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8-07 18:33:35

사합원

파일:external/weekly.chosun.com/2207_68.jpg

1. 개요2. 상세
2.1. 주요 특징
3. 주요 명소4. 관련문서

1. 개요

사합원, 쓰허위안, 四合院, sìhéyuàn

. 중국의 전통 가옥 중 하나이며, 주로 중국 화북 지방에 많이 보이는 건축양식이다. 중국식 발음으로는 쓰흐어왠(sìhéyuàn)이라고 한다.

중국 전통가옥 '사합원'의 입구
파일:사합원입구.jpg

2. 상세

마당을 중심으로 정면에 있는 거실 역할의 본채인 정방과 그 옆에 붙은 주인부부가 거주하는 동이방,서이방, 주인부부를 제외한 가족들이 거주하거나 식당,부엌이 있는 동서쪽에 있는 사랑채인 상방, 하인들이 거주하는 대문과 연결되어 있는 건물인 도좌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가옥들이 'ㅁ'자 모양으로 배치되어 사방의 건물이 하나의 뜰을 향해 둘러싸고 있다 하여 사합원이라 부른다.

윗 사진의 건물은 삼진 사합원으로 기존 사합원 뒤에 후조방이 추가되고 마당을 수화문이라는 중문을 설치해 하인들과 주인 가족들의 공간을 분리한 집이다. 이 정도만 해도 잘사는집에 해당되고 신분이 높아지거나 재력이 많으면 동서남북으로 크게 늘어나고(좌우로 늘리면 과 남북으로 늘리면 진 ) 반대로 신분이 낮거나 돈이 없으면 최하 삼합원 즉 남측 담장과 문만 있는 집에서 살아야한다.

담장은 벽돌로 쌓아 높고 견고하며 출입구는 사생활 노출을 막기위해 동남쪽에 조그마한 대문을 놓는 정도에 그치고 이마저도 마당 앞에 이중문을 따로 두기 때문에 한국의 한옥과는 다르게 굉장히 폐쇄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물론 이는 베이징의 겨울철 바람을 막고 남향으로 만들어서 빛을 잘 받기위한 실용적인 이유도 있다.

베이징의 궁궐 자금성도 사합원의 구조를 띠고 있다.

2.1. 주요 특징

  • 침대식탁 문화 [1]
  • 훠캉(火炕) - 중국식 온돌 [2]
  • 붉은 색 대문
  • 홍등(紅燈)
  • 높고 폐쇄적인 담벼락
  • 영벽(影壁) -밖에서 대문을 보면 마주하는 벽 보통 동상방의 측면 벽이 영벽이 되지만 부유한 집은 남쪽 정면에 대문을 만들고 영벽을 따로 만든 뒤에 귀신이 자신의 그림자(影)를 보고 달아나라고 귀신 부조를 새기기도 했다.

3. 주요 명소

4. 관련문서


[1] 서구지역처럼 방안에서도 침대위를 제외하고 신발을 신고 다닌다.[2] 방안을 전체적으로 덥힌다기 보다는 난방이 들어오는 침상 형태와 유사하며 방의 일부만 들어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