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6 04:55:19

한국실용글쓰기검정


파일:지구 아이콘_Black.svg 공인 어학 시험 관련 문서 파일:지구 아이콘_White.svg
<bgcolor=#4b8cc2>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98em"
<colbgcolor=#4682b4><colcolor=#fff> 영어 <colbgcolor=#4b8cc2><colcolor=#fff>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개발 IELTS · 링구아스킬(Linguaskill) · PTE · 케임브리지 영어 시험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개발 G-TELP · G-TELP Speaking and Writing Tests · TOEFL · TOEFL Essentials · TOEFL Junior · TOEIC · TOEIC Speaking and Writing Tests · 듀오링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개발 TEPS · TEPS Speaking & Writing · i-TEPS · TOSEL· TESL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개발 실용영어기능검정 · TEAP · GTEC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개발 CET
한국어 원어민 대상 KBS한국어능력시험 · 국어능력인증시험 · 한국실용글쓰기검정
비원어민 대상 TOPIK · EPS-TOPIK · KLAT · KPE · 한글능력검정시험 · SKA
파일:漢_White.svg 한자/검정시험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 · 한자급수자격시험
중국어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개발 BCT · HSK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개발 TOCF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개발 TSC
일본어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개발 JLPT · BJT · J-TEST · 일본어검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개발 JPT · SJPT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어 Goethe-Zertifikat · TestDaF · DSH · DSD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어 DELF/DALF · TCF · TEF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어 TORFL
DELE
CELA
CAPLE
Celpe-Bras
CELI · CILS
CNaVT (쎄엔아베데)
KER
🌐 다국어 FLEX · SNULT · FLAT · OPI(c) · TELC
관련 문서 유학 · 어학 연수 · 이민 ·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 영역 · 언어학 · 교육학 · 편입 · 대학원· 해외의 검정고시 · IGCSE · IB · 영어 교육/논쟁 · GED · HISET · SAT · ACT · GRE · EJU · G30 · MCAT · GMAT · LSAT · A레벨 · 유럽 언어 기준 · 영어/학습 조언 · 영문법 · 영숙어 · 이중 언어 · 어학원 · 대학수학능력시험 · 대학입학공통테스트 · 영국식 영어 · 미국식 영어 · 전문대학원 }}}}}}}}} ※ 일반인 대상 시험만 기재.

국가공인민간자격 목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식품의약품안전처 의료기기RA전문가(2급)
금융위원회 신용관리사 · 신용위험분석사 · 신용분석사 · 여신심사역 · 자산관리사 · 재경관리사(회계관리) · AT 자격시험(TAT/FAT) · (개인/기업)보험심사역 · 신용상담사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영상정보관리사
기획재정부 국제금융역 · 외환전문역(1종/2종) · TESAT/J-TESAT · 매경TEST/틴매경TEST · 세무회계 · 원가분석사
교육부 한자능력검정시험(한국어문회, 대한검정회(大韓檢定會), 한자교육진흥회, 한국평생교육평가원, 대한상공회의소, 한국정보관리협회) · TEPS · 브레인트레이너 · FLEX(중국어, 일본어, 독일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영어, 러시아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e-Test · PC활용능력평가시험 · 리눅스마스터 · DIAT · 네트워크관리사(2급) · PC정비사 · 지능형홈관리사 · PC Master(정비사) · ITQ · IEQ(지도사) · ERP정보관리사(물류/생산/인사/회계) · IT-PMP · RFID GL/SL · 데이터분석(전문가/준전문가) · SQL(전문가/개발자) · 데이터아키텍쳐(전문가) · CSTS · AICE
법무부 디지털포렌식전문가(2급)
행정안전부 옥외광고사 · 행정관리사 · 정보시스템감리사
문화체육관광부 실천예절지도사 · 종이접기 · 한국실용글쓰기검정 · KBS한국어능력시험 · 소프트웨어자산관리사
농림축산식품부 농어촌개발컨설턴트 · 반려견스타일리스트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영어 · 샵마스터 · 지역난방설비관리사 · 시스템에어컨설계시공관리사 · 냉매취급관리사 · CS리더스 · GTQ/GTQi · SMAT · 산업보안관리사
보건복지부 병원행정사 · 보행지도사 · 점역교정사 · 수화통역사
고용노동부 전산세무회계
국토교통부 자동차진단평가사 · 주거복지사 · 실내디자이너 · 보상관리사
해양수산부 스마트해상물류관리사
관세청 원산지관리사
경찰청 열쇠관리사 · 도로교통사고감정사 · 신변보호사
산림청 분재관리사 · 조경수조성관리사
특허청 지식재산능력시험 }}}}}}}}}


Korean Practical Writing Test

1. 개요2. (구)시험 구성 및 난이도3. (현)2025년 개정 후4. 급수5. 활용

1. 개요

사단법인 한국국어능력평가협회[1]에서 시행하는 국어 관련 국가공인민간 자격증으로 공인시험(1급~3급)과 교육시험(4급~12급)으로 구분되어 있다. 수험생들 사이에서는 실글이라는 줄임말로도 불린다.

