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08 12:11:41

에바항공


[[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 대만의 항공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일반 항공사
Full Service Carrier (FSC)
파일:중화항공 로고.svg파일:중화항공 로고 화이트.svg 파일:EVA_Air_logo(2013).svg 파일:스타럭스항공 로고.svg파일:스타럭스 항공 로고 화이트.svg
중화항공 에바항공 스타럭스 항공
저비용 항공사
Low-cost Carrier (LCC)
파일:타이거에어 타이완 로고.svg파일:타이거에어 타이완 로고 화이트.svg
타이거에어 타이완
지역 항공사
Regional Carrier
파일:dailyair.png
파일:만다린항공 로고.svg파일:만다린항공 로고 화이트.svg
파일:유니항공 로고.svg
덕안항공 만다린항공 유니항공
||<-4><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bgcolor=#f5f5f5,#2e2f34>
없어진 항공사
Defunct Airline
||
파일:external/www.55555.tw/logo.png
파일:mandarin air.pn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민항공운공사 로고.png
V 에어 국화항공 다화항공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33.33%><height=50px><bgcolor=#ffffff>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width=33.33%><bgcolor=#fff>
파일:復興航空LOGO修改正確檔.png
||<width=33.33%><bgcolor=#ffffff>
파일:FE.png
||
타이완항공 원동항공
}}}}}}}}} ||

파일:스타 얼라이언스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루프트한자 로고.svg파일:루프트한자 로고 화이트.svg
파일:에어캐나다 로고.svg파일:에어캐나다 로고 화이트.svg
파일:유나이티드 항공 로고.svg파일:유나이티드 항공 로고 화이트.svg
파일:에어 인디아 로고.svg
파일:타이항공 로고.svg파일:타이항공 로고 다크.svg
파일:에어 뉴질랜드 로고.svg파일:에어 뉴질랜드 로고 화이트.svg
파일:전일본공수 로고.svg
파일:오스트리아 항공 로고.svg
파일:싱가포르항공 로고.svg파일:싱가포르항공 로고 다크.svg
파일:아시아나항공 워드마크.svg파일:아시아나항공 워드마크 화이트.svg
파일:LOT 폴란드 항공 로고.svg파일:LOT 폴란드 항공 로고 화이트.svg
파일:크로아티아 항공 로고(2024-현재).svg파일:크로아티아 항공 로고(2024-현재) 화이트.svg
파일:TAP 포르투갈 항공 로고.svg파일:TAP 포르투갈 항공 로고 화이트.svg
파일:스위스 국제항공 로고.svg
파일:남아프리카 항공 로고.svg파일:남아프리카 항공 로고 화이트.svg
파일:중국국제항공 로고.svg파일:중국국제항공 로고 화이트.svg
파일:터키항공 로고.svg파일:터키항공 로고 화이트.svg
파일:이집트 항공 로고.svg파일:이집트 항공 로고 화이트.svg
파일:브뤼셀 항공 로고.svg파일:브뤼셀 항공 로고 화이트.svg
파일:에게안 항공 로고.svg파일:에게안 항공 로고 화이트.svg
파일:에티오피아 항공 로고.svg
파일:코파항공 로고.svg
파일:아비앙카 로고.svg
파일:선전항공 로고.svg파일:선전항공 로고 화이트.svg
파일:EVA_Air_logo(2013).svg
}}}}}}}}} ||
에바항공
長榮航空
EVA Air
파일:EVA_Air_logo(2013).svg
<colbgcolor=#009744,#009744><colcolor=#fff>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만|{{{#!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만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만}}}{{{#!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설립일 1989년 3월 8일
허브 공항 타오위안 국제공항 (TPE)
포커스 시티 타오위안 국제공항 (TPE)
타이베이 쑹산 국제공항 (TSA)
수완나품 공항 (BKK)
보유 항공기 수
89
취항지 수 62
항공 동맹 스타얼라이언스
부호 콜사인 EVA[1]
IATA BR
ICAO EVA
BCC 5E
항공권 식별 번호
695
슬로건 分享世界,比翼雙飛
Sharing the World, Flying Together
모회사 에버그린 그룹
자회사 유니항공
상장 여부 상장 기업
상장 시장 타이베이거래소 2618
링크 파일:EVA_Air_logo(2013).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 | 파일:LinkedIn 아이콘.svg
본사 위치
한국지사 위치
파일:B-17811.jpg
보잉 787-10 드림라이너

1. 개요2. 역대 로고3. 서비스4. 노선망
4.1. 대한민국 노선
5. 보유 기종6. 이전 보유 기종7. 안전 비디오8. 사건사고9. 기타10. 둘러보기

1. 개요

<nopad>파일:evaair_office.jpg
대만 타오위안시 루주구(蘆竹區) 난칸리(南崁里)에 있는 에바항공 본사[2]

대만에서 중화항공 다음으로 큰 제 2국적사이다. 중화항공대한항공처럼 스카이팀 회원사이자 1국적사인 것처럼 에바항공은 아시아나항공처럼 스타 얼라이언스 회원사이다. 여러모로 비슷한 점이 많다.[3] 슬로건은 'Sharing the World, Flying Together.'

