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6 18:40:40

아랍에미리트

아랍 에미리트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UAE'''{{{#!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ICAO 코드가 ‘UAE’인 해당 국가의 항공사}}}에 대한 내용은 [[에미레이트 항공]]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에미레이트 항공#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에미레이트 항공#|]]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ICAO 코드가 ‘UAE’인 해당 국가의 항공사: }}}[[에미레이트 항공]]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에미레이트 항공#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에미레이트 항공#|]]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colcolor=#000,#fff>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ff0000> 상징 <colcolor=#000,#fff>국가
역사 역사 전반 · 딜문 · 정통 칼리파 시대 · 우마이야 왕조 · 아바스 왕조 · 카르마트 · 트루셜 스테이트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알나얀 왕조 · 아랍에미리트 대통령
외교 외교 전반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 걸프 협력회의 · BRICS
경제 경제 전반 · 아랍에미리트 디르함
국방 아랍에미리트군
문화 문화 전반 · 요리 · 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 · 아부다비 그랑프리 · 아랍에미리트/관광 · 아랍에미리트 영화 · 아랍어
인물 자이드 빈 술탄 알나얀 · 할리파 빈 자이드 알나얀 ·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얀 · 무함마드 빈 라시드 알막툼
지리 아부다비 · 두바이 · 무산담반도
민족 걸프 아랍인(방글라데시계 · 아르메니아계)
}}}}}}}}} ||
아랍 토후국 연합
الإمارات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
United Arab Emirates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장.svg
국기 국장
الله , الوطن , الرئيس[1]
신, 국가, 대통령
상징
국가 나의 조국이여 영원하라(عيشي بلادي)
국화 남가새
국수 아라비아오릭스
역사
1971년 12월 2일 영국으로부터 독립
1971년 12월 9일 UN 가입
1972년 2월 10일 라스 알카이마 토후국 가입
지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면적 83,600km²[2] / 세계 114위
수도 아부다비
최대 도시 두바이
내수면 비율 0%
접경국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사우디아라비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사우디아라비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오만|{{{#!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오만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오만}}}{{{#!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인문 환경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인구 총인구 11,346,000명 (2025년)[3] | 세계 92위
인구밀도 121명/km²(2020년) / 세계 110위
민족 구성 인도인 (27.15%), 파키스탄인 (12.53%)
아랍인 (11.32%), 방글라데시인 (7.31%)
스리랑카인 (3.13%), 기타(38.6%)[4]
출산율 세계은행 자료 1.2명(2025년)[5] CIA 자료 1.64명(2022년)[6]
HDI 0.890(2019년) / 세계 31위
공용 언어 아랍어
공용 문자 아랍 문자
종교 이슬람교 62%[7], 기독교 19.7%, 힌두교 10.3%, 불교 4%, 기타 4% 등 (2023년 분포)
군대 아랍에미리트군 }}}}}}}}}
하위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토후국 7개 }}}}}}}}}
정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정치체제 연방군주제, 전제군주제 하의 대통령제
민주주의 지수 3.07점, 권위주의 (2024년)
(167개국 중 119위)
대통령
(국가원수)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얀[8]
(Mohamed bin Zayed Al-Nahyan / محمد بن زايد بن سلطان آل نهيان)
부통령 겸 총리(정부수반) 무함마드 빈 라시드 알막툼[9]
(Mohammed bin Rashid Al-Maktoum / محمد بن راشد آل مكتوم‎)
부통령 겸 부총리 만수르 빈 자이드 알나얀
(Mansour bin Zayed Al-Nahyan / شيخ منصور بن زايد آل نهيان)
}}}}}}}}} ||
경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제체제 시장경제
GDP 명목 GDP $4,118억 2,700만(2018년) / 세계 28위
GDP(PPP) $7,161억 7,300만(2018년) / 세계 32위
1인당 GDP 명목 GDP $43,537(2021년 10월) /
세계 23위
GDP(PPP) $68,662(2018년) / 세계 7위
국부 $9,300억 / 세계 39위(2020년)
신용 등급 무디스 Aa2
S&P AA
Fitch AA-
통화 아랍에미리트 디르함 }}}}}}}}}
단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시간대 UTC+4:00
도량형 SI 단위 }}}}}}}}}
외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한수교현황 대한민국
1980년 6월 18일 수교
북한
2007년 9월 17일 수교
2017년 10월 12일 비상주대사제도 폐지
무비자 입국 90일간 비자면제
주한대사관 서울특별시 용산구 독서당로 118 }}}}}}}}}
ccTLD
.ae, امارات.
국가 코드
784, ARE, AE
국제전화 코드
+971
여행경보
무경보 전 지역
위치
파일:아랍에미리트 위치.svg

1. 개요2. 배경3. 상징
3.1. 국호3.2. 국기3.3. 국가
4. 역사5. 관광6. 정치7. 인문환경
7.1. 인구
7.1.1. 성비
7.2. 언어7.3. 종교
8. 구성국9. 외교10. 경제11. 문화12. 과학13. 군사14. 둘러보기15. 관련 문서

1. 개요

아랍 토후국 연합(دولة الإمارات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 통칭 아랍에미리트(الإمارات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 혹은 UAE페르시아만 남쪽 기슭에 위치한 연방 토후국이다.

