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0 01:30:16

제1차 세계 대전

1차대전에서 넘어옴

<colbgcolor=#536349> 제1차 세계 대전 참전국
{{{#!wiki style="margin: 0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관련 틀: 제2차 세계 대전 참전국
<colbgcolor=#002664> 협상국
유럽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 파일:세르비아 왕국 국기.svg 세르비아 왕국 ·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 파일:산마리노 옛 국기(~2011).png 산마리노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제1공화국 · 파일:몬테네그로 왕국 국기.svg 몬테네그로 왕국 ·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그리스 왕국 · 파일:알바니아 공국 국기.svg 알바니아 공국 ·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왕국
아시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중화민국 · 파일:인도 제국 국기.svg 인도 제국+ · 파일:태국 국기(1917-2017).svg 시암 · 파일:헤자즈 왕국 국기.svg 헤자즈 왕국 · 파일:리야드 토후국 국기.svg 리야드 토후국 · 파일:아시르 이드리드 토후국 국기.svg 아시르 토후국 ·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제1공화국 · 파일:네팔 왕국 국기(1856-1930).png 네팔 왕국
북아메리카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868-1921).svg 캐나다 자치령+ ·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 파일:과테말라 국기(1871-1968).png 과테말라 · 파일:니카라과 국기(1908-1971).svg 니카라과 · 파일:코스타리카 국기(1906-1964).png 코스타리카 · 파일:온두라스 국기(1898-1949).svg 온두라스 · 파일:아이티 국기(1859-1964).svg 아이티
남아메리카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 · 파일:페루 국기(1884–1950).svg 페루 · 파일:브라질 국기(1889-1960).svg 브라질 · 파일:에콰도르 국기(1900~2009).svg 에콰도르
아프리카 파일:Red_Ensign_of_South_Africa_(1912–1951).svg 남아프리카 연방+ ·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자치령+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자치령+
동맹국
유럽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섭정왕국+ · 파일:쿠를란트-젬갈렌 공국 국기.svg 쿠를란트-젬갈렌 공국+ · 파일:벨라루스 국기(1918, 1991–1995).svg 벨라루스 인민공화국+ · 파일: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 국기.svg 우크라이나국+ · 파일:핀란드 국기(1918-1920).svg 핀란드 왕국+ · 파일:발트 연합 공국 국기.svg 발트 연합 공국+ · 파일:리투아니아 국기(1918).svg 리투아니아 왕국+ · 파일:크림 지방 정부 국기.svg 크림 지방 정부 · 파일:돈 코사크 국기.svg 돈 공화국+
아시아 파일:자발 샴마르 토후국 국기.svg 자발 샴마르 토후국 ·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민주 공화국 · 파일:조지아 민주 공화국 국기.svg 조지아 민주 공화국 · 파일:북캅카스 산악 공화국 국기.svg 북캅카스 산악 공화국
아프리카 파일:데르비시국 국기.svg 데르비시국 · 파일:다르푸르 기.svg 다르푸르 술탄국 · 파일:키레나이카 토후국 국기.svg 세누시야 · 파일:모로코 국기.svg 자야네스
주요 국가 + 괴뢰국 · 종속국 }}}}}}}}}

세계 대전
1918~1939
전간기
<bgcolor=#dcdcdc,#2e2f34>

제1차 세계 대전 | 대전쟁
第一次世界大戰 | 大戰爭
World War I | The Great War
파일:WWImontage2.jpg
기간 1914년 7월 28일 ~ 1918년 11월 11일
(종전 후 D[dday(1918-11-11)])
장소 유럽, 대서양, 중동, 아프리카, 카리브해, 중국 대륙, 태평양
원인 사라예보 사건을 계기로 폭발한 열강들 간의 갈등
민족주의의 대규모 충돌
삼국 동맹삼국 협상의 대립 구조
교전국 협상국 동맹국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1px; margin-top: -8px; margin-bottom: -16px"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대영제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영제국}}}{{{#!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러시아 제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러시아 제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918.03.)[1][2]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벨기에|{{{#!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벨기에}}}{{{#!if 출력 != null
벨기에 왕국}}}}}}]]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벨기에 왕국}}}}}}]]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벨기에 왕국}}}}}}]]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세르비아 왕국}}}}}}]]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세르비아 왕국}}}}}}]]
#!if 기 == null && 깃발 == null
[[세르비아 왕국(1882년~1918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세르비아 왕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세르비아 왕국(1882년~1918년)}}}{{{#!if 출력 != null
세르비아 왕국}}}}}}]]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몬테네그로 왕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몬테네그로 왕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몬테네그로 왕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일본 제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 제국}}}{{{#!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탈리아 왕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탈리아 왕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포르투갈}}}}}}]]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포르투갈}}}}}}]]
#!if 기 == null && 깃발 == null
[[포르투갈 제1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포르투갈 제1공화국}}}{{{#!if 출력 != null
포르투갈}}}}}}]]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루마니아 왕국}}}}}}]]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루마니아 왕국}}}}}}]]
#!if 기 == null && 깃발 == null
[[루마니아 왕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루마니아 왕국}}}{{{#!if 출력 != null
루마니아 왕국}}}}}}]]
(~1918.05.07)[3]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4][5]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그리스 왕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width=24]]}}} {{{#!if 출력 == null
그리스 왕국}}}{{{#!if 출력 != null
}}}}}}]]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라이베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라이베리아}}}{{{#!if 출력 != null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1px; margin-top: -8px; margin-bottom: -16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fff,#1c1d1f>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독일 제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독일 제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918.11.09.)[6]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오스만 제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오스만 제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불가리아 왕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불가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불가리아 왕국}}}{{{#!if 출력 != null
}}}}}}]]
}}}}}}
지휘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1px; margin-top: -8px; margin-bottom: -16px"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조지 5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조지 5세}}}{{{#!if 출력 != null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레몽 푸앵카레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페타르 1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세르비아 왕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페타르 1세}}}{{{#!if 출력 != null
}}}}}}]]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니콜라이 2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니콜라이 2세}}}{{{#!if 출력 != null
}}}}}}]]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테오필루 브라가|{{{#!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테오필루 브라가}}}{{{#!if 출력 != null
}}}}}}]]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if 출력 != null
}}}}}}]]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페르디난드 1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페르디난드 1세}}}{{{#!if 출력 != null
}}}}}}]]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우드로 윌슨|{{{#!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width=24]]}}} {{{#!if 출력 == null
우드로 윌슨}}}{{{#!if 출력 != null
}}}}}}]]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다이쇼 덴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다이쇼 덴노}}}{{{#!if 출력 != null
}}}}}}]]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다니엘 에드워드 하워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다니엘 에드워드 하워드}}}{{{#!if 출력 != null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1px; margin-top: -8px; margin-bottom: -16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fff,#1c1d1f>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빌헬름 2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빌헬름 2세}}}{{{#!if 출력 != null
}}}}}}]]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프란츠 요제프 1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프란츠 요제프 1세}}}{{{#!if 출력 != null
}}}}}}]]
(1914~1916)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카를 1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카를 1세}}}{{{#!if 출력 != null
}}}}}}]]
(1916~1918)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메흐메트 5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메흐메트 5세}}}{{{#!if 출력 != null
}}}}}}]]
(1914~1918)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메흐메트 6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메흐메트 6세}}}{{{#!if 출력 != null
}}}}}}]]
(1918)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페르디난트 1세}}}}}}]]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페르디난트 1세}}}}}}]]
#!if 기 == null && 깃발 == null
[[페르디난트 1세(불가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불가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페르디난트 1세(불가리아)}}}{{{#!if 출력 != null
페르디난트 1세}}}}}}]]
}}}}}}
병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1px; margin-top: -8px; margin-bottom: -16px"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러시아 제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러시아 제국}}}{{{#!if 출력 != null
러시아 제국}}}}}}]]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러시아 제국}}}}}}]]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러시아 제국}}}}}}]]
12,000,000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영국}}}}}}]]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영국}}}}}}]]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영국}}}}}}]]
8,841,541명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8,660,000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탈리아 왕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탈리아 왕국}}}{{{#!if 출력 != null
이탈리아 왕국}}}}}}]]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이탈리아 왕국}}}}}}]]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이탈리아 왕국}}}}}}]]
5,615,140명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미국}}}}}}]]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미국}}}}}}]]
#!if 기 == null && 깃발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미국}}}}}}]]
4,743,826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루마니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루마니아}}}{{{#!if 출력 != null
루마니아}}}}}}]]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루마니아}}}}}}]]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루마니아}}}}}}]]
1,234,000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 제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 제국}}}{{{#!if 출력 != null
일본 제국}}}}}}]]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일본 제국}}}}}}]]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일본 제국}}}}}}]]
800,000명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세르비아 왕국}}}}}}]]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세르비아 왕국}}}}}}]]
#!if 기 == null && 깃발 == null
[[세르비아 왕국(1882년~1918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세르비아 왕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세르비아 왕국(1882년~1918년)}}}{{{#!if 출력 != null
세르비아 왕국}}}}}}]]
707,343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몬테네그로 왕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몬테네그로 왕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몬테네그로 왕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50,000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벨기에|{{{#!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벨기에}}}{{{#!if 출력 != null
벨기에}}}}}}]]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벨기에}}}}}}]]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벨기에}}}}}}]]
380,000명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그리스 왕국}}}}}}]]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그리스 왕국}}}}}}]]
#!if 기 == null && 깃발 == null
[[그리스 왕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width=24]]}}} {{{#!if 출력 == null
그리스 왕국}}}{{{#!if 출력 != null
그리스 왕국}}}}}}]]
250,000명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포르투갈}}}}}}]]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포르투갈}}}}}}]]
#!if 기 == null && 깃발 == null
[[포르투갈 제1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포르투갈 제1공화국}}}{{{#!if 출력 != null
포르투갈}}}}}}]]
100,000명
총합 42,959,850명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1px; margin-top: -8px; margin-bottom: -16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fff,#1c1d1f>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독일 제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독일 제국}}}{{{#!if 출력 != null
독일 제국}}}}}}]]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독일 제국}}}}}}]]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독일 제국}}}}}}]]
13,250,000명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if 출력 != null
}}}}}}]]
7,800,000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오스만 제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오스만 제국}}}{{{#!if 출력 != null
오스만 제국}}}}}}]]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오스만 제국}}}}}}]]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오스만 제국}}}}}}]]
2,998,321명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불가리아 왕국}}}}}}]]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불가리아 왕국}}}}}}]]
#!if 기 == null && 깃발 == null
[[불가리아 왕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불가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불가리아 왕국}}}{{{#!if 출력 != null
불가리아 왕국}}}}}}]]
1,200,000명
총합 25,248,321명
}}}}}}
결과 협상국의 승리, 동맹국의 패배
영향 동맹국 국가들의 패망 및 해체[7]
민족자결주의의 대두, 수많은 민족들의 독립선언[8]
전제군주제의 몰락, 유럽 내 황제국 소멸과 공화제의 대두[9]
전쟁 공포 확산 및 국제연맹 창설[10]
제2차 세계 대전의 원인[11]
피해규모 사망(군 병력) 5,525,000명
부상(군 병력) 12,831,500명
실종 4,121,000명
총 사상자 22,477,500명
사망(군 병력) 4,386,000명
부상(군 병력) 8,388,000명
실종 3,629,000명
총 사상자 16,403,000명

1. 개요2. 서론3. 배경
3.1. 제국주의와 열강들간의 긴장 고조3.2. 민족주의의 발흥3.3. 전통적인 유럽 내 외교 균형의 붕괴3.4. 안일한 대처
4. 발발 과정 - 7월 위기5. 전쟁 열병/자원병 열풍6. 전개
6.1. 전쟁의 시작6.2. 참호전의 수렁6.3. 오스만 제국의 참전6.4. 정체되는 전황6.5. 동맹국의 전략적 도박과 협상국의 전략적 협상6.6. 미국의 선전포고와 러시아 혁명6.7. 전략적 공세의 실패와 재정비6.8. 동맹국의 항복6.9. 종전
7. 피해8. 영향
8.1. 인문학적8.2. 군사적8.3. 사회적8.4. 나라별 영향
9. 참전국
9.1. 유럽 내 중립표방국
10. 기타
10.1. 명칭10.2. 최후의 참전 용사들10.3. 전쟁 관련10.4. 문화 관련10.5. 여담
11. 연표
11.1. 연도별 주요 전투
12. 사용 장비13. 관련 문서
13.1. 관련 용어13.2. 관련 인물
13.2.1. 협상국13.2.2. 동맹국
13.3. 창작물
14. 관련 어록15. 둘러보기

1. 개요


제1차 세계 대전사라예보 사건으로 인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세르비아 왕국에 전쟁을 선포하여 1914년 7월 28일부터 1918년 11월 11일까지 전 세계적으로 전개된 전쟁이다. 2014년 7월 28일에 제1차 세계 대전 개전 100주년을 맞았으며, 2018년 11월 11일에 종전 100주년을 맞이하였다.

열강들의 이해관계가 얽힌 여러 갈등이 사라예보 사건이라는 작은 도화선을 계기로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어 벌어진 전쟁으로, 본래는 국지적인 충돌에 그칠 수도 있었지만 복잡한 동맹 체계와 연쇄적인 군사 대응으로 인해 프랑스러시아 제국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원하지 않았던 대전쟁으로 번지게 되었다.

2. 서론

제1차 세계 대전의 유럽 전선 전개[12]
An das deutsche Volk! Seit der Reichsgründung ist es durch 43 Jahre Mein und Meiner Vorfahren heißes Bemühen gewesen, der Welt den Frieden zu erhalten und im Frieden unsere kraftvolle Entwicklung zu fördern. Aber die Gegner neiden uns den Erfolg unserer Arbeit...

독일 신민들에게 고한다! 제국의 형성 이후 43년 동안 과 짐의 조상들은 세계의 평화를 유지하고 우리의 평화롭고 강력한 발전을 증진시키기 위해 열심히 노력해왔다. 그러나 적들은 우리의 성공을 시기하고 있다...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9일 후인 1914년 8월 6일, 빌헬름 2세 카이저의 연설 중.#
제1차 세계 대전의 원인은 100년 간의 평화 시대 속에서 지속적인 팽창을 이룬 유럽 열강들의 제국주의적 팽창 정책과 그 과정에서 소외된 독일 제국으로 대표되는 신흥 제국들의 불만, 유럽 내 민족주의적 갈등 등 다수의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섞여있다. 그런 과정에서 영국, 프랑스, 러시아 제국을 중심으로 한 삼국 협상독일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이탈리아 왕국을 중심으로한 삼국 동맹이 형성되었고 이들 두 동맹체 간의 대립이 제1차 세계 대전의 직접적인 배경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정세 속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황태자[13]프란츠 페르디난트가 19세의 세르비아 민족주의 혁명가 가브릴로 프린치프에게 암살당하는 사라예보 사건이 발생했다. 삼국 동맹 소속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이에 분노해 세르비아에 최후통첩을 전달하자 전 유럽적 전쟁 위기가 발생했다. 결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세르비아에게 선전포고를 하자 이때 같은 슬라브족 국가인 세르비아의 보호를 천명한 삼국 협상 소속의 러시아 제국이 반발하며 총동원령을 선포했고, 또 다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동맹인 독일 제국러시아 제국과 러시아의 동맹인 프랑스에게 선전포고를 한다.

영국은 느닷없는 발칸 반도의 분쟁이 전 유럽을 휩쓰는 대규모의 전쟁으로 커지려고 하자 중립을 지켰으나, 독일 제국이 슐리펜 계획에 따라 영국이 독립을 보장하던 벨기에를 침공하자 전쟁을 피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참전을 선언한다. 일본 제국 또한 영일동맹에 근거하여 독일 제국에게 선전포고를 한다. 1914년 11월에는 오스만 제국이 참전하면서 전역이 캅카스중동으로 확대되게 된다. 이탈리아 왕국은 1915년 참전했고, 미국은 이어서 1917년에 참전했다. 단순히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세르비아 간의 분쟁으로 끝날 수 있었던 전쟁은 당대의 주요 열강들이 협상국동맹국이라는 2개의 동맹체 아래 모두 말려드는 세계 대전으로 확대되고 만다.

시간이 지나 전쟁이 길어지며 모든 주요국들은 지쳐가고 있었다. 지지부진하고 끔찍한 참호전으로 전락한 서부전선, 수많은 사상자와 장기화되는 전시 경제에 대한 피로감으로 인해 전쟁은 끝을 보이게 된다. 러시아 제국이 러시아 혁명으로 인해 1917년 3월 붕괴된 이후 동부 전선이 해소되었으며 볼셰비키와의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 이후 러시아가 전쟁에서 완전히 이탈해버리자 동맹국이 러시아 영토를 확보했다. 1918년 11월 4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또한 러시아 제국과의 휴전에 합의했다. 1918년 서부 전선에서 독일군은 마지막 발악으로 루덴도르프 공세를 실시했으나, 협상군은 독일의 공세를 방어하고 이후 진격하여 독일군 참호들을 점령하기 시작했다. 독일 11월 혁명 이후 독일 제국이 무너지고, 바이마르 공화국이 1918년 11월 11일 휴전에 합의하면서 협상국이 전쟁에서 승리하였다.

전쟁 이후 세계는 180도 바뀌어 있었다. 패전국인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해체되었으며, 독일 또한 베르사유 조약 아래 난도질을 당했다. 오스만 제국은 전 국토가 찢겨질 위기에 처했으나, 튀르키예 독립 전쟁에서 승리함으로써 오늘날의 튀르키예 형태로 남을수 있게 된다. 승전국이 될 수도 있었던 러시아는 끝내 전쟁을 버티지 못한 채 내전에 휩싸이고 말아 세계 최초의 공산국가가 세워진다. 승리한 영국과 프랑스는 승전국으로써 패전국의 영토와 식민지를 흡수해 전세계에 새로운 국경선을 그렸다. 이와 같은 대전쟁을 막기 위해 국제연맹이 탄생했으나, 패전국에 대한 징벌의식은 유럽의 민족주의 부활과 독일에서의 파시즘 부흥을 낳았고, 전후 전쟁에 대한 공포는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지 못하게 했다. 결국 제1차 세계 대전의 결말은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이어지는 단초를 제공했다.

3. 배경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1차 세계 대전/배경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1차 세계 대전/배경#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1차 세계 대전/배경#|]]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1차대전 동맹관계.svg
제1차 세계 대전 개전을 둘러싼 유럽 각국의 정치관계
삼국 동맹
/ 삼국 협상 / 오스만 제국 / 발칸 당사국
지원 관계
/ 동맹 관계 / 조약 관계

제1차 세계 대전의 원인을 규명하는 것은 아직까지도 논쟁의 여지가 있는 문제이지만[14] 일반적으로 크게 봤을 때 근본적인 원인으로 꼽히는 것은 제국주의민족주의의 발흥으로 지난 수십 년 동안 유럽과 그들의 식민지 문제를 둘러싸고 열강들 사이에 긴장이 고조된 것이 지목된다.

이 문단에서는 제1차 세계 대전의 직접적인 발단이 된 당시 발칸반도의 상황과 근본적인 원인이 되는 19세기 유럽 열강들의 세력 변화를 다룬다.

3.1. 제국주의와 열강들간의 긴장 고조

파일:1280px-Le_Chateau_d'eau_and_plaza,_Exposition_Universal,_1900,_Paris,_France.jpg 파일:2053f64f94542f916b5c2bed9f19df63.jpg
1900년, 프랑스 파리의 만국박람회장 1901년의 영국 런던 시가지
제1차 세계 대전의 기원은 팽창된 유럽 때문이라고 보는 게 타당하다. 1815년부터 1914년까지 유럽에서 전쟁이 거의 벌어지지 않는 안정된 정세가 조성된 덕분에 산업 혁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과학기술이 발전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었으며, 이로 인해 유럽의 생산력은 이전과는 비교할 수 없이 급성장했다. 이런 상황에서 열강들이 자국의 산업을 팽창시키며 세워진 수많은 공장들을 운영하기 위해 원자재가, 그를 가공한 상품을 팔 시장이 필요했다. 강대국들의 산업이 점차 성장하며 시장은 수요보다 공급이 많아진 레드오션이 되었고 유럽 각국은 식민지 쟁탈전에 열을 올리게 되었다.[15] 일찌감치 산업혁명을 성공시키고 국내 정치가 안정되어 있던 영국은 우위에 서있는 해군력 등을 바탕으로 세계 각지에 식민지를 보유했고 프랑스도 여기에 가세했다.

그에 비해 프로이센-프랑스 전쟁독일 통일을 통해 새로 떠오른 신흥 강국 독일 제국은 통일전쟁을 거치면서 영국, 프랑스에 비해 산업과 공업 발달 과정이 늦어졌고 이 때문에 뒤늦게 식민지 쟁탈전에 뛰어들고 보니 이미 알짜배기 땅들은 영국, 프랑스 등이 다 차지한 상태였다. 결국 독일이 식민지를 획득할 방법은 영국, 프랑스의 식민지를 뺏는 것밖에는 없었다. 그래서 독일은 기존 식민제국인 영국, 프랑스와 대립할 수밖에 없었고 이는 제1차 세계 대전의 원인으로 가장 크게 지적되고 있다.

독일 식민제국 또한 오토 폰 비스마르크 시기 몇몇 중국칭다오아프리카 지역 중 나미비아, 탄자니아(당시 명칭 잔지바르(섬), 탕가니카(대륙), 카메룬(독일령 동토골란트), 토고(독일령 (서)토골란트), 남태평양의 비스마르크 제도(팔라우, 미크로네시아 등) 등 식민지들을 꽤 확보했지만, 오래전부터 제국주의를 내세운 영국과 프랑스에 비하면 밀리는 수준이었다.[16] 연이은 전쟁에 승리를 거두고 통일을 이룬 상황은 독일인들에게 강대국의 국력에 걸맞은 식민지를 바라게 만들었다.

빌헬름 2세는 식민지를 위해 영국 해군에 맞서 알프레트 폰 티르피츠의 주도 하에 해군 증강 계획을 추진했는데, 이것은 해양 패권에 민감하던 영국의 신경을 크게 건드렸다. 윈스턴 처칠은 영독 관계에서 함대란, 독프 관계에서의 알자스-로렌이 의미하는 것과 같다고 경고했고, 런던 주재 독일대사였던 파울 볼프 메테르니히 백작도 해군을 증강하면 1915년 이전에 영국과 전쟁이 일어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빌헬름 2세는 영국의 경고를 무시했고, 계속해서 해군 증강을 반대한 메테르니히를 1912년에 해임해 버렸다. 건함 경쟁은 영국과 독일을 적대관계로 만들었으며 세계 대전의 흐름을 결정지었다.

이미 제1차 세계 대전 이전에도 독일 제국과 영국, 프랑스의 대립은 위험수위에 달해 있었다. 영국이 남아프리카에서 네덜란드계 보어인들과 싸운 보어 전쟁 당시에도 보어인들의 배후에 독일 제국이 있었고, 프랑스와는 두 차례에 걸친 모로코 위기로 대립하는 상황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19세기부터 자본론의 저자인 칼 마르크스나 영국의 소설가 H.G 웰스 같은 세계 각국의 웬만한 식견이 있는 지식인들은 "앞으로 가까운 미래에 세계 열강들끼리 해외 식민지를 놓고 전 세계적인 거대한 규모의 치열한 전쟁을 벌일 것이다."라고 예측했다.

3.2. 민족주의의 발흥

파일:Greater_austria_ethnic (1).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민족 구성[17]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같은 식민지와는 인연이 없는 다민족 국가 또한 역시 내부적으로는 점점 고개를 들기 시작하는 민족주의로 불안정한 상태였다. 주요민족인 오스트리아, 헝가리인들은 인구 구성의 반도 안 되었으나 다른 민족들은 오스트리아와 헝가리가 너무 많은 이권을 가졌다는 것에 내심 불만을 가지고 있었다. 외적으로도 안 좋았는데 독일 제국과 함께 범게르만주의의 영향을 받는 국가로서 러시아 제국의 범슬라브주의에 맞서 발칸반도를 둘러싼 다툼을 벌이고 있었다. 발칸반도19세기까지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다가 독립하였는데, 그 뒤로 발칸 반도의 각국은 발칸 전쟁 등지에서 영토를 놓고 치열하게 싸우기 시작하였다. 이런 가운데 발칸 반도의 슬라브족을 선동하여 지중해로의 진출을 노리던 러시아 제국과 이를 견제하려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사이에 갈등이 일어났다.

이 과정에서 가장 큰 불만을 품은 나라는 세르비아 왕국이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보스니아를 합병하고 러시아 제국이 독일 제국의 압력으로 이에 굴복하자, 세르비아 왕국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극렬한 적대감을 품게 된다. 이어서 발발한 발칸 전쟁에서 오스트리아가 암묵적으로 불가리아 편이었기 때문에 이 문제가 더 불거진다. 세르비아 왕국의 굳어진 크나큰 적대감은 1914년 6월 28일 제1차 세계 대전의 시발점인 사라예보 사건으로 이어지게 된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이 사건과 관련 세르비아 왕국 측에 검은 손의 해체 및 처벌과 반오스트리아 활동 해체, 사라예보 사건 가담자들에 대한 세르비아 내 재판 개입 등을 요구했고, 세르비아 왕국은 이를 거부하면서 오스트리아는 세르비아를 침공했다. 이에 대해 독일 제국의 지원이 확실시된 이후에는 세르비아 왕국에 대한 선전포고 역시 예견되어 있었고, 그에 대한 핑계가 필요했던 것뿐이라는 해석이 존재한다. 당시의 오스트리아 외교관의 회고록을 보면 오스트리아는 세르비아에 대한 최후통첩을 일부러 받아들이기 불가능하도록 만들었다고 되어 있다. 이 긴박한 1달의 일련의 사태를 아래에서도 설명하듯 7월 위기라고 한다.

3.3. 전통적인 유럽 내 외교 균형의 붕괴

파일:독일의 통일 지도.jpg
독일 제국은 19세기 유럽에 새롭게 등장한 강대국이었다.
본래 19세기 오토 폰 비스마르크 시대의 독일은 독일 통일 이후 더 이상 중부 유럽에서 팽창을 시도하면 열강들과의 충돌이 일어날 것이라 판단하여 주변 강대국과의 외교에 신경을 많이 썼다. 비스마르크는 독일이 유럽 내 세력 균형을 유지하는 역할이 되는 것을 자처하면서 독일 제국, 러시아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간의 3제 동맹을 맺고 전통적인 서유럽의 강대국이던 프랑스를 고립시키는 데에 집중했다. 이는 성공적이어서 당시 유럽 국가들은 프랑스와 우호 관계를 맺기는 커녕 독일의 동맹이거나, 중립 내지는 친독일적이었다.

그러나 빌헬름 2세 즉위 후, 그는 비스마르크를 강제로 은퇴시키고 외교체제를 개편하면서 러시아를 버리고 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을 유일한 동맹으로 선택한다. 본래 비스마르크는 이를 절충해 두 국가를 모두 동맹으로 묶었었지만 오스트리아와 러시아의 관계가 굉장히 나빠졌기 때문에 더 이상 불가피했다. 이에 러시아는 당연히 서로 고립된 프랑스와 1894년러불동맹을 체결하며, 독일은 전략적으로 불리한 위치에 서게 된다. 영국과 독일의 관계는 아직 훗날만큼 매우 적대적이지 않았지만, 이마저도 건함 경쟁에 들어서자 파국으로 치닫는다. 영국 역시 독일의 성장을 상당히 경계했지만 건함 견쟁 이후로는 확실한 대독 적대 노선으로 돌아서며 오랜 경쟁 관계였던 프랑스, 러시아와 함께 삼국 협상을 체결하고 제1차 세계 대전의 향방을 결정지었다.

최근에는 만약 비스마르크의 실각이나 빌헬름 2세의 팽창 정책이 없었다고 해도 독일이 유럽의 가장 강대한 국가가 되어가는 이상 어차피 영국-프랑스-러시아 삼국 협상을 막을 수 없었다고 보는 시각도 많다. 1850년까지만 해도 영국:프랑스:독일:러시아의 경제력 비율은 70:12:7:4로 독일의 경제력이 당시 압도적이었던 영국에 비할 바가 못되었지만, 1900년에는 독일이 영국을 거의 따라잡아서 37:11:34:10이 되었고, 1910년에는 30:12:39:10으로 독일의 경제력이 영국을 앞지르기 시작했다. 인구 측면에서도 6,700만 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는 독일이 영국의 4,600만 명이나 프랑스의 4000만 명을 가볍게 앞서고 있었고, 이미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에서 프랑스를 격파했던 독일의 강력한 육군까지 고려한다면 독일이 조만간 유럽의 그 어떤 나라도 단독으로 상대할 수 없는 강대국이 된다는 것은 불보듯이 뻔한 상황이었다.

이렇다보니 프로이센-프랑스 전쟁 이후 지속적으로 독일에 악감정을 가지고 있던 프랑스는 말할 것도 없고, 영국과 러시아까지 독일의 적국으로 돌아서는 것은 독일의 정책 방향과 상관없이 이미 정해진 것과 다름없었다. 과거 19세기 중반까지만 해도 러시아는 독일과 프랑스가 서로 싸우면서 국력을 소진하는 동안 이득을 챙기려는 외교 정책을 펼치고 있었으나, 독일의 힘이 지나치게 막강해지자 이제 독일을 러시아의 안보 위협으로 보기 시작했다. 뿐만 아니라 독일은 러시아뿐만 아니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도 동맹을 맺고 있었는데 러시아와 오스트리아는 전통적으로 동유럽과 발칸반도의 패권을 두고 갈등을 겪고 있었기에 두 국가 사이에 싸움이 벌어지면 독일도 휘말려 들어가서 외교 관계가 엉망이 되곤 했다.

때문에 비스마르크의 말년부터 이미 독일과 러시아의 관계는 파국으로 치닫고 있었고, 비스마르크가 실각하기 전인 1887년에 마지막으로 러시아와의 동맹을 갱신했을 시절에는 많은 독일 지식인들이 "만약 프랑스와 전쟁이 벌어진다면 러시아가 조약을 파기하고 독일을 공격하러 올 것이다"라고 믿고 있었다. 비스마르크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해져 가는 러시아와의 동맹을 조금이라도 연장해 보려고 노력하기는 했으나, 만약 비스마르크가 총리를 더 오래 했다고 해도 언젠가는 결국 러시아와의 친선 관계가 깨지는 것을 피할 수 없었을 것이다.

영국도 제국주의 팽창 정책에 몰두하던 시절에는 식민지 쟁탈전의 경쟁 상대인 프랑스를 견제해주던 독일에 우호적이었다. 심지어 독일이 동아프리카에 얻은 식민지는 독일과 우호 관계를 유지하면서 프랑스를 견제하고 싶어했던 영국이 주선해준 것이었다. 하지만 1890년대부터 독일과의 관계가 서서히 냉랭해지기 시작했고, 1904년 영불협상을 타결하여 해외 식민지를 둘러싼 프랑스와의 분쟁을 종결시키면서 대결 상대를 독일로 옮길 환경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결정적으로 관세와 사회 개혁 문제가 쟁점이 된 1906년 선거에서 자유당보수당을 누르고 압승을 거두면서 독일을 주적으로 보기 시작했다. 당시 자유당 세력은 지나친 식민지 팽창 정책을 혐오했으며 유럽에서의 세력 균형을 중시했기 때문에, 이전의 보수당보다 훨씬 더 독일에 적대적인 외교 정책을 펼쳤다. 뿐만 아니라 러일전쟁에서 많은 국력을 소진하고도 전쟁에서 패한 러시아와 이미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에서 독일에게 패배했던 프랑스의 상황도 영국이 더 이상 타국에게 독일을 견제하는 임무를 떠넘길 수 없게 하는 데 일조 했다.

3.4. 안일한 대처

존 키건의 저서 『1차세계대전사』에 의하면 러시아 제국상트페테르부르크 주재 영국대사 조지 윌리엄 뷰캐넌(George William Buchanan,1854 ~ 1924)과 러시아 황제인 니콜라이 2세가 최초로 세계 대전의 불씨를 인식했다고 추측된다. 이들은 당사국들에게 회의를 제안하면서 이 사태를 어떻게든 해결해 보려고 했지만, 당시 들어오는 정보와 각종 제안들만으로 이미 각국 외교부 실무진들은 과부하 상태였다. 전화나 무선 통신 같은 현대적인 통신 수단은 존재했지만, 지금처럼 즉각적이고 안정적으로 전 세계 외교 업무에 활용될 정도는 아니었기 때문이다. 전화 자체는 존재했지만, 국제전화는 기술적 한계와 비용 문제로 거의 사용되지 않았고 유선전화는 주로 국내 통화, 그것도 대도시 중심으로 한정되었다. 대부분의 외교는 여전히 전보에 의존했다.

당시 세계 대전은 그저 '가능성'이었고, 경제적으로만 보면 또 별개의 이야기가 펼쳐지고 있었다. 벨 에포크를 거치며 산업혁명철도인구, 기술, 생산, 운수에 혁명적인 진보를 만들어냈다. 당시의 국제적인 규제는 없다시피했고 국제 자본은 전세계를 오갔다. 1900~1910년 사이에는 평균적으로 연간 3억 5천만 파운드의 금액이 유럽에서 아메리카, 아시아로 오갔으며, 독일 철강 기업에 투자금의 상당수가 적국 프랑스의 자본이거나 하는 일은 부지기수였다. 국제전기통신연합, 만국우편연합과 같은 온갖 국제협력을 위한 협의회들이 설치되어 가며 상호의존을 가속화시켰고, 이러한 거미줄과 같은 상호 교류는 세계 대전과 같은 악몽은 그저 악몽일 뿐이라는 환상을 심어주었다. 의미심장한 것은 이게 21세기 현재 미,중 관계와도 상당히 비슷하다는 것이다. 실제로 미.중 전쟁이 발발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을 반박하는 대표적인 근거로 쓰이고 있다. 하지만 제2차 세계 대전과 마찬가지로 전쟁은 단순한 기대만으로 피할 수 없었다.

