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5 01:10:00

청량리역

청량리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고속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서울 방면
중앙선파일:KTX BI_middle White.png
(일부열차 시종착)
부전 방면
서 울
← 15.9 ㎞
상 봉
4.0 ㎞ →
행신 방면 강릉·동해 방면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일반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용산 방면
왕십리
← 2.4 ㎞
춘천 방면
상 봉
4.0 ㎞ →
시종착 동해 방면
원 주
94.7 ㎞ →
부전 방면
덕 소
17.2 ㎞ →
안동 방면
덕 소
17.2 ㎞ →
태백선
무궁화호
동해 방면
덕 소
17.2 ㎞ →
중앙선
무궁화호
제천 방면
덕 소
17.2 ㎞ →
A-train 아우라지 방면
양 평
47.9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수도권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
파일:Seoulmetro1_icon.svg
연천 방면
회 기
← 1.4 ㎞
[[수도권 전철 1호선|
1호선
(124)
]]
제기동
1.0 ㎞ →
시종착
1호선
경부선 급행 A
신창 방면
청량리역
파일:GJLine_icon.svg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파일:SBLine_icon.svg
문산 방면
왕십리
← 2.4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경의·중앙선
(K117)
]]
지평 방면
회 기
1.4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경의·중앙선
]]'''
중앙선 급행
'''
용문 방면
시종착 [[수도권 전철 경춘선|
경춘선
(K117)
]]
춘천 방면
회 기
1.4 ㎞ →
[[수도권 전철 경춘선|
경춘선
]]'''
급행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인·분당선
(K209)
]]
인천 방면
왕십리
2.4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파일:GreatTraineXpress_B.svg 파일:GreatTraineXpress_C.svg [[서울 경전철 면목선|
면목
]]
GTX-B
건설 중
GTX-C
건설 중
수원·상록수 방면
왕십리

2.4 ㎞
시종착
면목선
추진 중
}}}}}}}}} ||}}}}}}}}} ||
역명 표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원선 청량리
Cheongnyangni
淸凉里 / 清凉里 / [ruby(清凉里, ruby=チョンニャンニ)]
중앙선
경의·중앙선
경춘선
수인·분당선
1호선 청량리 (서울시립대입구)
Cheongnyangni (University of Seoul)
淸凉里 / 清凉里 / [ruby(清凉里, ruby=チョンニャンニ)]
}}}}}}}}}
주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원선 중앙선
경의·중앙선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왕산로 214
(전농동 591-53)
1호선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왕산로 지하205
(전농동 620-69)
}}}}}}}}}
역 코드
한국철도공사 090
관리역 등급 및 소속 영업사업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원선 관리역[1] / 1급
(한국철도공사 수도권동부본부)
중앙선
1호선 종로영업사업소 청량리역
(서울교통공사 영업본부)
}}}}}}}}}
운영 기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원선 한국철도공사
중앙선
1호선 서울교통공사
}}}}}}}}} ||
개업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일반 철도
경원선 1911년 10월 15일
경경북부선 1939년 4월 1일
경경선 1941년 7월 1일[2]
중앙선 1948년 1월[3]
파일:KTX BI_White, Red.svg 2017년 12월 22일
파일:ITXCheongChun_WhiteLOGO.png 2012년 2월 28일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 2022년 11월 5일
파일:ITX-마음 BI_White.png 2023년 9월 1일
무궁화호 1984년 1월 1일
A-train 2015년 1월 22일
수도권 전철
1호선 1974년 8월 15일
1호선
1978년 12월 9일
중앙선 2005년 12월 16일
경의·중앙선 2014년 12월 27일
경춘선 2016년 9월 26일
분당선 2018년 12월 31일
수인·분당선 2020년 9월 12일
GTX-C 2028년 12월 예정
GTX-B 2030년 예정
}}}}}}}}} ||
역사 구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원선 지상 2층 구조 및 지상 1층 승강장[4]
중앙선 }}}}}}}}}
승강장 구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원선 4면 9선 섬식 승강장
(승강장 횡단 가능)
중앙선
1호선 복선 섬식 승강장 }}}}}}}}}
철도거리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용산 방면
왕십리
← 2.4 ㎞
경원선
청량리
백마고지 방면
회 기
1.4 ㎞ →
기점 중앙선
청량리
모량 방면
회 기
1.4 ㎞ →
}}}}}}}}}
파일:청량리 2022.jpg
현 역사 (2010년 준공)

1. 개요2. 역 정보
2.1. 지상 역사2.2. 지하 역사2.3. 장래2.4. 환승통로2.5. 막차
3. 역 주변 정보4. 일평균 이용객
4.1. 수도권 전철4.2. 일반·고속철도
5. 승강장6. 연계 교통
6.1. 청량리역 환승센터6.2. 그 외 정류소
7. 사건 사고8. 기타9.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tablewidth=100%><width=10%><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ff,#1f2023>푸른 미나리 밭의 상전벽해
1911년 10월 15일 경원선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한 청량리역은 중앙선의 시종착역으로, 실제로는 청량리동이 아니라 전농동에 위치하고 있다. 청량리라는 지명은 인근에 청량사라는 유명한 사찰이 있었다는 설과 수목이 울창하고 서늘하여 붙여졌다는 설도 있는데 실제 1914년 무렵에도 파란 미나리 밭이 인상적인 농경지였다고 한다. 1938년 경성부 편입으로 잠시 동경성역이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가 1942년 다시 청량리역으로 돌아왔다. 1971년 이후로는 폐역된 성동역을 대신해 경춘선의 시종착역 기능을 맡기도 하였으며, 2010년 민자 역사 완공으로 오늘날의 모습이 되었다. 지하철역 1호선을 비롯해 수인·분당선, 경원선, 경춘선, 경의·중앙선 등 6개의 노선이 지나는 거대 환승역일 뿐 아니라 백화점과 약령시장, 경동시장 등 다양한 재래시장이 인근에 위치하여 동부서울의 거대 물류, 여객의 공간으로 손꼽힌다.
국가철도공단 '철도역 이야기'에서 발췌. ||

2. 역 정보

파일:청량리역(1914년).jpg
1대 역사 (1911년 준공, 1950년 소실)
파일:attachment/DSC08258_1-don3123.jpg 파일:attachment/01_28.jpg
구 시계탑 현 시계탑

2.1. 지상 역사

민자역사
정식명칭 한화커넥트
영어명칭 Hanwha Connect Development Co., Ltd.
설립일 2004년 5월 10일
업종명 비주거용 건물임대업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기업규모 대기업
파일:external/www2u.biglobe.ne.jp/ozonephoto-cheongnyangni-hyou.gif
수도권 전철 중앙선 승강장의 옛 역명판
파일:청량리역 스탬프.jpg
청량리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1911년 10월 15일 경원선이 개통하면서 보통역 등급으로 영업을 개시하였고 1938년 5월 1일 동경성역([ruby(東, ruby=ヒガシ)][ruby(京城, ruby=ケイジヤウ)][ruby(驛, ruby=エキ)])으로 역명이 개정되었다가 1942년 6월 1일 청량리역으로 역명이 다시 환원되었다.

1950년 6월 26일 6.25동란으로 인해 역사가 소실되었고 1959년 11월 6일에 2대 역사가 준공되었다.

1976년 7월 10일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고 1977년 12월 10일에 경춘선 전용역사가 증축, 1999년 7월에 민자역사가 착공되면서 임시역사로 이전하였다.[7]

2006년 5월 1일부로 소화물취급이 중지되었고 같은 해 7월 1일부로 지역관리역제 폐지로 보통역으로 조정되었다.

2010년 3월 4일에 민자역사 역무동이 개업하고, 8월 18일에 롯데그룹 계열사가 들어온 민자역사가 완공되었다.[8]

현재도 서울에서 한반도 동부지역으로 향하는 출발역인데 제천, 안동, 부전, 동해 방면의 중앙선, 태백선 여객열차와 경춘선 일반 전동열차 일부편의 시종착역으로 기능한다. ITX-청춘 #2058 ~ #2086 열차도 청량리역에서 종착했으나 2014년 8월 1일부터 모든 열차가 용산역에서 종착한다.