모기업은 에버그린 그룹[4]이다. 그룹 명칭에 따르면 '에버그린 항공'이라 해야겠지만, 이미 미국에버그린 국제항공이 명칭을 선점한 관계로[5] 발음이 비슷한 '에바항공'에바다 정말이란 명칭을 사용하는 듯하다. 영어 안내방송에서는 'E-V-A(이브이에이)' 의 문자 단위로 읽지만, 대한민국에서는 홈페이지를 비롯해 통상 '에바항공'이라고 표기한다.[6] 관제 시에는 '이바'로 부른다.

산리오와 제휴해 헬로키티 캐릭터를 곳곳에 활용하고 있다. 헬로 키티 도장 항공기는 물론 타오위안 국제공항의 홍보관 겸 셀프 체크인 카운터에 헬로키티로 도배를 해 놨을 정도. 헬로키티가 그려진 보딩패스를 사용하고 AVOD에는 에바항공 유니폼을 입은 키티가 나오며 기내식 서비스 시 승무원들이 입는 앞치마도 키티 버전이다. 2016년 11월부터는 구데타마 도장 비행기를 타이베이 - 나리타, 세부 등에 투입하고 있다.

여객 노선으로 약 60개 도시에 취항하고 있는데 약 100개 도시에 취항하고 있는 중화항공에 비해 노선망이 취약하다. 홍콩 노선에서 중화항공이 타이베이와 가오슝, 타이난에 취항하지만 에바항공은 타이베이에서만 홍콩행 항공기를 띄우고 있다. 하지만 북미노선은 에바항공이 8개 도시에 취항중이라 6개 도시에 취항중인 중화항공보다 많다.

유럽 4개 도시에 취항하고 있는데 논스톱 전환이 많이 늦은 편. 2016년 10월에서야 처음으로 유럽 논스톱 취항을 시작했고 2018년에는 비엔나 노선을 일부를 논스톱으로 운항하고 있다. 암스테르담의 경우 양 국적 3개사 중 홀로 방콕 경유 중. 중화항공이 2009년부터 직항 전환을 시작, 2016년 12월 부로 경유 노선을 없앤 것[7]과는 비교된다.[8] 대신 미 대륙은 에바항공이 취항지 수가 더 많다. 2013년 스타얼라이언스에 가입했으며 FFP로는 인피니티 마일리지랜드를 운용하고 있다. 다만 대한민국에서 사용하기 쉽지 않으니 얌전히 아시아나클럽에 적립하자.

현재 유럽 전노선(런던, 파리, 암스테르담, 뮌헨, 빈, 밀라노)들은 인도에서 미얀마 상공과 중국 윈난 성 상공으로 바로 진입해 홍콩으로 가는 식으로 중국 영공을 통과해 대만으로 향하고 있다.

계열사로 유니항공이 있다. 유니항공은 대만 국내선과 중국행 항공편[9]을 담당하는 항공사로 에바항공과 마일리지 서비스를 공유한다. 다만 유니항공은 스타얼라이언스 회원사가 아니므로 다른 항공사 회원은 마일리지 적립이 되지 않는다. 에바항공 노선을 예약할 때 편명에 숫자가 4자리고, 실 운항사 편명이 B7로 시작하면 유니항공 운항편이라 스타얼라이언스 마일리지 적립이 되지 않으니 주의할 것.
애플 iPad를 에바항공 업무에 사용하는 동영상

2016년 스카이트랙스 선정 5스타를 받았다. 서비스가 뛰어나다는 것을 인정받은 것. 5스타 항공사가 죄다 아시아권이고 대부분이 스타얼라이언스인지라[10] 경쟁이 심해질듯.[11][12][13]

하지만 5스타를 받은이후 일부 보잉 777의 좌석 배치를 3-3-3 에서 3-4-3으로 바꿨다.

2018년 10월에는 대만 항공사 최초로 보잉 787 드림라이너를 도입했다. 787-9 2대를 인도받았다.