4. 발발 과정 - 7월 위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7월 위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7월 위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7월 위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전쟁 열병/자원병 열풍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Kitchener-Britons.jpg 파일:external/cfs2.tistory.com/download.blog?fhandle=YmxvZzI3OTUwQGZzMi50aXN0b3J5LmNvbTovYXR0YWNoLzk4Lzk4OTUuanBn&filename=cts9895.jpg
브리튼인들이
당신을 원한다
조국의 육군에 입대하라!
하느님 국왕 폐하를 보호하소서
미합중국 육군이 당신을 원합니다.
(가장 가까운 모병 사무소에 문의하세요)
제1차 세계 대전은 역사상 가장 크고 끔찍한 전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수많은 젊은이들이 자원입대를 자처하며 군대로 들어갔다는 점이 특징으로 꼽힌다. 당시 언론에서는 청년들에게 군대로 입대할 것을 권했고 "Your country needs you", "I want you" 등 유명한 문구의 모병 포스터들이 거리에 붙여졌다. 물론 전쟁에 비판적이며 회의적인 사람도 많았다. 미국 대통령인 우드로 윌슨도 전쟁을 결정했으나 정작 본인은 전혀 전쟁에 호의적인 인물이 아니었다. 선전포고 승인을 요청하는 의회 연설 후 의원들의 열화와 같은 갈채를 뒤로 하면서 "방금 연설은 젊은이들에 대한 죽음의 신호였는데, 그렇게 박수갈채를 보내니 참 이상한 일이야..."라고 보좌관에게 푸념할 정도였다.[18] 그러나 전쟁을 피하자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겁쟁이나 매국노 등으로 몰리기 일쑤였고 심지어 프랑스의 장 조레스처럼 살해당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주변 또래들은 자원해서 군대로 입대하는데 건강한 청년이 입대하지 않고 마을에 남아있기란 쉽지 않았다.

거기다 당시에는 낭만주의가 만연하던 벨 에포크 시대였다. 시나 소설에서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같은 전쟁 영웅들의 멋진 서사시를 노래할 뿐 전쟁의 참혹함이나 그 속에서 죽은 병사들의 이야기는 나오지 않았다. 낭만주의의 영향으로 젊은이들에게 전쟁은 참혹하고 잔인한 것이 아닌, 단순히 영웅놀음이나 성인식, 모험 등으로 각인되었다. 당시 유럽인들은 프로이센-프랑스 전쟁 이후 40년 동안이나 이어진 벨 에포크 시대의 길어진 평화로 인해 전쟁에 대해서 다소 낭만적인 생각이나 동경심을 가지고 있었다. 나폴레옹 전쟁 이후 100여 년간 전 유럽대륙을 아우르는 대규모의 전면전도 없었던 데다 전쟁을 치르더라도 대부분 단기간 내에 좀 치고 받으면서 끝나는 수준이었다.

크림 전쟁 시기부터는 사상자가 이전과는 달리 대규모로 나오기 시작하지만, 유럽의 변방에서 벌어진 전쟁이며 전염병이 돌아 죽은 사람도 많았기에 일반적인 대중들에게는 체감될 일이 없었으며, 당대 유럽에서 가장 최근에 일어났던 대규모 전면전인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은 독일과 프랑스만의 전쟁이었고 독일군의 피해는 동원된 병력에 비하면 상당히 적은 수준이었다. 미국 남북전쟁에서 이런 참혹한 총력전의 징조가 보였지만 유럽의 참전무관들은 이를 미국의 전쟁 수행능력이 떨어져서 벌어진 상황으로 인식하여 남북전쟁의 피의 교훈을 스스로의 피를 흘리며 얻어야 했다.

유럽인들에게 전쟁이란 기껏해야 머나먼 식민지에서 낙후된 토착민들을 우월한 기술력이 적용된 무기로 학살하는 경험에 지나지 않았다. 특히 기관총이 발명되면서 유럽과 비유럽의 군사력은 엄청난 격차가 생겨났다. 1898년 아프리카 수단에서 벌어진 옴두르만 전투에서 영국군이 기관총 등으로 수단의 독립군을 상대해 수단군 25,000명을 살상했지만 영국군 피해는 500명 사상에 불과했다. 당시 참전했던 젊은 처칠은 "야만인을 상대로 한 현대문명의 가장 위대한 승리"라고 표현했다.

산업 혁명으로 인해 과거와 비교도 할 수 없어진 강력한 무기들과 전쟁기계들이 쏟아져 나왔지만, 전쟁관은 여전히 중세적, 전근대적이었다. 19세기만 하더라도 군대라고 하면 금 장식이 달린 유니폼을 입고 포화와 총격에도 꿋꿋히 전진하는 전열보병으로 상징되는 명예와 자부심이 느껴지는 것이었다. 특히 친인척으로 얽힌 유럽 왕족, 귀족들만의 일에 가까웠던 중세 유럽의 전쟁[19]과는 달리 19세기부터 유럽에서는 애국심민족주의 열풍이 강하게 불기 시작했다.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에서는 징집된 병력을 철도로 얼마나 빨리 집결시키는지가 승리의 큰 요소가 되었기 때문에 국가적으로도 모병과 애국심 고취에도 많은 힘을 쏟았다. 전쟁에 참여하는 병사들은 국가와 민족을 위한다는 생각으로 전쟁터에 나아갔다.

더군다나 과거와 달리 총기가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면서 더 이상 숙련된 병사가 필수적이지 않았다. 1명의 숙련된 기관총 사수보다 5명의 초보 기관총 사수가 더 압도적이었다. 산업혁명으로 인해 이제는 대량생산이 가능했기 때문에 비대해진 군대가 요구하는 막대한 양의 물자 또한 충족시킬 수 있었다. 이리하여 국가 대 국가의 총력전이 탄생했다. 이렇게 급속도로 발달하던 기계화된 무기들이 자신들을 향해 무참히 사용되면 얼마나 공포스러운 일이 발생할 것인가에 대해서 제대로 알고 있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게다가 1910년대 초기에 벌어진 몇 차례의 전쟁 위기 속에서 각국이 서로 형식적인 대치만 했다. 독일과 프랑스가 식민지 대결을 하면서 이런 일이 자주 벌어졌다. 많은 청년들이 "이번에도 적당히 대치만 하고 총 몇번 쏘다보면 끝나고 고향으로 돌아가서 나는 영웅이 되겠지?" 라는 기대를 품게 만들기도 했다.

결국 전쟁 발발 초기 영국, 프랑스, 독일의 모병소에는 전쟁 영웅이 될거라는 기대에 흥분한 지원병 청년들이 미어터졌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전쟁이 아무리 길어봐야 3개월 정도면 끝나고 집에서 성탄절를 보낼 수 있을 것이라는 지나친 낙관에 차 있었다.[20] 즉, 낭만주의와 애국심에 빠저든 젊은이들이 "강한 우리나라의 군대가 적군을 물리치고, 나는 그곳에서 영웅처럼 싸워서 승리하고 명예롭게 훈장과 포상을 받고 제대한다."라는 매우 비현실적인 상상에 빠져서 저승사자가 목을 빼고 기다리고 있는 전쟁터로 자원입대를 한 것이다.

물론 전쟁터에서 살아남아 귀향한 이들은 전쟁영웅이 되었지만, 죽음의 공포를 무려 최대 4년은 넘게 버텨낸 뒤에야 살아서 돌아올 수 있었다. 안타깝게도 돌아온 이들은 거의 대부분이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나 완전히 만신창이가 된 상태였으며, 가족들과 고향 친구들은 대부분 전쟁으로 세상을 떠난 뒤 였다. 서부전선의 경우는 병사들의 평균 생존시간은 겨우 5일 정도였다고 한다. 특히 영국군의 경우는 같은 지역 출신자들은 되도록 같은 부대에 몰아넣었는데(Pals battalion), 대량으로 사상자가 발생하는 전투들에서 특정 지역의 청년들이 한꺼번에 사라지는 일이 빈번했다.[21]] 운 좋게 살아남더라도, 주변에 죽은 전우들은 고향 친구들일 가능성이 높았던 것이다. 결국 이들은 전쟁의 끔찍한 후유증 속에서 죽을 때까지 정신 깊이 새겨진 상처로 고통 받아야 했다. 이외에도 굶주림이나 추위는 물론이고 물이 고인 진흙탕 참호에서 참호족에 걸리기 일쑤였으며, 대량의 포화 등을 겪고 정신적으로 망가지는 셸쇼크 증상을 보이는 병사들도 많이 발생했다.

한편, 전쟁이 길어지고 불구가 된 전상자들과 비어있는 관이 고향으로 돌아오며[22] 후방에서도 전쟁의 실체를 알게 되었고 전쟁을 결정한 정부는 선거에서 낙선하는 것으로 그 대가를 치렀다. 참호전의 실태를 몰랐다는 말은 사실과는 다소 다른 도시전설인데, 전쟁 초기가 아닌 1915년 이후로 넘어가면 그 실태를 후방에서도 모를 수가 없었다. 부상 당하고 돌아온 군인들이 가족들에게 증언하고 희생자가 급증하면서 결국 사회 전체에 퍼졌고 군법으로 처벌한다고 막을 수 있는 수준을 넘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전쟁을 계속한 것은 이렇게까지 서로 죽였는데 전쟁 결과가 패배로 나오면 적국에게 받을 대가가 더 참혹할 것이라는 국민적인 두려움이 퍼졌다.[23] 더불어 민족주의가 강했던 당시 상황 때문에 정부가 멈추고 싶어도 멈출 수가 없었다. 즉 당시 참전국 국민들이 전쟁 실태를 몰라서 전쟁을 이어간 게 아니라, 알면서도 이어간 것이다.

그럼에도 전쟁이 끝나는 그 날까지 학업, 질병 등의 이유로 정당하게 면제받을 수 있음에도 자원입대 하는 사람은 여전히 많았다. 당시는 민족주의/애국심이 지금보다 훨씬 강했기 때문에, 사지멀쩡한 건장한 청년이 군복을 입지 않고 거리를 쉽게 돌아다닐 수 있는 분위기도 아니었다. 그런 사람들은 뒤에서 겁쟁이라고 험담을 당하고, 종종 어째서 군대로 가지 않았냐는 질문을 받기 일쑤였다. 전쟁을 혐오하던 이들도 정작 전쟁터에 가서 죽어가는 또래 연령대의 청년들을 보면서부터는, 오히려 "전우들은 죽어가는데 나만 후방에서 편하게 지낸다" 라는 죄책감에 어떻게 될 지 뻔히 알면서도 자진입대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결국 전쟁이 끝날 때까지 많은 청년들이 자원해서 사지로 들어갔는데, 특히 가족을 잃고 고아가 되어버린 청년들은 적국을 증오하는 심정으로 목숨을 걸고 싸우기도 했다.

특히 낭만주의에 가장 강하게 경도되어있던 청년 귀족층들은 나중에 전선의 상황이 알려진 후에도 가면 죽을 것을 알면서도 명예욕과 의무심에 계속해서 장교로 입대했는데 초급 장교들은 보병전에서 항상 최선봉에 서야 했으므로 일반 보병들보다도 훨씬 죽을 확률이 높았으며 실제로 엄청난 숫자가 사망했다. 전후 유럽 귀족층에서 아들들이 한 명도 남지 않고 모두 사망하여 가계가 흔들린 곳이 많았다.

당시 생존자들 중 일부는 그대로 군대에 말뚝을 박기도 했는데, 그런 사람들은 또 다시 세계 대전에서 생사를 가르는 경험을 겪어야만 했다. 말뚝 외에도 국민돌격대, 임관, 재입대, 추축국의 침공에 대항한 저항운동 등으로 제2차 세계 대전에도 참전한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출신자들도 많았다.

6. 전개

6.1. 전쟁의 시작

1914년 6월 28일, 세르비아 왕국민족주의 조직 검은 손 소속의 단원 가브릴로 프린치프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황태자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 부부를 암살한 사라예보 사건을 일으켰다. 세르비아 민족주의자들은 세르비아인이 약간이라도 살고 있는 발칸 반도 땅은 전부 세르비아 소유라고 믿었고 매우 호전적이었기에, 오-헝 제국이 1908년에 보스니아를 병합한 것에 대해 응징하러 나선 것이다. 암살 사건의 심각성을 고려하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당장 세르비아 왕국선전포고를 해도 이상하지 않았겠지만, 오-헝 제국은 정부 내부의 토론으로 시간을 보낸 끝에 7월 23일에야 세르비아에 최후통첩을 전달했다. 오-헝 제국이 이렇게 한달 가까이 시간을 허비한 이유는 배후에 부담스러운 러시아 제국을 두고 있었기에 다른 국가들과의 외교를 통해 만약 러시아가 끼어들었을 때의 안전보장을 확보하고자 했고, 또한 오스트리아와 함께 이중 제국을 구성하는 헝가리 왕국 수상의 동의를 얻느라 시간이 걸렸기 때문이었다. 처음에 세르비아 정부는 오-헝 제국의 최후통첩에 굴복할 생각이 있었으나, 곧 러시아가 세르비아를 지원할 의사가 있다는 소식을 전해듣고 오-헝 제국의 요구를 무시해 버렸다. 이에 따라 오-헝 제국이 7월 28일에 세르비아에 선전포고를 함으로써 제1차 세계 대전이 열렸다(세르비아 침공). 그러나 얼마 안가 점령될 거라 여겨졌던 세르비아는 오히려 침공을 격퇴하고 1915년 11월까지 버텼다.

그 뒤 세르비아의 보호를 이유로 러시아가 7월 30일에 총동원령을 선포했다. 급하게 천명만 했지 두 국가의 공식 방어 동맹은 아니다. 그래서 부분 동원령 얘기가 나왔지만, 외무장관인 사조노프는 황제에게 강권하여 이를 강행했다. 보오전쟁보불전쟁에서 프로이센군 총참모부가 사전에 정밀하게 계획해둔 동원령을 이용해 대승을 거둔 이후로, 당시 유럽의 강대국들은 프로이센을 벤치마킹해서 가상 전쟁 시나리오에 대한 총동원 계획을 하나씩은 만들어 두고 있었다. 하지만 이런 정밀한 총동원 계획을 일단 발동했다가 되돌리면 철도 계획표를 비롯해 수많은 곳에서 대혼란이 발생하여 전군이 몇주간 작전 불능에 빠져버리고 국가가 무방비 상태에 처한다는 문제가 있어서, 한번 총동원이 발동되면 전쟁 계획에 따라 상대 국경을 넘어갈 수 밖에 없었다. 그래서 총동원령 선포는 선전포고와 거의 다름이 없는 것으로 여겨졌다.

그리고 독일은 러시아에게 총동원령을 취소해 달라고 요청했는데 당연히 푸르탈레스가 한 일이다. 하지만 그 요청이 무시되자 다음날 독일은 러시아에 선전포고를 한다. 독일은 서쪽의 프랑스를 최대한 빨리 굴복시켜 동쪽의 러시아 제국 방면으로 집중해 전쟁을 수행한다는 내용의 슐리펜 계획을 수행하기 위해 신속하게 움직였고 1914년 8월에 서쪽으로 진군을 시작한다. 이게 현실이 된 이상, 독일 입장에서 룩셈부르크는 무조건 쳐야 했다. 애초에 엘자스-당시 독일령이라서 이렇게 쓴다.- 일대가 다 보주 산맥(독어 포게젠)이다. 그래서, 엘자스의 연장선이지만 북쪽 끝인 룩셈부르크를 확보해서, 거기서 남쪽을 피해서 샹파뉴 쪽으로 들어가야 하는 상황이다. 하지만, 독일은 그보다 더 큰 실책과 범죄를 저질렀다.

그 과정에서 8월 2일룩셈부르크를 점령하고, 3일에 프랑스에 대해 선전포고한 뒤 중립국 벨기에독일군의 통과를 거부하자 4일부터 침공해 점령한다. 점령 기간동안 독일은 벨기에의 강간 등 민간인을 학살하는 사건을 저질러 큰 악명을 얻는다. 영국은 중립을 표방했었으나 영국이 독립을 인정했던 벨기에의 중립이 무시당한 것을 이유로 독일에 대해 선전포고 한 뒤 프랑스로 영국 원정군을 투입하기 시작했으며 발칸 반도의 국가 등도 각국의 이해관계에 따라 선전포고를 교환했다. 1. 오스만 제국 : 애진코트 호 사건으로 분노해 있다가, 괴벤과 브레슬라우를 거저 받는 대신, 독일이 오스만의 영역에서 협상국을 쳐서 자동 참전. 2. 불가리아 : 계속 양쪽 진영에서 자기 편에 서라고 회유받다가, 애초에 세르비아가 협상국인 이상 원하는 영토를 차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동맹국으로 참전. 그리고 이 둘 관계 발칸전쟁을 거치며 완전히 철천지원수다. 3. 이탈리아 : 계속 일단 독일의 동맹이었으나, 독오가 자신들을 배제하고 군사 계획을 의논하는 데 분노하였고, 내심 이탈리아는 훗날 확보하는(이마저도 다가 아니다.) 당시 오스트리아령인 지역을 원했기 때문에 밀약을 맺고 이를 깨며 협상국이 된다. 4. 그리스 : 최후까지 중립이나, 이 땅에서 양진영이 대치했다. 국왕이 친독이었으나, 베니젤로스 수상의 극구 반대로 협상국이 된다. 5. 루마니아 : 그리스 참전 직전에, 이전까지는 사실상 오스트리아의 준괴뢰국이었으나, 동맹국에 점점 불리해지자 이를 계기로 오스트리아의 트란실바니아를 얻기 위해 협상국으로 참전하나, 최악의 전략을 택하여 바로 패배하고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이 무위가 될 때까지 계속 독일의 식민지로 남았다. 근데, 이 브레스트 조약이 완전 무위는 아니다. 독일 패전 후, 협상국이 이 지역에서 독일 제국판 레벤스라움을 부정했지만, 러시아에 돌려주지는 않고 그 자리에 기존에 원래 있었던 나라들을 다시 만들었다. 단, 발트만은 과거에 리투아니아만이 존재했고 나머지 두 나라는 쿠를란트-젬갈렌 공국으로 묶여 있었는데, 독일 패권을 부정하기 위해 둘을 가른 것이다. 이 역사 때문에 지금도 에스토니아와 라트비아는 매우 친독적이다.

8월 7일부터는 독일군이 프랑스 영토 안에서 국경 전투를 열어 승리해 파리 50여km 앞까지 진격할 정도로 선전한다. 한편 러시아가 급하게 8월 중순부터 독일의 동프로이센과 오스트리아의 갈리치아를 공격, 갈리치아의 중심 도시인 렘베르크를 비롯한 갈리치아의 상당 지역과 동프로이센의 국경 지대 일부를 점령했지만 타넨베르크 전투에서 독일군에게 반격당해 큰 피해를 입고 동부전선 우위를 내줬으며 오스트리아군도 러시아와의 전투에서 전과를 올린다. 하지만 9월마른 전투에서는 독일군이 프랑스+영국 협상군에게 저지당하며 진격의 힘을 잃고 주저앉게 된다. 결국 독일은 계획대로 프랑스를 조기에 굴복시키기에 실패했고, 우려했던 대로 서부전선동부전선 양면에서 싸워야 하는 상황에 빠졌다.

파일:970432311_tp.jpg 파일:970432308_tp.jpg 파일:970432315_tp.jpg
당시 독일의 상황을 나타내주는 근대사 유물로 대전 중에 빌헬름 2세가 오토 폰 보겐호프(Otto von Bogenhoff) 장군에게 수여한 IWC사의 회중시계. 시계 케이스에 적혀 있는 독일어는 'FELDZUG GEG FRANKREICH RUSSLAND ENGLAND usw'로 FELDZUG는 전역이란 뜻이고, GEG는 ~에 대하여란 뜻이며, FRANKREICH RUSSLAND ENGLAND는 프랑스 러시아 영국, usw는 영어의 etc 기타 등등의 의미이다.

한편 영국은 8월 5일에 마흐디 전쟁보어 전쟁의 영웅이었던 허버트 키치너를 전쟁부 장관(Secretary of State for War)으로 임명했다. 육군과 사이가 썩 좋지 않았던 영국 해군은 육군과 함께 전쟁부의 지휘를 받으려고 하지 않아서 따로 놀았기에, 전쟁부 장관이라고 직역하기 보다는 육군성 장관이라고 의역하는게 더 옳겠지만, 일단 대부분의 서적에서 전쟁부 장관이라고 번역되어 있다. 참고로 제1차 세계 대전 시절에 영국 해군은 사실상 해군성 소속으로 움직였으며, 심지어 해군성 휘하에 해군이 마음대로 쓸 수 있는 육군 사단들도 보유했다. 키치너는 단기전만을 준비하던 영국 내각 내에서 유일하게 전쟁이 3년 이상 지속될 것이라 예상했고, 장기전에 대비하기 위해 유명한 모병 운동을 펼쳐 총 250만명의 병력을 모았다. 이를 키치너의 신군(new army)이라고 부른다. 키치너는 징병으로 추가 병력을 충당하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게 된 시대에 모두의 예상을 깨고 모병만으로 이런 대군을 모으는데 성공했으나, 같은 지역 출신으로 하나의 부대를 편성했기 때문에 그 부대가 궤멸되면 상응되는 동네에서 젊은 남성이 씨가 말라버리게 만들었다는 비판도 받는다.

아프리카아시아 등지에서도 유럽의 식민지였던 지역을 중심으로 전투가 벌어지기 시작했으며, 특히 독일과 영국 식민지에서는 종전까지 현지 병력들의 전투가 계속 일어났다. 라이베리아가 개전 1주만에 대독 선전포고를 한 이래 8월 말에 일본 제국도 영국과 함께 독일령이었던 칭다오를 침공해 점령했고 9월에는 호주가 독일령 뉴기니를 점령했다. 태평양 지역에 있던 독일 함대는 본국으로 귀환을 시도했지만 영국 함대의 습격을 받다가 포클랜드 해전에서 궤멸되었다.

6.2. 참호전의 수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참호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참호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참호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q5zDazD.jpg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항공기에서 촬영된 전선의 참호들
더 진격할 수 없게 된 서부전선의 독일군은 프랑스 방면의 점령지역 유지와 방어를 위해서 참호를 팠고 협상군도 독일의 진공을 저지하기 위해서 참호를 파기 시작한다. 그리고 상대편 참호의 측면으로 계속해서 기동을 되풀이한 결과 끝내 참호선이 북해에서 스위스 국경까지 늘어나는 상황까지 이르렀다. 제1차 세계 대전의 가장 끔찍한 이미지로 남아있는 참호전은 이렇게 시작되었다. 어느 나라에도 참호전이란 교리가 없었으며 의도된 전쟁 양상이 아니었다. 당대엔 지금과 달리 각 군마다 야전 교리와 별개로 공성전 교리가 존재했는데, 이것이 그나마 참고할만 했을 뿐이다. 과거 남북전쟁 당시 서부 전역의 빅스버그 포위전, 피터스버그 포위전에서 초기 형태의 참호전이 선보여졌지만 유럽국가들은 산개, 엄폐, 참호를 활용한 남북전쟁에 대해 대수롭지 않게 여겼다. 당시 유럽 무관들은 남군과 북군 기병대의 교전을 관전했는데 유럽의 기존 기병 교전방식인 두 기병대가 세이버를 빼들고 교전을 치르는 것이 아닌 말을 멈추고 권총 사격을 주고 받자 매우 어처구니 없어했다고 전해진다. 또한 철도의 존재로 작전 템포가 극히 빨라진 반면 참호, 철조망, 기관총이 공자의 작전 템포를 극도로 느리게 만들었다. 방어자가 공격자보다 작전 템포가 극도로 빨랐음이 참호전의 원인이었다. 따라서 참호전을 타개하고자 한 시도는 공자의 작전 템포를 높일 전술과 기술 개발의 역사이기도 했다.

서부전선이탈리아 전선을 제외한 동부전선, 캅카스, 중동 전선에서는 참호전이라고 부를 만한 상황 자체가 없었다.[24] 이쪽에서는 철도와 기병을 동원해 대규모 기동전을 펼치고 있었다. 그래서인지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군은 동부전선에 배치되는 걸 선호했다고 한다. 서부전선과 동부전선의 양상이 판이하게 달라진 이유는 병력밀도가 차이나는 것이 컸다. 서부전선은 전 전선에 걸쳐 병력이 빽빽하게 들어차 병력밀도가 낮은 취약점을 찾을 수 없었다. 이탈리아 전선도 마찬가지로 병력 밀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고지대인 알프스산맥에서 전쟁이 벌어졌으므로 대개 참호를 파고 포격을 주고받는 진지전으로 전개되었다. 하지만 동부전선은 흑해에서 발트 해까지의 거대한 전선이 형성되다 보니 참호에 의존한 고수방어를 하려다가는 쉽사리 측면돌파를 허용할 수밖에 없었고, 따라서 보병과 기병에 의한 기동전 양상이 벌어졌던 것이다. 중동 전역에서도 참호선을 잇기가 불가능한 사막의 존재로 서로의 한쪽 측방에 거대한 공간이 뜷려있었기 때문에 해안가에서 보병은 참호와 요새로 대치하는 동안 사막에서 양쪽의 기동부대가 겨루는 양상으로 흘러갔다. 조금 다른 얘기지만, 러시아는 프랑스 자본으로 철도를 깔기는 했는데 소총과 포탄조차 부족해 보병에게 도끼라도 줘야 하나 진지하게 고민하고, 에너미 엣 더 게이트의 소련군 같이 여려명에게 총 한자루 주고 앞사람이 죽으면 뒷사람이 수거해서 쓰라고 하며, 서부전선에서 포신이 녹아내릴 때까지 쏘는 동안 10발 쏘고 포병이 침묵하는 막장사태가 곳곳에서 벌여졌다.

6.3. 오스만 제국의 참전

오스만 제국은 이 시점까지 눈치만 보고 있었다. 19세기에 들어서면서부터 오스만 제국은 유럽의 열강이 외면하면 주변의 작은 국가에게도 영토를 빼앗기고, 열강이 도와주면 크림 전쟁에서처럼 강력한 러시아 제국까지 격파할 수도 있는 현실을 뼈저리게 느꼈다. 그래서 1차 대전이 발발한 1914년보다 이전부터 오스만 제국은 영국과 독일에 줄을 대고 뒷배로 삼고자 했는데, 그 이유는 이 2개의 강대국들이 오스만의 영토와 직접적인 이해 관계가 없으면서도, 오스만 제국의 문제에 관심을 주곤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1914년 7월에 영국의 조선소에서 만들어져서 막 진수된 오스만 전함 두 척을 영국이 부당하게 압류하자, 오스만 제국은 희망하던 영국과의 군사 동맹이 완전히 물건너갔다는 것을 깨닫고 독일의 편에 붙기로 결정했다. 게다가 이 2척의 전함은 시골의 어린 학생들까지 방위 성금을 내서 어렵게 주문한 배였기에, 오스만 제국 내에서 반영 감정이 험악하게 달아올랐다. 한편 독일도 8월에 동부전선에서의 압력을 줄이기 위해 비밀리에 오스만과의 동맹을 추진하고 그 과정에서 전함 2척을 양도해 준다. 한국의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글에서는 오스만 제국이 독일 제국에게서 받은 전함 2척에 눈이 멀어서 독일 편에 붙어 참전했다고만 서술하는 경우가 많지만, 이것은 당시 영국이 퍼트렸던 프로파간다를 그냥 받아적은 것에 불과하다. 실제로는 오스만이 독일에 먼저 접촉했었고 제법 복잡한 과정을 거쳐 동맹이 맺어졌다.

오스만 제국은 독일 제국과 동맹을 맺었음에도 불구하고 당장 전쟁에 발을 담그지 않고 미적거렸다. 그러자 오스만 해군 소속이 되었음에도 독일 해군의 장교와 병사들만 탑승해 있던 전함 2척이 10월 말에 자기 멋대로 러시아의 세바스토폴 항구를 기습 공격해 버렸고, 러시아는 11월에 오스만 제국에게 선전포고하여 캅카스 방면을 공격하기 시작해 오스만도 전쟁에 휘말리게 된다. 하지만 오스만 제국은 땅만 넓었지 인구는 2,500만명 정도로 영국 본토 인구의 60% 정도밖에 되지 않는 수준에 불과했고, 산업 역량은 강대국 중에서 가장 뒤떨어졌다는 러시아보다도 못했다. 그래서 오스만 제국의 1913년 1인당 GDP 추정치는 영국의 수십분의 1에도 미치지 못했고, 학자에 따라서는 1/100 이하였다고 보는 사람도 있다. 굳이 이 시절 오스만과 영국의 국력차를 현대와 비교하자면 2020년 캄보디아와 대한민국의 국력차를 생각해보면 된다. 뿐만 아니라 한창 잘나가던 시절에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3개 대륙으로 영토를 확장했던 여파로 인해, 양면전쟁보다 더 끔찍한 3면전쟁에 처하게 되었다.

초반에는 영-프-러 협상국 진영이 유럽에 집중하느라 오스만에게 운신의 폭이 있었으나, 영국이 곧 중동 지역에서 오스만 제국을 공격하기 시작했고, 영국령 인도 제국에 자치권 강화를 약속하여 전쟁이 끝날 때까지 총 150만명의 인도인들도 영국군에 자원 입대해서 싸웠다. 영국은 처음에 인도인들을 유럽 전선에도 파견하였으나, 나중에는 주로 중동과 아프리카에서 오스만 제국을 상대하는데 동원하였다. 참고로 영국이 인도인들에게 약속했던 자치권은 전쟁이 끝나자 한낱 공수표에 불과했던 것이 드러났다. 1차 대전 기간 동안에 너무나도 많은 인적·물적 자원의 손실을 입었던 영국이 다시 국력을 회복하는데 인도 식민지가 중요하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영국이 약속을 지킨 것은 먼 훗날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에야 벌어졌으며, 그것조차 자의 반 타의 반으로 약속을 지켰다. 타의 반인 이유는 영국동양함대궤멸로 인해 먼 남아시아 지역까지 항로를 지킬 여력이 없어졌고, 결정적으로 미국과 중국이 인도의 독립을 지지했기 때문이다.

캅카스 전역에서는 오스만 제국이 1914년 말에 러시아의 공격을 잘 막았음에도 불구하고, 청년 튀르크당 3대 실권자[25] 중에 한명인 엔베르 파샤가 한겨울에 눈덮인 산악 지형에 대한 무리한 공격을 가한 끝에 1914년 12월~1915년 1월에 벌어진 사르카므쉬 전투에서 대패하고 만다. 엔베르의 계획은 러시아군의 예상을 깬 공격으로 캅카스 전선을 돌파해 당시 세계에 몇개 없던 유전 지대인 러시아의 바쿠 유전을 점령하겠다는 것이었다. 아직 석탄을 주로 쓰던 시절이기는 하지만, 드레드노트급 전함은 석유를 연료로 사용했고, 이제 막 군에 도입되기 시작하던 트럭과 비행기도 석유를 연료로 사용했기에, 이미 제1차 세계 대전 시기에도 석유가 전략적으로 중요했다. 하지만 옛날 오스만 제국이 처음 세워졌던 시절에 보급품 없이도 지형을 가리지 않고 신출귀몰했던 튀르크계 유목민들이었다면 혹시 모를까, 이 시절의 오스만 제국군에게는 무리한 작전 계획이었다. 러시아군의 반격 과정에서 러시아군 소속의 아르메니아인 사단과 일부 아르메니아계 현지인이 튀르크계를 죽이자, 오스만 제국이 자신의 패배한 원인을 전부 아르메니아인에게 돌리며 아르메니아인 대학살을 저지르기도 했다.

한편 1914년 12월, 대부분 군인들이 집에서 보내리라 생각했던 크리스마스가 다가 오자 서부전선에서 대치하던 협상군과 독일군은 암묵적으로 휴전한 채 각자의 참호에서 조촐한 축하행사를 가졌으며 기적적으로 서로 총을 거두고 적과 만나 이야기를 나누기도 했다. 그러나 이 해가 가자 적어도 대놓고는 이런 모습이 보이지 않았다.

6.4. 정체되는 전황

1915년 1월에 오스만 제국과 독일은 영국과 영국령 인도의 연결을 끊어버리기 위해 수에즈 운하를 공격했으나 점령에 실패한다.

2월부터 독일은 영국의 해상봉쇄를 뚫고자 무제한 잠수함 작전을 실행해 협상국의 상선 등을 무차별적으로 격침시킨다. 5월에 영국의 여객선 루시타니아 호가 격침되며 미국인 128명이 죽자 미국의 참전여론이 거세졌으나, 독일은 무제한 잠수함 작전을 취하하기로 하여 미국도 이를 인정하고 화를 잠재운다. 하지만 이 작전은 꽤나 효율적으로 영국의 해상력을 경계하고 약화시켰기 때문에, 이후 말을 바꿔 또 무제한 잠수함 작전을 감행하여 미국의 여론이 다시 악화되었으며 하술할 치머만 전보 사건으로 인해 미국이 참전한다.

영국은 꽉 막힌 서부전선의 교착을 풀어줄 돌파구를 찾을 겸, 독일에 고전하면서 오스만까지 상대하던 러시아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프랑스와 연합한 함대를 보내 2월에 오스만 제국의 영토인 다르다넬스 해협을 돌파하려고 했으나[26] 전함 2척을 잃고 또 2척이 대파되는 피해만 입고 철수했다. 결국 해군 단독의 작전으로는 무리라는 것을 인정하고 4월부터 다시 지상군을 동원한 갈리폴리 상륙작전을 실행했지만 결과적으로 최악의 상륙작전이란 결과를 본 채 수많은 인명만을 상실하고 이듬해 1월에 물러날 수밖에 없게 된다. 이 일은 해군 장관으로서 갈리폴리 작전을 직접 입안했던 윈스턴 처칠의 인생에서 가장 큰 흑역사가 되었다. 반면에 오스만 제국에서는 갈리폴리 반도를 방어하는 데 성공한 케말 파샤가 국민적 영웅으로 떠오르게 된다. 또한 1915년 12월부터 약 5개월간 현재의 이라크에서 벌어진 쿠트 포위전에서도 오스만 제국군이 영국 원정군에 완승을 거두었다.