가평, 춘천, 강릉 등 경기도와 강원도의 명승지로 향하는 열차가 출발했기 때문에 경춘선 수도권 전철 개통 전과 영동선 개편 전까지는 대학교MT철, 여름휴가철, 연말연시 해돋이 성수기 때마다 젊은이들의 발길로 문전성시를 이루었다. 특히 MT에 가서 먹을 술과 고기를 종이상자에 잔뜩 싣고 기차역으로 향하던 대학생들의 풍경이 이채롭던 곳이다. 지금은 수도권 전철 경춘선의 실질시점이 상봉역으로 바뀌었고 ITX-청춘을 편하게 타려는 승객도 시발역인 용산역을 주로 쓰기 때문에 MT를 가고자 청량리역을 찾는 대학생들은 과거보다 많이 줄어들었다. 또 휴가철이나 1월 1일 등 해돋이 성수기에 영동 지역으로 향하는 교통 수요도 강릉선 KTX 열차가 서울역에서 출발하도록 개편되면서 다소 분산됐다.
파일:대한민국 국장.svg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268호 269호 270호
서울 성북동 최순우 가옥 청량리역 검수차고 대구 옛반야월역사
파일:청량리1_kyw1114.jpg
2대 역사 (1959년 준공, 2007년 철거)

1959년부터 사용했던 구 역사 시절 특이한 점이 있다면, 바로 1,2번 승강장인 경춘선 승강장이었다. 다른 중앙선, 영동선, 태백선 승강장은 게이트를 지나고, 지하로 내려가서 이용해야 했지만, 경춘선 승강장은 달랐다. 게이트를 지나서 바로 왼쪽으로 걸어가다 보면 공중전화 부스를 지나치고도 더 걸어가면 나오는 게 경춘선 승강장이었다. 다시 말해 역사 왼쪽을 한참 지나가야 승강장이 있었다. 그래서 경춘선 열차에 타려고 할 때 시간이 약 5분 정도 남으면 무조건 뛰어야 했다. 게이트는 오른쪽으로 치우쳐 있는데, 승강장은 반대편 끝을 지나가야 있었다. 경춘선 승강장만 특이했던 이유는 구역사 완공 당시 경춘선은 청량리역을 경유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때의 경춘선은 성동역이 기점이었는데 성북역을 거쳐 석관동(정확히는 석계역 위치)에서 분기하여, 월곡동을 지나 현재의 제기동역 인근의 성동역에서 시발하였다. 그러다 1971년 서울의 도심철도정비사업으로 인해 성동역 ~ 성북역 구간을 폐지하고 기점이 성북역으로 바뀌었다. 성북역에서 시종착하던 일부 열차를 제외하고 대부분 경춘선 열차의 시종착역이 청량리역이 되었는데 이미 포화된 기존 승강장을 확장할 수 없어서 역사 쪽에 경춘선 승강장을 새로 만들었다.

그러다가 1990년대에 민자역사 계획이 나오고 1999년에 옛 역사 바로 옆에 임시 역사를 세웠다. 경춘선 승강장은 역사 대합실에서 상당히 멀어져서 언제나 뛰어야 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주박용으로 쓰던 2번 승강장을 경춘선용으로 쓰기도 했다.
파일:attachment/청량리역/111.jpg
1999년부터 패스트푸드점 건물로 활용된 구 역사
1999년 7월 임시역사 이전 직후 옛 역사에 패스트푸드 업체들이 입점했다. 한국에서 영업하는 4대 패스트푸드점 프랜차이즈인 롯데리아, KFC, 버거킹, 맥도날드가 한 곳에서 영업을 하면서 사람들이 골라먹는 재미를 느꼈다. 햄버거를 파는 곳만 구획이 있고 나머지는 전부 오픈된 상태였다. 사진에는 가려서 보이지 않지만 오른쪽에 던킨도너츠도 있었다. 심지어 의자도 점포별로 색깔과 디자인이 다르기는 하지만 맥도날드에서 햄버거를 산 사람이 롯데리아에서 햄버거를 산 친구와 같이 KFC 의자에서 식사를 하는 것도 가능했다. 덧붙여 저 시기에는 맥도날드가 3,000원 런치타임 광고를 TV에서 한창 하고 있었는데 불고기버거 단품 가격이던 2,500원에 팔던 세트가 오전 11시~오후 2시에는 3,000원으로 오르기도 했다. 이 건물은 2007년에 본격적으로 민자역사 공사가 시작되면서 철거되었다.

그리고 민자역사시대에 여기서 유일하게 남은 패스트푸드점은 롯데리아 뿐이다. KFC도 있었지만 폐점하였고, 한때 역 앞에 있었던 노브랜드버거 역시 폐점되었다.
파일:청량리역 3대역사.jpg
3대 역사 (1999년 준공, 2010년 철거)
2006년 4월 25일에는 민자역사 건설 현장 사무소가 세워졌고, 2일 뒤인 4월 27일부터는 중간궤도 4개 선 철거 작업에 들어갔으며, 철거 뒤부터 기초 공사를 시작하였다.[9]
파일:청량리역 플랩식.jpg
대합실에 설치되어 있던 플랩식 행선기

임시 역사의 플랩식 행선기가 매우 유명했다. 구 역사에 있던 걸 임시 역사로 그대로 옮긴 것이다. 구 역사 시절에는 역사 입구 쪽에 하나 더 있었다. 전국에서 마지막 플랩식 행선기가 설치되었던 역이다. KTX 개통 전까지만 해도 일반철도가 정차하는 역에서 플랩식 행선기가 흔했다. 그러다가 2004년 4월 KTX가 개통하면서 서울역, 용산역, 동대구역, 수원역 등 고속철도가 정차하는 역사의 리모델링을 실시하여 LED 행선기로 대거 교체되었으나, 당시 청량리역은 임시 역사를 운영하였기 때문에 아날로그식 플랩 행선기를 오래도록 유지할 수 있었다. 2010년 민자역사 완공 직후 임시역사는 철거됐다.
파일:청량리역 플랩식 행선기 2.jpg
승강장에 설치되어 있던 플랩식 행선기

승강장에도 마찬가지로 플랩식 행선기가 설치되어 있었다. 대합실과 마찬가지로 거의 마지막까지 있었던 플랩식 행선기였다. 이 역시 2000년대 초반까지는 다른 철도역에서도 흔했으나, KTX 개통으로 역사를 리모델링하면서 모두 철거해서 결국 청량리역에만 남아 있었다. 승강장에 있던 행선기는 민자역사 건설 등의 이유로 인해 대합실에 있던 것보다 3~4년 이른 2007년쯤 철거되고 LED 행선기로 바뀌었다.

임시역사 사용 이전에는 승강장에 구역사와 연결되는 지하통로가 있었다. 임시역사가 사용되면서 지하통로의 기능이 상실되어 거의 방치하다시피 했고 민자역사 건설 하면서 설계 기획상 쓸모 없어지자 매몰시키면서 철거하였다.

2010년 11월 3일에는 삼풍백화점마냥 부실공사되었다는 2010년 제2의 삼풍백화점 괴담의 대상이 됐다. 2013년 4월 25일에는 9시 뉴스에 백화점 로고만 모자이크되어 등장하였다.

수도권 전철 경춘선은 2010년 12월 21일에 개통한 뒤에 부족한 선로용량으로 상봉에서 착발해 왔는데, 2016년 ITX-청춘 요금 인상 파문에 따라 한국철도공사와 지역 당국의 합의가 이루어지면서 2016년 9월 26일자로 왕복 20회에 한하여 경춘선 일부 전동열차가 청량리에서 시종착하게 되었다. 수도권 전철 개통 당시 운행했던 경춘선 급행 전동차는 2012년 2월 28일 ITX-청춘으로 대체되어 폐지되었으나, 2017년 1월 31일자로 일부 ITX-청춘 운행을 중단하면서 일반 청량리 급행 열차(정차역은 ITX에 준함) 운행이 평일 왕복 5회로 재개되었다. 경춘선 무궁화호 운행이 종료된 2010년 12월 20일 이후 이 역에서 춘천행 열차를 이용할 수 없었는데, 2012년 2월 28일 ITX-청춘이 기존 경춘선 급행열차를 대체하면서 청량리역에서 다시 경춘선 열차 이용이 가능해졌다.

분당선이 선릉역에서 왕십리역까지 연장된 2012년 10월 6일부터 2018년 12월 30일까지 분당선의 모든 열차가 왕십리역에서 시종착했다. 분당선 왕십리역 승강장은 경원선 승강장 옆에 나란히 지어진 탓으로 평면교차 문제가 있어서 이 역까지 분당선 열차가 들어오지 않았다. 때문에 1호선, 중앙선, 경춘선, 분당선의 환승 허브가 되길 바라던 롯데쇼핑 경영진이 크게 절망했다는 후문도 있다.

2017년 12월에 강릉선 KTX가 개통됨으로서 KTX 정차역이 되었고, 2021년 1월부터는 중앙선 KTX도 운행 개시함에 따라 명실상부한 서울의 KTX 정차역 중 한 곳으로 위상이 상승했다. 기존에는 중앙선, 태백선 무궁화호, ITX-새마을[10] 경춘선 ITX-청춘 위주로 운행되었지만 이제는 KTX가 정차함으로서 강원도[11]나 경북 북부, 충북 북부 쪽으로 갈 때 KTX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고, 소요 시간도 많이 단축되었다.[12]

2018년 7월에 분당선 청량리 연장을 위해서 인상1선을 연장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의 안규백 의원은 국토교통부로부터 "금년 10월 분당선 연장운행을 위한 시설개량설계를 시작해서, 내년 8월까지 운행계획을 확정하겠다"는 보고를 받았다고 밝혔다.[13] 2018년 12월 31일부터 평일에 왕복 18회씩 청량리역 착발로 분당선 열차를 운행하기로 했다. 2020년 3월 7일부터 주말에도 분당선이 왕복 10회씩 청량리역에 선다. 하지만 선로용량 문제로 여전히 대부분의 분당선 열차는 왕십리역에서 시종착하고 있다.

