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역사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역사 ||역사 전반(홍콩)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호 · 백년국치 ||
- [ 사회 · 경제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경제 ||경제 전반(홍콩 · 마카오) · GDP · 경제성장률 · 상무부(투자촉진사무국) · 재정부 · 공업정보화부 · 중국인민은행 · 세무총국 · 중국 위안 · 중국증권 감독관리위원회(상하이증권거래소 · 선전증권거래소 · 베이징증권거래소) · 홍콩증권거래소 · 국가금융감독관리총국 · ECFA · AIIB · FTAAP · 세서미 크레딧 · 차이나 머니 · 아시아의 네 마리 용(홍콩) ||
- [ 문화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문화 전반 ||문화 전반(홍콩 · 마카오) · 문화 검열(검열 사례 · 할리우드 블랙아웃) · 문화여유부(문물국) · 영화(목록) · 홍콩 영화 · 상하이물) · 드라마(목록 · 문제점) · 방송(CCTV · CETV · 라디오 방송 · 홍콩 · 마카오) · 신경보 · 중앙신문(인민일보 · 환구시보 · 광명일보 · 경제일보 · 해방군보) ·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 · 명보 · 미술 · 2021년 중국 규제 · 파룬궁 · 선전물 일람 ||
{{{#!wiki style="margin: 0 -11px -6px" {{{#!folding 전반기 일정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ffffff> R | 날짜 | 대회 | 레이아웃 |
1 | 3/14~16 | 앨버트 파크 그랑프리 서킷 | | |
2 | 3/21~23 | 상하이 인터내셔널 서킷 | | |
3 | 4/4~6 | 스즈카 서킷 | | |
4 | 4/11~14 | 바레인 인터내셔널 서킷 | | |
5 | 4/18~21 | 제다 코니쉬 서킷 | | |
6 | 5/3~5 | 마이애미 인터내셔널 오토드롬 | | |
7 | 5/16~18 | 아우토드로모 인테르나치오날레 엔초 에 디노 페라리 (이몰라 서킷) | | |
8 | 5/23~25 | 서킷 드 모나코 | | |
9 | 5/30~6/1 | 서킷 질 빌뇌브 | | |
10 | 6/14~16 | 서킷 데 바르셀로나-카탈루냐 | | |
11 | 6/27~29 | 레드불링 | | |
12 | 7/4~6 | 실버스톤 서킷 | | |
13 | 7/25~27 | 서킷 드 스파-프랑코르샹 | | |
14 | 8/1~3 | 헝가로링 | |
{{{#!wiki style="margin: 0 -11px -6px" {{{#!folding 후반기 일정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ffffff> R | 날짜 | 대회 | 레이아웃 |
15 | 8/29~31 | 서킷 잔드보르트 | | |
16 | 9/5~7 | 아우토드로모 나치오날레 몬차 | | |
17 | 9/19~21 | 바쿠 시티 서킷 | | |
18 | 10/3~5 | 마리나 베이 스트리트 서킷 | | |
19 | 10/18~20 | 서킷 오브 디 아메리카스 (COTA) | | |
20 | 10/25~27 | 아우토드로모 에르마노스 로드리게스 | | |
21 | 11/7~10 | 아우토드로무 주제 카를루스 파시 (인터라고스) | | |
22 | 11/21~23 | 라스베이거스 스트립 서킷 | | |
23 | 11/28~12/1 | 루사일 인터내셔널 서킷 | | |
24 | 12/5~7 | 야스 마리나 서킷 | |
중국 그랑프리 Chinese Grand Prix 中国大奖赛 | ||
| ||
대회 정보 | ||
<colbgcolor=#ee1c25>F1 첫 개최 년도 | <colbgcolor=#ffffff,#191919> 2004년 | |
개최 서킷 | 상하이 인터내셔널 서킷[1] | |
개최 횟수 | 17회[2] | |
총 주행 거리 | 305.066 km (189.559 miles, 56랩) | |
최다 우승 드라이버 | | |
최다 우승 컨스트럭터 | | |
2024년 폴 포지션 | (오라클 레드불 레이싱) 1:33.660 | |
2024년 순위 | 1위 ‐ (오라클 레드불 레이싱) 1:40:52.554 2위 - (맥라렌 포뮬러 1 팀) +13.773 3위 - (오라클 레드불 레이싱) +19.160 | |
랩 레코드[3] | 1:32.238 (페라리 F2004) |
|
포뮬러 1의 1000번째 그랑프리 |
1. 개요
|
2024 중국 그랑프리 |
2. 역사
1990년대 중국은 포뮬러 1을 개최를 추진했고, 2002년에는 2004년부터 2011년까지 그랑프리를 개최하는 계약을 체결했다.2.1. 2000년대
2004년에 첫번째 중국 그랑프리가 열렸고 루벤스 바리첼로가 우승했다. 2005년에는 시즌의 마지막 라운드였으며 페르난도 알론소와 르노 F1 팀이 각각 월드, 컨스트럭터 챔피언을 차지했다. 2006년에는 미하엘 슈마허가 마지막 우승을 했다. 하지만 2008년에 적자 운영으로 인해 개최가 취소될 위험에 쳐했지만 3년 후 2017년까지 계약을 연장했다.2.2. 2010년대
그랑프리는 꾸준히 개최되었고, 2020년까지 계약을 한번 더 연장했다.2019년에는 포뮬러 1의 1000번째 라운드를 개최했다.
2.3. 2020년대
그러나, 코로나-19의 확산으로 많은 중국을 포함한 여러 그랑프리가 연기/취소되었고, 중국 그랑프리도 결국 취소되었다. 2021년, 2022년, 2023년 그랑프리 계획이 발표되었지만 코로나-19의 장기화로 또 무산되었다. 그리고 2024년, 마침내 중국 그랑프리의 개최가 확정되면서 5년 만에 복귀한다.2024년에 예정대로 개최되었으며 이번 시즌 첫 스프린트도 열렸다.
3. 여담
- 중국 그랑프리를 위해 건설된 상하이 인터내셔널 서킷은 개발 비용이 약 2억 4천만 달러로 야스 마리나 서킷 개장 전 까지 가장 비싼 포뮬러 1 시설이었다.
- 자우버 소속 드라이버 저우관위의 고향이다.
- 2019년 중국 그랑프리는 포뮬러 1이 1000번째로 개최하는 그랑프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