랑스제 자동차 역시 1960-1970년대부터 일본 수입차 시장에서 인기가 많다. 어디까지나 한국과 비교해 프랑스제 자동차 마니아가 조금 더 있다는거지, 대중적 인기가 많다고 보기는 힘들다. 일본에서도 수입차 중에 가장 인기가 높은 것은 단연코 독일제이며, 프랑스제는 일부 마니아들이 찾는 정도이다.

4. 프랑스의 일본 문화 애호

프랑스는 유럽에서 가장 많이 일본 문화를 소비하고 있는 나라다. 일본에서도 일반적으로 프랑스, 인도, 브라질, 터키, 태국, 대만 등을 문화적 친일 성향 국가로 꼽으며 대체로 맞는 말이다.[12]

프랑스의 일본 문화 애호 중 가장 유명한 사례가 자크 시라크 전 대통령으로 시라크는 일본 문화에 조예가 깊었고 스모광으로 유명해 반려견 이름을 '스모'라고 지을 정도였다.[13]

따라서 프랑스에는 일본 문화 애호가가 상당히 많은데 영미권에서 일본 마니아를 비하할때 위아부(weeaboo, weeb)라고 부르는 것처럼 프랑스인 일본 마니아를 비하할때 "Kikoo Jap"이라고 부른다.

다만, 일본 문화가 유럽에 처음 소개된 것은 17세기이고, 프랑스에서 일본 문화에 대한 관심이 본격적으로 불타오른 시기는 19세기이기 때문에, 프랑스가 일본 문화를 동경했다고 하는 것은 적절하지 못하다. 이 당시의 동양풍 유행은 오리엔탈리즘의 연장선상에 가깝다. 좋아하는 것과 그렇게 되고 싶은 것은 엄연히 다른 것이다.

유럽 문화 중에서도 가장 귀족적이고 복잡한 로코코의 발상지였던 프랑스의 입장에서는 갈수록 정교화/복잡해지는 자신들의 문화 방향과 대비되는 간결하고 직관적인 구성의 일본 문화가 낯설고, 신선하면서도 매력적으로 다가왔다. 프랑스에 일본의 문물이나 생활상이 소개되고, 일본의 목판화인 우키요에를 보고 프랑스 화가들이 우키요에를 모방해서 그리기도 했으며, 인상주의아르누보 같은 미술 사조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었다. 일본 문화의 유행을 자포네스크라고 부른다.

파일:external/cup2013.files.wordpress.com/the-bridge-in-the-rain-after-hiroshige-1887.jpg

▲ 사진의 좌측은 일본의 우키요에, 우측은 빈센트 반 고흐가 모작한 습작

그리고 태평양 전쟁 이후 일본의 경제 발전과 더불어 일본 문화의 위상 역시 높아진다. 원재료를 많이 가공하지 않고, 재료의 맛을 살리는 일본 요리를 보고 고지방 를 이용한 전통 프랑스 요리에서 탈피해 깔끔한 요리를 지향한 것이 바로 누벨 퀴진이다.[14] 또한 스시 같은 원조 일식도 프랑스에서도 아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심지어 슈퍼같은 곳에서도 냉동 스시를 심심치 않게 판다! 다만 맛은 보장할 수 없으니 유의하자(...). 만화 역시 일본의 영향을 많이 받은 분야로, 도서관에 가면 일본 만화들이 수없이 진열되어 있다. 동아시아권을 제외하면 일본 만화 최대 수입국이 프랑스다. 심지어 일본 만화 읽자고 프랑스어를 배우는 양덕후들까지 있을 정도이다. 아예 일본 만화 화풍을 프랑스 만화에 접목시킨 망프라라는 신장르를 만들어내기도 했다. 2021년 5월 21일, 프랑스 정부는 문화에 관련된 체험이나 상품에 사용할 수 있는 쿠폰 “문화 패스”를 18세 프랑스 거주자 전원을 대상으로 배포하기 시작했는데, 이용액의 84%가 약 70만권의 서적 구입에 충당됐고, 프랑스지 피가로에 따르면 “50%를 크게 웃도는 비율”은 일본의 만화가 차지했다.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2021년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보다 귀멸의 칼날의 원작자 고토게 코요하루를 먼저 만나보고 싶어했고, 고토게가 거절하자 진격의 거인 원작자 이사야마 하지메를 대체격으로 만나려 했을 정도로 일본 만화의 팬이다. #

하지만 그렇다고 일본 만화에 비판적이지 않은 것은 아니며 앙굴렘 국제만화제에서 일본이 위안부 피해자 기획전 부스를 취소하라고 압력을 넣었지만 거절하고 도리어 일본의 만화 부스를 정치적이라는 이유로 철거했다. 위안부 만화 '관심과 지지'. 일본 작품은 '철거' / YTN

또한 미투 운동 이후 프랑스에서는 일본 만화의 성차별적 요소를 둘러싼 논쟁이 불붙고 있다고 2018년 7월 9일에 르몽드가 보도했다.# 사실 그닥 새로운 일도 아닌 것이 서양권에서 일본 매체의 성차별에 대한 비판은 오래 전부터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15]