한편 4월의 협상국의 공세를 조용하게 지켜보던 이탈리아 왕국은 결국 삼국 동맹을 공식적으로 배신하여 협상국에 가담한 뒤 바로 5월에 전 동맹국이었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선전포고를 한다. 1882년에 이탈리아 왕국은 삼국 동맹에 참여한 상태였으나 이미 1902년에 프랑스와 밀약을 맺어 삼국 협상에 발을 걸친 상태였다. 이후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삼국 동맹은 상호방위조약"이라는 이유로 참전하지 않고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도 오스트리아-헝가리는 전쟁에서 이기면 프랑스령 튀니지를 이탈리아에게 줄 테니 이탈리아는 중립만 표방해도 좋다는 태도였다. 그러나 협상국이 이탈리아가 탐내던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영토, 이탈리아가 불법 점유하고 있던 아나톨리아 반도 서쪽의 섬들의 공식 병합[27] 그리고 만약 가능할 경우 오스만 제국의 영토에 대한 권리를 미끼로 꼬시자 이탈리아의 일부 거물 정치인들이 넘어와서 일을 진행시킨 것이다. 이탈리아가 넘어가는 것을 눈치챈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도 눈물을 머금고 자국 영토 할양을 제시했는데, 이마저도 독일 제국의 압박이다. 이때 동의한 것은 쥐트티롤의 트렌토와 이스트리아 반도. 그러나, 이미 때가 늦었다. 전쟁이 시작되면 빠르게 오스트리아-헝가리 영내로 진격할 수 있을 거라는 이탈리아의 예상과 달리 국경을 넘은지 얼마 지나지 않아 오스트리아-헝가리의 방어선에 가로막혔고 이후 두 나라는 험준한 알프스산맥을 배경으로 힘겨운 대치를 이어간다.

동부전선에서는 5월부터 독일과 오스트리아가 갈리치아 방면에서 고를리체-타르누프 공세를 펼쳐 그 해 6월 렘베르크를 탈환했으며 곧이어 러시아에 대한 대규모 공세를 개시, 러시아는 폴란드에서 전략적 후퇴를 결정하고 8월에 독일군이 러시아 제국령 폴란드의 중심 도시인 바르샤바를 점령한 데 이어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코브노, 빌나, 핀스크 등 러시아 서부의 주요 도시들을 차례로 점령할 정도로 독일이 우위를 점한다. 하지만 그렇다고 독일이 러시아 제국의 수도 페트로그라드로 진격하기에는 여전히 러시아가 계속 징집할 수 있는 예비 병력이 많았고, 거리도 너무 멀었으며, 철도가 부실하고 진창길 투성인 러시아 서부에서는 진격할수록 보급이 더 어려워졌고, 애초에 동부는 독일의 양면 전쟁에서 우선 순위가 아니었다.

10월에는 불가리아 왕국동맹국으로 참전하여 오스트리아-헝가리가 고전하던 세르비아 방면의 전투는 물론 발칸반도 지역의 정세가 동맹국에게 유리하게 넘어온다. 불가리아가 참전하지 않았더라도 세르비아는 오스트리아-헝가리군과 독일군의 연합 공격작전으로 확실히 패배했을 것이다. 그러나 불가리아의 참전은 북부에 집중된 세르비아의 방어선에 거대한 구멍을 뜷었고, 세르비아군은 속수무책으로 포위섬멸 당하게 된다. 그러나 영국이 사태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미적거리는 동안 프랑스가 개입해 모리스 사라이의 동방군이 불가리아군의 진격 속도를 크게 늦추었다. 덕분에 세르비아군이 알바니아를 통해 탈출할 수 있었고, 세르비아 전역은 붕괴했으나 마케도니아 전선이 유지된다.
파일:external/img9.uploadhouse.com/22421599b95924b26e4590eb7b4281943975550e.jpg
영어권에서 일명 Going over the top 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사진. 이 사진뿐만 아니라 'Going over the top'은 영어권에선 아예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참호 밖으로 나와 공세를 하는 상황을 지칭하는 관용구 수준이 되었다. 유튜브 등지에서도 위 단어를 입력하면 전쟁 영화의 장면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참호에서 올라와 기관총탄과 포탄이 빗발치는 무인지대로 돌진을 시작하려는 영국군을 찍었는데, 솜 전투의 가장 유명한 사진일 것이다. 후반부 전쟁에 뛰어든 미군도 사진의 영국군과 마찬가지로 무인지대로 돌진을 시작하려는 미국 육군 병사들을 촬영한 기록 사진이 있다.
1916년이 되자 서부전선의 전투는 격화되지만 상황은 점점 수렁 속으로 빠져들어갔다. 특히 독일의 공세였던 베르됭 전투와 영국과 프랑스의 공세였던 솜 전투에서만 200만 명이 살상되는 엄청난 인명피해가 발생했지만 전황은 크게 변한 게 없었다. 다만 베르됭 전투 이후 독일은 전력이 약해져 서부전선에서 방어 입장으로 돌아서게 되었다.

독일 해군은 5월에 영국의 해상봉쇄를 뚫기 위해 영국 해군과 유틀란트 해전을 벌여 전술적인 승리를 거두었지만, 해전 이후에도 영국 대함대의 남은 전력이 독일 대양함대보다 더 우세했기에 봉쇄를 돌파하진 못했다. 이 때문에 유틀란트 해전을 두고 독일의 전술적 승리인 동시에 전략적 패배라고 평가한다. 다만 비교적 최근에 영국 해군이 꼭꼭 숨겨두었던 유틀란트 해전에 대한 기밀 자료가 우연찮게 해군 창고를 뒤지던 학자에 의해 발견되면서 다른 해석도 나오고 있는 중이다. 그래서 미군의 군사 사학자 중에는 유틀란트 해전을 두고 독일의 전술적 승리일 뿐만 아니라 전략적 승리라고 보는 사람도 늘어나는 추세이다. 하지만 여전히 대부분의 영국인들은 유틀란트 해전이 영국의 전략적 승리라고 보는 편이다.

이후 독일은 드레드노트 함대전을 포기하고 잠수함만 바라보았다. 한편 영국 해군도 전쟁 전에 대형 전함에만 몰빵하고 소형 함정을 등한시한 탓에, 개전 이후에는 한정된 자원을 쪼개서 독일의 잠수함을 상대할 구축함순양함을 급히 대량 건조하느라 힘든 시기를 보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1920년대까지도 영국은 소형 함정을 건조한 것이 별 부담이 아니라는 프로파간다를 꾸준히 퍼트렸고, 이후에 나온 책 중에도 이것을 그대로 받아적은 것이 많다. 하지만 현대 사학자들이 각종 통계 수치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명백히 거짓이다. 영국의 건함 역량이 소형 함정을 만들고 잠수함에 격침된 상선의 수를 메꾸는 데에 돌려져야 했기에, 유틀란트 해전 이후에 영국이 계획한 전함의 수가 같은 시기 건조 예정인 독일 전함 수보다 적어졌다. 하지만 독일도 자원 부족으로 인해 전함의 건조가 일정보다 늦어지다가 완성을 보지 못하고 종전을 맞이하게 된다.

또한 이 시기에 포르투갈이 제1차 세계 대전에 협상국 측에 참전했다. 당초 포르투갈 정부는 중립을 유지하고자 했다. 그러나 1916년 오랜 동맹이었던 영국이 포르투갈의 항구에서 독일 배들의 나포와 화물 압수 등을 요구하자 독일은 포르투갈에 전쟁을 선포하는 것으로 대응했고, 포르투갈은 중립을 포기하고 전쟁에 참전하게 되었다. 서부전선에서 포르투갈은 영국과의 협의 끝에 영국군의 지휘를 받게 되었다. 보병 5만 5천 명과 포병 1천 명이 참전했는데 그중 전사 8145명, 부상 1만 3751명, 실종 및 포로 1만 2318명이 발생했다. 전쟁 영웅들도 있었는데 한 예로 아니발 아우구스토 밀하이스(Aníbal Milhais)라는 병사는 제4차 이프르 전투(일명 '리스 전투') 당시 아군이 후퇴하자 독일군을 혼자서 막아내며 아군의 퇴로를 엄호하였고 본인도 무사히 탈출하는 데 성공했다. 밀하이스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포르투갈군에서 가장 많은 훈장을 받았으며 그의 고향인 발롱고(valongo)는 그의 이름을 따서 발롱고 데 밀하이스로 지명을 바꾸었다. 또한 포르투갈 국적 선박 80척이 독일 잠수함대에게 공격받아 침몰했다. 그래서 포르투갈은 전사자는 상대적으로 적었지만, 본국에서 기아와 질병으로 죽은 사람이 8만에 달했다. 포르투갈은 전쟁이 끝난 후 보상으로 독일령 동아프리카 일부를 얻었다.

오스트리아-헝가리는 2월에서야 불가리아와 합동으로 세르비아 왕국몬테네그로 왕국을 힘겹게 점령했으나 세르비아 정부는 여전히 항복을 거부하고 잔존 병력과 함께 그리스 왕국으로 후퇴했다. 그리고 영불 연합군이 세르비아군을 도와주러 그리스의 테살로니키에 상륙하면서 발칸 전선이 완전히 정리된 것도 아니게 되었다. 하지만 영불 연합군은 테살로니키에서 아무것도 안 하고 대기만 계속 한 탓에 전황의 변화에 딱히 기여한 바가 없었다. 뿐만 아니라 테살로니키에 창궐하는 말라리아에 엄청난 비전투손실을 보았고, 그리스의 허락없이 무작정 테살로니키에 상륙하여 점거한 탓에 그리스와의 외교 관계가 악화되었다. 게다가 6월에는 동부전선에서 러시아가 오스트리아와 독일 동맹군을 상대로 브루실로프 공세를 펼쳐 오스트리아에게 막대한 피해를 주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이 약체라는 것을 명확히 드러냈다. 하지만 엄청난 병력을 동원한 러시아도 독일군에 비해 전력이 열세였으며 피해가 꾸준히 누적되고 있어 1916년 말까지 병사 500만이 사상당했고 경제적으로 피폐해져 국내의 불만이 고조되어 가고 있었다.

오스만 제국의 경우에도 러시아와의 캅카스 전선에서는 러시아한테 패하며 쭉쭉 밀려나고 있었고 중동의 아랍 부족들이 오스만으로부터 독립을 원하고 있었던 것을 영국이 지원하여 6월에 아랍 반란을 일으켜 예상 외로 잘 버티고 있던 중동 전선에서도 수세에 몰린다. 아라비아의 로렌스 영화의 배경으로 유명하다.

8월 27일, 그동안 중립을 표방하며 어느 편에 설지 간만 보고 있던 루마니아 왕국이 브루실로프 공세의 성공을 보고 협상국으로 참전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판단하여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선전포고한다. 사실 이건 반쪽 성공이긴 했다. 오스트리아와 러시아가 같이 망했다. 오스트리아 : 군사 역량 소진 후 독일에 종속, 러시아 : 공세종말점으로 독일에게 한 번 더 패해서 완전히 나가떨어진다.루마니아 왕국은 선전포고 후 초반에는 카르파티아산맥에 대한 오스트리아군의 방비가 빈약했던 덕분에 승리할 수 있었으나, 양적인 병력 증강에서 비롯된 질적 부족과 동맹국의 본격적인 개입으로 루마니아군은 곧바로 자국 영토로 밀려나 수도 부쿠레슈티까지 함락되었으며 몰다비아만 남은 상태로 이아시에 임시정부를 구성하여 러시아의 도움을 받아 어렵사리 버티게 되었다. 그러나 러시아가 껍데기만 남은 상태에서 완전히 사라지자, 이마저도 무위가 되었다.

6.5. 동맹국의 전략적 도박과 협상국의 전략적 협상


독일은 2월부터 다시 무제한 잠수함 작전을 재개한다. 독일은 이것이 중립국들의 적대와 무엇보다도 미국의 참전을 부를 전략적 도박임을 확실히 인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협상국이 평화 협상을 거절하며 이 도박에 걸린 판돈이 크게 늘어났다. 또한 전쟁 전부터 식량 수요의 절대다수를 수입에 의존했던 영국이 1916년에 식량 운송에 사용한 총 용적 톤수를 계산한 후, 1달에 600000톤의 수송선을 6개월 동안 침몰시키면 미국이 참전해봤자 무언가를 해보기도 전에 전쟁을 끝낼 수 있다는 결론이 나왔다. 이는 영국 외 협상국에게도 치명적인 타격이 될 터였다. 이탈리아는 다양한 자원을 수입에 의존했고, 프랑스는 군수물자 생산을 위한 원자재(특히 석탄) 수입을 영국 수송선에 의존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무제한 잠수함 작전은 영국에 대기근을 일으켜 전쟁수행 의지를 꺾음과 동시에 프랑스와 이탈리아의 전쟁수행 능력까지 완전히 파괴할 수 있는 매력적인 도박이었다.

압도적인 용적 톤수 보유량과 강력한 해군으로 협상국의 바다와 무역을 책임지던 영국이 행동에 나섰다. 영국의 신임 총리 로이드 조지는 유능한 사업가들을 발탁해 해운, 식량통제관이라는 지위를 부여했다. 잃는 용적 톤수를 채우기 위하여 여객선까지 포함한 총징발을 결의했으며 자원 공급 계획을 더욱 철저하게 통제했다. 또한 영국이 프랑스에 할당한 용적 톤수를 철회했고, 동시에 프랑스에 금수조치를 걸었다.

무제한 잠수함 작전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였으나, 금수조치를 당한 프랑스는 당연히 극도로 분노했다. 대중이 적대하기 시작했고, 프랑스 사업가들은 영국 사업가들에게 공공연한 트롤링을 일삼았으며, 프랑스 행정부는 그러한 저항을 승인했다. 미국이 참전했으나 당장은 잠수함에 잃는 용적 톤수를 보상해주긴 커녕, 오히려 영국이 163대의 수송선을 징발해 미국에게 제공해야 했다. 영국의 조치가 독일의 도박을 완벽히 맞받아친 것도 아니었다. 바다 건너 떨어져있는 마케도니아 전선이 수송선 부족으로 위기에 처했다. 프랑스에서 석탄이 심각한 수준으로 고갈되었고, 석탄 부족이 프랑스 군수공장의 정지 뿐만 아니라 1917년의 혹독한 겨울과 겹쳐 심각한 식량 부족을 야기했다. 독일의 판단이 옳은 듯 했고, 야전의 공격작전이 아니라 수송선 부족 때문에 전쟁이 끝나는 듯 했다.

그러나 결국 영국과 프랑스의 협상이 승리했다. 프랑스는 무제한 잠수함 작전이 재개되기 전, 영국 해군에게 호송선단을 강요하기 위해서 1915년에 세르비아군 잔존병력을 구출해낸 해운 조직의 베테랑 방디에를 런던에 투입했다. 그는 1916년 12월에 영국 행정부가 요청하던 호송선단을 온갖 핑계를 대며 거부하던 영국의 제독들 앞에서 석탄 수송의 중요성과 이를 보호하기 위한 호송선단의 중요성을 웅변했다. 다만 대단히 싸가지없는 말투로 했기 때문에 영국 제독들을 감동시키진 못했다. 제독들은 방디에의 언변이 아니라 그가 준비해온 연구에 설득당했고, 결국 호송선단을 시험하기로 했다. 프랑스 해군이 우샹 앞바다에서 실행하고 있던 호송선단 전술을 영국 내각에게 가르쳐주었다.

호송선단은 대단했다. 1917년 12월까지 펜전스-브레스트 무역로에서 5051척의 배가 5500000톤의 석탄을 수송했는데, 잠수함에 침몰한 배는 고작 17척에 불과했다. 바다에서 강력한 입지를 갖춘 영국이 상대적으로 작은 입지를 가진 프랑스의 영향으로 효율적인 체계를 정착시킨 일은 대화와 토론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일화이며, 협상국이 동맹국보다 훨씬 강력하게 가졌던 능력이다. 이러한 일은 단방향으로만 일어난 것이 아니다. 프랑스 무역업계는 1차대전 이전부터 비효율로 악명높았고, 1차대전 도중엔 이러한 비효율이 프랑스의 용적 톤수를 대신 책임져주던 영국의 강한 불만을 낳았다. 이러한 비효율은 영국이 프랑스에게 압력을 넣고, 프랑스 정치권이 다시 자국 사업가들에게 압력을 넣어 영국 사업가들을 모델로 삼음으로서 해결될 수 있었다.

하지만 호송선단이 채택된 시기를 봐도 알겠지만 이것이 완벽한 해결책은 아니었다. 호송선단을 채택했다고 갑자기 모든 무역로에 적용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호송선단은 충분히 확대되고 미국 수송선이 용적 톤수를 보상할 수 있게 된 후반에 가서야 진정한 가치를 보였다. 전략적 도박을 무너뜨린 두번째 조치는 연합해운의회였다.

시간을 영국이 프랑스에 금수조치를 걸은 때로 돌아가서, 점점 강행지는 해운 압력에 대응하기 위해 에티엔 클레망텔이 7월 말에 런던으로 떠났다. 영국의 수입 규제를 철폐하고 더 많은 배를 얻기 위해서였다. 영국이 1916년 12월 협정으로 프랑스에 할당한 용적 톤수가 무제함 잠수함 작전 때문에 약화되었기에 이를 회복해야만 했다. 클레망텔이 협상을 위해 취한 입장은 이러하다.
12월 협상으로 영국이 프랑스에 할당한 용적 톤수가 유지되어야만 한다.
프랑스와 영국이 앙상블을 구성하여 다른 협상국들에게 해운으로 물자를 공급해야 한다.
그러니 프랑스의 성공이 영국의 성공에 달려있다.

클레망텔은 런던으로 가기 전 위 내용을 담은 성명서를 썼다. 그는 베르됭 전투가 끝난 후 프랑스군의 군사력이 약화되고 있다는 생각이 영국에서 커지고 있음을 인지하면서도 우호적이면서도 극히 단호한 협상 태도를 취해 양보를 얻어내고자 했다. 프랑스에겐 영국에게 협력을 요구할 자격이 있었다. 영국이 선호한 수요 일부를 채워주는 방식이 아니라 자원을 가능한 무조건적으로 제공하는 방식으로 말이다. 무엇보다 프랑스는 협상국의 병기창이었다. 영국이 프랑스에 철광석과 석탄을 공급하면, 프랑스가 무기를 생산해 벨기에군, 세르비아군, 루마니아군, 그리스군, 미군을 무장시켰고 영국군, 러시아군, 이탈리아군에게 군수물자를 공급했다. 그러나 클레망텔은 프랑스의 상업 문화에 대한 영국의 불만이 정당함을 인정하면서 프랑스가 이를 해결했더라면 영국이 용적 톤수를 철회하고 금수조치를 취하지도 않았을 것이라고 자국을 비판했다.

클레망텔의 목표는 다음과 같았다.
프랑스에 할당된 배 숫자를 12월 협정대로 유지한다.
두 국가의 국력을 통합한다
중립국 해운에 압력을 넣기 위해 미국의 협조를 받는다
억류한 적국 선박, 새로 진수한 선박 사용법에 대한 합의를 이룬다.
전후에도 일정 기간동안 전시 조치를 유지한다

클레망텔의 진정한 목표는 다름아닌 협상국의 용적 톤수 통합이었다.

마침 프랑스가 영국의 상업 관행을 받아들이는 개혁을 시작했으며, 모든 프랑스 해운이 프랑스 정부의 통제에 놓이게 되었다. 영국과 프랑스가 물자 구입, 수송, 비축에서 하모니를 이루기 위한 기초의 완성이었으며, 영국의 핵심 불만사항 해결이자 런던의 게임에 반드시 필요한 카드이기도 했다. 클레망텔이 8월 24일에 금수조치를 푸는 데 성공했고, 프랑스의 식량 부족을 해결할 수 있도록 영국이 즉각 석탄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탈리아에 영국 석탄을 공급하는 대신 프랑스 남부의 석탄을 공급하고, 그렇게 남은 수송선은 영국 석탄을 프랑스로 수송하는 데 쓰기로 합의했다. 이는 세 국가가 서로를 신뢰하지 않으면 절대 이룰 수 없는 변화였다.

런던에 선 클레망텔은 게임의 달인이었다. 그는 협상국 무역의 주인이 영국이기에 본질적으로 영국이 손해를 감수해야 하는 자신의 진정한 목표를 교묘하게 숨겼다. 이전엔 프랑스가 자원 수요가 생길 때마다 표로 만들어 보여주면 영국이 수출하는 식이었는데, 클레망텔은 프랑스의 수요와 자원 전체를 나타내는 프로그램을 짜서 보여줌으로서 영국도 자신의 패를 보이도록 강요했다. 영국은 클레망텔에게 대응하기 위해 협상 날짜를 9월 25일에서 10월 16일로 연기했다. 그 시간에 클레망텔의 마음 속을 지배하고 있던 것은 프랑스 군수부가 식량 부족을 해결하기 위하여 모든 용적 톤수를 식량부에 빌려준 사건이었다. 그 때 파리엔 식량 재고가 하루치만 남은 상황이었다.

영국 내각은 자신들은 농민의 사재기를 막기엔 너무 나약하니 부족분을 대신 채워달라는 요청에 불과하다고 대답하며 클레망텔을 공격했다. 그러자 클레망텔이 협상에 실패하면 프랑스로 돌아가 사임해버리겠다고 런던을 협박하기 시작했다. 그리고는 이러한 제안을 내밀었다.
공용 수입 프로그램을 짤 수 있도록 선박을 공동으로 사용한다.
그러한 공용 수입 프로그램에서 식량 수입을 최고 우선순위로 둔다.
미국 정부에 협정 내용을 알리고 가입을 요청한다.

양쪽의 공방 끝에 마침내 11월 3일, 클레망텔이 원하던 그림으로 협정이 체결되었다. 영국이 공공의 이익을 위해 자신의 선박 통제권을 내려놓기로 결정했다. 이는 선박 부족 때문에 용적 톤수와 병력 중 무엇을 먼저 원하는지 질문하는 미국에게 영불이 같은 입장을 취해 답할 수 있게 만들었다. 회담이 11월 29일 파리에서 열려 연합해운의회가 탄생했다. 원칙은 이러했다.
협상국은 군사용, 민간용을 막론하고 모든 수입품 공급을 좌우할 선박 할당을 전쟁 수행에 가장 효과적으로 기여하고 전쟁이 초래하는 부담과 희생을 협상국들이 최대한 고르게 부담할 수 있도록 단순하고 공정한 원칙에 따라 동의했다.

연합해운의회는 무제한 잠수함 작전에 대한 완벽한 카운터였을 뿐만 아니라 이 조직 덕분에 수송 프로그램을 압축하여 미군을 서부전선으로 수송하는 데 필요한 수송선을 확보할 수도 있었다. 북대서양 해운량이 대폭 증가하자 프랑스가 영국에 강요했던 호송선단이 미국 해군까지 합류해 엄청난 효과를 발휘하기 시작했다. 미군은 바다에서 어뢰보다 독감에 더 많은 사망자를 입었다. 호송선단과 연합해운의회는 곧 국제전인 현대전에서 최고의 방식으로 작동한 협상의 첫 사례였고, 미국이 경제적 측면에서 협상국의 승리를 결정했다는 사실이 대중에게도 유명한 것만 봐도 알겠지만 협상국이 승리한 본질적인 이유였다. 협상을 통해 이를 이루어낸 에티엔 클레망텔은 경제 층위의 페르디낭 포슈였고 페르디낭 포슈는 군사 층위의 에티엔 클레망텔이었다.

6.6. 미국의 선전포고와 러시아 혁명


무제한 잠수함 작전과 독일의 테러들[28], 치머만 전보 사건 등을 견디다 못한 미국은 4월에 독일 등에 선전포고를 하게 되고, 동맹국은 시한부 인생이 되었다. 하지만 급하게 징집한 병사들의 훈련 등을 이유로 미국은 전쟁 참여에 조심스러웠고, 6월부터 프랑스에 기초훈련이 끝난 소규모의 미군 부대가 도착하기 시작했지만 1918년 5월까지도 큰 교전을 하지 않았다. 한편 비슷한 시점에 중국인 노동자들을 수송하던 배가 독일 잠수함의 공격으로 침몰하여 중국인들이 떼죽음당하는 사건이 벌어지자 돤치루이 내각은 1917년 3월에 독일, 오스트리아-헝가리와 단교하고 수개월 후에 내전까지 불사하며 선전포고하고 참전하게 되나 전투 차원에선 유럽에 보내기 위해 조직하던 '참전군'이 대전이 끝나던 시점까지 편성이 안 돼서 도움을 못줬고 다만 수십만 명의 노동자들을 유럽에 보내서 후방에서 원조하였다.

1917년에 들어서 러시아 2월 혁명이 터져 니콜라이 2세가 폐위되고 러시아의 체제가 전복되었다. 하지만 새 정부는 여전히 독일과 전쟁을 하려 들었고 내부의 불만 요소는 그대로였기에 사회에 혼란스러운 분위기가 감돌았다.

1917년 3월에 영국군은 오스만 제국의 도시였던 바그다드를 점령했고, 곧 메소포타미아의 대부분을 손에 넣었다.
파일:lVOGg8r.jpg
양측 참호 전선이 대치하면서 형성된 무인지대
1917년 4월에 독일은 망명 중이던 레닌을 기차에 태워 러시아로 귀국시켰다. 레닌의 혁명이 성공하면 독일과의 전쟁을 그만둘 것이란 기대가 있었다. 이렇게 러시아의 내부 상황이 혼란으로 치닫자 프랑스와 영국은 초조해졌고, 서부전선에서 4월부터 연이어 협상군의 대공세가 펼쳐지며 7월의 치열한 파스샹달 전투까지 펼쳐졌지만 대량의 인명이 소모된 것에 비하면 작은 승리였으며, 전략적으로 변화가 생기진 않았다.

한편 그리스 왕국은 전쟁 발발 이후 계속 중립을 지키고 있었는데 중립을 지켜야 한다고 주장한 국왕 콘스탄디노스 1세와 협상국으로 참전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총리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의 갈등과 그로 인해 둘로 쪼개진 국민 여론, 그리고 세르비아 전선의 패전으로 동맹국의 추격을 피해 그리스 영내로 피난한 세르비아군과 그들을 지원하기 위해 테살로니키에 진주한 영불 협상군, 그에 대응하여 콘스탄디노스의 묵인을 받아 그리스령 마케도니아로 진주한 불가리아군 때문에 그리스도 전쟁에 휘말렸다. 급기야 총리 자리에서 해임된 베니젤로스는 지지자들을 이끌고 협상군이 점령한 테살로니키로 가 임시정부를 세우고 수도 아테네에서는 양측의 지지자들이 대규모 시가전을 벌이고 베니젤로스를 지지하는 영불 협상군은 그리스 북부와 도서 지역을 점령하여 콘스탄티노스를 압박하는 등 난장판이 되었다. 협상국 중 유일하게 콘스탄티노스에게 우호적이던 러시아의 니콜라이 2세마저 혁명으로 물러나자 버틸 곳이 없어진 국왕 콘스탄디노스가 퇴위하고 둘째 아들 알렉산드로스가 즉위했으며 신정부를 이끄는 베니젤로스는 6월 30일 동맹국에 선전포고하면서 그리스도 협상국 측으로 참전했다. 그리스는 전쟁이 끝난 후 보상으로 불가리아령 서트라키아와 오스만이 갖졌던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제외한) 동트라키아스미르나를 얻었으나 고토 수복과 동로마 제국의 부활을 명목으로 아나톨리아 내륙으로 쳐들어가는 뇌절을 했다가 무스타파 케말이 이끄는 신생 튀르키예군에게 패하고 동트라키아와 스미르나를 다시 빼앗겼다. 하술하지만 이때 장남인 요르요스는 매우 친독적이다. 그래서 훗날 즉위해 내각을 구성했을 때, 메탁사스를 총리로 삼아서 주변의 영향으로 유사 파시즘 왕정 체제를 만든다. 메탁사스도 친독 맞다. 애초에 이사람, 제1차 세계 대전과 그리스의 터키 공격 모두 반대한 사람이다. 참고하자면, 1930년대~전쟁 시작까지 유럽 주요국 실권자들 중 가장 유능했던 건 이 사람과 루마니아의 이온 안토네스쿠다. 반면, 후자는 손잡은 파시스트들을 완전히 제거하면서 나치의 묵인을 받는 정치력이 대단한 인물이었으나, 그 자신의 뛰어난 능력을 독일 부역과 소련에서의 전쟁범죄에 쓴 거물 전범이다.

한편 이손초 전투에서 이탈리아 왕국소모전에 압박을 느끼던 오스트리아-헝가리는 이탈리아 전선에만 집중하기 위해 동부전선을 전부 독일한테 떠넘기려 한다. 독일의 반대로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 그러나 10월에 펼쳐진 카포레토 전투에서 독일은 오스트리아-헝가리와 함께 이탈리아를 상대로 대승을 거두었으며 이탈리아군은 우디네 일대를 포기하고 베네치아를 불과 30 km 앞둔 피아베 강까지 후퇴해 보급선이 지나치게 늘어나 여력을 잃은 동맹군의 공세를 격퇴한 후 방어선을 구축했다. 급파된 프랑스군과 영국군은 이탈리아군이 탈출과 반격에 실패하리라 보고 베네치아를 포기한 채 후방에서 방어선을 구축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 공로는 오로지 이탈리아군의 것이었다.

1917년 10월 혁명의 여파로 러시아 체제가 전복되고, 11월에 레닌은 러시아 노동자들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던 전쟁을 멈추기 위해 독일과 강화한다. 정식으로 조약을 맺고 정전을 한 것은 1918년 2월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을 맺은 것이며, 이 조약은 러시아의 영토를 상당부분 독일에 넘겨주는 굴욕적인 내용을 가지고 있었다. 독일은 서부전선에 집중할 수 있게 되었고 프랑스나 영국은 큰 위기감을 느꼈지만 사실 독일도 이미 인적 경제적 손실이 누적되어 국가는 피폐해졌다. 러시아에도 평화가 찾아오기는커녕 러시아 내전이 시작되었다.

1918년 1월에 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은 평화 14개조를 발표, 민족자결주의를 내세웠고 이는 핍박받는 민족과 나라에게 큰 영향을 주었으며 3.1 운동에도 영향을 주었다. 하지만 다민족으로 이루어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등에게는 종전 후 분열을 가져오는 치명타가 되었다.

6.7. 전략적 공세의 실패와 재정비

당시 프랑스군 총사령관 로베르 니벨은 자신의 오만으로 다른 명장들의 우려와 반대를 모두 묵살하고, 독일군에 작전을 전부 알리는 실책을 범하며 전략적 승리가 목표인 대공세를 진행했으나, 당연히 대패하고 말았다. 이 때문에 프랑스군에서 약 120건의 항명 사태가 벌어졌고, 페탱이 급히 수습을 들어갔다. 독일군은 프랑스군에서 벌어지고 있는 사태와 그 규모를 상당히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이용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니벨 공세가 있었던 슈망데담 구역을 골라 몇달에 걸친 격렬한 공세를 퍼부었다. 독일군의 의도는 실제로 통했는데, 당시 프랑스군에서 발생한 항명이 하나의 예외도 없이 후방으로 교대해 휴식하던 부대가 참호로 돌아가게 된 순간에 발생했기 때문이다. 그 부대들이 충분히 휴식하지 못하고 자주 참호로 돌아가야 했던 것은 독일군의 공세가 원인이었다. 하지만 독일군도 짧은 기간 동안 급격히 발생한 사상자로 프랑스군과 동일한 사기 위기가 발생한 상태였기 때문에 프랑스군의 니벨 공세, 내년의 루덴도르프 공세처럼 전략적 승리가 목표인 공격작전은 당장 펼치기가 불가능했다.

프랑스군은 독일군의 공세를 막아내는 한편 승리를 통한 사기 회복과 새로운 전술 실험을 위한 세가지 공격작전을 실시했다. 작전의 책임은 검증된 야전군 사령관인 앙투안, 기요마, 메스트르에게 있었다. 프랑스군이 1917년의 나머지 기간 동안 벌인 공세는 전략적 승리를 포기하고 철저하게 전술적 승리만을 목표로 계획되었다. 이러한 작전 유형의 성공으로 프랑스군은 사기 회복과 검증된 새로운 전술이라는 귀중한 재료를 얻었고, 이를 통해 재정비에 성공했다.

한편 마케도니아 전선에서는 동방연합군 총사령관 모리스 사라이가 전략적 승리를 노리고 공격작전을 펼쳤다. 이 대공세는 니벨 공세와 비슷한 양상으로 흘러갔고, 동방연합군 구성군들 사이에서 사라이 해임 요구가 크게 높아졌다. 게다가 사라이의 후원자인 조제프 카요를 클레망소가 내통 혐의를 제기해 몰락시키면서 사라이의 정치적 입지가 붕괴했다. 그는 해임당해 프랑스로 소환되었고, 모든 직위를 잃어버리고 말았다.

프랑스는 마케도니아 전선의 구원투수로 제2차 베르됭 전투를 승리로 이끈 아돌프 기요마를 투입했다. 기요마는 사라이에게 지휘권을 인계받은 후 소규모 공격작전을 포함해 다양한 조치를 실시하여 마케도니아 전선의 상황을 안정시키고 재정비하는 데 성공했다.

6.8. 동맹국의 항복

파일:attachment/Ludendotf_offensive.jpg

1918년 3월, 연합해운의회 때문에 독일의 전략적 도박이 실패하여 경제가 한계에 다다른 진영은 동맹국 뿐이 되었고, 협상국은 용적 톤수 통합과 해운 합리화를 통해 자원과 미군 양쪽 모두를 수송할수 있는 배를 확보했다. 그래서 미군이 본격적으로 배치되기 전에 평화협상을 맺기 위하여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으로 전쟁이 종결된 동부전선에서 71개 사단에 달하는 병력들을 차출해 서부전선에 집결시킨 후, 마지막으로 동원할 수 있는 모든 자원을 쥐어짜 서부전선 최후의 공세인 루덴도르프 공세(다른 말로 춘계공세)를 펼쳤으나 심각한 피해를 입고 얼마 못 가 주저앉았다. 이후로 결국 미군도 본격적으로 전투에 참여하여 5월에는 미국이 독일을 상대로 한 첫 승리를 거두었다. 1918년 5월에는 루마니아 왕국부쿠레슈티 조약을 체결하여 항복을 받아내고 6월에는 피아베 강에서 이탈리아와 대치 중이던 오스트리아-헝가리가 이탈리아를 협상장으로 끌어내기 위해 마지막 여력을 쥐어짜 피아베강 전투를 감행했으나 사상자 수십만을 낸 채 실패하고 말았다.

