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정사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 이십사사 | |||||
사기 | 한서 | 후한서 | 삼국지 | 진서 | 송서 | |
사마천 | 반고 | 범엽 | 진수 | 방현령 등 | 심약 | |
남제서 | 양서 | 진서 | 위서 | 북제서 | 주서 | |
소자현 | 요사렴 | 요사렴 | 위수 | 이백약 등 | 영호덕분 등 | |
수서 | 남사 | 북사 | 구당서 | 신당서 | 구오대사 | |
위징 등 | 이연수 | 이연수 | 장소원 등 | 구양수 등 | 설거정 등 | |
신오대사 | 송사 | 요사 | 금사 | 원사 | 명사 | |
구양수 등 | 토크토아 등 | 토크토아 등 | 토크토아 등 | 송렴 등 | 장정옥 등 | |
기타 | ||||||
동관한기 | 신원사 | 청사고 | ||||
유진 등 | 커샤오민 등 | 자오얼쉰 등 |
<colbgcolor=#000><colcolor=#fff> 신오대사 新五代史 New History of the Five Dynasties | |
저자 | 구양수 |
시기 | 11세기 북송 |
언어 | 한문 |
권 수 | 74권 |
분량 | 907년 ~ 960년 (53년) 후량 태조 3년 ~ 후주 공제 2년 |
[clearfix]
1. 개요
新五代史중국의 이십사사 중 하나이다. 사적을 기전체로 서술했다. 북송 인종이 구양수에게 편찬하도록 지시해 1023년에 완성했다. 설거정의 《구오대사》와 구별하기 위해 《신오대사》로 지칭한다. 별칭으로 구양수의 성을 따서 《구양사》(歐陽史), 《신오대사》의 본래 이름이었던 《오대사기》(五代史記)라고도 불렸다.
2. 구성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fff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0%"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 1·2권 「양본기1·2(太祖紀一二)」 | 3권 「양본기3(梁本紀三)」 | ||||||
주황 | 주우정 | |||||||
4·5권 「당본기1·2(唐本紀一二)」 | 6권 「당본기3(唐本紀三)」 | 7권 「당본기4(唐本紀四)」 | ||||||
이존욱 | 이사원 | 이종후 · 이종가 | ||||||
8권 「진본기1(晉本紀一)」 | 9권 「진본기2(晉本紀二)」 | |||||||
석경당 | 석중귀 | |||||||
10권 「한본기(漢本紀)」 | ||||||||
유고 · 유승우 | ||||||||
11권 「주본기1(周本紀一)」 | 12권 「주본기2(周本紀二)」 | |||||||
곽위 | 시영 · 시종훈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0%" {{{#!folding [ 열전(列傳) ] | 13권 「양가인전(梁家人傳)」 | |||||
문혜황후 · 원정황후 · 진소의 · 이소용 · 장덕비 · 곽비 · 주전욱 · 주존 · 주우유 · 주우문 · 주우규 · 주우자 | ||||||||
14권 「당태조가인전(唐太祖家人傳)」 | ||||||||
유부인 · 정간황후 · 신민경황후 · 이극양 · 이극수 · 이극공 · 이극녕 · 이존미 · 이존패 · 이존례 · 이존악 · 이존예 · 이존확 · 이존기 · 이계급 · 이계동 · 이계숭 · 이계섬 · 이계요 | ||||||||
15권 「당명종가인전(唐明宗家人傳)」 | ||||||||
화무헌황후 · 소의황후 · 위황후 · 왕숙비 · 공황후 · 이종경 · 이종영 · 이종익 · 이종찬 · 이종장 · 이종온 · 이종민 | ||||||||
