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9 23:08:14

경극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5%"
{{{#!folding [ 정치 · 군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bgcolor=#ee1c25> 상징 국호 · 국기 · 국장 · 국가
정치 ·
행정
정치 전반(홍콩 · 홍콩 입법회 · 마카오 · 마카오 입법회) ·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 ·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 국무원(판공청 · 조성부서 · 국무원 직속기구) · 국가감찰위원회 · 홍콩 행정장관 · 마카오 행정장관 · 헌법(홍콩 기본법) · 행정조직(홍콩 · 마카오) · 국가주석 · 성급행정구 영도인 · 인민대회당 · 공무원 · 중국의 판다 소유권 정책
정당 ·
사상
중국공산당 규약 · 정당(중국공산당 · 민주당파 · 친중파 · 민주파 · 본토파) · 공산당의 파벌(중국 공산주의 청년단 · 태자당 · 상하이방) · 중국몽 · 마오주의 · 중국특색 사회주의 · 신시대 중국특색 사회주의 · 통일적 다민족국가론 · 우마오당 · 공산당 중앙조직(중공당대회 · 중공중앙) · 신권위주의
역대 최고
지도자
마오쩌둥 · 화궈펑 · 덩샤오핑 · 장쩌민 · 후진타오 · 시진핑
역대 최고지도자
기타 정치인 류사오치 · 후야오방 · 자오쯔양 · 저우언라이 · 주더 · 쑹칭링 · 리셴녠 · 양상쿤 · 예젠잉 · 차오스 · 리펑 · 우방궈 · 장더장 · 리잔수 · 주룽지 · 원자바오 · 리커창 · 왕양 · 왕치산 · 쑨춘란 · 후춘화 · 류허 · 한정 · 샤오제 · 자오러지 · 장쥔 · 뤄룽환 · 자춘왕 · 둥비우 · 샤오양
부주석 · 전인대 상무위원장 · 정협 전국위 주석 · 총리 · 최고인민검찰원장 · 최고인민법원장 · 국감위 주임
외교 외교 전반(비판) · 외교부 · 여권(홍콩 · 마카오) · 비자 · 양안관계(하나의 중국 · 92공식 · 양안통일) · 중화권 · 한중관계(동중국해 · 이어도 · 6자회담 · 한한령) · 중일관계(센카쿠 열도 · 중일평화우호조약) · 한중일 · 중인관계(국경분쟁 · 아크사이친 · 아루나찰프라데시 · 평화공존 5원칙) · 난사 군도 · 둥사 군도 · 시사 군도 · 상임이사국 · G20 · G2 · 신냉전 · 일대일로 · 미중관계(패권 경쟁 · 전망) · 미중러관계 · 호주-중국 관계(무역분쟁) · 중국 제국주의 · BRICS · 중뽕 · 친중(대한민국) · 반중(대한민국) · 혐중(대한민국)
사법 사법 전반 · 최고인민법원 · 검찰원 · 사법부 · 엄타 · 사형제도 · 라오가이 · 민법 · 베이징 친청 교도소
공안 경찰(공안부 · 국가안전부 · 이민관리국 · 계급 · 경찰대학 · 경찰법 · 경찰차) · 응급관리부(소방구원대 · 국가소방구원국 · 계급 · 소방학원 · 소방법 · 소방차) · 해관총서(계급) · 홍콩 보안국(경무처 · 소방처 · 비행대 · 입경사무처 · 징교처 · 해관) · 마카오 보안부대(치안경찰국 · 소방국) · 청관 · 정보기관
군사 전반 중국인민해방군 · 계급 · 중앙군사위원회(기능부서) · 국방부 · 퇴역군인사무부 · 역대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 역대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 전구(서부 · 중부 · 북부 · 남부 · 동부 · 구 편제) · 역사 · 초한전 · 사관학교 · SCO · 중국인민혁명군사박물관
장비 장비(보병장비 · 기갑장비 · 항공병기 · 함선 · 둥펑 미사일) · 군복 · 군장 · 중국북방공업 · 중국선박집단 · 중국항공공업집단
군종 ·
부대
육군 · 해군(육전대) · 공군(공강병군) · 로켓군 · 전략지원부대(우주비행사대대) · 무장경찰(해경) · 연합참모부 · 주홍콩부대 · 주마카오부대 · 해외 주둔 중국군
}}}}}}}}}
[ 역사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역사 ||역사 전반(홍콩)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호 · 백년국치 ||
시대 역사 전반 · 삼황오제 · · · (동주 · 서주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초한쟁패기) · (전한 · · 후한) · 위진남북조시대(삼국시대 · 서진 · 오호십육국시대 · 남북조시대 ·) · (무주 · 호연) · 오대십국시대 · (북송 · 남송) · · · 서하 · · (남명 · · · 동녕국) · (태평천국) · 중화민국(임시정부 · 북양정부 · 유신정부 · 왕징웨이 정권 · 우한정부 · 국민정부 · 만주국) · 중화인민공화국
관직 한나라의 공경 · 삼국지 관직 · 외명부 · 환관조직 · 후궁제도
사서 흠정이십사사(사기 · 한서 · 후한서 · 삼국지 · 진서(晉書) · 송서 · 남제서 · 양서 · 진서(陳書) · 위서 · 북제서 · 주서 · 수서 · 남사 · 북사 · 구당서 · 신당서 · 구오대사 · 신오대사 · 송사 · 요사 · 금사 · 원사 · 명사) · 오월춘추 · 여씨춘추 · 월절서 · 국어 · 전국책 · 열녀전 · 위서 · 위략 · 화양국지 · 후한기 · 양기 · 자치통감 · 동관한기 · 건강실록 · 정관정요 · 역대명화기 · 신원사 · 원조비사 · 만주실록 · 청사고 · 십국춘추 · 십육국춘추 · 사고전서
사건 신해혁명 · 국공합작 · 초공작전(대장정) · 중일전쟁(백단대전) · 국공내전 · 반우파 투쟁 · 중인전쟁 · 대약진 운동(7천인 대회 · 제사해 운동 · 신양 사태) · 문화대혁명(해서파관 사건 · 5.16 사건 · 내몽골 인민혁명당 숙청 사건 · 베이징 8월 폭풍 사건 · 경험 대교류 운동 · 상하이 1월 폭풍 사건 · 2월 역류 · 경서빈관 대소동 · 7.20 사건 · 주중 영국 대표부 점령 사건 · 9.13 사건 · 비림비공운동 · 상산하향 운동) · 중소 국경분쟁 · 닉슨-마오쩌둥 회담 · 중월전쟁 · 흑묘백묘론 · 중영공동선언 · 제3차 대만 해협 위기 · 홍콩 반환 · 천안문 6.4 항쟁 · SARS · 재스민 혁명 · 멜라민 파동 · 홍콩 우산혁명 · 2018년 중국 백신 파동 ·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 · 2019년 중국 우한시 환경 시위 · COVID-19(우한 봉쇄 · 상하이 봉쇄 · 2022년 중국 제로 코로나 반대 시위) · 2020년 중국-인도 국경 분쟁 · 정풍운동 · 2021년 헝다그룹 파산 위기
