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代謝, Metabolism
물질대사의 준말. 생물의 체내에서 일어나는 각종 화학 작용을 의미한다. 자세한 것은 물질대사 문서로.2. 臺詞, Lines
台詞. 연극이나 영화 등에서 등장인물이나 그 등장인물을 연기하는 배우가 하는 말. 대화, 독백, 방백이 있다. 이 대사들을 모은 종이가 바로 대본이다.소설이나 만화의 경우 실제로는 입을 열지 않고 머릿속으로 생각하는 내용을 전지적 시점으로 보여줄 수도 있다. 희곡에서는 이와 비슷한 표현으로 방백[1]이 있다.
2.1. 종류
- 대화: 둘 이상의 인물 사이의 직접 주고받는 말.
사건을 진행시키는 발단이 될 수도 있고, 인물의 성격이나 인물 사이의 관계 등의 정보를 간접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 - 독백: 인물이 듣는 상대 없이 혼자 하는 말.
인물의 속마음을 오로지 관객에게만 전달한다. - 방백: 관객에게는 들리지만 다른 배우들에게는 들리지 않는 것으로 약속하고 읊는 대사.
연극에서 주로 쓰이며, 거리 상 다른 배우들에게 들리지 않을리가 없으나 극중에서는 들리지않는 혼잣말이다.
2.2. 관련 문서
3. 大四 (대학 4학년)
대학교 4학년 학생을 뜻한다. 대학교에서의 최고선배이고 대부분의 학생들이 마지막으로 학교를 다니는 해이다. 이 해를 끝으로 졸업을 하면 대망의 학사 학위를 받는다. 보통 21~25세 정도 된다.4. 大舍 (신라 관등)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4a2d5b> 17관등 | ||||||||
서열 | 관등명 | ||||||||
장관 | 9주 | 5소경 | 차관 | 군 | 현 | ||||
<colbgcolor=white,#191919> | |||||||||
신라의 17관등 중 12번째 관등. 나마의 아래, 사지의 위였다.
'대사(大舍)'는 '큰 사(舍)'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대(大)'는 '크다'는 의미의 고유어 '한' (재구음 *har)으로 읽혔을 가능성이 있다. '사(舍)'는 한자 뜻 그대로 '집'이나 '마을'과 관련된 고유어를 음차했거나 훈차했을 수 있다. 금석문에서는 '대사제(大舍第)', '대사제지(大舍帝智)'와 같이 나타나는데, 여기서 '제(第/帝)'나 '지(智)'는 존칭 접미사 *ke를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har- [사에 해당하는 고유어] -ke 와 같은 구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다른 이름으로 한사(韓舍)가 있으며, 이는 '대(大)'를 고유어 '한'으로 표기한 것이다.
'사(舍)'를 훈독하면 '집, 마을'이 되는데[2], 이를 근거로 '사지(舍智)'를 '마을/촌의 지도자'를 뜻하는 것으로 보기도 한다. 이는 '대사'의 '사' 역시 특정 장소나 공동체와 관련된 의미를 가졌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참고로 다른 관등명의 어원 추정과 비교해 보면:
- 나마(奈麻)의 경우: '나(奈)'는 천(川), 촌(村), 성(城)을 뜻하고, '마(麻)'는 말(末)처럼 '높다', '으뜸'을 뜻한다는 설이 있다. (재구음 *namarɛ)
- 대오지(大烏知)의 경우: '오(烏)'를 훈독하면 '검다'는 뜻이 되는데, 이는 '검은 고마(熊)' 또는 '신(神)'과 뜻이 통하며 지도자를 의미했을 수 있다는 설이 있다.출처
함안 성산산성에서 발견된 목간에도 대사 관직이 등장한다.
삼국통일 이후 백제의 귀족을 신라에 받아들이며 대응하는 신분 등급을 설정할 때 백제의 16관등 중 4관등인 '덕솔(扞率)'을 이 대사로 취급해 적용했다. 그리고 고구려 귀족을 받아들일 때도 고구려 후기 기준 10관등인 '소형(小兄)'을 이 대사로 취급해 적용했다.
5. 大使 (신라 관직)
5.1. 신라의 관직
청해진 대사. 그때나 지금이나 사실상 해상왕 장보고를 위한 직책이다. 현대 대한민국에서도 대한민국 해군은 장보고를 대사라고 칭한다.5.2. 외교관
특명전권대사의 줄임말. 특명전권대사는 외교관 중에서 가장 직급이 높다. 더 자세한 내용은 특명전권대사 문서로.6. 大師 (불교 칭호)
불교의 스님들이 갖는 높은 칭호의 하나.(ex. 유정대사, 휴정대사) 현대에서는 잘 쓰이지 않는 단어다.7. 大赦 (가톨릭 용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사(종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사(종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가톨릭에서 잠벌[3]을 면해 주는 것을 말한다. 전대사(잠벌을 완전히 사하는 것)와 한대사(잠벌을 일부 사해주는 것)가 있다.
8. 大蛇 (큰 뱀)
- 큰 뱀을 뜻하는 말.
- 이무기를 의미하는 일본어. 자세한 것은 오로치 문서로.
- 폴라리스 랩소디에 등장하는 하이마스터. 철탑의 인슬레이버를 지역 원주민들이 부르는 별명. 에레로아 문서로.
- 기동전사 건담: MS IGLOO 1년 전쟁 비록 1화 큰 뱀, 루움에서 스러지다에 등장하는 시작형 함대 결전포 QCX-76A 요르문간드의 별명이기도 하다.
9. 大事 (큰 일)
큰일. 다루는 데 힘이 많이 들고 중요한 일 혹은 결혼, 회갑, 장례 등의 집안의 큰 행사.현대 중국어에서도 한국어에서의 뜻과 똑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현대 일본어에서는 중요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