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09 01:00:39

화어문능력시험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5%"
{{{#!folding [ 정치 · 군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상징 국기 · 국장 · 국가 · 국기가
정치·행정 정치 전반 · 오권분립 · 입법원 · 행정원(조직) · 사법원 · 헌법(중화민국 임시약법 · 동원감란시기임시조관) · 정당(범람연맹 · 범록연맹) · 총통(총통부 · 대총통선거법 · 수정대총통선거법 · 총통 전용기) · 행정구역( · 미수복지구) · 행정조직 · 정부총통선거 · 총선 · 지방선거 · 국민대회
국가원수 쑨원 · 위안스카이 · 쉬스창 · 차오쿤 · 돤치루이 · 왕징웨이 · 탄옌카이 · 장제스 · 린썬 · 옌자간 · 장징궈 · 리덩후이 · 천수이볜 · 마잉주 · 차이잉원 · 라이칭더
국가원수(명단) · 총통(명단)
기타 정치인 옌시산 · 성스차이 · 우페이푸 · 리위안훙 · 장쭤린 · 후웨이더 · 옌후이칭 · 두시구이 · 구웨이쥔 · 펑위샹 · 마부팡 · 마훙빈 · 위유런 · 탕성즈 · 마훙쿠이 · 리쭝런 · 바이충시 · 룽윈 · 장쉐량 · 황싱 · 한궈위 · 장치천 · 주리룬 · 허우유이 · 쑹추위 · 커원저 · 쑤전창 · 셰창팅 · 천젠런 · 샤오메이친
부총통 · 행정원장 · 입법원장 · 감찰원장 · 대성지성선사봉사관
외교 외교 전반 · 여권 · 양안관계(하나의 중국 · 대만 해협 위기 · 92공식 · 양안통일 · 화독 · 대독) · 중화권 · 한국-대만 관계 · 대만-일본 관계 · 미국-대만 관계(타이완 관계법 · 타이완 동맹 보호법 · 대만 보증법 · 2022년 낸시 펠로시 대만 방문 및 중국 군사훈련 사태) · 한국-대만-일본 관계(자코타 삼각지대) · 재외공관
감정 친화 · 친대 · 반대 · 중화민국빠 · 대만빠
사법 · 치안 사법제도 · 경찰 · 국가안전국 · 소방 · 사형제도
군사 전반 국방부(역정서) · 대만군(육군 · 해군 · 공군 · 국민혁명군) · 계급 · 군복 · 보병장비 · 기갑차량 · 군함 · 항공병기 · 병역법 · 체대역 · 성공령 · 핵개발 · 군벌
}}}}}}}}}
[ 역사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bgcolor=#fe0000><width=15%> 역사 ||역사 전반(민국사 · 대만사) · 대만의 민주화 운동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명 · 군벌 · 대외 전쟁 및 분쟁 ||
시대 역사 전반 · 삼황오제 · · · (동주 · 서주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초한쟁패기) · (전한 · · 후한) · 삼국시대 · 서진 · 오호십육국시대 · 남북조시대 · · (무주 · 호연) · 오대십국시대 · (북송 · 남송) · · · 서하 · · (남명 · · · 동녕국) · (태평천국) · 일치시기 · 만주국 · 중화민국(임시정부 · 북양정부 · 국민정부 · 호법정부 · 우한정부 · 임시정부(괴뢰) · 유신정부 · 왕징웨이 정권 · 국부천대 · 대만)
관직 한나라의 공경 · 삼국지 관직 · 외명부 · 환관조직 · 후궁제도 · 연성공
사서 흠정이십사사(사기 · 한서 · 후한서 · 삼국지 · 진서(晉書) · 송서 · 남제서 · 양서 · 진서(陳書) · 위서 · 북제서 · 주서 · 수서 · 남사 · 북사 · 구당서 · 신당서 · 구오대사 · 신오대사 · 송사 · 요사 · 금사 · 원사 · 명사) · 오월춘추 · 여씨춘추 · 월절서 · 국어 · 전국책 · 열녀전 · 위서 · 위략 · 화양국지 · 후한기 · 양기 · 자치통감 · 동관한기 · 건강실록 · 정관정요 · 역대명화기 · 신원사 · 원조비사 · 만주실록 · 청사고 · 십국춘추 · 십육국춘추 · 사고전서
사건 신해혁명(계축전쟁 · 호국전쟁) · 선후대차관 사건 · 중화민국 국회 해산 · 홍헌제제 · 부원지쟁 · 장훈복벽 · 제1차 호법운동 · 호법전쟁 · 5.4 운동 · 하남독군 교체 파동 · 안직전쟁 · 제2차 호법운동 · 영풍함 사건 · 외몽골 출병 · 직봉전쟁(1차 · 2차) · 국민혁명(1차 · 2차) · 탕산회의 · 동북역치 · 편견회의 · 호남 사건 · 반장전쟁(제1차 장계전쟁 · 제1차 장풍전쟁 · 중동로 사건 · 봉소전쟁 · 제2차 장계전쟁 · 제2차 장풍전쟁 · 장당전쟁 · 중원대전) · 초공작전 · 중국-티베트 전쟁 · 신강 침공 · 중일전쟁(만주사변 · 열하사변 · 시안 사건 · 국공합작) · 국공내전 · 국부천대 · 제1차 대만 해협 위기 · 제2차 대만 해협 위기 · 국광 작전 · 대만 계엄령 · 2.28 사건 · 중화문명부흥운동 · 중리 사건 · 메이리다오 사건 · 제3차 대만 해협 위기 · 대만 여권운동가 피살 사건 · 천수이볜 암살 미수 사건 · 해바라기 운동 · TWICE 쯔위 청천백일만지홍기 논란 · 8.15 대만 블랙 아웃