왜곡 중국의 역사왜곡 · 동북공정 · 만물 중국 기원설 · 중국의 한국 문화 예속화 시도(중국의 한복 왜곡 논란 · 중국의 김치 왜곡)
[ 사회 · 경제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경제 ||경제 전반(홍콩 · 마카오) · GDP · 경제성장률 · 상무부(투자촉진사무국) · 재정부 · 공업정보화부 · 중국인민은행 · 세무총국 · 중국 위안 · 중국증권 감독관리위원회(상하이증권거래소 · 선전증권거래소 · 베이징증권거래소) · 홍콩증권거래소 · 국가금융감독관리총국 · ECFA · AIIB · FTAAP · 세서미 크레딧 · 차이나 머니 · 아시아의 네 마리 용(홍콩) ||
기업 ·
산업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중앙 관리 기업) · 은행 · IT 기업(바이두 · 알리바바 그룹) · 5대 자동차 제조사(상하이자동차의 계열사) · 건설사 · 만년필 회사 · BBK(산하 제조사) · Lenovo · 비야디 자동차 · HNA그룹 · 메이드 인 차이나 · 대기업
지리 지리 전반 · 자연자원부(임업초원국) · 수리부 · 중국 대륙 · 중국 본토 · 중원 · 오악 · 장강 · 황하(위수) · 요하 · 목단강 · 송화강 · 흑룡강 · 주강 · 회하 · 톈산 산맥 · 쿤룬 산맥 · 다오청 삼신산 · 루산 · 망탕산 · 북망산 · 티베트 고원 · 쿤룬 산맥 · 타클라마칸 사막 · 화북평야 · 만주 · 둥팅호 · 칭하이호 · 행정구역( · 지급시 · 부성급시 · 특별행정구) · 도시 목록 · 7대 고도 · 박물지 · 중국 석유 천연가스 공사(페트로차이나) · 중국석유화공집단공사 · 국경통상구 · 환경오염
사회 사회 전반 · 신분증 · 주숙등기 · 민정부 · 중국사회과학원 · 인구 · 중국인(민족 · 한족) · 공휴일(국경일 · 홍콩) · 중국 표준시 · 국수주의 · 중화사상 · 중국 붕괴론 · 중국 위협론 · 인권 탄압 · 분청 · 황금방패 · 계획생육정책(소황제) · 양두혼 · 문명점수 · 동타이왕 · Shadowsocks · 탕핑족 · 노동법 · 민주화 운동 · 계투
정보 ·
통신
국가우정국 · 중국우정집단공사 · 홍콩우정 · 통신장비 제조사(화웨이 · ZTE · 다탕텔레콤) · 샤오미 · 이동통신사(차이나모바일 · 차이나유니콤 · 차이나텔레콤 · 중국광전네트워크) · 광전총국 · 중관춘 · 화창베이
과학 ·
기술
과학기술부 · 중국과학원 · 중국공정원 · 우주개발(국가항천국 · 창정 · 동방홍 위성 · 선저우 계획 · 창어 계획 · 톈궁) · 양탄일성 · 중국과학원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 · 양산 바이러스 연구소
교육 교육부 · 수학 교육과정 · 초급중학 학력시험 · 가오카오 · HKDSE · ARWU · 중국교우회망 대학평가(순위) · 구교연맹(목록) · BHUA · 세계일류대학 및 일류학과 건설 · 985공정 · 211공정 · 공자학원 · 천인계획 · 중국정부장학금 · 대외한어과
교통 교통 전반(홍콩 · 마카오) · 교통운수부(국가철도국 · 민용항공국) · 고속공로(강주아오 대교) · 철도(CRH · 도시철도 · 중국국가철도그룹 · 중국중차 · 중국철도박물관) · 항공사(중국국제항공 · 중국남방항공 · 중국동방항공 · 하이난항공) · 공항 목록 · 중국교통건설 · 교통카드(옥토퍼스 카드) · 차량 번호판
화교 화교(쿨리) · 차이나타운 · 중국계 한국인 · 중국계 미국인 · 중국계 러시아인(둥간족) · 중국계 브라질인 · 중국계 필리핀인(상글레이) ·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 중국계 베트남인 · 중국계 싱가포르인 · 중국계 태국인 · 중국계 멕시코인 · 중국계 칠레인 · 중국계 네덜란드인
[ 문화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문화 전반 ||문화 전반(홍콩 · 마카오) · 문화 검열(검열 사례 · 할리우드 블랙아웃) · 문화여유부(문물국) · 영화(목록) · 홍콩 영화 · 상하이물) · 드라마(목록 · 문제점) · 방송(CCTV · CETV · 라디오 방송 · 홍콩 · 마카오) · 신경보 · 중앙신문(인민일보 · 환구시보 · 광명일보 · 경제일보 · 해방군보) ·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 · 명보 · 미술 · 2021년 중국 규제 · 파룬궁 · 선전물 일람 ||
음식 음식 전반 · 지리적 표시제 · 지역별 요리 · 산둥 요리 · 쓰촨 요리 · 장쑤 요리 · 저장 요리 · 후난 요리 · 광둥 요리 · 구이저우 요리 · 안후이 요리 · 푸젠 요리 · 베이징 요리 · 상하이 요리 · 후베이 요리 · 윈난 요리 · 만주 요리 · 청진 요리 · 한국식(종류) · 미국식(종류) · 일본식(종류) · 러시아식 · 중국술(백주 · 황주 · 맥주) · · 팔진 · 만한전석
전통문화 전통악기(얼후 · 고쟁 · 비파 · 싼시엔 · 쓰후 · 싼후) · 경극(변검) · 잡극 · 모란정환혼기 · 샹치 · 바둑(중국기원 · 중국 바둑 기전 · 갑조리그 · 몽백합배 · 춘란배 · 바이링배 · 봉황고성배 · CCTV 하세배 · 황룡사배 · 천태산농상은행배 · 궁륭산병성배 · 오청원배) · 마작(국표마작 · 광동마작 · 사천마작 · 홍콩대만마작 · 홍콩마작) · 만만디 · 시누아즈리 · 한푸(여성 한푸) · 치파오 · 변발 · 인민복 · 전족 · 회회력 · 시헌력 · 한시 · 무협물(중국사대기서) · 토루 · 사합원 · 패방
현대문화 만화(웹코믹 · 홍콩) · 애니메이션 · 게임 · 텐센트 · 빌리빌리(빌리빌리 매크로 링크 VR) · 넷이즈 · miHoYo · SUNBORN · Hypergryph · X.D. Global · Gaea · Yostar · LPL · 차이나조이 · 차이나 인터내셔널 코믹 페스티벌 · COMICUP · ComiAi · 코미데이 · 선협소설 · VCT CN · 정가(傷感情歌)
종교 ·
신화
