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권 3대 영화상 | ||
금마장 | 금상장 | 금계장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5%" {{{#!folding [ 정치 · 군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 상징 | 국기 · 국장 · 국가 · 국기가 |
정치·행정 | 정치 전반 · 오권분립 · 입법원 · 행정원(조직) · 사법원 · 헌법(중화민국 임시약법 · 동원감란시기임시조관) · 정당(범람연맹 · 범록연맹) · 총통(총통부 · 대총통선거법 · 수정대총통선거법 · 총통 전용기) · 행정구역(성 · 미수복지구) · 행정조직 · 정부총통선거 · 총선 · 지방선거 · 국민대회 | |
국가원수 | 쑨원 · 위안스카이 · 쉬스창 · 차오쿤 · 돤치루이 · 왕징웨이 · 탄옌카이 · 장제스 · 린썬 · 옌자간 · 장징궈 · 리덩후이 · 천수이볜 · 마잉주 · 차이잉원 · 라이칭더 | |
국가원수(명단) · 총통(명단) | ||
기타 정치인 | 옌시산 · 성스차이 · 우페이푸 · 리위안훙 · 장쭤린 · 후웨이더 · 옌후이칭 · 두시구이 · 구웨이쥔 · 펑위샹 · 마부팡 · 마훙빈 · 위유런 · 탕성즈 · 마훙쿠이 · 리쭝런 · 바이충시 · 룽윈 · 장쉐량 · 황싱 · 한궈위 · 장치천 · 주리룬 · 허우유이 · 쑹추위 · 커원저 · 쑤전창 · 셰창팅 · 천젠런 · 샤오메이친 | |
부총통 · 행정원장 · 입법원장 · 감찰원장 · 대성지성선사봉사관 | ||
외교 | 외교 전반 · 여권 · 양안관계(하나의 중국 · 대만 해협 위기 · 92공식 · 양안통일 · 화독 · 대독) · 중화권 · 한국-대만 관계 · 대만-일본 관계 · 미국-대만 관계(타이완 관계법 · 타이완 동맹 보호법 · 대만 보증법 · 2022년 낸시 펠로시 대만 방문 및 중국 군사훈련 사태) · 한국-대만-일본 관계(자코타 삼각지대) · 재외공관 | |
감정 | 친화 · 친대 · 반대 · 중화민국빠 · 대만빠 | |
사법 · 치안 | 사법제도 · 경찰 · 국가안전국 · 소방 · 사형제도 | |
군사 전반 | 국방부(역정서) · 대만군(육군 · 해군 · 공군 · 국민혁명군) · 계급 · 군복 · 보병장비 · 기갑차량 · 군함 · 항공병기 · 병역법 · 체대역 · 성공령 · 핵개발 · 군벌 |
- [ 역사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bgcolor=#fe0000><width=15%> 역사 ||역사 전반(민국사 · 대만사) · 대만의 민주화 운동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명 · 군벌 · 대외 전쟁 및 분쟁 ||
- [ 사회 · 경제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bgcolor=#fe0000><width=15%> 경제 ||경제 전반 · 재정부 · 경제부 · 중화민국중앙은행 · 신대만 달러 · 대만증권거래소 · 타이베이거래소 · 기업(메인보드 제조사) · 이동통신사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ECFA ||