[ 사회 · 경제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bgcolor=#fe0000><width=15%> 경제 ||경제 전반 · 재정부 · 경제부 · 중화민국중앙은행 · 신대만 달러 · 대만증권거래소 · 타이베이거래소 · 기업(메인보드 제조사) · 이동통신사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ECFA ||
교육 교육부 · 대학 목록 · 재대복교
교통 교통 전반 · 대만의 철도 환경 · 교통부 · 중화민국국도(중산고속공로 · 포모사고속공로) · 타이완 성도 · 공항 목록 · 항공사(중화항공 · 에바항공 · 스타럭스항공) · 타이완철로유한회사(THSR · 쯔창하오 · 구간차) · 대만의 시외버스 · 첩운(타이베이 첩운 · 타오위안 첩운 · 신베이 첩운 · 타이중 첩운 · 가오슝 첩운) · 이지카드 · 아이패스 · 아이캐시
민족 한족 · 본성인(객가) · 외성인 · 대만 원주민(아미족 · 아타얄족 · 따오족) · 인도네시아계 대만인 · 일본계 대만인 · 한국계 대만인
화교 화교(쿨리) · 차이나타운(인천 차이나타운) · 중국계 한국인(재한 화교 · 화교협회) · 중국계 미국인 · 중국계 러시아인(둥간족) · 중국계 브라질인 · 중국계 필리핀인(상글레이) ·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 중국계 베트남인 · 중국계 싱가포르인 · 중국계 태국인 · 중국계 호주인 · 중국계 일본인 · 중국계 캐나다인 · 대만계 한국인 · 대만계 미국인 · 대만계 일본인 · 대만계 캐나다인
[ 문화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fe0000><width=15%> 문화 전반 ||문화 전반 · 영화(금마장) · 드라마 · TV방송(CTV · CTS · TTV) · 라디오 방송 · 스포츠 · 중국시보 · 빈과일보 · 미술 · 파룬궁 · 등려군 · 거류증 · 중화 타이베이 ||
요리 요리 전반(대만 요리) · 지역별 요리 · 산둥 요리 · 쓰촨 요리 · 장쑤 요리 · 저장 요리 · 후난 요리 · 광둥 요리 · 안후이 요리 · 푸젠 요리 · 베이징 요리 · 상하이 요리 · 후베이 요리 · 윈난 요리 · 만주 요리 · 청진 요리 · 한국식(종류) · 미국식(종류) · 일본식(종류) · 러시아식 · 중국술 · 대만 술(백주 · 황주 · 맥주 · 금문고량주) · · 팔진 · 만한전석
전통문화 전통악기 · 경극(변검) · 잡극(포대희) · 모란정환혼기 · 샹치 · 바둑 · 마작(국표마작 · 광동마작 · 사천마작 · 홍콩대만마작 · 홍콩마작) · 만만디 · 시누아즈리 · 한푸(여성 한푸) · 치파오 · 변발 · 인민복 · 전족 · 회회력 · 시헌력 · 한시 · 무협물(중국사대기서) · 토루 · 사합원 · 패방 · 얼후 · 고쟁 · 비파 · 싼시엔 · 쓰후 · 싼후
현대문화 만화(팬시 프론티어) · 민국기년 · 정가(傷感情歌)
종교 · 신화 삼교 · 대승 불교(선종 · 정토교 · 시왕) · 도교(종파 · 상제 · 서왕모 · 구천현녀 · 일관도 · 육갑비축 · 도술 · 태극패 · 연단술) · 유교(변천사) · 백련교 · 중국 신화 · 하백 · 관우(관왕묘) · 마조 · 산해경 · 삼황오제(복희 · 신농 · 황제 · 소호 · 전욱 · 제곡 · 제지 · 제요 · 제순) · 헌원검 · 누조 · 창힐 · 치우 · 환상종(사신 · 사령 · 오룡 · 사흉) · 동방번개
언어 중국티베트어족 · 중국어(중화민국 국어) · 관화 · 민어(대만어) · 객가어 · 오어 · 월어 · 상어 · 민어 · 객가어 · 둥간어 · 기타 방언 · 한문 · 대만 제어 · 백화문 · 한자(정체자 · 방언자 · 중문대사전) · 주음부호 · 병음(우정식 병음 ·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 국어라마자 · 통용병음 · 국어 주음부호 제2식 · 대라병음 · 한어병음 · 팔라디 표기법 · 객가어병음방안 · 월병 · 예일식 광동어표기법) · 중어중문학과 · 제2외국어(교과)/중국어 · TOCFL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서하 문자
관광 관광 전반 · 국립고궁박물원 · 국부기념관 · 대만의 성 · 중정기념당 · 충렬사 · 원산대반점 · 예류 · 진과스 · 핑시선 · 우라이 · 타이베이 101 · 가오슝 85 타워 · 지우펀 · 샹산 · 펑후 · 진먼
전시장 타이베이 세계무역센터 · 난강전람관 · 가오슝전람관
}}} ||

