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3 12:22:16

군장/인민해방군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군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5%"
{{{#!folding [ 정치 · 군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bgcolor=#ee1c25> 상징 국호 · 국기 · 국장 · 국가
정치 ·
행정
정치 전반(홍콩 · 홍콩 입법회 · 마카오 · 마카오 입법회) ·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 ·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 국무원(판공청 · 조성부서 · 국무원 직속기구) · 국가감찰위원회 · 홍콩 행정장관 · 마카오 행정장관 · 헌법(홍콩 기본법) · 행정조직(홍콩 · 마카오) · 국가주석 · 성급행정구 영도인 · 인민대회당 · 공무원 · 중국의 판다 소유권 정책
정당 ·
사상
중국공산당 규약 · 정당(중국공산당 · 민주당파 · 친중파 · 민주파 · 본토파) · 공산당의 파벌(중국 공산주의 청년단 · 태자당 · 상하이방) · 중국몽 · 마오주의 · 중국특색 사회주의 · 신시대 중국특색 사회주의 · 통일적 다민족국가론 · 우마오당 · 공산당 중앙조직(중공당대회 · 중공중앙) · 신권위주의
역대 최고
지도자
마오쩌둥 · 화궈펑 · 덩샤오핑 · 장쩌민 · 후진타오 · 시진핑
역대 최고지도자
기타 정치인 류사오치 · 후야오방 · 자오쯔양 · 저우언라이 · 주더 · 쑹칭링 · 리셴녠 · 양상쿤 · 예젠잉 · 차오스 · 리펑 · 우방궈 · 장더장 · 리잔수 · 주룽지 · 원자바오 · 리커창 · 왕양 · 왕치산 · 쑨춘란 · 후춘화 · 류허 · 한정 · 샤오제 · 자오러지 · 장쥔 · 뤄룽환 · 자춘왕 · 둥비우 · 샤오양
부주석 · 전인대 상무위원장 · 정협 전국위 주석 · 총리 · 최고인민검찰원장 · 최고인민법원장 · 국감위 주임
외교 외교 전반(비판) · 외교부 · 여권(홍콩 · 마카오) · 비자 · 양안관계(하나의 중국 · 92공식 · 양안통일) · 중화권 · 한중관계(동중국해 · 이어도 · 6자회담 · 한한령) · 중일관계(센카쿠 열도 · 중일평화우호조약) · 한중일 · 중인관계(국경분쟁 · 아크사이친 · 아루나찰프라데시 · 평화공존 5원칙) · 난사 군도 · 둥사 군도 · 시사 군도 · 상임이사국 · G20 · G2 · 신냉전 · 일대일로 · 미중관계(패권 경쟁 · 전망) · 미중러관계 · 호주-중국 관계(무역분쟁) · 중국 제국주의 · BRICS · 중뽕 · 친중(대한민국) · 반중(대한민국) · 혐중(대한민국)
사법 사법 전반 · 최고인민법원 · 검찰원 · 사법부 · 엄타 · 사형제도 · 라오가이 · 민법 · 베이징 친청 교도소
공안 경찰(공안부 · 국가안전부 · 이민관리국 · 계급 · 경찰대학 · 경찰법 · 경찰차) · 응급관리부(소방구원대 · 국가소방구원국 · 계급 · 소방학원 · 소방법 · 소방차) · 해관총서(계급) · 홍콩 보안국(경무처 · 소방처 · 비행대 · 입경사무처 · 징교처 · 해관) · 마카오 보안부대(치안경찰국 · 소방국) · 청관 · 정보기관
군사 전반 중국 인민해방군 · 계급 · 중앙군사위원회(기능부서) · 국방부 · 퇴역군인사무부 · 역대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 역대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 전구(서부 · 중부 · 북부 · 남부 · 동부 · 구 편제) · 역사 · 초한전 · 사관학교 · SCO · 중국인민혁명군사박물관