교육 교육부 · 대학 목록 · 재대복교 교통 교통 전반 · 대만의 철도 환경 · 교통부 · 중화민국국도(중산고속공로 · 포모사고속공로) · 타이완 성도 · 공항 목록 · 항공사(중화항공 · 에바항공 · 스타럭스항공) · 타이완철로유한회사(THSR · 쯔창하오 · 구간차) · 대만의 시외버스 · 첩운(타이베이 첩운 · 타오위안 첩운 · 신베이 첩운 · 타이중 첩운 · 가오슝 첩운) · 이지카드 · 아이패스 · 아이캐시 민족 한족 · 본성인(객가) · 외성인 · 대만 원주민(아미족 · 아타얄족 · 따오족) · 인도네시아계 대만인 · 일본계 대만인 · 한국계 대만인 화교 화교(쿨리) · 차이나타운(인천 차이나타운) · 중국계 한국인(재한 화교 · 화교협회) · 중국계 미국인 · 중국계 러시아인(둥간족) · 중국계 브라질인 · 중국계 필리핀인(상글레이) ·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 중국계 베트남인 · 중국계 싱가포르인 · 중국계 태국인 · 중국계 호주인 · 중국계 일본인 · 중국계 캐나다인 · 대만계 한국인 · 대만계 미국인 · 대만계 일본인 · 대만계 캐나다인
- [ 문화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fe0000><width=15%> 문화 전반 ||문화 전반 · 영화(금마장) · 드라마 · TV방송(CTV · CTS · TTV) · 라디오 방송 · 스포츠 · 중국시보 · 빈과일보 · 미술 · 파룬궁 · 등려군 · 거류증 · 중화 타이베이 ||
<colbgcolor=#ae7c44><colcolor=#fff> 금마장 金馬獎 Golden Horse Awards | ||
정식명칭 | 대북 금마장 영화제 | |
영문명칭 | Taipei Golden Horse Film Festival | |
중문명칭 | 台北金馬影展 | |
국가 | [[대만| ]][[틀:국기| ]][[틀:국기| ]] | |
첫 시상연도 | 1962년 | |
회장 | 이안 | |
공식 홈페이지 | ||
공식 SNS | | | | |
[clearfix]
1. 개요
|
▲금마장 주제곡 |
▲등려군 금마장 축하 공연 |
▲금마장 60주년 기념 공연 1 |
▲금마장 60주년 기념 공연 2 |
▲금마장 관련 이안과 장애가의 인터뷰 |
1962년 개최되어 매 해마다 개최되는 영화제이다. 매년 영화제 마지막날 열리는 시상식은 중화권에서 가장 권위있는 영화 분야 시상식으로 여겨진다. 엄밀히 따지면 영화제 공식 명칭은 금마영전, 즉 금마영화제이고 시상식 명칭이 금마장이지만 왜인지 한국에서는 일반적으로 각각 금마장 영화제, 금마장 시상식이라고 부른다.
주요 개최 장소는 타이베이 국부기념관, 중정기념당, 타이베이 아레나, 타이베이 시립미술관, 국가음악청, 가오슝 문화예술회관 등이다. 중화권 외의 영화를 전문으로 담당하는 금마국제영화제가 1980년 별도로 개최되어 존재한다.
2. 역사
1962년 중화민국 영화 산업 진흥을 위해 중화민국 국가 홍보청 주도로 개최되었다. 영화제의 명칭인 "금마장"은 대만 푸젠성 관할로 중국 대륙 코앞에 있는 섬들인 금문도[1]와 마조도[2]의 첫 글자를 따서 만들었다.[3] 이후 1990년[4] 국가 홍보청에서 중화민국 영화 진흥재단으로 집행위 권한이 이관 되었다.2018년 금마장 다큐영화감독상 수상자가 대만 독립을 강력히 원한다는 수상소감으로 인해 순식간에 분위기가 싸해져버렸고 강력한 후폭풍이 일어나 중국 영화계 및 후원 기업에서 단체로 보이콧을 한 것 때문에 위기를 겪고 있었다.
실제로 이 당시 금마장의 시상자였던 공리[5]는 일방적으로 시상을 거부했으며, 더 나아가 저우쉰을 비롯한 수많은 중국 대륙 출신 연예인들이 대만 타이베이에서 참가하기로 예정된 행사들을 모두 취소하고 중국으로 돌아가버리기도 했다.
주최측에 통보도 하지 않고 중국으로 돌아가버려서 비판의 목소리가 있었지만, 정작 중국 내부에서 대륙 출신 연예인들의 이런 행동은 애국심 있는 행동으로 평가받은 듯 하다.
결정적으로 중국 측에서는 아예 금마장에 대한 강한 보이콧을 드러내기 위해 2019년에는 아예 중국에서 열리는 금계장을 금마장과 같은 날 열어버리는 바람에 조촐하게 진행되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금계장은 중국 내에서도 큰 주목을 받지 못 했다.