삼교 · 대승 불교(선종 · 정토교 · 시왕) · 도교(종파 · 상제 · 서왕모 · 구천현녀 · 일관도 · 육갑비축 · 도술 · 태극패 · 연단술) · 유교(변천사) · 백련교 · 중국 신화 · 하백 · 관우(관왕묘) · 마조 · 산해경 · 삼황오제(복희 · 신농 · 황제 · 소호 · 전욱 · 제곡 · 제지 · 제요 · 제순) · 헌원검 · 누조 · 창힐 · 치우 · 환상종(사신 · 사령 · 오룡 · 사흉) · 동방번개
스포츠 체육총국 · 올림픽 대표팀 · 패럴림픽 대표팀 · 전국운동회 · 중국축구협회 · 축구 국가대표팀(홍콩 · 마카오) · 풋살 국가대표팀 · 여자 축구 국가대표 · FA컵 · 슈퍼 리그 · 갑급 리그 · 을급 리그 · 여자 슈퍼 리그 · 홍콩 프리미어 리그 · 홍콩 퍼스트 디비전 · 홍콩 세컨드 디비전 · 차이나컵 · 홍콩 구정컵 · 축구굴기 · 공한증 · 중국 농구 협회 · 농구 국가대표팀 ·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 남자 배구 리그 · 여자 배구 리그 · 야구 국가대표팀 · 중국권법(실전) · 태극권 · 중국 그랑프리 · 상하이 인터내셔널 서킷 · 기아 서킷 · 베이징 올림픽 · 올림픽공원
언어 중국티베트어족 · 중국어(표준 중국어) · 관화 · 오어 · 월어 · 상어 · 민어 · 객가어 · 둥간어 · 기타 방언 · 한문 · 백화문 · 한자(간체자 · 방언자 · 측천문자 · 한어대사전) · 병음(우정식 병음 · 국어라마자 · 한어병음 · 팔라디 표기법 · 월병 · 예일식 광동어표기법) · 언어문자공작위원회 · HSK · BCT · TSC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서하 문자
관광 관광 전반(홍콩 · 마카오) · 세계유산 · 구단팔묘 · 5A급 여유경구 · 중국국가박물관 · 중화민족원 · 유니버설 베이징 리조트 · 상하이 디즈니 리조트(상하이 디즈니랜드) · 홍콩 디즈니랜드 · 동방명주 · 스튜디오 시티 워터파크 · 중국인민항일전쟁기념관 · 베이징 대관원
전시장 베이징 전시센터 · 전국농업전람관 · 중국국제전람센터 · 국가회의센터 · 국립전시컨벤션센터 · 상하이 국제엑스포센터 · 충칭 국제엑스포센터 · 수출입상품교역회전시관 · 선전세계전시컨벤션센터 · 선전전시컨벤션센터 · 우한 국제엑스포센터 · 난징 국제엑스포센터 · 쑤저우 국제엑스포센터 · 쿤밍뎬츠국제컨벤션센터 · 홍콩 컨벤션센터 · 아시아월드엑스포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5%"
{{{#!folding [ 정치 · 군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상징 국기 · 국장 · 국가 · 국기가
정치·행정 정치 전반 · 오권분립 · 입법원 · 행정원(조직) · 사법원 · 헌법(중화민국 임시약법 · 동원감란시기임시조관) · 정당(범람연맹 · 범록연맹) · 총통(총통부 · 대총통선거법 · 수정대총통선거법 · 총통 전용기) · 행정구역( · 미수복지구) · 행정조직 · 정부총통선거 · 총선 · 지방선거 · 국민대회
국가원수 쑨원 · 위안스카이 · 쉬스창 · 차오쿤 · 돤치루이 · 왕징웨이 · 탄옌카이 · 장제스 · 린썬 · 옌자간 · 장징궈 · 리덩후이 · 천수이볜 · 마잉주 · 차이잉원 · 라이칭더
국가원수(명단) · 총통(명단)
기타 정치인 옌시산 · 성스차이 · 우페이푸 · 리위안훙 · 장쭤린 · 후웨이더 · 옌후이칭 · 두시구이 · 구웨이쥔 · 펑위샹 · 마부팡 · 마훙빈 · 위유런 · 탕성즈 · 마훙쿠이 · 리쭝런 · 바이충시 · 룽윈 · 장쉐량 · 황싱 · 한궈위 · 장치천 · 주리룬 · 허우유이 · 쑹추위 · 커원저 · 쑤전창 · 셰창팅 · 천젠런 · 샤오메이친
부총통 · 행정원장 · 입법원장 · 감찰원장 · 대성지성선사봉사관
외교 외교 전반 · 여권 · 양안관계(하나의 중국 · 대만 해협 위기 · 92공식 · 양안통일 · 화독 · 대독) · 중화권 · 한국-대만 관계 · 대만-일본 관계 · 미국-대만 관계(타이완 관계법 · 타이완 동맹 보호법 · 대만 보증법 · 2022년 낸시 펠로시 대만 방문 및 중국 군사훈련 사태) · 한국-대만-일본 관계(자코타 삼각지대) · 재외공관
감정 친화 · 친대 · 반대 · 중화민국빠 · 대만빠
사법 · 치안 사법제도 · 경찰 · 국가안전국 · 소방 · 사형제도
군사 전반 국방부(역정서) · 대만군(육군 · 해군 · 공군 · 국민혁명군) · 계급 · 군복 · 보병장비 · 기갑차량 · 군함 · 항공병기 · 병역법 · 체대역 · 성공령 · 핵개발 · 군벌
}}}}}}}}}
[ 역사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bgcolor=#fe0000><width=15%> 역사 ||역사 전반(민국사 · 대만사) · 대만의 민주화 운동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명 · 군벌 · 대외 전쟁 및 분쟁 ||
시대 역사 전반 · 삼황오제 · · · (동주 · 서주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초한쟁패기) · (전한 · · 후한) · 삼국시대 · 서진 · 오호십육국시대 · 남북조시대 · · (무주 · 호연) · 오대십국시대 · (북송 · 남송) · · · 서하 · · (남명 · · · 동녕국) · (태평천국) · 일치시기 · 만주국 · 중화민국(임시정부 · 북양정부 · 국민정부 · 호법정부 · 우한정부 · 임시정부(괴뢰) · 유신정부 · 왕징웨이 정권 · 국부천대 · 대만)
관직 한나라의 공경 · 삼국지 관직 · 외명부 · 환관조직 · 후궁제도 · 연성공
사서 흠정이십사사(사기 · 한서 · 후한서 · 삼국지 · 진서(晉書) · 송서 · 남제서 · 양서 · 진서(陳書) · 위서 · 북제서 · 주서 · 수서 · 남사 · 북사 · 구당서 · 신당서 · 구오대사 · 신오대사 · 송사 · 요사 · 금사 · 원사 · 명사) · 오월춘추 · 여씨춘추 · 월절서 · 국어 · 전국책 · 열녀전 · 위서 · 위략 · 화양국지 · 후한기 · 양기 · 자치통감 · 동관한기 · 건강실록 · 정관정요 · 역대명화기 · 신원사 · 원조비사 · 만주실록 · 청사고 · 십국춘추 · 십육국춘추 · 사고전서