2. 배경

아라비아반도 동부에 위치한 7개의 토후국이 모여 이루어진 연방 토후국으로, 수도는 아부다비이며 인구 기준 최대 도시는 두바이이다. 아부다비 단독으로 아랍에미리트 면적의 85% 이상을 차지한다. 관례상 7개의 에미리트 중 가장 강력한 아부다비의 아미르가 UAE의 대통령으로 선출되며, 에미리트들의 영향력에 따라 각 아미르들이 각료를 맡는다. 예컨대 두바이는 UAE 내에서 2번째 서열이므로, 두바이의 아미르는 UAE의 부통령 겸 총리다. 아랍에미리트는 영국으로부터 비교적 최근인 1971년 12월 2일에 독립했기 때문에 지금까지 대통령이 된 사람은 아직 3명뿐이며 이 3명은 모두 아부다비의 아미르였다.

아랍에미리트를 구성하고 있는 7개 토후국의 각 면적은 다음과 같다.
아부다비 67,340㎢, 두바이 4,114㎢, 샤르자 2,590㎢, 라스 알카이마 1,684㎢, 푸자이라 1,166㎢, 움 알쿠와인 755㎢, 아지만 259㎢ 출처

사우디 아라비아, 오만과의 국경을 맞대고, 이란, 카타르와 페르시아만을 사이에 두고 가까이 있다. 이중 오만과의 국경은 여러개의 월경지로 되어있다. 페르시아만 연안의 무산담 반도는 오만의 월경지 영토이고, UAE 내부에 마다(مدحاء)라고 하는 오만의 월경지 내륙 도시가 하나 더 있는데, 그 안에 또 나흐와(النحوة)라는 UAE(샤르자 토후국)의 월경지가 하나 더 있다. 다만 오만과 아랍에미리트 국민들은 여권 없이 신분증만으로도 양 국가간 이동이 가능해 그렇게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여러 중동 국가들처럼 이 나라도 물부족이 심각한데 연 강수량이 100㎜가 채 안 될 정도로 적다 보니 세계 10대 물 부족 국가에 속해있다. 그러다 보니 물값이 비싸며 담수화 시설에 많이 의존하고 있다. 최근에는 인구 증가와 사막화로 인한 물 부족이 심각해지고 있다. 담수화 과정에서 해수의 염도가 갈수록 높아지는 환경파괴가 발생한다는 것도 문제다. 이렇다 보니 심지어는 차라리 남극의 빙산을 끌어와서 해변가에 갖다 두자는 제안까지 진지하게 나왔을 정도이다. #

3. 상징

3.1. 국호

에미리트(emirate, إمارة / ʾimāra)는 한국어로 '토후국()' 또는 '아미르국' 정도로 번역할 수 있다.[10] UAE의 정식명칭인 United Arab Emirates는 글자 그대로 아랍권에 있는 7개의 에미르국(emirate)이 연합하여 하나의 국가를 형성하였다는 뜻이다.[11] 미대륙에서 주(state)들이 연합하여 만든 국가 USA와 어렴풋이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된다. 대한민국에서는 과거에 아미르를 토후로 칭해 이 나라의 이름을 아랍토후국연합 등으로 번역하기도 했다. 공용어아랍어이지만, 영국 지배의 영향과 외국인 인구가 많아 영어가 널리 쓰인다.

3.2. 국기

3.3. 국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عيشي بلادي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عيشي بلادي#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عيشي بلادي#|]]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랍에미리트/역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랍에미리트/역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랍에미리트/역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관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랍에미리트/관광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랍에미리트/관광#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랍에미리트/관광#|]]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정치

서아시아 정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파일:레바논 국기.svg 파일:바레인 국기.svg
그리스 i 남오세티야 ii, iii 레바논 바레인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북키프로스 ii, iii 사우디아라비아 시리아 아랍에미리트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파일:예멘 국기.svg
아르메니아 iii 아제르바이잔 iii 압하지야 ii, iii 예멘
파일:오만 국기.svg 파일:요르단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오만 요르단 이라크 이란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이집트 국기.svg 파일:조지아 국기.svg 파일:카타르 국기.svg
이스라엘 이집트iv 조지아 iii 카타르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쿠웨이트 키프로스iii 튀르키예iii 팔레스타인
i: 도데카니사 제도만 서아시아에 속함.
ii: 미승인국
iii: 기준에 따라 유럽으로 분류될 때도 있다.
iv: 시나이반도만 서아시아에 속함.
}}}}}}}}}


파일:qasr al watan.jpg

대통령관저인 까쓰르 알 와똰
아랍에미리트의 정치 정보
부패인식지수 68점 2024년, 세계 23위
언론자유지수 26.91점 2025년, 세계 164위
민주주의지수 3.07점 2024년, 세계 119위

대통령과 총리의 선출은 7개 토후국의 아미르가 최고위원회 투표로 선출하며, 일반적으로 사전에 미리 토의하여 만장일치의 결과를 보여준다. 그러나 명목상으로는 투표로 선출한다고 하지만 사실상 토후국 중 가장 영향력이 큰 아부다비의 아미르가 항상 대통령으로 선출되며 실질적으로 대통령직은 아부다비의 아미르가 종신으로 세습하는 자리이다. 대통령 다음 자리인 부통령 겸 총리직은 두번째로 강한 두바이가 세습한다. 나머지 아미르들이 장관직이나 다른 정부 요직을 맡거나 하지는 않는데 최고위원회의 권한이 막강해서 내각을 마음대로 주무를 수 있기 때문이다.