여기서 중국의 계략은 실패했다. 아무리 중국의 영화 시장이 커도 중국 영화 특유의 저퀄리티나 양산형 영화 남발 문제, 금마장 자체의 오래된 역사, 전통적인 영화제라는 점과 대만 영화, 홍콩 영화 등 중화권 내 퀄리티가 높은 영화들이 참여하기 때문에 실패했으며 금마장은 여전히 중화권에서 가장 높게 평가되는 영화제이다.
상 한 번 받기가 매우 어려운데다, 심사조건도 아주 까다롭다. 당장 중화권 내 최고의 영화 감독, 배우, 영화음악가들이 나오며 나의 소녀시대로 스타덤에 올랐던 송운화도 당시에 시상을 하지 못 했다. 그리고 중국 대륙의 금계장보다 인지도가 높다. 그나마 동급으로 취급받는 것이 홍콩의 금상장이다.
참고로 한국인 배우인 송승헌이 대만의 여배우인 임의신과 같이 금마장 사회를 봤는데 중국어, 한국어를 동시에 썼다. 임의신이 국립정치대학 한국어문학과 출신이라 그런지 동시 통역도 어느 정도 했다.
결국, 4년 만에 중국인 배우들이 참석하나 제16대 대만 정부총통 선거 의식한 부분으로 분석되고 있다. 물론 대만인들의 반응은 어차피 중국인 배우들이 아쉬워서 가는 것도 있고, 금계장 퀄리티 문제로 금마장에 참석했다고 평가하기도 하고, 하나의 중국을 강조하기 위해 금마장에 참석했다고도 평가한다.#
3. 기록
- 최다 수상
- 최다 후보 지명
- 공동 수상
- 2009년 제46회 남우주연상 - 《증인》의 장가휘, 《투우》의 황보
- 2016년 제53회 여우주연상 - 《안녕, 나의 소울메이트》의 주동우, 마사순
- 1991년 제28회 여우조연상 - 《쿵후선생》의 왕래, 《아비정전》의 반적화
- 2003년 제40회 신인상 - 《달려라! 아이야》의 정지윤, 《맹정》의 왕바오창
- 2004년 제41회 신인상 - 《곰의 포옹》의 홍호선, 《열일곱살의 하늘》의 양유닝
- 최고령, 최연소 수상 및 후보 지명
- 최고령 남우주연상 수상자 - 《슈퍼 시티즌 코》의 양린 (63세)
- 최고령 남우주연상 후보지명 - 《일로순풍》의 허관문 (74세)
- 최연소 남우주연상 수상자 - 《햇빛 쏟아지던 날들》의 샤위(20세)
- 최연소 남우주연상 후보지명 - 《고령가 소년 살인사건》의 장첸 (15세)
- 최고령 여우주연상 수상자 - 《고독의 맛》의 진숙방 (81세)
- 최연소 여우주연상 수상자 - 《소효》의 임풍동 (12세)
- 최고령 여우주연상 후보지명 - 《고독의 맛》의 진숙방 (81세)
- 최연소 여우주연상 후보지명 - 《가년화》의 문기 (14세)
- 기타
4. 주요 수상 목록
4.1. 경쟁
역대 대만 금마장 시상식 | ||||||||
회차 (연도) | 최우수장편영화상 | 감독상 | 남우주연상 | 여우주연상 | ||||
제1회 (1962년) | 별과 달과 해 | 도진 (천교백미) | 왕인 (수총) | 우민 (별과 달과 해) | ||||
제2회 (1963년) | 양산백과 축영대 | 이한상 (양산백과 축영태) | 당청 (밤에서 새벽까지) | 낙체 (양산백과 축영태) | ||||
제3회 (1965년) | 오리 키우는 가족 | 이행 (오리 키우는 가족) | 갈향정 (오리 키우는 가족) | 이려화 (고도춘몽) | ||||
제4회 (1966년) | 서시 | 이한상 (서시) | 조뢰 (서시) | 귀아뢰 (안개비연가) | ||||
제5회 (1967년) | 난초와 나의 사랑 | 이가 (난초와 나의 사랑) | 구위 (고향강도) | 장칭 (기도석양홍) | ||||
