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사망자별 항공사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참고: 9.11 테러와 아프리칸 항공 추락 사고는 사고/테러의 중심 대상이 항공기가 아니었으며 항공기의 탑승자 수보다 건물과 지상의 사망자 수가 더 많았으므로 틀에서 제외함. | ||||||
<rowcolor=#ffffff> 순위 | 이름 | 사고 기종 | 사망자 수 | 사고 분류 / 원인 | 발생일 및 위치 | 비고 |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1 | 테네리페 참사 | 보잉 747-121팬암 보잉 747-206BKLM | 583명 | 지상 충돌 / 조종사 과실 | 1977년 3월 27일 [[스페인| 스페인령]] 카나리아 제도 로스 로데오 공항 | 항공기 사고 사망자 수 1위 보잉 747 사고 사망자 수 1위 | |
2 | 일본항공 123편 추락 사고 | 보잉 747SR-46 | 520명 | 벌크헤드 폭발 / 정비 불량 | 1985년 8월 12일 [[일본| 일본]] 군마현 타노군 우에노무라 다카마가하라산 능선 | 단일 항공기 사고 사망자 수 1위 | |
3 | 차르키다드리 상공 공중 충돌 사고 | 보잉 747-168B사우디아 일류신 Il-76TD카자흐스탄 | 349명 | 공중 충돌 / 조종사 과실 | 1996년 11월 12일 [[인도| 인도]] 하리아나 차르키 다드리 | 공중 충돌 사고 사망자수 1위 | |
4 | 터키항공 981편 추락 사고 | 맥도넬 더글라스 DC-10-10 | 346명 | 화물칸 도어 폭발 / 기체 결함 | 1974년 3월 3일 [[프랑스| 프랑스]] 에르메농빌 숲 | DC-10기종 사망자수 1위 | |
5 | 에어 인디아 182편 폭파 사건 | 보잉 747-237B | 329명 | 폭탄 테러 | 1985년 6월 23일 [[아일랜드| 아일랜드]] 코크 남쪽 190km 지점 | 항공기 폭파 사망자수 1위 | |
6 | 사우디아 항공 163편 화재 사고 | 록히드 L-1011-200 | 301명 | 기내 화재 | 1980년 8월 19일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국제공항 | 불시착 후 항공기 전소 L-1011기종 사망자수 1위 | |
7 | 말레이시아 항공 17편 격추 사건 | 보잉 777-2H6/ER | 298명 | 민항기 오인 격추 | 2014년 7월 17일 [[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도네츠크주 흐라보베 | 보잉 777기종 사망자수 1위 | |
8 | 이란항공 655편 격추 사건 | 에어버스 A300B2-203 | 290명 | 민항기 오인 격추 | 1988년 7월 3일 [[이란| 이란]] 페르시아 만 호르무즈 해협 해상 | A300기종 사망자수 1위 | |
9 | 이란 일류신 Il-76 추락 사고 | 일류신 Il-76MD | 275명 | 불명 | 2003년 2월 19일 [[이란| 이란]] 케르만 지역 산악지대 | 사고 원인이 규명되지 않음 Il-76기종 사망자수 1위 | |
10 | 아메리칸 항공 191편 추락 사고 | 맥도넬 더글라스 DC-10-10 | 271명탑승객 2명지상 | 엔진 이탈 / 정비 불량 | 1979년 5월 25일 [[미국| 미국]] 일리노이주 디스 플레이네스 | ||
11 | 팬 아메리칸 항공 103편 폭파 사건 | 보잉 747-121 | 259명탑승객 11명지상 | 폭탄 테러 | 1988년 12월 21일 [[영국| 영국]] [[스코틀랜드| 스코틀랜드]] 로커비 | ||
12 |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 보잉 747-230B | 269명 | 격추 / 조종사 과실 | 1983년 9월 1일 [[소련| 소련]] 사할린, 모네론 섬 부근 해상 | 대한민국 항공사고 사망자 수 1위 | |