결국 1918년 8월부터 미군은 하루에 만 명씩 프랑스로 들어오고, 미국 원정군 90~100만 명을 포함한 협상군은 바로 독일을 상대로 백일 공세를 펼쳐 엄청난 속도로 전선을 밀어내며 10월, 서부전선에서의 독일군 주요 방어선인 힌덴부르크 선을 붕괴시켰다. 비슷한 시기, 협상국의 대공세로 이탈리아 전선, 중동 전선, 마케도니아 전선 역시 마찬가지로 일제히 무너져 내리고 있었다.

9월 29일, 테살로니키 휴전 협정으로 불가리아 왕국이 가장 먼저 이탈했으며 10월 30일에는 무드로스 휴전 협정으로 오스만 제국이, 11월 3일에는 제국 내부 소수민족들의 이탈로 무너져내리고 있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빌라주스티 휴전 협정으로 항복했다. 10월 31일 혁명으로 이중제국의 해체를 선언한 헝가리 왕국은 빌라주스티 휴전 협정과는 별개로 11월 13일 베오그라드 휴전 협정으로 항복했다. 마지막까지 버티던 독일도 킬 군항의 반란을 시작으로 반정부운동이 다발적으로 일어난 11월 혁명으로 정부가 무너져 11월 11일콩피에뉴 휴전협정을 체결하면서 협상국에 항복했다. 빌헬름 2세네덜란드로 망명하고 독일은 공화국을 선포한 뒤 항복했다.

항복 직전의 독일은 전선의 병사들도 굶주림에 못 이겨 협상군 참호를 습격해 음식을 약탈해 오고, 후방의 민간인들은 루타바가 말고는 먹을 게 없을 정도로 굶주리고 있다가 마침내 전선과 후방에서 균열이 벌어지고 있었다. 즉 한 1년 정도는 더 버티더라도 패전을 면할 길은 전혀 없었다. 이는 독일이 군수와 식량에 균등한 비중을 둔 협상국과 달리 힌덴부르크 계획이라고 불리는 전시 계획경제에서 군수물자 생산에만 너무 치중해 식량 생산이 틀어진 것이 직접적인 원인이다. 독일은 프랑스와 마찬가지로 식량 수요를 수입보다 자급자족으로 채우는 국가였음에도, 1차대전이 시작되기도 전에 대지주를 보호하려는 정치권과 이에 불만을 품은 하층민들의 갈등으로 식량 위기가 이미 촉발된 상태였다. 전쟁 중엔 독일 관료들이 지역주의에 기반한 관행과 식량 운송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통제 정책에 실패해 위기를 부추겼다.

협상국은 해군력 덕분에 무역을 유지할 수 있어 경제 전쟁에서 큰 이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럼에도 협상국이 가진 이점이 독일의 무제한 잠수함 작전이 시작되자 미국의 참전으로 더욱 직접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파괴되기 직전까지 갔으나, 영국과 프랑스가 서로에 대한 적대감과 갈등을 딛고 협상을 통해 극복할 수 있었다. 협상국은 동맹국을 순수하게 야전에서 패배시킬 수 없었다. 따라서 협상국의 군사력이 악화되지 않도록 유지하면서 동맹국의 군사력만 악화시킨 후 야전에서 패배시켜야 했다. 이러한 대전략의 성공은 연합해운의회 덕분에 가능했다.

다만 독일은 항복하는 순간에도 프랑스 영토 안에서 서부전선을 유지하고 있었다. 자국 영토에 적군을 한 발짝도 들이지 않은 상태에서 패전을 맞자, 많은 독일 국민들은 분노하면서도 상황에 의심을 품어 일명 배후중상설이라는 도시전설이 폭넓게 퍼졌다. 이것이 후일 히틀러파시즘이 일어나는 한 가지 원인이 되었다.

6.9. 종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Map_Europe_1923-en.svg.png
제1차 세계 대전 이전과 이후의 지도 변화(붉은색 국경선이 이후)
1919년 6월에 우드로 윌슨민족자결주의를 반영한 베르사유 조약이 체결되었고, 생제르맹 조약, 트리아농 조약, 세브르 조약, 뇌이 조약이 체결되어 패전국들의 많은 영토가 민족별 나라로 나뉘어 독립한다.
  • 독일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협상국과 신생 독립국에 일부 영토를 할양하고 가지고 있던 식민지도 토해내야 했다. 독일의 호엔촐레른 가문과 오스트리아의 합스부르크 가문은 퇴위했고, 베틴 가문, 비텔스바흐 가문, 헤센 가문 등 독일의 다른 왕공가도 호엔촐레른 가문을 따라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오랜 시간 동안 중동의 패권자였던 오스만 제국도 사실상 멸망했다. 그러나, 이 헤센가문은 완전히 사라지지 않아서 나치와 강하게 유착했다. 특히, 독일은 제국은 망했지만, 영토가 조금 줄었을 뿐 베르사유의 굴레라는 큰 제약 말고는 이론적으로 가능한 역량은 유의미하게 줄지는 않았다. 하지만, 오스트리아는 가지고 있던 지역 중 오리지날 오스트리아 본토 독일어권의 일부만을 가지고 나머지를 전부 상실했다. 독일은 훗날 베르사유 체제를 전복하지만, 오스트리아가 생제르맹의 굴레를 절대 없앨 수 없던 이유다. 그리고 오스트리아, 국체가 나치에게 사라지기 직전까지 대공황에 시달렸다.
  • 미국: 영토의 변화가 없다. 대신에 미국은 엄청나게 빠른 경제 성장에 힘입어 이미 1차 대전 이전에도 세계 1위의 경제력을 가지고 있던 터에, 1차 대전 말기에 강력한 육군마저 구성하면서 실질적인 세계 최강대국의 반열에 올라서게 되었다. 참고로 대백색함대 항목에서 볼 수 있듯이 미해군은 1차 대전 이전에도 제법 강력했다. 뿐만 아니라 본국에서는 전혀 전쟁의 피해를 보지 않았고, 전쟁 기간 동안에 유럽의 가능한 모든 공업 능력이 무기 생산에 돌려지면서 미국의 산업계는 해외에 상품을 수출하며 전쟁 특수의 수혜를 톡톡히 보았다. 그러나 전후 처리 과정에서 미국이 유럽을 좌지우지하는 것을 원하지 않던 영국과 프랑스가 베르사유에서 미국을 교묘하게 따돌렸고,[29] 당시까지는 유럽을 중심으로 돌아가던 국제 외교에 첫 발을 내딛었던 미국의 우드로 윌슨 대통령이 너무 신사적으로 노회한 유럽 국가들을 대해준 나머지 자국의 지분만큼 목소리를 내지 못했다. 예를 들어 민족자결주의를 포함한 윌슨의 당초 주장이 그대로 관철되었다면 영국과 프랑스가 패전국으로부터 막대한 식민지를 흡수하는 일은 없었을 것이다.[30] 그리고 전쟁 말기부터 미국 내에 반전 여론이 거세지고 당시 야당인 공화당이 딴지를 걸자, 윌슨은 자신이 주창했던 세계 질서를 미국 내에서조차 인정받지 못하는 암울한 상황에 처했다. 전쟁 이후의 선거에서 공화당이 계속 정권을 가져가면서 미국은 전통적인 고립주의 정책으로 돌아섰고, 세계 최강대국의 군사·경제·외교적 책무를 방기하였다. 그 결과 미국에서 벌어진 대공황이 전세계를 덮치고, 나치의 발호를 미리 제압하지 못해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했다는 국내외적 비난을 받았다.
  • 프랑스, 영국: 식민지를 더 가지게 되었다. 예를 들어 아프리카의 독일 식민지였던 나미비아, 토고, 탄자니아 등. 그리고 알자스-로렌 같은 영토를 일부 할양받았고 막대한 배상금을 얻었다. 다른 한편으로 1882년부터 영국의 보호령, 사실상 식민지였던 이집트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노동력과 자원이 징발당하고 여기에 현지 이집트인들이 분노한 것을 계기로 민족주의 운동이 힘을 얻었다고 한다. (피터 심킨스 et al, 모든 전쟁을 끝내기 위한 전쟁, 플래닛미디어, 2008, pp.660~661). 인도 역시 노동력과 자원의 징발, 그리고 중동에서 인도 병력이 거둔 승리, 결정적으로 남아공에서 돌아온 간디의 영향으로 전후 영국이 자치권 보장 약속을 어겼음에도 민족주의 운동이 큰 힘을 얻었다. 하지만 승전했을 뿐, 대전쟁보다 확실히 약화되어 초강대국이던 영국은 강대국이 되었다. 이 맥락에서 전후 평화 체제들이 여럿 등장한다. 로카르노 평화 조약, 부전조약, 스트레사 체제 등. 하지만 로카르노 조약은 애초에 자신들의 관여지인 서부 지역 국경만의 현상 유지라서 독일에게 명분을 주었고, 부전조약, 즉 프랑스 아리스티드 브리앙과 미국의 켈로그의 조약은 매우 큰 의미를 지녔지만, 애초에 로카르노의 한계 때문에 힘을 잃었다. 그리고, 마지막인 소협상국 체제는 체코와 폴란드가 명목상으로만 끼었고, 이들마저도 최종적으로 폴란드가 체코를 같이 잡아먹으면서 완전히 끝나지만, 애초에 영국과 독일의 해군 협정을 계기로 사라진다. 그리고, 이때 폴란드, 소협상국의 완전 붕괴에 쐐기를 박았는데, 이 시점의 폴란드는 잠시 앙숙 관계를 뒤로 빼두고 독일과 불가침조약을 맺은 준동맹국이었다. 이때문에 프랑스는 폴란드가 훗날 추축국이 되는 게 아닌지 의심했다.
  • 세르비아: 헝가리 왕국으로부터 세르비아인 다수 거주 지역인 보이보디나 자치주를 뜯었으며 크로아티아인슬로베니아인의 합류로 유고슬라비아 왕국을 건국했다. 그러나, 애초에 원래 오스트리아의 일부나 마찬가지인 슬로베니아와, 세르비아와 철천지원수였던 크로아티아는 마지막까지도 제국 잔류를 원했다. 심지어 체코와 슬로바키아가 이미 떨어져 나가기로 결정한 상황에서도 이렇다. 그리고, 이 체코와 슬로바키아 안에서도 명목상의 오스트리아 봉신국으로 남아야 이후 새질서의 풍랑에서 체코슬로바키아가 버틸 수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때문에 이 상황에 더해 세르비아의 세르비아계 민족주의 정책 강화로 나라 역량이 망가지면서, 일단 추축국에 들어가지만, 그것이 무위가 되면서 분노한 히틀러에 의해 멸망한다.
  • 그리스 왕국: 불가리아 왕국의 영토 일부를 얻었다. 대전쟁까지도 불가리아령리던 트라키아의 동부 일대를 말한다. 그러나, 그리스는 이후 국체가 계속 바뀌는 불안정에다가 경제 위기를 동시에 맞고, 메탁사스가 유사 파시스트로서 집권한다.
  • 벨기에: 독일의 오이펜-말메디 지역을 얻었다. 이후 요새를 건설하고 프랑스와 붙지만, 프랑스와의 동맹을 스스로 파기하는 자충수를 두면서 나치의 침략을 받는다.
  • 루마니아 왕국: 전 국토가 동맹국에게 유린당하고 동맹국에 항복하는 치욕을 겪었으나 전쟁이 협상국의 승리로 끝나자 오스트리아로부터 부코비나, 헝가리로부터 트란실바니아, 불가리아로부터 남도브루자를 빼앗았고 여기에 러시아 제국이 통치하던 베사라비아(부자크 포함)까지 추가로 획득하여 영토가 엄청나게 불어났다. 이게 루마니아 역사상 최대 판도다. 하지만 이후 파시즘이 급부상하는 것을 거쳐서 완전히 경도되나, 국왕이 지도부를 사살한 것을 계기로 유사 파시즘 왕국 형태로 변한다.
  • 일본: 제1차 대전 기간 동안에 유럽의 공업 능력이 군수 산업에 돌려진 틈을 타서 일본의 소비재 공산품이 세계를 휩쓸며 엄청난 경제 호황을 누렸고, 칭다오를 비롯한 독일의 아시아, 오세아니아 식민지 및 중국의 이권들을 조금 획득했다. 하지만 역대급 호황이 만든 버블이 1920년대 중후반에 꺼지며 쇼와공황을 발생시켰고, 바로 뒤이어 전세계를 휩쓴 미국발 대공황까지 덮치면서 긴 불황을 겪었다. 이런 상황에서 군이 모든 것을 다스리는 군국주의가 대두했다. 세 파벌[31]로 나뉘어서 서로 싸우다가, 황도파가 자멸하면서 확실해진다. 그러나, 통제파 시대에도 육해군은 사실상의 내전을 벌였다. 이것 때문에 히로히토가 반쯤 꼭두각시가 되는 거다. 일본 사람들의 뇌리에는 예전에도 국내에 풀기 힘든 경제·사회 문제가 발생할 때마다 청일전쟁, 러일전쟁, 1차 대전 참전 등으로 이를 극복하고 발전했던 기억이 있었기 때문에, 나라가 힘들어지자 일본인들은 군부의 강력한 리더쉽에 순종하는 것을 어쩌면 당연하게 생각했고, 군부의 횡포를 저지할만한 브레이크가 없어진 일본의 역사는 이후 태평양 전쟁과 패망으로 이어지게 된다.
  • 체코슬로바키아 : 전쟁 중반까지도 계속 제국 잔류를 주장했으나, 그것이 무의미해지자 독립한다. 하지만, 그 안에서도 기존 합스부르크의 오스트리아-헝가리처럼 명목상으로는 봉신국으로 남아야 한다고 주장한 정치인들도 많았다. 실제로 신생 체코슬로바키아의 국부 중 하나인 마샤리크가 이 계열이다. 하지만, 협상국은 이것이 축소된 합스부르크와 매한가지이기 때문에 용납하지 않았다. 그리고, 마샤리크의 이 우려, 훗날 아주 제대로 들어맞는다. 그래서, 일단 분리되는데, 독일계 오스트리아 공화국이 당연히 독일권 지역 주데텐란트를 자국 영토로 천명하고, 당시는 마샤리크의 영향력이 강해서 남부의 부데요비체를 양도하는 방안으로 관계가 진행되는 것도 검토되었지만, 끝내 협상국은 이마저도 용납하지 않았다. 만일, 이렇게라도 갔더라면 체제는 달라도 합스부르크의 축소판 연장선이라서, 이후 협상국이 점점 힘을 잃어가기 때문에 나치의 대두가 분명해지는 시점에서 다시 합쳐졌을 거다. (슬로바키아는 불가능. 애초에 헝가리가 시도할게 뻔하다.) 그러면 기존 옛 제국의 산업력을 거의 그대로 가진 상태로 협상국과 연계에 나치를 막고, 더 빨리 원래 정권/심지어는 독일 제국을 민주적 형태로 빌헬름 3세를 옹립하는 것도 가능했을 것이다. 하지만, 이 가능성을 당장의 적개심으로 차단한 협상국은 명백한 실책이다. 처칠이 뒤늦게 이것을 깨달아 합스부르크 황제국을 일부나마 부활시켜 보려 하지만, 그때는 미소가 너무 강해서 불가능했다. 그래도, 어찌어찌 영국의 지분을 인정해 민주적 형태로 가는 것에 미국이 동의했더라면, 가장 늦게 공산화되는 체코는 이를 막기 위해 합스부르크에 다시 붙었을 거고, 이러면 티토의 성향상 오스트리아와 연대하기 뒤해 슬로베니아의 마르부르크가 아닌 서부 지역(슬로베니아에게 붙어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공화국에 귀속된 이스트리아 반도 부분) 을 되돌려면 오스트리아가 내륙국 신세를 드디어 벗어날 수 있어서 받아줄 가능성도 있지만, 이것 또한 실패해버린다.
  • 스페인 왕국 : 참전국은 아니나, 종전 이후에 악화된 혼란을 무리하게 리프 전쟁을 일으켜 해결하려다가, 프랑스의 개입으로 겨우 성공했다. 이후 국왕인 알폰소 13세는 책임 회피를 위해 장군 하나를 임명하여 군사 독재를 허용하는데, 이 사람의 아들이 스페인 내전 당시 팔랑헤 우두머리다. 즉, 알폰소 13세는 스페인 내전의 원인을 직접 제공했다.
  • 포르투갈 : 1910년에 오랜 전통인 브리간사-오를레앙 왕조를 전복하였기에 그 영향으로 아주 불안정한 정치 체제가 이어졌다. 결국 파시즘 세력이 대두하지만, 정권을 차지하는 살라자르는 이들과 연합했다가, 다시 팽하면서 느슨하고 온건한 유사 파시즘 독재 체제를 만든다.
  • 브라질 : 옛 종주국이자, 당시 명목상의 종주국인 포르투갈의 영향으로, 같은 방식의 같은 체제를 내세우며 바르가스의 체제가 등장했다.

우드로 윌슨은 '평화 원칙'을 내세우며 베르사유 조약 1조에 국제연맹의 창설에 관한 조항을 넣었고, 1920년 1월 런던에서 첫 국제연맹 회의가 개최되어 제1차 세계 대전이 공식적으로 종결되었다.

7. 피해

파일:제1차 세계 대전 사망자수 및 지출비용.png
제1차 세계 대전의 사망자 수 및 지출비용[32]
파일:2db4ba228524d759e5927e31f2752ebb561a04e6.jpg
1914년과 1934년의 프랑스 인구구조 변화[33]

제1차 세계 대전은 전사자 900만 명, 민간인 사망자 600만 명, 부상자 2700만 명, 불구자 600만 명, 미망인 400만 명, 고아 800만 명을 남겼다. 이런 인명 피해는 당연히 성비 불균형, 한 세대의 상실 등 사회 불안을 초래했다.

독일 제국군은 최소 180만 8545명의 전사자, 424만 7143명의 부상자가 발생했으며 프랑스군은 약 500만의 사상자가 나왔고, 그 중 138만 5300명이 전사 및 실종자였다. 영국군은 사상자가 322만 9701명이었고, 그 중 94만 7023명이 전사 및 실종자였다. 미군은 32만 5867명의 사상자가 나왔고 전사자는 11만 5660명이었다.

러시아 제국군은 자료에 따라 다양한 추측이 존재하는데 한 집계에 따르면 340만 9433명이 포로로 잡히고 22만 8838명이 실종됐다고 한다. 전사자 100명당 러시아군은 251명이 포로로 되거나 실종자라는 것인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은 150명, 이탈리아 왕국군은 92명, 독일군은 65명, 프랑스군은 46명, 영국군은 영국 식민지 출신 병사를 포함해 21명이라고 한다. 러시아 군인들이 타 국가에 비해 포로가 되는 상황이 많았거나 쉽게 항복한 것으로 보인다고 한다. 그런데 여기서 반전은 러시아군 전사자가 독일군 다음으로 많다는 것이다. 당연히 러시아 전선에서 독일군이 입은 피해가 러시아군보다 압도적으로 적을 리는 없다. 독일군이 정말 잘 싸운 셈이다. 이런 상황이 가능했던 건 독일이 가진 식민지가 적어서 자국 개발과 인재육성에 경제력을 올인하여 중등교육 이상을 받은 인력의 비중이 러시아나 프랑스는 물론 영국보다도 높았기 때문이다.

그 외에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은 120만 명, 오스만 제국군은 77만 2천 명, 이탈리아군은 65만 1천 명, 루마니아군은 33만 5천 명, 세르비아군은 27만 5천 명, 벨기에군과 불가리아군은 8만 8천 명, 그리스군은 2만 6천 명, 포르투갈군은 7천 명, 몬테네그로군은 3천 명, 일본군은 1천 명이 전사했다.

경제적으로도 피해가 컸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참전국들의 경제적 상황은 크게 악화되었다. 군비를 세금, 금 매매와 차용금으로 마련했기 때문에 참전국들의 국가채무는 굉장한 수준에 이르렀다. 유럽 각국에서 평균 350%에 이르는 인플레이션을 겪었고, 가장 문제가 심각했던 독일 바이마르 정부의 마르크는 3년 만에 1억 배 오르는 등 휴지조각으로 전락해버렸다. 그때까지 가장 큰 부채를 안았던 미국만이 모든 부채를 해소하고 제일의 대금국가가 되었다.

8. 영향

"20세기는 1914년에 시작되었다."
에릭 홉스봄
홉스봄의 표현처럼 사실상 20세기의 모든 것이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비롯되었다고 봐도 틀린 말이 아니다. 특히 주 전장이었던 유럽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과 함께 세력구도의 대격변을 일으킨 사건으로, 급진적인 학자들은 유럽사에 한해 현대의 시작을 제1차 세계 대전의 종전 이후로 정의하는 의견이 제안될 정도다. 유럽에서의 세력구도 재편은 아직 제국주의의 영향이 가시지 않았던 타 대륙권의 식민지나 열강들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쳤을 정도로 제1차 세계 대전은 인류 역사의 흐름을 바꾸었다.

여기에 또 다른 문명의 발달인 국가 관리 체계의 발달과 민족주의에 의거한 국가 총력전으로의 변화는 이전보다 효율적으로 대량의 인원을 동원할 수 있게 되었지만, 이는 앞서의 요인 등으로 도리어 인적 손실을 극대화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8.1. 인문학적

인문학적으로도 중요한 시기였는데 (식민지 지역 같은) 야만에서 벗어난 문명국을 자처하던 유럽이 그 어떤 야만인들보다 더 끔찍한 전쟁을 벌였던 것에 대해서 그들 스스로 엄청난 충격을 받았기 때문이다. 산업 혁명 이후 급속도로 발전하는 문명이 모든 것을 해결해 줄 것으로 낙관하던 분위기는 문명의 이기들을 이용해 서로 죽고 죽이는 전쟁을 통해 박살이 나고 만다. 낭만적인 생각을 가지고 전쟁에 자원하던 유럽의 젊은이들을 기다리고 있던 것은 생지옥이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이후로 유럽 문화는 상당 부분 비관적이고 염세적인 분위기가 흐른다. 다만 유럽도 모든 면에서 화려하거나 낭만적인 문화가 지속되지 않았던 것은 아니며, 상흔이 가시면서 다시금 지속된다. 게다가 민간 피해가 없다시피했던 미국이나 일본에서는 경제적 호황과 더불어 한층 더 낭만적인 문화가 지속되었다. 미국에선 프랑스에서 들어온 아르데코 양식이 발달하고 플래퍼가 출현하는 등 과시적인 사교 문화가 발달했으며 일본에서는 유럽에 대한 수출량이 늘고 대중국무역 등을 독점하여 나리킨이라 불리는 신흥 부자들이 출현하여 유럽에서 미술품을 긁어모으기도 했다. 또한 사회적 분위기도 자유로워져 다이쇼 데모크라시 같은 민권운동이 발달했다. 이러한 것들 대부분이 세계 대공황이 터지면서 수그러들긴 했지만.

염전(厭戰)사상 확산에도 일조했다. 까놓고 전근대시대 유럽의 전쟁은 이전까지가 그랬듯 특정계급들간의 제한적인 동원으로 이루어진 전쟁이었고, 전쟁의 프로들인 정규군과 용병들로 구성된 전사들의 영웅주의적 색채로 미화되어있었다. 하지만 나폴레옹시대 프랑스를 시작으로 점점 전쟁을 전문으로 하던 전사계급이 아닌 시민이 총을 들고 나서는 총력전의 개념이 도입된 이후에 각국 역시 열강들끼리 온 국토를 쥐어짠 총력전을 한 것은 처음이라 각국 수반들도 전쟁을 지금보다는 훨씬 가볍게 여기고 있었다.

하지만, 이때의 전쟁은 이전과 달랐다. 전사들만 싸우는 게 아닌 시민들이 무기를 들고 싸웠기에 군기확립이나 군인 통제가 어려웠고, 그동안 자신들이 칭하길 야만인이었던 식민지의 저항세력에게 쏟아붓던 제국주의 열강의 필살기였던 기관총과 야포의 총구멍이 자기를 향하게 된 최초의 전쟁이었다. 이렇게 자국 시민을 상대 기관총과 야포에 총알받이로 던지는 참담한 전쟁을 마주하기 시작했음에도 정치가들과 높으신 분들은 전쟁을 멈출 수 없었고, 피해는 엄청나서 그 이전과는 달리 전쟁을 벌였다가는 잃을 것이, 설사 이긴다고 가정해도 그 이후 따를 보상보다 훨씬 클 수도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실제로 제1차 세계 대전은 거의 모두가 예견하고 있었음에도 적극적으로 막으려 들지 않았다. 제1차 세계 대전의 악몽과 피해를 겪고는 제2차 세계 대전 직전에 연합국의 일원들이 필사적으로 전쟁을 피하려고 했던 것과 사뭇 대조된다.

제1차 세계 대전의 가공할 피해는 대전 직후 대부분의 국가에서 염전 사상을 확대시켰다. 전쟁에 대한 가공할 공포는 열강들에게 더 이상의 제1차 세계 대전과 같은 재앙이 일어나서는 안 된다는 생각을 품게 만들었다. 이 염전 풍조는 유럽 사상 유례없는 군비축소 조약과 부전조약을 체결하는 계기가 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직전 영-불의 독일에 대한 소극적, 유화적 외교시책의 원인이 되었다. 그 제1차 세계 대전 때 처절한 참호전에서 살아남은 사람들이 제2차 세계 대전 때 가장 강력한 유권자 세력이 되었고, 그들의 자녀들에게 참호전을 시킬지 모를 상황이었으니까. 이 염전의 풍조가 지금 생각하면 제2차 세계 대전이 그 지경으로 가는 데까지 방조한 하나의 원인이 되었다는 것을 떠올리면 슬픈 아이러니. 당대의 이러한 염전 풍조 확산은 그 시대의 사람들로 하여금 제1차 세계 대전이 모든 전쟁을 끝내기 위한 전쟁(La Der des Ders)이었다고 평가하게 했다.

1914년까지 세계를 식민지화하고 통치했던 유럽은 미국 등 다른 대륙의 국가들에 의존해 재건에 집중해야 했다. 오스발트 슈펭글러의 "서양의 몰락"에서 엿볼 수 있듯이, 지금까지 스스로를 세계 문명의 주축이라 여기고 미래를 낙관했던 유럽 국가들에 전체적인 비관이 그림자를 드리운다. 이런 시체의 산을 손쉽게 쌓아올리는 지옥도 같은 전쟁 양상은 이전 과학 기술이 평화로운 풍경 하에 발전하던 시절에 품었던 벨 에포크적인 과학과 이성으로 가득 찬 희망차고 밝은 미래상의 붕괴를 불러오고 그 과학이 미치광이 같은 전쟁 상황에 동조하고 도리어 더 악화시켰다는 점에서 과학에 대한 회의주의적 시각을 불러오게 되었다. 반면에 당시의 미흡한 군사 기술에 대한 연구는 어마어마하게 발전했으며 이후 이어지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말의 낙관마저 꺾이게 된다.

8.2. 군사적

군사적으로는 승자와 패자에게 완전히 다른 영향을 미쳐 제2차 세계 대전 초기 전황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승자인 프랑스군은 1917년 말부터 참호전이 끝났다고 결론내리고 1918년에 기계화된 기동전 교리를 완성했으며, 1919년엔 약 5000대의 전차를 동원해 중전차로 돌파구를 연 후 날아다니는 포병인 공군에게 화력지원을 받는 중형전차로 지휘소를 휩쓸며 종심으로 깊이 진출하는 작전계획을 세우고 있었다. 종전 직후 프랑스군이 결론내린 미래전의 양상은 '결정적 전투가 일어날 특정 지점으로 기계화보병과 전차를 빠르게 집중 배치'하는 것이었다. 페르디낭 포슈와 에드몽 뷔아가 참모총장이었던 전간기 초엔 이러한 개념이 유지되었고 작계 또한 전쟁이 발발하는 즉시 트럭과 전차로 무장한 기계화 기동부대가 독일 영토로 쇄도하는 것이었으며, 포슈는 방어를 원하는 입장에서 보더라도 라인강을 공짜 요새선으로 삼으면 그만이므로 일단 공격부터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프랑스의 정치적 혼란과 대중의 요구가 프랑스군을 흔들기 시작했다. 여기에 나이 많은 장군들이 하나둘 은퇴하기 시작하며 기동전 지지자가 점차 사라지기 시작했고, 몇가지 잘못된 전훈 분석까지 겹쳐 프랑스군의 군사사상이 점점 보불전쟁 시절로 50~60년이나 역행하기 시작했다. 결국 대공황이 결정타가 되어 1차대전 교리가 폐기되는 군사학적 대참사가 일어나고 만다.

프랑스군이 점차 방어적으로 퇴화하는 분위기에서 에드몽 뷔아의 후임 참모총장이자 필리프 페탱의 참모장이었던 외젠 드브네가 마지노선을 건설하기에 이른다. 그가 마지노선을 건설하며 제시한 핵심 개념은 프랑스군이 병력의 절용을 달성하도록 도움과 동시에 독일군이 어쩔 수 없이 벨기에로 우회해 기동하게 만든 다음 대기동을 통해 격파하는 것이다. 이에 성공했더라면 마지노선을 건설한 목적을 달성했다고 평가받았을 것이다. 그러나 그걸 감안하더라도 상대방에게 주도권을 무료로 넘기겠다는 개념은 상대방보다 공격작전을 빠르게 수립하고 실행하길 반복해 주도권을 유지하는 프랑스군의 1차대전 교리보다 명백히 열등하다. 게다가 마지노선은 방어적으로 변한 프랑스군과 부정적인 시너지를 내고 말았다. 심지어 병력의 절용조차 마지노선으로 달성할 수 있었던 최선의 수준으로 하지 않았다.

결국 전쟁에서 승리했으나 1차대전 교리를 자기 손으로 파괴하여 과거와 단절되어버린 프랑스군은 패배를 교훈 삼아 1차대전 교리를 유지하여 프로이센 전통을 지킨 독일군에게 참패하고 만다.

한편 동아시아일본군에선 공격만능주의적 사고방식을 여전히 유지하는 이들이 있었다. 청일전쟁, 러일전쟁 때나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칭다오 전투에서 일본군의 전투 교리는 공격만능사상식 돌격이 아니었으며 포격이 주축이었다. 우리가 흔히 아는 정신력만 강조하는 교리가 일본군을 지배하게 되는 것은 1920년대를 넘어서인데, 이러한 교리의 성립은 러일전쟁 당시 독일식 화력전에 입각한 포격이 당시의 기술 부족에 의해 영 시원치 않았던 경험과 제1차 세계 대전의 타넨베르크 전투와 총력전 양상이 큰 영향을 주었다. 당시 일본의 산업능력으로는 1일당 수십만 발을 쏟아붓는 서구 선진국의 "사치스러운" 전투를 따라간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고선 "그러므로 우리는 우리 식의 전투를 지향해야 한다"라는 단순한 결론으로 이른 것이다. 참고로 러일전쟁을 분석한 유럽 군대들은 공통적으로 '포병이 우선이다.'라는 결론을 내놨지만, 정작 장본인인 일본은 '정신력만 있으면 된다.'라는 엇나간 결론을 내놨다.

본격적인 위장 개념이 탄생한 전쟁이기도 하다. 이전까지는 경험으로 위장의 중요성을 알게 된 군인들이 개인적으로 자신의 군복을 검게 만드는 식이었으나, 제1차 세계 대전부터 국가적으로 위장에 신경쓰기 시작했다. 우선 전쟁이 일어날 무렵부터 이미 각 국가의 군복은 어두운 색이었으나 충분치 않았고, 여러 색이 쓰인 위장 무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것의 선구자는 프랑스로, 화가들을 대량으로 징집해 손으로 페인트를 칠해 전차나 군복 등에 위장무늬를 그리게 했으며 카모플레라는 단어가 만들어졌다. 전쟁 초기엔 퇴역절차에 있던 구형 군복의 짙은 파란색과 붉은 바지 때문에 시인성이 높았고, 이 때문에 이후 채도가 낮은 호라이즌 블루 군복을 입게 된다. 위장용 모형이나 위장망이 등장한 것도 이 시기다. 프랑스에서 등장했던 입체파가 위장 개념에 영향을 주었는데, 집단군 사령관 카스텔노가 개인적인 친분이 있던 입체파 화가의 연줄을 통해 프랑스 입체파 화가들을 전선에 불러와 위장 개념을 군에 퍼트렸다. 대량생산되는 제식 위장 군복은 제2차 세계 대전 후반에 나왔다. 한편 영국과 미국은 독일의 잠수함으로부터의 공격을 피하기 위해 고심했으며, 노먼 윌킨슨이라는 저명한 해양 화가의 제안에 따라 다즐 카모플라주(dazzle camouflage)라는 독특한 패턴을 배에 칠하기 시작해 큰 효과를 보았다. 이 위장은 배 자체를 감추는 것은 아니고, 배의 진행 방향이나 속도를 알기 어렵게 만들어 어뢰를 제대로 조준하지 못하게 하는 효과를 노린 것이었다. 이 것에도 역시 입체파의 작품들이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이 위장의 도색은 주로 여성들로 이루어진 도색 전문 부대가 도맡았다고 한다.