제18회 (1981년) | 가여아시진적(내가 만약 진짜라면) | 서극 (야래향) | 담영린(알란탐) (가여아시진적) | 실비아 창 (아적파파) | ||||
제23회 (1986년) | 공포분자 | 오우삼 (영웅본색) | 적룡 (영웅본색) | 장애가 (최애) | ||||
제24회 (1987년) | 허수아비 | 왕동 (허수아비) | 주윤발 (가을날의 동화) | 매염방 (연지구) | ||||
제25회 (1988년) | 칠소복 | 나계예 (칠소복) | 만재령 (대두자) | 정유령 (별과 달과 해) | ||||
제26회 (1989년) | 인재뉴약 | 허우샤오셴 (비정성시) | 진송용 (비정성시) | 장만옥 (인재뉴약) | ||||
제27회 (1990년) | 홍진 | 엄호 (홍진) | 양가휘 (애재별향적계절) | 임청하 (홍진) | ||||
제28회 (1991년) | 고령가 소년 살인사건 | 왕가위 (아비정전) | 랑슝 (쿵후 선생) | 장만옥 (완령옥) | ||||
제29회 (1992년) | 무언적산구 | 왕동 (무언적산구) | 성룡 (폴리스 스토리 3) | 진령지 (투 라이브) | ||||
제30회 (1993년) | 결혼 피로연 | 이안 (결혼 피로연) | 성룡 (중안조) | 오가려 (낭심여철) | ||||
제31회 (1994년) | 애정만세 | 차이밍량 (애정만세) | 양조위 (중경삼림) | 진충 (레드 로즈 화이트 로즈) | ||||
제32회 (1995년) | 여인사십 | 허우샤오셴 (호남호녀) | 임양 (초급대국민) | 샤오팡팡 (여인사십) | ||||
제33회 (1996년) | 햇빛 쏟아지던 날들 | 장원 (햇빛 쏟아지던 날들) | 샤위 (햇빛 쏟아지던 날들) | 샤오팡팡 (호도문) | ||||
제34회 (1997년) | 첨밀밀 | 진과 (메이드 인 홍콩) | 사군호 (남해십상랑) | 장만옥 (첨밀밀) | ||||
제35회 (1998년) | 천욕 | 진충 (천욕) | 뤄쌍춘페이 (천욕) | 이소로 (천욕) | ||||
제36회 (1999년) | 천언만어 | 허안화 (천언만어) | 커쥔슝 (일대효웅 조조) | 이려진 (천언만어) | ||||
제37회 (2000년) | 와호장룡 | 두기봉 (미션) | 우진위 미션 | 장만옥 (화양연화) | ||||
제38회 (2001년) | 두리안 두리안 | 관금붕 (란위) | 류예 란위 | 진해루 (두리안 두리안) | ||||
제39회 (2002년) | 아름다운 시절 | 진과 (홍콩 할리우드) | 여명 삼경 | 리신제 (디 아이) | ||||
제40회 (2003년) | 무간도 | 유위강, 맥조휘 (무간도) | 양조위 무간도 | 오군여 (금계) | ||||
제41회 (2004년) | 커커시리 | 두기봉 (대사건) | 유덕화 무간도 3 | 양구이메이 (달은 다시 떠오른다) | ||||
제42회 (2005년) | 쿵푸허슬 | 주성치 (쿵푸허슬) | 궈푸청 삼차구 | 서기 (쓰리 타임스) | ||||
제43회 (2006년) | 아버지와 아들 | 진가신 (퍼햅스 러브) | 궈푸청 아버지와 아들 | 저우쉰 (퍼햅스 러브) | ||||
제44회 (2007년) | 색, 계 | 이안 (색, 계) | 양조위 색, 계 | 진충 (홈 송 스토리) | ||||
제45회 (2008년) | 명장 | 진가신 (명장) | 장한위 집결호 | 류미군 (性 공작자 2) | ||||
제46회 (2009년) | 너 없이 살 수 없어 | 다이리런 (너 없이 살 수 없어) | 장가휘 (맹갑) 황보 (투우) | 리빙빙 (바람의 소리) | ||||