사건 신해혁명(계축전쟁 · 호국전쟁) · 선후대차관 사건 · 중화민국 국회 해산 · 홍헌제제 · 부원지쟁 · 장훈복벽 · 제1차 호법운동 · 호법전쟁 · 5.4 운동 · 하남독군 교체 파동 · 안직전쟁 · 제2차 호법운동 · 영풍함 사건 · 외몽골 출병 · 직봉전쟁(1차 · 2차) · 국민혁명(1차 · 2차) · 탕산회의 · 동북역치 · 편견회의 · 호남 사건 · 반장전쟁(제1차 장계전쟁 · 제1차 장풍전쟁 · 중동로 사건 · 봉소전쟁 · 제2차 장계전쟁 · 제2차 장풍전쟁 · 장당전쟁 · 중원대전) · 초공작전 · 중국-티베트 전쟁 · 신강 침공 · 중일전쟁(만주사변 · 열하사변 · 시안 사건 · 국공합작) · 국공내전 · 국부천대 · 제1차 대만 해협 위기 · 제2차 대만 해협 위기 · 국광 작전 · 대만 계엄령 · 2.28 사건 · 중화문명부흥운동 · 중리 사건 · 메이리다오 사건 · 제3차 대만 해협 위기 · 대만 여권운동가 피살 사건 · 천수이볜 암살 미수 사건 · 해바라기 운동 · TWICE 쯔위 청천백일만지홍기 논란 · 8.15 대만 블랙 아웃
[ 사회 · 경제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bgcolor=#fe0000><width=15%> 경제 ||경제 전반 · 재정부 · 경제부 · 중화민국중앙은행 · 신대만 달러 · 대만증권거래소 · 타이베이거래소 · 기업(메인보드 제조사) · 이동통신사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ECFA ||
교육 교육부 · 대학 목록 · 재대복교
교통 교통 전반 · 대만의 철도 환경 · 교통부 · 중화민국국도(중산고속공로 · 포모사고속공로) · 타이완 성도 · 공항 목록 · 항공사(중화항공 · 에바항공 · 스타럭스항공) · 타이완철로유한회사(THSR · 쯔창하오 · 구간차) · 대만의 시외버스 · 첩운(타이베이 첩운 · 타오위안 첩운 · 신베이 첩운 · 타이중 첩운 · 가오슝 첩운) · 이지카드 · 아이패스 · 아이캐시
민족 한족 · 본성인(객가) · 외성인 · 대만 원주민(아미족 · 아타얄족 · 따오족) · 인도네시아계 대만인 · 일본계 대만인 · 한국계 대만인
화교 화교(쿨리) · 차이나타운(인천 차이나타운) · 중국계 한국인(재한 화교 · 화교협회) · 중국계 미국인 · 중국계 러시아인(둥간족) · 중국계 브라질인 · 중국계 필리핀인(상글레이) ·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 중국계 베트남인 · 중국계 싱가포르인 · 중국계 태국인 · 중국계 호주인 · 중국계 일본인 · 중국계 캐나다인 · 대만계 한국인 · 대만계 미국인 · 대만계 일본인 · 대만계 캐나다인
[ 문화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fe0000><width=15%> 문화 전반 ||문화 전반 · 영화(금마장) · 드라마 · TV방송(CTV · CTS · TTV) · 라디오 방송 · 스포츠 · 중국시보 · 빈과일보 · 미술 · 파룬궁 · 등려군 · 거류증 · 중화 타이베이 ||
요리 요리 전반(대만 요리) · 지역별 요리 · 산둥 요리 · 쓰촨 요리 · 장쑤 요리 · 저장 요리 · 후난 요리 · 광둥 요리 · 안후이 요리 · 푸젠 요리 · 베이징 요리 · 상하이 요리 · 후베이 요리 · 윈난 요리 · 만주 요리 · 청진 요리 · 한국식(종류) · 미국식(종류) · 일본식(종류) · 러시아식 · 중국술 · 대만 술(백주 · 황주 · 맥주 · 금문고량주) · · 팔진 · 만한전석
전통문화 전통악기 · 경극(변검) · 잡극(포대희) · 모란정환혼기 · 샹치 · 바둑 · 마작(국표마작 · 광동마작 · 사천마작 · 홍콩대만마작 · 홍콩마작) · 만만디 · 시누아즈리 · 한푸(여성 한푸) · 치파오 · 변발 · 인민복 · 전족 · 회회력 · 시헌력 · 한시 · 무협물(중국사대기서) · 토루 · 사합원 · 패방 · 얼후 · 고쟁 · 비파 · 싼시엔 · 쓰후 · 싼후
현대문화 만화(팬시 프론티어) · 민국기년 · 정가(傷感情歌)
종교 · 신화 삼교 · 대승 불교(선종 · 정토교 · 시왕) · 도교(종파 · 상제 · 서왕모 · 구천현녀 · 일관도 · 육갑비축 · 도술 · 태극패 · 연단술) · 유교(변천사) · 백련교 · 중국 신화 · 하백 · 관우(관왕묘) · 마조 · 산해경 · 삼황오제(복희 · 신농 · 황제 · 소호 · 전욱 · 제곡 · 제지 · 제요 · 제순) · 헌원검 · 누조 · 창힐 · 치우 · 환상종(사신 · 사령 · 오룡 · 사흉) · 동방번개
언어 중국티베트어족 · 중국어(중화민국 국어) · 관화 · 민어(대만어) · 객가어 · 오어 · 월어 · 상어 · 민어 · 객가어 · 둥간어 · 기타 방언 · 한문 · 대만 제어 · 백화문 · 한자(정체자 · 방언자 · 중문대사전) · 주음부호 · 병음(우정식 병음 ·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 국어라마자 · 통용병음 · 국어 주음부호 제2식 · 대라병음 · 한어병음 · 팔라디 표기법 · 객가어병음방안 · 월병 · 예일식 광동어표기법) · 중어중문학과 · 제2외국어(교과)/중국어 · TOCFL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서하 문자
관광 관광 전반 · 국립고궁박물원 · 국부기념관 · 대만의 성 · 중정기념당 · 충렬사 · 원산대반점 · 예류 · 진과스 · 핑시선 · 우라이 · 타이베이 101 · 가오슝 85 타워 · 지우펀 · 샹산 · 펑후 · 진먼
전시장 타이베이 세계무역센터 · 난강전람관 · 가오슝전람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DA3B2> 파일: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로고.svg 인류무형문화유산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colbgcolor=#1DA3B2><colcolor=#FFF> 이름 한국어 경극
중국어 京劇
영어 Peking opera
프랑스어 L’opéra de Pékin
국가·위치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지정번호 418
등재연도 2010년
목록구분 대표목록 }}}
파일:external/www.mookas.com/091014-seol-m3.jpg
경극 독목관 대본 표지. 설인귀(좌),연개소문(우)희대의 빌런 같다[1]

