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8 11:05:48

일본항공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항공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일반 항공사
Full Service Carrier (FSC)
파일:일본항공 로고.svg파일:일본항공 로고 다크.svg 파일:전일본공수 로고.svg
일본항공 전일본공수
||<-3><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bgcolor=#f5f5f5,#2e2f34>
저비용 항공사
Low-cost Carrier (LCC)
||
파일:스카이마크 항공 로고.svg파일:스카이마크 항공 로고 화이트.svg
파일:피치항공 로고.svg파일:피치항공 로고 화이트.svg
파일:Jetstar_Logo.svg파일:젯스타 로고 화이트.svg
스카이마크 항공 피치 항공파일:전일본공수 틀 로고.png

||<tablewidth=100%><bgcolor=#fff,#191919><height=50px><tablebgcolor=#fff,#1f2023>
파일:스프링재팬 로고.svg
||<bgcolor=#fff,#191919>
파일:ZIPAIR 로고.svg파일:ZIPAIR 로고 화이트.png
||<bgcolor=#fff,#191919>
파일:토키에어 로고.svg파일:토키에어 로고 화이트.svg
||
스프링재팬파일:일본항공 틀 로고.png ZIPAIR파일:일본항공 틀 로고.png 토키에어

||<tablewidth=100%><height=50px><bg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f2023><width=33.3%>
파일:AirJapanLogo.svg파일:에어재팬 로고 화이트.svg
||<width=33.3%> ||<width=33.3%> ||
에어재팬파일:전일본공수 틀 로고.png

||<-4><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bgcolor=#f5f5f5,#2e2f34>
국내 항공사
Domestic Carrier
||
파일:류큐 에어 커뮤터 로고.svg파일:류큐 에어 커뮤터 로고 화이트.png
파일:일본 에어 커뮤터 로고.svg파일:일본 에어 커뮤터 로고 화이트.png
파일:일본 트랜스오션항공 로고.svg파일:일본 트랜스오션항공 로고 화이트.png
파일:J-에어 로고.svg파일:J-에어 로고 화이트.png
J-에어파일:일본항공 틀 로고 검정.png
파일:HAC 로고.png파일:HAC 로고 화이트.png
파일:ANA Wings Logo.png파일:ANA Wings Logo 화이트.png
파일:후지드림 항공 로고.svg
파일:솔라시드 항공 로고.svg
파일:스타플라이어 로고.svg파일:스타플라이어 로고 화이트.png
파일:에어 두 로고.svg파일:에어 두 로고 화이트.png
파일:external/res.cloudinary.com/FW.png
에어 두파일:전일본공수 틀 로고.png

||<-3><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bgcolor=#f5f5f5,#2e2f34>
지역 항공사
Regional Carrier
||
파일:ORC 로고.png파일:ORC 로고 화이트.png
파일:아마쿠사 항공 로고.png파일:아마쿠사 항공 로고 화이트.png
파일:신츄오항공 로고.png파일:신츄오항공 화이트.png
아마쿠사 항공파일:일본항공 틀 로고.png 신츄오 항공
||<-4><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5f5f5,#2e2f34>
화물 항공사
Cargo Airline
||
파일:일본화물항공 로고.svg파일:일본화물항공 로고 화이트.png
파일:야마토운수 로고.svg파일:야마토 운수 로고 화이트.png
일본화물항공파일:전일본공수 틀 로고.png 야마토 트랜스포트

||<-4><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5f5f5,#2e2f34>
운항 준비 중인 항공사
Startup Airline
||
파일:필에어 로고.svg 파일:JCAS Airways.png파일:JCAS Airways 화이트.png
필에어 제이캐스 에어웨이즈
없어진 항공사
Defunct Airline
파일:일본에어시스템 로고.svg
파일:바닐라 에어 로고.svg
파일:에어아시아 재팬 로고.svg
바닐라 에어파일:전일본공수 틀 로고.png 에어아시아 재팬
파일:JALways 로고.png파일:JALways Logo 화이트.png
파일:일본아시아항공 로고.svg파일:일본아시아항공 로고 화이트.png
일본아시아항공파일:일본항공 틀 로고 검정.png
}}}}}}}}} ||

아시아의 플래그 캐리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 0.8em;"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대한항공 로고.svg파일:대한항공 로고 화이트.svg
파일:일본항공 로고 가로형.svg파일:일본항공 로고 가로형 화이트.svg
파일:중국국제항공 로고.svg파일:중국국제항공 로고 화이트.svg
파일:중화항공 로고.svg파일:중화항공 로고 화이트.svg
[[몽골|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홍콩|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마카오|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파일:미아트 몽골항공 로고.svg파일:미아트 몽골항공 로고 화이트.svg
파일:Air_Koryo_2024.svg파일:Air_Koryo_2024 WH.svg
파일:캐세이퍼시픽항공 로고_좌우.svg파일:캐세이퍼시픽항공 로고_좌우 WH.svg
파일:에어마카오 로고.svg파일:에어마카오 로고 WH.svg
[[필리핀|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베트남|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싱가포르|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태국|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필리핀 항공 로고.svg파일:필리핀 항공 로고 화이트.svg
파일:베트남항공 로고.svg파일:베트남항공 로고 화이트.svg
파일:싱가포르항공 로고.svg파일:싱가포르항공 로고 WH.svg
파일:타이항공 로고.svg파일:타이항공 로고 다크.svg
[[말레이시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브루나이|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파일:말레이시아 항공 로고.svg파일:말레이시아 항공 로고 화이트.svg
파일:가루다 인도네시아 로고.svg파일:가루다 인도네시아 로고 화이트.svg
파일:에어 캄보디아.svg파일:에어 캄보디아 로고 WH.svg
파일:로열 브루나이 항공 로고.svg파일:로열 브루나이 항공 WH.svg
[[카자흐스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인도|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미얀마|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네팔|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파일:에어 아스타나 로고.svg파일:에어 아스타나 로고 WH.svg
파일:에어 인디아 로고.svg
파일:미얀마 내셔널 항공 로고.svg파일:미얀마 내셔널 항공 로고 WH.svg
파일:네팔항공.svg
[[방글라데시|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부탄|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스리랑카|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우즈베키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비만 방글라데시 항공 로고.svg파일:비만 방글라데시 항공 로고 WH.svg
파일:드루크 항공 로고.svg
파일:우즈베키스탄항공 로고.svg파일:우즈베키스탄항공 로고 화이트.svg
[[파키스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레바논|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예멘|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파키스탄 국제항공.svg파일:파키스탄 국제항공_White.svg
파일:중동항공 로고.svg파일:중동항공 로고 WH.svg
파일:사우디아 항공.svg파일:사우디아 항공 WH.svg
파일:예메니아 항공 로고.svg파일:예메니아 항공 로고 WH.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오만|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요르단|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Emirates 로고 가로형.svg
파일:Etihad Airways 로고.svg
파일:오만 항공 로고.svg파일:오만 항공 로고 WH.svg
파일:로얄 요르단 항공 로고.svg
[[이란|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이스라엘|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카타르|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쿠웨이트|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파일:이란항공 로고.svg파일:이란항공 로고 화이트.svg
파일:엘알항공 로고.svg파일:엘알항공 로고 WH.svg
파일:카타르항공 로고.svg파일:카타르항공 로고 화이트.svg
파일:쿠웨이트 항공 로고.svg파일:쿠웨이트 항공 로고 화이트.svg
[[아프가니스탄|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바레인|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투르크메니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이라크|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아리아나 아프간 항공 로고.svg파일:아리아나 아프간 항공 로고 WH.svg
파일:걸프에어 로고.svg파일:걸프에어 로고 WH.svg
파일:투르크메니스탄 항공 로고.png
파일:이라크 항공 로고.svg파일:이라크 항공 WH.svg
[[시리아|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몰디브|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타지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라오스|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파일:시리아 항공 로고.svg파일:시리아 항공 로고 WH.svg
파일:몰디비안 로고.svg
파일:소몬항공.svg파일:소몬항공 WH.svg
파일:라오항공 로고.svg파일:라오항공 로고 화이트.svg
[[동티모르|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
[[동티모르|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에어로 딜리 로고.png
파일:터키항공 로고 가로형.svg파일:터키항공 로고 가로형 화이트.svg
}}}}}}}}} ||

||<-3><tablealign=right><tablebordercolor=#cc0000,#cc0000><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colbgcolor=#cc0000,#cc0000><colcolor=#fff> 일본항공주식회사
日本航空株式会社
Japan Airlines Co., Ltd.
||
파일:일본항공 로고 가로형.svg파일:일본항공 로고 가로형 화이트.svg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설립일 1951년 8월 1일 ([age(1951-08-01)]주년)
항공 동맹 원월드
보유 항공기 수
151
취항지 수 92
허브 공항 도쿄 하네다 국제공항
도쿄 나리타 국제공항
오사카 간사이 국제공항
센트레아 나고야 중부국제공항
부호 <colbgcolor=#cc0000,#cc0000><colcolor=#fff> 콜사인 JAPAN AIR
IATA JL
ICAO JAL
BCC 46
항공권 식별 번호
131
슬로건 Fly for it!
一緒ならもっと飛べる。
함께라면 더 날 수 있다.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공식]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한국어]
한국지사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16,
프레지던트 호텔 3층
본사 도쿄도 시나가와구
히가시시나가와2초메 4-11
(東京都品川区東品川二丁目4-11)
파일:野村不動産天王洲ビル.png
일본항공 본사 (노무라 부동산 텐노즈 빌딩)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기업 정보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fff><colbgcolor=#cc0000> 업종 항공 운송업
법인번호 7010701007666
사업영역 항공운송사업
종류 주식회사
시장 정보 도쿄증권거래소 1부 9201
시가총액 11조 1,799억 원 (2024년 7월)
주식 총수 4억 3714만 3500주 (2024년 7월)
자본금 2,732억 엔 (FY2023)
매출액 연결: 1조 6,518억 9천만 엔
단독: 1조 3,612억 8천만 엔 (FY2023)
영업이익 연결: 1,409억 3,200만 엔
단독: 936억 7,800만 엔 (FY2023)
순이익 연결: 955억 340만 엔
단독: 651억 1,700만 엔 (FY2023)
순자산 연결: 9,483억 4,500만 엔
단독: 7,570억 1,300만 엔 (FY2023)
총자산 연결: 2조 6,492억 3,200만 엔
단독: 2조 3,508억 6,700만 엔 (FY2023)
종업원 수 연결: 36,500명
단독: 13,791명 (FY2023)
결산기 3월 31일
회계 감사인 유한책임 아즈사 감사법인
대표자 회장 아카사카 유지 (赤坂祐二)
사장 돗토리 미츠코 (鳥取三津子)[3]
주요 주주 일본 트러스티 서비스 신탁 은행 5.80%[4]
일본 마스터 트러스트 신탁 은행 4.42%[5]
교세라 2.10%
자회사 일본 트랜스오션항공 72.8%
J-에어 100%
류큐 에어 커뮤터 74.5%[6]
일본 에어 커뮤터 60%
홋카이도 에어 시스템 57.3%
}}}}}}}}} ||
||<table bordercolor=#cc0000,#cc0000><tablewidth=100%><nopad> 파일:JA03WJ.jpg ||
에어버스 A350-1041
1. 개요2. 역사3. 노선망4. 기단5. 도색6. 서비스7. 마일리지8. 미디어에서의 일본항공9. 특징
9.1. 보잉 747 최다 운용 항공사9.2. 끝내주던 태평양 횡단 노선9.3. 스카이팀 대신 가입한 원월드9.4. 보잉 787 좌석 배열9.5. 대한항공과의 관계9.6. 전일본공수와의 관계9.7. JAL 스칼라쉽 & 하이쿠 대회
10. 계열 항공사
10.1. 과거 계열사
11. 사건 사고12. 기내 보딩 뮤직13. 기내 안전 비디오14. 여담
14.1. 국내선 무료 항공권 이벤트 한국 노선 제외 논란
15. 둘러보기