2. 역대 로고

파일:에바항공 로고.svg 파일:EVA_Air_logo(2013).svg
1989~2013 2013~현재
과거와 현재 로고의 사명 폰트는 동일하며, 리뉴얼 과정에서 색이 조금 밝아지고 꼬리날개 뒤쪽 주황색 선이 없어졌다. 비행기에 적용된 도장도 마찬가지로 과거 도장에서 현재 도장으로 넘어오면서 수직꼬리날개의 로고 뒤 주황색 포인트 선이 없어졌다.[14]

3. 서비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에바항공/서비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에바항공/서비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에바항공/서비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노선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에바항공/노선망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에바항공/노선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에바항공/노선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1. 대한민국 노선

1991년 7월 1일 김포국제공항에 취항했다. 당시 사용하던 기종은 보잉 767-300ER. 그러나 이듬해인 1992년에 한, 중 수교에 따라 대만과 단교하게 되면서 대만정부의 보복 조치로 인해 1992년 9월 15일자로 단항. 이후 12년이 지난 2004년이 되어서야 한국 노선에 복항했다.

인천국제공항에서 타오위안 국제공항가오슝 국제공항 노선을, 김포국제공항에서 타이베이 쑹산 국제공항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아시아나항공과 유니항공 인천국제공항 - 타오위안 국제공항 노선에 에바항공의 코드셰어가 걸려있다. BR160편과 BR159편에 헬로키티 젯이 투입되는데, 2017년 3월 4일부터는 헬로 키티 대신 산리오의 다른 캐릭터 배드바츠마루가 그려진 '트래블 펀' 비행기가 다니고 있다.

한국 복항 후 한동안 홈페이지에서 한국어를 지원하지 않아 영어로 예매를 해야 했으나, 한참 뒤인 2017년부터 홈페이지에서 한국어 서비스도 지원한다. 한국 홈페이지 다만 한국 - 대만 노선을 제외한 다른 항공편은 글로벌 사이트를 통해 예약해야 한다.

2025년 10월 21일 김해국제공항A321 기종으로 신규 취항 예정이다.[15]
자사 기재 직항
타이베이(TSA)/T1~서울(GMP) 타이베이(TSA)/T1서울(GMP)(BR156) 서울(GMP)타이베이(TSA)/T1(BR155) 기종
14:30(CST) 출발/18:00(KST) 도착 (화요일) 19:00(KST) 출발/20:45(CST) 도착 (화요일) A321
15:45(CST) 출발/19:15(KST) 도착 (수요일) 20:15(KST) 출발/22:00(CST) 도착 (수요일) A321
09:20(CST) 출발/12:50(KST) 도착 (금,토요일) 13:50(KST) 출발/15:25(CST) 도착 (금,토요일) A321
타이베이(TPE)/T2~서울(ICN)/T1 타이베이(TPE)/T2서울(ICN)/T1(BR160 [실제운항편명]/OZ6872) 서울(ICN)/T1타이베이(TPE)/T2(BR159[실제운항편명]/OZ6871) 기종
15:15(CST) 출발/18:35(KST) 도착 19:45(KST) 출발/21:25(CST) 도착 B787
타이베이(TPE)/T2서울(ICN)/T1(BR154[실제운항편명]) 서울(ICN)/T1타이베이(TPE)/T2(BR153[실제운항편명]) 기종
09:30(CST) 출발/13:00(KST) 도착 14:15(KST) 출발/16:10(CST) 도착 B787-9 / A330-300
타이베이(TPE)/T2서울(ICN)/T1(BR170[실제운항편명]/OZ6874) 서울(ICN)/T1타이베이(TPE)/T2(BR169[실제운항편명]/OZ6873) 기종
06:55(CST) 출발/10:00(KST) 도착 11:40(KST) 출발/13:30(CST) 도착 A321 / A330-300
가오슝(KHH)~서울(ICN)/T1 가오슝(KHH)서울(ICN)/T1(BR172[실제운항편명]/OZ6876) 서울(ICN)/T1가오슝(KHH)(BR171[실제운항편명]/OZ6875) 기종
15:55(CST) 출발/19:40(KST) 도착 20:40(KST) 출발/22:55(CST) 도착 A321
타이베이(TPE)~부산(PUS) 타이베이(TPE)부산(PUS)(BR164) 부산(PUS)타이베이(TPE)(BR163) 기종
14:25(CST) 출발/17:40(KST) 도착 18:55(KST) 출발/20:25(CST) 도착 A321
타이베이(TPE)부산(PUS)(BR1194) 부산(PUS)타이베이(TPE)(BR1193) 기종
11:20(CST) 출발/14:35(KST) 도착 15:45(KST) 출발/17:15(CST) 도착 A321