1. 개요
1.1. 남단
2. 역사3. 내용 형식4. 분장5. 관련 작품

[clearfix]

1. 개요

경극(京劇, 京剧, Peking Opera)은 노래와 춤이 섞인 중국의 전통극이다. 베이징(北京)에서 발전했다고 해서 경극이라고 한다. 과거 대만에서는 평극(平劇)이라고도 했다. 베이징이 중화민국 시대에는 베이핑(北平)이었기 때문. 현재는 중화민국 정부가 경극을 전폭적으로 밀어주면서 국극(國劇), 즉 나라를 대표하는 연극이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즉 베이징의 중국 전통극을 '경극'이라 하는 것이므로 다른 지역에서 자생적으로 발전한 극예술은 경극이라 부르지 않는다. 광둥 지방의 광동어를 사용하여 발전한 극예술인 월극(粵劇), 화북만주 지역을 중심으로 발전한 평극(評劇), 저장성 지역에서 발전한 월극(越劇) 등의 지방극이 중국 전역에 존재한다. 그 외, 서피(西皮), 이황(二黃) 2가지의 곡조를 기초로 하므로 피황희(皮黃戱)라고도 한다. 14세기부터 널리 성행했던 중국 전통 가극인 곤곡(崑曲)의 요소가 가미되어 만들어졌다.

징후(京胡)라는 이름의 자그마한 호금(胡琴), 을 사용하여 반주하고 중국 문화의 정수로 간주되고 있으며 2010년 유네스코가 1차로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으로 등재하였다.

경극의 표현 방법은 염주창타(念做唱打)의 4가지 방법으로 나뉘며 염(念)은 음악성을 지닌 대사로 극중의 대사는 경백(京白), 운백(韻白)과 소백(蘇白)으로 다시 구분된다. 경백은 베이징 음, 운백은 호광 음(湖廣音), 중주운(中州韻), 소백은 소남지구(蘇南地區)의 방언을 사용한다. 주(做)는 동작과 표정 연기를 말하며 창(唱)은 노래, 타(打)는 종합 민간무술을 무용으로 표현한 무술 동작을 말한다.