공인 어학 시험 관련 문서
<bgcolor=#4b8cc2>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98em"
<colbgcolor=#4682b4><colcolor=#fff> 영어 <colbgcolor=#4b8cc2><colcolor=#fff>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개발 IELTS · PTE · 케임브리지 영어 시험 · 국제법률영어능력인증시험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개발 G-TELP · G-TELP Speaking and Writing Tests · TOEFL · TOEFL Essentials · TOEFL Junior · TOEIC · TOEIC Speaking and Writing Tests · 듀오링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개발 EPTA · TEPS · TEPS Speaking & Writing · i-TEPS · TOSEL · 무역영어 · TESL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개발 실용영어기능검정 · TEAP · GTEC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개발 CET
한국어 한국인 대상 KBS한국어능력시험 · 국어능력인증시험 · 한국실용글쓰기검정
외국인 대상 TOPIK · EPS-TOPIK · KLAT · KPE · 한글능력검정시험
파일:漢_White.svg 한자/검정시험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 · 한자급수자격시험
중국어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개발 BCT · HSK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개발 TOCF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개발 TSC
일본어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개발 JLPT · BJT · J-TEST · 일본어검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개발 JPT · SJPT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어 Goethe-Zertifikat · TestDaF · DSH · DSD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어 DELF/DALF · TCF · TEF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어 TORFL
DELE
CELA
CAPLE
Celpe-Bras
CELI · CILS
CNaVT (쎄엔아베데)
KER
파일:에이토프 도법 지구.png 다국어 FLEX · SNULT · FLAT · OPI(c) · TELC
관련 문서 유학 · 어학 연수 · 이민 ·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 영역 · 언어학 · 교육학 · 편입 · 대학원· 해외의 검정고시 · IGCSE · IB · 영어 교육/논쟁 · GED · HISET · SAT · ACT · GRE · EJU · G30 · MCAT · GMAT · LSAT · A레벨 · 유럽 언어 기준 · 영어/학습 조언 · 영문법 · 영숙어 · 이중 언어 · 대학수학능력시험 · 대학입학공통테스트 · 영국식 영어 · 미국식 영어 · 전문대학원 }}}}}}}}}


