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의 플래그 캐리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 0.8em;"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대만| |
[[몽골| | [[북한| | [[홍콩| | [[마카오| | |
[[필리핀| | [[베트남| | [[싱가포르| | [[태국| | |
[[말레이시아| | [[인도네시아| | [[캄보디아| | [[브루나이| | |
[[카자흐스탄| | [[인도| | [[미얀마| | [[네팔| | |
[[방글라데시| | [[부탄| | [[스리랑카| | [[우즈베키스탄| | |
[[파키스탄| | [[레바논| | [[사우디아라비아| | [[예멘| | |
[[아랍에미리트| | [[오만| | [[요르단| | ||
[[이란| | [[이스라엘| | [[카타르| | [[쿠웨이트| | |
[[아프가니스탄| | [[바레인| | [[투르크메니스탄| | [[이라크| | |
[[시리아| | [[몰디브| | [[타지키스탄|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일반 항공사 Full Service Carrier (FSC) | |
| | |
비만 방글라데시 항공 | US-방글라 항공 | |
| | |
노보에어 | 에어아스트라 |
비만 방글라데시 항공 বিমান বাংলাদেশ এয়ারলাইন্স Biman Bangladesh Airlines | ||
| ||
<colbgcolor=#00803e><colcolor=#fff> 기업명 | 비만 방글라데시 항공 | |
বিমান বাংলাদেশ এয়ারলাইন্স | ||
국가 | [[방글라데시| ]][[틀:국기| ]][[틀:국기| ]] | |
설립 | 1972년 1월 4일 ([age(1972-01-04)]주년) | |
Air Bangladesh | ||
항공 동맹 | 미가입 | |
마일리지 | Biman Loyalty Club | |
보유 항공기 수 | 21 | |
취항지 수 | 30 | |
허브 공항 | 샤잘랄 국제공항 (DAC) | |
부호 | <colbgcolor=#00803e><colcolor=#fff> | BANGLADESH |
BG | ||
BBC | ||
E9 | ||
항공권 식별번호 | 997 | |
임원 | Mostafa Kamal Uddin (회장) Shafiul Azim (CEO) | |
자회사 | 비만 케이터링 센터 비만 가금류 단지 비만 지상 조업사 방글라데시 항공 훈련센터 | |
링크 | ||
본사 위치 | ||
|
보잉 777-300ER |
|
보잉 787-8 |
[clearfix]
1. 소개
방글라데시의 국영 항공사로 수도인 다카를 중심으로 운항 중이다.2. 역사
1972년 DC-3 1기를 가지고 설립되었으나 시험비행 도중 추락하는 바람에 포커 F27과 DC-6를 도입한 뒤에야 본격적인 운항을 시작했다. 동년 3월 브리티시 칼레도니아 항공에서 리스한 보잉 707기를 이용해 런던에 취항하며 국제선 운항을 시작했다.이후 F-27기와 보잉 707기를 추가로 도입해 노선을 확충시켰고 최전성기였던 1980년대에는 DC-10을 도입하며 서쪽으로는 런던, 파리, 프랑크푸르트 동쪽으로는 도쿄, 홍콩, 싱가포르 심지어 미국 뉴욕에도 취항했었다.
그러나 90년대 부패로 인해 심각한 재정난을 겪고 결국 2004년 지분의 40%를 외항사에 매각한다. 그 뒤 2007년 방글라데시 정부에 의해 항공사는 유한회사가 되고 구형 기체들을 신형으로 교체했다.
3. 주요 국제선 취항지
2015년 2월 기준 본 항공사가 취항하고 있는 국제선 정기편 노선은 다음과 같다.3.1. 아시아 취항지
- 태국 방콕 수완나품 국제공항
-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
- 미얀마 양곤 국제공항
- 네팔 트리부반 국제공항
- 인도 델리 인디라 간디 국제공항
- 인도 콜카타 네타지 수바스 찬드라 보스 국제공항
- 홍콩 첵랍콕 국제공항
- 일본 도쿄 나리타 국제공항
3.2. 중동 취항지
방글라데시는 파키스탄, 인도, 필리핀, 네팔과 더불어 세계적인 저숙련 노동력 수출국으로 승객 대부분이 중동에 근무하는 노동자들이다.- 사우디아라비아 담맘 킹 파드 국제공항
- 사우디아라비아 제다 킹 압둘아지즈 국제공항
-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킹 칼리드 국제공항
- 오만 무스카트 국제공항
- 카타르 도하 하마드 국제공항
- 아랍 에미리트 두바이 국제공항
- 아랍 에미리트 아부다비 국제공항
- 쿠웨이트 쿠웨이트 국제공항
3.3. 그 외 취항지
3.4. 대한민국 노선
2025년 2월 기준으로 미취항 중이지만 향후 인천국제공항에 취항할 가능성이 있다.4. 보유 기종
- 2024년 10월 기준 21대의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다.
- 평균 기령은 9.5년이다.
제조사 | 기종 | 보유 대수 | 주문 대수 | 좌석 수 | ||
비즈니스 | 프리미엄 이코노미 | 이코노미 | ||||
보잉 | B737-800 | 6대 | - | 12석 | - | 150석 |
B777-300ER | 4대 | - | 35석 | - | 384석 | |
B787-8 | 4대 | - | 24석 | - | 247석 | |
B787-9 | 2대 | - | 30석 | 21석 | 247석 | |
에어버스 | A350-1000 | - | 10대 | TBA | ||
드 해빌랜드 | Q400 | 5대 | 1대 | - | - | 74석 |
합계 | 21대 | 11대 |
5. 사건사고
6. 여담
- 외국 공항에서 방글라데시 다카를 방문하기 위해 체크인하는 경우 별 불편이 없다. 단 귀국 또는 다른 나라를 여행하기 위해 다카에서 본 항공사를 탑승해야 한다면 샤잘랄 국제공항 곳곳의 비공식 안내요원에게 약간의 팁을 주고 이용하는 편이 정신건강에 이롭다.
- 영국 The busiest airport Heathrow라는 다큐에 따르면 여기의 수하물 허용 중량은 파키스탄 국제항공과 같은 1인당 40킬로그램으로 히드로에 들어오는 항공사 중 가장 널널하다고 한다.
- 의외의 기록을 갖고 있는데 초기형 광동체 DC-10을 여객용으로 운용한 세계 최후의 항공사라는 것이다. 비만 방글라데시 항공의 1988년식 DC-10이 2014년 2월 20일자 버밍엄행 비행을 끝으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영국 버밍엄 공항에서의 작별비행 영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