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볼드체 표기에 진한 은색 바탕에 있는 국가들은 현재 탈레반을 인정하지 않고 정치적으로 은색 바탕에 * 표시가 된 국가는 대사관을 폐쇄했지만 탈레반을 인정하지 않는 곳이다. | ||||||
아시아·서아시아 | |||||||
대한민국 | 일본 | 몽골* | 중국 | 인도네시아 | |||
인도 | 파키스탄 | 방글라데시 | 이란 | 사우디아라비아 | |||
카타르 | 아랍에미리트 | 우즈베키스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
투르크메니스탄 | |||||||
유럽·아메리카·오세아니아 | |||||||
러시아 | 독일 | 영국* | 튀르키예 | 미국 | |||
캐나다 | 호주 | ||||||
다자관계 | |||||||
이란·아프가니스탄·타지키스탄 | 인도·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 | 이란·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 | ||||
대한민국 | 중국 | 일본 | 미얀마 | 말레이시아 | |
인도 | 파키스탄 | 아프가니스탄 | 스리랑카 | 이란 | |
사우디아라비아 | 팔레스타인 | 카타르 | 이스라엘 | 타지키스탄 | |
유럽 · 오세아니아 · 아메리카 | |||||
러시아 | 독일 | 영국 | 프랑스 | 이탈리아 | |
튀르키예 | 그리스 | 호주 | 뉴질랜드 | 미국 | |
다자관계 | |||||
인도·파키스탄·방글라데시 |
| |
아프가니스탄 | 방글라데시 |
1. 개요
아프가니스탄과 방글라데시의 관계.2. 역사적 관계
2.1. 중근세
지금의 아프가니스탄에 세워져 인도 북부를 점령했던 고르 왕조 및 아프가니스탄 지역의 군인들에 의해 벵골 지역도 이슬람화가 되었다. 그리고 아프간 북부의 페르시아 문화가 지금의 동벵골 일대에도 전파되어 벵골은 페르시아와 일부 튀르크 문화의 영향을 받기도 했었다. 이런 역사적 배경 때문에 벵골 술탄국은 아프가니스탄을 통해 페르시아 문화와 튀르크 문화가 들어오기도 했었다.2.2. 현대
2.2.1. 방글라데시-아프가니스탄 왕국 관계
아프가니스탄 왕국은 방글라데시 독립전쟁 당시 방글라데시의 피난민들에게 안전한 피난길을 제공해 주었다.2.2.2. 방글라데시-아프가니스탄 이슬람국&이슬람 공화국 관계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볼드체 표기에 진한 은색 바탕에 있는 국가들은 현재 이슬람 공화국 정권은 무너졌지만 일부 국가들과의 외교 관계가 유지되고 있다. | ||||||
아시아·서아시아 | |||||||
대한민국 | 일본 | 몽골 | 중국 | 인도네시아 | |||
인도 | 파키스탄 | 방글라데시 | 이란 | 사우디아라비아 | |||
카타르 | 아랍에미리트 | 우즈베키스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
투르크메니스탄 | |||||||
유럽·아메리카·오세아니아 | |||||||
러시아 | 독일 | 영국 | 튀르키예 | 미국 | |||
캐나다 | 호주 | ||||||
다자관계 | |||||||
이란·아프가니스탄·타지키스탄 | 인도·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 | 이란·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볼드체 표기에 진한 은색 바탕에 있는 국가들은 현재 이슬람 공화국 정권은 무너졌지만 일부 국가들과의 외교 관계가 유지되고 있다. | ||||||
아시아·서아시아 | |||||||
대한민국 | 일본 | 몽골 | 중국 | 인도네시아 | |||
인도 | 파키스탄 | 방글라데시 | 이란 | 사우디아라비아 | |||
카타르 | 아랍에미리트 | 우즈베키스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
투르크메니스탄 | |||||||
유럽·아메리카·오세아니아 | |||||||
러시아 | 독일 | 영국 | 튀르키예 | 미국 | |||
캐나다 | 호주 | ||||||
다자관계 | |||||||
이란·아프가니스탄·타지키스탄 | 인도·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 | 이란·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 |
| | |
방글라데시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국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2005년 11월 13일, 방글라데시 다카에서 제13차 남아시아지역협력연합 정상 회의가 열렸는데, 각국 정상들은 아프가니스탄의 가입을 받아들였다.#1, #2
그라민 은행을 연 무함마드 유누스 박사의 1973년 무담보 소액대출제도는 전 세계의 가난한 국가들에게 영향을 주어 훗날 아프가니스탄 등에도 운영되었다.#1, #2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시기인 2010년 방글라데시는 아프가니스탄의 재활과 재건을 도와주기로 했었다.
