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호 (國號) | |||||
{{{#!wiki style="margin:0 -10px -2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2px -1px -11px" | 대한민국 大韓民國 | 일본국 日本国 | 중화민국 中華民國 중화인민공화국 中华人民共和国 | 러시아 연방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 미합중국 United States of America |
대한민국/국호 (한국사 역대 국호) | 일본/국호 | 중국/국호 (중국사 역대 국호) | 러시아/국호 | 미국/국호 | |
인도 공화국 भारत गणराज्य |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Cộng hòa xã hội chủ nghĩa Việt Nam | 그레이트브리튼 및 북아일랜드 연합왕국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 독일연방공화국 Bundesrepublik Deutschland | 프랑스 공화국 République française | |
인도/국호 | 베트남/국호 | 영국/국호 | 독일/국호 | 프랑스/국호 | |
그리스 공화국 Ελληνική Δημοκρατία | 아일랜드 Éire | 우크라이나 Україна | 루마니아 România | 크로아티아 공화국 Republika Hrvatska | |
그리스/국호 | 아일랜드/국호 | 우크라이나/국호 | 루마니아/국호 | 크로아티아/국호 | |
스페인 왕국 Reino de España | 헝가리 Magyarország | 리투아니아 공화국 Lietuvos Respublika | 몬테네그로 Crna Gora | 스웨덴 왕국 Konungariket Sverige | |
스페인/국호 | 헝가리/국호 | 리투아니아/국호 | 몬테네그로/국호 | 스웨덴/국호 | |
포르투갈 공화국 República Portuguesa | 이탈리아 공화국 Repubblica Italiana | 폴란드 공화국 Rzeczpospolita Polska | 덴마크 왕국 Kongeriget Danmark | 아이슬란드 Ísland | |
포르투갈/국호 | 이탈리아/국호 | 폴란드/국호 | 덴마크/국호 | 아이슬란드/국호 | |
네덜란드 왕국 Koninkrijk der Nederlanden | 벨라루스 공화국 Рэспубліка Беларусь | 스위스 연방 Schweizerische Eidgenossenschaft Confédération suisse Confederazione Svizzera Confederaziun svizra Confoederatio Helvetica | 에스토니아 공화국 Eesti Vabariik | 아르메니아 공화국 Հայաստանի Հանրապետություն | |
네덜란드/국호 | 벨라루스/국호 | 스위스/국호 | 에스토니아/국호 | 아르메니아/국호 | |
앙골라 공화국 República de Angola | |||||
앙골라/국호 | }}}}}}}}} | ||||
관련 틀: 국기 · 국장 · 국가 |
- [ 역사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역사 ||역사 전반(홍콩)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호 · 백년국치 ||
- [ 사회 · 경제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경제 ||경제 전반(홍콩 · 마카오) · GDP · 경제성장률 · 상무부(투자촉진사무국) · 재정부 · 공업정보화부 · 중국인민은행 · 세무총국 · 중국 위안 · 중국증권 감독관리위원회(상하이증권거래소 · 선전증권거래소 · 베이징증권거래소) · 홍콩증권거래소 · 국가금융감독관리총국 · ECFA · AIIB · FTAAP · 세서미 크레딧 · 차이나 머니 · 아시아의 네 마리 용(홍콩) ||
- [ 문화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문화 전반 ||문화 전반(홍콩 · 마카오) · 문화 검열(검열 사례 · 할리우드 블랙아웃) · 문화여유부(문물국) · 영화(목록) · 홍콩 영화 · 상하이물) · 드라마(목록 · 문제점) · 방송(CCTV · CETV · 라디오 방송 · 홍콩 · 마카오) · 신경보 · 중앙신문(인민일보 · 환구시보 · 광명일보 · 경제일보 · 해방군보) ·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 · 명보 · 미술 · 2021년 중국 규제 · 파룬궁 · 선전물 일람 ||