마지막으로 일본 만화는 사실 프랑스 뿐 아니라 인접국인 영국, 독일, 이탈리아[16], 스페인[17]에서도 인기가 높고, 식문화 면에서는 자국 음식에 대한 자부심이 대단해 외국 음식이 잘 파고들지 못하는 프랑스의 파리와 달리, 음식이 맛있지 않다는 인식이 있는 대신 외국 음식에 훨씬 개방적인 태도를 보이는 영국의 런던일본 요리 레스토랑이 더욱 많다. 원래 런던이 세계적 파인 다이닝의 중심지 중 하나지만[18] 유럽에서 최고급 스시 레스토랑이 가장 많은 도시도 런던이다. 물론 이는 런던에 거주하는 일본인 인구(2024년 10월 기준 31,612명)가 파리 거주 일본인(동년 10월 기준 10,761명)보다 3배나 더 많은 영향도 크다. 즉 일본의 프랑스 애호와 마찬가지로 프랑스의 일본 애호도 대다수 국민들에게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보기는 힘들다.

프랑스의 와이너리 도멘 드 몽띠유가 2019년에 일본에 첫 진출했다.#

5. 대사관

프랑스는 도쿄에, 일본은 파리에 대사관을 두고 있다.[19]

6. 관련 문서


[1] 이것도 1939년까지는 프랑스 제3공화국이 건재하였기에 직접적인 군사적 접점이 있던건 아니고 상하이를 비롯한 프랑스 조계지 등을 같이 공격하고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를 통한 물자 지원 루트 문제로 외교적인 마찰이 발생한 정도이다.[2] 나치의 괴뢰국이긴 하지만 비시 프랑스 정권은 일본과 우방국이기에 일본은 형식적으로는 프랑스의 인도차이나 지배를 인정했으며 또한 같이 전투도 했었다.[3] 80을 4와 20(quatre-vingt)식으로 읽는 것[4] 사실 많은 사람이 좀 의아해할 부분인데, 일본 및 한국의 민법은 형식상 독일 판덱텐 체계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일본이 판덱텐 체계로 바꾸게 된 것은 유럽에서 민법을 도입하는 도중의 일로, 그 전의 모델은 바로 프랑스 민법이었다.[5] 이는 1920년대일제강점기의 조선과 대만일치시기의 대만에 각각 설립된 경성제국대학대북제국대학도 마찬가지여서, 입학시험의 외국어 과목은 영어 혹은 독일어를 의미했고(물론 일본어는 외국어가 아닌 ‘국어‘ 취급), 프랑스어는 선택과목에 지나지 않았다.[6] 그러나 어설픈 발음과 엉터리인 문법 때문에 프랑포네(Franponais)란 비아냥을 듣기도 한다. 재플리시의 프랑스어 버전인 셈.(#)[7] 주로 20~30대의 일본인 여성[8] 2000년대 이후로는 중국인 관광객들 사이에서도 발생하고 있다.[9] 1992년 교토대학 신입생들의 제2외국어 선택자수를 보면 독일어가 전체의 75%에 달하는 2,234명인 반면 프랑스어는 404명, 중국어 172명, 러시아어 104명이었다. 중국어는 1991년까지는 선택자수가 러시아어보다 적을 정도로 마이너한 외국어였지만 1993년부터 인기가 급상승하여 1994년에는 프랑스어를 제치고 선택자수 2위가 되었다. 교토대학 자기점검・평가보고서 Ⅱ 136페이지[10] 일제강점기의 영향으로 한국에서도 1970년대까지 제2외국어 교육은 압도적으로 독일어 우위였다.[11] 출처[12] 사실 예전부터 프랑스는 영미권 등 다른 유럽계 문화에는 배타적이었지만 특정 아시아 문화에 대해 우호적인 예는 있다. 그 예로 프랑스는 유럽에서 가장 많이 일본 문화를 소비하고 있지만 동시에 K-POP이 가장 흥행하는 유럽 국가 중 하나이기도 하다.[13] 예외적인 사례로 니콜라 사르코지가 있는데 스모 비하 발언을 해 자크 시라크와 말싸움을 하기도 했다.[14] 프랑스의 전설적인 셰프 폴 보퀴즈도 레시피에서 일본 요리의 영향을 많이 받았을 정도다.[15] 예를 들어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는 헬로 키티가 지나치게 의존적이라며 비판한 곳이 프랑스다.[16] 특히 베르사이유의 장미 애니메이션의 경우, 작품의 무대가 되는 프랑스에서는 중박 수준의 평범한 인기였던 반면에 이탈리아에서는 사회적 현상이라 부를 만큼 폭발적인 인기를 누렸다.[17] 특히 크레용 신짱이 대히트하여 신짱 가족이 바르셀로나로 여행가는 에피소드가 두번이나 나왔다. 하지만 이런 스페인에서의 인기와 달리 프랑스를 포함한 다른 유럽 국가에서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18] 영국 요리/악명을 생각하면 의아할 수 있지만, 전세계에서 자본과 인재들이 모여드는 곳이니 자연스러운 현상이다.[19] 주 프랑스 일본 대사관은 안도라모나코도 겸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