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Practical Writing Test
1. 개요
사단법인 한국국어능력평가협회[1]에서 시행하는 국어 관련 국가공인민간 자격증으로 공인시험(1급~3급)과 교육시험(4급~12급)으로 구분되어 있다. 수험생들 사이에서는 실글이라는 줄임말로도 불린다.응시료는 55,000원으로 KBS한국어능력시험보다 비싸다.
시험 장소 또한 학교 뿐만 아니라 학원 등 다양하다.
점수 유효기간은 2년[2]이다. 단, 공무원 등은 각 직렬마다 인정기간이 다르며 실글 자체의 유효기간이 끝나더라도 한번 인증이 되면 최대 5년까지 인정해주기도 한다.
2. (구)시험 구성 및 난이도
공인시험의 경우, 180분 동안 60문항을 시험보며, 객관식 50문항과 서술형 5문항으로 구성된 1교시(90분)와 서술형 5문항으로 구성된 2교시(90분)로 나뉜다.KBS한국어능력시험 혹은 국어능력인증시험과 함께 내국인을 위한 국어 시험 중 하나인데, 국어국문학과에서 배울 법한 국어 지식을 묻는 다른 시험과 달리 시험 이름과 같이 서류의 형식이나 실무에서 사용하는 작문과 관련한 내용이 많이 등장한다. 독해 수준도 짧은 글을 읽고 주제를 살피거나 문장 순서를 배열하는 등 난해한 내용은 잘 나오지 않는다.
실제로 답안지에 서술형 답안을 적는 방식으로 답을 작성해야 하는 등 까다로워 보이지만, 가장 많이 사용되는 KBS한국어능력시험보다는 난이도가 쉬운 편이라는 의견이 존재한다.
3. (현)2025년 개정 후
2025년의 첫 시험인 111회부터 시험이 개편되었다. 주요 내용으로는 1교시(객관식)와 2교시(서술형) 구분과 그 사이에 있던 쉬는 시간이 사라지며, 통합 120분 동안 원하는 순서로 문제를 풀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객관식은 30문제로 줄고 서술형이 9문제로 늘어났다.토익이 기본 영어실력의 영향을 크게 받듯 실글 또한 국어능력의 영향을 많이 받는 편이다,지문이 매우 긴 편은 아니나 글 속에 있는 키워드를 얼마나 빨리 집어내냐가 득점에 큰 영향을 끼친다.이는 서술형에서도 일맥상통하는 부분이라,지문 자체가 배경지식이 없어도 풀어낼 수는 있으나 지문에 관련된 지식 등을 알고 있다면 없는 것 보다야 훨씬 수월하게 풀어낼 수 있다.
서술형의 경우 채점관의 재량에 따라 점수가 달라질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글씨체 정도는 충분히 알아볼 수 있을 정도로 서술해야한다,채점관들은 정해진 기한 내에 채점을 완벽히 끝내야 하기 때문에 오타나 해석하기 힘들 정도의 악필을 굳이 꼼꼼히 봐가며 채점해야 할 이유도,시간적 여유도 없다.
문제의 출제 방향도 기존엔 몇몇 정보를 암기하고 가야 풀 수 있었으나, 개편 후에는 문법 지식과 맞춤법은 당연히 알아야 하고, 공문서 등 실제 문서를 작성하는데 필요한 지식이 있어야 한다.[3]
아울러 실제 시험에서 시간 관리와 객관식 다음 서술형 또는 서술형 다음 객관식 풀기 등 시험 적응을 위해서 미리 문제를 풀고 감을 잡는게 중요하다고 한다.정해진 가이드라인에 맞추어 시험을 푸는게 아닌 시험지 전체를 줘버리고 시간을 재서 푸는 방식이기 때문에 문제유형 파악 및 풀이 전략을 짜보는 것도 좋다.
수시로 맞춤법 관련 규정이 업데이트 되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최신 교재로 공부해야 유리하다.과거 오래된 교재로 공부하다 맞춤법 규정이 바뀐줄 모르고 시험을 치루면 틀릴 수 밖에 없다.
4. 급수
종목명 | 지원자격 | 등급(급) | 기준 점수 | 유효기간 |
한국실용글쓰기 | 없음 | 1 | 870 | 2년 |
2 | 790 | |||
준2 | 710 | |||
3 | 630 | |||
준3 | 550 |
5. 활용
- 대한민국 경찰청, 대한민국 해양경찰청, 대한민국 소방청 및 육군3사관학교, 육군부사관학교, 일부 지방자치단체, 일부 공기업(한국전력, 한국수력원자력, 대한체육회, 국민건강보험공단, 근로복지공단 등) 등에서 채용 혹은 승진 등의 가산점으로 활용된다.
- 해당 시험에 응시하는 이유 중 순경공채가 차지하는 비중이 꽤 되는데, 포털사이트 등에 한국실용글쓰기를 검색하면, 한국실용글쓰기 강좌랑 같이 경찰관 선발 시험 강의 광고가 세트로 나올 수준이다. 경찰청 기준으로, 가산점으로 무려 KBS한국어능력시험이나 국어능력인증시험과 함께 나란히 한 분야를 구성하는데, 2급(790점)과 준2급(710점) 사이의 750점이면 만점인 5점을 부여하며, 3급 기준인 630점은 4점, 준3급 기준인 550점은 2점을 부여한다. 3급 취득 후에 다른 분야에서 아무거나 2점만 얻어내도[4] 가산점이 마무리되기에 이 시험에 많이 응시한다.
- 학점은행제에서 1급은 일반학점 5학점, 2급은 일반학점 4학점, 준2급은 일반학점 3학점, 3급은 일반학점 2학점으로 인정된다.
- 사기업은 대부분 반영하지 않으므로 이력서 한줄용조차 되지 못해 공무원 시험에 응시하거나 공기업을 병행할 게 아닌이상 실용글쓰기에 시간을 허비할 필요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