13 | 아메리칸 항공 587편 추락 사고 | 에어버스 A300-605R | 260명탑승객 5명지상 | 수직꼬리날개 이탈 / 비행규정 미비, 조종사 과실, 기체 결함 | 2001년 11월 12일 [[미국| 미국]] 뉴욕시 퀸스 벨 하버 인근 주택가 | ||
14 | 중화항공 140편 추락 사고 | 에어버스 A300B4-622R | 264명 | 실속 / 조종사 과실 | 1994년 4월 26일 [[일본| 일본]] 아이치현 나고야시 코마키 국제공항 | ||
15 | 나이지리아 항공 2120편 추락 사고 | 맥도넬 더글라스 DC-8-61 | 261명 | 공중 폭발 / 정비 불량 | 1991년 7월 11일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 제다 | DC-8기종 사망자수 1위 | |
16 | 에어 뉴질랜드 901편 추락 사고 | 맥도넬 더글라스 DC-10-30 | 257명 | CFIT[1] / 조종사 과실 | 1979년 11월 28일 [[남극| 남극]] 로스 섬 에레부스 화산 | 화이트아웃으로 인한 추락 | |
2018년 알제리 공군 IL-76 추락 사고 | 일류신 Il-76 | 이륙 직후 추락 | 2018년 4월 11일 [[알제리| 알제리]] 국제공항 인근 | ||||
18 | 애로우 항공 1285편 추락 사고 | 맥도넬 더글라스 DC-8-63 | 256명 | 실속 / 날개 결빙, 과적, 조종사 과실 | 1985년 12월 12일 [[캐나다| 캐나다]] 뉴펀들랜드 섬 삼림 | ||
19 | 말레이시아 항공 370편 실종 사건 | 보잉 777-2H6/ER | 239명 | 불명 | 2014년 3월 8일 인도양 해상(추정) | 항공기 실종으로 사고 원인이 규명되지 않음 | |
20 | 가루다 인도네시아 항공 152편 추락 사고 | 에어버스 A300B4-220 | 234명 | CFIT / 조종사 과실 | 1997년 9월 26일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메단 폴로니아 국제공항 북서48km 지점 | ||
21 | 트랜스 월드 항공 800편 추락 사고 | 보잉 747-131 | 230명 | 공중 폭발 / 기체 결함 | 1996년 7월 17일 [[미국| 미국]] 뉴욕주 롱아일랜드 동모리츠 남쪽 13km 지점 | ||
22 | 스위스에어 111편 추락 사고 | 맥도넬 더글라스 MD-11 | 229명 | 기내 화재 / 기체 결함 | 1998년 9월 2일 [[캐나다| 캐나다]] 핼리팩스 인근 대서양 | MD-11기종 사망자수 1위 | |
23 | 대한항공 801편 추락 사고 | 보잉 747-3B5 | 228명 | CFIT / 악천후, 조종사 과실, 공항 시설 낙후 | 1997년 8월 6일 [[괌| 괌]] 니미츠 힐 | ||
에어 프랑스 447편 추락 사고 | 에어버스 A330-203 | 실속 / 조종사 과실, 기체 결함 | 2009년 6월 1일 [[브라질| 브라질]] 인근 대서양 해상 | A330기종 사망자수 1위 | |||
25 | 중화항공 611편 공중분해 사고 | 보잉 747-209B | 225명 | 공중분해 / 정비 불량 | 2002년 5월 25일 [[대만| 대만]] 펑후현 대만해협 상공 | ||
26 | 코갈림아비아 항공 9268편 테러 사건 | 에어버스 A321-231 | 224명 | 폭탄 테러 | 2015년 10월 31일 [[이집트| 이집트]] 시나이 반도 | A320기종 사망자수 1위 | |
27 | 라우다 항공 004편 추락 사고 | 보잉 767-3Z9(ER) | 223명 | 실속 / 기체 결함 | 1991년 5월 26일 [[태국| 태국]] 수판부리주 단창 구 푸 토이 국립공원 | 보잉 767기종 사망자수 1위 | |
28 | 이집트 항공 990편 추락 사고 | 보잉 767-366/ER | 217명 | 자살 비행 | 1999년 10월 31일 [[미국| 미국]] 매사추세츠 낸터킷섬 남쪽 100km 지점 | 부기장의 고의 추락 | |
29 | 에어 인디아 855편 추락 사고 | 보잉 747-237B | 213명 | 실속 / 기체 결함, 조종사 과실 | 1978년 1월 1일 [[인도| 인도]] 뭄바이 앞바다 | ||