배우의 연출 유형인 행당(行當)은 크게 생(生), 단(旦), 정(净), 축(丑)의 네 종류가 있다.
  • 생(生)은 남자를 지칭하며 연령이나 신분에 따라 노생(老生), 소생(小生), 무생(武生)으로 구분한다.
  • 단(旦)은 여자를 지칭하며, 푸른 옷을 입고 연기하는 젊은 귀족 부인이나 그 여식 또는 조강지처 역의 정단(正旦)[2], 중노년 여성 역의 노단(老旦)[3], 활달한 젊은 여성 역의 화단(花旦), 정단과 화단을 합친 듯한 화삼(花衫), 도마단(刀馬旦)으로도 불리는 검녀, 여장군 등 무기를 다루는 여자 역의 무단(武旦), 여자 개그 캐릭터인 채단(彩旦)[4] 등이 있다.
  • 정(淨)은 호방한 남자 연기자로 얼굴에 갖은 무늬를 그려 화안(花臉)이라고도 하며 정정(正淨), 부정(副淨), 무정(武淨), 모정(毛淨)으로 구분하고 있다.
  • 축(丑)은 개그 캐릭터나 환관, 교활한 남자 역을 지칭하며 문축(文丑), 무축(武丑), 여축(女丑)으로 구분하고 있다.[5]
    이외에도 고대 희극 중에는 단역인 말각(末角)도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으며 배역은 각기 문무(文武)의 2계통 이외에 다시 세분화된다.

경극에서의 분장 또한 독특하여 생(生)과 단(旦)의 분장에 역할과 배역에 따라 눈썹과 테두리를 그리는 방법이 다르며 정(淨)과 축(丑)의 분장은 충성스럽고 용감한 사람은 붉은색, 간사한 사람은 흰색으로 분장을 하는 데 역사상 유명한 얼굴의 선을 그리는 형식은 정해져 있다. 시간이 지날수록 손가락이 아닌 이나 메이크업 도구 등을 사용하며 선과 분장이 세밀해졌다.

1.1. 남단

단(旦) 역할 같은 경우에는 본래는 남자들이 맡아 왔지만, 1930년대 여성해방운동으로 여성의 사회적 영향력이 제고되면서 매란방을 포함한 순혜생, 정연추와 상소운과 같은 대가들을 여배우들이 사사해 경극에 참가하기 시작했다. 이렇게 대가들을 사사한 여배우들은 여제자들도 양성했고, 국민정부 시대 이후부터 남배우들의 수만큼 여배우들의 수도 늘어났다.

다만 여단(女旦)들의 수가 늘어난 이후 문화대혁명과 함께 사인방이 권력을 잡게 되면서 기존의 남단(男旦)들의 운명과 미래는 점점 어두워지게 된다. 사인방 중 한 명인 장칭은 남자가 여자 역을 하는 것은 자연스럽지 않다는 개인적인 이유를 들어 이들을 박대했고, 많은 남단들이 홍위병들에게 테러나 학대를 당하거나 일자리를 잃게 된다. 그 예시로 매란방의 아홉째 아들이자 제자, 그리고 후계자인 매보구(梅葆玖, 1934~2016)가 있는데, 한창 활동할 나이인 30~40대에 10년 동안이나 무대를 빼앗겼으나 무대 뒤에서 기계를 다룰 수 있는 재주가 있어서 음향 관계나 녹음과 같은 일을 하면서 생계를 이었다. 또한 매씨 일가가 살고 있는 베이징 시내의 사합원에 홍위병들이 밀어 닥쳐 죽은 매란방을 비판하면서 그가 남긴 유물이나 기물을 훔친 것은 물론, 미망인머리카락을 잘라가는 수난을 입기도 했다. 그러나 평소 매란방을 높이 평가했던 마오쩌둥이나 저우언라이가 항상 신경을 써 주었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에 비해 그나마 피해가 적었다.[6]

이렇게 되어 문혁이 끝난 1976년부터 80년대까지도 겨우 복귀한 기존 단 배우들을 제외한 새로 들어오는 남단 배우들의 수는 대폭 감소하게 된다. 원로 배우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대부분이 별세했고, 수가 적어졌지만 아예 없어진 것은 아니어서 소수의 배우들이 남아있기는 하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도 그들이 주연으로 출연하는 공연들은 대체로 찾아보기 힘든 편이며 수도 적다.[7]

즉, 문축(文丑)들이 겸업하기도 하는 채단(彩旦)을 제외하면 현재 경극 공연에 출현하는 단(旦) 배우들의 열의 아홉은 여성들이다. 간접적(?)으로나마 남자들의 여성 연기를 보고 싶다면 CCTV의 전통극 코너인 공중극장(空中剧院)에서 매년 춘절 때 마다 방영하는 연극광가족(戏迷家庭)의 반전(反串) 공연을 보는 것도 나쁘지는 않으며, 유투브나 비리비리 등의 동영상 사이트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8]

2. 역사

원나라 때의 잡극(雜劇: 元曲)의 뒤를 이어 명나라에서 청나라에 걸친 300년 동안은 쑤저우 곤산에서 일어난 곤곡이 우위를 차지하고 있었으나, 왕후, 귀족의 위안물이 되고 형식에 치우쳐 쇠퇴하게 되자 18세기 중엽에는 많은 지방극이 앞을 다투어 나타났다. 그 무렵 안후이성, 후베이성 등 양쯔강 연안지방에 남곡(南曲)의 익양강(弋陽腔) 계통을 이은 이황조(二黃調)가 성행하여, 안후이성의 여자역 남자배우 고낭정(高朗亭)의 일단과 함께 베이징에 들어왔다. 이때가 1790년 청나라 고종(高宗: 乾隆帝)의 80세 생일 축하 잔치가 벌어진 해이다. '휘반(徽班)'이라는 안후이성 극단이 당시 난해하고 장황한 저음인 곤곡에 비하여, 명랑하고 쉽고 동작이 많은 이황조를 상연하자 곧 대중의 호평을 받아 유행하기 시작하였다. 신흥극종(新興劇種)인 데다가 형식상의 융통성도 있던 당시의 이황조는 곤곡을 비롯한 많은 선행 극종의 기술과 형식을 최대한 받아들여 자기 것으로 만들었다.

