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3 11:35:11

신림역(중앙선)

이곳은 폐쇄된 교통 시설입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교통 시설은 폐쇄되어 더 이상 운영하지 않습니다.

신림역
(폐역)
역명 표기
중앙선 신림
Sillim
神林 / シンリム
주소
강원도 원주시 신림면 정암길 12
(용암리 591)
역 코드
한국철도공사 174
관리역 등급
폐역
(제천조차장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대전충청본부)
개업일
경경선 1941년 7월 1일~1948년 1월[1]
중앙선 1948년 1월~2021년 1월 5일
철도거리표
중앙선
신 림
(폐역)
파일:IMG_0689.jpg
폐역되기 직전의 마지막 모습[2]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4. 일평균 이용객5. 여담6. 사건 사고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attachment/sillim.jpg
외부도색 전
파일:HhXre8W.png
외부도색 후
한국전쟁 때 역사 소실 후 '은둔의 아름다움'
폐역 직전 EBS 인기 캐릭터 펭수도 다녀가
신림역은 1941년 7월 1일 중앙선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1950년 한국전쟁으로 역사가 소실된 뒤 가역사를 거쳐 1956년 현재의 역사가 신축 준공되었다. 역사는 90㎡ 규모의 벽돌조 슬레이트 단층 역사로 오랫동안 지역주민들의 소중한 발로 역할해왔다. 특히 기찻길의 경치가 빼어나, 가장 아름다운 기찻길로도 손꼽히며 큰 사랑을 받았다. 그러나 2021년 1월 중앙선 복선전철화 사업이 완료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아쉬운 마음을 달래기 위해 2020년 11월 23일 EBS의 유명 인기 캐릭터 펭수가 일일 역장으로 등장하기도 하였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중앙선의 폐지된 철도역. 강원도 원주시 신림면 정암길 12 (용암리) 소재.

2. 역 정보

1941년 7월 1일 경경선의 원주-제천 구간이 개통하면서 보통역으로 개업하였으나 1950년 6월 30일 6.25 전쟁으로 인해 역사가 소실되었다.

1956년 1월 1일 현재의 역사가 준공되었고 1984년 9월 1일 통과선이 신설, 1988년 1월 1일부로 소화물취급이 중지되었다.

2004년 9월 1일부로 화물 취급도 중지되었고 2021년 1월 5일자로 서원주-봉양 구간이 이설됨과 동시에 폐지되었다.

역사는 2021년 6월부로 원주시청에서 해당 신림역 건물을 신림면의 주민자치센터 또는 용암리 마을회관으로 사용하는 안을 추진 중이다.

파일:274706522_4890603634386975_4850937404623138469_n.jpg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이미 폐역된 신림역 폐역 역사에 선거벽보를 부착했다. #1

역 구내 건널목은 일반 건널목의 기능도 겸했다.폐역 2주 전 모습

3. 역 주변 정보

신림면 황둔리에 가면 무지개색의 황둔찐빵이 유명하다. 신림면사무소까지 가서 원주 버스 24번을 타거나 자가용으로 88번 지방도로 진입하면 갈수 있다.

근처에 조선시대 설립된 용소막성당이 있다. 천주교에서 성지라 가끔 들리는 사람이 많은 편. 원래 용소막성당이 신림역 부지에 세워질 뻔 했지만 철마가 달린다는 소식을 듣고 다른 곳으로 옮겼다고 한다.

역에는 감악산으로 향하는 등산로가 있다. 그러나 상태가 좋지 못하고 암릉이 산재해 차라리 창촌마을에서 시작하는 것이 낫다. 역은 폐역되었지만 등산로는 남아있다.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55839><bgcolor=#f55839> 연도 || [[무궁화호|
무궁화호
]] ||<bgcolor=#f55839> 비고 ||
2004년 17명
2005년 17명
2006년 15명
2007년 12명
2008년 16명
2009년 23명
2010년 41명
2011년 40명
2012년 34명
2013년 40명
2014년 39명
2015년 39명
2016년 35명
2017년 36명
2018년 34명
2019년 38명
2020년 26명
2021년 69명 [3]
출처
철도통계연보


개통 당시 5만 명을 찍기도 했지만 점점 수요가 줄어들어 폐지 직전까지 1년에 약 4천명 정도가 이용하였다.

5. 여담

  • 신림역 폐역 10일 전에는 신림역 고양이를 찍은 영상이 공개되었다. 유튜브 영상[4]

6. 사건 사고

  • 1962년 9월 5일, 이 역과 구학역 사이에서 대구발 청량리행 화물열차가 탈선했었다. #
  • 1962년 10월 10일, 화물열차가 탈선했었다. #

7. 둘러보기

중앙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서경주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경주}}}}}}
취소선:폐역, †:여객영업 X
광역전철 전용역: 파일:GJLine_icon.svg: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정차, 파일:GyeongchunLine_icon.svg:수도권 전철 경춘선 정차, 파일:Seoulmetro1_icon.svg:수도권 전철 1호선 정차, 파일:Seoulmetro8_icon.svg:수도권 전철 8호선 정차 ||}}}}}}}}} ||



[1] 경경선에서 중앙선으로 개칭된 날짜.[2] 2021년 1월 4일 밤 촬영. 폐역되기 불과 몇분~몇시간 전이다.[3] 1월 1일부터 운행 마지막일인 1월 4일까지 4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4] 폐역 후 고양이는 마을에서 데려간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