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 |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대만 | 태국 | ||||
베트남 | 캄보디아 | 라오스 | 인도네시아 | 인도 | ||||
파키스탄 | ||||||||
유럽 | ||||||||
러시아 | 우크라이나 | 아르메니아 | 조지아 | 독일 | ||||
오스트리아 | 스위스 | 폴란드 | 헝가리 | 체코 | ||||
영국 | 아일랜드 | 네덜란드 | 벨기에 | 모나코 | ||||
룩셈부르크 | 코르시카 | 스페인 | 포르투갈 | 안도라 | ||||
이탈리아 | 루마니아 | 슬로베니아 | 그리스 | 튀르키예 | ||||
리투아니아 | 스웨덴 | |||||||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 ||||||||
시리아 | 레바논 | 이스라엘 | 카타르 | 아랍에미리트 | ||||
이란 | 모로코 | 알제리 | 이집트 | 튀니지 | ||||
리비아 | ||||||||
아메리카 | ||||||||
미국 | 캐나다 | 아이티 | 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 | ||||
세인트루시아 | 그레나다 |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 브라질 | 아르헨티나 | ||||
칠레 | ||||||||
아프리카 | ||||||||
마다가스카르 | 세네갈 | 부르키나파소 | 니제르 | 감비아 | ||||
말리 | 모리타니 | 가나 | 기니비사우 | 나이지리아 | ||||
기니 | 코트디부아르 | 차드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적도 기니 | ||||
상투메 프린시페 | 콩고 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 가봉 | 카메룬 | ||||
지부티 | 세이셸 | 모리셔스 | 베냉 | 코모로 | ||||
르완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 | 토고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바누아투 | 누벨칼레도니 | ||||||
다자관계 | ||||||||
영프독 | 미국·영국·프랑스 | 미국·캐나다·프랑스 | 아프리카 | |||||
과거의 대외관계 | ||||||||
프랑스-나치 독일 관계 | 프랑스-바이마르 공화국 관계 | 프랑스-청나라 관계 | 신성 로마 제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 · 아프리카 | ||||||
대한민국 | 팔레스타인 | 이스라엘 | 시리아 | 이란 | |||
사우디아라비아 | 이집트 | 튀니지 | |||||
유럽 · 아메리카 | |||||||
프랑스 | 튀르키예 | 키프로스 | 브라질 | 미국 |
프랑스 | 레바논 |
1. 개요
프랑스와 레바논의 관계에 대해 다루는 문서.레바논은 19세기부터 프랑스의 지배를 받기 시작하면서 프랑스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독립 후에도 프랑스와 협력 및 교류를 자주 하고 있다.
독립 과정에서 프랑스가 벌인 추태 때문에 깊은 골이 생긴 알제리와는 달리 레바논은 프랑스에 대한 시선이 매우 좋은 편인데 프랑스가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마론파 기독교도들을 보호해 온 역사도 있고 1919년에는 레바논의 독립을 위해서 프랑스에게 신탁통치를 요청했으며 프랑스의 지도 아래 헌법을 제정한 역사 때문이다. 물론 프랑스가 독립 의지를 꺾기 위해 저지른 뒷공작과 마론파 기독교도의 착오 때문에 레바논 내전을 포함한 정치 불안정의 원흉이 되기도 하였으며 프랑스가 중동전쟁 시절 이스라엘에게 무기지원과 더불어 핵개발에 도움을 줘서 갈등도 있는 편이다.
2. 역사적 관계
2.1. 고대
고대 로마가 지중해 동부의 헬레니즘 제국들을 병합하고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갈리아를 정복한 이래 오늘날의 프랑스와 레바논에 해당하는 지역은 로마 제국의 영토가 되었다. 즉, 양국은 로마 제국의 속주였다는 역사를 공유한다.여담으로 고대 페니키아인들이 건설한 식민지에서 출발한 고대 카르타고는 코르시카 섬을 지배하기도 했다. 오늘날 코르시카는 프랑스의 영토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출신지로도 유명하다.
2.2. 중세
로마 제국이 동로마 제국, 서로마 제국으로 분열되면서 갈리아 지역은 서로마 제국, 레바논 지역은 동로마 제국의 영토가 되었다. 갈리아 지역은 서로마 제국의 멸망 후에도 프랑크 왕국이 건국되면서 로마 문화를 많이 보존한 반면 레바논 지역은 동로마 제국의 영토가 되었지만 8세기부터 아랍 세력이 동로마 제국의 영토였던 북아프리카 지역과 팔레스타인, 시리아, 레바논 지역을 차지하면서 아랍화되었고 달라졌다.프랑스와 레바논의 외교 관계는 중세 십자군 전쟁 시절부터 기원한다고 볼 수 있다. 프랑크 십자군들은 레바논 산악지대를 통과하면서 알라위파, 드루즈 신도들이나 마론파 등과 조우했는데 처음에는 이들을 그리스인이나 아랍 무슬림들과 구분하지 못하고 그냥 보이는 족족 죽이다가 얼마 지나지 않아 이들이 여타 아랍 무슬림이나 그리스인들과 갈등하는 사이라는 것을 파악하게 되었다.