그리고 오랫동안 전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오던 기병의 급격한 쇠퇴가 시작된 시점도 제1차 세계 대전이다. 여러 전선에서 기병은 여전히 매우 중요한 병과였다. 특히 기병에게 유리한 전장인 동부전선에서도 싸운 독일군은 수십만의 기병대를 운용했다. 마케도니아 전선에선 참호전이 끝나고 기동전이 시작되자 프랑스 동방군 기병집단이 압도적인 기동력으로 동맹군 수만명을 포위하여 불가리아를 2주만에 항복시켰다. 시나이 팔레스타인 전역에선 영국 사막기마집단이 오스만군을 상대로 훗날 소련군의 종심돌파이론에 영향을 주는 기동을 선보였다. 하지만 기병이 활약할 여지가 가장 적었던 서부전선에선 공격에서 장갑차와 항공기가 기병의 전통적인 역할을 전부 더 잘 수행하여 기병의 쇠퇴를 알렸다. 방어에선 기병이 특유의 기동력으로 활약하긴 했으나, 프랑스군이 보병을 차량화하기 시작하여 기동력 빠른 보병으로서 기병이 가진 역할마저 대체되기 시작했다. 그래도 제2차 세계 대전 때까지는 동부전선 한정으로 기병이 전차와 기계화보병보다 기동력이 우수한 상황이 많아 기병군단이 전차군단, 기계화군단과 더불어 소련군의 주력 기동부대로 활약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로는 기술력의 발전으로 기병의 기동력이 더 우수해지는 조건이 아예 사라져 기병이 완전히 쇠퇴하였다.

전쟁 동안 서부전선참호전을 타개하기 위해 숱한 신병기와 전술이 개발되었다. 현재까지 사용되는 거의 모든 보병전술의 기초가 이 시기에 확립되었다. 전쟁이 시작되던 1914년에는 어느 군대에서든 오직 기병만이 철모를 썼으나 점차 너나할 것 없이 보병용 철모를 채택하기 시작한다. 그 전까지의 보병용 헬멧은 그냥 천으로 만든 모자였거나 가죽제가 대부분이었다. 독일의 유명한 피켈하우베도 1916년에 슈탈헬름으로 바뀌었다. 독일은 1915년 4월부터 시작된 2차 이프르 전투에서 살상용 독가스를 처음으로 대규모로 사용해 효과를 봤다. 독일은 동부전선의 볼리모프(Bolimov)전투에서 먼저 썼었으나 강추위로 인해 실패했었다. 독일은 1916년 6월, 참호전이 시작되자마자 실험적으로 운용하며 노하우를 쌓던 화염방사기를 처음으로 대규모 배치했다. 영국은 전차를 발명해 마크 1이 솜전투가 펼쳐지던 1916년 9월에 실전 투입되었다. 프랑스에선 우연의 일치로 영국과 똑같은 시기에 중형전차 개발을 시작했고 전쟁 후기에는 세계 최초의 경전차인 르노 FT를 만들었다. 전쟁 최후기에는 A7V 슈투름판처바겐그로스캄프바겐이라는 물건이 독일에서 만들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신병기들로도 참호전의 양상을 궁극적으로 타개하지는 못했다. 독가스는 사용조건에 제한이 있는 데다 화학전 방호장비가 보급되면서 효력이 감소했고, 전차는 가장 획기적인 발명이었으나 초기 전차는 성능이 부족한 데다 전차 운용에 대한 노하우가 없어서 주먹구구식으로 운영하는 바람에 참호전을 궁극적으로 타개하는 데는 실패했다. 실제로 프랑스군은 중형전차를 집중운용되는 공격 선봉대로 쓰기 위해 개발했으나, 이러한 방식으로 운용된 적은 결국 전쟁 내내 3번 밖에 없었고 경전차는 보병직접지원용 움직이는 토치카처럼 운용되었다.

파일:attachment/b02209_3-small.jpg
항공기의 군사적 활용의 발전도 두드러진다. 전쟁 초에는 단순히 정찰, 그리고 상대 국민에 대한 테러 목적으로 미미한 폭격이 있었으며, 비행선을 이용한 폭격이 시도되기도 하지만, 공랭식 기관총과 동조식 발사장치를 개발하여 기관총 한두 정을 장착한 빠르고 민첩한 전투기가 상대의 기구, 비행선, 정찰기를 격추시켰다. 그리하여 폭격용 비행선은 빠르게 사라지고 보다 빠르고 크기 대비 폭장효율이 좋은 대형 폭격기가 등장하여 상대국의 도시를 노렸다. 참호전에서 포병의 역할이 매우 중요했던 것만큼, 포병의 정확한 사격을 유도해주는 항공 정찰의 가치도 매우 높았고, 덕분에 전쟁 초중반부터 제공권을 잡는 쪽이 유리해졌다. 이런 상황에서 계속 상대보다 우수한 비행기를 개발하다보니 전쟁 후반에 들어서면 장거리 폭격기까지 등장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에 따라 자국 방공망 구축보다 효율적인 항공기 운용을 위해 1918년부터 영국 공군이 세계 최초로 결성되었고 전간기에 다른 군대들도 이를 따르기 시작한다. 최초의 항공단은 춘계 공세 중 프랑스군에서 조직되었는데, 이는 당대에 가장 수준 높은 교리였다. 대전 말 전략폭격의 이론을 영국의 트렌차트, 미국의 미첼, 이탈리아의 두헤가 서서히 틀을 잡았다. 특히 미첼의 이론에 동조한 헨리 아놀드를 대표로한 육군 항공대 장교들을 시작으로 헤이우드 한셀, 석기시대 매니아 커티스 르메이 등 훗날 제2차 세계 대전 때 전략폭격으로 맹활약한 폭격기 마피아를 이루게 된다.

8.3. 사회적

남성들이 전선에서 싸우자, 그 자리를 자연스럽게 여성들이 대신하게 되었다. 프랑스 여성들은 전선에 나간 남성들을 대신해 공업 및 상업에서 활약했다고 한다. 1915년 10월에는 탄약공장에서 일하는 여성이 7만 5천 명에 달했다고 한다.[A]

영국은 1915년 중반까지 자선, 복지에 여성 노동자들이 투입됐다고 한다.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가 탄약성을 설립한 후 1916년 7월에는 여성 노동자 수가 52만 명으로 증가했다고 한다. [A] 1918년 7월 영국에서 노동자로 일하는 여성은 731만 명 이상이었다고 한다. 탄약 생산 공장에서 일하는 94만 7천 명은 전체 탄약 생산 노동자의 90%에 달했다고 한다. 교통 11만 7천 명과 농업 22만 8천 명의 노동자도 여성이었다고 한다.

이들 중 다수는 1917년 창설된 여군(Women's land Army)의 일원이었다고 한다. 1917년 7월 창설된 여성보조부대[36]의 뒤를 이어 11월에 왕립해군여성부대 창설, 1918년에 왕립공군여성부대를 창설했다고 한다. 1918년 2월 국민투표법이 통과해 30세 이상 여성들에게 투표권을 부여했다고 한다.[A]

군주정을 끝낸 전쟁이라고도 하는데, 이미 제1차 세계 대전이 터지기 전에 유럽 바깥의 나라들의 군주정은 식민지배[38]나 내부 소요[39]로 무너지고 있었다. 유럽의 군주정들도 그나마 건재하긴 했으나 1870년 프랑스 제정 폐지와 1910년 포르투갈 왕정 폐지로 불안한 조짐이 있었다. 이 전쟁으로 인해 러시아 제국, 독일 제국, 오스만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등 4개의 제국이 망해 버리고 잠시 세워졌던 핀란드 왕국이나 독일 제국 내부의 수많은 제후국들의 왕정이 폐지되고 10여 개의 신생 공화국이 제국의 폐허 위에 세워지면서 20세기 왕정의 몰락의 신호탄을 울린 전쟁이기도 하다. 이후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이탈리아, 유고슬라비아, 루마니아, 불가리아, 헝가리, 알바니아의 왕정도 폐지되어 버림으로 유럽의 왕정은 서, 북유럽 지역의 일부 국가(영국, 네덜란드, 벨기에,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 리히텐슈타인, 룩셈부르크, 모나코, 안도라, 스페인)를 제외하곤 무너진다. 스페인은 1930년대 왕정이 무너졌다가 스페인 내전 이후로 집권한 프란시스코 프랑코가 왕정을 부활시켰다. 헝가리도 왕정이 무너졌다가 호르티 미클로시에 의해 복고되었으나 호르티도 초기의 프랑코처럼 왕 없는 왕국을 유지하다가 공산화로 폐지됐다. 그리스 왕정도 1920년대에 무너졌다가 요안니스 메탁사스가 부활시켰지만 1973년 요르요스 파파도풀로스가 도로 폐지했다.

말단 시민들만 병사로서 죽은 게 아니라, 양심적이고 지성을 갖추었던 젊은 세대의 20~30대 엘리트(특히 프랑스)와 귀족 세력 역시 굉장히 큰 희생을 치렀다. 잘난 만큼 모범을 보여야 한다는 교육을 철저하게 받았기에 능력 여하를 불문하고 누가 시키지 않아도 앞장서서 전장에 나갔던 것이다. 그리고 다수가 살아 돌아오지 못했으며, 살아 돌아온 사람들도 상당수가 육체적이든 정신적이든 멀쩡하게 돌아올 수가 없었다. 훗날 영국 총리가 되는 해럴드 맥밀런은 이 시기 입은 부상으로 평생 장애와 함께해야 했으며, 명문대인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옥스퍼드 대학교의 전사자 비율이 엄청나게 높았다고 한다. 대학교를 방문하면 칼리지마다 출신 사망자들의 이름을 돌에 새겨 기리고 있다. 당시 귀족을 제외한 다른 모든 사회계층의 참전자수 대비 전사자수 비율은 8:1이었는데 귀족층은 5:1이었다. 다섯 명 중 한 명은 돌아오지 못한 것이다.참고 대부분의 젊은 엘리트와 귀족들이 공격의 선두에 서야 할 초급 장교로 복무했기에 이는 사실 필연적인 결과다. 이 시대를 봐도 후대인 제2차 세계 대전을 봐도 선두에 서야 하는 초급 장교의 전사율은 일반 말단병보다도 훨씬 높다! 특히나 노블리스 오블리제 정신이 강했던 만큼 영국의 경우는 참전을 하지 않은 건장한 남성등, 특히 엘리트 가문들에게는 여자들이 겁쟁이의 표식인 하얀 깃털주면서 조롱했다.[40] 러디어드 키플링의 아들 경우 시력의 문제로 신체검사에서 탈락을 했으나 아버지의 빽을 써서 장교로 참전했지만 결국 전사한다.

또한 이로 인해 진정한 귀족계층 역시 몰락했다. 프랑스 혁명으로 구체제가 몰락했다고 알려져 있으나, 혁명가들이 귀족들을 증오해서 혁명을 한 게 아니라 앙시앵 레짐의 폐지를 요구한 것이기 때문에 자코뱅당의 공포정치기를 제외하면 귀족들에게서 빼앗은 건 특권과 부당하게 모은 재산뿐이었으므로 실제로는 그 이후에도 구체제의 잔재가 꽤나 많이 남아 있었다. 그리고 남은 귀족 역시 전쟁이 터지면 앞서 나가는 모범을 보여서 나름대로 존중받기도 했다. 하지만 제1차 세계 대전 중에 많은 귀족 가문의 젊은이들이 죽어나가는 바람에 대가 끊겨 진짜로 구 체제가 끝나버렸다.

반면에 사회의 지도층 또한 전쟁의 참화를 직접 경험하고 그 참혹함과 끔찍한 만행들을 뼈져리게 체감했기에, 지도층에게도 전쟁에 대한 거부감을 심을 수 있던 것은 다 타버린 집에서 그나마 건진 셈이다. 미국은 그렇게 인명피해가 타 협상군에 두드러지는 편은 아니지만, 대신 전후 참전군인의 처우 문제로 인해 보너스 군대 같은 말썽이 있었다. 여담으로 에뮤 전쟁 역시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후 미개척 토지를 개간한 참전용사들의 농토에서 에뮤 떼가 말썽을 부린 것에서 시작된 해수구제 작전이므로, 따지고 보면 위 문제와 관련이 있다고 볼 수도 있다.

이렇게 국민들을 총알받이로 희생시켰으니 국가에 반감을 가지는 사람들이 나오는 것도 당연했다. 공산주의 계열에서는 국가의 지배세력들이 자본주의의 논리로 움직이므로 국가를 전복하고 공산 국가를 만들고 모두가 평등한 사회로 살자고 주장했고, 자유주의자들은 국민의 더 많은 권리를 요구하기 시작했다. 극이 있으면 또 다른 극이 있듯 이와는 반대로 국가에게 모든 권력을 실어주고 국민들을 국가가 시키는 대로 총 단결하고 자신의 국가와 민족만 잘 살자는 극단적인 전체주의가 태동하기 시작했고, 전쟁에서 지면 모든 걸 잃지만 이기면 모든 걸 보상받을 수 있으니 군대가 국정을 좌우하는 군국주의가 패전국은 물론이고 일부 승전국에서도 보여졌다. 20세기 사상의 대립과 충돌의 시작이다.

일각에서는 이미 1800년대 초반부터 시작되었던 자유주의 무역에 기반한 100년의 세력균형 평화시대는 전쟁이 아니었어도 경제적인 이유로 종결될 기미를 보였으며, 제1차 세계 대전은 단지 그 부산물이었지 결코 원인이라고는 볼 수 없다는 시각도 있다. 칼 폴라니가 대표적.

한편으로는 세계 평화에 기여한 면도 있는데, 히틀러를 비롯한 추축국 수뇌부들의 의도된 복수심과 침략적 동기로 시작된 제2차 세계 대전과 달리, 제1차 세계 대전의 개전 과정은 당시 기준으로 수뇌부들이 이성적인 판단을 한 결과 최악의 결과를 초래했다는 것 때문에 국제정치학에서 매우 중요한 연구과제로 떠올랐다. 그 성과로 인류는 과거에 비해 대규모 총력전을 회피할 수 있는 가능성이 생겼다. 특히 바바라 터크먼이 제1차 세계 대전 발발과정을 연구한 저서인 <8월의 포성>은 케네디 대통령이 쿠바 미사일 위기에서 핵전쟁을 막고 인류를 구하는 결정을 내리는 데 큰 역할을 했다. 단, <8월의 포성>은 냉전 시대에 집필된 책의 특성상 미국인인 저자의 반소련 성향이 반영되어 러시아에 대해 지독하게 비하하고 있으니 다른 책과 같이 읽어야 한다. 또한, 윈스턴 처칠에 대해 지나치게 찬양하는 어조로 쓰고 있다.

이때의 참전 용사들은 이전보다는 상황이 나았다. 이전 시대의 대다수 상이 군인들은 구빈원에 들어가 무능력자 취급을 받으며 인간 이하의 삶을 살거나 구걸 등을 하며 제대로 치료도 못 받고 비참하게 생을 마감했지만, 제1차 세계 대전 전후로 사회복지제도가 어느 정도 자리잡혀 참전 용사는 장애인 연금을 수령하고 병원에서 치료와 재활, 정부의 직업교육 등 어느 정도 인간다운 대우를 받을 수 있었다.

8.4. 나라별 영향

||<-7><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align=center><bgcolor=#000> 제1차 세계 대전 평화 조약 ||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svg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독일 제국 '''[[오스트리아 제국#s-5|
오스트리아 제국
]]'''
헝가리 왕국 불가리아 왕국
'''[[베르사유 조약|
베르사유 조약
]]'''
'''[[생제르맹 조약|
생제르맹 조약
]]'''
'''[[트리아농 조약|
트리아농 조약
]]'''
뇌이 조약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파일:적기.svg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오스만 제국 소비에트 러시아 루마니아 왕국
세브르 조약로잔 조약i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ii 부쿠레슈티 조약ii }}}
i : 튀르키예 독립 전쟁을 통해 재협상
ii : 협상국의 일원이었으나 단독 평화 협정을 맺음
같이 보기: 파리 강화 회의, 베르사유 조약, 빅4


이 전쟁으로 인해 독일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오스만 제국, 러시아 제국이 몰락한다. 러시아 제국독일 제국은 멸망하여 각각 소련바이마르 공화국으로 변했고, 독일은 단치히와 주변 지역을 폴란드에게 넘겨주게 되며 "폴란드 회랑"으로 불리는 이 지역은 폴란드에게 해상로를 열어주었지만 훗날 나치 독일은 이를 빌미로 폴란드 침공을 일으킨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오스만 제국은 해체되어 그 영토 대부분을 상실하게 된다.

이탈리아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부터 약간의 영토를 받았지만 그들이 생각하는 이탈리아의 범위에 속하는 영역을 다 받진 못했으며, 이에 대한 불만은 베니토 무솔리니파시즘으로 이어진다.

영국과 프랑스는 승전국이었음에도 전쟁 이후 식민지와의 연결이 끊어지고 경제적으로 막대한 타격을 입어 제국 해체의 발단이 된다. 특히 프랑스는 인구 측면에서 국가 발전의 근간이 되는 성인 청년 인구들의 1/3(부상자 포함)을 잃어버렸기 때문에 전쟁 후유증은 심대했다. 프랑스는 전몰 장병 추모일, 즉 현충일이 11월 11일이다. 이는 제1차 세계 대전 종전일인데, 프랑스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제2차 세계 대전보다도 더 많은 전사자를 냈다. 근대 이전까지 프랑스의 인구는 영국과 독일을 압도했지만 19세기 무렵에 독일에게 크게 추월당했고, 이런 상황에서 양차 세계 대전 동안 인구 증가가 정체되면서 영국에게도 뒤쳐진다. 프랑스 혁명과 정치적 숙청, 나폴레옹 전쟁 등의 사상자로 인해 프랑스 인구의 증가율이 둔화되기 시작한 반면 독일은 18세기 말에 프리드리히 대왕이 극단적인 인구증가 정책을 쓰기도 하고 주변 지역을 흡수 통일하여 인구 증가율이 상당히 커졌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벌어질 즈음에는 이미 프랑스 인구는 독일의 2/3 수준으로, 세계 대전이 두 번 일어나는 동안 독일은 프랑스 이상의 막대한 인명 피해를 입었지만 프랑스와 독일의 인구 차이는 거의 좁혀지지 않았다. 2000년대에 들어서야 서서히 차이가 좁혀지는 중이다. 다만 역설적으로 1930년대 세계 대공황 당시 프랑스는 상대적으로 실업문제에서 자유로웠다. (미국의 실업률이 25%에 달할 동안 프랑스는 실업률은 5%대로 타 국가에 비하면 매우 안정적이었다.) 이는 잉여노동력이 부족했었기 때문이었다. 1990년대까지는 영국보다 적은 인구를 유지했으며 이는 프랑스가 과거의 독보적인 위치를 다시 찾지 못하게 된 한 원인이었다.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이 때문에 독일의 세력과 자신감이 커져서 또다시 전쟁을 일으키는 데 일조하면서, 모든 전쟁을 끝내기 위한 전쟁은 더 큰 규모의 전쟁의 전초전이 되고 말았다. 프랑스페르디낭 포슈 원수는 베르사유 조약이 독일을 약체화 시키기에는 너무 허약한 조약이라는 이유로 베르사유 조약에 사인하면서 이 조약은 기껏해야 20년 휴전 협정에 불과하다고 평가했고, 베르사유 조약에 대한 영국 측 수석대표였던 존 메이너드 케인스는 페르디낭 포슈와 반대로 독일에 대한 전쟁배상금이 과도해서 독일이 복수에 나설 것이라고 생각해 베르사유 조약에 대해 "결국 남은 것은 더 큰 전쟁"이라고 했다. 어찌 보면 둘 다 일리 있는 게, 독일이 완전히 무너질 만큼 가혹하지도 않았고, 독일이 복수심을 품지 않을 만큼 관대하지도 않았던, 이도 저도 아니었던 조약이란 얘기가 되기 때문이다.

가혹하게 했다고 쳐도 독일 통합국가와 인프라가 유지되고 있는 이상 결국 언젠가는 국가 재건이 될 수밖에 없었다.[41] 결국 20년 뒤 나치당이 집권하고 세계 3위의 경제력을 회복한 독일이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을 일으켰다.

유럽의 쇠퇴와는 비교되게 미국, 일본 등의 성장은 더욱 가속화된다. 미국은 영국을 넘어서 제일의 무역국가가 되고, 일본은 15위에서 8위로 도약한다. 미국은 유럽에 당시 가치로 100조 달러를 원조하고 달러가 영국의 파운드 스털링을 대체해 세계 통화가 된다. 유일하게 일본만은 피해를 입지 않은 채 당시 주요 산업이 농업에서 제조업으로 비중이 바뀌었고 매년 50~70%씩 성장하며, 광업, 해운업, 무역업에서 엄청난 성장을 하게 된다. 러일전쟁때 까먹은 돈은 이때 완전하게 회복이 됐고, 당시 조선업은 세계 3위 수준으로 올라갔으며, 태평양(남양청)과 중국에 식민지를 획득했다. 근데 웃긴 건 중국도 같은 승전국이었다는 것. 어차피 일본이 날름한 중국 지역 식민지는 독일이 확보한 영토를 신경 못 쓰는 사이 거저 먹은 것이다. 결국 후에 前 카이저 독일령 중국 영토는 중국 5.4 운동의 여파와 다른 국가들의 외교적 간섭으로 도로 토해내게 되었다.

열강의 식민지들이 이 전쟁 이후 독립에 대한 열망이 높아지기 시작했다. 우드로 윌슨 미국 대통령이 종전 전에 국회에서 공표한 14개조 평화원칙, Fourteen Points에 민족자결주의가 포함되어 민족의 운명은 민족이 스스로 결정한다는 사상이 널리 퍼지게 되면서 한반도를 포함한 식민지 내의 독립 운동에 큰 불을 지폈다. 또한 소련의 레닌은 이 전쟁을 극단적 자본주의인 제국주의적 전쟁으로 규정하고 자본주의와 제국주의를 견제하기 위해 여러 나라의 독립 운동을 지원하게 되는데 이런 공산권의 지지 또한 혁명에 불씨를 당기는 데 일조하게 된다. 식민지를 전세계에 가지고 있던 제국주의 국가들도 제1차 세계 대전 후에는 대외 영토를 그나마 간신히 유지할 수 있었고 식민지인들에게 많은 자치권을 부여해야만 했다. 그러나 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이마저도 유지시킬 힘이 남아 있지 않아 대부분 독립시켰다.

9. 참전국

<colbgcolor=#536349> 제1차 세계 대전 참전국
{{{#!wiki style="margin: 0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관련 틀: 제2차 세계 대전 참전국
<colbgcolor=#002664> 협상국
유럽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 파일:세르비아 왕국 국기.svg 세르비아 왕국 ·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 파일:산마리노 옛 국기(~2011).png 산마리노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제1공화국 · 파일:몬테네그로 왕국 국기.svg 몬테네그로 왕국 ·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그리스 왕국 · 파일:알바니아 공국 국기.svg 알바니아 공국 ·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왕국
아시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중화민국 · 파일:인도 제국 국기.svg 인도 제국+ · 파일:태국 국기(1917-2017).svg 시암 · 파일:헤자즈 왕국 국기.svg 헤자즈 왕국 · 파일:리야드 토후국 국기.svg 리야드 토후국 · 파일:아시르 이드리드 토후국 국기.svg 아시르 토후국 ·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제1공화국 · 파일:네팔 왕국 국기(1856-1930).png 네팔 왕국
북아메리카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868-1921).svg 캐나다 자치령+ ·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 파일:과테말라 국기(1871-1968).png 과테말라 · 파일:니카라과 국기(1908-1971).svg 니카라과 · 파일:코스타리카 국기(1906-1964).png 코스타리카 · 파일:온두라스 국기(1898-1949).svg 온두라스 · 파일:아이티 국기(1859-1964).svg 아이티
남아메리카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 · 파일:페루 국기(1884–1950).svg 페루 · 파일:브라질 국기(1889-1960).svg 브라질 · 파일:에콰도르 국기(1900~2009).svg 에콰도르
아프리카 파일:Red_Ensign_of_South_Africa_(1912–1951).svg 남아프리카 연방+ ·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자치령+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자치령+
동맹국
유럽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섭정왕국+ · 파일:쿠를란트-젬갈렌 공국 국기.svg 쿠를란트-젬갈렌 공국+ · 파일:벨라루스 국기(1918, 1991–1995).svg 벨라루스 인민공화국+ · 파일: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 국기.svg 우크라이나국+ · 파일:핀란드 국기(1918-1920).svg 핀란드 왕국+ · 파일:발트 연합 공국 국기.svg 발트 연합 공국+ · 파일:리투아니아 국기(1918).svg 리투아니아 왕국+ · 파일:크림 지방 정부 국기.svg 크림 지방 정부 · 파일:돈 코사크 국기.svg 돈 공화국+
아시아 파일:자발 샴마르 토후국 국기.svg 자발 샴마르 토후국 ·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민주 공화국 · 파일:조지아 민주 공화국 국기.svg 조지아 민주 공화국 · 파일:북캅카스 산악 공화국 국기.svg 북캅카스 산악 공화국
아프리카 파일:데르비시국 국기.svg 데르비시국 · 파일:다르푸르 기.svg 다르푸르 술탄국 · 파일:키레나이카 토후국 국기.svg 세누시야 · 파일:모로코 국기.svg 자야네스
주요 국가 + 괴뢰국 · 종속국 }}}}}}}}}

파일:1차대전 포스터.jpg
제1차 세계 대전 주요 참전국 정상들. 글 위에 있는 4명이 동맹국의 군주들. 왼쪽부터 메흐메트 5세, 빌헬름 2세, 프란츠 요제프 1세, 페르디난트 1세. 밑에 있는 사람들이 협상국의 군주들이다. 첫번째 줄 오른쪽에 양복을 입고 있는 사람은 군주가 아닌 당시 프랑스 공화국의 대통령 레몽 푸앵카레다. 사실 지금은 모두 다 공화국으로 전환되었지만 프랑스는 당대의 유럽 열강 중 공화국을 대표하는 나라였다.
색 분류
동맹국 협상국
국명 날짜 참전 과정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1914년 7월 28일 사라예보 사건에 대한 對세르비아 최후통첩이 거부되자 세르비아에 선전포고를 했다.
세르비아 왕국 1914년 7월 28일 사라예보 사건에 대한 오스트리아의 최후통첩을 거부하여 침공을 당했고, 이에 대항하기 위해서 전쟁으로 뛰어들었다.
러시아 제국 1914년 8월 2일 같은 슬라브 국가이며 후견국이기도 했던 러시아에게 세르비아는 발칸 전쟁의 영향으로 더욱 중요성이 커졌고, 오스트리아가 세르비아를 침공하자 러시아는 즉시 총동원령을 선포했으며 이를 해제하라는 독일의 요구를 거부하자 독일의 선전포고를 받게 된다.
독일 제국 1914년 8월 2일 러시아가 세르비아 지원을 위해서 총동원령을 선포하자, 삼국 동맹[42]에 의거하여 동맹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을 지원하기 위해서 러시아에 선전포고를 한다. 어떻게 보면 이 전쟁의 주인공이자 최종보스다. 혼자서 유럽 전장 전체를 책임질 정도였고 협상국에게 가장 집중적으로 공격 받았다.
프랑스 제3공화국 1914년 8월 3일 러시아에 전쟁을 선포한 독일이 슐리펜 계획을 발동시키며 프랑스에 선전포고를 한다. 물론, 프랑스도 삼국협상[43]에 의해 대독전 준비를 하고 있었다.
벨기에 1914년 8월 3일 슐리펜 계획을 발동시킨 독일군이 벨기에 영토를 통과하려는 것을 벨기에군이 거부, 끝내 영토통과 승인을 받지 못하게 되자 독일은 벨기에의 중립을 무시하고 침략한다.
영국 1914년 8월 4일 삼국협상에도 불구하고 중립을 지키려던 영국이었지만, 독일이 벨기에의 중립을 무시하고 침략을 하자 이를 이유로 8월 4일 독일에 선전포고한다.[44]
몬테네그로 왕국 1914년 8월 5일 발칸반도 남부의 소왕국이었던 몬테네그로는 세르비아와 언어, 문화, 종교적 동질성 및 오스트리아에 대한 강한 반감 등으로 인해 세르비아를 지지한다.
일본 제국 1914년 8월 23일 영국의 동맹국이었던 일본은 영일동맹의 의무를 들어 독일에 선전포고한다.[45][46]
오스만 제국 1914년 11월 1일 영국 해군성 장관 윈스턴 처칠오스만이 주문한 신조 전함 2척을 먹튀를 하자 반영여론이 대폭발. 반대로 피할 곳이 없어서 오스만으로 도망친 독일해군 지중해전대 소속 순양전함을 공짜로 준다는 빌헬름 2세의 선언에 친독 여론이 강해진다. 그래도 정부는 중립 입장을 견지했으나, 이스마일 엔베르의 독단과 오스만 깃발을 단 독일 해군의 흑해 러시아 항구 공격으로 인해 결국 세계 대전에 휩싸이게 된다.
아시르 이드리드 토후국 1915년 5월 사이 (아라비아 반도에 있던 작은 국가로 이후 사우디아라비아에 흡수됨.) 영국의 전쟁수행에 합류
이탈리아 왕국 1915년 5월 23일 본래 삼국 동맹의 일원이었으나, 대전 직후에는 그 의무를 내팽개치고 중립을 선언했다. 하지만 이탈리아는 의무를 그냥 방기한 것이 아니었다. 이탈리아는 삼국동맹을 상호방위조약으로 해석하고 있었으므로, 독일이 선전포고를 한 것이나 다름없는 이 공격전쟁에는 참여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하고 이를 분명히 선언한 것이다. 실제로 독일과 같은 편에서 참전한 오스트리아-헝가리도 "왜 참전 안 해?"라고 나오기는커녕 "그대로 중립 좀 지켜줘."라는 태도를 보였다. 이후 전황의 이해득실을 따지면서 협상국의 승리가 유력하다고 판단한다. 사실 삼국동맹을 믿기엔 불안한 감이 있어서 이탈리아는 전쟁 발발 몇 년 전 프랑스와 비밀 동맹을 맺어둔 상태였다. 이탈리아와 프랑스는 튀니지를 두고 사이가 안 좋았지만 어디까지나 식민지 하나 늘리냐 마느냐의 문제여서 심각한 관계로 발전하지는 않았고 결정적으로 오스트리아는 수세기 동안 이탈리아 일부를 점유하면서 이탈리아 통일을 가로막는 역사적인 숙적이고 프랑스는 사르데냐의 이탈리아 통일을 도와준 우방이었다. 또한 오스트리아가 점유한 트렌티노와 트리에스테, 달마티아 일대는 이탈리아계가 다수인 지역이었고 이탈리아는 통일 완수라는 이유로 이 일대의 회복을 외치는 상황이었다. 삼국 동맹 소속인 데다가 오스트리아에겐 독일이란 빽이 있어서 대놓고 드러내질 못했을 뿐. 영국과 프랑스는 협상국 측에 참전하면 전쟁 후 이 일대의 점유를 인정해주겠다고 꼬드겼다. 즉, 2대전의 추축동맹이나 방공협정 마냥 견고한 동맹은 아니었던 셈. 결국 영국과 비밀 협상을 맺어 말을 갈아타고 오스트리아에 선전포고를 한다.
불가리아 왕국 1915년 10월 14일 전통적으로 친 러시아, 반 오스만 국가였으나 국왕 페르디난트 1세는 독일 출신인지라 친독 성향이 강한 인물이었고 불가리아 여론도 제2차 발칸 전쟁의 패배로 인해 자신들의 정당한 몫을 빼앗아 간 세르비아와 그리스에게 복수하자는 보복주의가 팽배했다. 협상국과 동맹국 모두 발칸 전쟁 당시 불가리아군의 활약과 불가리아의 지정학적 가치에 주목하여 불가리아를 포섭하려 시도했으나 불가리아는 참전 조건으로 세르비아와 그리스가 갖고 있는 마케도니아 중 일부 지역을 넘겨줄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세르비아와 그리스의 눈치를 봐야 했던 협상국과 달리 두 나라 눈치를 볼 필요가 없었던 동맹국은 온갖 당근(북마케도니아 전체와 세르비아의 동쪽 절반, 그리스나 루마니아가 참전할 경우 제2차 발칸 전쟁으로 두 나라에게 넘어갔던 지역의 합병 인정, 막대한 차관 제공 등)으로 적극적으로 불가리아를 꼬드겼고 이에 넘어간 불가리아가 동맹국과 우호조약을 맺은 후 세르비아에게 선전포고하면서 동맹국에 가담했다.
네지드-하사 토후국 1915년 12월 16일 (현재의 사우디아라비아에 해당하며 리야드 토후국이라고도 불림. )영국과의 다린 조약에 따라 오스만 제국과 전쟁개시
포르투갈 제1공화국 1916년 3월 9일 포르투갈 왕정복고전쟁 이후 수백여 년간 영국의 전통적인 우방이었던 포르투갈은 중립을 지키려고 노력했으나 영국의 요구를 받아들이고 16년 2월 말엽부터 자국령에 들어오거나 항행 중인 독일 선박들을 나포하고 화물을 압류했다. 당연히 이에 격분한 독일이 포르투갈에다 선전포고를 한다.
헤자즈 왕국 1916년 6월 당시 메카 태수였던 후세인 빈 알리는 협상국 측에 '오스만에 대해 반란을 일으켜준다면 아랍인들의 단일국가와 독립을 보장해주겠다.'라는 약속을 받았고, 후세인 빈 알리는 이에 승락, 자신의 아들 파이살, 후세인과 함께 네지드 토후국 및 시리아와 이라크 방면 아랍 반란군과 함께 아랍 반란을 주도하게 된다.
루마니아 왕국 1916년 8월 27일 3년여 동안 중립을 지켜온 루마니아는 남쪽 불가리아의 위협, 동부전선에서 계속 죽을 쑤는 오스트리아.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점차 동맹국에 불리해지는 전황 등을 토대로 전리품 획득을 위해서 늦게나마 참전을 결정하고 브루실로프 공세를 틈타서 오스트리아에다 선전포고를 한다. 그리고 겨우 1년 만에 독일군에게 본토를 다 털리고 항복한다. 다만 전쟁 종료 후에는 승전국으로 영토가 2배로 늘어나는 대박을 쳤다. 단, 이게 그냥 조약으로만 얻은 것은 아니고, 종전 직후 벌어진 헝가리와의 전쟁에서 점령한 영토를 조약으로 인정받은 것이다.
미국 1917년 4월 6일 의외로 친독, 반영 세력도 많았다. 대체로 독일계 이민자 800만은 독일과의 싸움을 싫어했고, 아일랜드계 이민자 450만은 영국을 싫어했다. 무엇보다 먼로 독트린 때문에 유럽의 전쟁에 참여할 수 없어 유럽 국가들이 싸우든지 말든지 우리와는 상관없고 그냥 돈이나 벌자는 태도였다. 그러나, 독일의 U-Boat의 무제한 잠수함 작전으로 영국 상선 루시타니아 호가 격침되어 미국인들이 휘말려서 죽게 되자 대독감정이 악화되어, 테러가 벌어진다. 1916년 7월에 뉴저지의 영국 수출용 탄약 창고가 폭발하고 (Black Tom explosion), 1917년 1월에는 영/프에 군용자동차를 수출하는 공장이 타버리는 사건이 일어났었는데 이 모두 독일에서 보낸 공작원의 소행으로 판명나면서 여론이 악화된 것도 있었다. 심지어 독일이 멕시코를 꼬드겨서 미국에 대한 공격을 사주했다는 내용의 치머만 전보가 공개되자 미국 국내의 여론이 대폭발하게 되면서 마침내 협상국으로서 참전을 선언한다. 하지만, 이런 여론의 악화의 이면에는 그동안 영국과 프랑스에게 돈을 빌려주고 외상으로 물건을 제공했던 미국의 자본가들이 세계 대전에서 영국과 프랑스가 독일에게 패배하면서 망해버리면 빌려준 돈을 떼먹힐까봐 우려했던 현실적인 이유가 있었지만, 독일의 무제한 잠수함 테러 사건과 치머만 전보 사건이 미국의 참전 여론을 부채질한 것도 사실이다. 다만 이건 냉철했던 미국 정부의 입장이었던데다, 미국 국내의 여론만 고려해보자면 루시타니아호 사건과 마찬가지로 미국의 반독 감정에 쐐기를 박은 사건이었고, 민주주의 국가인 미국에서 이는 전쟁을 개시하는 좋은 명분이 되었다.
쿠바 1917년 4월 7일 미국의 전쟁수행에 합류한다. 이때의 쿠바와 파나마는 미국의 괴뢰국이다. 그리고, 니카라과는 아에 미국이 합병해버린 상황이었다.
그리스 왕국 1917년 6월 30일 당시 친독 성향이었던 국왕 콘스탄디노스 1세는 세계 대전에서 중립을 계속 유지하길 원했지만 총리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는 그리스의 이익을 위해선 궁극적으로는 협상국에 가담하는 것이 옳다고 여겼다. 그렇게 그리스는 혼란스러운 국내 사정 때문에 세르비아의 지원 요청이나 협상국의 참전 요구를 모두 묵살했다. 이렇게 불안한 중립을 유지하던 와중에 갈리폴리 상륙작전이 실패하고 불가리아가 갑자기 동맹국에 가담해 세르비아를 공격하자 포위당할 위기에 빠진 세르비아군은 알바니아를 통해 그리스로 후퇴했고 불가리아군이 아직 전쟁 준비가 덜 된 그리스를 공격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에 베니젤로스는 영-불 연합군이 테살로니키에 상륙, 세르비아를 지원할 것을 요청했다. 베니젤로스의 독단에 격노한 국왕 콘스탄디노스는 베니젤로스를 해임, 신정부를 구성할 것을 지시했으나 이미 테살로니키에 상륙한 영-불 연합군은 전쟁 준비에 나섰으며 불가리아군은 이에 대응하여 그리스령 마케도니아를 침공한다. 이렇게 되니 정작 중립을 선언한 그리스 영토에서 협상군과 동맹군이 전투를 벌이는 촌극이 펼쳐지고 해임된 베니젤로스는 협상군이 점령한 테살로니키로 이동해 임시정부를 수립, 협상국 측에 가담하고 그리스 여론도 친베니젤로스파와 친국왕파로 분열되어 버린다. 결국 협상국의 지지를 받은 친베니젤로스파가 승리해 1917년 6월 콘스탄디노스는 퇴위, 둘째 아들인 알렉산드로스가 즉위했다. 장남 요르요스 2세는 독일에 군사 훈련을 가 있었기 때문에 베니젤로스가 정권을 잡은 상황에서 양위가 불가능했다. 정권을 잡은 베니젤로스는 정식으로 동맹국에 선전포고를 하고 그리스는 협상국 측으로 참전한다.
태국 1917년 7월 22일 독일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게 선전포고를 했으며 서부 전선에 1284명의 병력을 파견했다.
중화민국 북양정부 1917년 8월 14일 제3혁명위안스카이 사망으로 공화국이 된 중국은 독일로부터 빼앗긴 조차지의 이권과 중국 영토를 다시 되찾고, 새 국가 건설에서 세계열강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서 협상국으로 가담한다. 이때 비전투 노무자(노동자) 20만 명을 서부전선으로 보낸다. 그러나 독일의 조차지는 사라졌었고 중국의 말은 전혀 먹혀들지 않았다. 하지만 근 100년 가까이 중국 사회를 좀 먹은 열강의 아편 판매를 종식시키는 성과를 얻었고, 5.4운동으로 칭다오 등 구 독일의 점령지 이권은 다시 돌려 받았다.
브라질 1917년 10월 26일 공식적으로는 미국과 마찬가지로 무제한 잠수함 작전에 따른 피해, 그에 따른 반독여론 증가였다. 브라질은 당시 세계 커피생산량의 90% 이상을 독점하는 커피 플랜테이션 국가였는데, 제1차 세계 대전 직후 동맹국에 대한 해상봉쇄로 커피판로가 절반 이하로 줄어들면서 수출액이 감소했다. 이후, 미국과 영국이 "커피 재고 우리가 다 사줄 테니까 독일에다 선전포고해."라고 제안했고 브라질은 이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었다.