파일:화어문능력시험 로고.svg
TOCFL(Test of Chinese[1] as a Foreign Language)
華語文能力測驗/화어문능력측험
홈페이지
시험접수 페이지
[clearfix]
1. 개요2. 역사3. 응시 및 용도4. 등급
4.1. 과거(PBT/CBT)4.2. 현재(CAT)4.3. HSK와의 비교
5. 해외 응시

1. 개요

파일:TOCFLlogo.svg.png

중화민국(대만) 교육부 산하의 국가화어측험추동공작위원회(國家華語測驗推動工作委員會)[2]에서 주관하는 '중국어가 모어가 아닌 자를 대상으로 한 중국어능력측정시험'이다.

2. 역사

2001년 8월부터 국립대만사범대학국어교학중심(國語教學中心, Mandarine Training Center),[3] 화어문교학연구소(華語文教學研究所, Graduate Institute of Teaching Chinese as a Second Language)[4], 심리교육측험중심(心理教育測驗中心, Research Center for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Testing) 등 3개 기관에 의해 개발이 시작되어 2003년 12월에 초등(basic)/중등(intermediate)/고등(advanced) 레벨로 구분된 CPT(Chinese Proficiency Test, 華語文能力測驗)가 최초 시행되었다.

2005년 11월 중화민국 교육부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세계에 통용될 수 있는 표준화된 화어문능력시험(CPT)을 연구, 개발 및 보급하기 위하여 국립대만사범대학에 화어측험중심(華語測驗中心, Chinese Language Testing Center)을 설치하였다. 또 15세 미만을 위한 아동화어능력측험( Children's Chinese & Competency Certification, 약칭 CCCC) 개발을 시작했다.

2006년 5~6월에 걸쳐 태국, 영국, 일본, 미국, 한국 등 5개국에서 최초의 CPT 해외 시험이 치러졌다. 또 2006년 6월에는 대만 전국 각지의 고사장에서 computer-based CPT 시험이 시행되었다.

2007년 1월 화어문능력시험의 정식 영문명칭이 기존의 CPT에서 TOP(Test of Proficiency-Huayu)로 변경되었고, 시험 주관기관인 화어측험중심(CLTC) 역시 국가화어측험추동공작위원회(國家華語測驗推動工作委員會)으로 개편되면서 영문명을 SC-TOP(Steering Committee for the Test Of Proficiency-Huayu)로 고쳤다.

2007년 10월에는 프랑스어 시험전문가 Gilles Breton과 파리 국립동양언어문화학원 중국어 교수이자 프랑스 교육부의 중국어교육부문 제1감찰관이었던 Joël Bellassen을 대만으로 초청하여 화어문능력시험을 유럽언어기준(CEFR)에 부합하도록 만들기 위한 자문을 받았다. 2007년 11월부터 기초화어문능력시험(基礎華語文能力測驗, TOP for Beginners)이 공식 시행되었다.

2008년 1월 유럽언어기준에 맞는 화어능력지표 제정 작업에 착수했다. 2009년 2월부터 대만에서는 시험접수/등록 온라인 시스템이 사용되기 시작했고, 2009년 11월 아동화어문능력시험(CCCC)이 공식 시행되기 시작했다.

2010년 8월에는 화어문능력시험의 영문명이 TOP에서 현재 사용 중인 TOCFL(Test Of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로 개칭되었고, 2011년 10월 TOCFL 2급(基礎級)과 3급(進階級)에서 말하기 시험(華語文口語測驗) 및 쓰기 시험(華語文寫作測驗)이 정식으로 시행되었다.

2013년 1월 TOCFL을 유럽언어기준에 연동하기 위한 연구작업이 완료되었고, 이에 맞게 TOCFL을 A/B/C 3개 밴드로 나누고 각 밴드를 취득 점수에 따라 다시 2개로 구분해서 CEFR A1~C2에 해당되는 6개 급수 체계로 개편했다. 2013년 5월부터는 TOCFL Band A와 B의 듣기, 읽기 시험이 정식 시행되기 시작했다.