16권 「당폐제가인전(唐廢帝家人傳)」 | ||||||||
유황후 · 이중길 · 이중미 | ||||||||
17권 「진가인전(晉家人傳)」 | ||||||||
황후 이씨 · 안태비 · 풍황후 · 석경위 · 석경윤 · 석경휘 · 석중신 · 석중예(重乂) · 석중예(重睿) · 석중고 · 석연후 · 석연보 | ||||||||
18권 「한가인전(漢家人傳)」 | ||||||||
이황후 · 유빈 · 유승훈(劉承訓) · 유승훈(劉承勳) · 유신 | ||||||||
19권 「주태조가인전(周太祖家人傳)」 | ||||||||
성목황후 · 양숙비 · 장귀비 · 동덕비 · 곽동 · 곽신 · 곽수원 · 곽손 | ||||||||
20권 「주세종가인전(周世宗家人傳)」 | ||||||||
시수례 · 정혜황후 · 선의황후 · 부황후 · 시종의 · 시희성 · 시희함 · 시희양 · 시희근 · 시희회 | ||||||||
21권 「양신전·1(梁臣傳一)」 | 22권 「양신전·2(梁臣傳二)」 | |||||||
경상 · 주진 · 방사고 · 갈종주 · 곽존 · 장존경 · 부도소 · 유한 · 구언경 | 강회영 · 유심 · 우존절 · 장귀패 · 왕중사 · 서회옥 | |||||||
23권 「양신전·3(梁臣傳三)」 | 24권 「당신전·1(唐臣傳一)」 | |||||||
양사후 · 왕경인 · 하괴 · 왕단 · 마사훈 · 왕건유 · 사언장 | 곽숭도 · 안중회 | |||||||
25권 「당신전·2(唐臣傳二)」 | 26권 「당신전·3(唐臣傳三)」 | |||||||
주덕위 · 부존심 · 사건당 · 왕건급 · 원행흠 · 안금전 · 원건풍 · 서방업 | 부습 · 오진 · 공겸 · 장연랑 · 이엄 · 이인구 · 모장 | |||||||
27권 「당신전·4(唐臣傳四)」 | 28권 「당신전·5(唐臣傳五)」 | |||||||
주홍소 · 유연랑 · 강사립 · 강의성 · 약언조 | 두로혁 · 노정 · 임환 · 조봉 · 이습고 · 장헌 · 소희보 · 유찬 · 하찬 | |||||||
29권 「진신전(晉臣傳)」 | 30권 「한신전(漢臣傳)」 | |||||||
상유한 · 경연광 · 오만 | 소봉길 · 사홍조 · 양빈 · 왕장 · 유수 · 이업 · 섭문진 · 후찬 · 곽윤명 | |||||||
31권 「주신전(周臣傳)」 | 32권 「사절전(死節傳)」 | |||||||
왕박 · 정인회 · 호재 | 왕언장 | |||||||
33권 「사사전(死事傳)」 | ||||||||
장원덕 · 하노기 · 요홍 · 왕사동 · 장경달 · 적진종 · 심빈(1) · 왕청 · 사언초 · 손성 | ||||||||
34권 「일행전(一行傳)」 | ||||||||
정요 · 석앙 · 정복윤 · 이자륜 | ||||||||
35권 「당육신전(唐六臣傳)」 | 36권 「의아전(義兒傳)」 | |||||||
장문울 · 양섭 · 장책 · 조광봉 · 설이구 · 소순 | 이사소 · 이사본 · 이사은 · 이존신 · 이존효 · 이존진 · 이존장 · 이존현 | |||||||
37권 「영관전(伶官傳)」 | 38권 「환관전(宦官傳)」 | |||||||
주잡 · 경신마 · 경진 · 사언경 · 곽종겸 | 장승업 · 장거한 | |||||||
39권 「왕용등전(王鎔等傳)」 | 40권 「이무정등전(李茂貞等傳)」 | |||||||
왕용 · 나소위 · 왕처직 · 유수광 | 이무정 · 한건 · 이인복 · 한손 · 양숭본 · 고만흥 · 온도 | |||||||
41권 「노광조등전(盧光稠等傳)」 | 42권 「주선등전(朱宣等傳)」 | |||||||
노광조 · 담전파 · 뇌만 · 종전 · 조광응 | 주선 · 왕사범 · 이한지 · 맹방립 · 왕가 · 조주 · 풍행습 | |||||||
43권 「씨숙종등전(氏叔琮等傳)」 | 44권 「유지준등전(劉知俊等傳)」 | |||||||