5. 보유 기종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에바항공/보유 기종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에바항공/보유 기종#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에바항공/보유 기종#|]]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보잉 777의 이코노미 좌석 배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전 기종 3-3-3 일부 기종 3-4-3 전 기종 3-4-3 미운항
스타얼라이언스
아시아나항공
싱가포르항공
에티오피아 항공
이집트 항공
터키항공
타이항공
중국국제항공
에바항공
에어 인디아
유나이티드 항공
스위스 국제항공
에어 뉴질랜드
에어 캐나다
오스트리아 항공
전일본공수
루프트한자
브뤼셀 항공
아비앙카
코파 항공
LOT 폴란드 항공
TAP 포르투갈 항공
심천항공
에게 항공
로아티아 항공
남아프리카 항공
스카이팀
가루다 인도네시아 대한항공[레트로핏]
사우디아 항공
아에로플로트
에어 프랑
중국동방항공
중화항공
KLM 네덜란드 항공
샤먼항공
트남항공[R]
아르헨티나 항공
아에로멕시코[R]
에어 에우로파
중동항공
케냐항공[R]
델타항공[R]
버진 애틀랜틱 항공
스칸디나비아 항공
원월드
일본항공
카타르항공
영국항공
아메리칸 항공
캐세이퍼시픽항공
로얄 요르단 항공
말레이시아 항공[A]
이베리아 항공
콴타스
핀에어
랑카항공
S7 항공
로얄 에어 모로코
알래스카 항공
피지 항공
미가입 및 무소속
엘알
쿠웨이트 항공
파키스탄 국제항공
비만 방글라데시 항공
중국남방항공
TAAG 앙골라 항공
에미레이트 항공
에티하드 항공

티웨항공
필리핀항공
LATAM 브라질 항공
로시야 항공
인디고 항공
이 틀에 없는 모든 항공사들
[A] 기존에 보잉 777을 보유하고 있었으나, 불의의 사고로 인해 전량 매각함.
[R] 기존에 보잉 777을 보유하고 있었으나, 현재는 전량 퇴역시킨 항공사.
[레트로핏] 초기 도입분의 레트로핏이 진행되며 2025년 9월 중순부터 일부 항공기의 좌석 배치가 3-4-3 배열로 변경될 예정이다.
}}}}}}}}} ||
  • 2024년 8월 기준 87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47대를 추가적으로 도입할 예정이다.
  • 에바항공은 현재 여객기 79대, 화물기 8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에어버스 기종은 30대, 보잉 기종은 57대를 운영하고 있다.
  • 평균 기령은 8.6년으로 상대적으로 신식에 속한다.
보유 기종
<rowcolor=#fff> 제조사 기종 보유 대수 주문 대수 좌석 수
<rowcolor=#fff> 비즈니스 프리미엄 이코노미 이코노미
에어버스 A321-200[24] 18대 - 8석 - 176석
A321neo[25] - 15대
A330-300[26] 9대 - 30석 - 279석
A350-1000[27] - 18대
보잉 B777-300ER 34대 - 39석 56석 258석
39석 56석 238석
38석 64석 221석
B787-9 5대 8대 26석 - 278석
B787-10 11대 1대 34석 - 308석
B777F 8대 1대 화물기
B777-300ER/SF[28] - 3대 화물기
<rowcolor=#fff> 합계 85대 46대
파일:B-16226.jpg 파일:B-16337.jpg
<rowcolor=#fff> A321-211 A330-302
파일:B-16717.jpg 파일:B-16790.jpg
<rowcolor=#fff> 보잉 777-35E(ER) 보잉 777-F
파일:B-17887.jpg 파일:EVA AIR B-17813.jpg
<rowcolor=#fff> 보잉 787-9 드림라이너 보잉 787-10 드림라이너

6. 이전 보유 기종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에바항공/이전 보유 기종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에바항공/이전 보유 기종#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에바항공/이전 보유 기종#|]]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안전 비디오

세이프티 비디오
2020년부터 사용 중인 안내 영상. 첩보 영화와 비슷한 테마로 진행했다.
직전에는 다수의 무용가를 고용해 '춤추는' 영상을 만들었다.