30 | 중화항공 676편 추락 사고 | 에어버스 A300B4-622R | 196명탑승객 7명지상 | CFIT / 조종사 과실 | 1998년 2월 16일 [[대만| 대만]] 타이완성 타오위안시 | ||
31 | 아에로플로트 7425편 추락 사고 | 투폴레프 Tu-154B-2 | 200명 | 실속 / 조종사 과실 | 1985년 7월 10일 [[소련| 소련]] 우즈베크 SSR 우치쿠두크 | Tu-154기종 사망자수 1위 | |
32 | TAM 3054편 활주로 이탈 사고 | 에어버스 A320-233 | 187명탑승객 12명지상 | 활주로 이탈 / 조종사 과실, 활주로 배수 문제 | 2007년 7월 17일 [[브라질| 브라질]] 상파울루 상파울루 콘고냐스 공항 | 활주로 오버런으로 인해 건물과 충돌 | |
33 | 마르틴에어 138편 추락 사고 | 멕도넬 더글라스 DC-8-55CF | 191명 | CFIT | 1974년 12월 4일 [[스리랑카| 스리랑카]] 마스켈리야 인근 | ||
34 | 버겐에어 301편 추락 사고 | 보잉 757-225 | 189명 | 조종사 과실, 정비 불량 | 1996년 2월 6일 [[도미니카 공화국| 도미니카 공화국]] 푸에르토 플라타 북동쪽 16km 지점 부근 | 보잉 757기종 사망자수 1위 | |
라이온 에어 610편 추락 사고 | 보잉 737 MAX 8 | 설계 결함, 운항 매뉴얼 교육부족, 정비 불량 | 2018년 10월 29일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서자바 까라왕 리젠시(군.郡)앞바다 | 보잉 737기종 사망자수 1위 | |||
36 | 1975년 로얄 에어 모로코 보잉 707-321C 추락 사고 | 보잉 707-321C | 188명 | CFIT, 조종사 과실 | 1975년 8월 3일 [[모로코| 모로코]] 탐리 | 보잉 707기종 사망자수 1위 | |
37 | 로프틀레이디드 아이슬란드 항공 001편 추락 사고 | 멕도넬 더글라스 DC-8-63CF | 183명 | CFIT | 1978년 11월 15일 [[스리랑카| 스리랑카]] 카투나야케 | ||
LOT 5055편 추락 사고 | 일류신 Il-62M | 제조 결함으로 인한 엔진 고장 | 1987년 5월 9일 [[폴란드| 폴란드]] 바르샤바 카바티 숲 | Il-62기종 사망자수 1위 | |||
39 | 아비앙카 항공 011편 추락 사고 | 보잉 747-283B | 181명 | 조종사 과실 | 1983년 11월 27일 [[스페인| 스페인]] 마드리드 메호라다 델 캄포 | ||
40 | 이넥스 아드리아 항공 1308편 추락 사고 | 맥도넬 더글라스 MD-81 | 180명 | CFIT | 1981년 12월 1일 [[프랑스| 프랑스]] 코스카 | MD-80기종 사망자수 1위 | |
41 | 제주항공 2216편 활주로 이탈 사고 | 보잉 737-8AS(WL) | 179명 | 활주로 이탈, 조사 중 | 2024년 12월 29일 [[대한민국| 대한민국]]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국제공항 | 대한민국 영토 내 최악의 항공사고 | |
42 | 드니프로제르진시크 상공 공중충돌 사고 | 투폴레프 Tu-134A아에로플로트 몰도바 투폴레프 Tu-134AK아에로플로트 | 178명 | 공중 충돌 | 1979년 8월 11일 [[소련| 소련]] 우즈베크 SSR 드니프로제르진스크 인근 상공 | ||
43 | 나이지리아 항공 보잉 707-3D3C 추락 사고 | 보잉 707-3D3C | 176명 | 기어 탈락 / 악천후 | 1973년 1월 22일 [[나이지리아| 나이지리아]] 카노 국제공항 | ||
자그레브 상공 공중충돌 사고 | 호커 시들리 트라이던트 3B영국항공 멕도넬 더글라스 DC-9-32이넥스 아드리아 항공 | 공중 충돌 | 1976년 9월 10일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 자그레브 | ||||
수리남 항공 764편 추락 사고 | 맥도넬 더글라스 DC-8-62 | 조종사 과실 | 1989년 6월 8일 [[수리남| 수리남]] 요한 아돌프 펜겔 국제공항 부근 | ||||