1. 개요
중국의 국호에 대해 설명하는 문서.2. 언어별 명칭
<colbgcolor=#dddddd,#222>언어별 명칭 | |||
영어 | People's Republic of China(PRC) China | ||
표준중국어 | [ruby(中, ruby=Zhōng)][ruby(华, ruby=huá)][ruby(人, ruby=Rén)][ruby(民, ruby=mín)][ruby(共, ruby=Gòng)][ruby(和, ruby=hé)][ruby(国, ruby=guó)] [ruby(中, ruby=Zhōng)][ruby(国, ruby=guó)] | ||
한국어 | 중화인민공화국 중국 | ||
일본어 | [ruby(中, ruby=ちゅう)][ruby(華, ruby=か)][ruby(人, ruby=じん)][ruby(民, ruby=みん)][ruby(共, ruby=きょう)][ruby(和, ruby=わ)][ruby(国, ruby=こく)] [ruby(中, ruby=ちゅう)][ruby(国, ruby=ごく)] | ||
프랑스어 | Chine, République populaire de Chine | ||
러시아어 | Китайская Народная Республика(КНР) | ||
스페인어 | República Popular China | ||
아랍어 | جمهورية الصين الشعبية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기타 중국어 표기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ddddd,#222> 국어라마자 | Jonghwa Renmin Gonqhergwo | |
웨이드-자일스 | Chung¹-hua² Jên²-min² Kung⁴-ho²-kuo² | ||
통용병음 | jhōnghuá rénmín gònghéguó | ||
예일식 | Jūnghwá Rénmín Gùnghégwó | ||
주음부호 | ㄓㄨㄥㄏㄨㄚˊㄖㄣˊㄇㄧㄣˊㄍㄨㄥˋㄏㄜˊㄍㄨㄛˊ | ||
주음부호 제2식 | Jūnghuá Rénmín Gùnghéguó | ||
팔라디 | чжун хуа жэнь минь гун хэ го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중국 제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ddddd,#222> 오어 | [ruby(中华, ruby=tsonhho)](T1) [ruby(人民, ruby=zenmin)] (T3)[ruby(共和国, ruby=gonhhukoq)] (T3) | |
감어 | [ruby(中华, ruby=zung1fa4)][ruby(人民, ruby=liin4min4)][ruby(共和国, ruby=kung5fo4guet6)] | ||
상어 | [ruby(中华, ruby=zhong1fa2)][ruby(人民, ruby=ren2min2)][ruby(共和国, ruby=gong5ho2gue6)] | ||
진어 | [ruby(中华, ruby=zung1hua1)][ruby(人民, ruby=zeng1ming1)][ruby(共和国, ruby=gung3hue1gueh6)] | ||
객가어 | [ruby(中华, ruby=Chûng-fà)][ruby(人民, ruby=Ngìn-mìn)][ruby(共和国, ruby=Khiung-fò-koet)] | ||
월어 | [ruby(中华, ruby=Zung1waa4)][ruby(人民, ruby=Jan4man4)][ruby(共和国, ruby=Gung6wo4gwok3)] | ||
민남어 | [ruby(中华, ruby=Tiong-hôa)][ruby(人民, ruby=Jîn-bîn)][ruby(共和国, ruby=Kiōng-hô-kok)] | ||
민동어 | [ruby(中华, ruby=Dṳ̆ng-huà)][ruby(人民, ruby=Ìng-mìng)][ruby(共和国, ruby=Gê̤ṳng-huò-guók)] | ||
민북어 | [ruby(中华, ruby=Dô̤ng-uǎ)][ruby(人民, ruby=Nêng-měng)][ruby(共和国, ruby=Gō̤ng-uǎ-gŏ)] | ||
보선어 | [ruby(中华, ruby=De̤ng-huá)][ruby(人民, ruby=Cíng-míng)][ruby(共和国, ruby=Gē̤ng-hó̤-go̤h)] | ||