2번, 3번 출구는 멀찍이 떨어져 있어서 출입이 적다. 3번 쪽은 서울시립대 방면 이용객 소수와 롯데 계열 직원들의 흡연 장소로, 2번 쪽은 하행선 쪽으로 전망이 탁 트여 있고 역 동쪽으로 연결되는 구름다리가 있어 일반 승객들의 흡연 장소로 사용된다.

하루 2편 왕복으로 부산 부전역을 잇는 무궁화호가 있다. 다만 이는 중앙선동해남부선을 직결하고 청량리역에서 경주역 구간을 완주한 뒤에 경주역에서 동해남부선으로 진입하여 부전역까지 운행한다. 물론 근성열차이며, 1990년대 후반 비둘기호에서 통일호로 승격되었다가 2004년 4월 통일호 폐지와 동시에 무궁화호로 승격되었다. 비둘기호 및 통일호로 운행되던 시절 청량리역에서 부전역까지의 소요 시간은 최대 12시간이었으며, 통일호 시절 청량리-부전 운임은 약 1만원 정도로 비교적 저렴했다. 2004년까지 부산역에서 시종착했으나 KTX 개통을 앞두고 동해남부선 열차가 모두 부전역으로 단축되었다.[14] 또한 80년대부터 있었다가 1996년 통일호에서 무궁화호로 승격을 거쳐 1999년까지는 청량리 - 중앙선 - 영천 - 동대구를 다니는 열차도 있었다. 그러다가 1999년 시간표 개정으로 모두 안동으로 단축됐다.

2.2. 지하 역사

“이번 역은 청량리, 청량리역입니다.”
한국철도공사 차량의 안내방송[15]
“이번 역은 청량리, 서울시립대입구역입니다.”
서울교통공사 차량의 안내방송
파일:청량리역/개통.jpg
파일:ch'ongnyangni.png
파일:1호선 청량리역 옛 폴사인.jpg
서울 1호선 개통 당시 지하 청량리역 서울 1호선 구 역명판 서울 1호선 지하 청량리역 옛 폴사인
파일:attachment/b0046788_4f6c7dde044a5.jpg
파일:DSC09103.jpg
파일:20200728_030849.jpg
수도권 전철 1호선 지하 청량리역 옛 폴사인 스크린도어 설치 전의 지하 청량리역[16] 개정 전 스크린도어 역명판
파일:청량리역 1호선.jpg
1호선 대합실
파일:역안내도_청량리_1.png
1호선 역 안내도 크게 보기
1974년 8월 15일 1호선 개통식이 열렸던 장소이다.

2009년 지하 청량리역에 '서울시립대입구'라는 병기역명이 생겼다. 서울교통공사 전동차가 이 역에 도착할 때 나오는 안내방송에 병기역명(서울시립대입구)까지 모두 나오지만, 한국철도공사 전동차에서는 역명만 방송한다.

한때에는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현 서울교통공사) 전동차들의 주요 종착역이었지만 2005년 천안 연장으로 심야 막차들만 이곳에서 종착하였다가 2023년 기준 서울교통공사 차량 3개 열차(S434, S436, S510)가 생겼다. 자세한 내용은 수도권 전철 1호선/운행 계통 항목에 있다.

천안·신창에서 출발하는 급행열차는 평일 지상 서울역행 일부 및 11:15에 천안역에서 출발하는 구로급행 1대, 그리고 구로역에서 14:00에 출발하는 천안급행 1대를 제외하고는 모두 청량리까지 운행한다. 따라서 이 역 북쪽의 역으로 가기 위해서는 구로~청량리 사이의 역에서 내려 광운대, 의정부, 양주, 동두천, 소요산, 연천행으로 갈아타야 한다.

2019년 12월 29일까지는 천안·신창 완행이 대부분 이 역에서 착발하였고, 극히 일부만이 광운대역까지 운행했다. 12월 30일 1호선 운행시각표 대개편으로 천안·신창에서 출발한 모든 급행열차와 일부 완행열차가 청량리행으로, 나머지는 광운대역까지 운행하도록 조정되었다.

2024년 현재 청량리역 출발 열차는 평일 45편(완행 21편, 급행 24편),[17] 휴일 40편(완행 19편, 급행 21편)이 운행하고 있으며, 평일 완행 중 3편만 서울교통공사 차량이다.[18]

회기역 방면으로 유치선(Y선)을 보유하고 있으나 주박 승무원 침실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며 이에 따라 막차가 주박을 하지 않고 오로지 회차 용도로만 사용하고 있다.

서울역과 청랑리역 사이 서울 지하철 1호선만을 오가는 열차는 2005년까지 평시에도 운행되었으나, 현재는 막차 시간에 한하여 1회(24:42)만 운행한다.

경의중앙선 홍대입구역과 같이 지하역사 중 특이하게도 맞이방이 승강장 아래에 자리한다. 타는 곳이 지하 1층, 맞이방이 지하 2층이다. 그래서 출입구를 통해 역사 내부로 들어오면 지하 2층이며, 여기서 게이트를 통과하고 계단을 올라가야 승강장이 나온다. 승강장과 연결되어 있는 엘리베이터는 수직형 유압식 리프트로 설계되어 있어 운행 속도가 무척 느리다. [19] 1호선의 지하 구간 승강장 중에서는 유일하게 역명판이 벽돌 벽이 아닌 위쪽 콘크리트 벽에 붙여져 있다. 역명판과 스크린도어, LCD 행선기를 제외하면 1974년 개통 당시의 모습이 그대로 남아 있다.

회기역 방향으로 얼마 가지 않아 지상 선로가 시작되는데 낮에 첫 칸 맨 앞문으로 타고 내릴 때 스크린도어와 차체 사이 틈으로 하얀 빛이 들어오는 터널 출구가 명확하게 보인다. 심도가 6.44m로 서울에서 가장 얕은데 청량리역 환승센터 3번 승강장에서 버스나 횡단보도 신호를 기다릴 때 열차가 지나가면 소리와 진동이 지상에도 전해질 정도이다.

수도권 전철 1호선 청량리역 ~ 회기역 구간은 남영역 ~ 서울역 구간과 동일하게 절연구간이다. 남영역 ~ 서울역 구간은 경부선~서울 지하철 1호선, 청량리역 ~ 회기역 구간은 서울 지하철 1호선~경원선 간의 전력 공급 방식 전환으로 인해서 절연구간이 있다. 이 역에서 연천 방면으로 직류 1,500V에서 교류 25,000V로 전력 공급 방식이 바뀌며, 절연구간 안에서 열차는 관성으로 이동한다.

특이점이 있다면 회기역 방면에는(연천 방면) 지상 출구가 훤히 보이지만 회기역에서 들어오는 방향에서는(인천/신창 방면) 보이지 않는다. 지형 특성상 터널 길이가 다르기 때문이다. 연천 방면은 회차 및 분기 선로를 통과하자마자 지상으로 올라가기 때문에 터널이 짧은 반면에 인천/신창 방면은 회차선과 본선이 같이 있어서 터널이 길다. 다르게 말하자면 청량리에서 회기로 갈 때에 먼저 지상으로 올라가고, 회기에서 청량리로 갈 때에 먼저 지하로 내려간다. 따라서 청량리역에서 회기역 방면으로 가면 회차선을 거의 못 보지만 회기역에서 청량리역 방면으로 가면 청량리역 회차선을 볼 수 있다.

1번, 6번 출구에서 타는 곳으로 이어지는 맞이방[20]이 상당히 좁다. 거기에 조명도 밝기가 약간 낮아서 밖에서 들어가면 어두운 느낌이 든다. 이는 2014년까지 있던 아현고가로 인해서 타는 곳이 상당히 좁고 건너편 타는 곳을 못 보던 서울 지하철 2호선 아현역과 그 성질이 대체로 비슷하다. 1번, 6번 출구 인근에 전통 시장들이 몰려 있는 탓에, 명절 직전이 되면 손수레를 든 노인 승객들로 북새통을 이루는 구간이다.

지하 역사 화장실은 4번 출구 방면 계단 중간에 있는데, 입구에서 다시 몇 계단 올라가야 화장실이 나오는 구조인데다가 면적이 상당히 비좁아 들락날락하기가 상당히 불편하다.[21] 게다가 남자, 여자 화장실 모두 대변기는 모조리 화변기로 되어 있다. 인근 경의중앙선 환승통로 초입에도 화장실이 있으므로 웬만하면 환승통로 내부 화장실을 이용하기를 추천한다.

