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15 06:00:04

파시스트 이탈리아


파일:파스케스(가로).svg
파시즘
<bgcolor=#fff,#1c1d1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 이념 국가주의(국가자본주의일부) · 군국주의 · 권위주의(전체주의) · 내셔널리즘(국수주의 · 민족주의) · 대중주의 · 미래주의일부 · 반공주의 · 반자유주의 · 반자본주의 · 반제국주의일부 · 반민주주의 · 영웅주의 · 제3의 위치 · 제국주의일부 · 협동조합주의
요소 개인숭배(지도자원리) · 경제적 개입주의(군사 케인스주의 · 지도주의) · 계급협조 · 남성성 · 민족다원주의일부 · 반(反)인텔리 · 우생학(사회진화론) · 쇼비니즘 · 우익사회주의 · 음모주의 · 일당독재 · 재생적 국수주의 · 전쟁* · 팽창주의일부(실지회복주의) · 프로파간다 · 혁명(보수혁명 · 혁명적 내셔널리즘)
분파 교권 파시즘 · 국민생디칼리슴 · 군단주의 · 나치즘(네오나치즘) · 네오파시즘 · 대안 우파파일:모호 아이콘.svg · 러시아 파시즘(유라시아주의) · 렉시즘 · 메탁사스주의파일:모호 아이콘.svg · 영국 파시즘 · 오스트리아 파시즘 · 원류 파시즘 · 이탈리아 파시즘 · 일민주의파일:모호 아이콘.svg · 장제스주의파일:모호 아이콘.svg · 트럼프주의파일:모호 아이콘.svg · 좌익 파시즘(슈트라서주의 · 민족 볼셰비즘) · 천황제 파시즘파일:모호 아이콘.svg · 팔랑헤주의(프랑코주의파일:모호 아이콘.svg) · 프랑스 파시즘 · 민족 아나키즘 · 에코파시즘 · 유사 파시즘파일:모호 아이콘.svg
정당/조직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 오스트리아 국가사회주의노동자당 · 국가 파시스트당(공화 파시스트당 · 민주 파시스트당 · 이탈리아 사회운동) · 국민급진기지 · 조국방위대 · 네덜란드 국가사회주의 운동 · 독일노동전선 · 철위대 · 라푸아 운동 · 슬로바키아 인민당 · 산마리노 파시스트당 · 영국 파시스트당 · 우스타샤 ·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 조직 · 국민대중행동파일:모호 아이콘.svg · 스웨덴 국가사회주의노동자당 · 그리스 민족사회당 · 노르웨이 국민연합 · 대정익찬회파일:모호 아이콘.svg · 동방회 · 러시아 파시스트당 · 렉스당 · 미국 은색군단 · 사쿠라회파일:모호 아이콘.svg · 불가리아 국민군단연합 · 불의 십자단 · 브라질 통합주의 행동 · 시리아 사회민족당파일:모호 아이콘.svg · 아르헨티나 파시스트당 · 영국 파시스트 연합 · 오제바브란트바흐 · 유고슬라비아 국민운동 · 육군전우협회 · 조국전선 · 칠레 국가사회주의 운동 · 캐나다 파시스트 연합 · 팔랑헤,(통합 팔랑헤파일:모호 아이콘.svg), · 페르콩크루스츠 · 프랑키스트 운동 · 프랑스 인민당 · 화살십자당 · 국민조합주의자 · 국민정당 우리의 슬로바키아 · 그레이 울프 · 독일 사회주의국가당 · 민족 볼셰비키당 · 소련 자유민주당파일:모호 아이콘.svg,(러시아 자유민주당파일:모호 아이콘.svg), · 조국당 · 조선민족청년단파일:모호 아이콘.svg · 황금새벽당 · 국민공동통치연합 · 혁신관료파일:모호 아이콘.svg · 아르헨티나 파시스트당 · 네덜란드 국가연대주의 연합 · 흑색 전선(네덜란드)
국제 조직 추축국 · 1934년 몽트뢰 파시스트 회의
군사 조직 추축군 · 친위대 · 돌격대 · 히틀러유겐트 · 아인자츠그루펜 · 검은 셔츠단 · 오스트리아 친위대 · 보국단 · 우스타샤 민병대 · 미국 은색군단 · 마카필리파일:모호 아이콘.svg · 발리 콤페타르파일:모호 아이콘.svg · 반볼셰비키 프랑스 의용군단 · 강철늑대 · 황도파 · 남의사파일:모호 아이콘.svg · 레히
인물 아돌프 히틀러 · 에리히 루덴도르프 · 베니토 무솔리니 · 프란시스코 프랑코파일:모호 아이콘.svg · 안테 파벨리치 · 오스왈드 모슬리 · 코르넬리우 젤레아 코드레아누 · 호세 안토니오 프리모 데 리베라 · 아우구스티나스 볼데마라스 · 비드쿤 크비슬링 · 요제프 티소 · 살러시 페렌츠 · 엥겔베르트 돌푸스 · 쿠르트 슈슈니크 · 안톤 뮈세르트 · 레옹 드그렐 · 파울 요제프 괴벨스 · 그레고어 슈트라서 · 오토 슈트라서 · 에른스트 룀 · 카를 하우스호퍼 · 카를 슈미트 · 율리우스 슈트라이허 · 율리우스 에볼라 ·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 오스발트 슈펭글러 · 에른스트 윙어 · 기타 잇키파일:모호 아이콘.svg · 오카와 슈메이파일:모호 아이콘.svg · 안호상파일:모호 아이콘.svg · 이범석파일:모호 아이콘.svg · 아브라함 슈테른 · 장제스파일:모호 아이콘.svg · 다이리파일:모호 아이콘.svg · 호리아 시마 · 미시마 유키오파일:모호 아이콘.svg · 줄리아노 고치 · 마르셀 뷔카르 · 마르틴 하이데거 파일:모호 아이콘.svg · 자크 도리오 · 프랑수아 드 라 로크파일:모호 아이콘.svg · 콘스탄틴 로자예프스키 · 플리뉴 사우가두 · 이오인 오더피 · 조반니 젠틸레 · 알렉산드르 두긴파일:모호 아이콘.svg · 윌리엄 루터 피어스 · 윌리엄 더들리 펠리 · 찰스 코글린 · 아나스타시 본샤츠키 · 도미니코 레치시 · 마커스 가비 · 후안 바티스타 몰리나
국가 나치 독일 · 파시스트 이탈리아** · 스페인국파일:모호 아이콘.svg · 크로아티아 독립국 ·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 국민군단국가 · 노르웨이 국민 정부 · 오스트리아 연방국 ·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 산마리노 공화국 · 일본 제국파일:모호 아이콘.svg · 국민군단연합 불가리아
기타 크립토 파시즘 · 탈파시즘 · 파스케스 · 파시스트 페미니즘 · 백색 테러 · 멸칭으로서의 파시즘(적색 파시즘)
* 모든 파시스트들이 전쟁을 옹호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탈리아 파시즘이나 나치즘 등 전간기의 주요 파시스트들은 '전쟁'을 이데올로기적인 수단으로 여겼다. }}}}}}}}}