둥간어 | ﺟْﻮﺧُﻮَ ژٌمٍ ﻗْﻮحْقُوَع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소수민족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ddddd,#222> 티베트어 | ཀྲུང་ཧྭ་མི་དམངས་སྤྱིམཐུན་རྒྱལ་ཁབ | |
좡어 | [ruby(中华, ruby=Cunghvaz)][ruby(人民, ruby=Yinzminz)][ruby(共和国, ruby=Gunghozgoz)] | ||
몽어 | [ruby(中华, ruby=ZongbHuaf)][ruby(人民, ruby=RenfMinf)][ruby(共和国, ruby=GongdHofGof)] | ||
몽골어 | ᠪᠦᠭᠦᠳᠡ ᠨᠠᠶᠢᠷᠠᠮᠳᠠᠬᠤ ᠳᠤᠮᠳᠠᠳᠤ ᠠᠷᠠᠳ ᠤᠯᠤᠰ | ||
만주어 | ᡩᡠᠯᡳᠮᠪᠠᡳ ᠨᡳᠶᠠᠯᠮᠠᡳᡵᡤᡝᠨ ᡤᡠᠨᡥᡝ ᡤᡠᡵᡠᠨ ᠵᡠᠩᡥᡡᠸᠠ ᠨᡳᠶᠠᠯᠮᠠᡳᡵᡤᡝᠨ ᡤᡠᠨᡥᡝᡬᠣ | ||
위구르어 | جۇڭخۇا خەلق جۇمھۇرىيىتى | ||
이어 | ꍏꉸꏓꂱꇭꉼꇩ | ||
카자흐어 | قىتاي حالىق رەسپۋبلىيكاسى | ||
키르기스어 | قىتاي ەل رەسپۇبلئقاسى | ||
타지크어 | جمهوری خلق چین | ||
경어 | [ruby(共和, ruby=Cộnghòa)][ruby(人民, ruby=Nhândân)][ruby(中华, ruby=Trung Hoa)] | ||
다이어 | สาธารณรัฐประชาชนจีน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그 외 언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ddddd,#222>독일어 | Volksrepublik China | |
포르투갈어 | República Popular da China | ||
이탈리아어 | Repubblica Popolare Cinese | ||
튀르키예어 | Çin Halk Cumhuriyeti | ||
우크라이나어 | Китайська Народна Республіка | ||
버마어 | တရုတ်ပြည်သူ့သမ္မတနိုင်ငံ | ||
힌디어 | चीनी जनवादी गणराज्य |
3. 상세
정식 명칭은 중화인민공화국(中华人民共和国/中華人民共和國)이며, 약칭은 중국(中国/中國). 표준 중국어 발음은 중궈(Zhōngguó, [ʈʂʊ́ŋ.kwǒ]). 중화인민공화국은 중화런민궁허궈(Zhōnghuá Rénmín Gònghéguó, [ʈʂʊ́ŋ.xwǎ ɻə̌n.mǐn kʊ̂ŋ.xɤ̌.kwǒ])라고 발음한다.'중국'이라는 명칭이 최초로 나타난 것은 기원전 11세기 주나라의 청동기에 새겨진 글자다. 문서상으로는 시경의 大雅民勞篇 중 “惠此中國, 以綏四方”이라는 구절의 '중국'이 가장 이른 기원이다. 이는 지리적 중심부, 즉 주나라의 수도 지역을 의미했다. 당시 '國'은 아직 '나라'의 의미를 갖지 않았다. 중원(中原), 중화(中華)라고도 했다. 주변에 비해 발달된 문명을 가졌던 자신들을 동이, 서융, 남만, 북적 등 주변 '오랑캐'와 구분하기 위해 쓰이는 경우가 많았다.
그랬던 것이 춘추시대 들어 주나라의 제후들이 서로 치고받기 시작하면서, 각기 주나라의 정통성을 주장하기 위해 중국(=주나라)이라는 말을 신나게 팔아댔다. 이렇게 황하 중하류의 구 주나라 세력권 일대의 도시들이 서로 자기네가 주나라의 수도('중국')라고 자칭했고, 그 바깥 지역에 위치한 진(秦), 초(楚), 오(吳), 월(越)나라 등을 ‘오랑캐나라’(夷狄之邦)로 불렀다. 이때까지는 나라를 뜻하는 자가 國이 아니라 邦이었던 것이다.
결국은 오랑캐 취급받던 진나라가 중원을 처음으로 제패하여 중구난방 난립하던 '중국'은 다시 하나가 되었다. 그런데 통일 진나라가 고작 15년만에 망해버리고 한나라가 들어서게 되고, 초대 황제인 유방(劉邦)의 이름을 피휘하느라 邦 대신 國을 쓰기 시작하여 중국의 개념이 '중원을 차지한 하나의 나라'로 정착된 것이다.
중국 대륙에서는 전통적으로 왕조 이름이 국명처럼 쓰였으며 중국이라는 명칭은 나라 이름보다는 지역 이름에 가까웠다. 더불어 중원의 동의어였던 것에서 의미가 넓어져 한족 정통 왕조의 지배 영역을 가리키는 말로도 쓰였다.
중국을 국명으로 최초로 내세운 민족은 뜻밖에 한족이 아닌 만주족들이였는데, 만주족의 청나라가 네르친스크 조약 당시 스스로를 만주어로 "ᡩᡠᠯᡳᠮᠪᠠᡳ ᡤᡠᡵᡠᠨ(dulimbai gurun, 가운데에 있는 나라)"으로 칭한 것이 처음이다. 아편전쟁 이후 체결된 난징 조약에서는 만주어가 아닌 한문으로도 스스로를 中國/中国으로 일컬었다.