장비 장비(보병장비 · 기갑장비 · 항공병기 · 함선 · 둥펑 미사일) · 군복 · 군장 · 중국북방공업 · 중국선박집단 · 중국항공공업집단
군종 ·
부대
육군 · 해군(육전대) · 공군(공강병군) · 로켓군 · 전략지원부대(우주비행사대대) · 무장경찰(해경) · 연합참모부 · 주홍콩부대 · 주마카오부대 · 해외 주둔 중국군
}}}}}}}}}
[ 역사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역사 ||역사 전반(홍콩)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호 · 백년국치 ||
시대 역사 전반 · 삼황오제 · · · (동주 · 서주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초한쟁패기) · (전한 · · 후한) · 위진남북조시대(삼국시대 · 서진 · 오호십육국시대 · 남북조시대 ·) · (무주 · 호연) · 오대십국시대 · (북송 · 남송) · · · 서하 · · (남명 · · · 동녕국) · (태평천국) · 중화민국(임시정부 · 북양정부 · 유신정부 · 왕징웨이 정권 · 우한정부 · 국민정부 · 만주국) · 중화인민공화국
관직 한나라의 공경 · 삼국지 관직 · 외명부 · 환관조직 · 후궁제도
사서 흠정이십사사(사기 · 한서 · 후한서 · 삼국지 · 진서(晉書) · 송서 · 남제서 · 양서 · 진서(陳書) · 위서 · 북제서 · 주서 · 수서 · 남사 · 북사 · 구당서 · 신당서 · 구오대사 · 신오대사 · 송사 · 요사 · 금사 · 원사 · 명사) · 오월춘추 · 여씨춘추 · 월절서 · 국어 · 전국책 · 열녀전 · 위서 · 위략 · 화양국지 · 후한기 · 양기 · 자치통감 · 동관한기 · 건강실록 · 정관정요 · 역대명화기 · 신원사 · 원조비사 · 만주실록 · 청사고 · 십국춘추 · 십육국춘추 · 사고전서
사건 신해혁명 · 국공합작 · 초공작전(대장정) · 중일전쟁(백단대전) · 국공내전 · 반우파 투쟁 · 중인전쟁 · 대약진 운동(7천인 대회 · 제사해 운동 · 신양 사태) · 문화대혁명(해서파관 사건 · 5.16 사건 · 내몽골 인민혁명당 숙청 사건 · 베이징 8월 폭풍 사건 · 경험 대교류 운동 · 상하이 1월 폭풍 사건 · 2월 역류 · 경서빈관 대소동 · 7.20 사건 · 주중 영국 대표부 점령 사건 · 9.13 사건 · 비림비공운동 · 상산하향 운동) · 중소 국경분쟁 · 닉슨-마오쩌둥 회담 · 중월전쟁 · 흑묘백묘론 · 중영공동선언 · 제3차 대만 해협 위기 · 홍콩 반환 · 천안문 6.4 항쟁 · SARS · 재스민 혁명 · 멜라민 파동 · 홍콩 우산혁명 · 2018년 중국 백신 파동 ·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 · 2019년 중국 우한시 환경 시위 · COVID-19(우한 봉쇄 · 상하이 봉쇄 · 2022년 중국 제로 코로나 반대 시위) · 2020년 중국-인도 국경 분쟁 · 정풍운동 · 2021년 헝다그룹 파산 위기
왜곡 중국의 역사왜곡 · 동북공정 · 만물 중국 기원설 · 중국의 한국 문화 예속화 시도(중국의 한복 왜곡 논란 · 중국의 김치 왜곡)
[ 사회 · 경제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경제 ||경제 전반(홍콩 · 마카오) · GDP · 경제성장률 · 상무부(투자촉진사무국) · 재정부 · 공업정보화부 · 중국인민은행 · 세무총국 · 중국 위안 · 중국증권 감독관리위원회(상하이증권거래소 · 선전증권거래소 · 베이징증권거래소) · 홍콩증권거래소 · 국가금융감독관리총국 · ECFA · AIIB · FTAAP · 세서미 크레딧 · 차이나 머니 · 아시아의 네 마리 용(홍콩) ||
기업 ·