1. 개요

일본플래그 캐리어 항공사.[7]

본사는 도쿄 시나가와구의 노무라 부동산 빌딩으로, 1996년에 준공한 본사 빌딩을 2004년에 경영 합리화를 위해 매각하고 이곳에서 세들어 있는 중이다. 대한민국 지점은 서울특별시청 근처의 프레지던트 호텔 3층에 있다.

2.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일본항공/역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일본항공/역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일본항공/역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노선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일본항공/노선망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일본항공/노선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일본항공/노선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2024년 기준 133개의 국내선, 66개의 국제선, 총 199개의 노선을 운항하고 있다.
  • 66개의 국가와 384개의 공항을 취항 중이다.

3.1. 대한민국 노선

<rowcolor=#fff,#fff> 항공편명 노선 시간
(현지시간)
기종 운행일
<rowcolor=#fff,#fff> 출발 도착
JL091 / KE5708 도쿄(HND/T3) → 서울(GMP) 08:25 10:55 B777-300ER 매일
JL092 / KE5707 서울(GMP) → 도쿄(HND/T3) 12:10 14:15
JL093 / KE5710 도쿄(HND/T3) → 서울(GMP) 15:40 18:00 B787-8 매일
JL094 / KE5709 서울(GMP) → 도쿄(HND/T3) 19:20 21:30
JL095 / KE5712 도쿄(HND/T3) → 서울(GMP) 19:45 22:20 B787-9 매일
JL090 / KE5711 서울(GMP) → 도쿄(HND/T3) 07:50 09:55
<rowcolor=#fff,#fff> 연혁
  • 1964. 04 서울지점 개설
  • 1964. 04 서울-도쿄노선 취항 (주3회)
  • 1967. 11 한국인 객실승무원 탑승 개시
  • 1973. 07 서울노선 B747 여객기 첫 운항
  • 1985. 04 서울노선 B747 화물전용기 취항
  • 1988. 09 서울올림픽 일본선수단 특별 수송
  • 2003. 11 김포-하네다 노선 재개설
  • 2005. 후쿠오카 노선 운휴
  • 2006. 히로시마·코마츠 노선 운휴
  • 2009. 오사카(간사이)와 나고야(중부) 노선 운휴
  • 2015. 간사이 노선 철수
  • 2018. 02 평창 동계 올림픽, 패럴림픽 일본선수단 수송
  • 2018. 나리타 노선 철수
  • 2018. 12 대한항공과 한일노선 마일리지 상호 적립 개시
  • 2022. 06 코로나 이후, 김포=하네다 운항 재개(주2편)
  • 2024. 02 인천공항 화물전용기 운항 재개
  • 2024. 04 한일노선 개설 60주년 기념 공항 이벤트 실시
파일:JAL 서울지점 개설.jpg
<rowcolor=#fff,#fff> 서울지점 개설 당시 (1964)

1964년 4월 15일, CV-880 기종으로 도쿄(하네다)–서울(김포) 노선을 개설하면서 대한민국에 첫 취항했다. 이 노선은 일본항공이 한국에 취항한 첫 정기편으로, 주 3회 운항되었으며 첫 비행에는 일본항공의 CV-880 1호기인 JA8021이 투입되었다.

당시 한국은 경제적으로 매우 어려운 시기였기 때문에 항공기 이용 수요가 극히 적었고, 승무원보다 승객이 더 적은 경우도 흔했다. 일본 내에서도 항공요금은 고가였으며, 1964년 기준 도쿄–오사카 구간의 항공권 가격이 샐러리맨의 일주일치 급여 수준에 달할 정도였다.[8]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일본항공은 꾸준히 한국 노선을 유지하며 양국 간 항공교통의 초석을 마련했다.

1960년에 한국에 취항한 캐세이퍼시픽항공에 이어, 일본항공은 대한민국에 취항한 두 번째로 오래된 외항사로 자리 잡았다. 과거에는 1947년부터 운항했던 노스웨스트항공이 존재했으나, 이후 휴항과 합병으로 역사 속에 사라지면서 일본항공이 장기적으로 한국 시장에 남은 대표적인 항공사 중 하나가 되었다.
파일:JAL 한국인 승무원 탑승 개시.jpg
<rowcolor=#fff,#fff> 한국인 객실승무원 탑승 개시 (1967)

197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까지 일본항공은 도쿄 외에도 일본 각 지방 도시와 한국을 연결하는 다양한 노선을 운항했다. 당시에는 니가타, 오사카(이타미), 구마모토, 코마츠, 히로시마 등 지방공항을 포함하여 주 59회까지 운항하며, 활발한 네트워크를 유지했다. 특히 인천국제공항 개항 이전 김포공항을 중심으로 한 한일 간 주요 노선망을 구축하며, 일본과 한국을 잇는 주요 항공사로 자리했다.

2001년 인천국제공항이 개항한 이후에도 일본항공은 경쟁사인 전일본공수(ANA)보다 넓은 노선망을 유지했다. ANA가 나리타, 간사이, 나고야 3개 노선만 운항한 것과 달리, 일본항공은 히로시마, 코마츠, 후쿠오카 등 지방 공항을 포함해 6개 노선을 운영했고, 김포공항에서는 도쿄(하네다)뿐 아니라 오사카(간사이) 노선도 운항했다. 그러나 2000년대 중반 이후 경영 악화와 수요 감소로 인해 노선 축소가 시작되었다. 이후 김포–하네다, 인천–나리타, 인천–간사이 3개 노선만 남아 일 3회 운항을 유지했다.

2010년대 들어 저비용항공사의 등장으로 경쟁이 격화되면서 일본항공의 한국 내 입지는 점점 줄어들었다. 결과적으로 김포–하네다 노선만 남게 되었다. 한때 인천공항에 자체 라운지를 운영할 정도로 활발했던 일본항공은, 2012년 인천공항 라운지를 폐쇄하고 사실상 김포공항 중심의 단일 노선 체제로 전환했다.

2002년에는 제주–하네다 직항 노선을 한시적으로 운항했으나, 수요 부족 등 여러 문제로 중단되었다. 제주–간사이 노선과 제주–나리타 노선은 직접 운항하지 않았지만, 2007년에 대한항공과의 코드셰어 및 마일리지 제휴를 통해 일정한 협력 관계를 유지했다.

부산의 경우, 일본항공은 1967년 9월 2일 DC-6 기종으로 부산–후쿠오카 노선을 개설하며 김해공항 취항을 시작했다. 이후 도쿄, 오사카, 나고야, 후쿠오카 등 최대 4개 노선을 운영하며, 오랜 기간 부산 지역 유일의 외항사로 자리했다. 그러나 2010년을 끝으로 대부분의 노선이 중단되었고, 현재는 부산에 취항하지 않는다.

2015년 3월 30일부터 김포–하네다 노선에 B787-8 기종을 투입해 원월드 회원사 중 최초로 대한민국 노선에 드림라이너를 도입했다. 2023년 하계 스케줄부터는 JL90/95편에 B787-9이 투입되었으며, 일부 일정에서는 B777-300ER도 운항한다. 프리미엄 이코노미석은 별도로 운영하지 않으며, 이코노미 승객이 좌석을 지정할 수 있도록 개방하고 있다. 또한 일부 장거리 기종이 단거리 노선에 투입될 경우, 비즈니스석 결제 고객이 일등석 좌석을 선착순으로 선택할 수 있는 경우도 존재한다.

2024년 2월 19일부터 일본항공은 나리타–인천, 나고야(센트레아)–인천 노선에 화물기를 신규 투입했다. 같은 해 10월 17일, 일본항공은 김포–하네다 취항 60주년을 맞아 김포공항에서 기념식을 개최했다. 또한 2024년 말부터 일부 일정에 B777-300ER 기종을 투입하며, 퍼스트클래스 좌석을 비즈니스 승객이 선착순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했다.
파일:JAL 취항 60주년.jpg
<rowcolor=#fff,#fff> 김포–하네다 취항 60주년 기념식 (2024)

====# 부산 노선 #====
=====# 코로나 이전 #=====
과거에는 보잉 767으로 1일 1회 오던 게 2019년 현재는 보잉 737-800으로 하루 2번 들어오고 있고 실제로 부산을 방문하는 일본인들의 수요도 제법 있어서 장사 자체는 꽤 잘 된다. 2017년 8월에는 부산 취항 50주년 행사를 열었다.