응시료는 55,000원으로 KBS한국어능력시험보다 비싸다.

시험 장소 또한 학교 뿐만 아니라 학원 등 다양하다.

점수 유효기간은 2년[2]이다. 단, 공무원 등은 각 직렬마다 인정기간이 다르며 실글 자체의 유효기간이 끝나더라도 한번 인증이 되면 최대 5년까지 인정해주기도 한다.

2. (구)시험 구성 및 난이도

공인시험의 경우, 180분 동안 60문항을 시험보며, 객관식 50문항과 서술형 5문항으로 구성된 1교시(90분)와 서술형 5문항으로 구성된 2교시(90분)로 나뉜다.

KBS한국어능력시험 혹은 국어능력인증시험과 함께 내국인을 위한 국어 시험 중 하나인데, 국어국문학과에서 배울 법한 국어 지식을 묻는 다른 시험과 달리 시험 이름과 같이 서류의 형식이나 실무에서 사용하는 작문과 관련한 내용이 많이 등장한다. 독해 수준도 짧은 글을 읽고 주제를 살피거나 문장 순서를 배열하는 등 난해한 내용은 잘 나오지 않는다.

실제로 답안지에 서술형 답안을 적는 방식으로 답을 작성해야 하는 등 까다로워 보이지만, 가장 많이 사용되는 KBS한국어능력시험보다는 난이도가 쉬운 편이라는 의견이 존재한다.

3. (현)2025년 개정 후

2025년의 첫 시험인 111회부터 시험이 개편되었다. 주요 내용으로는 1교시(객관식)와 2교시(서술형) 구분과 그 사이에 있던 쉬는 시간이 사라지며, 통합 120분 동안 원하는 순서로 문제를 풀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객관식은 30문제로 줄고 서술형이 9문제로 늘어났다.

토익이 기본 영어실력의 영향을 크게 받듯 실글 또한 국어능력의 영향을 많이 받는 편이다,지문이 매우 긴 편은 아니나 글 속에 있는 키워드를 얼마나 빨리 집어내냐가 득점에 큰 영향을 끼친다.이는 서술형에서도 일맥상통하는 부분이라,지문 자체가 배경지식이 없어도 풀어낼 수는 있으나 지문에 관련된 지식 등을 알고 있다면 없는 것 보다야 훨씬 수월하게 풀어낼 수 있다.

서술형의 경우 채점관의 재량에 따라 점수가 달라질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글씨체 정도는 충분히 알아볼 수 있을 정도로 서술해야한다,채점관들은 정해진 기한 내에 채점을 완벽히 끝내야 하기 때문에 오타나 해석하기 힘들 정도의 악필을 굳이 꼼꼼히 봐가며 채점해야 할 이유도,시간적 여유도 없다.

문제의 출제 방향도 기존엔 몇몇 정보를 암기하고 가야 풀 수 있었으나, 개편 후에는 문법 지식과 맞춤법은 당연히 알아야 하고, 공문서 등 실제 문서를 작성하는데 필요한 지식이 있어야 한다.[3]

아울러 실제 시험에서 시간 관리와 객관식 다음 서술형 또는 서술형 다음 객관식 풀기 등 시험 적응을 위해서 미리 문제를 풀고 감을 잡는게 중요하다고 한다.정해진 가이드라인에 맞추어 시험을 푸는게 아닌 시험지 전체를 줘버리고 시간을 재서 푸는 방식이기 때문에 문제유형 파악 및 풀이 전략을 짜보는 것도 좋다.

수시로 맞춤법 관련 규정이 업데이트 되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최신 교재로 공부해야 유리하다.과거 오래된 교재로 공부하다 맞춤법 규정이 바뀐줄 모르고 시험을 치루면 틀릴 수 밖에 없다.

4. 급수

종목명 지원자격 등급(급) 기준 점수 유효기간
한국실용글쓰기 없음 1 870 2년
2 790
준2 710
3 630
준3 550
단일 시험에 응시해서 만점(1000점) 중 획득한 점수에 따라 급수가 나온다.

5. 활용

  • 학점은행제에서 1급은 일반학점 5학점, 2급은 일반학점 4학점, 준2급은 일반학점 3학점, 3급은 일반학점 2학점으로 인정된다.
  • 사기업은 대부분 반영하지 않으므로 이력서 한줄용조차 되지 못해 공무원 시험에 응시하거나 공기업을 병행할 게 아닌이상 실용글쓰기에 시간을 허비할 필요는 없다.

[1] 영문명 : Korean Language Ability Test Association[2] 2021년 12월 이전에는 5년이었다.[3] 거꾸로 생각하면 공문서나 관련 서류에 익숙한 직장인들 이라면 핵심만 훑어도 충분하다.[4] 대표적으로 워드프로세서 자격 혹은 TOEIC 600점이 2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