8. 사건사고

  • 에바항공 56편 기체 요동 사고
  • 도쿄 국제공항 접촉 사고
  • 2019년 1월 21일 로스엔젤레스발 타이베이행에 탑승한 한 남성이 여성 승무원에서 성희롱을 하고 용변 뒤처리를 요구한 사건이 있었다. 해당 남성은 화장실을 이용해야 하는데 장애 때문에 혼자 하의를 벗고 입을 수 없다며 도움을 요청했는데 승무원들은 권한 밖에 일이라며 거절하였으나 해당 남성이 무리하게 요구하면서 결국 승무원들은 해당 요구사항을 들어줄 수 밖에 없었다. 결국 3명의 승무원이 탈의를 도왔으나 해당 남성은 이에 그치지 않고 용변 후 뒤처리까지 요구하였으며, 승무원들에게 행패를 부렸다. 당시 사건에 연루된 승무원은 SNS에 수치심에 눈물을 흘렸다며 언급했으며, 기자회견을 열어 해당 남성이 벌인 사실을 폭로하였다.
항공노조 측에서는 해당 남성이 과거에도 논란을 일으켰으며, 항공사가 그를 블랙리스트에 올리지 않아 이번 사건이 발생하였다며 관련 대책을 촉구하였다. 논란이 커지자 항공사 측에서는 자체 조사를 벌여 해당 남성이 과거에도 20여 차례 동일한 사고를 일으킨 사실을 밝혀냈다. 항공사 측에서는 다시는 유사한 사건이 벌어지지 않겠다며 조치를 취하겠다며 입장을 밝혔다. 해당 사건 조사 중 해당 승객이 5월에 방콕발 타이베이행 항공권을 예매한 사실이 알려지자 항공사 측에서는 해당 남성의 항공권을 취소하였다. 이후 해당 남성은 3월에 태국에서 지병으로 사망하였다고 한다.
  • 2025년 9월 25일 밀라노발 타이베이행 BR95편에 탑승하였던 30대 승무원 쑨모씨가 사망하였다. 당시 쑨모씨는 밀라노행 근무 후 건강에 이상을 느꼈으며 점차 상태가 악화되어 타이베이행 근무편에서 제외해줄것을 사무장에게 요청하였으나 사무장은 거절하였다. 결국 쑨모씨는 강제로 근무할 수밖에 없었으며, 타이베이에 도착 후 병원에 갔으나 귀국한 지 2주 만에 증세가 악화되면서 숨을 거두었다.
또한, 사무장은 비행 중 지상의 의료 전문가에게 조언을 구할 수 있는 '메드링크' 연결 요청도 거부했으며, 해당 승무원은 구급차나 휠체어 지원도 받지 못하고 스스로 비행기에서 내렸다고 전해졌다. 이 사건이 기사화되고 논란이 커졌으며, 해당 사무장의 신상이 양모씨임이 공개되었다. 거기에 양씨는 유족들한테 고소를 당하였다. 양씨는 쑨씨 사망에 대한 책임까지는 무겁다며, 기사와는 달리 쑨씨를 챙겨줬다며 해명하였으나, 유족들은 고인의 장례식에 양씨는 참석하지도 않았으며, 고인은 사망 전까지 아무런 도움도 받지 못하였다며 반박하면서 논란은 더 커졌다. 이에 네티즌들은 직장 내 괴롭힘이라며 양씨에 대해 비난하였으며, 객실승무원조합은 건강 관리를 위한 휴가 제도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며 회사 측과 대립하였다.