특히 미국 방면으로 연결이 잘 되었다. 공동운항하는 아메리칸 항공에서 항공권을 싸게 풀고 있어서 + 일본항공 자체적으로도 시간표를 잘 짜고 노선 확충을 잘 해놨기 때문이었다. 사실상 일본항공의 부산 쪽 허브 장사는 아메리칸 항공 및 미국 방면에 전적으로 의지하고 있었다. 아메리칸 항공 측에서도 이를 의식한듯 김해공항 연결을 지원하는 나리타행 운항 시간에는 댈러스 공항 내부에 한국어 가능 승무원까지 배치 했을 정도였다.

직접연결편도 아닌 간접연결편에 그것도 상대적으로 귀한 한국어 가능 승무원까지 배치할 정도로 아메리칸 항공도 김해공항 환승 승객을 중요하게 보고 있었던 것이다. 특별한 일이 없다면 대부분 한국어 가능 승무원을 공항 내부에 배치했었으며 지연 등이 생길 경우 한국어 가능 직원이 100% 배치되어 부산 방면 연결편 변경 등 수습을 도왔다.

김해 - 도쿄 노선의 경우 핀에어아메리칸 항공이 자기 편명을 코드셰어로 같이 붙이고 나리타에서 자사 항공편과 연계하고 있다. 특히 이 중 압권은 단연 댈러스행이다. 김해에서 아침 7시 40분에 출발하는 비행기로 댈러스에 거의 같은 시간에 도착할 수 있고 댈러스 환승으로 미국 내 웬만한 곳에 대낮에 도착이 가능하다![9]

인천에서 같은 목적지로 가려고 부산 출발이랑 같은 날에 아메리칸 항공을 이용할 경우 거의 대부분은 아침에 부산 출발 하는 항공편보다 더 늦게 해당 목적지에 도착하게 된다. 심지어 댈러스라도 말이다. 부산에서 오후편을 타더라도 결국 댈러스 도착은 인천이나 부산이나 차이가 거의 없어지는 경우도 있다.

다만 그외 방면으로는 환승연결이 부실했다. 대표적으로 유럽을 가는 경우 중화권 항공사들이 가격을 싸게 띄우지 않으면 인천으로 갈 수밖에 없었다. 일본에서 유럽 방면 노선들이 하네다, 나리타, 오사카에 분산되어 있는데다가 요금까지 비싸기 때문이다. 그래서 유럽 노선은 인천, 부산 직항이나 홍콩, 싱가포르 경유가 일본 경유 수요보다 더 많다.

그 외 호주, 뉴질랜드 등의 대양주 방향은 당시 대부분 나리타에 취항하고 있어 분산 문제가 덜했지만 일본항공의 대양주 방면 항공료는 다른 곳보다 비싸게 책정되어 있어 경쟁력이 크게 없었다. 따라서 대양주를 가고 싶으면 차라리 캐세이퍼시픽을 통한 홍콩 경유, 싱가포르항공을 통해 싱가포르, 중화항공을 이용해 타이베이를 경유하는 것이 좋았다.

=====# 코로나 이후 #=====
이후 부산 김해국제공항에 당시 최신 기종이었던 787-8 까지 투입하려고 했지만, 투입 직전 코로나19가 확산되어 무산되었다. 그리고 코로나가 지속되자 부산에서 철수하기에 이른다. 현재 일본항공의 상태가 그리 좋지 못하기에 재운항 여부도 확실하지 않다.

부산에서 도쿄로 직항하고자 하면 국내 항공사[10]로만 가능하다. 아메리칸 항공과의 연계는 대한항공과의 인터라인으로 땜빵하고 있으며, 그나마 스루 체크인은 가능한 게 다행인 정도이나 대한항공 구간은 AAdvantage에 적립 불가 등 마일리지 문제가 걸린다. 인천 ~ 댈러스 노선과 부산 ~ 댈러스 노선을 같은 가격에 구입했다고 가정한다면 부산 ~ 댈러스 쪽이 나리타 ~ 댈러스 구간만 적립된다는 이유로 인천 노선 대비 약간 적게 적립되고, 그 차이는 대한항공의 스카이패스 등 스카이팀 FFP를 이용하여 분리 적립해야한다.

게다가 코로나 시국 및 도쿄 올림픽 이후 아메리칸 항공 측이 나리타 허브전략을 거의 포기한 점도 일본항공의 부산 취항을 머뭇거리게 하는 이유가 된다. 언급했듯 일본항공의 부산 수요는 도쿄 - 부산 간 수요를 제외하면 도쿄 - 미국, 오세아니아 연결편에 의존하고 있었는데 이게 거의 끊어졌기 때문이다. 연계 가능한 노선이 댈러스행 AA60 / 61밖에 없고, 그 외 노선들은 전부 하네다로 옮겨간 상황이다. 거기에 환승 허브 전략을 거의 포기한 탓에 설령 나리타에서 댈러스행 항공편을 이용하더라도 과거와 같은 환승연계는 어렵게 되었다.

따라서 지역에서는 항공 협정을 개정하고 일본항공의 부산 - 하네다, 부산 - 오사카 노선 쿼터 신설을 주장하는 여론도 있으나 가능성이 낮다. 그나마 오사카 노선은 가능성이 있으나 부산 - 간사이 구간은 대한항공, 에어부산등이 잡고 있어서 일본항공 입장에서는 환승장사가 필수인데, 문제는 오사카의 장거리 노선은 아무래도 도쿄[11]에 비해 요금이 비싼 편이라는 것이다. 하네다의 경우 이미 서울 차터가 대부분인데다 슬롯이 포화된데다가 양측의 이해관계[12]도 있기 때문에 추가 확보가 거의 불가능하다.

만약 일본항공이 부산에 복항하려면 부산 - 하네다 노선, 부산 - 나리타 노선과 부산 - 오사카 노선을 정규 취항하는 것이 필수이며, 나리타 공항이 허브로 작동해야 된다. 그러나 일본 정부나리타 국제공항 주변 주민들과 협상이 진전되고, 원래 계획대로 완성하지 않는 한 하네다오사카를 허브로 밀려고 하고 있고, 도쿄 착발 장거리 운수권도 기존 나리타 전용에서 하네다 개방으로 열고 있다.

일본항공의 부산 수요가 도쿄 직항 수요를 제외하면 부산 - 나리타 - 댈러스 수요가 상당수 차지하는데 아메리칸 항공 측에서 나리타를 아시아 허브로 쓰지 않다보니 환승 연계가 되지 않는다.

일본항공 입장에서는 부산에 직접 취항할 이유가 없어지고 있다. 부산 - 도쿄교류 수요가 없지는 않지만 이 역시 대한항공, 에어부산LCC들이 꽉 잡고 있는 상황이고 부산 - 오사카 노선 역시 별반 다르지 않기 때문에 많은 이득을 챙기기는 어렵다. 따라서 부산 - 하네다 직항 노선이라도 개통되는 것이 아니라면 ANA처럼 자사의 저비용 항공사ZIPAIR 등이 대신 들어올 가능성이 높다.

그렇게 일본항공이 부산에서 철수하면서 부산에서 미국을 가려면 내항기를 타거나 중화항공타이베이 노선에 기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13] 그 타이베이 경유도 과거의 나리타 경유에 비해 운임 및 소요시간에서 불리하다. 그 외 홍콩 익스프레스를 통한 홍콩 환승이나 필리핀항공마닐라 환승도 이론상으론 가능하지만 운임 및 소요시간에서 매우 불리하다.[14]

4. 기단

4.1. 보유 기종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일본항공/보유 기종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일본항공/보유 기종#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일본항공/보유 기종#|]]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일본항공 로고 가로형 화이트.svg
일본항공 보유 기종
<rowcolor=#fff> 기종 보유 대수 주문 대수 비고
파일:에어버스 로고 화이트.svg
- 11
A321neo - 11 • 국내선용 B767-300 대체 기종
26 25
A350-900 16 20
A350-1000 10 5
파일:보잉 로고 화이트.svg
42 38
B737-800 42 -
B737-8 - 38
27 -
B767-300ER 27 - • 국내선용은 A321neo로 대체 예정
11 -
B777-300ER 11 -
45 10
B787-8 23 -
B787-9 22 10 • 주문분 10대 중 일부는 ZIPAIR로 인도 예정
합계 151 85 평균연식: 12.2년

4.2. 이전 보유 기종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일본항공/이전 보유 기종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일본항공/이전 보유 기종#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일본항공/이전 보유 기종#|]]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도색

한때 전일본공수와의 특별 도장 경쟁이 불타 올랐을 시기에는[15] 미키 마우스, 미니 마우스, 도날드 덕 등의 월트 디즈니 컴퍼니 캐릭터들이 아기자기하게 그려진 재미난 도장도 있었다.

2012년 츠루마루 재도입 이후로는 과거에 비해 비교적 적은 편. 2012 런던 올림픽이나 스튜디오 지브리 합동 도장 (관련 포스팅) 등이 있었다. 그 외 언젠가부터 꾸준하게 아라시 제트라는 특별 도장을 자사 항공기에 칠하고 있다.
<nopad>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0137572.jpg 파일:1961년 일본항공의 DC-8.jpg
<colcolor=white> 초기 도장[16] <colcolor=white> 초기 도장의 변형[17][18]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0994394.jpg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0273726.jpg
2기 도장[19] 3기 도장[20]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0628893.jpg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2103943.jpg
4기 도장[21] 현행 5기 도장[22]

6. 서비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일본항공/서비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일본항공/서비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일본항공/서비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마일리지

JAL Mileage Bank(약칭 JMB)로 불리는 일본항공의 마일리지제도로 유효 기간은 3년이다.

2025년 아직까지 회원가입시 무료로 실물 마일리지 카드를 발급하여 보내준다.[23] 이는 어떠한 것도 발급해 주지 않는 국내의 항공사와 한국에 무료로 우편은 보내주나, 실물 카드 대신 종이 회원증을 발급하여 보내주는 일본의 ANA와도 대조적이다. 심지어 선택이 아니라 강제이기 때문에 이점 주의하자.