우크라이나 국제항공 752편 격추 사건 | 보잉 737-8KV(WL) | 민항기 격추 | 2020년 1월 8일 [[이란| 이란]] 테헤란 상공 | ||||
47 | 아에로플로트 217편 추락 사고 | 일류신 Il-62 | 174명 | 원인 불명 | 1972년 10월 13일 [[소련| 소련]] 모스크바 | ||
48 | UTA 772편 폭파 사건 | 멕도넬 더글라스 DC-10-30 | 170명 | 폭탄 테러 | 1989년 9월 19일 [[차드| 차드]] 은자메나 테레네 사막 | ||
풀코보 항공 612편 추락 사고 | 투폴레프 Tu-154M | 조종사 과실, 실속 | 2006년 8월 22일 [[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도네츠크주 수카 발카 | ||||
50 | 케냐항공 431편 추락 사고 | 에어버스 A310-304 | 169명 | 조종사 과실 | 2000년 1월 30일 [[코트디부아르| 코트디부아르]] 아비장 앞 대서양 | A310 기종 사망자수 1위 | |
51 | 카스피안 항공 7908편 추락 사고 | 투폴레프 Tu-154M | 168명 | 엔진 고장 | 2009년 7월 15일 [[이란| 이란]] 카즈빈 자나타바드 마을 | ||
52 | 멕시카나 항공 940편 추락 사고 | 보잉 727-264 | 167명 | 기내 화재 | 1986년 3월 31일 [[멕시코| 멕시코]] 시에라 마드레 옥시덴탈 산 | 보잉 727기종 사망자수 1위 | |
파키스탄 국제항공 268편 추락 사고 | 에어버스 A300B4-203 | CFIT | 1992년 9월 28일 [[네팔| 네팔]] 카트만두 트리부반 국제공항 부근 | ||||
54 | 아에로플로트 4225편 추락 사고 | 투폴레프 Tu-154B-2 | 166명 | 마이크로버스트 | 1980년 7월 8일 [[소련| 소련]] 알마티 | ||
55 | 전일본공수 시즈쿠이시 공중충돌 사고 | 보잉 727-281전일본공수 노스 아메리칸 F-86F세이버항공자위대 | 162명 | 공중 충돌 | 1971년 7월 30일 [[일본| 일본]] 이와테현 이와테군 시즈쿠이시초 상공 | ||
인도네시아 에어아시아 8501편 추락 사고 | 에어버스 A320-216 | 조종사 과실 | 2014년 12월 28일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탄정 판단 인근 자바해 해상 | ||||
57 | 중국서북항공 2303편 추락 사고 | 투폴레프 Tu-154M | 160명 | 정비 불량 | 1994년 6월 6일 [[중국| 중국]] 시안 시 | ||
웨스트 캐리비안 항공 708편 추락 사고 | 멕도넬 더글라스 MD-82 | 조종사 과실 | 2005년 8월 16일 [[베네수엘라| 베네수엘라]] 술리아주 마치케 | ||||
59 | 남아프리카 항공 295편 추락 사고 | B747-244BM | 159명 | 불명 | 1987년 11월 28일 [[모리셔스| 모리셔스]] 북동쪽 248km 지점 인도양 | 사고 원인이 규명되지 않음 | |
아메리칸 항공 965편 추락 사고 | 보잉 757-223 | 조종사 과실 | 1995년 12월 20일 [[콜롬비아| 콜롬비아]] 부가 마을 부근 | ||||
61 | 에어 인디아 익스프레스 812편 활주로 이탈 사고 | 보잉 737-8NG(WL) | 158명 | 조종사 과실 | 2010년 5월 22일 [[인도| 인도]] 망갈로르 국제공항 | ||
62 | 리비아 아랍 항공 1103편 공중충돌 사고 | 보잉 727-2L5리비아 아랍 항공 MiG-23리비아 공군 | 157명 | 공중 충돌 / 조종사 과실 | 1992년 12월 22일 [[리비아| 리비아]] 트리폴리 국제공항 동쪽 9km 지점 | ||
에티오피아 항공 302편 추락 사고 | 보잉 737 MAX 8 | 설계 결함, 운항 매뉴얼 오류 | 2019년 3월 10일 [[에티오피아|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 볼레 국제공항 인근 | ||||