청량리역 인근 재개발 사업으로 탄생한 청량리역 롯데캐슬 SKY-L65 건물과의 연결통로 공사가 진행중이다.[22] 기존의 낡은 5번 출구를 폐쇄하고 비슷한 위치에 새로운 5번 출구가 개통하며 에스컬레이터 2대가 신규 설치되었고(2024년 4월 개통), 4번 출구 역시 연결통로 신설과 함께 출구 개량공사 및 화장실 개량 공사가 2024년 10월 29일부터 약 3개월 간 진행될 예정이다.

2.3. 장래

GTX-C, GTX-B 노선이 공사 중이며, 면목선이 예타 통과로 건설이 확정되었다. 또한 수인·분당선 단선 연장 추진 중인데 실현되면 배차간격이 크게 줄어들 예정이다. 그외 강북횡단선이 추진되고 있으나 예타 탈락으로 지지부진한 상황.

2.4. 환승통로

과거 1호선중앙선 청량리역은 서로 코앞에 있음에도 별도의 역으로 취급해서 갈아탈 때에 요금을 다시 내야 했다. 경원선 용산-성북 구간 수도권 전철이 개통된 1978년 12월 9일부터 민자역사와 환승통로가 완공 전(2010년 8월 19일)까지 32년 가까이 별개였다. 그러다 민자역사를 건설하면서 환승통로를 공사하기 시작했고, 2010년 8월 20일 환승통로가 개통되었다.

현재 1호선에서 경의·중앙선, 수인·분당선, 경춘선, KTX, ITX-청춘 방면으로 가는 환승통로는 1호선 상행(연천 방면) 승차위치 1-1, 하행(인천, 신창 방면) 승차위치 10-4에서 가장 가깝다.[23]

1호선에서 경의·중앙선 방면 환승통로로 진입한 뒤 약 30m 걸어가다 보면 우측에 "3층 맞이방"이라고 쓰여 있는 표지판이 있으며, 좌측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올라가면 경의중앙선, 수인분당선, 경춘선 승강장으로 이동할 수 있다. KTX 또는 ITX-청춘 열차를 이용할 승객 중 사전에 승차권을 구입하지 못한 사람은 "3층 맞이방" 표지판이 위치한 곳에서 교통카드 하차 태그를 한 뒤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3층 맞이방으로 올라갔다가 승차권을 구입한 뒤 다시 기차 타는 곳으로 내려가야 한다. 이미 KTX 또는 ITX-청춘의 승차권을 보유한 상태라면, 굳이 3층 맞이방으로 갈 필요 없이 곧바로 경의중앙선 방면으로 이동하여 자신이 탑승할 열차의 승강장으로 가면 된다. 이때, KTX 강릉·제천·안동 방면은 4번 홈으로 먼저 올라간 뒤 승강장 내에 위치한 개찰구에 교통카드 하차 태그를 하면 곧바로 3번 홈으로 이동할 수 있다. KTX 서울 방면도 5번 홈으로 먼저 올라간 뒤 승강장에서 교통카드 태그 후 곧바로 6번 홈으로 넘어가면 된다. [24]

1980~1990년대 일부 지하철 노선도를 보면 청량리역이 갈아타는 역으로 잘못 표기되어 있었던 경우가 있다. 수도권 전철 전산화 전(에드몬슨식 승차권)에는 청량리역에서 갈아타겠다고 하면 검표원이 승차권에다가 특별한 표시를 해서 개찰구를 통과시키고, 상대방 역에 가면 검표를 다시 받는 식으로 갈아탈 수 있었다. 두 노선을 잘못 타서 항의를 하는 승객들이 워낙 많았기 때문에, 서로의 역으로 바꾸어 탈 수 있도록 임시 조치를 취한 것이다. 그러나 1986년 9월에 전산화를 시행하고 나서는(마그네틱 승차권 도입) 이 방식을 못 쓰게 되었다. 이 시절에는 평시에도 용산 발 청량리 종착 열차가 있어서 갈아타려면 회기역까지 올라가야 했고, 그러자면 그 다음에 오는 더 위로 올라가는 열차를 기다려야 했다. 심지어 용산 - 청량리 구간의 배차 간격은 지금보다 더 나빴다.

1호선과 타 노선 간의 환승은 거리가 멀어서 막장환승이다. 경의·중앙선, 수인·분당선, 경춘선 간의 환승은 개념환승이다. 따라서, 1호선경의·중앙선 및 청량리발 경춘선 간 갈아타려면 회기역에서 하는 것을 권장한다. 청량리역 환승은 준막장급이지만 회기역은 뛰면 1분 만에 가능하다.

2020년 11월부터 5번 홈을 경의·중앙선 문산 방면 타는 곳으로 쓰는데, 당시에는 지하 환승통로가 이어져 있지 않았다. 환승통로 공사를 하여 2021년 6월 30일에 3번 타는 곳을 저상화하고 환승통로를 개통할 예정이었지만 12월 27일로 연기되어서 개통하였다. KTX-이음의 강릉선 KTX 투입 및 서원주역에서 분리하는 복합열차 운행이 확정되었고, 따라서 3번 타는 곳이 이음 열차의 중련 편성을 처리하도록 확장되어야 했다.

