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5%" {{{#!folding [ 정치 · 군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 상징 | 국기 · 국장 · 국가 · 국기가 |
정치·행정 | 정치 전반 · 오권분립 · 입법원 · 행정원(조직) · 사법원 · 헌법(중화민국 임시약법 · 동원감란시기임시조관) · 정당(범람연맹 · 범록연맹) · 총통(총통부 · 대총통선거법 · 수정대총통선거법 · 총통 전용기) · 행정구역(성 · 미수복지구) · 행정조직 · 정부총통선거 · 총선 · 지방선거 · 국민대회 | |
국가원수 | 쑨원 · 위안스카이 · 쉬스창 · 차오쿤 · 돤치루이 · 왕징웨이 · 탄옌카이 · 장제스 · 린썬 · 옌자간 · 장징궈 · 리덩후이 · 천수이볜 · 마잉주 · 차이잉원 · 라이칭더 | |
국가원수(명단) · 총통(명단) | ||
기타 정치인 | 옌시산 · 성스차이 · 우페이푸 · 리위안훙 · 장쭤린 · 후웨이더 · 옌후이칭 · 두시구이 · 구웨이쥔 · 펑위샹 · 마부팡 · 마훙빈 · 위유런 · 탕성즈 · 마훙쿠이 · 리쭝런 · 바이충시 · 룽윈 · 장쉐량 · 황싱 · 한궈위 · 장치천 · 주리룬 · 허우유이 · 쑹추위 · 커원저 · 쑤전창 · 셰창팅 · 천젠런 · 샤오메이친 | |
부총통 · 행정원장 · 입법원장 · 감찰원장 · 대성지성선사봉사관 | ||
외교 | 외교 전반 · 여권 · 양안관계(하나의 중국 · 대만 해협 위기 · 92공식 · 양안통일 · 화독 · 대독) · 중화권 · 한국-대만 관계 · 대만-일본 관계 · 미국-대만 관계(타이완 관계법 · 타이완 동맹 보호법 · 대만 보증법 · 2022년 낸시 펠로시 대만 방문 및 중국 군사훈련 사태) · 한국-대만-일본 관계(자코타 삼각지대) · 재외공관 | |
감정 | 친화 · 친대 · 반대 · 중화민국빠 · 대만빠 | |
사법 · 치안 | 사법제도 · 경찰 · 국가안전국 · 소방 · 사형제도 | |
군사 전반 | 국방부(역정서) · 대만군(육군 · 해군 · 공군 · 국민혁명군) · 계급 · 군복 · 보병장비 · 기갑차량 · 군함 · 항공병기 · 병역법 · 체대역 · 성공령 · 핵개발 · 군벌 |
- [ 역사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bgcolor=#fe0000><width=15%> 역사 ||역사 전반(민국사 · 대만사) · 대만의 민주화 운동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명 · 군벌 · 대외 전쟁 및 분쟁 ||
- [ 사회 · 경제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bgcolor=#fe0000><width=15%> 경제 ||경제 전반 · 재정부 · 경제부 · 중화민국중앙은행 · 신대만 달러 · 대만증권거래소 · 타이베이거래소 · 기업(메인보드 제조사) · 이동통신사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ECFA ||
교육 교육부 · 대학 목록 · 재대복교 교통 교통 전반 · 대만의 철도 환경 · 교통부 · 중화민국국도(중산고속공로 · 포모사고속공로) · 타이완 성도 · 공항 목록 · 항공사(중화항공 · 에바항공 · 스타럭스항공) · 타이완철로유한회사(THSR · 쯔창하오 · 구간차) · 대만의 시외버스 · 첩운(타이베이 첩운 · 타오위안 첩운 · 신베이 첩운 · 타이중 첩운 · 가오슝 첩운) · 이지카드 · 아이패스 · 아이캐시 민족 한족 · 본성인(객가) · 외성인 · 대만 원주민(아미족 · 아타얄족 · 따오족) · 인도네시아계 대만인 · 일본계 대만인 · 한국계 대만인 화교 화교(쿨리) · 차이나타운(인천 차이나타운) · 중국계 한국인(재한 화교 · 화교협회) · 중국계 미국인 · 중국계 러시아인(둥간족) · 중국계 브라질인 · 중국계 필리핀인(상글레이) ·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 중국계 베트남인 · 중국계 싱가포르인 · 중국계 태국인 · 중국계 호주인 · 중국계 일본인 · 중국계 캐나다인 · 대만계 한국인 · 대만계 미국인 · 대만계 일본인 · 대만계 캐나다인