씨숙종 · 이언위 · 이진 · 배적 · 위진 · 공순 · 손덕소 · 왕경요 · 장은 | 유지준 · 정회 · 하덕륜 · 염보 · 강연효 | |||||||
45권 「장전의등전(張全義等傳)」 | 46권 「조재례등전(趙在禮等傳)」 | |||||||
장전의 · 주우겸 · 원상선 · 주한빈 · 단응 · 유기 · 주지유 · 육사탁 | 조재례 · 곽언위 · 방지온 · 왕안구 · 안중패 · 왕건립 · 강복 · 곽연로 | |||||||
47권 「화온기등전(華溫琪等傳)」 | ||||||||
화온기 · 장종간 · 장균 · 양언순 · 이주 · 유처양 · 이승약 · 장희숭 · 상리금 · 장정온 · 마전절 · 황보우 · 안언위 · 이경 · 이경암 | ||||||||
48권 「노문진등전(盧文進等傳)」 | ||||||||
노문진 · 이금전 · 양사권 · 윤휘 · 왕홍지 · 유심교 · 왕주 · 고행주 · 백재영 · 안숙천 | ||||||||
49권 「적광업등전(翟光鄴等傳)」 | ||||||||
적광업 · 풍휘 · 황보휘 · 당경사 · 왕진 · 상사 · 손방간 | ||||||||
50권 「왕준등전(王峻等傳)」 | 51권 「주수은등전(朱守殷等傳)」 | |||||||
왕준 · 왕은 · 유사 · 왕환 · 절종완 | 주수은 · 동장 · 범연광 · 누계영 · 안중영 · 안종진 · 양광원 | |||||||
52권 「두중위등전(杜重威等傳)」 | 53권 「왕경숭등전(王景崇等傳)」 | |||||||
두중위 · 이수정 · 장언택 | 왕경숭 · 조사관 · 모용언초 | |||||||
54권 「풍도등전(馮道等傳)」 | 55권 「유구등전(劉昫等傳)」 | |||||||
풍도 · 이기 · 정각 · 이우 · 노도 · 사공정 | 유구 · 노문기 · 마윤손 · 요의 · 유악 · 마호 | |||||||
56권 「화응등전(和凝等傳)」 | ||||||||
화응 · 주수은 · 양립 · 두정완 · 장건쇠 · 양언옹 | ||||||||
57권 「이숭등전(李崧等傳)」 | ||||||||
이숭 · 이린 · 가위 · 단희요 · 장윤 · 왕송 · 배호 · 왕인유 · 배우 · 왕연 · 마중적 · 조연의 |
{{{-2 (1) 구오대사 진서에서는 심빈(沈贇)으로 표기되며, 신오대사에서는 심빈(沈斌)으로 표기된다.
}}}}}} - [ 세가(世家) ]
- ||<-2><tablewidth=100%><tablebgcolor=#000000><width=50%> 61권 「오세가(吳世家)」 ||<-2><width=50%> 62권 「남당세가(南唐世家)」 ||
양행밀 · 서온 이변 63권 「전촉세가(前蜀世家)」 64권 「후촉세가(後蜀世家)」 왕건 맹지상 65권 「남한세가(南漢世家)」 66권 「초세가(楚世家)」 유은 마은 · 유언 · 주행봉 67권 「오월세가(吳越世家)」 68권 「민세가(閩世家)」 전류 왕심지 69권 「남평세가(南平世家)」 70권 「동한세가(東漢世家)」 고계흥 유민 ※ 71권은 譜에 해당. 신오대사 문서 참고
}}}}}} ||
<본기>(本紀) 12권, <열전>(列傳) 45권, <고>(考) 3건, <세가>(世家) 10권, <연보>(年譜) 1권, <부록> 3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2.1. <본기>
《신오대사》 <본기>(本紀) 구성 | |
권1,2 양본기1, 2 (梁本紀) | 주황(朱晃) |
권3 양본기3 (梁本紀) | 주우정(朱友貞) |
권4,5 당본기1,2 (唐本紀) | 이존욱(李存勗) |
권6 당본기3 (唐本紀) | 이사원(李嗣源) |
권7 당본기4 (唐本紀) | 이종후(李從厚), 이종가(李從珂) |
권8 진본기1 (晉本紀) | 석경당(石敬瑭) |
권9 진본기2 (晉本紀) | 석중귀(石重貴) |
권10 한본기 (漢本紀) | 유지원(劉知遠), 유승우(劉承祐) |
권11 주본기1 (周本紀) | 곽위(郭威) |