산업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중앙 관리 기업) · 은행 · IT 기업(바이두 · 알리바바 그룹) · 5대 자동차 제조사(상하이자동차의 계열사) · 건설사 · 만년필 회사 · BBK(산하 제조사) · Lenovo · 비야디 자동차 · HNA그룹 · 메이드 인 차이나 · 대기업
지리 지리 전반 · 자연자원부(임업초원국) · 수리부 · 중국 대륙 · 중국 본토 · 중원 · 오악 · 장강 · 황하(위수) · 요하 · 목단강 · 송화강 · 흑룡강 · 주강 · 회하 · 톈산 산맥 · 쿤룬 산맥 · 다오청 삼신산 · 루산 · 망탕산 · 북망산 · 티베트 고원 · 쿤룬 산맥 · 타클라마칸 사막 · 화북평야 · 만주 · 둥팅호 · 칭하이호 · 행정구역( · 지급시 · 부성급시 · 특별행정구) · 도시 목록 · 7대 고도 · 박물지 · 중국 석유 천연가스 공사(페트로차이나) · 중국석유화공집단공사 · 국경통상구 · 환경오염
사회 사회 전반 · 신분증 · 주숙등기 · 민정부 · 중국사회과학원 · 인구 · 중국인(민족 · 한족) · 공휴일(국경일 · 홍콩) · 중국 표준시 · 국수주의 · 중화사상 · 중국 붕괴론 · 중국 위협론 · 인권 탄압 · 분청 · 황금방패 · 계획생육정책(소황제) · 양두혼 · 문명점수 · 동타이왕 · Shadowsocks · 탕핑족 · 노동법 · 민주화 운동 · 계투
정보 ·
통신
국가우정국 · 중국우정집단공사 · 홍콩우정 · 통신장비 제조사(화웨이 · ZTE · 다탕텔레콤) · 샤오미 · 이동통신사(차이나모바일 · 차이나유니콤 · 차이나텔레콤 · 중국광전네트워크) · 광전총국 · 중관춘 · 화창베이
과학 ·
기술
과학기술부 · 중국과학원 · 중국공정원 · 우주개발(국가항천국 · 창정 · 동방홍 위성 · 선저우 계획 · 창어 계획 · 톈궁) · 양탄일성 · 중국과학원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 · 양산 바이러스 연구소
교육 교육부 · 수학 교육과정 · 초급중학 학력시험 · 가오카오 · HKDSE · ARWU · 중국교우회망 대학평가(순위) · 구교연맹(목록) · BHUA · 세계일류대학 및 일류학과 건설 · 985공정 · 211공정 · 공자학원 · 천인계획 · 중국정부장학금 · 대외한어과
교통 교통 전반(홍콩 · 마카오) · 교통운수부(국가철도국 · 민용항공국) · 고속공로(강주아오 대교) · 철도(CRH · 도시철도 · 중국국가철도그룹 · 중국중차 · 중국철도박물관) · 항공사(중국국제항공 · 중국남방항공 · 중국동방항공 · 하이난항공) · 공항 목록 · 중국교통건설 · 교통카드(옥토퍼스 카드) · 차량 번호판
화교 화교(쿨리) · 차이나타운 · 중국계 한국인 · 중국계 미국인 · 중국계 러시아인(둥간족) · 중국계 브라질인 · 중국계 필리핀인(상글레이) ·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 중국계 베트남인 · 중국계 싱가포르인 · 중국계 태국인 · 중국계 멕시코인 · 중국계 칠레인 · 중국계 네덜란드인
[ 문화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문화 전반 ||문화 전반(홍콩 · 마카오) · 문화 검열(검열 사례 · 할리우드 블랙아웃) · 문화여유부(문물국) · 영화(목록) · 홍콩 영화 · 상하이물) · 드라마(목록 · 문제점) · 방송(CCTV · CETV · 라디오 방송 · 홍콩 · 마카오) · 신경보 · 중앙신문(인민일보 · 환구시보 · 광명일보 · 경제일보 · 해방군보) ·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 · 명보 · 미술 · 2021년 중국 규제 · 파룬궁 · 선전물 일람 ||