각 토후국들은 왕국이기 때문에, 대통령제를 갖추고는 있지만 일종의 연합 전제군주제에 조금 더 가깝다.

자문 역할을 담당하는 평의회도 갖추고 있으나, 평의회의 절반은 최고위원회가 선출하며 나머지 절반은 투표로 선출된다.

평의회는 오직 의견만 낼 수 있으며, 입법 권한이나 다른 나라의 국회와 같은 행동력은 없다.

정당은 존재하지 않으며 정당은 오히려 분열을 조장할 수 있기 때문에 없다고 한다.

전제군주제로 통치 되는 국가 중에선 부패인식지수가 가장 높다. 2024년 기준 68점으로 대한민국, 미국, 대만, 프랑스보다 높다.

독립 당시에는 아부다비는 임시수도로 하고 아부다비-두바이 경계에 알카라마라는 신도시를 건설해 새 수도로 한다고 헌법에 규정하였으나, 1996년 포기하고 임시수도 아부다비를 정식 수도로 선포했다.

7. 인문환경

7.1. 인구

인구는 2022년 기준 9,490,000명이며 매우 빠른 속도로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오일붐 이전 아랍에미리트의 인구는 1955년 80,000명, 1960년 90,000명에 불과했을 정도로 적었다. 하지만 70년대 이후로는 이주 노동자들로 1980년대 1,000,000명을 넘었고 이후로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빠른 인구 증가 때문에 세계적인 남초국가로 손 꼽히는데 이주 노동자들 가운데서 가정부나 미용사 등 일부 직종에서 근무하는 노동자를 제외하면 대부분이 남자이기 때문에 그렇다.

일찍부터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어왔기 때문에 수니파 이슬람교가 국교로 지정되어 있다. 하지만 외국인 인구 중 비수니파 이슬람, 비이슬람 종교 신자나 무종교, 무신론자도 많다. 원활한 인재 유치를 위해서 외국의 종교 교단도 정부의 허가만 받으면 종교 시설을 세울 수는 있다. 다만 구체적인 요건은 토호국마다 다르고 포교는 금지되어 있다. UAE 자국민은 개종이 불법으로 알려져 있다. 필리핀 출신 이주노동자들을 중심으로 교회가 세워져 있으며 스리랑카 출신 노동자들이 불교 절을 만들기도 했고 한인들이 모이는 한국 법당도 존재한다. 이 나라에서도 한인교회가 한인사회의 창구 역할을 하는 건 마찬가지다.

이러한 점으로 볼 때, 아랍에미리트의 인구는 대부분이 외국인이다. 하지만 수많은 외국인들의 유입에도 불구하고 정작 귀화자는 거의 없는데, 이유는 엄격한 이민법 때문이다. 형식상 20년 이상 거주하고 아랍어에 능통하고 품성이 좋으면 시민권을 신청할 수 있다고 하지만, 우선 20년을 살아야 하는 전제 조건에서 여기서부터 대부분 막히며 실제로 20년 기간을 채우고 현지인 수준으로 아랍어에 능통하다 해도 시민권자의 급속한 증가를 우려하여 조건을 채워도 시민권을 주는 경우는 드물다. 아랍에미리트에서 태어나도 시민권을 주지 않아 몇대 째 아랍에미리트에 살고 있는데도 국적은 없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래서 아랍에미리트에서 시민권을 가진 사람은 아랍에미리트 전체 인구의 10%인 106만 명이다. 오히려 시민권을 따면 불이익이 되는 것도 있어서 안 따는게 나은 편도 있다는데 정확히 어떤 면인지는 모르겠으나 아랍에미리트에서 태어나 평생을 아랍에미리트에서 살았는데도 3년에 한번 비자를 갱신해야 하며 비자 갱신비도 상당히 요구한다. 그리고 비자 갱신 기간 중에 꼬투리 잡혀 체포한 후에 추방당하는 것도 자주 일어난다. 하지만 이슬람 국가들 중에선 외국인들에게 나름대로 개방적이며 배타성으로 악명 높은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브루나이, 아프가니스탄 등에 비하면 훨씬 낫다. 물론 외국인들을 잘 받아주는지라 7년 비자 소지 거주면 아무나 영주권을 주는 홍콩이나 역시 영주권 취득이 어렵지 않은 싱가포르보다는 비교적 배타적이기는 하다.

2018년 9월 17일에 아랍에미리트 정부는 직업이 없는 외국인 은퇴자에게 특별장기거주비자를 발급하기로 결정했다.# 그리고 2018년 11월 25일에 거액을 투자하거나 전문적인 능력을 갖춘 고학력 외국인에게 최장 10년간 유효한 거주 비자를 발급하는 내용으로 관련법을 개정했다.#

비만율이 높은데 성인 인구의 30% 이상이 비만이다. 이는 더운 날씨로 실내에서 생활하고 식습관 자체가 기름지고 단 음식을 즐기는 탓이 크다. 자국민들은 대부분 오일머니 복지에 일자리도 없어서 집에서 놀기만 하는 경우가 많다보니 이런 점도 한몫한다.