2013년 8월 한국을 시작으로 해외 TOCFL 시험에서도 온라인 등록시스템 도입을 개시했고, 2013년 10월 베트남을 최초로 해외 고사장에서도 컴퓨터 기반 시험을 실시하기 시작했다. 11월에는 TOCFL Band B 말하기 쓰기 시험이 공식 시행되었다.

2014년 1월 아동화어문능력시험 성적표에 읽기 듣기 점수가 포함되었다. 2014년 5월 TOCFL Band C 듣기 읽기 시험이 시행되기 시작했다. 2014년 6월 TOCFL 듣기 및 읽기, CCCC 시험을 미국외국어교육위원회(ACTFL) 기준에 맞추는 연구를 완료하여 미국, 유럽 언어 지표와 비교가능하도록 하였다. 2014년 11월 TOCFL Band A 말하기 쓰기 시험이 공식 시행되었다.

2015년 1월 TOCFL 기준을 ACTFL 기준과 연동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완료하여 TOCFL 듣기 읽기 시험 및 CCCC 시험 성적표 ACTFL 레벨이 삽입되었다. 2015년 3월 온라인 화어문청독시험(華語文聽讀測驗)이 미국 휴스턴에서 공식 시행되었다. 2016년 12월 TOCFL 듣기 읽기 시험에 컴퓨터 기반 테스트(Computerized Adaptive Testing)를 적용했다.

2017년 2월 TOCFL 듣기 읽기 시험과 일본의 중국어능력검정시험인 中国語検定試験, TECC(中国語コミュニケーション能力検定)의 환산 연구를 완료했다. 2017년 7월 TOCFL Band Novice의 듣기 읽기 시험을 공식 시행하였다.

3. 응시 및 용도

컴퓨터 기반 테스트인 CAT 방식으로 시험이 치러지며, 초반 각 시험문제의 정답/오답 여부에 따라 난이도가 조정되므로 시험 개시 직후에는 문제마다 난이도가 심하게 널뛰기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각 시험은 듣기, 읽기, 말하기, 쓰기 섹션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TOEFL(IBT) 유형과 상당히 유사하다.

간체자만 제공되는 HSK와는 달리 정체자간체자 중 택일하여 응시할 수 있다. 과거에는 정체자 40,000원 / 간체자 60,000원으로 간체자를 택해 시험을 볼 경우 응시료가 50%나 더 비쌌지만, CAT(Computerised Adaptive Testing) 방식이 도입되고 나서는 전체적으로 응시료가 인상되면서 정체자 / 간체자 선택 여부에 따른 응시료 차이는 없어졌다.

대한민국에서는 매년 11월 성균관대학교 고사장에서 연1회 시험만 시행되었으나, 2018년부터 비공식 CAT 방식 테스트를 시범 시행한 후 2019년부터 CAT 시험을 공식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다. 기존의 지필평가 방식 PBT 시험도 연1회(매년 11월) 성균관대학교부산화고중고등학교에서 계속 시행 중이며, 이외에 CAT 테스트가 연 6회 정도 추가실시되고 있다. 2022년 현재 대한민국 응시 기준으로 CAT 시험 응시수수료는 68,100원[5]이며 PBT 시험은 58,100원[6]이다.
파일:2022華測海報韓-1.jpg
2022년 대한민국 TOCFL 시험일정

파일:TOCFL_certificate.jpg
TOCFL 인증서

4. 등급

파일:tocfl-actfl-listening.jpg 파일:tocfl-actfl-reading.jpg
청해시험 독해시험
유럽언어기준(CEFR)과의 연동을 때려친 HSK[7] 와 달리 TOCFL의 A1~C2 등급은 각각 유럽언어기준 A1, A2, B1, B2, C1, C2에 연동된다. 2014년에는 ACTFL 등급과의 환산연구도 완료하여 등급 대조표를 발표했다.