권12 주본기2 (周本紀) | 시영(柴榮), 시종훈(柴宗訓) |
2.2. <세가>
구양수는 《신오대사》를 저술하며, 5대 10국의 10국을 구성한 국가들을 <세가>에 기록했다.《신오대사》 <세가>(世家) 구성 | ||
권61 | 오세가 (吳世家) | 양행밀(楊行密) |
권62 | 남당세가 (南唐世家) | 이변(李昪) |
권63 | 전촉세가 (前蜀世家) | 왕건(王建) |
권64 | 후촉세가 (後蜀世家) | 맹지상(孟知祥) |
권65 | 남한세가 (南漢世家) | 유은(劉隱) |
권66 | 초세가 (楚世家) | 마은(馬殷), 유언(劉言), 주행봉(周行逢) |
권67 | 오월세가 (吳越世家) | 전류(錢鏐) |
권68 | 민세가 (閩世家) | 왕심지(王審知) |
권69 | 남평세가 (南平世家) | 고계흥(高季興) |
권70 | 북한세가 (北漢世家) | 유민(劉旻) |
권71 | 십국세가(十國世家) 연보(年譜) |
2.3. <부록>
《신오대사》의 <부록>은 <사이부록>(四夷附錄)으로 칭하며, 요나라와 그외 이민족의 사정을 다루었다. <사이부록>이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중화사상이 반영되었다.《신오대사》 <부록>(附錄) 구성 | ||
권72 | 사이부록1 (四夷附錄) | 거란(契丹) |
권73 | ||
권74 | 사이부록2 (四夷附錄) | 해(奚), 토혼(吐渾), 달단(達靼), 당항(黨項), 돌궐(突厥), 토번(吐蕃), 회골(回鶻), 우전(于闐) 고려(高麗), 발해(渤海), 신라(新羅), 흑수말갈(黑水靺鞨), 남조만(南詔蠻), 장가만(牂牁蠻), 곤명부락(昆明部落), 점성(占城) |
3. 의의와 평가
원사료인 《구오대사》에서 누락된 부분을 보충하기 위해 편찬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신오대사》는 특이하게 《사기》와 더불어 <세가>가 쓰여 있다.[1] [2] 구양수는 지방에 파견나가 있을 때 《신오대사》를 편수했다. 그는 《춘추》의 필법을 이용했는데, 봉건적인 질서를 강조하는 부분이 적지 않게 있다. 또한 그의 필체 덕분에 글이 간결하고 구수하다.그러나, 현실주의에 입각하여 쓰인 《구오대사》와 달리 《신오대사》는 화이사상 내지는 중화사상을 바탕으로 저술되었다. 그런 점에서 《신오대사》와 더불어 원사료인 《구오대사》를 필히 참고해야 한다. 예를 들어서 대조영의 발해 건국을 다룬 내용을 보면, 《구당서》와 《신당서》의 내용은 대동소이한데 비해서 《신오대사》의 내용은 상당히 차이가 있어서 천문령 전투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다.
그래도 발해사, 후삼국시대와 고려사 연구에 있어 당대에 쓰인 사료이기 때문에 한국사 연구자들에게 있어서도 가치 있는 사료이다.[3]
4. 관련 고사성어
[1] 《구오대사》에서는 10국의 군주들을 <열전>으로 분류하며 각각 <참위 열전>과 <세습 열전>에 수록했다.[2] 본래 제후국의 역사를 기록한 것이 <세가>였으나, 한나라 시절부터 사실상 독립적인 제후국이 사라졌기에 반고의 《한서》부터는 제후왕들 역시 <열전>에 기록되었다. 또 <세가>로 기록될만한 5호 16국시대의 나라들은 《진서》에 <재기>라는 독특한 이름으로 기록되었기에 <세가>가 기록된 정사는 《사기》와 《신오대사》 둘이 전부이다.[3] 특히나 당대에 쓰인 사료이기 때문에 더 가치가 있다. 마치 초기 삼국시대와 가야, 백제의 역사를 더 잘 알기 위해 《삼국사기》보다 《한서》, 《후한서》, 《삼국지》 <위지> -동이전-, 《일본서기》를 주로 참고하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