한때 대한항공 ↔ 일본항공 마일리지 적립이 안 되었지만, 2016년 11월 30일에 일본항공과 대한항공이 인천/김포/부산/제주-일본 노선에서 마일리지 프로그램 제휴을 시작했다.# 2018년 12월 20일부터 대한민국 - 일본 노선(김포 - 하네다, 인천 - 나리타, 부산 - 나리타, 인천 - 후쿠오카)에서 스카이패스 적립이 가능해졌다.[24] 하지만 상술하였듯이 한일 노선에만 한해서인지라 스타얼라이언스 가맹사인 전일본공수에 비하면 마일리지 적립 부분이 밀린다. 캐세이패시픽항공 등과 달리 일정 기간 동안 탑승 실적이 없어도 ID는 삭제하지 않지만, 아메리칸 항공같이 마일리지의 사용이나 재차 적립을 하여 마일리지의 유효기간을 연장시키는 것은 없다. 그러니 본인이 원월드를 많이 이용한다면 닥치고 AAdvantage로 적립하는 게 나을 것이다.

한때 인터넷으로 예매할 때 비회원 예약은 아예 받지 않아서, 일본항공으로 예약하고 싶으면 강제로 회원으로 가입해야 했다. 이 때 일본항공 홈페이지에 가입하더라도 JMB를 만들고 싶다면 JMB에 한 번 더 가입해야 한다. 예약할 때 다른 원월드 항공사의 FFP를 선택하는 칸이 따로 없었기 때문에 예약한 후 공항에서 체크인할 때 입력하거나 아니면 예약한 후 일본항공 서울지점[25]에 전화하여 다른 원월드 항공사들의 FFP 번호를 미리 말해야 한다. 본인이 JMB 카드를 갖고 있더라도 체크인할 때 아메리칸 등으로 입력해 놓거나 혹은 전화로 다른 원월드 항공사의 FFP 적립을 요청하면 그만. 최근에 홈페이지가 개선되어 비회원 예약과 타사 FFP 번호 입력이 가능해졌다.

그래도 아메리칸 항공보다는 전화 연결이 조금이나마 빠른 편이다. 마일리지 보너스 티켓도 선택에 제약이 없다고 하는 듯.

만약 자신이 JMB 회원이라면 아시아 노선의 경우 마일리지가 1.5배 적립이 되고, 일본 국내선은 2배 적립된다. 또한 JMB 사파이어 기준으로 대한항공에는 없는 마일리지 105% 가산 서비스가 적용된다. 거기다가 구간별로 400마일이 추가로 제공되는 혜자스러운 모습을 보여준다. 이 경우 김포 - 하네다 구간의 경우 티어가 없어도 1,537마일(이코노미 full-fare 기준)이 적립된다!

에미레이트 항공의 탑승분도 적립할 수 있긴 하나, 두바이에서 일본으로 가는 노선에는 할인티켓을 포함하여 일부 부킹 클래스에서 적립할 수 없다. 2013년 11월 5일에 규정을 완화해서, 이코노미의 할인티켓도 적립할 수 있도록 변경하여 대한항공보다는 제약이 상대적으로 덜하다.

또한 전일본공수가 한때 발행했던 Edy 겸용 카드처럼 JAL도 마일리지 카드를 이온그룹 계열의 전자머니인 WAON 겸용으로 발급받을 수 있다.

최근에는 대한항공 마일리지와 교차 사용이 가능한데, JMB로 대한항공의 한일 왕복 항공권을 끊을 수 있으며 반대도 마찬가지. 전화로만 예약할 수 있으며 대한항공으로 일본항공 마일리지 항공권을 구입할 경우 3만 마일이, 일본항공으로 대한항공 마일리지 항공권을 구입할 경우 12,000~15,000마일이 필요하다.[26]

위에서 상술하였듯이 2018년 12월 20일부터는 한국-일본 노선에 한해 대한항공스카이패스 적립이 가능하니, JMB 상용 고객을 노리는 게 아니고 한국-일본만 왔다갔다 하는 것이라면 무조건 대한항공스카이패스로, 전반적으로 원월드 항공사를 자주 이용한다면 아메리칸 항공의 AAdvantage로 적립하자. 호텔 예약시에 일본이든 해외든 가능하며 호텔 예약 등으로 마일리지를 쌓을 수 있다.

국내에서 신용카드로 JMB 마일을 쌓을 수 있는 카드로는 현대카드가 유일하다. 현대카드아멕스 시리즈[27] 멤버십 리워즈(MR) 마일리지를 JMB 마일로 전환할 수 있으며 1마일당 2.5MR를 필요로 한다. 과거엔 하나카드 포인트로도 JMB전환이 되었으나 2024년 2월부로 JMB를 포함한 외항사 마일 전환이 종료되었다.

JMB 마일리지로는 가입하고 60일이 지나야 마일리지 항공권을 발급받을 수 있다.

신라면세점(인천, 김포, 제주)에서 물건을 구매하면 일본항공 마일리지를 쌓을 수 있었지만, 2025년 6월 30일부로 종료됐다. 2025년 10월 1일부터 롯데면세점(김포, 인천, 부산, 제주)과 마일리지 제휴를 시작했다.#

8. 미디어에서의 일본항공

<nopad> 파일:attention please3.jpg
<colcolor=white><어텐션 플리즈>에서 일본항공 스튜어디스[28] 훈련생 미사키 요코(美咲洋子)를 연기한 우에토 아야

2006년에 방영되었던 일본 드라마 <어텐션 플리즈>의 무대이기도 하다. 주인공들이 일본항공 소속 스튜어디스 훈련생. 우에토 아야가 주인공이며, 아이부 사키, 유민, 고이즈미 고타로[29], 니시키도 료, 마야 미키, 코히나타 후미요, 키치세 미치코 등이 출연했다.
<nopad> 파일:나이스 플라이트!.jpg
2022년에 방영되었던 일본 드라마 <나이스 플라이트!>에서도 일본항공을 무대로 등장한다.
<nopad>
(1982년 당시의 광고)
<colcolor=white> 일본항공의 스태프는 2만 2천명 한 사람 한 사람 당신의 여행을 지탱해주고 있습니다.
다녀오십시오 좋은 여행을.
모두 하늘을 좋아하는구나.
<nopad>
(1984년 당시의 홍콩 지역용 광고)
<colcolor=white> 따뜻한 환영인사를 기대할 수 있는 항공사가 있습니다.
아주 작은 부분이라도 세심하게 신경쓰는 항공사가 있습니다.
1등석과 비즈니스석에서, 진정한 기쁨을 담아 웃으며 당신을 모십니다.
여러분들의 위대한 성원 그리고 저희 겸허한 전통에 힘입어, IATA(국제항공운송협회) 제 1위가 되었습니다.
일본항공, 언제나 즐거움이(Japan Airlines. It's always a pleasure).

9. 특징

9.1. 보잉 747 최다 운용 항공사

<nopad> 파일:JA8101.jpg
<colcolor=white> 보잉 747-146, JA8101
일본항공 최초의 보잉 747이자 아시아 최초의 보잉 747
파일:Japan Airlines Boeing 747-446 JA8079 and two more with China Airlines Boeing 747.jpg <colcolor=white>파일:Rush hour of Narita Airport.jpg
미국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에 주기된 일본항공의 보잉 747 3대와 중화항공의 1대. 일본에서 촬영된 것이 아니다. 나리타 국제공항에서. 4대의 일본항공 747이 한 사진에 들어와 있다.
파일:EvUGModVoAIRKVC.jpg
2011년 2월 28일 국제선 마지막 747 운항일 당시 화환을 쓰고 있는 JA8089.[30]
파일:Maintenance for Sellout.jpg
운행에서 제외된 뒤 매각을 기다리는 일본항공의 보잉 747들.

1970년 4월 22일에 일본항공은 상단 사진의 JA8101(B747-146)을 인도받았고, 이 기체는 동년 7월 1일에 도쿄 하네다 공항-호놀룰루 다니엘 K. 이노우에 국제공항 노선을 운항하며 일본항공의 보잉 747의 운항을 개시했다. 이후 일본항공은 2011년에 전량 퇴역할 때까지 41년간 무려 126대의 747을 운항하여 세계에서 가장 많은 747을 '주문'한 항공사라는 기록을 세웠다[31][32].

상술했듯이 국내선 승객이 원체 많다 보니, 승객 운송에 특화된 단거리형 보잉 747을 굴렸었다. 그 시작이 보잉 747SR이고, 이후로는 보잉 747-400D가 운항했다.[33] 한 번에 500명 이상 실어나를 수 있었다고. 이는 A380 등장 전까지 최대 기록이다.[34] 현재는 보잉 747의 뒤를 이어 보잉 777-300이 JAL에서 500석, ANA에서 514석으로 운영되는 중. 얼마나 많았냐면 인천, 김포 둘 다 747이 고정으로 들어갔고 마지막 국제선이 김포-하네다와 인천-나리타였는데 둘다 만석이었다.

하지만 JAL은 이 대량수송 기체로 1985년 8월 12일에 단일 기체 항공 사고 역사상 최다 희생자가 발생한 초대형 사고를 쳤다. 단 근본적인 원인은 JAL보다도 보잉에 있었지만...(보잉 747SR 버전) 일본항공 123편 추락 사고 항목 참고. 다행히 이 사고 이후 마지막 운항 전까지 더이상의 항공기가 손실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았다.[35]

그리고 경영 악화 때문에, 보유 중이던 보잉 747-400을 전부 매각했다.

747-400D 국내선 마지막 비행은 2011년 2월 20일에 오키나와 나하-하네다 JL1024편,[36] 747-400 국제선 마지막 비행은 2011년 2월 28일 호놀룰루-나리타 JL75편이었으며,[37][38] 747 최종운항은 2011년 3월 1일 나하-나리타 JL3098편을[39][40] 끝으로 일본항공은 41년간의 747 운항을 공식적으로 마무리했다.

거기에 보잉 787이 일으킨 말썽 때문에 결국 에어버스 기종의 첫 자체도입을 결정하여, A350을 무려 31대 주문했다. 2019년 6월 13일에 첫 A350-900이 일본항공에 인도됐으며, MTOW가 낮은 Regional(국내선용) 버전이다[41].