4.1. 과거(PBT/CBT)

파일:tocfllevelbefore.jpg
급수별 합격 점수(PBT/CBT)

CAT 방식 도입 전까지 PBT(지필고사) 및 CBT(컴퓨터기반시험) 시스템하 TOCFL은 각각 입문기초급(入門基礎級, Band A), 진계고계급(進階高階級, Band B), 유리정통급(流利精通級, Band C)의 3개 밴드로 나누어 응시 출원을 받아서, 각 시험에서 일정 점수 이상의 점수를 따면 일단 합격이고, 합격 시 점수에 따라 Band A(입문기초급)에서는 입문급(入門級, A1)[8], 기초급(基礎級, A2)[9], Band B(진계고계급)에서는 진계급(進階級, B1)[10], 고계급(高階級, B2)[11], Band C(유리정통급)에서는 유리급(流利級, C1)[12], 정통급(精通級, C2)[13]으로 등급 내에서 급수가 주어졌다. 이 때 응시자가 획득한 청해와 독해의 등급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둘 중 더 낮은 등급으로 최종 급수가 산출되어나왔다.

4.2. 현재(CAT)

파일:tocfllevelcat.jpg
급수별 합격 점수(현재 CAT)
CAT 방식 도입 후에는 응시원서 출원시 선택한 밴드 등급과 무관하게, 이전처럼 응시자들이 각 밴드별로 동일한 문제를 풀어서 점수를 획득하는 것이 아니라, 시험 문제(특히 초반)의 정오답 여부에 따라 문제 난이도가 계속 자동 조정되면서[14] 원서 출원시 고른 밴드와 상관없이 시험 성적에 따라 컴퓨터에서 판단한 최종 등급을 받게 되었다. 예컨대 Band B를 고른 경우에도 해당 등급 난이도 문제를 잘 풀면 난이도가 어려운 문제들이 나오게 되고 이것을 계속 잘 풀면 4급(B2, 고계급)를 넘어 5급(C1, 유리급)이나 6급(C2, 정통급)도 취득이 가능해졌고, 동시에 3급(B1, 진계급) 성적에도 미달하면 2급(A2, 기초급)이나 1급(A1, 입문급)을 받을 수도 있게 되었다.

4.3. HSK와의 비교

파일:tocfl-hsk-comparison.jpg
중화민국 교육부 국가화어측험추동공작위원회(SC-TOP)의 TOCFL - HSK 급수 환산표[한글번역](과거 버전)[16]

CAT 시행 이전 과거 기준으로 TOCFL A1 = 新HSK 3급, TOCFL A2 = 新HSK 4급, B1 = 新HSK 5급, TOCFL B2 = 新HSK 6급에 대응된다. 난이도는 Novice - Band A -Band B - Band C 순서에서 상위 레벨로 갈수록 HSK보다 어렵다고 평가되며, 특히 TOCFL Band C는  현재 1~6급 체계의 新HSK에는 대응되는 급수가 없는 것으로 여겨졌다. HSK 2.0, 그러니까 소위 新HSK 이전의 HSK 시험 기준으로 봐도 HSK 고급 단계의 TOCFL Band C 레벨의 요구 어휘량이 많았다.
파일:HSKTOCFL比較.png
TOCFL(CAT) - HSK 환산표
2016년 12월부터 TOCFL 시험에 CAT(Computerized-Adaptive Test)가 도입되어[17] 시험이 개편된 후 2017년 2월 일본의 중국어능력시험인 TECC中国語検定試験에 난이도를 연동시키면서 TOCFL 난이도는 상위 레벨에서 더욱 올라갔고[18] 하위 레벨은 유럽언어기준에 맞도록 약간 하향 조정되었다. 이후 TECC 표준에 연동시킨 HSK 환산표(신규)를 공표했고 HSK 6급은 고득점이 아닌 이상 TOCFL B1에 대응된다. TOCFL 공식홈페이지(일본) 참조. 참고로 2022년 HSK 7–9급이 신설되었고, 2024년 6월 22일 HSK 7–9급의 수준에 대해 발표한 연구에 따라 7급은 6급 240점에 해당한다고 보았을 때 7–9급은 B2에서 C1 사이로 추측된다.