이 외에도 라이베리아, 파나마, 쿠바, 과테말라, 니카라과, 코스타리카, 아이티, 온두라스, 에콰도르, 볼리비아, 우루과이, 페루가 협상국에 속해 있었지만 그냥 미국이 선전포고를 하니까 따라서 하거나 형식상으로만 선전포고를 한 경우로 기껏해야 미국의 전쟁수행에 합류한 수준이다.

협상국에 합류한 국가들이 더 있는데 대표적으로 안도라, 네팔 왕국, 산마리노, 모나코 등이 있는데 제대로 된 활동을 하지 않았고 그나마 네팔의 경우 수십명의 병력을 지원한 것으로 보인다. 국가가 아니라 자발적으로 의용군에 지원한 곳은 아르메니아, 폴란드, 헤자즈 왕국, 체코슬로바키아 등이 있다.

기타 동맹국에는 다르푸르 술탄국, 데르비시국(소말리아와 에티오피아에 위치), 자발 샴마르 토후국, 아제르바이잔, 조지아 등이 있으나 선전포고 시기가 모호하며 폴란드나 리투아니아도 잠시 독일에게 점령되었지만 곧 독일이 패망했으므로 제외한다. 이는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의 결과였다.

9.1. 유럽 내 중립표방국

제1차 세계 대전이 벌어진 유럽 대륙 내에서 중립을 표방한 국가들은 아래와 같다.

¤ 표시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참전했던 나라이다

10. 기타

10.1. 명칭

전 세계로 전장이 넓어짐과 동시에 총력전의 양상을 띤 최초의 전쟁이기 때문에 세계 대전이란 이름이 붙었다.[49] 세계 대전이란 명칭은 그 당시에도 붙은 이름이었으며, 지금도 'The Great War'(대전쟁)는 제1차 세계 대전을 가리키는 고유명사이다. 간혹 위대한 전쟁으로 오역되는 경우도 있다. 시간 전쟁 문서 참고.

물론 18세기 유럽은 늘 전쟁이었으며, 특히 7년 전쟁프랑스 혁명나폴레옹 전쟁도 대규모에 전장은 컸지만, 빈 회의 이후로 약 100년간 유럽 열강들 간의 전투는 크림 전쟁,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이 전부라서 더욱 충격이 컸다고 할 수 있다. 그나마 전쟁이 잦았던 유럽 국가들 간의 관계에서 착안한 것인지, "The war to end all wars(모든 전쟁을 끝내기 위한 전쟁)"라는 명칭도 붙었다. 전 계층이 전쟁에 참가했으므로 국민전쟁(People's War)이라고도 한다.

전쟁 기간 동안 발생한 전사자는 약 1000만 명이며 학자에 따라서는 이 전쟁에 참가한 국가들 대부분이 제국주의 국가라는 것을 지적해 제국주의 국가들의 전쟁이라는 뜻으로 제국전쟁(Imperial War)이라고도 부른다. 사실 그리고 파시즘과 반공/공산주의, 제국주의에 대항하는 식민지 쪽의 민족주의가 다른 제국주의 국가와 연합하기도 하는 등 사상 및 신념적으로 복잡하고 극렬하다 못해 역사상 다시 없을 최악의 잔인함을 띄었던 제2차 세계 대전과 달리 제1차 세계 대전은 그 전부터 계속되어 왔던 유럽 내 민족주의, 특히나 제국주의 국가들의 패권다툼의 연장선이자 끝판왕에 가깝다. 모든 것을 끝낼 전쟁이라는 수식어도, 결국 전부터 존재했던 경쟁과 갈등의 연장선에 있다는 것이 보여지기도 한다. 이의 약간 더 축소판으로는 7년 전쟁이 있었다.

10.2. 최후의 참전 용사들

  • 동맹국 최후의 참전 용사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의 프란츠 퀸스틀러(Franz Künstler)로 1900년 7월 24일 태생이다. 1918년 2월 이탈리아 전선에 참전했으며 종전 이후에도 1921년까지 헝가리군에서 복무했다.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중에는 1942년 연락병으로 7개월간 복무했으며 전후에는 박물관에서 근무하다 헝가리가 공산화 되면서 독일계였던 그는 추방당하게 된다. 이후 독일에서 살다 2008년 5월 27일 향년 107세로 사망했다. 오스만 제국군 출신 마지막 생존자인 야쿠프 사타르(Yakup Satar)가 2008년 4월 2일 향년 110세로 사망한 뒤 얼마 안 된 시점이었다.
  • 제1차 세계 대전을 상징하는 참호전을 겪은 최후의 참전 용사는 헨리 존 패치(Henry John Patch)로 1898년 6월 17일 영국 서머싯에서 태어났다. 1916년 10월에 입대했고 1917년 6월 프랑스로 도해해 서부전선에 투입되었다. 그러나 1917년 9월 22일 전투 중 부상을 입었다. 히스토리 채널에서 제1차 세계 대전 다큐멘터리를 방영할 때 본인이 직접 등장해서 증언했다. 부상으로 후송되었는데 마취제가 없어서 군의관이 그냥 파편을 생으로 제거했을 때 군의관을 때려죽이고 싶었다고 말할 정도로 인생에서 가장 큰 고통을 느꼈다고 한다. 1917년 12월 23일에 영국으로 돌아와 요양을 하던 중 종전을 맞았다. 종전 후에는 배관공으로 일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소방관으로 근무했다. 이후 배관 관련 회사를 운영했으며 2009년 7월 25일 향년 111세로 사망하여 제1차 세계 대전 중 참호전을 경험한 최후의 참전용사로 기록되었다.
  • 전투에 참여한 최후의 참전 용사이자 남성으로 참전한 최후의 생존 참전용사는 영국 출신의 클로드 촐스로 1901년 3월 3일 태생이다. 1915년 4월 14세의 나이로 해군에 입대 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에도 복무하다 1931년 제대했다. 그러나 이듬해 다시 군에 복귀하고 호주에서 복무하던 중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일본군의 침략에 맞섰다. 그 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에도 군에 남아 있다 1956년에 55세의 나이로 제대했다. 이후 2011년 5월 5일 향년 110세로 사망함으로서 제1차 세계 대전 최후의 남성 참전용사이자 실제 전투에 참전한 마지막 생존 전투원으로 기록되었다. 그는 또한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 모두 참전한 참전용사 중 마지막 생존자이기도 하다.
  • 비전투원 최후의 참전 용사이자 제1차 세계 대전 최후의 참전 용사는 영국의 플로렌스 그린으로 1901년 2월 19일 런던에서 태어나 2012년 2월 4일 향년 110세로 사망했다. 플로렌스는 제1차 세계 대전 기간인 1918년 영국 공군으로 입대해 비행장에서 복무했지만 직접 전투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10.3. 전쟁 관련

  • 공식적으로 밝혀진,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최후의 사망자는 캐나다군인 조지 로렌스 프라이스(George Lawrence Price) 육군 포병 이병이다. 전쟁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편지에 부쳤다가 검열에 걸려 상병에서 이병으로 강등된 상태였다. 증언에 따르면 프라이스는 계급 회복에 대한 의지가 있었다고 한다. 그는 1918년 11월 11일 종전을 단 2분 남기고 독일 육군 저격수에게 총을 맞아 전사했다. 다만 이날 그 한 명만 죽은 것은 아니고 종전까지 양측 도합 사상자 1만 1천여 명이 발생했다. 독일군이 예상보다 악착같이 저항했기 때문이다. 또 조지가 죽기 전에는 오전 10시 50분, 프랑스 참호의 오귀스트 트래비숑이라는 마흔 살 연락병이 11시에 따뜻한 음식이 나온다는 소식을 전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그리고 몇 분 동안 뛰어다니던 오귀스트도 어디선가 날아온 총알에 맞고 죽고 말았다.
  • 이 시기에 국가들은 최신 무기뿐 아니라 구식 대포는 물론이고 군마, 군견, 전서구, 낙타 등 동원할 수 있는 건 다 동원해서 전쟁을 치렀다. 오죽하면 동물원의 코끼리를 징발해서 물자 수송에 쓸 정도였다. 그래서 제1차 세계 대전은 지금까지의 모든 전쟁 중에서 가장 많은 동물을 동원한 전쟁으로 기록을 세웠다.사진들 이후 벌어진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기계화의 비중이 높아지면서 제1차 세계 대전만큼 동물이 많이 동원되지는 않았다.
  • 프랑스와 영국은 미 원정군 병력을 전쟁 경험이 있는 자신들의 보충 병력으로 사용하고자, 또 아직 햇병아리 수준인 미 원정군 병력을 참호전에 적응시키고자는 이유로 미군을 자신의 지휘 아래 두려 했지만 퍼싱 대장을 위시한 미 지휘부는 독자작전권을 내세우며 거부했다. 그리고 처음에 미군은 미국-필리핀 전쟁, 남북 전쟁 마냥 그릇된 병력 꼬라박기만 하다 독일군의 기관총 앞에 참호전의 위력을 체감하고 뒤늦게 참호전 전술을 받아들였다. 하지만 당시 흑인으로만 이루어진 미 육군 제369보병연대만은 프랑스에게 지휘권을 넘겨줬다. 이들은 프랑스 육군 장비를 지급받기도 했으며 프랑스 육군 16사단이나 161 사단에 배속되었다. 이런 상황에서도 이들은 열심히 싸웠으며 백명 단위로 레지옹 도뇌르 훈장 등의 여러 명예훈장들을 받았다. 처음에 미군이 프랑스에 파병된 1917년 7월에는 고작 1만4천명이 프랑스 땅을 밟았고, 미군이 전투를 경험한 것도 1사단이 독일군 전선에 닥돌한 1917년 10월이 처음이었다. 그러나 미군은 1년 후인 1918년에는 2백만명 수준까지 급격히 팽창했다. 1918년 6월까지는 미군 사단이 영국군 사단 사이에 껴서 함께 행동하며 참호전에 익숙해지는 시간을 가지다가, 이후에는 독일군을 박살내며 전선을 쭉쭉 밀어붙여서 전쟁을 끝내는데 큰 공을 세웠다.
  • 상대적으로 덜 알려졌지만 제1차 세계 대전은 유색인종도 수백만 명이 참여했던 전쟁이다. 아프리카 전선에서도 200만 명 이상이 참전했으며 독일과의 인구 차이(프랑스 본토 인구 4000만 명과 독일 인구 6700만 명의 차이)와 인적 피해로 고심하던 프랑스는 세네갈 등지에서 시민권과 훈장을 미끼로 아프리카인 자원병들을 모아 유럽의 서부전선에 참전시켜 수만 명이 사망했다. 프랑스는 이들을 거칠고 야만적인 총알받이 전사 정도로 생각했기 때문에 위험한 임무에 우선 투입했고, 부대의 사망률이 프랑스 백인들보다 월등히 높아 항명이 일어나기도 했다. 한편 영국은 영연방에서 수십만을 모집했고 일원이란 자부심과 자치권, 돈 등 다양한 동기를 위해 참여했다. 그나마 이들의 사망률은 영국 백인들보단 절반 수준으로 낮았다. 중국도 중국노동여단(영어: Chinese Labour Corps, 중국어: 中国劳工旅)이란 이름으로 노무자 수십만 명을 보내 전쟁터에서 노동력을 제공했다. <세계 대전: 제국의 잊혀진 병사들(The World's War: Forgotten Soldiers of Empire)> 등의 다큐멘터리에서는 이러한 유색인종 병사들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참고로 독일은 백인이 아닌 인종을 전쟁에 투입하는 것은 위험하다는 생각이 강해 적극적으로 식민지의 병사들을 유럽으로 데려오지 않았다. 설령 그럴 계획이 있다고 하더라도 이미 제해권을 장악한 협상군 해군의 눈을 피해 유럽으로 데려오는 것 자체가 불가능에 가까웠지만. 독일은 이미 외국에 외교관을 파견하는 것조차 영국 해군의 방해로 불가능에 바빠져서 마지막 주중 독일제국 공사를 지낸 파울 폰 힌츠는 첩보작전을 동원해서 중국에 밀입국해서 겨우 부임할 수 있을 정도였다. 그나마도 중국의 대독 단교 및 선전포고로 3년 만에 임기가 끝나는 신세가 된다. 전쟁이 끝난 후 프랑스군의 세네갈인 부대는 라인란트 등에 주둔했고 라인란트인들은 아돌프 히틀러나 오이겐 피셔같은 우생학을 신봉하는 나치에게는 아리아인의 피를 더럽히려는 음모의 결과로 받아들여져 불임 수술 등을 당했다.
  • 특히 인도인들은 민족 자결권과 정치적 지위 향상, 경제적 동기를 목표로 제1차 세계 대전에 대규모로 참전했다. 마하트마 간디 조차 전쟁 초기에 인도 국민들의 적극적 참전을 독려하기도 했다. 영연방전쟁묘지위원회(CWGC) 자료에 따르면 전쟁 발발 후 영국의 식민지였던 인도에서는 인도인들이 모두 110만 5천 명 동원되었다. 프랑스 일대 서부전선에 13만 8천 명, 메소포타미아 지역 중동전선에 65만 7천 명, 이집트와 팔레스타인 지역에 14만 4천 명이 동원됐다. 일부는 갈리폴리 전투와 동아프리카 전선에 투입되기도 했다. 특히 중동 지역에 투입된 영국군의 상당수는 인도인이었다. 1916년 4월 메소포타미아 쿠트 지방에서 오스만 제국에 붙잡힌 영국군 포로 1만 1600명 중 대다수는 인도인이었다는 기록도 있다. 인도는 전쟁 물자 수송을 담당하고 간호사들을 전선에 투입시키는 등 비군사적 영역에서도 큰 공헌을 했다. 전쟁이 진행되는 동안 7만 4천여 명이 사망하고, 6만 9천여 명이 부상당했다. 인도 뉴델리에는 제1차 세계 대전 전몰자들의 이름이 새겨진 ‘인디아 게이트’라는 추모비가 있다.#
  • 서양권에서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을 직접 겪어 본 나이가 많은 사람들은 대체로 집안에다 통조림을 많이 쟁여둔 경우가 많다. 왜냐하면, 전쟁을 겪었던 젊은 시절에 먹을 것을 구할 길이 없으니까 가족들이 매일같이 굶는 일이 일상이었기 때문에 너무 배가 고프니까 고생을 너무 많이 해서 그렇다고... 이렇다보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의 위기 상황마다 통조림의 인기가 올라간다. 그리고, 대한민국의 경우도 경제 수준 대비 통조림 유통량이 많다고 하는데 이도 6.25 전쟁의 영향이다.
  • 장성 중 알렉세이 브루실로프, 필리프 페탱, 파울 폰 힌덴부르크는 각국에서 구국의 영웅 대접을 받았다. 그러나 페탱과 힌덴부르크는 전쟁 후에 심각한 정치적 실책을 저지르게 되어 현대의 평가는 좋지 못하다. 힌덴부르크는 슐레지엔 지역에 자신의 이름을 딴 도시가 있을 정도의 명망 있는 인물이었으나, 대통령이 된 후 히틀러를 총리(수상)에 임명하고 그 옆에 프란츠 폰 파펜을 붙이는 등 사실상 나치 독일의 시작을 열었으며, 필리프 페탱 원수는 훗날 패전한 3공화국의 수장이 되어 나치에게 항복하고 비시 정권을 세웠다. 다만 페탱의 경우에는 상황이 상황이었던 만큼 참작의 여지가 있으나-실제로, 페탱은 현실을 받아들여 비시의 수장이 되지만, 그 안에서 프랑스의 자주성을 최대한 지켜내려고 노력했다. 그러나 그 후임인 라발이 점차 득세하면서, 완전히 괴뢰화되어 마지막 드브리농 시기에는 아예 나치즘이다.- 힌덴부르크의 경우 명백한 그의 실책이다.]
  • 독일군은 파리 대포(Paris-Geschütz)라는 이름의 초대형 대포들로 독일이 점령한 프랑스 영토 안에서 파리를 포격했다. 이 대포의 사거리는 무려 130 km. 파리 대포는 프랑스에게 상당한 심리적 압박을 안겨주었으며, 이때부터 제2차 세계 대전에 등장한 구스타프 열차포의 싹수가 보였다.
  • 전쟁 초기 리에주 요새를 공략하기 위해 독일군은 신무기인 크룹사의 420 mm 곡사포를 동원했다. 이는 곧 빅 베르타(Big Bertha)라는 별명으로 널리 알려졌으며 사람들은 종종 다른 독일군의 대형 포도 그냥 빅 베르타라고 불렀다. SF RTS게임 토탈 어나이얼레이션에 등장하는 초장거리 방어탑인 빅 베르타는 여기에서 명칭을 따왔으며,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에서 Big Bertha라는 치트키를 입력하면 말도 안되게 긴 사정거리와 데미지를 지닌 특수 투석기 하나가 소환된다.
  • 안도라코스타리카도 협상국으로 참전했지만 종전 때 깜빡해서 조약 서명국이 아니었다. 이러면 국제법상 계속 전쟁하는 걸로 취급된다. 제2차 세계 대전에도 역시 참전한 안도라와 코스타리카 중 코스타리카는 다행히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때 승전국으로 서명했지만 안도라는 이번에도 깜빡한다. 다만 안도라의 외교권을 프랑스가 행사하고 프랑스가 독일의 항복을 받아줬기 때문에 실제로는 잠정적으로 종전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어쨌건 이 코미디 같은 상황은 1958년에 안도라가 일방적으로 종전을 선언하고 독일에서도 별다른 이의를 제기하지 않으면서 끝나게 된다. 국제법으로만 따지면 제1차 세계 대전은 1958년까지 이어진 셈이다.

10.4. 문화 관련

  • 독일의 화가 오토 딕스는 전쟁에 참여했던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전후에 강도높은 표현의 작품들을 제작했다. 반면 프란츠 마르크는 위장무늬를 그리다가 베르됭 전투에서 사망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에곤 실레는 1년간 징집을 피해다녔음에도 운 좋게 프라하에서 복무할 수 있었지만 종전 직전 독감으로 사망. 영국의 에릭 케닝턴(Eric Kennington)은 의병 제대를 하고도 재입대 하며 종군 화가로 일했다.
  • 영국의 유명한 철학자인 버트런드 러셀은 평화주의자로서 활동한 혐의로 1916년 100파운드의 벌금형을 받고 강사직에서 쫓겨났으며, 1918년에는 미국의 참전에 대해 반대하는 글을 썼다는 이유로 6개월간 옥살이를 했다. 한편 그의 제자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탈장으로 면제를 받았으나 '다른 사람이 되고 싶은 소망' 때문에 오스트리아군에 자원해서 입대했다. 게다가 거기서 더 나아가 최전선의 관측병으로 자원하는 등 만용에 가까운 행위를 했으나 운 좋게 살아남았다. 아르투어 쇼펜하우어는 임사체험만큼 훌륭한 인간을 만드는 것이 없다고 했으며 비트겐슈타인은 논리학자 이전에 훌륭한 인간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했기에 이 말을 따랐던 것으로 보인다. 러셀은 이후 장교로까지 승급했으며 전쟁터에서 중요한 철학 논문인 <논리철학논고>까지 집필하는 업적을 이룬다. 그러나 러셀의 지인이었던 앨프리드 노스 화이트헤드의 아들 에릭 화이트헤드는 전쟁에 자원해서 입대했다가 사망했다.
  • 미국의 모더니즘 시를 대표하는 시인 에즈라 파운드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서구 문명에 환멸을 느끼고 관련된 시를 여럿 발표했다. 결국 그는 미국을 떠나 영국을 거쳐 이탈리아에 정착한다. 그는 제1차 세계 대전을 유대인 자본가들로 인한 전쟁으로 바라보게 되었고 고대 그리스, 로마를 질서와 존엄이 존재했던 문명으로 동경한 탓에 두 취향이 겹치는 파시즘나치즘을 찬양하며 미국을 비판했다. 그러나 알다시피 이 두 세력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원흉이었고, 전후 파운드는 미국에 의해 반역죄로 체포되었다. 이후 그는 10년간 정신병원에 갇혔다가 동료 문학인들의 도움으로 나올 수 있었다. 제1차 세계 대전의 환멸로 인해 완전히 잘못된 길로 들어가버린 아이러니한 사례. 다만 미국에서 파운드의 시는 여전히 부정할 수 없는 걸작들로 취급된다.
  • 참호에서 오랜 시간을 버텨야 했던 병사들은 심심풀이로 탄피, 방탄모 등에 조각을 했다. 이는 후에 ‘참호 예술(trench art)'이라고 불리며 수집가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참호 예술은 제1차 세계 대전 병사가 만든 것 만이 아니라 전쟁 중의 민간인이 제작한 것, 전후에 만들어진 기념품, 나폴레옹 시절의 작품 등을 광범위하게 지칭하기도 한다. 만화가이자 디즈니 그룹의 창시자 월트 디즈니는 빈곤했던 젊은 시절, 철모를 모아 직접 조각을 하거나 그림을 그려 팔아 돈을 벌기도 했다.
  • 긴 참호 생활에서 낙 중 하나는 라디오를 듣는 것이었는데, 전선마다 라디오 전파가 잘 잡히는 정도가 매우 달랐다. 가령 서부 전선의 경우에는 북쪽은 파리 방송국의 전파가 잘 닿는가 하면, 남쪽 산악 지역은 오히려 라인강 변 독일도시들에서 쏘는 라디오 전파가 더 잘 닿는 식. 때문에 자국의 라디오보다 잘 잡히는 적국의 라디오를 듣는 경우도 많아서 대치하는 양측의 군대가 서로의 가요를 들으며 마음의 위로를 얻는 경험을 하기도 했다. 그렇게 유명해진 대표적인 노래가 티퍼레리까지는 길이 멀구나.
  • 트렌치 코트(trench coat)는 협상군이 겨울의 추위를 견디기 위해 참호의 병사들에게 지급한 옷이 시초다. 버버리 사 창립자인 토머스 버버리가 영국 육군성의 요청을 받고 레인코트로 이 코트를 개발했다 하여 버버리(Burberry) 코트라고도 한다. 전후 인기를 끌어서 토머스 버버리는 부자가 되었다.
  • 판화가 케테 콜비츠는 아들이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전사한 이후 반전주의와 평화주의의 메시지를 담은 판화와 조각들을 제작했다.

10.5. 여담

  • 병사와 초급 장교 입장에서는 가장 끔찍한 전쟁이었다. 지루한 참호전의 연속이 아닌가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참호전 항목에서도 볼 수 있듯이 참호전이 그냥 참호만 파고 니가와만 한 게 아니었고 여러 요란한 과정을 거쳤는데, 그 하나하나가 그야말로 지옥 그 자체였다. 여기에 날씨 등으로 인해 야기된 참호의 끔찍한 환경은 덤이다. 이후에 일어난 전쟁의 규모도 크고, 학살도 많았지만, 확실히 병사 입장에서는 제1차 세계 대전만큼 끔찍한 환경은 아니었다.
  • 제2차 세계 대전에 비해 인지도나 관심이 떨어진다. 한국도 마찬가지. 전쟁 초기 1년 동안만 마른 전투, 타넨베르크 전투 등 점령과 방어 등이 일어났지 나머지 3년간은 참호에서 밀고 당기고만 하는 소모전의 연속이었으며, 주 전장도 유럽으로 국한되었다는 평가가 대세다. 이는 제1차 세계 대전에 대해 주로 전쟁사적 관심을 갖는 사람이 많을 뿐, 외교사와 정치사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그 배경과 전후 결과물에 대해 진지하게 접근하는 이들의 숫자는 그리 많지 않기 때문이다. 결국 흥미의 차이일 뿐 딱히 비판받을 만한 요소는 아니다.
  • 한국에선 제2차 세계 대전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심이 떨어지기에, 독일이 일으킨 걸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흔히, 독일이 세계 대전을 두 번이나 일으켰다. 이런 식. 이 문서 제일 위에 있는 개요를 봐도 알 수 있지만, 제1차 세계 대전은 오스트리아가 세르비아를 상대로 선전포고한 게 시작이다. 다만 오스트리아는 전쟁 내내 별다른 힘을 못 쓴데다, 동맹국의 핵심은 독일이었으며 독일로 인해 세계 대전의 규모가 커졌고, 독일의 항복으로 끝난데다, 나중에 터진 제2차 세계 대전은 독일이 일으켰기 때문에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독일이 (선제적이라곤 하나) 프랑스에게 먼저 선전포고하고, 그 과정에서 중립국 벨기에를 건드려 영국까지 끌여들여 전쟁이 세계 대전으로 커진 건 사실이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한 제1차 세계 대전의 이미지인 서부전선의 총성을 울린 것은 독일이 맞다. 다만 전체적으로 보자면, 오스트리아가 세르비아에게 선전포고 한 이후 러시아가 오스트리아에게 선전포고 함으로써 오스트리아 vs 세르비아로 끝난 걸 세계 대전으로 제대로 판 키운 건 러시아다.
  • 제2차 세계 대전보다 수십 년 이른 시기에 일어난 전쟁이라서 연상이 잘 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이 전쟁도 제2차 세계 대전처럼 당시 인물들의 육성이 남아 있다. '전쟁의 전개' 문단의 영상에도 나온다.
  • 유럽 대륙에 있는 각국의 군대는 위안소를 운영했다. 이 분야의 원조는 프랑스로, 군부대 주변에 자리잡은 집창촌을 통해 성병이 장병들에게로 퍼져나가 전투력을 깎아먹는 사태에 골머리를 앓은 나머지, 이미 19세기 초부터 부대 근처의 성노동자를 등록시키고 군대가 위안소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제도를 만들었다. 이후에 얼마 지나지 않아 독일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이탈리아 왕국 등의 다른 대륙 국가들도 비슷한 제도를 앞다투어 도입했다. 그리고 1차 대전이 발발과 함께 엄청난 수의 남성들이 징집되어 군대로 들어오자, 전선 근처 뿐만 아니라 후방의 부대 주변에도 많은 수의 위안소가 설립되었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장교 위안소와 병사 위안소가 구분되어 있었으며, 장교 위안소에 더 경험이 많고 남자들의 환심을 사기 좋은 여성이 배치되었다. 특히 독일 제국이 위안소 관리에 더 신경을 썼는데, 그 이유는 전선이 프랑스나 폴란드 등의 주변국 영토에서 형성되었던 터라 현지인들이 독일군을 약화시키기 위해 일부러 성병에 걸린 여성을 위안소로 보낼까봐 걱정했기 때문이다. 반면에 영국과 미국은 청교도적 엄숙주의 때문에 위안소를 운영한 적이 없는데, 그래도 이들은 자국이 아니라 유럽 대륙에 원정을 가서 싸웠기에 부대 주변에는 이미 동맹국이 설치한 위안소가 자리잡고 있었다. 영국과 미국 본토에 있는 사령부는 자국의 장병들이 동맹국의 위안소를 사용하는 것을 금지했으나, 현지의 지휘관들은 휘하 장병들이 위안소를 드나드는 것을 묵인했다.
  • 잘 알려지진 않았지만, 제2차 세계 대전과는 달리, 네덜란드는 전쟁 끝까지 중립국으로 남았다. 이는 1830년 벨기에 분리 이후에 네덜란드는 국제 분쟁에서 중립을 철칙으로 삼았기 때문. 이웃 나라 벨기에는 중립을 선언했음에도 독일군의 침공을 받아 협상국의 대열에 섰지만, 독일군은 네덜란드는 딱히 건드리지 않았다. 네덜란드 내부에서는 친독파, 친불파들이 각각 상당한 세력을 보유했지만, 전통적인 국가 정책은 흔들리지 않았다. 이 때문에 빌헬미나 여왕은 은근슬쩍 몰래 빌헬름 2세를 도와줬고, 영국이 이를 유사 동맹국 내지 괴뢰국으로 인식하여 같이 봉쇄해버려서 네덜란드와 영국은 과거 스페인을 탈락시키고 경쟁하던 그때보다도 더 사이가 나빠졌다. 이 중립정책은 1940년까지 지켜졌지만, 네덜란드도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나치 독일의 침공을 받고 연합국의 대열에 섰다.
    • 이 때문에 프랑스 침공 직전까지만 해도 네덜란드를 스위스처럼 유럽 내 중립국이자 안전지대로 생각하고 그곳으로 피난을 간 사람들이 제법 있었다. 그 유명한 안네의 일기의 작가인 안네와 그 가족이 바로 이런 경우로, 유대인 박해를 피해 독일로부터 안전하다고 판단되었던 네덜란드로 이사를 갔다.
  • 2011년 현지 시각으로 5월 5일 제1차 세계 대전 참전자 중 전투를 경험한 최후의 생존자였던 영국인 클로드 스탠리 슐스(14살 때 해군으로 참전)가 호주에서 사망했다. 기사 친지들의 증언에 의하면 슐스는 두 차례의 세계 대전에 모두 참전했기에 평생 동안 전쟁을 혐오했다고 한다. 전투를 경험하지 않은 최후의 생존자 플로렌스 베아트리스 그린(영국 공군 여성 항공대)도 2012년 2월 4일자로 사망했다. 이것으로 '누군가가 경험한 제1차 세계 대전'은 21세기에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이제 1918년 이전에 태어난 사람들까지 모두 사망한다면 제1차 세계 대전기 사람은 모두 사라진다.
  • 제2차 세계 대전과 시간 차이가 얼마 안 나는 만큼 제1차 세계 대전에서 활약한 인물들이 이를 기반으로 후일 제2차 세계 대전에서 각국의 중요인물이 되어 다시 충돌하게 되었다. 우선 영국에선 윈스턴 처칠이 그러했다. 명성을 떨친 제2차 세계 대전 때와 다르게 제1차 세계 대전 때는 실책을 연발했다. 처칠의 군사적인 식견은 그야말로 형편없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도 굵직한 실패의 순간, 혹은 실패할 뻔한 순간의 배후에는 항상 처칠이 있었다. 다만 제2차 세계 대전 때에는 최소한 결정적인 순간에 자신을 말리던 사람들의 말을 들어준 경우가 많았음이 다행. 나름대로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얻은 교훈이 있긴 한 모양인 것 같았으나, 사실 제2차 세계 대전 때도 실패를 많이 한 편이었다. 그래도 제1차 세계 대전의 갈리폴리 전투만큼 큰 삽질은 없었고 주위에 말린 사람도 많았고 또, 정치 및 외교에서는 거대한 족적을 남겨서 그의 삽질이 가려진 것일 뿐이다. 전쟁 전에 해군 장관이었던 그는 오스만이 영국과의 동맹을 제안했을 때 반대한 관료였고, 영국에서 건조되던 오스만의 전함을 압류해 오스만을 적으로 돌렸던 장본인이다. 처칠은 전쟁 중 갈리폴리 상륙작전을 입안했지만 이 작전의 거대한 실패로 정치적 인생이 끝나 의전직에나 있다가 퇴임해 전방의 육군 중령이 되어 활로를 모색해야 했었다. 그나마 금수저라 곧 군수장관으로 임명되어 당시 막 개발되던 전차의 개발을 지지해 주는 등의 공적으로 그나마 만회했다.
  • 오스트리아 출신의 아돌프 히틀러독일군에 자원입대한다. 정확히는 바이에른 왕국군. 바이에른 왕국이 독일 제국 소속이긴 하나, 여타 다른 국가들의 자치국과는 달리 독자적인 군대도 보유할 수 있었다. 입대 후 연락병이라는 위험한 임무를 수행하며 1급 철십자 훈장을 받았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히틀러에게 이 훈장이 수여되어야 한다고 추천한 사람은 유대인 장교였다. 이 사람은 제2차 세계 대전 때까지도 살아 있었는데, 은혜를 기억한 히틀러가 미국으로 이주하도록 도와주었고 홀로코스트를 피해 미국에서 편안히 여생을 마쳤다. 히틀러는 개인적으로는 작은 인연이나 은혜를 잊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의외로 영상 자료도 꽤 남은 편이지만 당대 기술의 한계로 무성필름이다.
  • 개기일식을 이용한 중력렌즈 효과 관측을 통해 일반 상대성 이론을 검증하려던 시도가 이 전쟁으로 인해 차질을 빚었다. 1914년 8월 21일에 러시아 제국 서부를 통과하는 개기일식이 예정되어 있었고[50] 이 기회를 활용하여 러시아 제국 각지에서 세 개의 관측팀이 관측을 시도할 예정이었는데 하필 한 팀이 독일 팀이었고 관측 준비 중에 전쟁이 발발하는 바람에 해당 관측팀이 그대로 러시아에 억류되었고 나머지 두 팀은 기상 문제로 관측에 실패했다. 키예프에서 관측한 미국 탐사대 중에는 대논쟁으로 유명한 히버 커티스도 있었다. 결국 몇 차례의 시도 끝에 전쟁이 끝난 1919년에야 일식을 통한 검증에 성공할 수 있었다.
  • 당시 조선의 독립운동 진영도 대체적으로 제1차 세계 대전에 상당한 관심을 보였으며 대체적으로 협상국에 지지를 보내는 편이었다.
  • 2018년 11월 11일 프랑스에서 종년 100주년의 성대한 기념식이 열렸다.기사