이것에 대해서도 이나모리 가즈오 회장이 한 말이 있다. “일본항공은 향후 항공기 구매와 관련해 보잉에 대한 선입견을 없애야 한다”는 것.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나모리 회장은 A350이 좋다고 단정짓지 않았으며, 신중하게 생각해서 도입을 결정하라고 지시하였다. 일본항공은 2017년 A350 이외의 대형기를 도입하지 않겠다고 공언하였고, 2019년 당시 총 40대 보유하고 있는 B777을 2025년까지 A350으로 대체 예정이다. A350의 국제선용 기재 도입은 2023년부터 되었으며 실제 취항은 2024년부터 시작하였다.(#)[42][43]

일본항공은 예전 보잉 747 천국으로 불리던 시절에 지금의 에미레이트 항공, 싱가포르항공에 버금가는 스타일을 가지고 있어서 호황을 누렸던 터라 대형급 항공사로 이어지는 식이었던 특색이 있었다.

일본항공이 보유했던 최후의 보잉 747-400들은 중고로 매각되어 트랜스아에로를 거쳐 현재 로시야 항공에서 운항 중이다.

9.2. 끝내주던 태평양 횡단 노선

미주 노선은 대한항공보다 그 취항 도시 수가 적다. 다만, 이외에 오사카나고야에서도 LA호놀룰루로 가는 항공편은 굴리고 있다. 원월드 가맹사인 LATAM 브라질 항공이 2015년 3월에 일본항공과 코드셰어 협정을 맺고 일본항공 하네다 - 뉴욕 노선에 코드셰어를 걸어서 상파울루 방면의 환승 연계를 해 놓은 건 있다.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이 미주 노선에 강한 것은 인천국제공항미국 항공사들이 취항하려 하지 않고 코드셰어로 때우기 때문이다.[44] 인천국제공항에 직접 미주 노선을 취항하는 외국항공사는 아메리칸 항공(서울-댈러스), 유나이티드 항공(서울-샌프란시스코, 서울-뉴어크[예정]), 델타항공(서울-디트로이트, 미니애폴리스, 시애틀, 솔트레이크시티, 애틀랜타), 에어 캐나다(서울-밴쿠버, 토론토, 몬트리올), 아에로멕시코(서울-멕시코시티), 웨스트젯(서울-캘거리)뿐이다.[46] 반면 도쿄 국제공항이나 나리타 국제공항에는 대부분의 미주 항공사들이 자기 허브 공항에서 출발하는 직항노선을 가지고 있어서 일본항공이 미국의 모든 주요 도시를 커버할 필요가 없다.[47] 그래서 일본항공은 일본인들의 수요가 많은 노선만 운행하는 중.[48][49]

9.3. 스카이팀 대신 가입한 원월드

사실 에어 프랑스, KLM 네덜란드 항공, 중화항공, 대한항공 같은 스카이팀 멤버들과 꽤 사이가 좋았으나 주변 항공사들이 스타얼라이언스스카이팀, 원월드같은 항공 동맹에 가입해 나감에도 불구하고 유아독존식으로 남아 있었고, 2005년 원월드 가입을 발표하여 2007년 4월 1일자로 가입 승인을 받았고 같은 해에 정식 멤버로 들어왔다. 실제로 원월드에 가입하기 전에는 스카이팀에 가입하는 게 아니냐는 말이 있었다. 사실 처음엔 스카이팀 가입 예정이었다. 같은 스카이팀 회원사였던 대한항공델타항공이 스폰하고 있었으나 아메리칸 항공돈지랄 때문에 무산됐다고 한다.

예전에는 관계가 서먹하긴 했지만 그래도 2018년 기준으로 웬만한 원월드 회사들과의 코드셰어인터라인은 제대로 되고 있다. 미국방면은 아메리칸 항공과, 영국 방면은 영국항공과 제휴를 맺어 운행하기도 하며 심지어 핀에어와의 코드셰어도 실시하고 있다. 덕분에 김해국제공항 출발로 유럽행 일본항공 편을 조회해 보면 나리타에서 핀에어와 연계가 이뤄지고 미국행은 아메리칸 항공 편을 실제로 탑승하는 경우도 있다.

상장폐지 크리를 먹었으나 그래도 아시아의 주요 공항인 나리타 국제공항을 허브로 쓰는 태평양 횡단 노선의 본좌급 대형 항공사라서 원월드스카이팀이 재정 지원을 명목으로 서로 데려오려고 했다. 아메리칸 항공스카이팀델타항공 양쪽을 저울질 하고 있는 듯하다가 결국 원월드에 잔류했다. 아무래도 대한항공과 친한 친구이긴 하지만 스카이팀에 들어가면 얼라이언스 내부의 태평양 횡단 노선의 콩라인이 될 게 뻔한 데다[50] 아메리칸 항공과의 관계가 중요하게 작용했다. 사내에서는 당연히 더 좋은 조건을 내건 델타 항공으로 바꾸자는 의견이 많았지만 이나모리 회장이 "오랜 파트너를 단순히 이해 관계 때문에 버리는 것은 정도가 아니다"라며 잔류 결정을 내렸다고 한다.

사실 일본항공 입장에서도 합리적인 선택일 수 있는 것이 일본항공이 원월드 항공사로 남아있는다면 미국 최대 항공사인 아메리칸 항공이 나리타로 데려다 주는 한국, 중국, 동남아 환승 승객들 상대로 환승 장사를 독점적으로 받아 먹을 수 있지만 스카이팀으로 이적하여 델타항공과 손을 잡는다면 델타 항공에는 이미 대한항공중국동방항공이라는 대체재가 있기 때문에 단기적으로는 이득이 될지 몰라도 장기적으로 좋은 선택이 되기 어렵다. 캐세이퍼시픽항공이 있긴 하지만 어쨌거나 동북아에서 가장 아쉬운 항공동맹이 원월드이니 말이다. 사실 중국해남항공도 원월드 가입을 강력히 추진했으나 중국 정부의 푸대접으로 무산되었다. 또한 하이난 섬이 홍콩 바로 옆이라 캐세이패시픽항공의 반대가 컸을 것이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이 부실한 원월드의 멤버로써 홍콩캐세이퍼시픽과 함께 세력 확장을 위해 부단히 노력중이나 사실상 한계에 봉착해있다. 아시아 지역의 원월드 멤버는 일본항공과 캐세이퍼시픽, 캐세이드래곤이었는데, 캐세이드래곤은 코로나로 인해 2020년 파산, 일본항공 입장에서는 더더욱 부담이 가중될 수밖에 없다. 거기에 일본항공 본인들도 경영상태가 좋지않아 ANA와의 통합을 모색중인 상태이다. 이게 시행되면 원월드의 동아시아권 노선망은 다시 캐세이퍼시픽이 전적으로 떠 맡아야 될 판이다.

9.4. 보잉 787 좌석 배열

특이하게도 이 회사의 보잉 787은 -8이든 -9든 일반석이 2-4-2 배열이다.[51] 전일본공수를 비롯한 다른 회사들은 3-3-3 배열을 채택하고 있는데, 덕분에 좌우폭이 약간이나마 늘어났고 조금이나마 더 편해졌다. 터치스크린 방식의 기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기내 와이파이 서비스, 전기 코드, USB 코드를 모두 지원해 준다. 단, 화장실 수가 적은 게 함정. 다른 회사들 기재와는 다르게 동체 제일 뒷부분에 화장실이 없고 3번째 출입문 쪽에 몰려 있다 . 그러나 최근 일본항공에서 보유중인 보잉 787-8 중 일부를 국내선 전용으로 리모델링하면서 일부 보잉 787-8이 기존 2-4-2 배열에서 3-3-3 배열로 바뀌었다.[52]
파일:일본항공 787 이코노미석.jpg

9.5. 대한항공과의 관계

원래부터 대한항공의 전신인 대한국민항공(KNA)과 협력 관계였으며, 대한항공의 성장에 약간이나마 이바지한 회사이기도 하다. 이 때 쌓은 친분은 2000년대 들어서 두 회사가 서로 스카이팀과 원월드로 갈라지고 나서도 계속해서 유지되고 있다. 김포-하네다 노선의 경우 전편 대한항공과 공동운항할 정도. 당연히 라운지도 대한항공 라운지를 이용한다. 물론 이는 같은 스타얼라이언스 멤버로까지 묶여있는 아시아나항공-전일본공수와 경쟁하기 위해선 필수적이긴 하다. 대한항공처럼 과거에는 국영, 정확히는 반관반민 항공사였으나 지금은 민영화되었다. 다만 대한항공의 민영화는 한진그룹이 인수한 1969년 3월 1일이지만, JAL의 민영화는 1987년[53]으로 대한항공보다 한참 늦었다. 사실 대한항공은 처음 민간기업으로 시작했으나, 수요 급감과 환율 상승으로 인해 경영 부진을 겪고, 당시 사장이었던 신용욱이 자살하는 사태가 벌어지면서 1962년 정부에 인수되었다. 하지만 그 후에도 적자가 계속되어 1969년 한진그룹에 인수되면서 민영화된 것이기에 일본항공과는 엄밀하게 말해서는 경위가 다르다.

9.6. 전일본공수와의 관계

국내 라이벌 전일본공수와는 사사건건 경쟁하지만, 과거 3사 시절 하네다-이타미 국내선에 공동 셔틀 운항을 실시한 이력이 있다. 2017년에는 지방 섬 노선 유지를 위해 국토교통성을 끼고 공동운항 협의를 진행했으나(#), 결국 오리엔탈 에어 브릿지, 아마쿠사 항공과의 3사 공동운항만 하고 있다.

9.7. JAL 스칼라쉽 & 하이쿠 대회

JAL 스칼라쉽은 매년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토론, 문화체험 등을 하는 프로그램이다. 대상은 아시아, 오세아니아 지역의 대학 2학년 이상 대학생 또는 대학원생으로 전공무관이다. 참가자 전공을 보면 일본 관련이라고 해서 꼭 유리하지 않은 듯하다. 우리나라는 모집 시, 특별히 도시제한을 두지는 않는다. 참가자가 가장 많은 국가는 중국이고 그 다음으로 많은 국가는 우리나라이다.[54]

우리나라, 중국(대만, 홍콩 포함) 등 일부국가를 제외하고 대부분 국가당 1명 정도 뽑는다. 말 그대로 참가자가 곧 국가대표. 한국인 참가자의 경우 JLPT N1 또는 JPT 800을 기본으로 깔고 시작하기 때문에 일본어 수준이 타 국가참가자들에 비해 높은 편이라고... 선발과정이 몇 년 전까지 서류(성적증명서, 자격증, 800자~1000자 에세이) - 면접이었는데 서류 - 필기 - 면접으로 강화된 듯하다. 다행히 에세이 주제를 모집 시 미리 공고하는 듯 하다. 서류통과는 자신있으나 작문이 자신 없는 사람은 800자~1,000자 수준의 에세이를 미리 준비해서 외워가면 좋을 듯.

