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4 23:45:53

이란 일류신 Il-76 추락 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역대 사망자별 항공사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참고: 9.11 테러는 주요 공격 대상이 항공기가 아니었으며 항공기의 탑승자보다 건물과 지상의 사망자 수가 더 많았으므로 틀에서 제외함.
<rowcolor=#ffffff> 순위 이름 사고 항공기 기종 사망자 수 사고 원인 발생 위치 비고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1 테네리페 참사 보잉 747-121팬암
보잉 747-206BKLM
583명 지상 충돌 스페인령 카나리아 제도 로스 로데오 공항 항공기 사고 사망자 수 1위
2 일본항공 123편 추락 사고 보잉 747SR-46 520명 정비 불량 군마현 타노군 우에노무라 다카마가하라산 능선 단일 항공기 사고 사망자 수 1위
3 뉴델리 상공 공중 충돌 사고 보잉 747-168B사우디아
일류신 Il-76TD카자흐스탄
349명 공중 충돌 하리아나 차르키 다드리
4 터키항공 981편 추락 사고 맥도넬 더글라스 DC-10-10 346명 설계 결함 에르메농빌 숲
5 에어 인디아 182편 폭파 사건 보잉 747-237B 329명 폭탄 테러 코크 남쪽 190km 지점
6 사우디아 항공 163편 사고 록히드 L-1011-200 301명 화재 리야드 국제공항 불시착 후 항공기 전소
7 말레이시아 항공 17편 격추 사건 보잉 777-2H6/ER 298명 격추 도네츠크주 흐라보베
8 이란항공 655편 격추 사건 에어버스 A300B2-203 290명 격추 페르시아 만 호르무즈 해협 해상
9 이란 일류신 Il-76 추락 사고 일류신 Il-76MD 275명 불명 케르만 지역 산악지대 사고 원인이 규명되지 않음
10 아메리칸 항공 191편 추락 사고 맥도넬 더글라스 DC-10-10 271명탑승객
2명지상
정비 불량 일리노이주 디스 플레이네스
11 팬 아메리칸 항공 103편 폭파 사건 보잉 747-121 259명탑승객
11명지상
폭탄 테러 로커비
12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보잉 747-230B 269명 격추 사할린, 모네론 섬 부근 해상
13 아메리칸 항공 587편 추락 사고 에어버스 A300-605R 260명탑승객
5명지상
비행 규정 미비 뉴욕 퀸스 벨 하버 인근 주택가
14 중화항공 140편 추락 사고 에어버스 A300B4-622R 264명 조종사 과실 아이치현 나고야시 코마키 국제공항
15 나이지리아 항공 2120편 추락 사고 맥도넬 더글라스 DC-8-61 261명 정비 불량 제다
16 에어 뉴질랜드 901편 추락 사고 맥도넬 더글라스 DC-10-30 257명 CFIT, 조종사 과실 로스 섬 에레부스 화산 화이트아웃으로 인해 추락
17 애로우 항공 1285편 추락 사고 맥도넬 더글라스 DC-8-63 256명 결빙, 과적 뉴펀들랜드 섬 삼림
18 말레이시아 항공 370편 실종 사건 보잉 777-2H6/ER 239명 불명 인도양해상(추정) 항공기 실종으로 사고 원인이 규명되지 않음
19 가루다 인도네시아 항공 152편 추락 사고 에어버스 A300B4-220 234명 조종사 과실 메단 폴로니아 국제공항 북서48km 지점
20 트랜스 월드 항공 800편 추락 사고 보잉 747-131 230명 연료 확인 장치 합선으로 인한 폭발 뉴욕 롱아일랜드 동모리츠 남쪽 13km 지점
21 스위스에어 111편 추락 사고 맥도넬 더글라스 MD-11 229명 기내 화재 핼리팩스 인근 대서양
22(공동) 대한항공 801편 추락 사고 보잉 747-3B5 228명 CFIT, 악천후, 조종사 과실, 공항 시설 낙후 니미츠 힐
22(공동) 에어 프랑스 447편 추락 사고 에어버스 A330-203 228명 조종사 과실, 실속, 계기판 오류 인근 대서양 해상
23 중화항공 611편 공중분해 사고 보잉 747-209B 225명 공중분해, 정비 불량 펑후현 대만해협 상공
24 코갈림아비아 항공 9268편 테러 사건 에어버스 A321-231 224명 폭탄 테러 시나이 반도
25 라우다 항공 004편 추락 사고 보잉 767-3Z9(ER) 223명 기체 결함 수판부리 주 푸 토에이 국립공원 명령되지 않은 엔진 역분사 기능 작동으로 인한 기체 실속 및 양력 불균형
26 이집트 항공 990편 추락 사고 보잉 767-366/ER 217명 자살 비행 매사추세츠 낸터킷섬 남쪽 100km 지점 부기장의 고의 추락
27 에어 인디아 855편 추락 사고 보잉 747-237B 213명 기체 결함, 조종사 과실 뭄바이 앞바다
28 중화항공 676편 추락 사고 에어버스 A300B4-622R 196명탑승객
7명지상
CFIT, 조종사 과실 타이완성 타오위안시
29 아에로플로트 7425편 추락 사고 투폴레프 Tu-154B-2 200명 조종사 과실 우즈베크 SSR 우치쿠두크
30 TAM 3054편 활주로 이탈 사고 에어버스 A320-233 187명탑승객
12명지상
조종사 과실, 활주로 배수 문제 상파울루 상파울루 콘고냐스 공항 좌측으로 오버런하여 TAM 항공 물류센터에 정면으로 충돌
}}}}}}}}} ||