음식 음식 전반 · 지리적 표시제 · 지역별 요리 · 산둥 요리 · 쓰촨 요리 · 장쑤 요리 · 저장 요리 · 후난 요리 · 광둥 요리 · 구이저우 요리 · 안후이 요리 · 푸젠 요리 · 베이징 요리 · 상하이 요리 · 후베이 요리 · 윈난 요리 · 만주 요리 · 청진 요리 · 한국식(종류) · 미국식(종류) · 일본식(종류) · 러시아식 · 중국술(백주 · 황주 · 맥주) · · 팔진 · 만한전석
전통문화 전통악기(얼후 · 고쟁 · 비파 · 싼시엔 · 쓰후 · 싼후) · 경극(변검) · 잡극 · 모란정환혼기 · 샹치 · 바둑(중국기원 · 중국 바둑 기전 · 갑조리그 · 몽백합배 · 춘란배 · 바이링배 · 봉황고성배 · CCTV 하세배 · 황룡사배 · 천태산농상은행배 · 궁륭산병성배 · 오청원배) · 마작(국표마작 · 광동마작 · 사천마작 · 홍콩대만마작 · 홍콩마작) · 만만디 · 시누아즈리 · 한푸(여성 한푸) · 치파오 · 변발 · 인민복 · 전족 · 회회력 · 시헌력 · 한시 · 무협물(중국사대기서) · 토루 · 사합원 · 패방
현대문화 만화(웹코믹 · 홍콩) · 애니메이션 · 게임 · 텐센트 · 빌리빌리(빌리빌리 매크로 링크 VR) · 넷이즈 · miHoYo · SUNBORN · Hypergryph · X.D. Global · Gaea · Yostar · LPL · 차이나조이 · 차이나 인터내셔널 코믹 페스티벌 · COMICUP · ComiAi · 코미데이 · 선협소설 · VCT CN · 정가(傷感情歌)
종교 ·
신화
삼교 · 대승 불교(선종 · 정토교 · 시왕) · 도교(종파 · 상제 · 서왕모 · 구천현녀 · 일관도 · 육갑비축 · 도술 · 태극패 · 연단술) · 유교(변천사) · 백련교 · 중국 신화 · 하백 · 관우(관왕묘) · 마조 · 산해경 · 삼황오제(복희 · 신농 · 황제 · 소호 · 전욱 · 제곡 · 제지 · 제요 · 제순) · 헌원검 · 누조 · 창힐 · 치우 · 환상종(사신 · 사령 · 오룡 · 사흉) · 동방번개
스포츠 체육총국 · 올림픽 대표팀 · 패럴림픽 대표팀 · 전국운동회 · 중국축구협회 · 축구 국가대표팀(홍콩 · 마카오) · 풋살 국가대표팀 · 여자 축구 국가대표 · FA컵 · 슈퍼 리그 · 갑급 리그 · 을급 리그 · 여자 슈퍼 리그 · 홍콩 프리미어 리그 · 홍콩 퍼스트 디비전 · 홍콩 세컨드 디비전 · 차이나컵 · 홍콩 구정컵 · 축구굴기 · 공한증 · 중국 농구 협회 · 농구 국가대표팀 ·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 남자 배구 리그 · 여자 배구 리그 · 야구 국가대표팀 · 중국권법(실전) · 태극권 · 중국 그랑프리 · 상하이 인터내셔널 서킷 · 기아 서킷 · 베이징 올림픽 · 올림픽공원
언어 중국티베트어족 · 중국어(표준 중국어) · 관화 · 오어 · 월어 · 상어 · 민어 · 객가어 · 둥간어 · 기타 방언 · 한문 · 백화문 · 한자(간체자 · 방언자 · 측천문자 · 한어대사전) · 병음(우정식 병음 · 국어라마자 · 한어병음 · 팔라디 표기법 · 월병 · 예일식 광동어표기법) · 언어문자공작위원회 · HSK · BCT · TSC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서하 문자
관광 관광 전반(홍콩 · 마카오) · 세계유산 · 구단팔묘 · 5A급 여유경구 · 중국국가박물관 · 중화민족원 · 유니버설 베이징 리조트 · 상하이 디즈니 리조트(상하이 디즈니랜드) · 홍콩 디즈니랜드 · 스튜디오 시티 워터파크 · 중국인민항일전쟁기념관 · 베이징 대관원
전시장 베이징 전시센터 · 전국농업전람관 · 중국국제전람센터 · 국가회의센터 · 국립전시컨벤션센터 · 상하이 국제엑스포센터 · 충칭 국제엑스포센터 · 수출입상품교역회전시관 · 선전세계전시컨벤션센터 · 선전전시컨벤션센터 · 우한 국제엑스포센터 · 난징 국제엑스포센터 · 쑤저우 국제엑스포센터 · 쿤밍뎬츠국제컨벤션센터 · 홍콩 컨벤션센터 · 아시아월드엑스포
}}} ||