제47회 (2010년) | 사랑이 찾아올 때 | 청몽홍 (네번째 그림) | 원경천 (맹갑) | 여려평 (완혹청춘) | ||||
제48회 (2011년) | 사이더커 바라이 | 허안화 (심플 라이프) | 유덕화 (심플라이프) | 엽덕한 (심플라이프) | ||||
제49회 (2012년) | 베이징 블루스 | 두기봉 (탈명금: 사라진 천만 달러의 행방) | 유청운 (탈명금: 사라진 천만 달러의 행방) | 계륜미 (여친남친) | ||||
제50회 (2013년) | 일로 일로 | 차이밍량 (떠돌이 개) | 이강생 (떠돌이 개) | 장쯔이 (일대종사) | ||||
제51회 (2014년) | 추나 | 허안화 (황금시대) | 진건빈 (일개작자) | 진상기 (회광주명곡) | ||||
제52회 (2015년) | 자객 섭은낭 | 허우샤오셴 (자객 섭은낭) | 펑 샤오강 (불귀지객) | 임가흔 (백일고별) | ||||
제53회 (2016년) | 8월 | 펑 샤오강 (나는 반금련이 아니다) | 판 웨이 (미스터 노 프라블럼) | 주동우 마사순 (안녕, 나의 소울메이트) | ||||
제54회 (2017년) | 대담하거나, 타락하거나, 아름다운 | 문안 (가년화) | 도문 (노수) | 혜영홍 (대담하거나, 타락하거나, 아름다운) | ||||
제55회 (2018년) | 코끼리는 그곳에 있어 | 장예모 (삼국: 무영자) | 서쟁 (나는 약신이 아니다) | 사영훤 (나의 Ex) | ||||
제56회 (2019년) | 아호, 나의 아들 | 청몽홍 (아호, 나의 아들) | 이웬첸 (아호, 나의 아들) | 여얀얀 (열대우) | ||||
제57회 (2020년) | 마이 미씽 발렌타인 | 천위쉰 (마이 미씽 발렌타인) | 모쯔이 (친애하는 세입자) | 천슈팡 (고독의 맛) | ||||
제58회 (2021년) | 폭포 | 클라라 로 (표류하는 꽃잎) | 장첸 (영혼 사냥) | 가정문 (폭포) | ||||
제59회 (2022년) | Coo-Coo 043 | 라하 메보우 (하용가) | 황추생 (백일청춘) | 장애가 (등화란산) | ||||
제60회 (2023년) | 돌로 막힌 벽 | 노호리 (소아전) | 오강인 (부도청년) | 임풍동 (소효) |
4.2. 비경쟁
[1] 金門縣, 金門島[2] 連江縣, 馬祖島[3] 당시 중화인민공화국과 영토 분쟁 중이던 두 섬의 정당한 주인이 중화민국임을 주장하기 위해서 첫 이름을 따왔다는 설도 있다.[4] 제27회 금마장 시상식[5] 원래 이 당시 영화 감독 이안과 같이 시상할 예정이었으나 결국 이안 혼자 무대 위로 올라가 시상하는 해프닝이 벌어지기도 했는데, 무대 위로 오른 이안은 굉장히 뻘쭘해하면서 공리에게 “저랑 같이 시상 안하실건가요?”라고 반응했을 정도였다.[6] 최우수장편영화상, 감독상, 남우주연상, 여우주연상, 여우조연상, 신인상, 각본상, 촬영상, 미술상, 의상상, 편집상, 음향효과상, 음악상, 주제가상. 이 중 3개 부문 수상.[7] 최우수장편영화상, 감독상, 남우조연상, 여우조연상, 신인상, 각본상, 촬영상, 미술상, 의상상, 편집상, 음향효과상, 음악상, 주제가상, 올해의 걸출한 대만 영화. 이 중 4개 부문 수상.[8] 여우주연상 4회, 여우조연상 1회[9] 장국영이 받은 금마장은 주제가상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