9. 기타

  • 추락이나 사망사고가 한 건도 없는 세계적으로 몇 없는 항공사이다. 자국 라이벌 회사인 중화항공이 한때 3-4년 꼴수백명의 승객들이 전원 사망하는 대형사고를 내던 것과 매우 대조적.
  • 스카이트랙스 5성급 항공사중 유이하게 퍼스트 클래스가 없는 항공사이다. 다른 한 곳은 아시아나항공.
  • 아시아나항공과 유사점이 상당히 많다. 두 항공사 모두 각 나라에서 제2의 민항사 포지션이라는 점[29], 거기다 공교롭게도 둘 다 스타얼라이언스 소속이다. 다만 경영난으로 결국 대한항공에 먹혀 이러한 공통점도 2026년 10월 25일 이후로 옛 말이 될 예정이다.
  • 엔진으로는 GE를 많이 선호하는 듯 하다. 다만 A350 도입과 동시에 롤스로이스 엔진을 첫 도입하게 되었다.
  • 한 때 같은 스타얼라이언스 소속인 에어 뉴질랜드의 787들이 엔진 결함을 겪자 자사의 777-300ER을 3분요리(...)[30]해서 임차를 보냈었다. 지금은 다시 돌아와서 운항중이다.
  • 대한항공의 KAL리무진처럼[31] 에바항공도 계열사에서 굴리는 에버그린 공항리무진이 있다. 타이베이역에서 끊어지는 국광버스 1819번이나 공항철도와 달리 난징푸싱역, 중샤오푸싱역, 송장난징역 등 시내 한복판까지 운행한다. 하지만 운행 댓수는 1819번이 압도적으로 많다.
  • 타이완 철로관리국과도 콜라보로 타이베이에서 타이둥가는 헬로키티 특별편성 열차를 운용한 바 있다.
  • 2015 WBSC 프리미어 12 대회 동안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이 이 항공사의 여객기로 일본대만을 오갔다.(BR115, BR192)[32]
  • 2020년에 대만에서 스프링 캠프를 진행중이던 두산 베어스 2군 선수들과 키움 히어로즈 선수들이, 코로나19 사태 때문에 대만발 한국행 비행기가 중단이 되어서 한국을 못가는 상황이었었는데 이 항공사의 전세기를 빌려서 무사히 귀국 했다.
  • 프리미어리그 축구팀 웨스트햄의 스폰서이다. 이 때문인지 경기가 있는 날에 웨스트햄 인스타에서 세계 시각으로 경기 시간을 올리는데, 한국 시간도 있을 때가 많다.
  • 창업자인 장롱파 회장은 본디 민주진보당범록연맹 지지자였으나, 천수이볜 총통 집권 이후 범람연맹으로 돌아서서 국민당 지지자가 되었다. 그 아들들의 정치성향은 알려지지는 않았으나, 2024년 기준 민주진보당 내에서도 강경파인 라이칭더가 총통이 되었기 때문에 아버지와 성향이 비슷할 가능성이 높다. 일단 대만 항공사 특성상 중국 본토와 대만을 오가는 수요도 상당하며, 국지전이 아닌 전면전이 날 시 민항사는 보통 영업이 중지되기 때문에 전쟁을 각오하면서까지 독립을 유지할 생각은 전혀 안 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
  • 대만의 여가수 Jocelyn 9.4.0과 콜라보를 맺고 콜라보 음악이 발매되었다.#
  • 서비스가 상당히 좋으며, 1등석이 없다 보니 비즈니스석에서 턴다운 서비스를 해 주는 등 사실상의 1.5등석 수준의 서비스를 선보인다. 실제로 1등석 중에서 서비스가 떨어진다는 에어 차이나의 1등석과 서비스가 별 차이가 없다. 다만 여기도 중화권이라 그런지 한국을 오가는 비행기를 타거나[33], 한국 여권을 들고 타는 게 아니면 처음에 중국어로 응대한다. 물론 외국인 티가 팍팍 나고 외국 여권을 들고 있어도 일단 중국어를 하는 본토 항공사들보단 낫다. 외국인 같다 싶으면 영어를 먼저 사용해주기 때문. 그리고 동양인을 보면 일단 중국어부터 쓰는 것은 본토와 대만뿐만 아니라 캐세이퍼시픽도 동일하다. 동북아에서 단 한 음절이라도 중국어로 말 거는 것 자체가 싫으면 한국 국적기나 일본 항공사를 타야 한다.[34]
  • 코로나 팬데믹 기간 때, 아버지의 날을 기념하여, 해외를 나가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해서 항공기를 띄워서, 대만영공을 선회하는 코스로 가짜 해외여행 체험 상품을 내놔 화제가 됐다. #