1. 개요2. 수통3. 탄입대
3.1. 56식 보총 탄입대3.2. 전투조끼(전술배심)3.3. FLC
4. 방탄복
4.1. 06식 특종병 방탄의4.2. 04B식 보병 방탄의4.3. 19식 방탄의4.4. 21식 방탄의
5. 배낭6. 헬멧
6.1. M16.2. GK806.3. FK966.4. QGF026.5. QGF036.6. 19식 헬멧
7. 기타8. 관련 문서

1. 개요

군복/인민해방군 문서도 참고바람.
파일:중국군 19식 군장.jpg

2019년 개정된 19식 군장을 착용한 중국군, 우측 3번째 병사는 기존 07식 군장을 착용하고 있다.

파일:중국군 07식 군장.jpg

2007년 개정된 07식 군장을 그린 오스프리화. 07식 통용미채복(위장복)에 06식 방탄의를 착용하고 있다. 다만 모든 중국군이 이런 군장을 착용하지 않았고 군구마다 착용장비가 각각 다르며 방탄복은 아직 보급할 생각이 없는 건지 못하는 건지 중국군 병사들 대부분은 전술조끼(우측 병사가 착용한) 또는 FLC를 착용하고 있다.

6.25 전쟁중월전쟁을 겪으며 중국 인민해방군은 군의 현대화 필요성을 느끼고 시험적인 시도를 여러차례 했으며, 따라서 군장의 현대화도 상당히 이른 시기에 시작되었다. 1987년에 우드랜드를 모방한 87식 미채복을 도입했고, 전술조끼와 프릿츠 헬멧을 보급하기 시작한 것이 2000년대 초반이다.

그리고 2007년, 대대적인 개정을 통해 디지털 전투복과 MOLLE 시스템, 방탄복 등 서방화된 07식 군장을 도입했다.

물론 후방에는 아직도 구식장구류가 쓰이고, 특히 2010년대까지는 해군(#1 #2)이나 공군(#1 #2 #3), 로켓군 (#1) 등의 부대에서 81식 자동소총에 81식 체스트리그 및 구형 방탄헬멧 등을 여전히 장비했지만 그건 전략적 가치가 떨어지는 지역의 기행부대 기지방호 경비병[1]이라 그런 것이고, 인민해방군의 규모를 생각해볼때 전방 군구만이라도 현대화를 이뤄냈다는 것은 대단한 편. 그마저도 2020년대부터는 신형 소총 도입으로 후방 기행부대 경비병들의 소총 역시 대부분 QBZ-95로 교체되면서 장구류도 그에 걸맞은 군장으로 변경되었다.

2. 수통

인민해방군은 2000년대 중반까지 녹색의 구형 수통을 사용했다. 물론 국군처럼 50년 이상을 돌려쓴건 아니고(...) 55식, 65식, 87식 등 다양한 개량을 했다. 그리고 현재는 미군수통과 비슷한 디자인에 디지털 커버를 씌운 07식 수통이 사용된다.

파일:중국군수통.jpg

인민해방군의 수통 바리에이션. 구형 수통과 반합, 그리고 아래쪽의 07식 수통이 보인다.
인민해방군 수통의 특징은 다른 나라 군용 수통처럼 허리 탄띠에 차는 형식이 아니라, 옛날 어린이들 물통처럼 긴 어깨끈을 달아 가방처럼 어깨에 둘러메는 방식을 고집하고 있다는 점, 심지어는 신형 07식 수통 커버 중에도 둘러메는 끈이 달린 커버가 있을 정도다. 북한군도 인민해방군 구형 수통을 어깨끈까지 그대로 카피해 쓰고 있다.

파일:중국군 카멜백.jpg

카멜백도 소수 사용되는 듯.

3. 탄입대

3.1. 56식 보총 탄입대

파일:56식 자동보총 탄입대.jpg

인민해방군은 오랫동안 가슴에 두르는 56식 자동보총 탄입대라는 물건을 사용해왔다. AK 탄창과[2] 수류탄 몇 발을 넣어[3] 가슴부위에 둘러 휴대할 수 있도록 한 물건.