7.1.1. 성비

아랍에미리트는 극단적이다 못해 경이적인 성비를 기록하는 나라로 2017년 CIA the Worldfactbook에 의하면 성비가 무려 218 : 100까지 벌어지는 심각한 남초 국가다. 신생아 성비는 105 : 100으로 정상 성비인데 청년층~중년층의 성비 왜곡이 매우 심하다. 그 이유는 위 문단에서 설명한 것처럼 외국인 노동자들 때문이다. 총 인구 약 900만 명 중 현지인은 약 100만 명에 불과하고, 대부분의 노동자들이 건설 및 제조 계통에 종사하기 때문에 남성이 많다. 특히 인도, 방글라데시 등 남아시아권의 노동자는 대략 500만 명 수준. 이쯤 되면 중동 국가가 아닌 남초 인도라고 볼 수 있다.

신생아 성비와 0~14세 유년층 성비는 105 : 100으로 정상적인 비율인데 15~24세 청년층 성비는 147 : 100까지 벌어지고 25~54세 장년층 성비는 더욱 심해서 무려 320 : 100까지 벌어진다. 즉, 여자보다 남자가 3배 이상 더 많다는 것이다. 55~64세 중년층 성비도 무려 293 : 100이다. 하다못해 65세 이상 노년층 성비도 169 : 100이다. 여성의 평균수명이 남성보다 5년이나 더 긴 데도 워낙 성비 불균형이 심하다보니 노년층 성비도 남초인 것이다. 국내에서 성비불균형이 가장 높다는 최전방 지역도 여기에 비해서는 성비가 낮다.

외국에서 여자가 아예 안 오는 건 아니고,[12] 현지 시민권자들은 지참금을 싸게 낼 수 있다거나 현지 남자와 결혼할 수 없다는 이유 등으로 국제결혼을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13] 외국인 배우자를 두거나 부모 중에서 한 쪽이 외국인인 경우가 매우 흔하다. 그러나 노동자들의 수가 압도적이다보니 성비가 왜곡되는 것이다.

7.2. 언어

공용어는 아랍어이다. 그리고 아랍에미리트에서 쓰이는 아랍어도 아랍어 방언에 속해 있다.

아랍어가 공용어이지만 영어도 아랍에미리트 내의 외국인들의 영향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예전에 영국의 지배를 받기도 했고, 국제적으로도 중요한 언어이기 때문에 널리 사용된다. 거의 모든 표지판이 아랍어와 영어로 병기되어 있으며, 광고판의 경우는 거의 영어로 쓰여 있다. 대학교 강의 중에도 영어로 진행되는 강의가 많다. 워낙 외국인이 많으니 영어가 주류고 아랍어가 보조 언어인 듯한 느낌마저 받을 수 있다. 에미리트 태생끼리도 영어를 섞어 대화 하는 경우가 많다. 사실상 법정 공용어만 아니지 영어 공용 국가나 마찬가지이며 외국인은 아랍어를 전혀 몰라도 영어로 생활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 특히 두바이, 아부다비 같은 대도시는 영어 사용 비중이 상당히 높다.

거기에다 남아시아 출신의 외국인들도 많아서 힌디어, 우르두어, 싱할라어, 벵골어도 많이 사용되기도 한다.

역사적으로 프랑스의 식민지도 아니었고 프랑스어는 통용조차 안된다. 그런데도 특이하게도 프랑코포니에 준회원국으로 가입되어 있다. 사실 프랑스어의 영향력 회복을 노리는 프랑스 정부의 정책으로 프랑코포니가 원체 회원국을 많이 받기는 한다. 그야말로 오는 사람 아무나 웰컴인 셈이다. 1명이라도 프랑스어 화자가 있으면 받아주는 식이다. 당장 한국도 옵저버 국가임을 생각해 보자.

7.3. 종교

국교는 이슬람이며 대부분의 주민들이 수니파에 속해 있다. 하지만 이란이나 사우디아라비아와는 달리 자유로운 편이라서 다른 종교를 믿을 수 있게 종교의 자유를 어느 정도 보장하고 있다. 그래서 아랍에미리트 내에도 힌두교 사원, 교회, 시나고그 등을 볼 수 있다. 다만 무슬림이 다른 종교로 개종하는 것은 불법으로 정해져 있다.

2019년 9월에 아랍에미리트 정부는 3개 종교의 예배 시설이 들어설 종교단지 '아브라함의 집'을 2022년 아부다비에 완공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아부다비시는 2022년에 '아브라함의 집'이 개관할 예정이고 공사는 순조롭게 진행중이라고 밝혔다.#

샤리아법을 전면 완화한다.# 또한 명예살인도 불법화한다고 밝혔다.#

히잡 착용은 의무가 아니다.

두바이에서 나체 촬영을 하던 여성들이 체포됐다.# 주변 아랍 국가들에 비해서는 개방적인 나라지만 이러한 음란행위는 여전히 샤리아법에 따라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

또한 동성애에 대해서도 여전히 폐쇄적이라, 동성애자사형까지 선고받을 수 있다.

