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7-17 15:27:09

그리스-방글라데시 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유럽 · 아메리카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다자관계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UN기.svg
키프로스 5+1 회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유럽 · 오세아니아 · 아메리카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다자관계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인도·파키스탄·방글라데시
}}}}}}}}} ||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그리스 방글라데시
1. 개요2. 역사적 관계
2.1. 21세기 이전2.2. 21세기
2.2.1. 2000년대2.2.2. 2010년대2.2.3. 2020년대
3. 문화 교류4. 교통 교류5. 대사관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그리스방글라데시의 대외관계에 대한 문서.

2. 역사적 관계

2.1. 21세기 이전

18세기 그리스 상인들은 다카를 방문하기도 했으며, 이를 기념하는 기념관이 있기도 하다. #

방글라데시 독립전쟁 이후 두 나라는 1972년에 수교를 맺었다.

2.2. 21세기

2.2.1. 2000년대

2009년 1월 10일, 아테네에서 그리스 거주 방글라데시인들이 그리스 인종차별규탄시위를 열었다. #

2.2.2. 2010년대

2011년 3월 2일 리비아에서 철수한 대우건설 한국인 근로자들과 방글라데시인 근로자 820여명들이 그리스 선박을 타서 그리스로 탈출했다. #

2011년 3월 6일 리비아를 탈출한 대우건설의 방글라데시인 노동자들 49명이 그리스에서 불법체류를 목적으로 선박에서 탈출을 시도하다가 3명이 사망했고, 31명은 그리스 경비대에 붙잡혔고 15명은 소재가 파악되지 못했다. #, #, #, 관련 기사

2011년 3월 15일 그리스에서 실종된 방글라데시 출신 근로자 시신 7구가 발견되었다. #

2013년 4월 17일 그리스에 거주하는 방글라데시인 노동자들이 시위를 했다. #

2016년 4월 5일 그리스의 난민들이 튀르키예로 첫 송환되었는데 이들은 파키스탄과 방글라데시 출신들이 다수였다. #, #

2016년 10월 25일 그리스 레스보스 섬에서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난민들과 경찰이 충돌했다. #

2.2.3. 2020년대

2020년 6월 그리스에서 방글라데시 난민들이 시위를 열었다. #

3. 문화 교류

고대 헬레니즘 문화와 인도 토착 문화가 합쳐진 간다라 문화는 벵골 지방에도 전파되기도 했었다. 아테네에 방글라데시인 커뮤니티가 있으며 2009년에는 그리스의 방글라데시인들이 2만여명이 있었다가 2018년 이후에는 8만여명으로 늘었다.

4. 교통 교류

두 나라들을 직접 잇는 항공 노선이 없다보니 튀르키예이스탄불이나 카타르도하, 아랍에미리트두바이를 거쳐서 지나간다.

5. 대사관

아테네에 방글라데시 대사관이 있으며, 다카에는 그리스 영사관이 세워져 있다.

6. 관련 문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7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7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