항공 사건 사고 요약표
발생 시각 2003년 2월 19일[1]
유형 사고 원인이 규명되지 않음[2]
발생 위치
[[이란|]][[틀:국기|]][[틀:국기|]] 케르만 지역 산악지대
탑승인원 275명
사망자 탑승객 275명 전원 사망
기종 일류신 Il-76
항공사 이란 공군
기체 등록번호 15-2280
출발지
[[이란|]][[틀:국기|]][[틀:국기|]] 자헤란 공군기지
도착지
[[이란|]][[틀:국기|]][[틀:국기|]] 케르만 공군기지
[clearfix]
파일:YI-ANI_(Iraqi_Airways).jpg
1990년쯤에 밀라노 말펜사 국제공항에서 촬영된걸로 추정되는 사진. 당시에는 이라크 항공 소속이었다.
سانحه سقوط هواپیمای ایلیوشین ایل-۷۶ سپاه
(이란어)
Iran Ilyushin Il-76 crash
(영어)

1. 개요2. 추락 원인

1. 개요

파일:20231211_133822.jpg

2003년 2월 19일, 이란이슬람 혁명 수비대[3] 공군의 일류신 Il-76MD가 자헤단을 출발하여 케르만을 향하던 중, 케르만에서 35 km 떨어진 산악 지대에 추락했다. 사고기는 혁명 수비대 병력을 수송하던 중이었으며, 탑승자 275명 전원이 사망했다. 이 사고는 이란에서 일어난 항공 사고 중 두번째로 큰 사고이며,[4] 세계적으로도 8번째로 희생자가 많은 큰 사고다.

2. 추락 원인

275명이나 죽은 사고지만, 이 사고에 관해 알려진 정보는 이상하다 싶을 정도로 부족하다.[5] 이 사고만큼 정보가 안 알려진 것은 1996년 아프리칸 항공 추락 사고 정도 뿐이다. 아니 사실 이 사고에 대한 정보가 더 없다. 아프리카 항공의 사고는 경과라도 명확하게 알려져 있으니까.

사고 당시에 강한 바람이 불고 안개가 끼는 등 날씨가 나빴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때문에 나쁜 날씨가 추락의 원인이 아닌가 추측되고 있다. 사고 보고서에 나쁜 날씨가 원인으로 기록되었다는 설이 있는데, 출처가 없어 그 설을 확신할 수 없다.

날씨 말고 기체 고장, 공중 충돌, 심지어는 이란에 대한 테러 등이 원인으로 제시되기도 했다. 대부분의 탑승자가 이란 혁명 수비대 대원이긴 했다.[6]


[1] 공교롭게도 한국의 대구 지하철 참사 다음날 발생했다.[2] 엄청난 수의 사망자가 발생했지만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다.[3] 참고로 이슬람 혁명 수비대는 이란의 군사 조직인데, 정규군이 아니고 나치의 무장친위대를 생각하면 된다. 나치와 비슷하게도 기존 군부를 믿지 못해서 집권세력을 수호하기 위해 만든 일종의 사병(私兵)이라고 볼 수 있다. 이슬람 혁명 수비대 문서 참조.[4] 이란에서 발생한 최악의 항공사고는 이란항공 655편 격추 사건이다.[5] 정황상 사고 자체가 군 기밀로 취급받아 자료 대부분이 은폐되었을 가능성이 높긴 하나 확실하지는 않다.[6] 추락한 기체가 군용기였었고 탑승자들도 친위대인데다가 독재국가인지라 정보통제가 매우 쉬워서 거의 정보가 알려지지 않은 것이다. 당장 우리나라도 전두환 정부 시절 제주 C-123 추락사고가 발생했을 때, 기사 한 줄은 커녕 사고 존재 자체를 은폐해버리고 대간첩 작전으로 순직처리 한 후 덮었다가, 군사정권이 끝난 이후에나 사고가 났다는 사실만 공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