10.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정치 · 군사 ]
{{{#!wiki style="margin: -5px -1px"
<colbgcolor=#fe0000><colcolor=#fff> 상징 국기 · 국장 · 국가 · 국기가
정치·행정 정치 전반 · 삼민주의 · 오권분립 · 당국 체제 · 행정원(조직) · 입법원 · 사법원 · 고시원 · 감찰원 · 헌법(중화민국 임시약법 · 동원감란시기임시조관) · 정당(범람연맹 · 범록연맹) · 총통(총통부 · 대총통선거법 · 수정대총통선거법 · 총통 전용기) · 행정구역( · 미수복지구) · 행정조직 · 정부총통선거 · 총선 · 지방선거 · 국민대회
국가원수 장제스 · 린썬 · 옌자간 · 장징궈 · 리덩후이 · 천수이볜 · 마잉주 · 차이잉원 · 라이칭더
총통(명단)
기타 정치인 황싱 · 왕징웨이 · 후한민 · 한궈위 · 장치천 · 주리룬 · 허우유이 · 쑹추위 · 커원저 · 쑤전창 · 셰창팅 · 천젠런 · 샤오메이친
부총통 · 행정원장 · 입법원장 · 감찰원장 · 대성지성선사봉사관
외교 외교 전반 · 여권 · 양안관계(하나의 중국 · 대만 해협 위기 · 92공식 · 양안통일 · 화독 · 대독) · 중화권 · 한국-대만 관계 · 대만-일본 관계 · 대만-홍콩 관계 · 미국-대만 관계(미국-중화민국 상호방위조약 · 타이완 관계법 · 타이완 동맹 보호법 · 대만 보증법 · 2022년 낸시 펠로시 대만 방문 및 중국 군사훈련 사태) · 한국-대만-일본 관계(자코타 삼각지대) · 재외공관
감정 친화 · 친대 · 반대 · 중화민국빠 · 대만빠
사법 · 치안 사법제도 · 경찰 · 국가안전국 · 소방 · 사형제도
군사 전반 국방부(역정서) · 대만군(육군 · 해군 · 공군 · 국민혁명군) · 계급 · 군복 · 보병장비 · 기갑차량 · 군함 · 항공병기 · 병역법 · 체위구분표준 · 체대역 · 성공령 · 핵개발 · 군벌
}}}
}}}
}}}
[ 역사 ]
[ 사회 · 경제 ]
||<table bgcolor=transparent><colbgcolor=#fe0000><width=9999><colcolor=#fff> 경제 ||<width=85%>경제 전반 · 재정부 · 경제부 · 중화민국중앙은행 · 신대만 달러 · 대만증권거래소 · 타이베이거래소 · 기업(메인보드 제조사) · 이동통신사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ECFA ||
교육 교육부 · 대학 목록 · 재대복교
교통 교통 전반 · 대만의 철도 환경 · 교통부 · 중화민국국도(중산고속공로 · 포모사고속공로) · 타이완 성도 · 공항 목록 · 항공사(중화항공 · 에바항공 · 스타럭스항공) · 타이완철로유한회사(THSR · 쯔창하오 · 구간차) · 대만의 시외버스 · 첩운(타이베이 첩운 · 타오위안 첩운 · 신베이 첩운 · 타이중 첩운 · 가오슝 첩운) · 이지카드 · 아이패스 · 아이캐시
민족 한족 · 본성인(객가) · 외성인 · 대만 원주민(아미족 · 아타얄족 · 따오족) · 인도네시아계 대만인 · 일본계 대만인 · 한국계 대만인
화교 화교(쿨리) · 차이나타운(인천 차이나타운) · 중국계 한국인(재한 화교 · 화교협회) · 중국계 미국인 · 중국계 러시아인(둥간족) · 중국계 브라질인 · 중국계 필리핀인(상글레이) ·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 중국계 베트남인 · 중국계 싱가포르인 · 중국계 태국인 · 중국계 호주인 · 중국계 일본인 · 중국계 캐나다인 · 대만계 한국인 · 대만계 미국인 · 대만계 일본인 · 대만계 캐나다인
[ 문화 ]
||<table bgcolor=transparent><colbgcolor=#fe0000><width=9999><colcolor=#fff> 문화 전반 ||<width=85%>문화 전반 · 영화(금마장, 타이베이 영화제) · 드라마(금종장) · 음악(금곡장) · TV방송(CTV · CTS · TTV) · 라디오 방송 · 스포츠 · 중국시보 · 빈과일보 · 미술 · 파룬궁 · 거류증 · 중화 타이베이 ||
요리 대만 요리 · 대만 술(백주 · 황주 · 맥주 · 금문고량주) · · 팔진 · 만한전석
전통문화 포대희 · 모란정환혼기 · 바둑 · 대만마작 · 만만디 · 한시 · 무협물
현대문화 만화(팬시 프론티어) · 민국기년 · 정가(傷感情歌)
언어 중국티베트어족 · 중국어(중화민국 국어) · 민어(대만어) · 객가어 · 한문 · 대만 제어 · 백화문 · 한자(정체자 · 방언자 · 중문대사전) · 주음부호 · 병음(대라병음 · 객가어병음방안) · 화어문능력시험