아랍에미리트는 이스라엘과 수교한 이후, 소수의 유대인 공동체와 랍비가 생겨났다.# 그리고 2023년 1월 9일, 아랍에미리트가 아브라함 협약에 따라 초중등 교육과정에서 홀로코스트 관련 내용을 포함시키기로 했다.#

8. 구성국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732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732f>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아부다비 시기.svg 파일:두바이 시기.svg 파일:아지만 시기.svg
아부다비 두바이 아지만
파일:샤르자 및 라스 알카이마 시기.svg 파일:샤르자 및 라스 알카이마 시기.svg 파일:움 알쿠와인 시기.svg
샤르자 라스 알카이마 움 알쿠와인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푸자이라 }}}}}}}}}

독립할 때 바레인카타르를 제외한 7개의 토후국들이 연합해서 건국한 나라로, 미국과 비슷한 성격의 연방 국가이다. 중앙 정부는 공화정과 비슷하지만, 토호국들은 여전히 아미르가 절대 왕정을 고수 중이다. 중앙정부에서 대통령 직은 7개 토후국 중 가장 힘이 강한 아부다비의 나흐얀 가문 아미르가, 부통령 겸 총리는 두 번째로 서열이 높은 두바이의 막툼 가문 아미르가 각각 세습하며, 나머지 다섯 아미르들도 각각 각료직을 맡아 세습하는 방식이다. 비슷한 유형의 국가로 말레이시아가 있는데, 지역별 술탄들이 돌아가며 국왕직을 맡고 실권은 선출직 총리한테 있는게 차이점이다.

아래는 아랍에미리트를 구성하는 토후국들의 영역도.
파일:아랍 에미리트 (토후국 영역도).png
출처: 위키미디어 공용
아랍에미리트의 토후국 일람
<colbgcolor=#aeaeae> 파일:아부다비 시기.svg 아부다비(أبو ظبي, Abu Dhabi)
파일:아지만 시기.svg 아지만(عجمان, Ajman‎)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푸자이라(الفجيرة‎, Fujairah)
파일:샤르자 및 라스 알카이마 시기.svg 샤르자 (الشارقة, Sharjah)
라스 알카이마 (رأس الخيمة, Ras al-Khaimah‎)
파일:두바이 시기.svg 두바이(دبي, Dubai)
파일:움 알쿠와인 시기.svg 움 알쿠와인 (أم القيوين, Umm al-Quwain)

9. 외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랍에미리트/외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랍에미리트/외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랍에미리트/외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경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랍에미리트/경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랍에미리트/경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랍에미리트/경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19년 11월 4일에 아랍에미리트 정부는 천연가스와 석유가 대량 매장된 혼합유전을 확인하면서 세계 6위의 석유보유국이 될 전망이다.#

1980년대와 비교했을 때 인구가 폭발적으로 늘어나서 총 GDP는 성장했지만 1인당 GDP는 오히려 감소했다. 1971년의 PPP와 2021년의 PPP가 거의 동일하다.

11. 문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랍에미리트/문화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랍에미리트/문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랍에미리트/문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과학

아랍연맹 회원국 중 유일하게 적극적으로 우주 탐사 계획을 시행하고 있다. 달과 화성에 탐사선을 보내는 등 각종 우주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화성 탐사 프로젝트를 가장 중요한 프로젝트로 삼고 있으며, 프로젝트의 이름은 '화성 2117(Mars 2117)'이다. 2017년, 총리이자 두바이의 아미르인 '모하메드 빈 라시드 알막툼'의 주도로 100년 안에 화성에 정착지를 건설하겠다는 대범한 프로젝트이다. 두바이에 자신의 이름을 딴 '모하메드 빈 라시드 우주 센터(MBRSC)'를 짓고, UAE 행정부 산하에 첨단과학부(Min. of Advanced Technology)도 신설하여 장관으로 1987년생의 젊은 과학자 '사라 알 아미리'를 지명했다. 그는 이란 태생으로 화성탐사프로젝트 이전부터 각종 위성 개발을 이끌던 리더이자, 지금은 공교육및첨단기술부 장관 겸 UAE 우주국 의장이다.

국산화에 얽메이지 않고 과감한 투자와, 특별귀하를 통한 인재영입을 하고 있는데 특히 아랍계 인재들을 영입하는데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이러한 과감함 덕에 보란듯이 아래와 같은 성과를 내었다.

2020년 7월 20일에 아랍권에서는 처음으로 화성 탐사선 아말을 발사했다. (관련 기사: #,#,#) 이로써, 아랍에미리트는 아랍권에서 최초이자 소련, 미국, 일본, EU, 중국, 인도에 이어 세계 7번째로 화성 탐사선을 발사한 국가이자(#1#2), 미국, 소련, EU, 인도에 이어 세계에서 5번째로 화성 궤도 진입에 성공한 국가가 되었다. # 이후 첫 화성 표면 사진을 촬영해 지구로 전송했다.#

2020년에 24년 달에 무인우주선을 발사할 계획을 발표했다.#

여성 우주인을 선발하기도 했다.#

2028년 소행성 탐사선 발사 계획을 발표했다.#

수소 에너지 개발에도 적극적이다.#

13. 군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랍에미리트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랍에미리트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랍에미리트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고대 중/근세 근현대