면접은 일본항공 임원들 앞에서 일본어로 보는 듯하다. 에세이 면접 합격 후기선발안내

개인 용돈을 제외하고 식대, 항공료 등을 일본항공에서 전액 부담한다.

하이쿠 대회는 전 세계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대회이다.

10. 계열 항공사

JTA, 젯스타와 ZIPAIR, 스프링재팬을 제외한 모든 자회사편은 각 계열사가 보유한 IATA, ICAO 코드와 관계 없이 일본항공(JL) 코드로 운항한다. 단 일본 국내선의 안내는 자회사별로 따로 안내하며, 안내 표기 또한 IATA, ICAO 코드와 관계없이 항공사 약자를 사용한다. 가령 홋카이도 에어 시스템은 ICAO 코드가 NTH이지만 시각표 안내는 HAC로 표기.
  • 일본항공(JAL) : 모회사
  • J-AIR : 오사카(이타미) 베이스로 국내선 지선 노선을 담당하는 자회사.
  • 일본 트랜스오션항공(JTA) : 나하 공항 베이스의 지역항공사로 오키나와현과의 합작법인.
  • 일본 에어 커뮤터(JAC) : 구 JAS 계열사. 오사카(이타미)가고시마 베이스로 프롭기를 운용하는 지역항공사이며 가고시마현 지자체와의 합작법인이다.
  • 류큐 에어 커뮤터(RAC) : JTA의 자회사이며 나하 공항 베이스로 39~50석의 프롭기를 운용하는 지역 항공사.
  • 홋카이도 에어 시스템(HAC) : 여기도 구 JAS 계열. 2011년 JAL의 출자 철수로 계열에서 이탈했다가 2014년 다시 복귀했다.
  • 젯스타 재팬(JJP) : 일본항공과 콴타스의 합작 LCC이다. 2025년 현재 JAL 지분은 50%.
  • ZIPAIR : 중장거리 전문 LCC, 2020년 6월 취항.
  • 스프링재팬(SJO): 일본항공과 춘추항공의 합작 LCC이다. 원래는 지분 투자 목적으로 5% 정도의 지분만 가지고 있었으나 2021년에 지분율을 과반까지 끌어올리면서 자회사로 편입시켰다. 2025년 현재 JAL 지분은 66.7%
  • JAL CARGO : 2010년까지 존재하던 화물항공사였다. 구조조정 과정에서 기체들을 전부 매각당해 현재는 LD컨테이너만 운송하는 사실상 지상조업사가 되었으나 2024년 2월부터 다시 화물기인 보잉 767-300SF기를 운용하게 되어, 13년만에 다시 부활하게 되었다.

10.1. 과거 계열사

  • JAL익스프레스(JEX) : 국내선 737 운용노선을 담당하는 자회사로 2014년 10월 모회사와 통합.
  • 일본아시아항공(JAA) : 대만 노선 취항 목적으로 설립했던 자회사. 2008년 모회사와 통합.
  • 재팬에어차터→JALways(JAZ)[55] : 전세기 운용 기능을 가졌던 자회사로 하와이, 발리 등 JAL의 휴양지 노선을 웻리스 운영하기도 했다. 이 경우 편명은 JA/JO 코드가 함께 쓰였다. 알록달록한 Resocha 도색으로도 유명해서 모형으로도 나왔다. 2010년 모회사와 통합.
  • 일본 유니버설 항공(JUST) : 물류회사와 합작으로 설립한 국내 화물기 전문 자회사. 이후 폐업했다.
  • 일본에어시스템(JAS)→일본항공 재팬 : 2002년 M&A로 인수한 이후 2006년 10월 흡수합병할 때까지 별도 계열사로 존재했다.
    • 할리퀸 에어(HLQ) : 구 JAS 계열의 전세기 전문 계열사로, JAS가 잠시 하와이에 취항할 때 도입했던 DC-10을 인계받아 운용하였다가 기종을 MD-80 쪽으로 바꿔 JAL 계열사의 위탁운영을 했다. 2005년 항공기 운영을 포기하고 2008년 폐업.

11. 사건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일본항공/사건 사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일본항공/사건 사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일본항공/사건 사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기내 보딩 뮤직

<nopad>
<rowcolor=#fff> 기내 탑승 음악 <I Will Be There With You> [56] 목적지 착륙 후 나오는 음악 <明日の翼>[57] [58]

13. 기내 안전 비디오

[59]
2019년 8월에 공개된 신형 기내 안전 비디오. 동년 9월 1일부터 적용된다. 최근 세계 항공사고 사례에서 얻은 교훈과 안전 자문 그룹의 조언을 바탕으로 더욱 현장감 있는 영상을 목표로 만들었다고 한다.


국제선용 구형 기내 안전 비디오. 일본 국내선용

이 구형 기내 안전비디오는 2015년에 만든 걸 2018년에 또 바꾸고 수요가 많은 하와이행 전용 비디오를 또 따로 만드는 등 정성들여 만드는 티가 나는 전일본공수와는 달리 어디처럼 2000년대 초반부터 도입된 비디오를 2019년까지 20년 가까이 우려먹었던지라 당시엔 사람들로부터 시대착오적이라는 쓴소리를 많이 들었다. 심지어 저비용 항공인 스타플라이어보다도 못하단 소리가 나오니 말 다한 셈. 닛신식품 치킨라멘 광고로, 뒤이어 독일 항공 유튜버인 Swiss001마저 패러디되기도 했다.

90년대 안전 비디오

14. 여담

  • 회사의 약어를 이니셜리즘 방식으로 에이 엔 에이 라고 읽는 전일본공수와 다르게[60] 일본항공은 애크로님 방식인 쟈루(ジャル)[61]라고 읽는다. 이게 비공식적인 별명이 아닌 광고에도 나오는 어엿한 정식 명칭이다.
  • 노인학대 기질이 있는지 747-100은 2002년[62], -200은 2007년[63], -300은 2009년, DC-8은 1988년, DC-10은 2005년[64], MD-80[65]은 2010년까지 운용했다.
  • 과거 유류 할증료를 항공권 값과 별도로 표시하던 시절에는 JAL의 항공권에 붙는 세금 폭탄은 너무 과도해서 항공기 관련 커뮤니티에서 몇 차례 까인 적이 있다. 대표적으로 겨우 몇만원짜리 항공권에 여러 세금 및 수수료가 붙어서 결국 백만원대를 그냥 넘어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그래도 2018년 현재는 항공권 값에 유류할증료를 반드시 포함해서 표시하는 추세이므로 이런 낚시는 적어진 편.
  • 코로나19 사태 당시 일본에 입국하는 한국인을 14일간 격리하고 무비자 입국을 중지함에 따른 여파로 한일노선이 급격히 감편됐는데, 이 때문에 귀국하지 못한 일본인들을 귀국시키기 위해 3월 10일, 12일 2차례에 걸쳐 인천국제공항으로 전세편을 운항했다.#
  • 가벼운 지적장애가 있는 19세 여성을 지상직 승무원으로 채용해 화제가 됐다. #

14.1. 국내선 무료 항공권 이벤트 한국 노선 제외 논란

  • 2024년 9월, 일본항공은 소도시 관광 활성화를 위해 일본항공 국제선으로 방일하는 외국인에게 국내선 무료 환승 항공편을 제공하는 이벤트를 실시했는데#, 해당 이벤트에서 한국 노선은 제외되어 논란이 된 바 있다. 일부 언론에서는 한국 노선 제외를 한국인 제외로 왜곡 보도하여 마치 일본항공이 항공사 차원에서 의도적으로 한국인을 차별했다는 오해를 불러일으켰다.### 그러나, 해당 이벤트는 한국 노선을 대상에서 제외할 뿐, 한국 여권 소지자에 대해서 이벤트 대상에서 제외한다는 것이 아니며[67], 한국 노선을 이벤트 대상에서 제외한 것도 수요문제와 연관이 있기 때문에 기업의 이익면에서 타당한 측면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혐일, 반일론자들은 일본항공의 이러한 정책이 한국인 혐오에 기반한 차별적인 정책이라며 근거없는 낭설을 퍼뜨리며 반발하고 있다.
    • 일본항공의 한국 노선은 김포-하네다 항공노선이 유일무이한데, 절대 다수의 한국인은 일본 방문시 일본 항공사가 아닌 국적기를 이용하고 일본항공은 일본인, 그중에서도 상용수요가 많아 주로 일본인 기업인이 출장목적으로 자주 이용하는 항공사이다. 이는 경쟁항공사인 ANA도 마찬가지이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인 관광객 수요가 매우 적은 김포-하네다 노선에도 굳이 혜택을 제공하여 손해를 감수할 이유가 없다. 기업은 자선단체가 아니라 이익을 추구하는 집단이며 당연히 항공사는 자사의 이익과 손해 고려하여 정책을 결정할 권리가 있다.[68]
    • 최단거리 국제선 노선인 한국 노선 이용객에도 국내선 무료 항공권을 제공하여 환승 관광을 유도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수익이 될 수 없으며 오히려 기업 입장에서 손해보는 장사이다.[69] 일본 소도시 구석구석 까지 국제선으로 바로 갈 수 있는 나라는 한국과 대만 정도 뿐이며, 한국인은 국적기 직항으로 소도시에 바로 방문할 수 있는데 굳이 일본항공으로 하네다 공항까지 와서 국내선으로 환승할 이유가 없다. 일본항공의 방일 외국인 국내선 무료 이벤트의 목적은 원거리 국가에서 일본에 입국한 외국인이 일본 대도시 뿐만 아니라 다른 지방 소도시에도 관광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함인데, 이들 외국인이 장거리 노선을 운항중인 도쿄(하네다, 나리타)나 오사카(간사이)에서 국내선 노선으로 환승하여 여행하도록 하기 위해 국내선 무료항공권을 증정하는 것이다. 이들 국가 외국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일본 방문이 용이한 한국인이 이런 이벤트를 이용할 이유가 없으며 오히려 소도시 직항 항공편을 바로 끊는 것이 일본항공 환승 노선으로 가는 것보다 훨씬 싸다. "국내선 무료 항공권을 받겠다"고 일본항공의 김포-도쿄 노선을 끊고 도쿄에서 환승하겠다는 것은 극소수의 예외[70]가 아닌 이상 돈도 시간도 낭비하는 선택이다.
    • 결론적으로 최단거리 국제선 노선인 한일 노선에 대하여 국내선 무료 혜택을 제공하지 않는 것은 오히려 한국인들이 다른 국가 국민들에 비하여 일본 접근성이 가장 좋은 유리한 위치에 있다는 점을 반증한다. 아무리 국내선 무료 티켓을 제공하더라도, 일본 소도시 방문을 위한 비용이 한국인에 비하여 훨씬 많이 들기 때문에[71] 일본 관광에 있어서 한국인이 가장 저렴하게 다녀올 수 있는 이점을 누리고 있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