십자군들은 레바논 산악 지대의 마론파 등 현지 기독교인들이나 드루즈교도 등 소수종교 신자들을 현지 조력자로 삼아 투르코폴레스라는 보조 병과로 운영하였다. 레바논 산악지대의 팔레스타인 해안 지대에는 예루살렘 왕국이나 트리폴리 백국 같은 프랑크 세력의 십자군 국가들이 들어섰다. 예루살렘 왕국은 오늘날 레바논의 남부에 해당하는 지역까지 관할하였으며 트리폴리 백국은 오늘날 레바논의 트리폴리를 중심으로 레바논 북부의 해안 지대를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예루살렘 왕국와 트리폴리 백국의 고위직은 프랑스 왕국 출신이 많았고 프랑스 왕국은 십자군 국가들이 고립되지 않도록 인적자원들을 계속 보급하며 꾸준히 지원하는 역할을 맡았다.
십자군 전쟁이 실패로 끝난 후에도 마론파와 프랑스의 교류는 끊어지지 않고 계속 유지되었다. 1182년부로 마론파는 교황 수위권을 인정한 것을 계기로 프랑스를 비롯한 가톨릭 국가들로부터 계속 원조를 받았다.
2.3. 근세
오스만 제국이 레바논을 지배하기 시작한 후에도 프랑스 상인들은 레바논의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마론파 등을 믿는 기독교인 상인들과 교류를 지속하였다.2.4. 근대
19세기 들어 오스만 제국이 유럽의 환자라는 별명으로 불리면서 쇠퇴하기 시작하자 프랑스와 러시아는 오스만 제국의 레반트 지역 영토들을 찔러대기 시작했다. 러시아 제국은 예루살렘을 집중적으로 찔러댔다면 프랑스는 크림 전쟁에서 러시아에 승리한 것을 계기로 레반트 지역 전역에 대한 영향력을 급속히 확대하기 시작했다.당시 레바논 산악 지대 일대는 인구 부양력에 비해 인구가 과밀한 편이었고[1] 드루즈교도들과 마론파 사이에 국지전이 빈발하였다. 이런 상황에서 마론파 기독교인들은 프랑스 가톨릭 선교사들의 지원으로 경제난을 해결하곤 했다. 20세기 초반 레바논의 마론파 신도들은 산에서 농사짓는 것만으로는 식량 자급이 불가능하자 양잠을 해서 프랑스의 가톨릭 선교사들에게 팔면 프랑스에서는 선교 지원차 마론파들이 생산한 비단을 비싼 값에 사주곤 했지만 프랑스가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제 코가 석자인 상황이 되고 마론파들을 신경써 줄 여력이 안 되자 지원이 끊기면서 1915~1918년 레바논에 대기근이 찾아왔는데 대기근을 전후하여 레바논 산악지대의 마론파 신도들은 프랑스 해운 회사들의 배를 타고 이민 대열에 합류하면서 상당수가 브라질과 아르헨티나로 빠져나갔다.
당시 레바논인들의 해외 진출이 활발했던 이유도 프랑스의 지원 때문으로, 프랑스 자본에 의해 레바논 산악 지대에 마론파들을 대상으로 한 학교가 운영되었다. 레바논은 프랑스의 식민지가 되기 전부터 프랑스어를 구사 가능한 인구가 적지 않았으며 이렇게 프랑스어를 배운 레바논인들 중 적지 않은 수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반 사이에 프랑스나 미국, 아르헨티나나 브라질 등으로 이민할 수 있었다.
2.5. 20세기
20세기에 프랑스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승리하면서 오스만 제국의 영토였던 시리아와 레바논 지역을 지배했다. 당시 프랑스는 대영제국과 함께 중동에 영향을 줬다. 시리아 지역을 지배하면서 마론파 기독교 신자들이 다수를 차지하던 지역을 따로 지배했다.[2]레바논은 프랑스의 지배를 받으면서 발전을 많이 이뤘다. 20세기 중반이 되자 프랑스의 지배를 받던 레바논은 프랑스에서 독립하게 되었다.