중국이라는 명칭이 국명으로 쓰이지는 않았지만 아편전쟁 이후 근대화의 물결이 중국을 덮치면서 중국인들도 민족주의에 눈뜨게 되었다. 이에 따라 중국인들은 왕조와 관계없이 스스로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국명이 필요함을 느꼈다. 결국 신해혁명으로 만주족의 청나라를 무너뜨린 중국인들은 스스로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中國/中国, 中華/中华와 'republic'의 번역어인 민국(民國/民国)을 조합한 중국 대륙 사상 최초의 공화국인 중화민국(中華民國/中华民国)을 세웠고, 약칭으로 중국(中國/中国)이라 하였다. 이후 중국공산당이 국공내전에서 승리하여 세운 오늘날의 중국은 기존의 중화(中華/中华) + 정치 체제를 이르는 '인민공화국'을 추가한 중화인민공화국(中华人民共和国)을 정식 국명으로 택하고 약칭을 중국(中國/中国)이라 하여 지금에 이른다. 국공내전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은 타이완섬에 있는 중화민국과 정통성 경쟁을 해왔고, 타이완섬의 중화민국을 정통 중국으로 보는 국가를 중심으로 중화인민공화국에 대해 중공(中共) 등 다른 명칭을 쓰기도 했지만, 지금은 국제적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이 정통 중국으로 간주되어 타이완섬의 중화민국이 아닌 중화인민공화국을 '중국'으로 칭한다. 지금도 중화인민공화국을 인정하지 않고 명목상 중국 대륙의 정통 국가임을 주장하는 중화민국(대만)에서는 이 나라에 대해 공식적으로 중국 대륙(대륙), 중공 등의 용어를 사용하지만, 대만 민족주의가 어느 정도 자리잡은 현재에는 대륙의 중화인민공화국을 그냥 '중국'으로 칭하는 사람들이 많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당시에는 새로운 중국을 수립했다는 의미에서 스스로를 신중국(新中國/新中国)이라 한 적도 있다. 대비되는 용어는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전 중화민국이나 그 이전 전근대 왕조 시대를 이르는 구중국(舊中國/旧中国)이다.
영어로는 이 나라를 차이나(China) 혹은 피플스 리퍼블릭 오브 차이나(People's Republic of China)라 하고 다른 유럽 언어에서도 대체로 비슷한 명칭을 쓴다. 이에 대한 가장 유력한 설은 진나라의 친(Chin)에서 유래됐다는 설이다. 이것이 산스크리트어에서 중국 지역을 칭하는 이름인 치나(Cīna)가 되었고, 이 낱말을 포르투갈인 상인들이 페르시아어를 거쳐 수입해 전 유럽에 보급했다. 앞의 C가 Ch, C, K, S[1] 등으로 오락가락하는 탓에 영어명은 '차이나'이지만 북유럽 언어나 그리스어에서는 '키나', '키나스'라고 하는 등의 차이가 있기는 하다. 한자문화권에서 '중국'이 국명으로 확립되지 않았던 근대 시절에는 이를 한자 음역하여 중국을 支那[2]라 칭한 적이 있지만 중국인 및 기타 화인(대만인, 홍콩인, 마카오인, 해외 화교들)들은 역사적 이유로 인해 이를 비하 명칭으로 받아들인다.
특이하게 러시아어를 비롯한 일부 슬라브어권에서는 Китай(키타이)라 하는데, 이는 본래 거란족을 의미한다. 근세 이전에야 러시아에서 중국이 워낙 멀다보니 동방에 뭐가 있는지도 잘 모르고, "동방에 키타이라고 날리는 애들이 있더라" 정도의 정보만 가지고 그 동네를 뭉뚱그려 키타이라 부른 게 그 시작이다. 이 영향을 받아 중앙아시아 언어에서도 중국을 키타이 비슷한 이름으로 칭하며, 그 외 다른 언어에서도 영어에서의 캐세이(Cathay) 등 거란의 이름에서 유래해 중국을 가리키는 표현이 좀 있다. 홍콩을 거점으로 하는 항공사인 캐세이퍼시픽도 여기서 유래하였다.
화교들이 많이 사는 동남아시아에서는 위의 경우와 달리 그냥 '중국'의 방언식 이름이 현지에서 중국을 이르는 명칭으로 정착하기도 했다. 예를 들면 인도네시아어에서 중국은 Tiongkok[3]이라고 하는데 중국을 이르는 민남어 발음에서 유래했다.
땅이 크고 인구가 많다는 뜻에서 '대국'이라고 자칭하기도 한다.
[1] 파생으로 H 혹은 X도 있다.[2] 지나-한국, 시나-일본[3] 원래는 중국을 Cina로 불렀으나, 수실로 밤방 유도요노 대통령이 화교에 대한 유화정책을 펼치면서 중국의 국호를 Tiongkok으로 변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