64 | 인터플루크 450편 추락 사고 | Il-62 | 156명 | 기내 화재 | 1972년 8월 14일 [[동독| 동독]] 포츠담 코닉스 부스테르하우젠 상공 | ||
노스웨스트 항공 255편 추락 사고 | MD-82 | 154명탑승객 2명지상 | 조종사 과실 | 1987년 8월 16일 [[미국| 미국]] 디트로이트 웨인 카운티 국제공항 부근 | |||
66 | 스판탁스 275편 추락 사고 | CV-990 | 155명 | 악천후 | 1972년 12월 3일 [[스페인| 스페인령]] 카나리아 제도 로스 로데오 공항 | ||
탄손누트 C-5 추락 사고 | Lockheed C-5A Galaxy | 정비 불량 | 1975년 4월 4일 [[베트남 공화국| 베트남 공화국]] 사이공 떤선녓 | ||||
68 | 터키항공 452편 추락 사고 | 보잉 727-2F2 | 154명 | CFIT / 조종사 과실 | 1976년 9월 19일 [[터키| 터키]] 이스파르타 카라테페 언덕 | ||
아마존 상공 공중충돌 사고 | B737-8EH(WL)골 항공, Legacy 600전용기 | 공중 충돌 / 관제사 과실, 조종사 과실 | 2006년 9월 29일 [[브라질| 브라질]] 마투그로수 동북부 | ||||
스팬에어 5022편 추락 사고 | MD-82 | 조종사 과실 | 2008년 8월 20일 [[스페인| 스페인]] 마드리드 바라하스 국제공항 | ||||
71 | 다나 에어 992편 추락 사고 | MD-83 | 153명 | 조종사 과실, 엔진 고장 | 2012년 6월 3일 [[나이지리아| 나이지리아]] 라고스 무르탈라 모하메드 국제공항 인근 | ||
72 | 조선민항 Tu-154 추락 사고 | Tu-154 | 152명 | 버드 스트라이크 | 1972년 가을 [[소련| 소련]] 러시아 SFSR 케메로보 주 노보쿠즈네츠크 | ||
예메니아 항공 626편 추락 사고 | A310-324 | 조종사 과실 | 2009년 6월 30일 [[코모로| 코모로]] 북서쪽 6km 지점 | ||||
에어블루 202편 추락 사고 | 에어버스 A321-231 | CFIT / 조종사 과실 | 2010년 7월 28일 [[파키스탄| 파키스탄]] 마르갈라 언덕 | ||||
75 | 저먼윙스 9525편 추락 사고 | 에어버스 A320-211 | 150명 | 자살 비행 | 2015년 3월 24일 [[프랑스| 프랑스]] 알프스산맥 부근 | 부기장의 고의 추락 | |
[1] 제어 중이던 항공기가 의도치 않게 지면이나 산 등의 장애물을 향해 비행하여 발생하는 사고 |
中華航空611號班機空難 / China Airlines Flight 611
항공 사건 사고 요약표 | |
발생일 | 2002년 5월 25일 |
유형 | 정비 불량 |
발생 위치 | [[대만| ]][[틀:국기| ]][[틀:국기| ]] 펑후현 대만해협 상공 |
탑승인원 | 승객: 206명 |
승무원: 19명 | |
사망자 | 탑승객 225명 전원 사망 |
기종 | Boeing 747-209B |
항공사 | 중화항공 |
기체 등록번호 | B-18255 |
출발지 | [[대만| ]][[틀:국기| ]][[틀:국기| ]] 타이베이 중정 국제공항 |
도착지 | [[홍콩| ]][[틀:국기| ]][[틀:국기| ]] 첵랍콕 국제공항 |
사고 8일 전, 홍콩 국제공항에서 찍힌 사진.[1] |
사고 재현 사진. 내셔널지오그래픽의 항공 사고 수사대 시즌 7에서 나온 장면이다. |
사고 이후 해저에서 인양된 조종석 잔해의 모습 |
[clearfix]
1. 개요
타이베이에서 홍콩으로 가던 중화항공 611편 보잉 747-200 여객기가 펑후현 마궁시 대만해협 상공에서 공중분해된 사고.2. 전개