5. 해외 응시

세계 여러 나라에서도 치러지며 물론 한국에서도 응시가 가능하다. 원래 한국 기준으로 시험이 1년에 1번(11월) 뿐이고 기존의 CAT가 아닌 PBT 방식이었으나, 현재는 CAT, PBT 방식의 시험을 모두 시행하고 있다. 한국 시험 일정은 이곳을 참조. 다만 읽기, 듣기 영역만 존재한다.

대만이나 영국과 프랑스에 한해서는 IBT방식으로도 시험을 볼 수 있으며, 따로 쓰기 성적이 필요한 경우 쓰기 시험 응시가 가능하다. 2011년 이후로 전부 IBT방식으로 쓰기가 바뀌었다고.

PBT로도 쓰기 시험 응시가 가능했으나 정체자로 작문을 해야 했고, 경우에 따라서는 500자 이상 작문 시험도 있었다. 간체자, 약자 사용시 감점이 있었다. 현재는 대부분의 대만 시험장에서는 주음 키보드가 있으며 일부 AZERTY 사용 국가들의 경우 한어병음으로 정체를 사용할 수 있게 했다.


[1] 이 부분만 빼고 나머지 명칭 부분이 TOEFL(토플)과 모두 똑같다. 평가 언어가 중국어냐 영어냐만 다를 뿐.[2] 파일:20210706111219.jpg
화어측험추동공작위원회 조직도

중화민국 교육부의 전담 예산으로 조직된 국가화어측험추동공작위원회, 약칭 화측회(華測會)는 2005년 11월 정식 설립되었으며 《화어문능력시험》을 연구개발하는 기관이다. 세계 각지의 중국어 학습 열풍에 대응하여 대만의 외국인 대상 중국어 관련 시험을 개발하고 보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3] 1956년 국립대만사범대학 부속기관으로 설립되었으며 냉전기 미국, 유럽 등에서 현지 어학연수를 위해 찾는 최고의 중국어 교육기관이었다. 당시 중국은 개혁 개방 이전인 상태였고, 대만에서도 국립대만대학은 교육 보다는 연구 특히 중문계에서는 고전문학 연구 비중이 커서,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중국어 교육에서는 세계 최고로 꼽히던 곳이 바로 이 MTC로 현재까지 명성을 떨치고 있다.[4] 제2언어 또는 외국어로서 중국어를 가르치고 연구하는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는 화어문교학계의 대학원 과정. 상세 내용은 홈페이지 소개 참조.[5] 응시료 65,000원 + 우편요금 3,100원[6] 응시료 55,000원 + 우편요금 3,100원[7] 위키백과 영어판 HSK 문서에도 나와있지만, CEFR 기준이 친숙한 유럽 국가의 중국어 교사들 사이에 HSK 6급은 B1에서 최대 B2 사이로 평가받고 있으며, 5급은 B1 이하 심지어 A2 이하 수준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중국 정부에서도 이 부분에 대한 문제를 인지하고 6급 위에 진짜 고급(7~9급) 단계를 재도입하는 HSK 3.0 개혁을 2022년 실시했으며, 7급은 6급 240점 이상에 해당되고 7–9급은 전체적으로 B2와 C1 사이에 놓일 것으로 보인다.[8] 청해 41점 이상, 독해 42점 이상[9] 청해 및 독해 각각 60점 이상.[10] 청해 46점, 독해 48점[11] 청해 61점, 독해 64점[12] 청해 50점, 독해 52점[13] 청해 61점, 독해 69점[14] 그래서 개인의 성적에 따라 응시자별로 다른 문제를 풀게되었고, 이전의 CBT와 달리 이미 지나간 이전 문제로 돌아갈 수 없어졌다.[한글번역] 파일:tocfl-hsk비교.jpg.[16] TOCFL CAT 방식 시행 후의 급수 환산은 하단 신규 환산표 참조.[17] 2015년 1월 TOCFL 기준을 ACTFL 기준과 연동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완료하고 2016년 12월 TOCFL 듣기 읽기 시험에 컴퓨터 기반 테스트(Computerized Adaptive Testing)를 적용하기 시작했다.[18] 고급 어휘량이 늘어났다. Band C의 경우는 이전 CBT 체제에서도 따기 어려웠는데 이제는 너무 어려워진 상태. 네이버 카페 등에서 TOCFL CAT를 검색하여 후기를 참조하기 바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