관광 관광 전반 · 국립고궁박물원 · 국부기념관 · 대만의 성 · 중정기념당 · 충렬사 · 원산대반점 · 예류 · 진과스 · 핑시선 · 우라이 · 타이베이 101 · 가오슝 85 타워 · 지우펀 · 샹산 · 펑후 · 진먼
전시장 타이베이 세계무역센터 · 난강전람관 · 가오슝전람관
}}} ||
[1] '에바'가 아닌 '이바'로 발음한다.[2] 공항에서 차량이나 버스로 출발할 경우 공항 고속도로에서 나와서 중산 고속도로 타이베이 방면 바로 다음 IC에 본사 건물이 보인다.[3] 에버그린 회사의 전신으로 금호그룹을 모 기업으로 삼았던 아시아나랑 유사하다. 다만 설립 시기는 아시아나항공이 1년 빠르다. 또한 공교롭게도 아시아나의 옛 모회사 금호그룹과 에바의 모회사 에버그린 그룹 둘 다 운송업을 주력으로 하는 기업이었다. 물론 전자는 육운업, 후자는 해운업이라는 차이는 있지만.[4] 중국어로는 '長榮集團(장영집단)'이라 한다. 그래서 에바항공의 한자표기도 '長榮航空(장영항공)'이다. 대만 내에서 기업 순위로만 보면 대기업 집단이라고 보기 어렵지만 해운 및 물류쪽에서는 손에 꼽을만큼 기업의 규모가 상당히 크다. 참고로 타이난에 있는 '長榮大學(장영대학교)'은 우연하게 이름만 같은 대학이다.[5] 그러나 2013년 부로 파산했다.[6] 일본에서도 'エバー航空(에바항공)'으로 표기한다.[7] 경유지도 델리, 아부다비로 다양하게 운영하여 어떻게든 시간을 절약하고 비록 단항은 했지만 2010년 런던 히스로행을 직항 개설하였다. 프랑크푸르트행은 아주 오래 전부터 직항으로 운행.[8] 방콕 경유로 가는 유럽 노선은 이 때문에 1개의 노선임에도 불구하고 기내식을 3번 준다. 타이베이에서 방콕 간에 1번, 방콕에서 유럽 간에 2번 주기 때문. 그리고 비엔나의 경우 날마다 직항과 방콕 경유가 엇갈리기 때문에 한국에서 에바항공을 타고 비엔나로 가는 노선을 발권했을 시, 한국에서 타이베이로 가는 일정이 꼬이면 비엔나까지 가는 직행을 끊었음에도 불구하고 다음날에 출발하는 방콕 경유 노선을 타야 할 수도 있다. 유튜버 또떠남이 실제로 겪은 일이다.[9] 에바항공도 중국행 항공편도 꽤 많다.[10] 싱가포르항공, 아시아나항공, 전일본공수[11] 그러나 같은 스타얼라이언스 항공사인 루프트한자가 2018년에 5성급 항공사가 되면서 아시아에만 5성급 항공사가 있는 것은 옛말이 되었으나,루프트한자가 2020년에 코로나19로 인한 경영난으로 다시 4성급 항공사로 격하되면서 다시 5성급 항공사는 아시아권에만 있게 되었다.[12] 대만발 유럽행 노선은 양안관계로 인해 중국 본토를 가로질러 가지 못하고 동남아시아, 인도, 중동 방향으로 우회한다.[13] 타이베이발 동남아, 오세아니아 등의 노선망은 꽤나 잘 갖춰져있는 편이라 미주발 타이베이 경유 환승수요는 많은 편이다.[14] 단 퇴역 예정인 항공기들엔 과거 도장을 유지한 채로 운항 중이다.[15] 부산-타이베이 항공노선은 한국에서 대만으로의 관광 수요, 중화항공을 통한 동남아시아 및 유럽 환승 수요에 더해 대만인들의 부산 관광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코로나19 이후 2024년 김해공항 국제선 수요 3위(한일노선 이외 1위)일 정도로 이용객이 증가 추세다. 이에 에바항공 측에서 대만인들의 부산 관광에 맞춰서 노선을 개설하게 된 것이다.[실제운항편명] [실제운항편명] [실제운항편명] [실제운항편명] [실제운항편명] [실제운항편명] [실제운항편명] [실제운항편명] [24] 2032년까지 A321neo에 의해 전량 교체예정[25] 2029년 도입 예정[26] 2029년까지 B787-9로 교체예정[27] 구형 B777-300ER 교체용. 2026년부터 도입 예정[28] 기존의 퇴역 예정인 여객용 B777-300ER화물기로 개조할 예정이다.[29] 한국은 대한항공, 대만은 중화항공이 플래그 캐리어이다.[30] 등록번호 B-16717, 리스기간에는 ZK-OKT라는 임시 등록번호로 운항하였다.[31] 현재는 경영난으로 매각[32] 두 편 다 헬로 키티 도장 A330으로 운행했다. 한편 일본 국가대표팀은 전일본공수787-8을 이용했다.[33] 이 경우도 생긴 게 중국스럽다 싶으면 중국어가 나올 수 있다.[34] 일본은 항공사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상황에서 조금이라도 외국인 같아 보이면 무조건 영어로 응대한다. 물론 영어를 못 해서 일본어로 응대하는 사람도 있긴 하지만 일본에서 항공사나 관광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중화권에 비해 영어를 잘 하기 때문에 비행기를 탈 때 이런 일은 거의 없다.(가끔 있다고는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