- [ 문화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fe0000><width=15%> 문화 전반 ||문화 전반 · 영화(금마장) · 드라마 · TV방송(CTV · CTS · TTV) · 라디오 방송 · 스포츠 · 중국시보 · 빈과일보 · 미술 · 파룬궁 · 등려군 · 거류증 · 중화 타이베이 ||
中華文化總會 | |
한글명칭 | 중화문화총회 中華文化總會 |
[clearfix]
1. 개요
<nopad> |
중화문화부흥운동추진위원회의 후신이 되는 중화문화총회의 휘장. |
2. 배경
1966년, 중국(중화인민공화국)에서 문화대혁명이 발발했다. 문화대혁명을 이끌었던 홍위병은 전통문화를 봉건 시대의 잔재로 규정하고, 중국 대륙 내에 있던 수많은 문화유산들을 파괴하고 중국 내 수많은 지식인을 능욕했다.중국의 문화대혁명은 대만에도 큰 충격을 주었다. 대만(중화민국) 정부, 특히 총통 장제스는 중국의 전통 문화에 대해 애착이 깊었던 사람인데[1], 그가 전통문화를 파괴하는 문화대혁명을 어떻게 받아들였을지는 짐작이 가고도 남는다.
한편 문화대혁명은 중화민국 위주의 통일을 추구하던 당시의 대만 정부로써는 기회이기도 했다. 중국인, 한족 위주의 민족국가를 자처하는 당시 대만(중화민국)에서 중화 문화에 대한 보존에 힘쓰는 것은 곧 문화대혁명이 벌어지는 공산 중국을 '전통도 모르는 근본 없는 정권'으로 격하하고 자신들을 중국 대륙의 정통 국가라고 주장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대만(중화민국) 정부는 자신들이 중화문명의 적통이자 수호자임을 자처하며 중화문화부흥운동을 시작하였다. 이 운동은 쑨커, 왕윈우, 천리푸, 쿵더청 등 국민정부 인사들이 1966년 11월 12일에 장제스에게 건의하는 식으로 시작되었는데, 이 날은 중국의 민족주의자 쑨원의 탄생 100주년으로 일부러 노린 것이다.
1967년에는 운동을 총괄할 기관으로 행정원 산하에 중화문화 부흥운동 추진위원회(中華文化復興運動推行委員會)를 설립, 중화문명의 부흥을 강력히 추진하였다. 장제스는 위원회장을 자신이 겸직할 정도로 이 운동에 강한 관심을 보였다.
이러한 이유로 중화문화부흥운동은 중화 문화에 대한 보존 운동일 뿐만 아니라 대만 국민정부 존립과 중국국민당의 집권, 나아가 중국 통일에 대한 정당성을 부여하는 정치 운동이기도 했다.
대만이 민주화된 이후 중화문화부흥운동의 추진 기관인 중화문화 부흥운동 추진위원회는 1990년대에 내정부의 관리를 받는 사단법인인 중화문화총회(中華文化總會)라는 이름으로 존속해 있다. 회장은 관례적으로 총통이 겸임한다. 현임 회장도 현임 총통인 라이칭더이다.
3. 내용
중화문명부흥운동의 주요 내용과 취지는 다음과 같다.- 윤리와 도덕을 기초로 삼으며, 충성, 효, 자비, 사랑, 믿음, 조화, 평화로 구성하며 그 중 가장 중요한 철학적 기초는 믿음이다.
- 민주적 자유를 중화민국 헌법이라는 전국 공통의 법률로 정치적 규칙을 세우고 국회가 자유롭게 권한을 행사해 법의 효력이 영원토록 하도록 구축했고 또한 국가의 주권을 국민에게 귀속하여 법치를 세웠다. 이러한 맥락에서 1969년에 국부천대 이후 최초로 국민대회와 입법원 증원 선거를 실시했다. 물론 계엄령을 안풀고 야당을 허용하지 않은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민주적 자유란 명분에 불과했다.
- 과학 기술을 쓰는 것은 의로운 미덕이라는 사실을 퍼뜨리고 과학기술로 국민의 사회권을 더 높임과 의식주와 기타를 과학화하는 것에 있다.
[1] 마오쩌둥의 중화인민공화국 선포 당시 공습할 수 있었지만 장소가 천안문이라는 이유로 공습을 포기했을 정도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