2002년 5월 25일, 국제선 중 제일 분주한 노선으로 꼽히는 홍콩-타이베이 항공노선을 운항 중이었던 중화항공 611편은 여느 때와 다름없이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을 오후 2시 50분 정각에 출발하였다.보잉 747-200 항공기는 오후 3시 7분에 이륙한 후 이 날 오후 4시 28분에 도착할 예정이었는데 얼마 가지 못해 비행기가 펑후 제도 상공 11km(35,000ft)에 도달하자마자 기수, 동체, 꼬리날개 순으로 공중분해되어 추락하면서 225명의 탑승객 전원이 사망했다.[2] 이중에서 유해가 회수된 사람은 175명이었다. 타이베이 - 홍콩 간 항공 노선은 항상 이용량이 높았기 때문에 대형 기종인 보잉 747 기종이 투입되는 경우가 잦았고[3], 사건 당시에도 이런 이유로 긴급 투입된 보잉 747 기체가 운행되었다. 사고 기체는 중화항공이 도입한 보잉 747-200 기종으로서, 1979년 7월 16일에 초도 비행을 하였으며, 동년 8월 2일에 중화항공에 인도된 기령 23년의 오래된 기체였다. 본래 사고기의 등록번호는 B-1866이었으나, 1999년 1월 등록번호가 B-18255로 재등록되었다. 사고기에는 프랫&휘트니 JT9D-7AW 엔진이 장착되어 있었으며, 2002년 6월에 중화항공에서 비행을 마치고 오리엔트 타이 항공으로 매각될 예정이었다.[4] 사고 당시 중화항공의 747-200 여객기는 사고기가 유일했다.[5]
5월 25일 오후 3시 7분에 이륙한 사고기는, 3시 28분부터 3시 31분 사이에서 갑자기 레이더에서 사라졌다. 어떤 예후도 보이지 않고 항공기가 순식간에 사라진 상황에 놀란 대만 정부는 폭탄 테러를 의심하고 수사를 시작했다.[6] 하지만 사고 해역이 대만 해협인 만큼 잔해를 찾기 어려웠으며 지상 추락 사고에 비해 사건 조사에 어려움이 많았고, 폭탄 테러의 증거 역시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기내 잡지 및 비행 서류들, 승객들의 가방, 사진, 심지어는 신 대만 달러(NTD)에 이르기까지 사고 지점에서 100km 이상 떨어진 곳에서도 발견되었기 때문에 비행기가 공중분해된 것을 알 수 있었다.
3. 사고 원인
사고 원인은 22년 전, 그러니까 사고기가 도입되어 운항을 시작한 지 약 6개월 정도 지난 1980년 2월 8일 009편으로 운항 중 홍콩 카이탁 국제공항[7]에 착륙하다가 발생한 테일 스트라이크 때문이었다. 이 당시 홍콩 카이탁 국제공항의 보잉 관계자는 홍콩에서 초기점검을 받을 것을 권했지만, 중화항공은 사고기에 승객을 전혀 탑승시키지 않은 채 여압이 필요없는 정도의 저고도를 유지하며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으로 귀환시켜 단 하루만에 응급조치만 실시했다. 그로부터 3개월 뒤인 1980년 5월 23일부터 26일까지 중화항공 자체 기술진에 의해 최종 수리 작업을 받았다.보잉사의 보잉 747-200 수리 매뉴얼(Structure Repair Manual)에 따르면 테일 스트라이크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심하게 파손된 경우 파손된 부분을 제거해서 새 것으로 교환해야 했다. 그러나 파손된 부위가 너무 커서 어려움이 따르자 보잉의 현지 서비스 팀인 FSR에게 수리매뉴얼(SRM)에 제시한 방법 대신 파손된 부위를 제거하지 않고 그 위를 덮어 씌우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자문했다. 하지만 보잉 측에서 아무런 반응이 없자, 중화항공 측은 파손된 부위를 제거하지 않고 그 부분을 왁스로 비벼 평탄하게 만든 뒤 그 위를 덧붙이는 방법으로 수리해 버리고 말았다. 그리고 정비사는 보잉의 수리 매뉴얼에 따라 고쳤다고 사인했다. 그러나 보잉 측은 당시에 중화항공 측으로부터 그런 연락을 받은 적이 없다고 부인했다. 이게 사건의 발단이 된 것이다. 조사관들이 640번째 잔해에서 수리한 부분에 덮어 씌워져 있던 것을 들어내자 틈새로 갈색 액체가 흘러나온 듯한 흔적이 보였다. 이 이야기는 바로 꼬리 부분이 뚫려서 기내에 있던 공기들이 밖으로 새나갔다는 증거가 되었다. 갈색이었던 이유는 사고 9년 전인 1993년까지 중화항공 측은 기내에서 흡연을 허용했기 때문에 자욱한 담배 연기가 꼬리날개 쪽으로 몇 년 동안 나가면서 담배 연기에 있는 니코틴 성분이 산화 작용으로 갈색 액체가 되어 틈새 주변에 점착되었던 것이다. 1993년 이후로 기내를 금연구역으로 지정하였지만 이 자국이 아직도 남아있었다는 건 정비가 매우 소홀했음을 알 수 있다.