2.5. 막차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막차 시간은 다음과 같다. (평일 기준)
    • 문산 방향
      • 문산행 22:56: 문산 ~ 곡산 막차이다. 파주나 일산으로 가는 마지막 열차이다. 대곡역 막차는 1호선의 23:23 구로행으로 23:35에 종로3가역에 도착하여 23:50에 종로3가역을 출발하는 3호선 대화행 막차와 연계되며, 이 방법으로 일산의 3호선 연선으로 들어가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일산은 다음 능곡행을 타고 00:42분에 능곡에 내리면 심야버스인 서울 버스 9707번을 타고 들어갈 수는 있다.
      • 능곡행 23:28: 능곡 ~ 서강대역(디지털미디어시티역, 홍대입구역 제외) 막차이자 고양시로 가는 마지막 열차이다. 효창공원앞역, 공덕역, 홍대입구역 막차는 1호선의 0:11 서울역행으로 0:17에 동묘앞역, 0:28분에 시청역에 도착하여 각각 0:37에 동묘앞역을 출발하는 6호선 공덕행 막차, 0:40에 시청역을 출발하는 2호선 신도림행 막차와 연계된다. 디지털미디어시티역은 1호선 23:53 구로행이 막차로 똑같이 동묘앞역으로 가면 0:18에 동묘앞역을 출발하는 6호선 새절행 막차와 연계된다. 그리고 서강대역으로 갈 때는 같은 방법으로 6호선을 타서 대흥역이나 광흥창역에서 내리면 되며, 수색역으로 갈 때도 디지털미디어시티역에서 내려 걸어갈 수 있다.
      • 용산행 00:11: 용산 ~ 왕십리 막차, 전체 막차이다.
    • 용문 방향
      • 지평행 20:26: 지평행 막차
      • 용문행 23:16: 용문 ~ 도심 막차, 양평, 양수리는 이 열차가 막차이다. 단 도심역은 이 열차를 놓쳐도 청량리역 환승센터에서 00:40에 출발하는 166번 시내버스로 연계가 가능하며, 팔당은 왕십리역으로 가서 5호선을 타고 하남검단산역으로 가서 112-1번 시내버스를 타면 된다.
      • 덕소행 23:42: 구리 도농지역은 1시에서 2시까지 인창동(202번(경기)[25]), 경춘로(구리역까지) 및 수택동(201번), 구리역 이후 경춘로 일대에 버스(1330-4번)가 다닌다.
  • 수도권 전철 경춘선의 막차 시간은 다음과 같다. (평일 기준)
    • 춘천 방향
      • 춘천행 22:11
      • 덕소행 23:01: 23:09 상봉 도착, 23:16 춘천행 막차와 연계된다. 춘천/가평/청평/대성리 구간 막차이다. 다만 가평~대성리는 청량리역 환승센터 1번에서 00:55에 가평으로 출발하는 1330-2번을, 청평 ~ 대성리는 새벽 1시가 넘어서 있는 1330-4번을 타도 된다. 가평역, 춘천시 방면은 이 열차를 놓치면 아래의 ITX-청춘 막차를 타거나 동서울종합터미널로 가서 시외버스를 타야 한다. 시외버스는 춘천 시내로 갈 때만 탈 수 있고, 가평군이나 춘천 시내에서 동떨어진 서부 지역은 무조건 ITX-청춘을 타야 한다.
      • 춘천행(ITX-청춘) 23:05
      • 덕소행 23:42: 경의중앙선 전체 막차로 23:50 상봉 도착, 23:54 마석행 막차 연계. 단, 신내역은 1호선을 타고 석계역으로 가서 6호선으로 갈아타면 갈 수 있다. 전체 막차인 광운대행 막차가 6호선 신내행 막차와 연계된다.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막차 시간은 다음과 같다.
    • 수원, 인천 방향
      • 인천행 15:50: 인천 ~ 오목천 직통 막차이다. 주말에는 17:14 인천행 열차가 수인·분당선 전체 구간 직통 막차이다.
      • 고색행 16:56: 고색 ~ 보정 직통 막차이다.
      • 죽전행 19:04: 죽전 ~ 서울숲 직통 막차이다. 이 시간 후에는 경의·중앙선을 타고 왕십리에서 갈아타야 수인·분당선을 이용할 수 있다.
      • 문산행 21:19: 21:23 왕십리 도착, 21:33 인천행 막차와 연계된다. 인천 ~ 달월 구간 직통 막차이다. 이 차를 놓쳤으면 1호선 인천행 막차가 전체 막차인 인천역을 제외하고는 1호선의 22:16 인천행이 막차이다. 23:21 부평 도착-23:27 송도달빛축제공원행-23:46 원인재 도착-23:55 오이도행 막차, 23:57 인천행 막차와 연계된다. 원인재역은 23:13 1호선 구로행까지 이용 가능하다. 23:32 서울역 도착-23:40 인천공항2터미널행-00:09 계양 도착-00:18 동막행 막차와 연계된다.
      • 문산행 22:02: 22:06 왕십리역 도착, 22:17 오이도행 막차와 연계된다. 오이도 ~ 오목천 구간 직통 막차이다. 이 차를 놓쳤으면 사리~오목천 구간은 22:36 문산행(22:53 이촌 도착)-22:57 오이도행(23:48 한대앞 도착, 23:52 고색행 막차 연계)이 전체 막차이다. 오이도 ~ 신길온천 구간은 22:56 문산행(23:13 이촌 도착, 23:21 오이도행 막차 연계), 안산 ~ 한대앞 구간은 23:17 능곡행(23:34 이촌 도착, 23:36 안산행 막차 연계)까지 이용할 수 있다.
      • 문산행 22:36: 22:40 왕십리역 도착, 22:51 고색행 막차와 연계된다. 고색 ~ 보정 구간 막차이다. 수원역에서는 1호선 서동탄행 막차가 전체 막차이다. 그리고 오목천역으로 갈 경우에는 고색행 열차를 타고 고색역에서 내려서 걸어갈 수도 있다.
      • 능곡행 23:28: 23:32 왕십리역 도착, 23:35 죽전행 막차와 연계된다. 분당선 전체 구간 막차이다.
  • 수도권 전철 1호선의 막차 시간은 다음과 같다. (평일 기준)
    • 경원선 상행 막차
      • 연천 23:09 : 연천 ~ 청산 막차, 연천군으로 가는 마지막 열차이다.
      • 소요산 23:32: 소요산 ~ 덕계 막차, 동두천시로 가는 마지막 열차이다.
      • 양주 23:39: 양주 ~ 가능 막차, 양주시로 가는 마지막 열차이다.
      • 의정부 23:52: 의정부 ~ 월계 막차, 서울 밖(의정부시)으로 나가는 막차이다.
      • 광운대 00:19: 광운대 ~ 회기 막차이자 상행 전체 막차이다.
    • 경부선/장항선 하행 막차
      • 신창 21:39: 신창 ~ 봉명 막차이다. 아산시로 가는 막차이다.
      • 천안 22:01: 천안 ~ 세마 구간 막차, 경기도 남부(오산시, 평택시), 충청남도(천안시)로 나가는 막차이다.
      • 서동탄 22:58: 서동탄 ~ 가산디지털단지 막차, 경부선 전체 막차이다. 경기도(안양시, 군포시, 의왕시, 수원시, 화성시)로 나가는 마지막 열차이다. 다만 가산디지털단지역은 23:53 구로행까지 이용 가능하다. 0:23 대방 도착-0:33 관악산행-0:36 보라매 도착-0:42 온수행 막차와 연계된다. 금정역은 23:28 능곡행(경의중앙선)까지 이용 가능하다. 23:44 이촌 도착-0:00 금정행 막차와 연계된다.
    • 경인선/서울 지하철 1호선 하행 막차
      • 인천 23:13: 인천 ~ 구일 막차, 경인선 전체 막차이다. 경기도 부천시, 인천광역시로 나가는 마지막 열차이다. 단, 부평역은 23:23 구로행(23:42 서울역 도착)-23:50 검암행(00:19 계양 도착)-00:30 예술회관행 막차 연계까지 이용 가능하다. 온수역은 전술한 23:53 구로행까지 이용 가능한데 0:23 대방 도착-0:33 관악산행-0:36 보라매 도착-0:42 온수행 막차를 타고 끝까지 가면 된다.
      • 구로 23:53: 구로 ~ 남영 막차이다. 용산역은 경의·중앙선 용산행 막차나 00:11 서울역행까지 이용 가능한데, 서울역에서 내려서 0:46에 서울역을 출발하는 4호선 사당행 막차를 타고 신용산역에서 내리면 된다. 신도림역도 00:11 서울역행이 전체 막차인데 시청역에서 내려서 2호선 신도림행 막차로 갈아타면 된다.
      • 서울역 00:42: 서울역 ~ 제기동 막차, 하행 전체 막차이다.

3. 역 주변 정보

청량리는 서울의 대표적인 부도심 중 하나지만, 청량리 588과 노후화 등으로 인해 밤에는 근처 골목길에 들어가지 않는 것이 좋다는 이야기가 나돌 정도로 치안이 안 좋았다. 현재는 사창가 일대가 철거되고 전농답십리뉴타운과 청량리부도심촉진권역사업에 따라서 재개발이 시행 중이다.

지상 역사와 지하 역사가 각각의 출구 번호를 보유한 탓에 초행인 사람은 헷갈리기 쉬워 약속 잡을 때 유의해야 한다. 지상 역사는 청량리역 광장과 1호선 지하 역사 방면이 1번 출구, 선상광장이 2번 출구, 서울시립대 방면이 3번 출구이며, 지하 역사에는 별도로 1번부터 6번 출구가 있다.

지하 1번 출구에서 큰길을 따라서 제기동역 방면으로 조금만 가면 청량리청과물도매시장이 나오고[26], 6번 출구에서 마찬가지로 큰길을 따라서 제기동역 방면으로 조금만 가면 청량리수산물도매시장이 있다.[27] 이 둘은 서로 마주보고 있으며, 둘 다 새벽에 도매야시장이 열린다. 서동북부 최대의 재래시장이다.

근처에 문구/완구 도매상이 있다. 4곳 남짓 있어서 규모는 초라하다. 그나마 완구류는 90년대 완구가 남아있는 도매상이 한 곳 있다. 그러나 오래 전부터 레어라고 불리던 것은 없다.

지하 2번·3번 출구 사이에 한마음혈액원이 자리한다. 3번 출구 가까이에 서울동대문경찰서, 동대문세무서, 서울성심병원이 있다.

청량리차량사업소가 환승센터 반대편에 있다.

동쪽에 서울특별시동부교육지원청이 있다.

동서울터미널과 마찬가지로 군인들에게 차비가 부족하다면서 돈을 뺏는 남수꾼들이 있다.



2023년 청량리역 주변이 재개발청량리역 한양수자인 그라시엘, 청량리역 롯데캐슬 SKY-L65 등이 들어오면서 이 일대 전세값과 상가 가격이 폭락하고 있다.

병기역명은 서울시립대학교인데, 도보로 10여 분이 소요된다. 지상 청량리역 기준, 역 뒷쪽으로 나가 고가도로를 내려가면 5분 정도 거리로 빠르게 서울시립대학교에 갈 수 있다. 그러나 서울시립대학교 방향으로 상당한 오르막이 있다.