근대 현대
헤자즈 오스만 튀르크 제국 사우드 왕조 알리 왕조 메카 샤리프 헤자즈 왕국 헤자즈
- 네지드 왕국
사우디아라비아 왕국
<colbgcolor=#000> 네지드 사우드 왕조 와하비 운동 네지드 토후국 라시드 (하일)
(자발 샤마르)
바레인
쿠웨이트
나디르 샤 아부 샤흐르 칼리파 왕조 <colbgcolor=#800080> 바레인
쿠웨이트 셰흐국
오스만 영국령 걸프 쿠웨이트 왕국
바레인 왕국
카타르 할리드
우트반
오스만 카타르
UAE 토후 알 사이드 왕조 트루셜 스테이트 아랍 토후국 연합
오만 나디르 샤 알 사이드 왕가
오만 술탄국
예멘 자이디 이맘 하심 왕조 오스만 무타와킬 왕국 북 예멘 예멘 공화국 최고정치위원회
라헤즈 영국령 아덴 남아라비아 남예멘 대통령지도위원회
알루아키 술탄
※ 연두색은 아랍계 왕조, 조금 진한 초록색은 시아파나 하심 가문 왕조, 연한 빨강은 토착 예멘계 왕조
}}}}}}}}} ||

파일:westernasia.png서아시아의 국가와 지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파일:조지아 국기.svg
그리스[1] 튀르키예[A] 압하지야[B] 남오세티야[B] 조지아[B]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키프로스[A] 북키프로스[A] 아크로티리 데켈리아파일:영국 원형 국기.svg[A] 아르메니아[B] 아제르바이잔[B]
파일:레바논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레바논 시리아 이라크 쿠웨이트 이란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파일:요르단 국기.sv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파일:바레인 국기.svg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요르단 사우디아라비아 바레인
파일:이집트 국기.svg
파일:예멘 국기.svg
파일:오만 국기.sv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파일:카타르 국기.svg
이집트[11] 예멘 오만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
[1] 도데카니사 제도만 서아시아로 분류된다.[A] 튀르키예와 키프로스섬남유럽으로도 분류된다.[B] 캅카스중앙아시아, 동유럽으로도 분류되며, 대부분 많은 서아시아 국가들과 차이점이 다른 지역으로도 분류된다.[B] [B] [A] [A] [A] [B] [B] [11] 시나이반도만 서아시아로 분류된다.
}}}}}}

셈족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4f4f4,#5c5c5c> 동셈족† 아카드인† | 바빌로니아인† | 고대 아시리아인† | 에블라† | 딜문(추정)*†
북서셈족(서북셈족) 히브리인(유대인 | 사마리아인 | 이스라엘인) | 현대 아시리아인 | 페니키아† | 모압† | 암몬† | 에돔† | 아람†(팔미라인†) | 아모리인†(우가리트†) | 칼데아인† | 힉소스(추정)**†
남서셈족 또는 아랍족
(아랍인)
베두인 | 아랍계 기독교인 | 나바테아인† | 사우디인(히자즈인) | 현대 이집트인 | 마그레브 아랍인(몰타인) | 레반트 아랍인(팔레스타인인(이스라엘 아랍인) | 요르단인 | 시리아인 | 레바논인) | 예멘인(하드라미인) | 오만인 | 걸프 아랍인 | 이라크인 | 호라산 아랍인 | 중앙아시아 아랍인 | 아랍 흑인(예멘 흑인(아크담족) | 이라크 흑인 | 수단 아랍인(바까라족)) | 무어인(하라틴인)
※남셈족 에티오피아 셈족(암하라인 | 티그라이인 | 티그리냐인 | 티그레인) | 고대 남아라비아인(사바인† | 마간(추정)***†) | 현대 남아라비아인(소코트라인 | 마흐라인)
표시가 된 것은 사라진 민족
독립국
비아랍권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 |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독립국
아랍권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 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미승인국)
자치 지역 및 다수 거주지 아라비스탄 | 하타이 | 잔지바르 | 소코트라섬 | 코모로다수 거주국가
해당 지리적 인종 서아시아인 | 아프리카인 | 북아프리카인 | 유럽인
언어 및 문화
언어 셈어파
사상 범셈족주의 | 아랍 내셔널리즘(범아랍주의) | 시오니즘
신화 아랍 신화 | 유대 신화 | 메소포타미아 신화(아카드 신화 | 바빌로니아 신화(칼데아 신화) | 아시리아 신화) | 가나안 신화 (아람 신화 | 페니키아 신화 (카르타고 신화)) }}}}}}}}}

{{{#!wiki style="margin: -8px"<tablebordercolor=#10A5FF><tablebgcolor=#10A5FF>
파일:OPEC 심볼(하얀색).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창립국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이란 이라크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베네수엘라
창립 후 가입국
파일:리비아 국기.sv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파일:알제리 국기.svg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파일:가봉 국기.svg
리비아 아랍에미리트 알제리 나이지리아 가봉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적도 기니 콩고 공화국
}}}}}}}}} ||