15. 둘러보기

파일:원월드 가로형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아메리칸 항공 로고.svg파일:아메리칸 항공 로고 화이트.svg
파일:영국항공 로고.svg
파일:캐세이퍼시픽항공 로고_좌우.svg
파일:콴타스항공 로고.svg파일:콴타스항공 로고 화이트.svg
파일:핀에어 로고.svg파일:핀에어 로고 화이트.svg
파일:이베리아 항공 로고.svg
파일:로얄 에어 모로코 로고.svg
파일:일본항공 로고 가로형.svg파일:일본항공 로고 가로형 화이트.svg
파일:로얄 요르단 항공 로고.svg
파일:S7 항공 로고.svg
{{{#!wiki style="letter-spacing: -1px;"
파일:말레이시아 항공 로고.svg파일:말레이시아 항공 로고 화이트.svg
파일:카타르항공 로고.svg파일:카타르항공 로고 화이트.svg
파일:알래스카항공 로고.svg파일:알래스카 항공 로고 화이트.svg
파일:피지 항공 로고.svg파일:피지 항공 로고 화이트.svg
파일:오만 항공 로고.svg
}}}}}}}}} ||

파일:세계 지도_White.svg 스카이트랙스 선정 세계 10대 항공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25년 기준 스카이트랙스 선정
<rowcolor=#000,#e5e5e5> 1위 2위 3위 4위 5위
파일:카타르항공 로고.svg파일:카타르항공 로고 화이트.svg 파일:싱가포르항공 로고.svg파일:싱가포르항공 로고 다크.svg 파일:캐세이퍼시픽항공 로고_상하.svg 파일:Emirates 로고.svg 파일:ANA 로고.svg파일:ANA 로고 화이트.svg
<rowcolor=#000,#e5e5e5> [[카타르|
파일:카타르 국기.svg
]]
[[싱가포르|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
[[홍콩|
파일:홍콩 국기.svg
]]
[[아랍에미리트|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rowcolor=#000,#e5e5e5> 6위 7위 8위 9위 10위
파일:터키항공 로고 가로형.svg파일:터키항공 로고 가로형 화이트.svg 파일:대한항공 로고.svg파일:대한항공 로고 화이트.svg 파일:에어 프랑스 로고.svg파일:에어 프랑스 로고 화이트.svg 파일:일본항공 로고 가로형.svg파일:일본항공 로고 가로형 화이트.svg 파일:하이난 항공 로고.svg파일:하이난 항공 로고.svg
<rowcolor=#000,#e5e5e5> [[튀르키예|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 ||
[공식] [한국어] [3] 돗토리 미츠코는 일본 최초의 여성 항공사 사장이 될 예정으로, 39년간 일본항공에서 근무했었으며 그 중 20년동안 객실 승무원이었다. 객실 승무원 출신이 그룹 대표까지 올라가게 된 매우 드문 케이스로, 인사가 발표되지마자 일본 내에서 큰 화제가 되었다.[4] 최대 주주[5] 2대 주주이며, JR 동일본의 최대 주주이기도 하다.[6] 트랜스오션항공을 통한 손자회사다.[7] 2010년대부터는 일본의 제 2항공사인 전일본공수에게 밀리고 있다. 일부 사람들은 전일본공수가 일본의 플래그 캐리어 항공사 자리를 가져갔다는 말이 있는데, 플래그 캐리어 항공사는 여전히 일본항공이 맞다. 사실 대형 항공사(FSC)가 2개 이상인 나라 중에서 둘 다 경쟁이 치열한 경우는 일본, 미국, 중국 정도밖에 없다. 무엇보다 일본항공은 1990년대까지는 지금보다 훨씬 크고 다양한 기체 수와 노선을 보유한 항공사였던 반면, 전일본공수는 일본항공이 2000년대부터 시달린 계속된 경영난으로 파산 직전까지 몰락할 때 쯤에서야 일본항공과 라이벌 수준으로 겨룰 수 있을 만큼 커진 항공사이다. 따라서, 전일본공수는 일본항공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지 않는 이상 일본의 플래그 캐리어라고 말할 수 없다. 거기다 코로나 이후 갈수록 개악되어가는 전일본공수 쪽의 라운지 서비스에 비해 일본항공이 여전히 우위를 점하는 부분이 있다.[8] 일본도 1964년 기준 도쿄-오사카 노선 가격이 6,800엔이었는데, 당시 샐러리맨 평균 월급이 27200엔이던 시절이었으니 도쿄-오사카 노선조차 당시 샐러리맨의 일주일치 봉급 수준이던 셈이다. # 당연히 해외 티켓 가격은 이보다 더 비쌌는데, 일본이 1964년 해외여행이 자유화된 직후인 1965년 일본항공이 설정한 하와이 9일 투어 가격이 378,000엔, 유럽 16일 투어 가격이 675,000엔이었다. #[9] JL12편과 AA176편으로 연결되며, 이들 중 AA176편은 동계 시즌에만 연결이 되고 하계 시즌에는 연결되지 않는다. 오후 2시 10분에 출발하는 JL958을 탔을 때 연결되는 AA60편도 오후 도착이라는 게 차이일 뿐이지 부산 출발시각과 거의 비슷한 시간에 댈러스에 도착한다.[10] 대한항공, 에어부산, 제주항공, 진에어[11] 나리타, 하네다[12] 한국 측은 자국 항공사에 쿼터를 더 주고 싶어하고, 하네다 쿼터는 수요가 포화된 서울 - 도쿄 노선에 배분하여, 인천 포화를 줄이고, 부산 착발 장거리 노선을 확대하려고 하고 있고, 일본 측에서도 나리타 국제공항의 마비를 해소하기 위해 하네다, 오사카 착발 장거리 노선을 증편을 원한다. 일본 측의 이해관계인 도쿄 착발 장거리 수요의 경우, 도쿄권 내에서 나리타를 줄이고 하네다를 증편하면, 하네다의 중단거리 쿼터는 감소할 수밖에 없고, 한국 측의 이해관계인 부산 착발 장거리 노선이 생기면 도쿄 직항 수요만 남고 기존 경유 수요는 고스란히 부산 직항 수요로 전환된다. 그리고 수도권 수요 중 인천 포화를 줄이려면 김포 - 하네다 차터편을 줄이고 부산 쪽으로 배분하기는 쉽지 않다.[13] 2025년 10월 21일부턴 에바항공도 추가 취항한다.[14] 극단적으론 싱가포르항공을 통한 싱가포르 창이 공항 환승도 가능은 하지만 운임 및 소요시간 면에서 타 회사들 대비 상대가 안 된다.[15] 이 시기에 전일본공수는 마린 점보 도장(고래가 그려진 도장), 포켓몬스터 특별 도장 등을 선보였었다. 현재 일본항공이 특별 도장을 그만둔 후에도 전일본공수는 심심할 때면 특별 도장기를 내놓는다. 이런 특별 도장에 관한 내용은 전일본공수/특별 도색 문서 참조.[16] 일본어판 위키피디아는 1952년 이전의 잠정 도장까지 포함하여 2대 도장으로 칭하고 있다.[17] DC-8, CV-880 같은 제트 여객기에 쓰였다. 보잉 727도 이와 같은 도색을 썼으나 일본 국내선 위주로 운용되었던만큼 기수 쪽에 '日本航空'이라는 한자가 써졌다.[18] 여담으로 해당 도색을 적용한 보잉 747, 콩코드 여객기, 보잉 2707의 컨셉 아트가 존재한다. 파일:일본항공 구도색 보잉 747.jpg[19] 1970년에 보잉 747-100을 도입할 무렵부터 쓰인 도장으로, 일본항공의 황금기를 상징한다. 사실 츠루마루 로고는 1959년부터 사용되었으나 수직 미익에 그려지기 시작한 건 이때부터이다. 그러나 이 도장은 일본항공 123편 추락 사고 이라는 단일항공기 사상 최악의 참사를 겪은 비극이 있는 도장이기도 하다.[20] 747-400이 도입된 1989년부터 2002년까지 쓰인 도장. 미국 랜도사의 작품이다. 항공사 명 표기가 "JAPAN AIR LINES" 에서 "JAL" (및 작은 'Japan Airlines') 로 바뀌었다. 또 측면 전체에 그어진 붉은 치트라인이 사라지고 앞부분만 회색선이 그려져 있다. 수직 미익의 츠루마루는 여전히 유지되었으나, 마크 내 JAL의 폰트가 새 로고에 맞추어 살짝 바뀌었다.[21] JAS와의 합병에 따라 CI를 갈아엎으면서 츠루마루가 사라지고 "The Arc of the Sun"이 들어갔다. 그리고 부도를 맞고 말았다. 일명 JΛノL 도장.[22] 부도 후 구조조정의 한 과정으로 옷을 갈아입혔다. 기체 하단에 있던 회색 부분이 없어지고 회사명만 남은 순수 유로화이트의 동체와 함께 잘나가던 옛 시절로 돌아가려는 듯 츠루마루가 다시 돌아왔다. 사명 표기도 "JAL"에서 "JAPAN AIRLINES"로 회귀. 그래도 꼬리날개의 츠루마루에 JAL 표기가 남아있기는 하다.[23] 홍콩지사에서 국제우편으로 보내준다.[24] 물론 반대로도 가능하다. 만약 한일노선으로 일본항공을 탔다면 유효기간이 3년이니, 무조건 스카이패스로 적립하자. 단, 본인이 원월드를 많이 이용한다면 AAdvantage로의 적립이 나을 것이다.[25] 부산지점 전화도 있긴 한데, 서울 쪽으로 자동 연결이라고 한다.