더군다나 잔해를 잘라내서 그 속을 보니 부품이 오랫동안 산소에 노출되어 변색되어 있었다. 결국 테일 스트라이크 때문에 수리한 부분이 금속 피로에 의해 기체에 균열이 오기 시작하였고, 그 균열이 항공기 동체를 한 바퀴 도는 순간 800km/h의 속도로 비행하던 기체가 한계에 다다르며 견디지 못하고 공중에서 분해된 것이다. 결국 기체 노후화와 소홀한 정비가 만나 공중분해라는 최악의 상황을 만들어 낸 셈이다. 1985년에 발생한 일본항공 123편 추락 사고[8]와 비슷하다. 이걸 22년씩이나 버텼다는 게 용하다.
4. 대중 매체
2009년 내셔널 지오그래픽에서 방영했던 항공 사고 수사대 시즌 7에서 "산산조각난 비행기"라는 제목으로 소개했다. 그리고 에어 크래쉬:스페셜 리포트 4화에도 나왔다.5. 관련 문서
[1] 당시 611편의 복편인 612편으로 운항중이었다.[2] 기장 이충핑과 부기장은 베테랑 조종사들이었다.[3] 2010년대 이후 747이 일선에서 물러나고 나서는 보잉 777, A350 등이 자주 투입된다. 캐세이퍼시픽항공은 이 노선에 438석짜리 보잉 777-300을 투입하기도 한다.[4] 참고로 이 기체는 문제의 중화항공 611편과 그 복편을 운항하고 중화항공에서 퇴역할 예정이었다. 그러니까, 이 비행이 이 기체의 마지막 아웃 바운드 비행으로 예정되어 있던 것이다. 만약에 611편이 이 두번의 비행까지 버텼다면 예정대로 오리엔트 타이 항공으로 매각되고 거기서 고치고 제 수명까지 잘 날수도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항공사가 이 항공기를 고치는건 자기 마음이기에 그대로 사용했다면 거기서 공중분해 사고를 내고 오리엔트 타이 항공도 같이 공중분해가 될지도 모른다. 물론 어찌됐든 사고가 나면 정비불량을 한 중화항공의 책임도 드러날 것이라는 결과는 똑같다.[5] 이전에 총 4대의 747-200을 운항했으나 3대는 1997년에 모두 화물기로 전환되었다.[6] 당시 중국이 군사 훈련 중이었다. 그래서 격추설이 떠돌았으나 레이더 분석 결과 사실 무근이었고 오히려 민간 항공기가 사라졌다는 소리를 듣고 중국에서도 다급하게 수색 지원을 했다. 사고 사망자 중에 중국 본토인도 9명 있었기에 격추가 사실이었으면 외교 문제를 넘어서 자국민을 죽인 장쩌민을 성토하는 소리가 울렸을 것이다. 사고 당시에도 중국 대륙에서 타이완 섬으로 관광을 오는 수요가 어마어마했고 중국이 민간 여객기를 격추하는 막장 국가인 것도 아니다. 다만 고의적인 격추가 아니라 군사 훈련 중에 사고로 격추되었을 가능성도 있었기에 마냥 말이 안 되는 설은 아니다. 실제로 인디아나 존스 영화 시리즈처럼 이렇게 격추된 민간 여객기들도 있다.[7] 공항 자체가 착륙이 매우 위험하고 어려운 형태여서 예전에도 사고가 잦았고, 매우 위험한 공항 중 하나였다. 1998년 현재의 홍콩 국제공항으로 이전하면서 폐쇄된 후, 항구로 개조되었다.[8] 사고 7년 전인 1978년 6월 2일에 오사카 국제공항에서 발생한 테일 스트라이크 사고 이후 파손된 벌크헤드를 제대로 정비하지 않았고 그로 인해 벌크헤드가 금속피로로 터져서 유압 계통을 싹 다 끊어먹는 바람에 기체 조종 불능으로 추락했다. 차이가 있다면 JAL123의 사고 원인이었던 벌크헤드는 일본항공 측에서는 정상적으로 정비를 의뢰하였으나 보잉 기술자가 수리를 엉망으로 한 것이고, 이 경우는 자기들이 어설프게 정비해서 사고가 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