4. 일평균 이용객

4.1. 수도권 전철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52a4><bgcolor=#0052a4> 연도 ||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GJLine_icon.svg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파일:SBLine_icon.svg
||<bgcolor=#0052a4> 총합 ||<bgcolor=#0052a4>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94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1994년
136,831명
추가예정
1995년
137,311명
1996년
123,566명
1997년
108,921명
1998년
106,833명
1999년 자료없음
2000년 97,999명 14,501명
112,500명
비고
2001년 93,947명 16,592명
110,539명
2002년 90,716명 17,006명
107,722명
2003년 90,685명 19,316명
110,001명
2004년 93,728명 12,602명
106,330명
2005년 95,268명 12,392명
107,660명
[28]
2006년 83,259명 11,490명 94,749명
2007년 81,314명 11,324명 92,638명
2008년 80,001명 11,106명 91,107명
2009년 77,145명 11,083명 88,228명 }}}}}}}}}
2010년 73,077명 16,430명 89,507명
2011년 68,767명 23,526명 92,293명
2012년 66,836명 26,488명 93,324명
2013년 64,463명 30,810명 95,273명
2014년 63,252명 31,939명 95,191명
2015년 61,386명 32,630명 94,016명
2016년 60,415명 32,672명 93,087명 [29]
2017년 56,803명 32,164명 88,967명
2018년 53,928명 34,723명 88,651명 [30]
2019년 51,807명 36,224명 88,031명
2020년 35,926명 25,263명 61,189명
2021년 34,835명 27,283명 61,668명
2022년 37,147명 31,290명 68,437명
2023년 40,322명 34,441명 74,763명
2024년
출처
파일:Seoulmetro1_icon.svg: 서울교통공사 자료실[31]
파일:GJLine_icon.svg: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자료실

2021년 기준 일 평균 전철과 여객열차 이용객을 모두 포함하여 약 7만 5천 명으로 서울의 부도심다운 이용객 수를 나타내고 있으나, 일 평균 약 112,500명이 타고 내렸던 2000년에 비해서는 점점 수요가 위축되어 가는 추세다. 이는 과거 청량리역은 서울 동부의 상업/교통 밀집 지역으로서 물류 대부분이 몰려들었으나, 역 주변이 상당히 노후함에도 별다른 대책이 수립되지 않어서 청량리의 부도심 기능은 상봉/왕십리/수유리/건대 등의 주변 지역으로 분산되었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열차 이용객 역시 줄었다.

1호선만 놓고 봤을 때에는 그 감소 폭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2000년과 2017년의 일 이용객 수 차이가 무려 4만 명 이상으로 17년 동안 42%나 줄었다. 이는 1호선 연선에서 청량리역을 찾는 승객이 크게 줄었음을 뜻한다. 또한 신규 개통한 강릉선, 중앙선 KTX서울역까지 환승 없이 운행 중이고, 왕십리역옥수역, 상봉역 등의 신규 여객 취급으로 인해 영동선, 중앙선, 경춘선 연선 지역에서 청량리역을 거치는 승객들이 크게 줄었다.

반면 경의중앙선은 용산-성북 구간에서 중앙선으로 경로가 바뀌고 민자역사가 개업하면서 이용객이 급증했는데, 중랑구·구리시·남양주시의 승객들과 연장하면서 양평군의 수요까지 직접 끌어올 수 있던 것이 그 까닭이다. 임시 역사 시절 1호선 지선격으로 운행했을 때에는 1호선 승하차객의 15%에 불과했지만, 2020년에 70% 수준까지 따라왔다.

경춘선 무궁화호를 계승한 ITX-청춘도 무궁화호 시절보다 이용객이 줄었다. 복선전철화 전 이곳을 종점으로 삼았을 때에는 하루 평균 1만 명 이상이 경춘선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2017년의 청춘 열차 탑승객 수는 하루 평균 5,500명으로 절반에 불과하다. 서울-춘천 열차 수송 분담율이 크게 늘어난 결과와 반대된다. 이는 춘천 가는 열차가 일반 전철인 수도권 전철 경춘선도 있다는 것, 그리고 청춘 열차가 용산역으로 연장되어 용산역, 옥수역, 왕십리역으로 가는 탑승객이 이들 역으로 분산되었기 때문이다.

이 역에서 타고 내리는 사람은 주로 중랑구·구리시·남양주시 지역에서 서울 사대문 안으로 가거나, 여기가 목적지인 승객들이다.

이용객 수도 많지만 교통 거점인 만큼 환승객 규모가 적지 않다. 2018년에 202,491명으로 한국철도공사 소속의 광역전철역 중 금정역신도림역에 이어서 전국 3위를 차지했다.[32] 다만, 서울교통공사 노선 간 환승은 빠져 있어서 이 환승객들 수를 더한다면 왕십리역 등 타 역에 밀린다.

청량리역 이용객 수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노인 등 무임 탑승객 수가 많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실제로 2022년 기준 청량리역을 이용하는 무임 탑승객 수는 총 9,152,316명(일 평균 25,075명)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종로3가역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규모이다. 이 같은 수요 패턴은 청량리역에서 하차 후 주변의 청량리시장, 경동시장을 비롯한 각종 재래시장이나 롯데마트 청량리점을 방문하는 노인 탑승객의 쇼핑 수요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33]

4.2. 일반·고속철도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3da5><bgcolor=#003da5> 연도 || 파일:KTX BI.svg ||
파일:ITX-청춘 BI.svg
||
[[새마을호|
새마을호
]]
파일:ITX-새마을 BI.svg
|| [[무궁화호|
무궁화호
]]
파일:누리로 BI.svg
||<bgcolor=#003da5> 총합 ||<bgcolor=#003da5> 비고 ||
2004년 1,039명 17,803명 18,842명
2005년 1,026명 18,100명 19,126명
2006년 952명 15,819명 16,771명
2007년 미운행 15,623명 15,623명
2008년 15,668명 15,668명
2009년 13,549명 13,549명
2010년 554명 12,191명 12,745명
2011년 428명 6,651명 7,079명
2012년 4,809명 444명 7,431명 12,684명 [34]
2013년 6,122명 607명 8,906명 15,635명
2014년 6,491명 681명 9,322명 16,494명
2015년 6,053명 987명 9,436명 16,476명
2016년 6,074명 1,018명 8,834명 15,926명
2017년 6,731명 5,575명 682명 9,019명 22,007명 [35]
2018년 4,867명 5,619명 559명 8,151명 19,196명
2019년 5,055명 5,563명 575명 7,869명 19,062명
2020년 3,310명 3,448명 332명 4,870명 11,960명
2021년 6,957명 3,471명 317명 3,694명 14,439명
2022년 9,410명 4,251명 209명 4,447명 18,317명
2023년 10,556명 4,602명 1,239명 3,832명 20,229명
출처
파일:KTX BI.svg 파일:ITX-새마을 BI.svg [[무궁화호|
무궁화호
]]: 철도통계연보
파일:ITX-청춘 BI.svg: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5. 승강장

5.1. 지상 역사

파일:attachment/Cheongnyangnij.jpg 파일:청량리역 수인분당선.jpg
경의·중앙선 승강장[36] 수인·분당선 승강장
종착역 회기
1 2 3 4 5 6 7 8
왕십리 종착역 왕십리 종착역
1 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 완행·급행 선릉·죽전·수원·인천 방면
2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경춘선 완행·급행 평내호평·가평·춘천 방면
3 강릉선 파일:KTX BI.svg 양평·만종·강릉·동해 방면
중앙선 원주·제천·안동 방면
4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완행·급행 구리·덕소·용문 방면
경춘선 파일:ITX-청춘 BI.svg 평내호평·가평·춘천 방면
5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완행·급행 옥수·용산·문산 방면
경춘선 파일:ITX-청춘 BI.svg 옥수·용산 방면
6 강릉선·중앙선 파일:KTX BI.svg 서울·행신 방면
7·8 중앙선 파일:KTX BI.svg
파일:ITX-새마을 BI.svg
파일:ITX-마음 BI.svg
[[무궁화호|
무궁화호
]]
원주·제천·안동·영천·부전 방면
태백선 파일:ITX-마음 BI.svg
[[무궁화호|
무궁화호
]]
원주·태백·동해 방면
정선선 [[정선아리랑열차|
A-train
]]
영월·정선·아우라지 방면
노선 및 방면 빠른 환승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용문 방면)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경춘선, 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 8-4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문산 방면)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경춘선, 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 1-1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경춘선, 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용문 방면) 8-4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경춘선, 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문산 방면) 8-4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경춘선 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 모든 문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용문 방면) 파일:ITX-청춘 BI.svg (춘천 방면) 8-3[§]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문산 방면) 파일:ITX-청춘 BI.svg (용산 방면) 1-1, 5-3[§]
과거에 1, 2번 승강장[39]ITX-청춘 전용 승강장, 3, 4번 승강장이 경의·중앙선 승강장[40]이었고 5, 6, 7, 8번 승강장이 KTX 및 일반열차 승강장이었다.[41] 5, 6번 승강장은 2017년 12월 강릉선 KTX가 처음 개통될 때 KTX-1 열차의 운용을 위해 승강장 길이를 20량 대응으로 확장해 개장했고 그 상태로 오랜 기간 운용했다.