[26] 2018년 11월 20일부터 15,000~20,000마일에서 변경되었다.[27] 해당 아멕스 시리즈(그린, 골드, 플래티넘)은 삼성카드에도 존재하나 이 쪽은 전일본공수의 마일(1:18)로 전환이 가능하다.[28] 극중에서는 CA(캐빈 어텐던트)라고 부른다.[29] 고이즈미 준이치로일본 총리의 장남, 정치인 고이즈미 신지로의 형.[30] 호놀룰루 공항에 주기해 있을때에만 하였다. 실제 비행할때는 택싱 전에 제거를 했다.[31] 참고로 세계에서 가장 많은 747을 운항한 항공사는 사우디아 항공. 이쪽은 무려 131대의 747을 운항했으며, 덤으로 사우디아 항공은 -100부터 -8까지 모든 747 시리즈를 운용한 유일한 항공사이기도 하다.[32] 심지어 81대만 팔린 -300도 16대나 운용했다. 다만 -SP는 운용하지 않았다.[33] 정확히 말해 747-100SR, -300SR(Short range)이 초반에 운용되었고 1988년 보잉 747-400 개발과 함께 747-400D(Domestic)가 추가되었다. 이들 기종의 특징은 단거리 운항으로 인한 사이클 증대를 위해 랜딩 기어를 포함한 구조를 강화하고, 연료 용량을 줄인 대신 최대이륙중량(MTOW)을 줄인 것이다. 좁은 공항에서의 운용에 장애물이 되고 단거리에서 효과가 적은 윙렛도 떼어냈다. 대부분의 공항에서 이착륙 사용료를 MTOW 기준으로 매기기 때문에 공항 사용료를 낮출 수 있다.[34] 콴타스보잉 747에 800명 태워서 탈출시킨 사례가 있긴 있지만, 어디까지나 이는 예외 사례다. 보잉 747의 승객 탑승 최대 기록은 1991년 5월 24일 에티오피아의 유태인들을 탈출시키기 위해 이스라엘이 벌인 Operation Solomon 중에 수립. 이스라엘 국영 항공사인 엘알 소속 보잉 747에 무려 1,221명(!)이 탑승. 이러한 긴급 대피가 아닌 상용 운항 인원으로는 에미레이트 항공의 2클래스 A380이 615명으로 세계 최다 기록이다.[35] 사실 2001년에 대형사고가 한번 날 뻔했다. 애초에 관제사의 잘못이 컸지만 그것도 같은 회사의 항공기랑 공중에서 충돌할 뻔했다.[36] B747-446D, JA8084[37] B747-446, JA8089[38] 사실 이 항공편은 2월 28일에 출발하였지만, 날짜변경선을 넘어 비행하였기에, 일본엔 2011년 3월 1일에 도착하게 된다. 도착시간은 현지시각 오후 1시 25분. JL3098편보다 10분 늦게 도착함에 따라 마지막 일본항공 747 마지막 비행을 장식한 항공기 및 항공편 타이틀을 얻게 되었다.[39] 임시편명, B747-446, JA8077[40] JL75편보다 10분 일찍 (오후 1시 15분) 도착함에 따라 일본항공 747 마지막 비행을 장식한 항공기 및 항공편 타이틀을 얻지 못하고, 대신 최종 국내선 마지막 747 비행편 타이틀을 얻게 되었다.[41] 도쿄-후쿠오카, 삿포로(신치토세), 오키나와(나하), 그리고 오사카(이타미)-오키나와(나하) 노선을 주력으로 운항하고 있다.[42] A350의 도입을 결정한 우에키 전 사장(현 회장)은 JAL 최초의 조종사 출신으로, A350을 도입할 때 "시뮬레이터로 조종해 보니 대단했다"는 인상을 남기기도 했다. 후임인 아카사카 현 사장은 반대로 JAL 최초의 정비 엔지니어 출신.[43] 기종은 A350-1000으로서 역대 일본항공 첫 에어버스 국제선 기종이다. 하네다-뉴욕 노선에 첫 데뷔할 계획이고 이후 런던, 샌프란시스코, 댈러스, 파리, 로스앤젤레스, 시카고, 시드니 등의 국제선 노선으로도 확장 투입된다.[44] 반대로 일본 항공사들은 주로 국내선에 의지한 반면, 대한민국 국적 항공사들은 국내선만으론 먹고 살 도리가 없어서 미주 노선을 적극적으로 개척했고, 그 여파로 미국 항공사들의 취항이 적다는 의견도 있다. 대한민국/경제가 수출이 없으면 유지가 안 되는 거와 비슷한 논리.[예정] 2026년 9월 취항 예정.[46] 싱가포르항공 서울-로스앤젤레스 노선이 있었으나 2018년 12월 1일 부로 단항.[47] 실제로 미국에 직항으로 갈 수 있는 도시의 숫자는 아직도 인천보다 나리타가 더 많다. 반면 유럽은 인천이 더 많다. 게다가 나리타발 유럽 노선들을 하네다로 옮기는 중이어서 나리타는 갈수록 입지가 좁아지고 있다. JAL도 나리타에서 띄우던 런던/파리 노선은 모두 하네다로 옮겨서 나리타발 런던/파리 노선은 에어 프랑스영국항공 등의 코드셰어편만 이용할 수 있다.[48] 예를 들자면 하와이 호놀룰루, 샌프란시스코, 로스앤젤레스에 좀 더 쳐줘야 기본적인 비즈니스 수요가 많은 시카고, 뉴욕 정도.[49] 하와이 노선을 예로 들면 경쟁사인 전일본공수가 초대형기인 A380을 무려 3대나 도입해 교차로 운용할 정도로 수요가 높다.[50] 취항지 수로는 인천발 대한항공에 밀리는 상황이고(물론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일본인들의 수요가 많은 데만 가는 게 일본항공이다만) 물량으로는 중국동방항공샤먼항공을 당해낼 재간이 없을 가능성이 컸다.[51] 전일본공수 787-8 초기분 중 극히 일부 기종에도 2-4-2 배열이 장착되어 있긴 하지만 구형 좌석이라 스크린이 매우 작다.[52] 현재 국내선 보잉 787에 한해 3-3-3 배열로 바꾸려 하고 그간 일본항공을 제외한 모든 보잉 787을 보유한 항공사들이 전부 3-3-3배열이기에 일본항공도 서서히 그런 추세를 따를 수 있다.[53] 그 해에 철도부문인 국철민영화되었으며, 같은 원월드 멤버인 영국영국항공도 그 해에 민영화되었다. 당시 영국 총리마가렛 대처.[54] 한국은 2명~3명을 모집한다.[55] 위 일본 에어 커뮤터와의 중복으로 JAC 약자는 쓰지 못했다.[56] 캐나다의 작곡가 데이비드 포스터가 작곡하였다. 그의 아내 캐서린 맥피가 부른 가사가 있는 버전도 있다. 캐서린 맥피는 영어 가사로 불렀고, 일본어 가사 버전도 따로 있다. 기내에서 틀어 놓는 건 연주곡 버전이다.[57] "내일의 날개" 라는 뜻. 일본항공의 이전 슬로건인 "明日の空へ,日本の翼"(내일의 하늘로, 일본의 날개)와도 일맥상통하는 제목이다.[58] 히사이시 조 작곡.[59] 여담으로 기내 안전 비디오 속 기종은 보잉 777이다.[60] 그럴 수밖에 없는 이유가 '아나(ANA)'가 일본어로 '구멍(穴、あな)'이라는 뜻이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전일본공수 측에서도 아나라고 읽었으나 1986년경을 기점으로 에이 엔 에이로 변경되었다.[61] 영어식으로는 '잘'(JAL). 한국에서도 대한항공 기체를 '칼기'라고 부르듯이 일본항공 기체도 흔히 '잘기'라고 부른다.[62] 747SR까지 합하면 2005년[63] 화물기 버전까지 합하면 2008년[64] MD-11(2004년 퇴역)보다도 1년 더 버텼다.[65] 2006년 JAS랑 합병하면서 들여온 거다.[66] "힘을 합쳐서 성공시키자"는 슬로건까지 내걸었다.[67] 다시 말하자면, 한국 노선이 아닌, 제 3국에서 일본항공을 타고 일본에 방문한 한국인은 국내선 무료 혜택을 받을 수 있다.[68] 일본항공은 일본을 대표하는 플래그 캐리어이지만 민영항공사이며 정부와는 완전히 독립된 민간회사이다. 여기서 정치적 논리가 개입될 이유가 없으며, 기업은 자사의 이익만 된다면 정치나 사상은 고려하지 않고 과감한 경영정책을 추구한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일본항공은 혐한의식에서 한국을 이벤트 대상에서 제외했다는 어떠한 근거도 찾아볼 수 없다.[69] 이 때문에 일본항공은 3~4페이지 이상 선택 가능한 다른 근거리 동아시아 노선과는 다르게 기내 면세품을 근거리 노선 중 서울 -도쿄 노선 포함으로 한정하여 판매를 진행할 정도로 극히 적은 편이며 ANA는 한국 노선에서는 기내 면세품 판매를 하지 않는다. 단거리라 면세품 판매 시간도 부족할 뿐더러 수요가 거의 없기에 이윤이 남지 않기 때문이다.[70] 한국에서 직항편이 없는 공항. 대표적으로 아키타 공항, 고치 공항 등이 있는데, 한국의 저비용 항공사들이 워낙 일본의 지방공항들에 많이 취항하다보니 국제선이 취항하는 공항 중 한국행 노선이 없는 공항은 왓카나이, 쿠시로같은 지방 공항을 제외하면 정말로 몇곳 없다.[71] 10만원대에서 많아봐야 수십만원 남짓의 비용으로 저렴하게 일본에 방문할 수 있는 한국인에 비해 미국, 유럽등 원거리 국가에서 오는 외국인 관광객은 수백만원의 장거리 항공권 요금을 지불하며 일본에 방문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