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colbgcolor=#ee1c25>상징 | <colcolor=#000,#fff>양자형기 · 자형화 |
역사 | 역사 · 난징 조약 · 영국령 홍콩 · 홍콩일치시기 · 중영공동선언 · 홍콩 반환 · 2014년 홍콩 민주화 운동 · 홍콩 독립운동 ·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 · 홍콩 국가보안법(국가안전수호조례) · 홍콩특별행정구 | |
정치 | 정치(입법회 · 행정조직) · 일국양제 · 홍콩 행정장관 · 선거(입법회 · 구의회) · 정당(친중파 · 민주파 · 본토파) · 홍콩 기본법 | |
외교 | 외교(한홍관계 · 본토-홍콩 관계 · 대만-홍콩 관계) · 홍콩 여권 · APEC · 영국-홍콩 관계 · 호주-홍콩 관계 · 미국-홍콩 관계 | |
경제 | 경제 · 홍콩 달러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
지리 및 행정구역 | 틀:홍콩의 행정구역 · 홍콩섬 · 구룡반도 · 신계 | |
국방 | 국방 · 중국인민해방군 주홍콩부대 | |
치안 | 치안 · 홍콩 보안국(홍콩 경무처 · 홍콩 소방처 · 정부비행복무대 · 홍콩 징교처 · 홍콩 해관 · 홍콩 입경사무처) | |
문화 | 문화 · 홍콩 영화 · 중화권 · 언어 · 광동어(월어병음) · 번체자 · 영어 · 표준 중국어 · 홍콩 축구 국가대표팀 · 홍콩 프리미어 리그 | |
관광 | 관광 · | |
교통 | 교통 · 강주아오 대교 · MTR · 홍콩 버스 · 홍콩 트램 · 피크트램 · 캐세이퍼시픽항공 · | |
기타 | 홍콩인 |
1. 개요
홍콩특별행정구 정무사 산하에 있는 기관으로, 굳이 비슷한 한국의 정부조직을 들자면 경찰청 + 소방청 + 교정본부 +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 관세청 + 해양경찰청에 대응하는 업무를 한다. 웬만한 국가의 제복 공무원 + 공권력 및 사법집행 기관들을 총망라한 부처이다. 자체 군대가 없는 홍콩 특성상 보안국에서 무력을 독점하는 특징에 근거해 분위기는 수직적인 편이다.2. 역대 보안국장
대수 | 성명 | 임기 | 행정장관 | 기타 |
1 | 피터 라이 | 1997. 07. 01 ~ 1998. 08. 30 | 둥젠화 | |
2 | 레지나 입 | 1998. 08. 31 ~ 2003. 08. 03 | ||
3 | 앰브로스 리 | 2003. 08. 04 ~ 2012. 06. 30 | 도널드 창 | [1] |
4 | 라이퉁궉 | 2012. 07. 01 ~ 2017. 06. 30 | 렁춘잉 | |
5 | 존 리 | 2017. 07. 01 ~ 2021. 06. 24 | 캐리 람 | [2] |
6 | 크리스 탕 | 2021. 06. 25 ~ 현직 | 존 리 | [3] |
3. 산하 조직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의료보조대 | 민중안전복무대 | 징교처 |
해관 | 소방처 | 정부비행복무대 | |
경무처 | 입경사무처 | 금독처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