파일:attachment/군장/중국군/56식SKS.jpg

이와 별개로 56식 보총(SKS의 중국 카피판) 탄입대가 있다. SKS가 AK-47보다 명중률이 조금 좋다는 이유(...)로 70년대까지 이 탄입대가 더 많이 굴러다녔다.

파일:p20180115.jpg

위쪽은 81식 체스트리그(81式胸挂), 아래쪽은 탄창가방.
제식화기가 81식 자동소총으로 바뀌면서 탄입대도 탄창주머니가 4개로 늘어나고 수류탄 주머니는 2개로 줄어든 81식 탄입대가 나왔다. 그 외에도 소련식 탄창가방도 병행되어 사용되었다.

파일:7b2da35e73827e83595c3f4e3c76347c.jpg

멀티캠 위장무늬를 입혀서 아직도 사용 중이다.

3.2. 전투조끼(전술배심)

战术背心(전술배심)이라 불린다. 중국어 背心(베이신, bèixīn)이라는 단어는 "조끼"라는 뜻이다.

파일:attachment/군장/중국군/91식.jpg

초기형 91식 전술배심. 56식 체스트리그와 다르게 끈이 아닌 클립을 이용하고, 앞으로 결속 할 수 있어 신속하게 착용이 가능하다.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미군이 80년대 말에 도입한 TLBV의 복제품이다. 정작 미군은 사용이 불편하다고 빠르게 다른 시스템으로 교체해버렸는데, 인민해방군 역시 90년대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 개량 시도를 하다, 결국 현재는 대부분 07식 디지털 위장을 입힌 전술조끼 또는 FLC로 교체되었다.

파일:attachment/군장/중국군/95식.jpg

95식 전술배심. 91식을 개량한 물건으로, 벨트가 추가되어 다른 파우치를 결속할 수 있게 되었다.

파일:attachment/군장/중국군/02식배심.jpg

공수부대용 02식 전술배심. 통풍이 되는 망사를 사용하고, 벨크로를 통해 더욱 신속하게 착용 가능하다. 클립을 이용해 배낭도 결속 할 수 있다.

파일:attachment/군장/중국군/11식.jpg

11식 전술배심. TLBV의 디자인을 버리고 보다 평범한 전술조끼의 형태에 가까워졌다. 07식 디지털 위장을 입혔으며, 지퍼를 사용해 착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여러 바리에이션이 존재한다.

파일:attachment/군장/중국군/무경전술배심.jpg

무경용 전술배심은 군구별로 따로 제작하는건지 수십가지(...)가 존재한다. 위 사진은 가장 일반적인 특경(SWAT)용 전술배심.

3.3. FLC

파일:attachment/군장/중국군/07식FLC.jpg

현재 대부분의 인민해방군 병사들이 착용하는 07식 휴행구(FLC). 이 역시 미군의 FLC를 이름까지 그대로 가져왔다. 위장 패턴은 통용, 황모, 해양 등 다양하며, 87식 우드랜드 위장 버젼도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 2000년대 초반부터 개발해온 듯 하다. MOLLE 시스템이 적용되어 병과별로 다양한 파우치 결속이 가능하다. 하지만 미군처럼 자유롭게 결속할 수는 없는 듯.

4. 방탄복

http://milidom.net/freeboard/32270 참고

4.1. 06식 특종병 방탄의

파일:attachment/군장/중국군/06식특종병.jpg

현재 인민해방군이 보급중인 신형 방탄복. 중국에서는 방탄복이 아닌 '방탄의(衣)'라고 한다. 07식 통용미채를 사용하는데 왜 06식이라고 하는 이유는 불명. 미군의 OTV형 방탄복과 매우 유사하며 MOLLE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전면 후면에 방탄판을 삽입할 수 있다. 이름처럼 특종병(특수부대)에게 주로 보급되는 듯 하지만 일반 보병에게도 보급됐다. 위 사진은 소말리아에 파견된 해군 특수부대원들.

4.2. 04B식 보병 방탄의

파일:attachment/군장/중국군/04식보병.jpg

인민해방군의 또다른 신형 방탄복. 06식에 비해 방호면적이 작다. MOLLE 시스템이 적용되었고 방탄판 삽입도 가능하다. 다만 CIRAS나 IOTV와는 다르게 신속탈착기능은 없는 듯. 이름을 봐서는 일반 보병들에게 지급하려고 만든 것 같은데 06식을 입은 보병 사진이 더 많이 보인다.