2.6. 현대
현대에 들어서면서 레바논은 프랑스와는 교류, 협력이 매우 활발한 편이다. 프랑스의 영향을 받아 레바논에서는 프랑스어가 아랍어와 함께 널리 쓰이고 있고 프랑스 문화가 레바논에도 영향을 많이 주었다. 레바논에서 프랑스어가 널리 쓰이다 보니 레바논인들이 아랍어를 프랑스어 어휘와 섞어서 말하는 경우도 자주 있어서 아랍어 보호 운동이 일어날 정도다. 레바논은 프랑코포니에 가입되어 있다. 프랑스에도 레바논계 프랑스인들이 거주하고 있고 레바논은 프랑스와 관계가 깊어서 레바논인들중에도 프랑스 국적을 가진 사람들이 많이 있다(예컨대, 카를로스 곤 등).경제적으로도 레바논은 프랑스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프랑스도 레바논을 경제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2017년 11월 18일에 레바논의 사드 하라리 총리가 프랑스를 방문하여 프랑스 엘리제 궁에서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회담을 하였다.#
2019년 시위로 인해 경제원조를 프랑스 중심으로 요청했다.#
2020년 8월초에 레바논에서 폭발 사고가 일어나자 마크롱 대통령은 미셸 야운 대통령과 전화통화를 하면서 위로를 하면서 지원한다고 밝혔다.#
8월 31일에 마크롱 대통령이 레바논을 한 달 만에 두 번째로 방문했다.# 레바논 정부의 개혁이 없으면 국제사회의 지원은 없다고 밝혔다.#
9월 28일에 레바논 정부 구성이 무산되자 마크롱 대통령은 부끄러운 일이 벌어졌다고 비판했다.#
2021년 8월 4일에 마크롱 대통령은 레바논에 1억유로 상당의 지원을 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레바논 정부의 무능함을 비판하며 프랑스는 무작정 백지수표를 건넬수 없으니 레바논 지도자들이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
2.6.1. 식민통치 부활 논란
마크롱 대통령은 레바논을 방문했을 때 레바논 시민들이 크게 환대했으며 레바논 시민들 사이에서 자국의 정부에 대한 불만 때문인지 다시 프랑스의 통치를 받아야 한다는 여론이 강해졌다.이희수 한양대 문화인류학 교수의 뉴스공장 인터뷰(#)에 따르면 프랑스 마크롱 대통령의 레바논 방문은 식민주의 야수를 여지없이 세계에 드러낸 일이다. 오늘날 레바논에서 종파 간 부족 간 혼란이 일어나고 민생이 도탄에 빠진 근원적인 이유는 프랑스 식민지배의 영향이라는 것이다.
프랑스가 레바논 식민지배 20년을 끝내고 레바논을 떠나면서도 계속 영향력을 미치고 싶어 종파별 정치 구도를 만들었다. 대통령은 기독교, 총리는 수니파, 국회의장은 시아파, 국방부 장관은 드루즈가 맡도록 헌법에 명시했는데 어느 종파가 다수를 차지할 수 없어 헌법을 영원히 개정할 수 없다.
20세기 식민 분할통치(Divided and Control)가 21세기에도 영향을 미쳐 레바논을 혼란하게 만들고 있다. 이런 혼란을 틈타 프랑스가 인도주의라는 허울을 앞세워 레바논에 개입했다.
헤즈볼라가 정권을 잡은 상황에서 마크롱 대통령의 방문은 프랑스의 이익을 대변할 수 있는 친프랑스 정권을 세우려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서구언론에선 베이루트 항구 폭발 사고 이후 급격한 정세불안과 반정부 운동이 벌어지면서 그 중 일부 레바논 국민들이 '프랑스의 통치를 다시 원한다'고 보도했지만 이는 기독교도이거나 프랑스와 이해관계를 같이하는 소수 시민의 주장이라고 한다. 대다수 국민들은 헤즈볼라의 지배권인 베이루트에서 터진 초대형 사고를 통해 집권 여당 헤즈볼라에 대한 신뢰가 뚝 떨어졌고 오랜 분열과 분쟁에 지친 만큼 레바논도 시민의 아픔을 이해하는 투명하고 민주적인 정부를 세우길 바랐는데 이것이 시위의 본질이었지만 그럼에도 사고의 피해 수습과 국가 재건과정에서 외부가 도와주지 않으면 어려운데 이는 외세가 개입하기 딱 좋은 조건이고 특히나 중동에 대한 이해관계가 역전되면서 미국이 중동에서 손 떼려는 움직임을 틈타 프랑스가 다시 들어올 절호의 기회라는 점에서 프랑스의 개입은 피할 수 없는 상황이라는 비관적 전망도 내놓았다.
3. 관련 문서
[1] 중동 지역의 종교적 소수자들이 보편교회나 수니파 무슬림들의 눈치를 피해 살만한 곳이 레바논 산악지대밖에 없었기 때문이다.[2] 시리아와 레바논은 프랑스의 식민지배 시절부터 달라지게 되었고 마론파 신자가 다수를 차지하던 지역은 레바논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