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망스어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letter-spacing:-0.5px" | 라틴어† 중세 라틴어 민중 라틴어 | <colbgcolor=#b0c9fd,#415ca2> 서부 로망스어군 | <colbgcolor=#b0c9fd,#415ca2> 갈리아이베리아어 | 이베리아로망스어 | 갈리시아포르투갈어 | 포르투갈어 · 갈리시아어 |
아스투리아스레온어 | 레온어 · 미란다어 · 아스투리아스어 | |||||
카스티야어 | 스페인어 · 라디노어 | |||||
아라곤어 | 아라곤어 | |||||
모사라베어 | 모사라베어† | |||||
갈리아로망스어 | 오크로망스어 | 오크어 ( 랑그도크어 · 가스코뉴어 ) · 카탈루냐어 ( 발렌시아어 ) | ||||
오일어 | 프랑스어 · 노르만어 · 왈롱어 | |||||
프랑코프로방스어 | 프랑코프로방스어 (리오네 방언 · 도피네 방언 · 사부아 방언 · 아오스타 방언 · 보 방언 · 쥐라 방언) | |||||
레토로망스어 | 로망슈어 · 라딘어 · 프리울리어 | |||||
갈리아이탈리아어 | 갈리아이탈리아어 ( 피에몬테어 · 리구리아어 · 롬바르드어 · 에밀리아어 · 로마냐어 · 모나코어 ) | |||||
이탈리아달마티아어(1) | 토스카나어 ( 이탈리아어 · 코르시카어 ) · 중부 이탈리아어 · 움브리아어(2) · 칼라브리아어 · 나폴리어 · 아브루초어 · 시칠리아어 · 이스트리아어 · 달마티아어† · 베네토어 | |||||
동부 로망스어군 | 루마니아어 · 아루마니아어 · 이스트로루마니아어 · 메글로루마니아어 | |||||
남부 로망스어군 | 사르데냐어 · 아프리카 로망스어† | |||||
* ※ † 표시가 된 것은 사멸된 어군 혹은 언어 | }}}}}}}}} |
Namuviki, arbor scientiæ quæ fingistis vobiscum.[1]
나무위키, 여러분과 함께 가꾸어 나갈 지식의 나무.
나무위키, 여러분과 함께 가꾸어 나갈 지식의 나무.
Lingua Latina Media | |
중세 라틴어 | |
언어 기본 정보 | |
주요 사용국 | 없음 |
원어민 | 없음 |
어족 | 인도유럽어족 이탈리아어파 라틴팔리스크어군 라틴어 |
문자 | 라틴 문자 |
[clearfix]
1. 개요
중세 라틴어(Medieval Latin)는 중세 시대에 사용된 라틴어를 일컫는 말로, 교회 라틴어가 쓰이기 시작한 4세기 중반부를 그 시작으로 보는 경우도 있고 후기 라틴어가 로망스어로 대체된 900년대 즈음을 시작으로 보는 경우도 있어 시기에 대한 명확한 합의는 없다. 중세 라틴어는 교회 라틴어와 민중 라틴어의 영향을 많이 받아서 고전 라틴어와는 여러 면에서 차이를 보이는데 간략하게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2. 고전 라틴어와의 차이점
2.1. 문법적인 차이
- 고전 라틴어가 고도로 정제된 어순을 사용하였던 것에 비해 중세 라틴어의 어순은 글쓴이의 모국어의 어순을 따라간다.
- 탈격 홀로 사용되던 고전 라틴어에 비해 중세 라틴어는 의미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 전치사를 더 자주 사용한다.
- 고전 라틴어에서 주어가 인칭대명사일 경우에는 강조의 경우를 제외하면 대개 생략했던 것에 비해 중세 라틴어는 대개 주어를 생략하지 않는다.
- 격변화나 활용법이 섞여서 사용된다. 또한 의미가 극적으로 바뀐 어휘도 많다[2].
- 성경에 등장하는 그리스어와 히브리어 낱말이 많이 도입된다.
- 고전 라틴어에서는 목적절을 사용하는 대신 대격 + 부정사의 형태로 그 의미를 나타냈는데 중세 라틴어에서는 이를 접속사 + 주어 + 동사의 형태로 나타낸다.
- 고전 라틴어에서는 자주 사용하지 않던 절이 중세 라틴어에서는 자주 사용된다. 고전 라틴어에서 접속법을 사용해 표현할 문장을 중세 라틴어에서는 접속법 대신 다른 방법을 사용해 표현하는 경우가 많아졌고 몇몇 작가들은 직설법과 접속법을 섞어 쓰는 경우가 나타난다.
- sum 동사가 자주 생략된다. 고전 라틴어에서는 과거완료를 과거분사 + sum(현재시제)의 형태로 사용했는데 중세 라틴어에서는 과거분사 + fui(완료시제)의 형태로 사용하게 된다.
- 지시대명사의 사용에 혼란이 온다. 고전 라틴어에는 관사와 같은 개념이 없기에 영어의 the나 a 같은 요소를 표현하기 위한 문법적 요소가 없었지만 중세 라틴어에서는 hic, ille(저/저것)등을 the의 의미로, unus(하나, 한)를 a/an의 의미로 사용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 고전 라틴어에서 사용되던 절대 탈격이 중세 라틴어에서는 절대 주격, 절대 대격 등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는 후에 여러 로망스어의 정관사/부정관사로 변화한다.[프랑스어]
- 고전 라틴어에서는 현재진행과 단순 현재를 구분하는 문법이 없었으나 중세 라틴어에서는 영어에서처럼 현재분사 + sum동사의 형태로 현재진행을 표현하기 시작한다.
3. 정서법의 차이
- u와 v, i와 j가 분화하기 시작한다.
- 이중모음 oe와 ae가 줄어들어 e로 적히기 시작한다.
- 그리스어에 대한 지식이 줄어들면서 y와 i를 섞어 쓰는 일이 늘어난다.
- h의 발음이 약해지면서 h가 탈락하는 경우가 늘어난다. habere > abere, mihi > mi[4] 혹은 h의 발음이 k로 변하여 ch로 적히는 일도 발생하며 h의 발음이 유실됨에 따라 원래는 h가 없던 자리에 h가 들어가는 경우도 발생한다.
- -ti-의 발음이 -ci-와 유사해짐에 따라 -ti-대신 -ci-로 적는 경우가늘어난다.
- mn 사이에 p가 추가되어 mpn으로 적히게 된다. somnus > sompnus단자음이 두 번 적히게 되거나 두 번 적은 자음이 하나로 통합되는 등의 변동이 발생한다.
출처: https://en.wikipedia.org/wiki/Medieval_Latin (영어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