특히 1830년경 청나라 말의 북곡계(北曲系)인 진강(秦腔)의 흐름을 이은 서피라는 곡조와 합쳐 피황희(皮黃戱), 즉 경극으로 발전하여 곤곡의 위치를 대신하였다. 초창기에는 정장경(程長庚), 그 후 담흠배(譚鑫培) 등의 명배우가 배출되어 부단히 개혁에 개혁을 거듭하여 격조를 높였으며, 근세에 와서는 여자 역 남자 배우 매란방(梅蘭芳)이 한층 빛을 내었다. 해외에도 '베이징 오페라'로 알려져 그 독특한 예술성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독일의 브레히트가 서사연극론(敍事演劇論)을 창안하는 데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중화인민공화국 정권 수립 후에는 새로 설립된 중국희곡연구원, 중국경극단 등을 중심으로 '백화제방(百花齊放)', '추진출신(推陳出新)'의 기치에 따라 극 내용의 근대화를 추진하였다. 봉건적인 내용을 추방하고 국민의 창조에 의한 것을 발굴한다는 각도에서 고전상연목록의 정리개편이 적극 행해졌으나, 경극무대에서 현대인과 현대인의 생활을 표현하는 일은 극도로 세련된 격조 높은 형식으로 보아 매우 어려운 일이었다. 1958년경 소위 대약진운동 때 현대화의 시도가 있었으나 반대론과 신중론이 끊이지 않았다.

그러나 1964년 베이징에서 열린 현대 경극 경연대회를 계기로 현대 경극은 중국의 문화계를 석권하여 예술의 새로운 선구자가 되었다. 인민의 영웅을 주인공으로 하여 내용과 등장인물의 현대화에 따라 상징적인 스타일이 줄어드는 대신 연기는 사실적인 경향을 띠게 되었다. 가사에는 고전적인 격조가 남아 있으나 대화는 알기 쉬운 현대 표준구어(標準口語)로 진행되었다.

이때까지는 전통 경극과 현대 경극이 공존했지만, 문화대혁명이 시작되면서 현대 경극을 제외한 전통 경극은 봉건 시대의 잔재로 낙인이 찍힌 채 공연이 금지당하고, 남녀노소 배우들, 명배우들 중 공산당의 후원과 지지를 받았던 이들조차도 홍위병들의 박해를 받아 조리돌림당하거나 심하면 구타를 당해 죽음에 이르곤 했다.

반강제된 현대 경극의 유행과 더불어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얼굴에 그리는 선이나 여자 역의 남자배우가 적어졌다. 이전부터 썼던 탁자와 의자 등의 소도구 이외에도 무대장치를 사용하기 시작했고, 대개 2∼3시간의 장편이며 극적 요소가 강하여 자연히 대화 부분도 많아졌으나 노래나 무용적인 동작, 화려한 액션은 변함이 없다. 이렇듯 경극의 변질은 전통을 상실하게 하였다.[9]

문화대혁명이 끝난 1976년 이후 핍박당했던 기존 경극 배우들이 복귀하면서 그 고유 형태를 되찾으려는 노력이 시도되었고 어느 정도 복원이 되었으나, 이와는 반대로 문화대혁명으로 인해 경극을 즐기는 전통은 단절되어 오늘날의 젊은이들에게는 거의 관심없는 박제화된 예술이 되고 있다. 오늘날에는 중국 정부가 선양하는 중국 문명의 결정체로 나름 보호를 받고 있기는 하다.

3. 내용 형식

상연되는 각본은 모두 피황조에 의거한 구성·문체·시형이며, 현존하는 1,000여 종은 대부분이 작자미상이다. 대개는 사전(史傳) 소설과 전설에서 소재를 따거나 원곡과 전기(傳奇)를 개작한 것으로, 수호전, 삼국지연의 등의 부분각색이 적지 않다. 매란방이 창시하고 직접 주연했었던 매파(梅派)의 작품들, 특히 청나라 때 전해져오던 기존의 작품을 근현대 시기에 편곡/각색한 극들이 유명한데, 대표작으로 패왕별희(覇王別姬), 귀비취주(貴妃醉酒), 추강(秋江), 팔선과해(八仙過海), 요천궁(鬧天宫), 타어살가(打魚殺家), 사진사(四進士), 우주봉(宇宙峰), 백사전(白蛇傳), 장상화(將相和), 양문여장(楊門女將), 삼차구(三岔口), 안탕산(雁蕩山) 등이 있다.
그나마 한국에서도 유명한 건 패왕별희와 귀비취주인데 이 마저도 동명의 영화를 통해 간접적으로 알려진 것이다.

모두 2~3시간 내외의 긴 가무극으로 연출과 연기 모두 지극히 서사적인 표현양식을 쓰고, 장치도 없이 상징적인 연기형식에 의하여 상황이나 행동을 나타낸다. 의상은 이전의 명나라 복식을 청나라 풍으로 어레인지한 것이며, 색과 형태에 따라 인물의 신분과 직업 등을 알 수 있다. 노래, 대사, 춤, 액션 등 어느 것에 중점을 둘 것인가 하는 문제는 배역에 따라 결정되며, 배우는 어릴 때부터 소질에 따라 전문적 배역을 익힌다. 이를 위한 양성소를 '과반(科班)'이라 하며 매란방 등이 연기를 익힌 부연성(富連成) 등이 유명하다.

여담으로 패왕별희와 백사전 등의 유명 고전들을 바탕으로 한 작품들을 제외하면, 경극 대본 및 가사와 줄거리가 한국을 포함한 해외에 제대로 알려진게 없기 때문에 즐겨보고 싶어도 즐길 수가 없다는 게 단점이다. 기본 대사는 한국어로 따지면 현대어 + 가벼운 사극말투지만, 공연전 자막으로 띄워주는 줄거리나 노래 같은 경우에는 고전 한문 내지는 백화문으로 되어있어 해석이 어려운 점도 있다(...) 구글 번역이든 파파고든 돌려봐도 제대로 해석 안 된다(...)