그러나 2021년 8월에 KTX와 경의·중앙선 열차 간 선로 간섭으로 인한 운행 지연을 줄일 목적으로 3번과 4번을 상행으로, 5번과 6번을 하행으로 변경했다.[42] 다시 말해, 외선 KTX, 내선 ITX-청춘 및 전철로 운영하도록 변경했다. 또한, 3번과 4번, 5번과 6번은 각각 승강장 내에서 교통카드 혹은 QR 승차권을 개찰구에 태그하면 계단을 오르내리지 않고도 개념환승이 가능하므로, 1호선에서 하차하여 KTX를 이용하고자 하는 승객은 굳이 3층 맞이방으로 나갈 필요 없이 경의·중앙선 환승통로를 이용하면 편리하다.[43]

한편 이설에 따라 승강장 길이가 짧아져 KTX 복합열차가 운행하지 못하게 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2023년 연장 공사를 실시했고 이로 인해 2023년 3월 14일부터 강릉선 하선은 6번, 상선은 7번 승강장에 정차했다. 환승통로의 크기를 절반 이하로 줄여 왕십리 방면으로 승강장을 확장했으며 2023년 12월 22일부터 사용 중이다.[44]

5.2. 서울 지하철 1호선

파일:20200719_211917.jpg
서울 지하철 1호선 승강장
회기
제기동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광운대·의정부·연천 방면
당역 종착
인천·서동탄·천안·신창 방면
노선 및 방면 빠른 환승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연천 방면)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경춘선 1-1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인천, 신창 방면)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경춘선 10-4

1호선 청량리역은 수도권 전철 청량리역 중 유일한 지하 역사이며[45], 서울역과 함께 서울 지하철 1호선의 둘 뿐인 섬식 승강장이고, 한국철도공사 구간과 만나며, 지상 역사와 환승이 된다.

승강장 방향 엘리베이터가 매우 느리고 경의중앙선이나 전농동 방향으로는 엘리베이터 이용이 매우 불편하다. 서울역에서도 1호선-공항철도 간 환승은 최악을 자랑한다.[46] 만약 전농동 쪽(신성아파트, 서울시립대)에서 공항철도를 이용한/할 경우라면 공덕역, 경의중앙선 이용이 더욱 편리하다.[47]

연천 방면의 마지막 지하역이자 인천/신창 방면의 첫 지하역이다.

한국철도공사 열차 일부가 이 역에서 시.종착 하고 있어 해당 열차의 차내 청소를 위해 서울교통공사 관할 승강장 내 코레일테크 분소가 위치하고 있다.

5.3.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상봉 광운대 상봉
1 2 3 4
서울역 왕십리 서울역
1 파일:GreatTraineXpress_B.svg GTX-B 상봉·별내·평내호평·마석 방면
2 파일:GreatTraineXpress_C.svg GTX-C 창동·의정부·덕정 방면
3 삼성·정부과천청사·금정·상록수·수원 방면
4 파일:GreatTraineXpress_B.svg GTX-B 서울역·여의도·부평·인천대입구 방면

2020년 10월 28일에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청량리역 환승센터 종합구상을 발표했다.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간의 환승편의를 도모하고자 하여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타는 곳의 형태를 쌍섬식 승강장으로 계획하였다. 이는 기존 금정역 구조와 똑같다.[48]

현재 운행중인 청량리 착발 강릉선중앙선 KTX는 지하로 신설될 GTX-B 전용선로 경유시 회차가 곤란하다. 따라서 GTX-B 선로를 따라 서울역을 거쳐 용산역으로 간 이후 GTX-B 용산역 남단의 Y자회차선에서 회차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

5.4. 서울 경전철 면목선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6. 연계 교통

6.1. 청량리역 환승센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청량리역 환승센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 그 외 정류소

환승센터에 정차하지 않는 버스들의 목록이다.
청량리역 연계 버스 정보
정류소 구분 노선
현대코아
(06285)
<colcolor=#ffffff> 지선
시내
간선
현대코아 (06284) 간선
청량리미주상가앞 (06112) 시내
청량리역6번출구
(06216)
지선
간선
청량리역6번출구
(06217)
지선
간선
청량리역 (06755) 공항

7. 사건 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1997년 8월 24일에 밤 9시 40분 경에 구내에서 입환하던 2100호대 디젤기관차철도청 소속의 인천발 의정부행 K244열차(1X60편성)를 들이받아서 1160호 전면부가 파손되는 사고가 일어났다.[49]청량리-회기 구간이 불통되어서 1호선 열차들은 성북역(현. 광운대역)이나 이 역에서 회차하고, 경춘선영동선 열차는 이문역으로 우회했다.

2007년 8월 13일에는 민자역사 공사 중 천공기가 역 쪽으로 쓰러져 승강장을 덮치면서 의자에 앉아 있던 전모(당시 67세, 남, 1940년생) 씨와, 신수현(당시 18세)[50] 양이 깔려 숨지고 선로들을 가로막아 중앙선 전동열차들이 반대 방향으로 되돌아가는 식으로 운행되는 불편을 일으켰다.

2012년 5월 5일, 청량리역에서 나체 상태로 탑승한 여성이 지나가는 승객에게 욕을 해서 경찰에게 붙잡힌 사건이 있었으나 지체장애인 여성으로 드러났다.[51]

2024년 6월 6일 밤 9시 40분 경 1호선 청량리역 승강장에 정차한 소요산행 열차에서 화재 연기가 난다는 신고가 접수되었다. 이는 압축공기를 화재 연기로 오인한 것이였다.

2024년 6월부터 8월까지 1호선 청량리역 6번 출구 하행 에스컬레이터의 잦은 고장으로 멈춰 있는 날이 많아 승객 통행에 상당한 불편이 있었다. 9월부터는 고장 없이 정상적으로 작동 중이다.

2024년 9월 13일 밤 1호선 청량리역 6번 출구 천장 캐노피 유리가 파손되어 6번 출구 진입이 통제되었다가 다음날인 14일 오후 통행이 재개되었다.

8. 기타

  • 이 역은 지나가는 노선 수가 인접한 역 수보다 많은 유일한 전철역이다. 이 역을 지나가는 노선은 4개이고 인접한 역은 3개이다.
  • 이 역과 왕십리역의 역간거리는 2.4km로, 간선철도 정차역 중 가장 역간거리가 짧다.
  • 이 역에 도착하는 부전발 청량리행 무궁화호 1624 열차는 대중교통 연계가 제일 좋은 야간 열차였다. 부전역에서 합리적인 시간(오후 11시 40분 경)에 출발하여 야간에 동해선, 중앙선을 지나 5시 50분 경에(2020년 3월 25일 기준 부전역 오후 10시 45분 출발-청량리역 익일 오전 5시 51분 도착) 이 역에 도착하면 이미 일부 노선버스와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중앙선이 운행을 시작한 상태이다. 주말에는 경의·중앙선의 운행 개시까지 약 15~20분 정도의 틈이 있기는 하나 이 열차는 단선, 비전철화 구간이 대부분인 중앙선에서 전차선 단전 시간대에 달리는 디젤 기관차가 견인하므로 정시성이 좋지 않아서 큰 문제는 아니었다. 그러나 2021년 1월 5일부로 이 야간열차는 20시 55분에 도착하는 평범한 열차가 되었는데, 덕분에 그 시간대에 숙박비와 교통비를 아낄 겸 이 열차를 이용하던 여행객들의 반발을 낳았다.
  • 왕십리역 방면 유치선에는 경의선과 중앙선의 직결 전부터 예비 차량(331C23)이 있는데, 용문차량사업소가 너무 멀어서 차가 고장날 때에 대처할 방법이 없었다. 직결 뒤에도 문산차량사업소용문차량사업소 간의 거리가 100km가 넘기 때문에 예비 차량이 있다.
  • 츠지 마사키의 '서울발 살인 이야기'가 이곳을 배경으로 한다.[53] 그러나 결과적으로 남한 전국을 떠도는 이야기가 되어서 비중은 낮다.
  • 청량리역 내부 롯데백화점에는 신천지가 자주 출몰하니 조심해야 한다. 청량리역 바로 맞은편 경동시장에 있는 한 건물에 신천지 동대문지부가 꽤 큰 규모로 존재한다.
  • 이 역에서 회기역까지는 1호선/경의·중앙선/경춘선 모두 약 3분이 걸리고, 용산역까지는 1호선으로는 25분, 경의·중앙선 완행으로는 21분, 경의·중앙선 급행으로는 18분이 걸려 경의·중앙선이 약간 더 빠르다. 하지만 큰 차이는 아니고, 청량리역의 1호선 승강장과 경의·중앙선 승강장이 멀리 있으므로 소요시간은 크게 신경쓰지 말고 먼저 오는 노선이나 현재 위치에서 가까운 노선을 타는 편이 낫다.
  • 이 역에서 인천역까지 1호선은 1시간 27분, 수인·분당선은 2시간 47분이 걸리며, 수원역까지 1호선 완행은 1시간 21분, 1호선 경부선 급행 A는 1시간 12분, 수인·분당선은 1시간 35분이 걸리므로 1호선이 더 빠르다.
  •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열차의 안내방송에서는 경춘선 환승 안내방송을 송출하지 않는다. 경춘선 열차가 자주 운행을 안 해서 송출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되나, 아이러니하게도 경춘선보다 더 드물게 운행하는 수인·분당선 환승 안내방송은 송출한다.
  • 원래는 지상 청량리역과 지하 청량리역이 별개의 역으로 간주되었으며, 환승역으로 통합된 이후에도 그 흔적이 남아있다. 이 역은 출구 번호가 통합되어 있지 않아 지상 역사의 1~3번 출구와 지하 역사의 1~6번 출구를 별개로 취급한다.