4.3. 19식 방탄의

파일:1569973907.jpg

2019년 10월 1일 중국 건국 70주년 기념 열병식에 등장한 신형 방탄복, 신형 19식 성공미채(星空迷彩)가 적용되어 있으며, 플레이트 캐리어 수준의 경량 방탄복으로 보인다.

파일:005RRJwZgy1gc9z7h1fj6j34802tce87.jpg

특수부대용 플레이트 캐리어.

파일:EQyU7VvVUAEBHBh.jpg

04식 보병 방탄의를 개량하여 외형이 좀더 CIRAS에 가까워진 방탄복도 보이고 있다.

4.4. 21식 방탄의

파일:21식 방탄복.jpg
19식 군복, 군장을 2년간 시험 사용 후 개량하여 2021년에 제식 채용이 결정된 21식 군장체계에서 새로운 플레이트 캐리어 형식의 방탄복이 채용되어, 현재 중국군/무경 전 부대에 지급되고 있다.

5. 배낭

파일:attachment/군장/중국군/91式生活用品背囊.jpg

91식 배낭. 등이 달리붙지 않게 하는 완충제와 흔들리지 않게 허리춤에 고정시켜주는 벨트가 있다. 또한 고리가 있어 야삽을 달 수 있다.

파일:attachment/군장/중국군/01式生活用品背囊.jpg

01식 배낭. 양쪽 하단에 있던 주머니를 제거하고 내구성이 좋은 클립으로 교체했다.

파일:attachment/군장/중국군/07式背囊.jpg

07식 배낭. 디자인은 01식과 동일하며 디지털 위장무늬를 적용했다. 통용, 황모, 해양 등 여러 버젼이 존재한다.

파일:attachment/군장/중국군/06식어썰트백.jpg

06식 작훈포(전투배낭). 디지털 위장을 씌운 전투배낭. 배낭 하부에 MOLLE 파우치를 결속할 수 있다.

파일:bd9b02aely1gca0ai8yj8j20u0140wnl (1)-vert.jpg

19식 배낭, 19식 위장무늬가 적용되었다.

6. 헬멧

6.1. M1

파일:2036568_orig.jpg

국공내전 이후, 국민당군으로 부터 노획한 M1철모를 모방해서 생산한 것이다.

파일:5255327_orig.jpg

내부의 모습
기존의 M1철모와는 다르게 라이너와 철모가 일체형이다. 라이너는 90식 철모와 같은 3패드 형식[4]

6.2. GK80

파일:attachment/군장/중국군/GK80.jpg

70년대부터 사용된 인민해방군의 철모. 외형을 보면 일본군 철모를 모방해 생산한 것이라고 하지만, 라이너를 보면 M1 철모와 더 가깝다. 무게는 1.25kg. 여러가지 바리에이션이 있는데, 대표적으로는 방탄플라스틱으로 생산한 GK80[5] 워낙 생산량이 많아서 현재도 훈련이나 시위진압용으로 쓰이며, 경비원 등이 착용하기도 한다. 중월전쟁에선 철모의 붉은색 별이 위장상 도움이 안된다고 지적되어 도색이 지워지거나 위장포를 씌우는 등 여러가지 방법으로 가렸지만, 정작 위장문제는 철모가 아닌 65/78식 전투복의 붉은색 칼라탭 이었다.

6.3. FK96

파일:attachment/군장/중국군/fk96.jpg

인민해방군의 신형 철모. PASGT디자인을 그대로 따라한 듯 하다. 무게는 1.25kg. GK80의 생산량이 너무 많아서(...) 많이 사용되진 않았다.

6.4. QGF02

파일:attachment/군장/중국군/QGF02.jpg

인민해방군 최초의 케블라 방탄헬멧. 1997년 홍콩 반환 당시 첫 선을 보였다. 케블라를 사용한만큼 방호력은 출중해서 54식 권총(TT 권총의 중제 카피판)의 7.62mm 탄환을 5m 거리에서 완벽히 방호한다고 한다. 3점식 턱끈을 사용하며 무게는 1.45kg. 그런데 단가가 높아 생산이 중단되고, 2005년부터 다른 공장에서 생산되는 QGF03로 대체했다고 한다.