4. 분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검보(경극)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관련 작품

초기 중국과 홍콩 영화들의 대부분은 세트장을 세워놓고 그 안에서 경극을 그대로 촬영하거나 경극 배우들을 고용하여 영화를 만들었다. 최초의 중국 영화는 경극 정군산(定軍山)을 1905년에 촬영한 것으로[10], 정군산 이후의 작품들 중 가장 유명한 것은 1913년작 <장자시처(莊子試妻)>라는 무성영화였다. 유성영화의 도입 이후에도 여러 고전 경극들이 영화화되었다.

경극과 관련해서 한국에서 가장 유명하고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진 작품은 1993년에 개봉한 천카이거의 영화 패왕별희가 있다. 1993년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 2006년 28회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 공로상을 수상했다. 이후 2009년에 경극의 대가들 중 한 명인 매란방(梅蘭芳)의 전기 영화가 개봉되기도 했고[11], 2014~15년에 패왕별희(霸王别姬), 진향련(秦香蓮), 장원매(狀元媒)용봉정상(龍鳳呈祥)이 3D로 제작, 중영자막판으로 개봉되었다.

경극학교의 고된 수련 과정을 보려면 패왕별희나 홍금보가 주연한 칠소복을 보기 바란다.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지는 않지만 한국 영화왕의 남자에서도 광대들이 연산군 앞에서 경극 혹은 곤곡 비슷한 연극을 하는 장면이 내용상으로 아주 중요한 갈등 요소로 작용한다. 이를 계기로 하여 대신들이 연산군의 광기를 두려워하여 중종반정을 계획하게 되기 때문이다. 다만 이는 엄연한 고증 오류로, 당시 조선에 곤곡이 존재할 리 없기 때문이거니와 비슷한 연극이 존재하였더라도 높은 공연 난이도 등의 이유로 조선의 광대들이 이를 공연하기는 더욱 어려운 일이었을 것이다. 물론 경극의 대사를 보면 알다시피 중국을 배경으로 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작중에서 연산군의 아버지황제라 칭하는 것으로 보아서 알 수 있다. 물론 이것은 흠을 잡히지 않기 위해 배경만 바꾼 것으로 눈 가리고 아옹에 불과하기는 하다. 근데 경극 말투나 톤을 그대로 한국어로 잘 표현했다

온라인 게임 블레이드 앤 소울에는 경극을 모티브로 한 인스턴트 던전 귀면극단이 있다.

원신의 등장인물 운근이 경극 배우라는 설정이다. 여기에서 한발 더 나아가 실제 경극 배우를 섭외하여 경극을 더빙했는데,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사람들이 경극 특유의 창법에 큰 충격을 받았다. 그뿐만 아니라 인 게임에서 보이스 설정과 관계없이 무조건 중국어의 경극을 하게끔 설정되어 있기에 이로 인한 원성도 높으며, 사실상 레이저와 함께 유저들이 기피하는 목소리로 자리잡았다. 하지만 신학이 출시되면서 추가된 마신 임무의 마지막에 행한 경극은 상당한 찬사를 받았다.[12] 마신 임무를 통해 경극 속 가사의 의미를 알고 있다는 것도 있어 부담이 적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있다. 물론 중간중간 가사가 아닌 대사 부분까지 중국어로 해야 했냐는 말이 남아 있긴 하다.

디지몬 시리즈에는 경극의 화장 방식 검보를 모티브로 한 리엔푸몬이 있다.

블루 아카이브에서는 경극부라는 동아리가 나오며, 부장으로 우루시바라 카구야가 등장한다.


[1] 현대의 전대물처럼 작품마다 을 바꿀 수 없으므로 가부키와 비슷하게 배역의 성격에 따라 정해진 분장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연개소문의 저 분장은 항우동탁 등 경극에서 일반적인 무장의 의상으로 자주 돌려쓰는 이미지다. 가령 패왕별희를 보면 작중 샬로가 하는 항우 경극 분장이 위 연개소문과 거의 같은 걸 볼 수 있다.[2] 이 정단이 화단을 겸하면 청의(青衣)라고 칭한다. 하지만 정단은 사실상 사어 수준으로 잘 쓰이지 않는다.[3] 기존의 단이 그랬듯 남자들이 담당했던 것의 영향으로 노생과 같은 호방한 창법이 특징이다. 현대에는 주로 여자들이 담당하며, 아주 가끔씩 남자들이 담당하기도 한다. 노단으로 출연하는 대부분의 여성 배우들의 나이가 많아 봤자 중년 정도에 속하는 것도 있고, 노메이크업에 가까운 분장으로 인해 외적 괴리감이 조금 있는 편이다. 가발은 하얗거나 회색인데 눈썹도 검고 짙은데다 얼굴주름이 없다.[4] 채단들 중 미형 캐릭터들의 경우, 청의 및 화단과 비슷하게 얼굴에 붉은색이 들어가고 아이라인을 그리는 대신에 이마미간, 에 점을 찍는다.[5] 여축은 채단과 동일시되며, 여전히 대부분은 남자 배우들이 담당한다.[6] # 참고 및 출처[7] 그 외에도 전문 배우는 아니지만 오디션 프로그램에서 일반인 남성들이 남단으로서 지원, 출현하는 것을 볼 수 있다.[8] 여기서 반전은 말그대로 화단(花旦)이 소생(小生)을, 소생이나 노생이 청의(青衣), 문축(文丑)이 노생(老生)을 맡는 등 서로의 역할을 바꾸는 것을 말한다.[9] 당시 마오쩌둥을 비롯한 권력층의 비위를 맞추기 위해 이른바 혁명적인 내용을 소재로 한 《沙家浜》(사가병) 등의 작품들이 나오기도 했지만, 이는 오히려 경극의 변질을 가속화했을 뿐이었다.[10] 조조유비의 한중 공방전을 소재로 한 경극을 영화화했으나, 불행히도 상영되었다는 기록만 있을 뿐 감독, 출연자 등에 대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아서 최초의 중국 영화가 아니라는 설도 팽배했다.[11] 패왕별희에서 장국영 배역의 아역을 맡았던 배우가 이 영화에도 출연했다. 다만 주인공은 아니다.[12] 이후 2022년 2월 4일 방송된 원신콘서트에서 운근의 경극을 맡은 양양 본인이 나와 직접 그 경극 부분을 공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