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6자회담 당사국 | |||||||
대한민국 | 북한 | 미국 | 중국 | 러시아 | ||||
아시아 | ||||||||
제주특별자치도 | 오키나와현 | 대만 | 홍콩 | 만주 | ||||
티베트 | 몽골 | 태국 | 베트남 | 인도네시아 | ||||
말레이시아 | 미얀마 | 필리핀 | 싱가포르 | 캄보디아 | ||||
라오스 | 인도 | 부탄 | 파키스탄 | 방글라데시 | ||||
아프가니스탄 | 카자흐스탄 | 우즈베키스탄 | ||||||
유럽 | ||||||||
벨라루스 | 우크라이나 | 아제르바이잔 | 아르메니아 | 독일 | ||||
폴란드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아일랜드 | ||||
스페인 | 포르투갈 | 이탈리아 | 몬테네그로 | 튀르키예 | ||||
핀란드 | ||||||||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 ||||||||
이란 | 아랍에미리트 | 쿠웨이트 | 이스라엘 | 사우디아라비아 | ||||
이라크 | 이집트 | 리비아 | 튀니지 | |||||
아메리카 | ||||||||
캐나다 | 멕시코 | 쿠바 | 브라질 | 페루 | ||||
아르헨티나 | 칠레 | |||||||
아프리카 | ||||||||
탄자니아 | 지부티 | 소말리아 | 나이지리아 | 콩고민주공화국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파푸아뉴기니 | 피지 | 팔라우 | ||||
마셜 제도 | 나우루 | 미크로네시아 연방 | 투발루 | 통가 | ||||
다자관계 | ||||||||
한중일 | 한미일 | 한러일 | 대한민국·대만·일본 | Quad | ||||
미중일 | 미영일 | 아프리카 | ||||||
과거의 대외관계 | ||||||||
고구려 | 백제 | 신라 | 발해 | 통일신라 | ||||
고려 | 조선 | 청나라 | 러시아 제국 | 추축국 | ||||
나치 독일 | 소련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 | ||||||
대한민국 | 중국 | 일본 | 미얀마 | 말레이시아 | |||
인도 | 파키스탄 | 아프가니스탄 | 스리랑카 | 이란 | |||
사우디아라비아 | 팔레스타인 | 카타르 | 이스라엘 | 타지키스탄 | |||
유럽 · 오세아니아 · 아메리카 | |||||||
러시아 | 독일 | 영국 | 튀르키예 | 그리스 | |||
호주 | 뉴질랜드 | 미국 | |||||
다자관계 | |||||||
인도·파키스탄·방글라데시 |
일본 | 방글라데시 |
1. 개요
일본과 방글라데시와의 대외관계.2. 역사적 관계
2.1. 20세기
1992년 11월 26일, 방글라데시 정부는 한국, 대만, 일본 등에 합법적인 인력수출을 준비 중이며, 이를 공표할 예정이라고 언급했다. #2.2. 21세기
2.2.1. 2000년대
부산에서 일본으로 밀입국하려 했던 방글라데시인, 이란인 등 21명의 외국인들이 검거되었다. #2006년 11월 1일 노벨평화상을 받은 방글라데시인 기업인인 무함마드 유누스는 한국, 중국, 일본을 방문한 뒤 귀국했다. #, #
2.2.2. 2010년대
2010년 12월, 셰이크 하시나 방글라데시 총리는 일본기업을 위한 경제특구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2014년 8월, 일본은 방글라데시에 5조9천억원을 지원했다. #, #
2014년 9월 방글라데시는 유엔 안보리 자리를 일본에 양보했다. #
2016년 7월, 2016년 방글라데시 다카 베이커리 테러 사건이 벌어지면서 이탈리아인 9명, 일본인 7명이 사망했다. #
2019년 5월 28일 ~ 31일까지 셰이크 하시나 총리가 방일할 예정인데, 방일하면서 일본으로부터 3조원 규모의 경제지원을 받기로 결정했다.#
2.2.3. 2020년대
2022년 6월 일본 정부는 방글라데시와 인도네시아의 석탄화력 발전소에 자금 조달을 철회하기로 했다. #2022년 8월부터 방글라데시에 일본 산업단지가 세워질 예정이다. #
3. 교통 교류
두 나라들을 잇는 공항이 없다보니 인도나 태국, 홍콩을 경유해서 오고 간다. 일본인은 방글라데시에 갈 때 비자 요구사항은 도착비자에 해당되며 30일 머무를 수 있다. 또한 다카나 치타공, 실헤트의 오스마니 국제공항에서 비자를 이용할 수 있다.방글라데시인이 일본에 갈 경우 비자가 필요한 상황이다.
4. 대사관
다카에는 일본 대사관이, 도쿄도에는 방글라데시 대사관이 설립되어 있다.5. 여담
방글라데시의 국기는 일장기를 참고해서 만들었다. 일본내에도 방글라데시인 공동체가 존재해 있다.악마의 시 번역자 피살사건의 유력한 용의자가 방글라데시 출신 유학생으로 알려졌다. 해당 인물이 사건 조사 과정에서 출국하면서 해당 사건은 미해결로 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