6.5. QGF03

파일:attachment/군장/중국군/QGF03.jpg

QGF02의 개량형. 일단 단가가 낮아지고 세부적인 디자인이 변했다. 앞쪽의 돌출부를 줄이고 귀와 목의 방호면적을 늘렸으며, 나사의 수도 줄어들었다. 턱끈의 위치도 개선된 듯. 현재 인민해방군의 표준 헬멧이다.

6.6. 19식 헬멧

파일:1570162335.jpg

2019년 10월 1일 열병식에서 찍힌 사진

2019년경부터 정예부대 위주로 보급중인 신형 헬멧. 서방측의 옵스코어 등 신형 전술헬멧을 모방하여 정면에 야투경 마운트, 측면에 기타 장비 마운트를 기본 장착하고 턱끈도 4점식을 사용하고 있다.

파일:img-b4231444563c6441b4ba7621f55fd559.jpg

헬멧에 나사구멍을 뚫고 볼트와 너트를 이용해 마운트와 턱끈을 장착하는 미국 쪽 신형헬멧들보다 더 발전하여, 헬멧에 구멍을 뚫지 않고 마운트와 턱끈을 브라켓 식으로 헬멧에 끼워넣어 방어력이 미국 쪽 헬멧보다 더 좋다고 자평하고 있다.#

그런데 이런 외장 조립식은 대테러 전쟁 중에 서방측에서 이미 내놓은 물건이고 서방측은 외장 조립식 말고도 부수기재들을 장착할 마운트쪽의 두께를 늘려서 혹시나 하는 사태가 벌어져도 방호력을 만족시킨다던지 아니면 아예 접착식으로 마운트들을 장착한 물건들까지 이미 나와있으므로 이는 적당히 걸러들을 필요가 있다.

7. 기타

파일:external/ff7fb3cfa17c4361f01c70728c0e470625d05e2e3d45e2fcf1e9b57bb1119ced.jpg
다스 베이더?(...)
  • 2014년 12월 중국의 진보적인정부비판적인 잡지인 남방주말은 인민해방군 군장 가격의 총합이 아이폰 2대값밖에 안된다고 좀더 군장을 개선할 것을 정부측에 촉구하는 기사를 냈다. 인민해방군측은 기관지 해방일보에서 반박했다. 다만 중국의 인건비가 아무리 싸다고 해도, 케블라 소재를 사용한 방탄복의 가격이 4만원 일리가 없다(...). 이건 아마 07식 휴행구(FLC)와 헷갈린 듯.
  • 2021년 1월 4일, 홍콩 빈과일보가 중국 매체를 인용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중국 인민해방군은 티베트 군구 소속 병사들에게 각종 디지털 전투장비를 지급했다고 한다. 신형 군장을 지급하는 것 자체는 놀랄 게 없으나, 이 장비들 중에는 자기파괴장비가 있다고 한다. 쉽게 말해서 자폭 장치이며, 이 장치는 중상을 입거나 포로가 되고 싶지 않을 때 작동시킬 수 있고, 지휘관이 원격으로 작동시킬 수도 있다고 한다. # 해당 내용은 유튜브에서 한 음모론자가 주장한 내용을 사실인것마냥 언론사들이 퍼다나르며 시작된 근거없는 소리이다.[6]

8. 관련 문서




[1] 중국에서는 경위(警卫)이라 불리는 병력들[2] 보통 3개지만 억지로 넣으면 6개까지 들어간다. 물론 6개를 넣도록 만든 모델도 있다.[3] 수류탄을 넣을수 있는 주머니중 하나는 총기손질용 기름통을 수납하는 주머니다.[4] 국공내전 이후 황폐화된 국가에서 나올 수 있는 물자들이 부족했기에, 생산단가가 그나마 저렴한 3패드 방식을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비슷한 예로는 소련의 SSH40이 있다.[5] 중국에선 한화로 약 20,000원 정도에 팔린다...[6] 이게 사실이고 원격 작동이 가능하다면 상대하는 입장에선 해킹하기 딱 좋은 먹잇감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