11. 연표

1914년
날짜 사건
6월 28일 사라예보 사건 : 사라예보에서 프란츠 페르디난트 황태자 부부 암살 사건
7월 5일 독일 제국빌헬름 2세, 독일-오스트리아 동맹에 의거해 개전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지지 천 명
7월 28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세르비아 왕국에 선전포고, 세르비아 침공
7월 29일 러시아 제국, 세르비아 왕국을 위해 총동원령 발동
8월 1일 독일 제국, 러시아 제국선전포고
8월 3일 독일 제국, 프랑스에 선전포고, 벨기에 침공. 슐리펜 계획 발동
8월 4일 영국, 독일에 선전포고
8월 6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러시아 제국에 선전포고
8월 23일 독일군, 프랑스 침공 시작
8월 23일 일본 제국, 영일동맹에 근거해 독일 제국에 선전포고
8월 25일 일본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선전포고
8월 26일 러시아군, 타넨베르크 전투에서 독일군에게 참패
8월 28일 헬리골란트-바이트 해전
9월 6일 마른 전투 개시
9월 11일 호주군 독일령 뉴기니 침공.
9월 14일 마른 전투의 실패로 독일군 총참모장 소 몰트케가 해임되고 에리히 폰 팔켄하인으로 교체.
10월 18일 1차 이프르 전투. 협상군이 방어에 성공하다.
10월 28일 독일 경순양함 SMS 엠덴, 영국령 페낭 항구 습격
10월 29일 오스만 제국이 독일 제국과의 동맹에 의거해 참전. 서부 전선에서는 참호전 양상
11월 2일 러시아 제국, 오스만 제국에 선전포고. 캅카스 방면 공세 시작
11월 6일 영국군이 오스만령 이라크에 상륙.
11월 7일 일본군, 중국 칭다오에 있는 독일군 기지 함락
11월 9일 독일 경순양함 SMS 엠덴, 영국군에 격침
12월 25일 크리스마스 휴전
1915년
1월 19일 제1차 체펠린 호의 런던 공습
1월 24일 도거 뱅크 해전. 패배 후 독일해군은 신중론으로 전환.
2월 19일 영국군, 다르다넬스에 있는 튀르키예군 요새 폭격
4월 25일 갈리폴리 전투 시작
5월 7일 독일군, U보트로 영국의 루시타니아 호 격침
5월 23일 이탈리아 왕국, 3국 동맹을 깨고 협상국에 참전. 전 동맹국인 독일 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선전포고. 전면공세 시작
6월 23일 이탈리아군, 오스트리아-헝가리령 슬로베니아 공격. 13회에 걸칠이손초 전투 발발
8월 5일 독일군, 러시아 제국령 폴란드의 바르샤바 점령
9월 25일 루스 전투 개시
12월 19일 협상국, 갈리폴리에서 후퇴
1916년
1월 27일 영국, 징병제 개시 (이전까지 지원병제)
2월 16일 러시아군, 오스만 제국의 에르주룸 점령
2월 21일 베르됭 전투 시작
4월 15일 러시아군, 오토만 제국의 트레비존드 점령
4월 29일 메소포타미아의 영국군, 쿠트에서 오스만군에게 항복
5월 31일 유틀란트 해전
6월 4일 러시아군, 오스트리아-헝가리군에 대해 브루실로프 공세 개시
6월 10일 아랍 반란 시작
7월 1일 솜 전투 시작
8월 10일 브루실로프 공세 성공적으로 종결
8월 29일 독일군 총참모장 에리히 폰 팔켄하인이 해임되고 파울 폰 힌덴부르크가 취임. 이때부터 에리히 루덴도르프의 파시즘 체제다.
9월 15일 영국군, 솜에서 세계 최초로 전차를 대량으로 운용
11월 21일 독일군, 기뢰로 영국의 브리타닉 호[51] 격침
12월 7일 로이드 조지, 영국 수상이 됨
1917년
2월 1일 독일 제국, 무제한 U보트 작전 개시
3월 8일 러시아 제국에서 2월 혁명 발발, 니콜라이 2세 퇴위. 러시아 제정 붕괴, 임시 정부 수립
3월 9일 러시아군의 캅카스 전선 붕괴.[52]
3월 11일 영국군이 오스만 군을 격파하고 바그다드 점령. 오스만 제국은 페르시아 작전을 중단.[53]
4월 6일 영국의 항구로 향하던 미국 수송선들이 U보트에 격침되자 미국, 독일 제국에 선전포고
4월 9일 2차 아라스 전투 시작
4월 16일 프랑스군, 니벨 공세를 시작하나 실패
7월 1일 러시아 임시 정부, 케렌스키 공세를 실시하나 참패
7월 6일 이프르 부근에서 영국군이 공세를 감행한 메시네 전투 시작
7월 31일 제3차 이프르 전투 시작
10월 24일 카포레토 전투. 이탈리아군, 오스트리아군에 참패
11월 6일 영국군, 서부 전선 공세 개시
11월 7일 러시아 공화국에서 10월 혁명, 임시 정부 붕괴, 볼셰비키 집권
11월 10일 이탈리아군은 베네치아에서 30 km떨어진 피아베 강까지 퇴각
11월 20일 캉브레에서 영국군이 전차 380대를 투입하여 승리
12월 5일 러시아-독일 제국, 휴전하고 정전 협상에 들어감
12월 9일 영국군, 오스만 군을 격파하고 예루살렘 점령
1918년
2월 18일 독일군, 러시아 공격 재개
3월 1일 독일군, 키예프 점령
3월 3일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 체결, 러시아-독일 정전. 러시아, 협상국에서 공식 탈퇴
3월 21일 서부전선 독일군 최후의 공세인 루덴도르프 공세가 시작되다
3월 29일 프랑스, 포슈 원수를 협상국 서부 전선 최고 사령관에 임명
4월 9일 독일군, 벨기에의 플랑드르 지역에서 공세 시작
5월 7일 동맹국과 루마니아 왕국부쿠레슈티 조약 체결. 루마니아의 반식민지화.
7월 15일 독일군 제2차 마른 전투 개시하나 패배, 독일군 후퇴
8월 8일 협상군 최후의 공세 백일 공세 개시. 독일군의 전선 붕괴 시작
9월 2일 독일군, 힌덴부르크 선으로 퇴각
9월 14일 오스만군, 바쿠점령
9월 19일 영국군, 메기도 전투에서 승리
9월 26일 프랑스군과 미군의 아르곤 공세 시작
9월 29일 불가리아 왕국, 협상국에 항복
10월 4일 독일 제국, 협상국에 휴전 요청
10월 17일 독일군의 힌덴부르크 선 붕괴
10월 24일 비토리오 베네토 전투 개시. 이탈리아, 카포레토 전투에서 잃어버린 영토를 회복하기 시작
10월 29일 킬 군항의 반란
10월 30일 오스만 제국, 협상국에 항복
11월 1일 영국군, 모술 점령
11월 3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협상국에 항복
11월 9일 독일 제국. 빌헬름 2세 퇴위
11월 11일 독일 제국, 협상국과 제1차 콩피에뉴 휴전협정(Compiegne armistice) 체결.[54] 적대 행위 공식적 종결
1919년
1월 4일 파리 강화 회의 열림
6월 28일 베르사유 조약 체결 (독일)
9월 10일 생제르맹 조약 체결 (오스트리아)
7월 21일 스캐퍼플로 독일 대양함대 자침 사건
11월 27일 뇌이 조약 체결 (불가리아)
1920년
1월 첫 국제 연맹 회의가 런던에서 개최(제1차 세계 대전의 공식적 종결)
6월 4일 트리아농 조약 체결 (헝가리)
8월 10일 세브르 조약 체결 (오스만 제국)

11.1. 연도별 주요 전투

{{{#fff {{{+1 [[제1차 세계 대전|{{{#fff 제1차 세계 대전}}}]]의 전투 목록}}}}}}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font-size: 0.92em; letter-spacing: -0.4px; word-break: keep-all"
※문서가 생성된 전투만 기재
전투 이름 교전국
<rowcolor=#FFF> 공격측 방어측
<colbgcolor=#b31c31> 세르비아 침공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세르비아 왕국 국기.svg 세르비아 왕국
벨기에 침공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왕국
국경전투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왕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타넨베르크 전투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제1차 헬리골란트-바이트 해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독일령 사모아 점령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제1차 마른 전투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뉴기니 전투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프셰미실 공방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제1차 아라스 전투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제1차 이프르 전투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왕국
칭다오 전투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코로넬 해전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탕가 전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메소포타미아 침공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포클랜드 해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제1차 아르투아 전투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사르카므쉬 전투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카르파티아 전투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도거 뱅크 해전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무제한 잠수함 작전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대서양의 선박
다르다넬스 해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제2차 이프르 전투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왕국
갈리폴리 전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고를리체-타르누프 공세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제2차 아르투아 전투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이손초 전투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말라즈기르트 전투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오소비에츠 전투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코스투리노 전투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쿠트 포위전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베르됭 전투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나로치 호수 공세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유틀란트 해전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트렌티노 공세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브루실로프 공세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솜 전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제2차 아라스 전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비미 능선 전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868-1921).svg 캐나다 자치령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니벨 공세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샹파뉴고지 전투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제2차 가자 전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오트란토 해협 해전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60고지 전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케렌스키 공세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공화국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왕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스샹달 전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머러셰슈티 전투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공화국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왕국
알비온 작전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말메종 전투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카포레토 전투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베르셰바 전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제1차 그라파산 전투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제2차 헬리골란트-바이트 해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루덴도르프 공세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왕국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제1공화국
미하엘 공세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868-1921).svg 캐나다 자치령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제브뤼헤 급습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피아베강 전투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제2차 그라파산 전투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제2차 마른 전투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수아송 전투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백일 공세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왕국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868-1921).svg 캐나다 자치령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제1공화국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아미앵 전투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생미이엘 공세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뫼즈-아르곤 공세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셀 전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868-1921).svg 캐나다 자치령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제3차 그라파산 전투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비토리오 베네토 전투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기 구분은 전투 및 교전 발생 일자 기준, 전투 기간은 개별 문서 확인 }}}}}}}}}
연도 전투 이름
1914년 사라예보 사건[55]
세르비아 침공
벨기에 침공
국경 전투
리에주 전투
타넨베르크 전투
제1차 마른 전투[56]
뉴기니 전투
프셰미실 공방전
제1차 아라스 전투
제1차 이프르 전투
탕가 전투
메소포타미아 침공
헬리골란트-바이트 해전
칭다오 전투
코로넬 해전
바스라 전투
포클랜드 해전
제1차 아르투아 전투
사르카므쉬 전투
크리스마스 휴전
1915년 카르파티아 전투
제1차 비미 능선 전투
제2차 이프르 전투
갈리폴리 전투
고를리체-타르누프 공세
이손초 전투[57]
도거 뱅크 해전
제2차 아르투아 전투
1916년 베르됭 전투
유틀란트 해전[58]
트렌티노 공세
브루실로프 공세
솜 전투[59]
아랍 반란
1917년 제2차 아라스 전투
제2차 비미 능선 전투
니벨 공세
샹파뉴고지 전투
오트란토 해협 해전
샹파뉴고지 전투
케렌스키 공세
파스샹달 전투[60]
머러셰슈티 전투
알비온 작전
말메종 전투
러시아 혁명
바그다드 함락
팔레스타인 전투
카포레토 전투
제1차 그라파산 전투
예루살렘 전투
1918년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
[61]
루덴도르프 공세[62]
미하엘 공세
제브뤼헤 급습
피아베강 전투
제2차 그라파산 전투
제2차 마른 전투
수아송 전투
제2차 솜 전투
아미앵 전투
벨로숲 전투
백일 공세
뫼즈-아르곤 공세
생미이엘 공세[63]
셀 전투
제3차 그라파산 전투
비토리오 베네토 전투
무드로스 정전 협정[64]
빌라주스티 정전 협정[65]
킬 군항의 반란
[66]

12. 사용 장비

제1차 세계 대전기의 연합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564d44> 제1차 세계 대전
연합군보병장비
파일:영국 국기.svg · 파일:러시아 국기.svg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개인화기 <colbgcolor=#564d44> 소총 <colbgcolor=#564d44> 볼트액션 리-메트포드, 리-네이비, 리-엔필드, 리-스피드, P14, M1917 엔필드, 크로파첵 M1884, 르벨 M1886, 베르티에, K11, 베테를리 M1870/87, M1870/87/15, 모신나강, 베르단, 그라, 샤스포 M1866/74, 무라타, 카르카노, 크라그-에르겐센, 마우저 M1889, 마우저 M1893, 로스 소총, 30년식 소총, 38식 소총, 스프링필드 M1903
레버액션 / 폴링ㆍ롤링ㆍ리프팅블록 / 트랩도어 스나이더 Mk.III, 콤블랭 M1870, 레밍턴 롤링블럭, 알비니-브랭들랭, 크른카 M1867, 밀로나스 M1872, 스프링필드 M1873, 마티니-헨리, 윈체스터 M1886, 윈체스터 M1892, 윈체스터 M1894, 윈체스터 M1895, 새비지 M99D
반자동 레밍턴 모델 8, M1907 SL, 뫼니에 M1916, RSC M1917, RSC 1918, MAB 18, M1903 Mk 1, 브리티쉬 1918 파콰르-힐, 히노 코무로 M1904E, 류장군 소총E
자동 리베롤 1918E, 윈체스터 버튼 1917E, M1907/17, 체이-리고티E, 표도로프, M1918 브라우닝
기관단총 OVP 1918, MIDA 비릴로E, 쇼샤-리베롤 기관단총E
산탄총 M1897, M1912, 레밍턴 모델 11, 레밍턴 M10, 셰그렌 산탄총, 스티븐스 M520
권총 리볼버 콜트 M1873, 엔필드 Mk.II, 웨블리, MAS 1873, 보데오 M1889, S&W M10, 웨블리-포스베리E, 콜트 M1901, Mle 1892, 26년식 권총, 나강 M1895, S&W M3, S&W 트리플 락, 콜트 M1909, M1917
자동권총 C96, 마스E, FN M1900, FN M1903, 콜트 M1903, 히노-코무로 권총, 새비지 M1907, FN M1910, 웨블리 권총, 리센티 M1910, M1911, 루비, 스타 M1914, 베레타 M1915/17
신호권총 웨블리&스콧 신호탄 발사기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마드센 M1902, 루이스, 호치키스 M1909, CSRG M1915, 휴오트E, SIA M1918
중기관총 가드너, 맥심, M1895/14 콜트-브라우닝, 빅커스, 호치키스, 생테티엔 M1907, PM M1910, 38식 기관총, 3년식 기관총, 페리노 M1908, 피아트-레벨리 M1914, 빌라르-페로사 M15, M1917 브라우닝
박격포 3인치 스토크스 박격포
유탄발사기 마티니 유탄발사기, No.2 총류탄, 비방-베시에, 댜코노프 총류탄발사기E
유탄 No.1 수류탄, 밀즈 수류탄, RG-14, F-1, Mk.1, Mk.2, Mk.3
화염방사기 실트 화염방사기
경야포 빅커스 Q.F. Gun, Mk II, 37mm Mle 1916 보병포
냉병기 도검 M1902 세이버, U.S M1917 트렌치 나이프, U.S M1918 Mark I 트렌치 나이프, 구군도, 해군단검, 무라타도, 양손세이버, 32식 군도, 13년식 총검, 30년식 총검
※ 윗첨자E: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무기체계 둘러보기 : 파일:영국 국기.svg · 파일:러시아 국기.svg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1차 세계 대전기의 동맹국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b8a176,#897147> 제1차 세계 대전
동맹군보병장비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개인화기 <colbgcolor=#b8a176,#897147> 볼트액션 소총 Gew71, 베르단, 그라 M1874, 크로파첵 M1881, M1893, Gew88, 마우저 M1890, 마우저 M1893, Gew98, 마우저 M1903, M1886, M1888, M1890, M1893, M1895, 만리허-쇠나워, 슈타이어 M.14, 모신나강 M1891
후미회전식 / 레버액션 / 리프팅블록 / 폴링블록 / 트랩도어 벤츨 M1854/67 & M1862/67, 베른들-홀룹 M1867, 스나이더 Mk.III, 마티니-헨리, 윈체스터 M1866, 크른카 M1867
반자동소총 젤프스트라더 M1906E, 몬드라곤 M1908, 젤프스트라더 M1916
기관단총 / 기관권총 헬리겔 1915E, M1912/P16, MP18, 슈바르츠로제 기관단총E
권총 <colbgcolor=#b8a176,#897147> 리볼버 가서 M1870, 라이히 M79, M83, 마우저 C78, 라스트&가서 M1898, 나강 M1895, S&W M3
자동권총 보르하르트 C93, 마우저 C96, FN M1900, 만리허 M1901, 만리허 M1905, FN M1903, 드라이제 M1907, 로트-슈타이어 M1907, 슈타이어 M1908, M1909, 루거 P08, 마우저 M1910, 베르크만 M1910, 슈타이어 M1912, 프로머 슈토프, 베홀라 M1915, 마우저 M1914
조명탄 권총 M1894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마드센 M1902, 호치키스 M1909, MG15nA, MG08/15, MG14/17, MG08/18, M.17, M.18
중기관총 몽티니, 호치키스 M1900, 스코다 M1909, 슈바르츠로제 M.07/12, MG08, MG14, 가스트 기관총
수류탄 M1913, M1915nA, M15, M16, M17, 파이프 수류탄
대전차화기 탕크게베어 M1918, 집속수류탄
화염방사기 클라인플라멘베르퍼 M1912, 플라멘베르퍼 M1916, 벡셀아파라트 M1917
박격포 그라나트베르퍼 16, 미넨베르퍼
※ 윗첨자E: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무기체계 둘러보기 :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1차 세계 대전기의 협상군 기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564d44> 제1차 세계 대전
협상군기갑장비
파일:영국 국기.svg · 파일:러시아 국기.svg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전차<colbgcolor=#564d44> 중전차/지상함 리틀 윌리, Mk 시리즈, Mk. I, Mk. II, Mk IV, Mk V
중형전차 생샤몽, 슈나이더 CA1, Mk. A 휘펫, Mk. B, Mk. C 호넷
경전차 르노 FT, M1917 경전차, 포드 3t 전차
프로토타입 중전차/지상함 Mk. VI, 피아트 2000, 플라잉 엘레펀트, 차르 전차, 베즈데코드, 홀트 가스-일렉트릭, FCM 1A, 홀트 150t 필드 모니터, 200t 트렌치 디스트로이어, 맥피 지상함 1916-17
자주포 건 캐리어 Mk. I, 240mm 캐터필러 자주포, M1919 16인치 자주포, GPF 194mm 야포
탱켓 모리스-마르텔 탱켓
장갑차 가포드-푸틸로프 장갑차, 푸조 장갑차, 푸조 146, 르노 ED, 오스트로-다임러 장갑차, Mk. IX, 오스틴 장갑차, 롤스로이스 장갑차, 데이빗슨 캐딜락, 킹 장갑차, 란체스터 장갑차, 피어리스 장갑차, 화이트 장갑차, 테르니 장갑차, 란치아 1ZM
차량 홀트 트랙터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무기체계 둘러보기 : 파일:영국 국기.svg · 파일:러시아 국기.svg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 파일:tank_icon__.png 대전기 기갑차량 }}}
}}}}}}


제1차 세계 대전기의 동맹국 기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2e2e2e,#fefefe> 제1차 세계 대전
동맹군기갑장비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전차
<colbgcolor=#2e2e2e,#897147> 중전차 A7V
프로토타입 LK I, LK II, A7V, A7VU, A7V 대공전차, 슈투름바겐, 트레파스바겐, 그로스캄프바겐, PzZug II 장갑열차, 오리온바겐, 오버슐레지엔
노획전차 Mk. IV, 가포드-푸틸로프 장갑차, Mk. A 휘펫, FT-17
장갑차 E-V/4 에르하르트, P.A.1, 오스트로-다임러 장갑차, 란치아 안살도 장갑차, 뷔싱 A5P, 롬펠 장갑차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무기체계 둘러보기 :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 파일:tank_icon__.png 대전기 기갑차량 }}}}}}}}}


제1차 세계대전의 연합군 항공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color=#564d44><colbgcolor=#564d44> 전투기 <colcolor=#0080ff><colbgcolor=#564d44> 영국 빅커스 F.B.5 건버스, RAF 빅커스 뱀파이어, 빅커스 F.B.12, 빅커스 E.S.1, 브리스톨 스카웃, 브리스톨 M.1, 브리스톨 F.2, 에어코 DH.2, RAF F.E.8, 솝위드 펍, RAF S.E.5, 솝위드 삼엽기, 솝위드 카멜, 솝위드 돌핀, 솝위드 스나이프, 솝위드 1 1/2 스트러터
프랑스 모랑-솔니에 L, 모랑-솔니에 N, 뉴포르 시리즈, 스패드, HD.1
폭격기 경 폭격기 암스트롱 휘트워스 F.K.8(영), 브레게 14(프) RAF R.E.8(영), 브와쟁 III, 쿠드롱 G.3(프), 마틴 NBS-1(미)
중 폭격기 핸들리 페이지 폭격기 시리즈(영), 빅커스 비미(영), 일리야 무로메츠(러), 쿠드롱 G.4(프), 카프로니 시리즈(이), 에어코 DH.10(영), 마틴 MB-1(미)
기타 항공기, 요격기, 훈련기 빅커스 F.B.19 정찰기(영), PB.29E/31E 슈퍼마린 나이트호크(영), 샘슨 2(프), 커티스 JN 제니(미), 커티스 모델 D 함재 정찰기(미)
}}}}}}}}} ||


제1차 세계대전의 동맹국 항공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2e2e2e> 전투기 <colbgcolor=#ffffff,#191919>포커 아인데커, 알바트로스 D시리즈, 할버슈타트 시리즈, 포커 Dr.1, 지멘스-슈케르트 DDr.I, 포커 D.VII
폭격기 타우베, 고타 G.IV, AEG G.IV, 한자-브란덴부르크 G.I(오-헝), 로이드 40.08 루프트크로이저(오-헝)
정찰기 로너 B.II, 쉬테란츠 C.I, LFG 슈트랄준트 V.19 푸트부스
공격기 AGO S.I, 알바트로스 J.1
수상기 프리드리히샤펜 FF.60
기타 항공병기 체펠린 비행선, M.III 코르팅
}}}}}}}}} ||


13. 관련 문서

13.1. 관련 용어

13.2. 관련 인물

기껏해야 20년 정도의 전간기 이후 다시 제2차 세계 대전이 터졌기 때문에 상당수 인물들이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인물들과 겹친다.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주요 지도자는 ▲표시, 주요 군인(장군 혹은 제독)들은 ★표시함. 이 시기에는 이들이 어떤 위치였는지도 보면 흥미로운 부분이다.

13.2.1. 협상국

13.2.2. 동맹국

  • 오스만 제국
    • 이브라힘 하키 파샤 : 제1차 세계 대전기 오스만 제국의 실권자. 이하 파디샤 둘은 그와, 이후의 통일진보위원회 3두정의 허수아비였다. 그에 대한 역풍으로 후술할 엔베르가 그에 걸맞는 비참한 최후를 맞으면서, 그리스와 터키의 전쟁을 거쳐서 케말과 옛 오스만 압뒬메지트 2세가 칼리프로서 병존하는 체제가 된다. 처음에 케말은 압뒬메지트에게 파디샤에 올라 오스만 제국을 부활시켜 달라고 했지만, 압뒬메지트는 무슨 생각인지 자기 아들을 대신 황제로 만들라고 하여, 평의회의 거절을 당한다. 그 이후 케말은 압뒬메지트가 너무 강한 영향력을 발휘한다고 여겨, 자신의 손으로 다시 부활시키려던 제국 체제를 없애버렸다.
    • 메흐메트 5세 - 오스만 제국 파디샤
    • 메흐메트 6세 - 오스만 제국 파디샤
    • 압뒬메지트 2세 - 오스만 제국의 칼리프, 파디샤가 아니다. 이 문제로 케말과 계속 협상하다가, 압뒬메지트의 과한 요구를 케말이 무시하면서 무위가 된다.
    • 이스마일 엔베르 : 동시기 같은 진영의 루덴도르프 그 이상의 최악으로 악랄한 자다. 루덴도르프도 파시스트이지만, 적어도 벨기에 학살 이후에는 그 외에는 자국민은 거의 손 만 안대었다. 대신, 파시즘 정치로 완전히 이들을 반빈사로 떨어뜨렸다. 반면, 이 자는 오스만 통일진보위원회의 3두 지도자들 중 1위로서, 아르메니아 대학살을 직접 계획하고 총지휘했으며, 무리하게 캅카스를 전부 취하려다 역풍 맞고 제국 망하게 한 원흉이다.
    •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
    • 이스메트 이뇌뉘▲(케말의 후임)
    • 탈라트 파샤 - 역사시뮬레이션 대전략 대체역사 게임인 하츠오브아이언4에서, 케말 체제의 터키로 옛 제국이 부활 포커스 트리를 진행하면, 아나톨리아 임시국의 지도자가 되는 그 사람이다. 이 경우, 숙청 대상인 장교들의 반발 내전을 진압하고 몇 가지 조치를 취하면 제국을 다시 만들어서 압뒬메지트 2세를 황제로 만들고, 그리스와 불가리아에 대한 재정복을 통해 협상국에 복수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13.3. 창작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1차 세계 대전/창작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1차 세계 대전/창작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1차 세계 대전/창작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3.1. 대체역사물

제2차 세계 대전에 밀려서 존재감이 미미한 편이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승자와 패자가 뒤바뀌었더라면 파시즘이 전세계를 장악한 극도로 억압적이고 폭압적인 상황이 나왔겠지만 제1차 세계 대전에선 제국주의 열강들이 맞부딪친 전쟁이기에 선과 악이 뚜렷하지 않았기 때문.

독일을 비롯한 동맹국이 이겼다면 프랑스와 영국의 몰락으로 인해 세계가 혼란에 빠지고 민주주의가 크게 몰락했을 거라는 추측이 있긴 하지만, 지나치게 한쪽만 극단적으로 본 시각이다. 당시 독일과 오스트리아 제국도 의회가 있었고, 민주주의도 서서히 발전하고 있었다. 특히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자유주의 풍토가 매우 강했고, 새로운 황제 카를 1세도 자유주의적인 개혁에 호의적이어서 오스트리아-헝가리의 민주주의가 몰락했을 가능성은 낮다. 독일 제국은 매우 군국주의적이긴 했지만, 민주주의와 자유주의를 원하는 세력도 만만치 않았다. 만약 그게 아니었으면 사민당이 제국 여당이었을 리도 없고, 스스로 바이마르 공화국이 설립되었을 리도 없다
다만 동맹국의 패배로 동맹국 소속이었던 세 제국들이 해체되어 군주제가 공화제로 대체되어 주요 정치 체제에서 밀려났었던 만큼 동맹국의 승리시 군주제가 오늘날처럼 약소화되진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핵심 소재로써는 아쉽지만, 2차 세계대전의 주요 원인이자 여러 신생 국가들이 나타난 만큼 2차 세계대전의 대체역사에서 조금이라도 다루는 편이다. 이를테면 니벨 공세가 현실보다 더 참혹하게 실패하며 프랑스가 조기 이탈한다던가, 동맹국은 패배하지만 적백내전의 결과가 달라져 소련이 형성되지 않는다던가, 아예 세르비아가 배상하고 1차 세계대전 판도와는 큰 차이 없이 2차 세계대전까지 이어지는 등 다른 소재를 사용하는 대체역사물 안에서도 1차 세계대전이 현실과 조금 차이가 생기기도 한다.