[[아랍 연맹|
파일:아랍 연맹 깃발.svg
아랍 연맹{{{#!wiki style="margin: -4px 0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6233><colcolor=#fff>회원국
참관국}}}}}}}}}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732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732f>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아부다비 시기.svg 파일:두바이 시기.svg 파일:아지만 시기.svg
아부다비 두바이 아지만
파일:샤르자 및 라스 알카이마 시기.svg 파일:샤르자 및 라스 알카이마 시기.svg 파일:움 알쿠와인 시기.svg
샤르자 라스 알카이마 움 알쿠와인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푸자이라 }}}}}}}}}

BRICS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wiki style="margin: -16px -10.5px"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파일:이집트 국기.svg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이란 아랍에미리트 이집트 인도네시아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38E3B><tablealign=center>
파일:걸프협력회의 엠블럼.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아랍에미리트
파일:카타르 국기.svg 파일:오만 국기.svg 파일:바레인 국기.svg
카타르 오만 바레인
}}}}}}}}} ||

파일:프랑코포니 심볼.svg
[[프랑코포니(국제기구)|
프랑스어권 국제기관
{{{-2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
{{{#!wiki style="margin: 0 -10px 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40%"
{{{#!folding [ 회원국 목록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 2em"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가나 국기.svg파일:가봉 국기.svg파일:그리스 국기.svg파일:기니 국기.svg
가나가봉그리스기니*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파일:니제르 국기.svg파일:도미니카 연방 국기.svg파일:라오스 국기.svg
기니비사우니제르*도미니카 연방라오스
파일:레바논 국기.svg파일:루마니아 국기.svg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파일:르완다 국기.svg
레바논루마니아룩셈부르크르완다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파일:말리 국기.svg파일:모나코 국기.svg파일:모로코 국기.svg
마다가스카르말리*모나코모로코
파일:모리셔스 국기.svg파일:모리타니 국기.svg파일:몰도바 국기.svg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모리셔스모리타니몰도바바누아투
파일:베냉 국기.svg파일:베트남 국기.svg파일:벨기에 국기.svg파일:왈롱-브뤼셀 연방 로고.svg
베냉베트남벨기에왈롱-브뤼셀 연방파일:벨기에 원형 국기.svg
파일:부룬디 국기.svg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부룬디부르키나파소*북마케도니아불가리아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파일:세네갈 국기.svg파일:세르비아 국기.svg파일:세이셸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세네갈세르비아세이셸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파일:스위스 국기.svg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세인트루시아스위스아랍에미리트아르메니아
파일:아이티 국기.svg파일:안도라 국기.svg파일:알바니아 국기.svg파일:이집트 국기.svg
아이티안도라알바니아이집트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파일:지부티 국기.svg파일:차드 국기.svg
적도 기니중앙아프리카공화국지부티차드
파일:카메룬 국기.svg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파일:카타르 국기.svg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카메룬카보베르데카타르캄보디아
파일:캐나다 국기.svg파일:퀘벡 주기.svg파일:뉴브런즈윅 주기.svg파일:코모로 국기.svg
캐나다퀘벡파일:캐나다 원형 국기.svg뉴브런즈윅파일:캐나다 원형 국기.svg코모로
파일:코소보 국기.svg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코소보코트디부아르콩고 공화국콩고민주공화국
파일:키프로스 국기.svg파일:토고 국기.svg파일:튀니지 국기.svg
키프로스토고튀니지}}}}}}}}}{{{#!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40%"
{{{#!folding [ 참관국 목록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감비아 국기.svg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파일:라트비아 국기.svg
감비아대한민국도미니카 공화국라트비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파일:멕시코 국기.svg파일:모잠비크 국기.svg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리투아니아멕시코모잠비크몬테네그로
파일:몰타 국기.svg파일:루이지애나 주기.svg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몰타루이지애나파일:미국 원형 국기.svg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슬로바키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파일:아일랜드 국기.svg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아르헨티나아일랜드에스토니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파일:우루과이 국기.svg파일:온타리오 주기.svg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오스트리아우루과이온타리오파일:캐나다 원형 국기.svg우크라이나
파일:조지아 국기.svg파일:체코 국기.svg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조지아체코코스타리카크로아티아
파일:태국 국기.svg파일:폴란드 국기.svg파일:헝가리 국기.svg
태국폴란드헝가리}}}}}}}}}}}}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2E3D90, #42A0D6)"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iki style="color: #fff; display: inline-table; min-width: 40%; min-height: 1em"
{{{#!folding [ 회원국 목록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word-break: keep-all"
[[그리스|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네덜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덴마크|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라트비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루마니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리투아니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몬테네그로|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벨기에|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북마케도니아|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불가리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스웨덴|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슬로바키아|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아이슬란드|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알바니아|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에스토니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체코|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크로아티아|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튀르키예|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포르투갈|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폴란드|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핀란드|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헝가리|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 {{{#!wiki style="color: #fff; display: inline-table; min-width: 40%; min-height: 2em"
{{{#!folding [ 파트너 국가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평화를 위한 동반자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몰도바|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몰타|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벨라루스|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스위스|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아르메니아|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아일랜드|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아제르바이잔|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오스트리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우즈베키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우크라이나|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조지아|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카자흐스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지중해 대화
[[모로코|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모리타니|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알제리|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요르단|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이스라엘|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이집트|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튀니지|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이스탄불 협력 이니셔티브
[[바레인|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아랍에미리트|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쿠웨이트|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글로벌 파트너
[[뉴질랜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몽골|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이라크|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콜롬비아|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파키스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호주|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