2010년 1월 29일, 다카에서 남아시안 게임(남아시아 경기 대회)가 열렸는데 아프가니스탄 역시 참여했다.#[1]
2010년 11월 26일,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에서 방글라데시와 아프가니스탄 사이의 크리켓 경기가 열렸으며, 방글라데시가 아프가니스탄을 이겨 금메달을 얻었다.#1, #2
2010년 12월 18일, 아프가니스탄의 한국 기업 공사현장에서 무장 괴한들이 습격을 했으며, 이 때 이곳에서 일하던 방글라데시 출신 근로자 1명 사망했고 7명이 실종되었다.#1, #2
방글라데시 외무부는 12월 20일, 납치된 방글라데시인 7명 중 두 명이 풀려났고 나머지 5명 회원들도 안전하다고 밝혔다. 그리고 방글라데시 외무부는 아프가니스탄 정부에게도 인질 석방 협력을 요청하여 아프가니스탄 정부도 협조했다.#1, #2
아프가니스탄의 한국 건설업체에서 고용된 방글라데시인 5명이 2010년 12월 탈레반에 의해 피랍되었다가 2011년 8월 2일에 풀려났다.#
2015년 2월 18일, 호주 캔버라에서 방글라데시와 아프가니스탄 사이의 크리켓 대회가 열렸다.#
2.2.3.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재건국 이후
아프가니스탄에서 탈레반이 본격적으로 부활하는 것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등 다른 아시아의 이슬람 국가들에게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2021년 8월 26일, 방글라데시 SNS에서 탈레반을 지지하는 내용들이 늘어나거나 일부는 탈레반에 가담하려고 아프가니스탄에 가려다가 구속되기도 해서 정부가 긴장하고 있다고 독일의 도이체 벨레가 보도했다.#
2021년 9월 1일, 탈레반 정권은 아프가니스탄 크리켓팀들이 호주에서 열리는 크리켓 대회 참가를 승인했다. #
2021년 12월 30일, 방글라데시 당국은 논란 끝에 방글라데시의 유명한 해변 관광지인 콕스바자르에서 여성 전용 해변을 폐지했다. 이슬람주의에 대해 비판적인 한 논평가는 이 정책을 두고 탈레반에 빗대어 '탈리비스탄'이라고 표현했다.#
2022년 아프가니스탄 지진 이후 방글라데시는 지진 피해를 입은 아프가니스탄을 도와주었다. #
3. 상호 교류, 교통 교류
두 나라 모두 순니 이슬람임에도 거리가 멀다 보니 적극적인 상호 교류는 많지 않았으나 어느 정도 교류는 있었으며 아프가니스탄 재건 활동에서는 활발히 참여하기도 했었다. 그러나 탈레반이 장악한 후 현재 두 나라들 간의 교류는 거의 없는 것이나 다름없다.4. 대사관
아프가니스탄은 다카에 대사관을 두었다.5. 관련 문서
- 아프가니스탄/외교
- 방글라데시/외교
- 남아시아지역협력연합
- 이슬람 협력기구
- 아프가니스탄/역사
- 방글라데시/역사
- 아프가니스탄/경제
- 방글라데시/경제
- 아프가니스탄인 / 방글라데시인
- 파슈토어 / 다리어 / 페르시아어 / 벵골어
- 아프가니스탄 요리 / 방글라데시 요리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중앙아시아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남아시아 국가
[1] 뉴스에서는 서아시안경기라고 잘못 표기되어 있는데, 남아시아 경기가 옳은 표기이다(2010년 남아시아 경기 대회 - 한국어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