1차 세계대전만 온전히 담아낸 대체역사일 경우, 미국의 협상국 참전이 거의 배제된다는 것도 특징이다. 사실 독일의 패전도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모두가 지친 상황에 혼자 멀쩡했던 미국이 참전하여 밀린 것도 사실인 만큼 치머만 전보를 보내지 않았다던가, 무제한 잠수함 작전을 개시하지 않는 등 여러 이유로 미국의 참전이 무산되고 유럽 열강끼리의 싸움으로 결판이 나는 경우가 존재한다.[70]
  • 카이저라이히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군은 빌헬름 2세의 군부 견제로 인해 무제한 잠수함 작전이 재개되지 못 했고 이로 인한 미국의 전쟁 불참으로 촉발된 스노우볼이 굴러 세계 대전에서 독일군이 승리했다. 카이저라이히 세계관의 미국은 협상국과 동맹국 양측 모두에게 공평히 물량을 뿌려주었다고. 이로 인해 독일과 오헝, 그리고 오스만은 대전쟁(Weltkrieg(벨트크리크), 독일이 승리했고 그래서 제1차 세계 대전도 영어인 The Great War가 아니라 독일어인 Weltkrieg로 표기)의 승리자로서 세계에 올라섰고 러시아 내전은 볼셰비키를 두려워한 독일의 전폭적인 지원으로 멘셰비키와 백군 연합의 승리로써 끝났으나 대전쟁에서 패배하지 않은 독일은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의 모든 땅을 잡아먹었다. 그리고 패배국 프랑스는 독일군의 맹공에 완전히 무너져내려 짧은 내전 이후 공산화, 정확히는 노동자국가화 된다. 이 세계관에선 러시아 내전에서 트로츠키와 레닌 등의 주요 적계 인사들이 모두 현실보다 더 일찍 사망하고, 콜차크, 코르닐로프 등의 백계 주요 인사들의 명줄이 길어지면서 볼셰비키와 공산주의는 과격 좌익 사상계의 주류가 되지 못했다. 그 대신 고도의 공업화 과정에서 만들어진 빈민 노동 계층이 마르크시즘을 흡수하여, 노조들이 정치 체계를 이루는 생디칼리슴이 주류가 된다. 그리고 프랑스 제3공화국 정부는 아프리카 식민지로 도망친다. 독일 해군을 한계까지 밀어붙였으나 결국 식민지들의 연속적인 봉기와 영국 내 노동자들의 봉기에 의해 한계에 다다라 패전한 영국도 프랑스를 따라서 국민들의 왕가에 대한 반감으로 공산화, 이로 인해 윈저 왕조는 캐나다로 망명하고, 패배한 두 식민제국의 영향력을 모두 독일이 흡수하며 동시에 전제군주제를 적극적으로 지원한다. 청나라같은 경우에는 프랑스 코뮌의 지원을 받은 장제스의 북벌로 인해 완전히 무너지기 일보 직전이었던 중화민국 북양정부를 독일이 직예군벌의 실권자 우페이푸를 지원해서 온전하게 살려냈고, 이후 아이신기오로 푸이를 불러와서 청 조정을 만들고, 다른 군벌도 조정에 법적으로는 충성하며 중국을 안정화시킨다. 또한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 당시 얻은 중앙 ~ 동유럽 지역들에는 러시아가 내전으로 혼란한 사이를 틈타 재빠르게 독일이 독일계 귀족과 왕족들을 주요 정치적/외교적 인사들로 배치함으로써 '라이히스팍트' 세력권을 만들어냈다.
    이러한 여러 가지 상상력과 그럴듯한 사건들을 동원해 매력적인 세계관을 구축했다. 그리고 이러한 세계관의 정립된 설정은 1936년 이전의 이야기와 제2차 미국 내전, 스페인 내전, 제2차 세계 대전 같은 것들뿐이다. 플레이어들은 자신이 원하는 국가를 붙잡고 원하는 방향으로 이어나갈 수 있도록 했고, 이는 큰 인기를 끌어 하츠 오브 아이언 4가 카이저라이히 구동기라는 별명을 갖게 만들었다.
  • 레비아탄, 베헤모스, 골리앗 - 스콧 웨스터펠드 지음. 기계 병기로 싸우는 동맹국과 생체 병기로 싸우는 협상국 사이에서 오스트리아의 숨겨진 어린 황태자가 주인공인 대체역사소설. 아쉽게도 국내엔 미번역된 작품이다. 2025년에는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된다.
  • The Great Martian War - 히스토리 채널에서 만든 제1차 세계 대전과 H.G.웰즈우주전쟁을 크로스오버 한 페이크 다큐멘터리. 1913년 제1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기 직전 화성인 군대가 독일을 공격해 독일 본토는 쑥대밭이 되고 영국 및 프랑스, 그리고 프랑스로 피신한 독일군과 이후 참전하게 되는 미군이 화성인을 상대로 서유럽에서 격전을 벌인다는 내용. 여기선 슐리펜 계획이 프랑스를 공격하는 게 아니라, 화성인 군대를 피해 모든 독일군 및 독일 민간인들을 프랑스로 대피시키는 작전으로 나온다. 제1차 세계 대전의 전개와 원작 소설의 전개를 훌륭하게 섞은 작품이다.
  • 타임라인-191 시리즈에서는 미국이 프랑스영국의 분탕으로 남북으로 분단된 후 북부 미국은 동맹국을 남부 미국은 협상국을 지지하고 결국 북부미국의 산업력덕에 동맹국이 승리한다.
  • 주간 신에서는 타임라인-191 시리즈처럼 남북 전쟁이 영국의 개입으로 전쟁이 10년 더 길어진다. 근데 이것 때문에 영국과 미국 관계가 박살나서 하나된 미국이 독일을 지원하고 근대화 된 대한제국이 영국을 지원하는 바람에 제1차 세계 대전은 무승부로 끝났다.
  • 고종, 군밤의 왕에서는 원래 역사와 달리 러시아 내전인 적백내전으로 시작되었고 보어 전쟁, 미국-스페인 전쟁, 러일전쟁이 일어나지 않아 유럽 각국들이 스스로의 무기체계의 발달을 깨닫고 적응할 기회가 없었기 때문에 불과 6개월만에 서부전선에서 무려 200만 명 이상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결국 엄청난 피해에다 적백내전의 종전 그리고 고종이 뿌린 선의빔의 영향으로 어느 정도 유해진 동맹국과 협상국 양측 모두 서로를 압도하지 못하고 참호선에서 대치만 하다가 반전주의가 폭발, 동맹국과 협상국 모두 전선에서 대규모 항명이 일어나자 전쟁 지속을 포기하고 평화협정을 맺으면서 원역사보다는 빠르게 마무리된다.
  • 대통령 각하 만세에서는 원역사 보다 잔인한 피의 일요일 사건으로 쫒겨난 니콜라이 2세가 독일의 도움으로 왕위에 복귀하려다가 전쟁이 터지고 러시아의 위협이 사라진 독일군이 서부전선에 더욱 집중하면서 협상국이 파리를 상실, 발악으로 협상국이 독가스를 먼저 사용하나 그결과 미국이 협상국에 대한 지지를 거두면서 동맹국이 승리한다. 참고로 이탈리아오스만 제국은 대전쟁에 참여하지않고 서로 싸우다가 이탈리아가 삼국동맹에 따라 동맹국에 참여한다.
  • 레드 플러드에서는 니벨 공세가 원래 역사보다 참혹해서 프랑스가 전쟁에서 빠르게 이탈했지만 독일과 러시아에서도 서로 공산주의 내전이 터지게 되면서 영국과 이탈리아를 제외한[71] 모든 열강들이 패배자가 된다.
  • 러브, 데스 + 로봇/시즌 1에서는 히틀러가 마차에 치어죽은 미래에서 해당계기로 마차 규제 법안이 통과되면서 오스트리아가 자동차 강국이 되어 동맹국이 참호를 강철 자동차로 돌파하고 세계 대전에 승리하고 빌리 브란트가 독일 우주비행사로 인류 최초 달 착륙에 성공하는 것으로 나온다.
  • 조선에는 쿠데타가 필요해요에서는 2부의 메인 스토리 라인에 해당된다. 흔히 서부전선을 묘사하는 다른 매체들과 달리 여기서는 처음에는 동부전선, 중반부터는 서부전선에 참전해 동부에선 부르실로프 공세를 원역보다 훨씬 크게 성공시키고, 서부에선 루덴도르프 공세를 원역보다 훨씬 통렬하게 받아친다.

14. 관련 어록

작금의 유럽은 화약고이고, 지도자들은 무기고 위에서 담배를 피우고 있을 뿐이야. 작은 불씨 하나가 우리 모두를 집어삼킬 전쟁을 일으킬 거야. 언제 그 폭발이 일어날지는 모르겠지만, 어디서 일어날지는 말해 줄 수 있지. 발칸에서 벌어질 저주받을 바보짓이 그 폭발을 일으킬 거야.
오토 폰 비스마르크, 1877년
제군은 낙엽이 지기 전에 집으로 돌아갈 것이다.
카이저 빌헬름 2세, 1914년 8월
생애 최악의 결정이었다.
아돌프 히틀러
히틀러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출신임에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군대에 병역 기피를 하고 독일로 떠났는데, 이는 그의 대독일주의적인 성향과 더불어 그가 평생에 걸쳐 박해하게 되는 슬라브계의 존재를 용인하는 오헝 제국과 같은 다민족 국가에 대한 염증 때문이었다. 자세한 내용은 아돌프 히틀러/생애 참고.
독일이 러시아에 전쟁을 선포했다. 오후엔 수영강습소에 갔다.
프란츠 카프카일기 1914년 8월 2일
카프카 같은 당대의 지성인에게도 이 전쟁이 발발 당시에는 딱히 수백만 명을 저승에 보내며 유럽 문명을 뒤집어 엎을 중대한 사태로는 인식되지 않았다는 증거이다.
온 유럽의 등불이 꺼져가고 있다. 우리 생전에 다시 켜지는 일은 없겠지.
에드워드 그레이 경(Sir Edward Grey)
영국 외무장관이었던 그가 1914년 8월 3일 영국의 참전 결정 후, 그의 친구에게.
의심할 여지 없이 이것은 현대의 가장 어리석고 무의미하며 불필요한 전쟁이다. 그것은 독일이 원하지 않는 전쟁이지만, 그것은 우리에게 강요된 전쟁이며, 우리가 스스로를 방어할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준비되어 있었다는 사실은 이제 우리가 전쟁을 원한다는 것을 세계에 확신시키는 주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빌헬름 폰 프로이센 황태자, 1914년 10월 외국 특파원과의 인터뷰에서
이봐, 전우여, 난 자넬 죽이고 싶지 않았어. 자네가 참호에 또 다시 뛰어들더라도 얌전히만 있으면 죽이지 않을 거야. 난 자네가 뛰어들 때 자네의 수류탄을, 자네의 총검을, 자네의 무기만을 생각했어. 그런데 지금 난 자네의 얼굴을 보고 자네의 아내를 생각하면서 우리의 공통점을 발견했어, 전우여! 부디 나를 용서해다오! 우리는 이러한 공통점을 너무 늦게 깨닫고 말지. 자네들 어머니들도 우리의 어머니들처럼 근심걱정하고 있다는 사실을, 우리가 죽음과 고통을 똑같이 두려워하며 똑같이 죽어 간다는 사실을 말이야. 전우여! 어째서 그대가 나의 적이 되었던가. 우리가 무기와 군복을 벗어 던지면 자네도 나의 벗이 될 수 있을 텐데...
소설 서부 전선 이상 없다
작가인 에리히 마리아 레마르크는 제1차 세계 대전 참전자였다.
참호에 있는 군인들에게 왜 전쟁을 하는지 물었다. 사라예보 사건으로 오스트리아가 세르비아를 굴복시키려고 했기 때문이라는 답이 나왔다. 독일이 왜 우리와 전쟁을 하는지는 아무도 몰랐다.
알렉세이 브루실로프
모든 전쟁을 끝내는 전쟁이 될 것.
이것한 시대의 끝이자 시작이다. 이것은 프랑스 혁명이나 종교개혁보다 훨씬 더 큰 것이고 우리는 그 안에 살고 있다.
허버트 조지 웰즈, 각각 1914년 8월1916년
사실 첫 번째 어록 자체는 전쟁 전에는 막대한 자원을 쏟아 붓지만 결과적으로는 소규모 국지전이 되는 충돌을 통한 전쟁의 해소를 의미했다. 이후에는 영구적인 평화를 위한 조직이 생길 거라고 본 것. 실제로 그 예상이 아주 틀린 것도 아니었다. 성능이 충분하지 못했을 뿐. 그리고 전쟁 뒤에는 "다시는 전쟁이 일어나지 못할 만큼 끔찍한 전쟁"으로 이해되었다. 하지만 공교롭게도, 더욱 끔찍한 속편이 기다리고 있었다. 속편에서 종막을 살짝 맛본 사람들은 그 거대한 공포에 짓눌려 비로소 대전쟁을 억제하게 되었다. 다만 그렇다고 종막이 열릴 가능성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첫 번째 어록은 전쟁 극초기인 1914년 8월에 나온 말로 문서 상단에서 언급했듯이 굉장히 냉소적인 발언이다. 전쟁의 규모를 두고 한 말이 아니라 전쟁의 명분을 회의적으로 바라보며 한 말에 가깝다. 본래 의미는 "전쟁을 끝내기 위해 전쟁을 하고 있다"정도? 이후 전쟁이 교착화되자 '종전하기 위해 하는 전쟁'이라는 블랙 유머가 되어 더욱 유행어로 떠올랐다.
인간은 미쳤다! 현 사태를 지속한다는 것은 미친 것임에 틀림없다. 이 지독한 살육전이라니! 이 끔찍한 공포와 즐비한 시체를 보라! 내가 받은 인상을 전달할 말을 찾을 수가 없다. 지옥도 이렇게 끔찍할 수는 없을 것이다. 인간은 미쳤다!
알프레드 주베르
프랑스 보병 중위였던 그가 사망하기 전에 적은 일기(1916년 5월 23일) 내용이다. 출처는 <참호에서 보낸 1460일>.
오늘 아침 11시에 인류에게 재앙을 준 가장 잔인하고 끔찍한 전쟁이 끝났다. 나는 우리가 이 운명적인 마침이 모든 전쟁을 끝냈다고 말할 수 있기를 바란다.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1918년 11월 11일

15. 둘러보기

세계 대전의 양대 진영
제1차 세계 대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4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프랑스 제3공화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프랑스 제3공화국
République Française
대영제국
British Empire
미합중국
United States of America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러시아 제국
Россійская Имперія
일본 제국
大日本帝国
이탈리아 왕국
Regno d'Italia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Deutsches Kaiserreich
오스만 제국
دَوْلَتِ عَلِيّهٔ عُثمَانِیّه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Царство Бѫлгария
}}}}}}}}} ||
제2차 세계 대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4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파일:영국 국기.svg
미합중국
United States of America
소비에트 연방
Сове́тский Сою́з
대영제국
British Empire
파일:프랑스 제3공화국 국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프랑스 제3공화국
République Française
중화민국
中華民國
추축국
Axis Powers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나치 독일
Deutsches Reich
이탈리아 왕국
Regno d'Italia
일본 제국
大日本帝国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헝가리 왕국
Magyar Királyság
루마니아 왕국
Regatul României
불가리아 왕국
Царство Бѫлгария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동맹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빌헬름 2세 카이저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프란츠 요제프 1세 카이저
카를 1세 카이저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메흐메트 5세 파디샤
메흐메트 6세 파디샤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페르디난트 1세 차르
협상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조지 5세 국왕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공화국
레몽 푸앵카레 대통령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국왕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니콜라이 2세 차르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다이쇼 천황
파일:세르비아 왕국 국기.svg
세르비아 왕국
페타르 1세 국왕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우드로 윌슨 대통령 }}}}}}}}}

{{{#fff {{{+1 [[제1차 세계 대전|{{{#fff 제1차 세계 대전}}}]]의 전투 목록}}}}}}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font-size: 0.92em; letter-spacing: -0.4px; word-break: keep-all"
※문서가 생성된 전투만 기재
전투 이름 교전국
<rowcolor=#FFF> 공격측 방어측
<colbgcolor=#b31c31> 세르비아 침공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세르비아 왕국 국기.svg 세르비아 왕국
벨기에 침공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왕국
국경전투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왕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타넨베르크 전투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제1차 헬리골란트-바이트 해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독일령 사모아 점령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제1차 마른 전투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뉴기니 전투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프셰미실 공방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제1차 아라스 전투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제1차 이프르 전투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왕국
칭다오 전투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코로넬 해전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탕가 전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메소포타미아 침공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포클랜드 해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제1차 아르투아 전투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사르카므쉬 전투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카르파티아 전투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도거 뱅크 해전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무제한 잠수함 작전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대서양의 선박
다르다넬스 해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제2차 이프르 전투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왕국
갈리폴리 전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고를리체-타르누프 공세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제2차 아르투아 전투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이손초 전투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말라즈기르트 전투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오소비에츠 전투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코스투리노 전투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쿠트 포위전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베르됭 전투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나로치 호수 공세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유틀란트 해전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트렌티노 공세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브루실로프 공세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솜 전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제2차 아라스 전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비미 능선 전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868-1921).svg 캐나다 자치령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니벨 공세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샹파뉴고지 전투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제2차 가자 전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오트란토 해협 해전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60고지 전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케렌스키 공세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공화국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왕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스샹달 전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머러셰슈티 전투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공화국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왕국
알비온 작전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말메종 전투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카포레토 전투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베르셰바 전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제1차 그라파산 전투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제2차 헬리골란트-바이트 해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루덴도르프 공세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왕국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제1공화국
미하엘 공세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868-1921).svg 캐나다 자치령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제브뤼헤 급습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피아베강 전투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제2차 그라파산 전투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제2차 마른 전투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수아송 전투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백일 공세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왕국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868-1921).svg 캐나다 자치령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제1공화국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아미앵 전투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생미이엘 공세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뫼즈-아르곤 공세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셀 전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868-1921).svg 캐나다 자치령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제3차 그라파산 전투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비토리오 베네토 전투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기 구분은 전투 및 교전 발생 일자 기준, 전투 기간은 개별 문서 확인 }}}}}}}}}

[1] 1917년 2월부터 1917년 10월까지는 러시아 공화국, 1917년 10월부터 1918년 3월까지는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2]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에 따라 협상국 이탈[3] 부쿠레슈티 조약에 따라 동맹국과 평화협정을 맺지만 전후 생제르맹 조약으로 승전국 지위와 영토를 인정받음.[4] 1917~[5] 독일 U보트의 무차별 공격과 치머만 전보 사건으로 인해 1917년 4월에 독일 측에 선전포고하여 참전함.[6] 빌헬름 2세 황제 퇴위, 바이마르 공화국 건국[7] 예외로 불가리아는 영토 일부 상실, 페르디난트 국왕의 퇴위, 재무장 금지에서 그쳤다.[8] 한국사의 굴직한 사건 중 하나인 3.1 운동도 이를 배경으로 한다.[9] 유럽에서 황제국이었던 독일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오스만 제국, 러시아 제국이 해체되어 각각 바이마르 공화국, 오스트리아 공화국, 헝가리 인민 공화국, 튀르키예 공화국, 소련이 성립되었으며 유럽에서 황제국은 완전히 사라졌다.[10]유엔의 전신. 그러나 미국의 부재와 훗날 추축국이 되는 나치 독일일본 제국의 탈퇴로 존재가 무의미해지고 본래 목적인 전쟁 억제도 실패했다.[11] 제1차 세계 대전에서의 참상으로 인한 전쟁에 대한 공포와 동맹국에 대한 징벌의식의 부조화는 제2차 세계 대전 발발의 단초를 강하게 제공하였다.[12] 파랑은 협상국, 빨강은 동맹국이다. 10분 10초 쯤 갑자기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이 오른쪽으로 날라가는 실수가 있다.[13] 정확히는 추정상속인이지만, 널리 알려져 있는 명칭인 황태자로 기술함.[14] 이를 쉽게 보여주는 예시가 호주 출신 역사교수(케임브릿지 대학 소속) 크리스토퍼 클라크가 지은 몽유병자들이라는 책인데 국역본 기준 1013쪽이라는 두께를 자랑한다. 이 책은 제1차 세계 대전의 전반적 이야기가 아닌 원인만을 다룬다.[15] 이것이 산업 시대의 식민지가 대항해시대의 식민지와는 확실하게 구분되는 점인데, 대항해시대의 식민지는 이나 같은 귀금속 혹은 향신료 등을 현지에서 확보-착취하기 위한 성격이었던 반면 산업 시대의 제국주의 식민지는 본국의 공장에서 막대하게 생산되는 상품을 팔아치우는 시장 및 원자재 확보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16] 그나마 있는 식민지들 또한 남서아프리카는 회사령을 국가의 식민지로 바꾼 것에 불과 했으며, 동아프리카는 프랑스 견제를 위해 영국이 허락한 것이었고 이후에 헬골란트-잔지바르 조약(독일령 잔지바르와 영국령 헬골란트, 오늘날 슐레스비히-홀슈타인과 덴마크 사이에 독일 앞바다에 붙어있는 섬이다.)으로 이어진다.[17] 사진은 사라예보 사건으로 인해 사망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차기 황제였던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의 대오스트리아 합중국 계획도이다. 프란츠 대공은 각 민족의 자치권을 부여하려고 하였다.[18] 실제로 그의 결정으로 1918년 한 해 동안 미군 10만 이상이 전장에서 죽었고, 만일 독일이 백일공세를 실패한 뒤 미군이 들어가지 않았다면 피해는 몇 배나 커졌을 것이다.[19] 전근대의 빈약한 경제력으로 인해 대규모 동원이 이루어질 수 없어 대다수 평민들에게 전쟁이란 기사들이 출진하고, 영주가 바뀌더라도 거기서 그칠 뿐, 체감하는 개인적인 일은 없기에 크게 상관있지 않은 이야기들이었다.[20] 이 때문에 1914년에는 크리스마스 휴전 같은 사건이 일어나기도 했다. 전쟁이 길어짐에 따라 적대심이 높아지면서 1915년부터는 연휴고 크리스마스고 상관없이 적군 참호에 포탄을 날리는 곳도 있었으나, 1918년까지도 기나긴 참호전 와중에 비교적 격전이 적었던 곳에서는 기념일 같은 때에는 암묵적으로 무기를 내린 곳이 있었다고 한다. 높으신 분들 중 상당수도 다른 날 많은데 하필 크리스마스 같은 때에까지 굳이 싸워야 하냐고 거부감을 느낀 경우가 없지 않았기에, 별도의 공세 같은 것이 예정되지 않은 일반적인 참호 생활이 이어진 곳에선 그날만큼은 1914년처럼 대놓고 만나진 않아도 암묵적으로 상부의 묵인 혹은 거짓 보고 하에 교전 행위를 접기도 했다.[21] 가장 대표적인 인물이 바로 반지의 제왕을 집필한 J.R.R. 톨킨. 톨킨이 참호열로 인해 후송당했는데, 톨킨이 후송된 직후 톨킨의 대대가 전멸했다. 이로 인해 톨킨은 절친 2명을 포함한 수많은 지인들을 잃었다.[22] 전장에서 죽은 자들은 대부분 아군 적군 할 것 없이 승리한 쪽이 일괄수습해서 현지에 같이 묻었기에 비어있는 관만이 돌아왔다. 갈리폴리 전투 후 전사한 영연방군의 시신도 오스만군이 일괄적으로 수습해서 매장했는데 전후 전사자 가족들이 튀르키예로 찾아온 사례를 다룬 영화도 있다. 현대 미군처럼 국가 시스템이 전사자를 충분히 귀환시킬 수 있을 정도로, 전사자가 적고 국가 기반이 탄탄한게 아니라면 전장에서 죽은 장병들의 시신은 언제나 전장을 무덤으로 삼을 뿐이었다.[23] 실제로 독일이 전쟁에서 패한 뒤, 베르사유 조약에서 부과받은 배상금과 제재는 항복해서 국가 해체까지는 안할테니 그냥 평생 거덜난 채로 살라는 수준이었으며, 독일과의 전쟁에서 가족을 수도 없이 잃어야 했던 협상국 국민들의 분노를 크게 반영한 것이었다. 다만 영국과 미국은 프랑스처럼 독일을 사지를 찢어버리려고 하는 수준까지는 아니었기에 베르사유 조약은 '독일을 영원히 굴복시키기에는 자비롭고 독일인들이 분노하지 않기에는 가혹한' 어중간한 결과물이 되었고, 이는 제2차 세계 대전의 원인 중 하나가 되고 말았다.[24] 발칸 전역에선 세르비아 전역은 기동전이었고 세르비아 전역이 끝나고 발생한 마케도니아 전선은 데스페레가 기동을 시작하기 전까지 참호전이었다.[25] 이 3명은 엔베르 파샤 (육군 장관), 탈라트 파샤 (총리), 제말 파샤 (해군 장관)이다. 학자에 따라서는 이 삼두정이 그냥 외부인의 눈에 잘 띄이던 정치인들을 꼽았던 것에 불과하고, 실제 청년 튀르크당은 수십명이 집단 지도 체제를 이루고 있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참고로 당시 오스만 제국은 청년 튀르크당이 1당 독재를 하던 중이었고, 제국의 황제는 실권에서 밀려나 있었다.[26] 해협을 통과할 경우 함대를 통해 이스탄불을 직접 포격할 수 있으며, 독일에 고전하던 러시아로 물자를 보낼 해로를 확보할 수 있고, 러시아의 니콜라이 2세는 1914년 말까지 오스만 견제를 위해 동부전선에서 병력을 빼겠다고 영국에게 수차례 압력을 넣는 상황이었다.[27] 도데카니사는 곧 반환하는데 이탈리아가 동의했지만, 발칸 전쟁과 대전쟁이 연속으로 터지며 무위가 된다.[28] 1916년 7월에 뉴저지의 영국 수출용 탄약 창고가 폭발하고(Black Tom explosion), 1917년 1월에는 영/프에 군용자동차를 수출하는 포드사의 공장이 타버리는 사건이 일어났었는데 이 모두 독일에서 보낸 공작원의 소행으로 판명나 여론이 악화된 것도 있다.[29] 세계 최강대국이자 전쟁 중에 자신들에게 막대한 돈을 빌려준 채권국의 수장인 미국 대통령이 강하게 나오면 무시할 수가 없었기에, 영국과 프랑스의 총리과 외교관들은 아르메니아인 대학살과 같은 지엽적인 문제를 자꾸 꺼내서 미국 대통령의 관심을 다른 곳으로 돌려놓은 채로 자기들끼리 일을 처리하려고 했고, 실제로 상당히 성공했다.[30] 미국은 본래 영국의 식민지였다가 독립한 역사가 있기 때문에, 참전에 반대한 미국인들이 내세웠던 논리가 '영국과 프랑스가 식민지를 유지하는 것을 도와주러 미국인의 피를 흘릴 이유가 없다'는 것이었다. 그런데 영국과 프랑스가 식민지를 유지하는 수준을 넘어서 오히려 전후 처리 과정에서 식민지를 더 늘리면서, 이러한 반대파를 다독이며 엄청난 대군을 보내줬던 윌슨의 민주당 정부의 얼굴에 먹칠을 한 꼴이 되었다. 이러한 미국의 경험은 나중에 제2차 대전에서 미국의 루스벨트 대통령이 영국의 처칠 총리를 압박하여 미국이 영국을 지원해주는 전제 조건으로 대서양 헌장을 발표하게 만드는 배경이 되었다.[31] 이건 일본의 육해군 관계를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나머지 하나는 만주국을 만드는 관동군이다. 이 관동군은 나머지 파벌이 서로 섞이지만, 주류는 황도파다. 5.15 사건으로 해군 총지휘관 쓰요시를 죽여서 제대로 낙인찍혀 있다가, 다시 한 번 파시즘 체제를 위한 2.26 쿠데타를 일으켜서 거의 성공할 뻔하지만, 천황의 격렬 반대로 무마되어서 몰락한다. 그 이후 살아남은 일부 고위 황도파들은 통제파로 흡수되버린다.[32] 민간인 비포함 수치[33] 딱 봐도 1914~1918년생 남녀가 많이 줄은 것으로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수많은 인력이 징병되어 자녀를 가질 분위기 자체가 없었다. 거기다 30대 중반(대략 1898년생)부터 50대 중반(대략 1878년생)까지의 남성층이 갑자기 팍 줄어든 것이 그만큼 제1차 세계 대전 때의 전사 규모를 알 수 있다. 동년배 여성층과도 압도적인 차이가 난다.[A] 강민수 옮김, 모든 전쟁을 끝내기 위한 전쟁, 플래닛미디어, 2008, 172~173페이지, Peter Simkins et al., The First World War: The War to End All Wars, Osprey Publishing,2003[A] 강민수 옮김, 모든 전쟁을 끝내기 위한 전쟁, 플래닛미디어, 2008, 178페이지, Peter Simkins et al., The First World War: The War to End All Wars, Osprey Publishing, 2003[36] Women's Army Auxiliary Corps이며, 이후 Queen Mary's Army Auxiliary Corps로 개칭[A] 강민수 옮김, 모든 전쟁을 끝내기 위한 전쟁, 플래닛미디어, 2008, 321페이지, Peter Simkins et al., The First World War: The War to End All Wars, Osprey Publishing, 2003[38] 인도, 베트남, 한국, 미얀마, 인도네시아, 중앙아시아의 군주정이 식민 지배로 무너졌다.[39] 신해혁명으로 제정이 폐지된 청나라나 내부의 불만으로 제정이 폐지된 브라질 제국.[40] 이 악습은 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독일의 런던 폭격으로 여자들도 엄청나게 죽어나가기 시작하자 슬그머니 없어졌다. 아마 저 폭격이 없었으면 2차 세계대전때도 여성들은 저 행동을 하며 남성들을 조롱했을지도 모른다.[41] 영국과 프랑스는 식민지를 빼앗는 것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려 했으나, 애초에 제국주의 시절에도 각국의 실질적인 역량은 식민지가 아니라 본국 국민들의 수준과 본국의 경제력으로 결정났었다. 당장 독일을 결딴낸 것도 식민지가 풍부한 영국과 프랑스가 아니라 오히려 식민지가 있으나마나였던 미국이라는 걸 생각하면 간단하다.[42]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독일 제국, 이탈리아 왕국[43] 프랑스, 러시아, 영국[44]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도 똑같이 자동으로 참전[45] 영일동맹은 양국간의 공수동맹이지만 상대국의 자동 참전 의무같은 조항은 없었기 때문에 영국이 독일에게 선전포고한 후에 14년 8월 1일 주일 영국대사관을 통해 일본에게는 이 전쟁에는 참전하지 않아도 된다고 했지만 독일의 동양함대가 홍콩과 웨이하이를 위협할 수 있었고 8월 4일에 영국 외무부는 일본에게 도움을 요청했다.[46] 워낙 갑작스러운 참전으로 독일은 일본의 공격을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 한다. 발발 당시 칭다오의 순양함급 이상은 2척에 불과했다. 8월15일 최후통첩 이후 1주일 만에 병력을 증강시키기에는 칭다오는 너무 멀었으며 이후 전개는 칭다오 전투 참조. 일본의 칭다오 점령과 강압적인 21개조 요구는 5.4 운동의 도화선이 된다.[논란의여지있음]
공식적으로 참전한 적이 없다.
[논란의여지있음] [49] 제2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기 전에는 세계 대전이라고 불렸고, 미국에서는 유럽 전쟁으로 불렸다.[50] 오늘날의 올란드 제도핀란드 남서부, 발트 3국, 벨라루스, 우크라이나에 해당하는 지역을 통과했고, 리가빌뉴스, 민스크, 키이우에서 개기일식을 관측할 수 있었다. 그 외에 노르웨이스웨덴, 오스만 제국 동부(오늘날의 튀르키예 동부와 이라크 쿠르드 자치구에 해당), 이란 일대와 파키스탄 해안에 이르는 지역을 통과했다.[51] 선술했듯이 이 배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침몰한 가장 큰 상선이며, 동시에 타이타닉의 자매선 이기도 하다.[52] 이후 오스만 제국은 같은해 6월 28일 5일에 자캅카스 소비에트 위원회와 에르진잔 조약을 체결한다. 그 결과 기존에 러시아 제국이 점령하던 카르스, 아르다한, 바투미와 전쟁중 러시아가 점령하던 오스만 제국령을 전부 포기하고 오스만 제국과 러시아 제국 사이의 전쟁을 끝낸다. 하지만 캅카스 지방에서는 백군러시아와 영국군이 현지 아르메니아인과 다른 군벌들과 더불어 반볼셰비키 전쟁을 하고 있었고 캅카스 지역에서 오스만 제국은 대상이 백군러시아와 영국군으로 바뀌어 전쟁이 계속되었다.[53] 초반에는 중동에서 오스만이 수가 적은 영국군을 상대로 나름 활약했지만, 전황이 나빠지자 영국이 인도인 징집을 통해 대규모 병력 투입을 하고 아랍인에게 독립을 미끼로 봉기를 유도하면서 중동전선에서 오스만이 크게 불리해진다.[54] 1940년 나치 독일과 프랑스 제3공화국간의 휴전협정도 콩피에뉴 숲에서 체결했기 때문에 제1차 콩피에뉴 휴전협정이라 한다.[55] 제1차 세계대전의 시발점[56] 서부 전선 참호전의 신호탄.[57] 1917년까지 12회의 전투가 계속되었다. 12번째 전투는 아래의 카포레토 전투[58] 전함의 수로만 따지면, 역사상 최대 규모의 해전[59] 전차가 사용된 최초의 전투[60] 서부전선에서 미군 없이 대규모 공세를 펼친 협상군의 마지막 전투.[61] 러시아의 협상군 탈퇴 및 동부전선 전쟁 종결[62] 독일군 최후의 서부 공세. 동부전선에서 승리한 독일이 병력을 끌어모아 총 5차례 공세를 펼쳤으나 결국 실패로 끝난다. 이후 협상군의 반격(백일 전투)으로 인해 독일군은 붕괴한다.[63] 백일 전투 1차 공세 기간에 벌어진 미군의 첫 공세이다.[64] 오스만 제국 전선 이탈[65] 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 전선 이탈[66] 독일 11월 혁명과 독일의 휴전 선언및 각국 적대적 행위 공식적 종결[67] 여담으로 이오시프 스탈린블라디미르 레닌이 1차 세계대전에 참가했다고 오해하는 사람이 많은데 이들은 이후 일어날 혁명들과 러시아 내전을 준비중이라 병역을 기피해야 했고 스탈린은 다리가 부러진 병자로 위장을 해서 병역을 기피했으며 레닌은 혁명가였기 때문에 제외되었다.[68] 인도네시아인인척 했던 네덜란드 출신이지만, 독일에 포섭된다.[69] 이때는 해군 제독.[70] 그리고 보통 이 경우 동맹국이 승리하는 전개로 간다. 미국이 본격적으로 참전하는 시기에 러시아 내전이 발생하기에 동부전선의 병력을 서부전선으로 옮길 수 있기 때문. 현실에서는 주둔군 문제로 병력이 동부전선에서 빼오지 못했고 그러는 사이 미국을 중심으로한 협상국의 물량 공세를 버티지 못하고 항복했지만 대체역사물에선 그런 요소가 대부분 해소되며 병력을 그대로 서부전선에 투입해 역으로 물량공세를 가하는 그림이 자주 나온다.[71] 사실 영국과 이탈리아도 정상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