9.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5daa> 경원선
서울 지하철
1호선
경인선
경부선
천안직결선
장항선
병점기지선
시흥연결선
· 경부고속선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73c7a6> 경의선
용산선
경원선
중앙선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춘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178c72> 중앙선
망우선 (파일:Seoulmetro7_icon.svg 파일:GJLine_icon.svg 상봉) -
경춘선 }}}※ 상봉역은 망우선의 역은 아니지만, 망우선을 지날 때 상봉역을 거쳐 간다.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파일:SB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abe00>
##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구성 -
}}} ※ 볼드는 급행열차 정차역 (고색 ~ 죽전 구간)
기울임체는 급행열차 정차역 (인천 ~ 오이도 구간)}}}}}}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파일:GreatTraineXpress_B.svg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파일:GreatTraineXpress_C.svg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06e5b>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노선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경원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 폐역,†:여객영업 중지
}}}}}}}}}

중앙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서경주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경주}}}}}}
취소선:폐역, †:여객영업 X ||}}}}}}}}}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ae193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고속철도 경부고속선 · 수서평택고속선
준고속철도 중앙선
일반철도 경부선 · 경원선 · 경의선 · 경인선 · 경춘선 · 인천국제공항선
탑승
<rowcolor=#fff> 탑승역 등급 행선지
서울역 파일:KTX BI_White, Red.svg · 파일:KTX-산천 BI_White.svg 부산 · 진주 · 포항 · 목포 · 여수 · 강릉 · 동해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 부산 · 신해운대 · 진주
무궁화호 부산 · 제천(충북선)
용산역 파일:KTX BI_White, Red.svg · 파일:KTX-산천 BI_White.svg 목포 · 여수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
파일:ITXCheongChun_WhiteLOGO.png 춘천
새마을호 익산(장항선)
무궁화호 목포 · 여수 · 익산(장항선)
영등포역 파일:KTX BI_White, Red.svg · 파일:KTX-산천 BI_White.svg 부산 · 진주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
새마을호 익산(장항선)
무궁화호 부산 · 목포 · 여수 · 익산(장항선) · 제천(충북선)
수서역 파일:Untitled-1.png 부산 · 목포
청량리역 파일:KTX-이음 BI_White.svg 안동 · 강릉 · 동해(강릉선)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 안동
파일:ITXCheongChun_WhiteLOGO.png 춘천
무궁화호 부전 · 동해(영동선)
상봉역 파일:KTX-이음 BI_White.svg 강릉 · 동해(강릉선)
파일:ITXCheongChun_WhiteLOGO.png 춘천
왕십리역 파일:ITXCheongChun_WhiteLOGO.png 춘천
옥수역 }}}}}}}}}



[1] 옥수역(KN), 응봉역(KN), 왕십리역, 청량리역을 관할한다.[2] 경경남·북부선 통합 및 경경선으로 개칭된 날짜.[3] 1948년 1월 하순 경경선에서 중앙선으로 개칭.[4] 수도권 전철 1호선은 지하 2층 구조 및 지하 1층 승강장 (심도: 6.44m)[5] 개정 전 58번, 동묘앞역 개통 전 125번.[6] 수도권 전철 중앙선 개통 전에는 K125번.[7] 임시역사 기간동안 구 역사는 패스트푸드점들이 입주하였다.[8] 롯데백화점 청량리점은 본래 대왕코너 부지에 있었으나 기존 백화점 건물에서 화재가 수차례 일어났던 데다 주차장 바로 뒤에 있는 전농동 588번지 홍등가의 존재 때문에 청량리역 민자역사로 이전하였다.[9] 「청량리 민자역사 힘찬 삽질」, 문화일보, 2006-04-27[10] 강릉이나 영주 쪽 등의 중앙선, 태백선 연선과 영동선 연선으로 가려면 무조건 청량리역으로 와서 기차를 타야 했다.[11] 태백선 연선 제외. 그래도 선형 개량 및 직선화로 태백선 연선도 소요시간이 이전에 비하면 꽤 단축된 편이고 ITX-마음도 운행 중이다.[12] 추후 춘천속초선 개통으로 청량리역에 정차하는 KTX 계통이 하나 더 생길 예정이다.[13] 「10월부터 '분당선 청량리역 연장운행' 사업 착수」, 티브로드서울, 2017-09-27[14] 단, 청량리-부전 통일호(원래는 비둘기호) 열차의 경우 원래 부전역 시종착이었다.[15] 환승통로 개통 이전에는 병기역명을 지하 청량리역이라고 하였다.[16] 사진에 들어오는 열차는 당역 종착 열차다.[17] 이 중 청량리 착발이 44편, 이문기지 출고열차가 1편이다.[18] 10:19 S441 서동탄행, 11:04 S445 서동탄행, 24:42 S907 서울역행[19] 편도 운행 시간이 약 45초라고 한다.[20] a.k.a. 서부 대합실[21] 이 때문에 장애인화장실도 역 구조 상 설치할 수가 없다.[22] 4번, 5번 출구가 이에 해당[23] 단, 이곳은 계단뿐이므로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환승하기 위해서는 1호선 상행 4-1, 하행 7-4 지점에서 내린 뒤, 대합실에서 게이트를 두 번 통과해야 한다.[24] 다만, 간혹 승차 홈이 변경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환승통로에서 자신이 탑승할 열차의 승강장 번호를 반드시 확인하는 것이 좋다.[25] 서울 202번과 혼동해서는 안된다.[26] 관련 게시글, 출처: 티스토리[27] 관련 게시글, 출처: 티스토리[28] 경의·중앙선의 12월 16일까지의 자료는 용산-성북구간 국철 계통 이용객 수를 나타낸 것이다.[29] 9월 26일에 개통된 경춘선의 자료는 경의·중앙선의 자료에 합산되어 집계된다.[30] 12월 31일에 개통된 분당선의 자료는 경의·중앙선의 자료에 합산되어 집계된다.[31] 옛 자료 출처: 지하철 수송계획, 서울지하철경영[32]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철도(지하철) 갤러리[33]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34] ITX-청춘의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2월 28일부터 12월 31일까지 308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35] KTX의 자료는 개통일인 12월 22일부터 12월 31일까지 총 10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36] 단, 지상 역사의 구조가 변경되면서 현재는 경의·중앙선만 보았을 때 상대식 승강장이 되었다.[§] 승강장에서 바로 이용할 수 있는 승하차 처리 단말기가 있다. 환승 통로에도 하나가 있다.[§] [39] 민자역사 준공 전 경춘선 일반열차 승강장이었으며, 민자역사 준공 후 경춘선 무궁화호 폐지 전까지 5, 6번 승강장을 사용했다.[40] 경원선 용산-성북 국철 운행 계통 시절부터 고상홈이었다.[41] 예전에는 3면 6선으로 6번 홈까지 있었으며 중앙/태백/영동선은 5, 6번 홈을 사용했으나, 이후 7, 8번 홈이 조성되고 민자역사 개통 후 경춘선 열차가 폐지 전까지 5, 6번 홈을 사용하였고, 중앙/태백선은 7, 8번 홈으로 변경되었다. 5, 6번 홈은 경춘선 복선전철 개통으로 일반열차가 폐지되어 한동안 사용하지 않다가 2014년부터 2019년까지 경원선 DMZ-Train이 정차하기도 했다.[42] 5번 승강장의 남아있는 부분은 여전히 버려져있다.[43] 하차 미태그 페널티를 방지하기 위해, 기차에 승차하기 전 교통카드는 꼭 하차 처리를 하기 바란다.[44] 3번 승강장도 추가 확장을 위한 부지가 남아있다.[45] GTX 노선이 개통시 유일한 지하 역사 타이틀이 없어지게 된다.[46] 짐이 많음을 감안해야 한다.[47] 물론 6002번 공항버스가 있으나 요금이 매우 비싸다(17,000원). 짐이 적다면 공항철도도 괜찮은 선택지.[48] 국토교통부 > 뉴스·소식 > 보도자료[49] 이 때문에 해당 차량은 재생 과정을 거치면서 전면부 쪽창이 사라졌다.[50] 1989년 6월 8일생이다. "홍대여신"으로 알려진 가수 요조의 동생으로, 요조의 한쪽 팔 문신을 보면 알 수 있다.[51] 「'지하철 1호선 나체녀'는 30대 지체장애3급 장애인」, 뉴스1, 2012-05-07[52] 네이버 지도[53] 관련 게시글, 2023년 6월 16일 원본 페이지에서 보존된 페이지, 출처: 이글루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