파일:상하이협력기구 로고.svg 상하이 협력 기구 (SCO)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40%; min-height: 1em"
{{{#!folding [ 회원국 목록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word-break: keep-all;"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우즈베키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이란|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인도|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카자흐스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지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벨라루스|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키스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40%; min-height: 2em"
{{{#!folding [ 파트너 국가 ]
{{{#!wiki style="margin:-5px 0 -10px"
참관국
파일:몽골 국기.svg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몽골아프가니스탄
대화 동반자
파일:스리랑카 국기.svg파일:튀르키예 국기.svg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스리랑카튀르키예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캄보디아
파일:네팔 국기.svg파일:이집트 국기.svg파일:카타르 국기.svg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파일:쿠웨이트 국기.svg
네팔이집트카타르사우디아라비아쿠웨이트
파일:몰디브 국기.svg파일:미얀마 국기.svg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파일:바레인 국기.svg
몰디브미얀마아랍에미리트바레인
초청국 및 기구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파일:독립국가연합 기.svg파일:ASEAN 깃발.svg파일:UN기.svg
투르크메니스탄독립국가연합ASEANUN
가입 신청국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파일:라오스 국기.svg파일:알제리 국기.svg파일:시리아 국기.svg파일:이라크 국기.svg
방글라데시라오스알제리시리아이라크}}}}}}}}}}}}

[[이슬람 협력기구|
파일:이슬람 협력기구 기.svg
이슬람 협력기구
منظمة التعاون الاسلامي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정회원국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파일:알제리 국기.svg파일:차드 국기.svg파일:이집트 국기.svg파일:기니 국기.svg
아프가니스탄알제리차드이집트기니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파일:이란 국기.svg파일:요르단 국기.svg파일:쿠웨이트 국기.svg파일:레바논 국기.svg
인도네시아이란요르단쿠웨이트레바논
파일:리비아 국기.svg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파일:말리 국기.svg파일:모리타니 국기.svg파일:모로코 국기.svg
리비아말레이시아말리모리타니모로코
파일:니제르 국기.svg파일:파키스탄 국기.svg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파일:세네갈 국기.svg
니제르파키스탄팔레스타인사우디아라비아세네갈
파일:소말리아 국기.svg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파일:튀니지 국기.svg파일:튀르키예 국기.svg파일:예멘 국기.svg
소말리아수단튀니지튀르키예예멘
파일:바레인 국기.svg파일:오만 국기.svg파일:카타르 국기.svg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바레인오만카타르아랍에미리트시에라리온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파일:가봉 국기.svg파일:감비아 국기.svg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파일:우간다 국기.svg
방글라데시가봉감비아기니비사우우간다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파일:카메룬 국기.svg파일:코모로 국기.svg파일:이라크 국기.svg파일:몰디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카메룬코모로이라크몰디브
파일:지부티 국기.svg파일:베냉 국기.svg파일:브루나이 국기.svg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지부티베냉브루나이나이지리아아제르바이잔
파일:알바니아 국기.svg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파일:모잠비크 국기.svg
알바니아키르기스스탄타지키스탄투르크메니스탄모잠비크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파일:수리남 국기.svg파일:토고 국기.svg파일:가이아나 국기.svg
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수리남토고가이아나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참관국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파일:태국 국기.svg파일:러시아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중앙아프리카공화국북키프로스태국러시아
탈퇴국
파일:잔지바르 국기.svg
잔지바르
회원 가입 시도 국가
파일:벨라루스 국기.svg파일:브라질 국기.svg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파일:중국 국기.svg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벨라루스브라질중앙아프리카공화국중국콩고민주공화국
파일:인도 국기.svg파일:케냐 국기.svg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파일:모리셔스 국기.svg파일:네팔 국기.svg
인도케냐라이베리아모리셔스네팔
파일:필리핀 국기.svg파일:세르비아 국기.svg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파일:스리랑카 국기.svg
필리핀세르비아남아프리카 공화국스리랑카}}}}}}}}}

15. 관련 문서


[1] Allah, al-Waṭan, al-Ra'īs[2] 한반도 약 1/3[3] 이중 UAE산은 약 1,000,000명정도.[4] 네팔, 이집트, 수단, 인도네시아, 이란 등.[5] 출처[6] 출처[7] 수니파 85%, 시아파 15%[8] 아부다비아미르.[9] 두바이아미르.[10] 중국에서는 '추장국(酋长国)', 일본에서는 '수장국(首長国)'이라고 번역한다. 북한에서는 중국식 명칭인 '추장국'을 사용해 이 나라를 '아랍추장국'이라고 부른다.[11] 황제의 나라가 제국, 왕의 나라가 왕국이라 불리는 것처럼 에미르(أمير)의 나라라는 의미이다.[12] 오는 경우, 필리핀 출신 가사도우미들이 대부분이며, 그 외로는 전통적으로 여초 직업인 승무원들 정도가 두바이에 유입되는 여성 외국인 노동자에 해당한다.[13] 그래서 현지 시민권자들끼리 결혼하면 국가에서 지참금을 내주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그 정도로 국제 결혼이 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