추축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cc
<colcolor=#fff> 국가 | 지도자
유럽 <colbgcolor=#838383,#191919>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 아돌프 히틀러 · 헤르만 괴링 · 파울 요제프 괴벨스 · 에리히 레더 · 빌헬름 카이텔 · 하인리히 힘러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파일:전향 아이콘.svg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 베니토 무솔리니 · 피에트로 바돌리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살로 공화국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베니토 무솔리니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왕국 | 호르티 미클로시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국민단결정부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살러시 페렌츠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왕국파일:전향 아이콘.svg | 미하이 1세 · 이온 안토네스쿠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파일:전향 아이콘.svg | 보리스 3세 · 시메온 2세
파일: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국기.svg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요제프 티소
파일: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 국기.svg 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에밀 하하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비시 프랑스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필리프 페탱
파일:크로아티아 독립국 국기.svg 크로아티아 독립국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안테 파벨리치 · 토미슬라브 2세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크비슬링 정권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비드쿤 크비슬링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 공국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파일:전향 아이콘.svg | 루이 2세
파일:세르비아 구국정부 국기.svg 세르비아 구국정부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밀란 네디치
파일:바르다르 마케도니아 국기.svg 바르다르 마케도니아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이반 미하일로프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러시아 인민해방위원회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파일:모호 아이콘.svg | 안드레이 블라소프
파일:로코트 자치국 국기.png 로코트 자치국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브로니슬라프 카민스키
파일:벨라루스 국기(1918, 1991–1995).svg 벨라루스 중앙 라다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라다슬로 아스트로스키
핀란드파일:전향 아이콘.svg | 그리스국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알바니아 왕국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핀도스 공국 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류블랴나 주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덴마크 보호령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파일:모호 아이콘.svg
아시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 쇼와 천황 · 고노에 후미마로 · 도조 히데키 · 고이소 구니아키 · 스즈키 간타로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아이신기오로 푸이 · 장징후이
파일:몽강연합자치정부 국기.svg 몽강연합자치정부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데므치그돈로브 · 운왕
파일:왕징웨이 정권 국기.svg 왕징웨이 정권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왕징웨이 · 천궁보
파일:자유 인도 임시정부 국기.svg 자유 인도 임시정부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찬드라 보스
파일:베트남 제국 국기.svg 베트남 제국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바오다이 황제
파일:캄보디아 왕국(괴뢰국) 국기.png 캄보디아 왕국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노로돔 시아누크
파일:버마국 국기.svg 버마국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바모
파일:필리핀 제2공화국 국기.svg 필리핀 제2공화국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호세 라우렐
파일:라오스 왕국 국기.svg 라오스 왕국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시사방봉
이라크 왕국파일:전향 아이콘.svg | 태국파일:전향 아이콘.svg
이념 파시즘 · 전체주의 · 권위주의 · 군국주의 · 반공주의
영토 확장 계획 레벤스라움 · 이탈리아 이레덴타 / 스파치오 비탈레 · 대동아공영권
파일:전향 아이콘.svg 전쟁 도중 연합국으로 전향 파일:모호 아이콘.svg 간접적 지원 및 여부 논란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나치 독일의 괴뢰국 / 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 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일본 제국의 괴뢰국
}}}}}}}}}}}}}}}
파시스트 이탈리아
Italia Fascista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장(1929-1944).svg
국기 (1943년 이전) 국장(1943년 이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장.svg
국기 (1943년 이후) 국장(1943년 이후)
F.E.R.T.[1]
Per l'onore d'Italia
이탈리아의 영광을 위해
상징
국가 조비네차 (Giovinezza)
파일:이탈리아 식민제국 위치.svg
파시스트 이탈리아의 최대 영토
이탈리아 왕국 본토
속령과 식민지[2]
획득한 영토와 보호령[3][4]
1922년 10월 31일~1945년 5월 2일[5]
성립 이전 멸망 이후
이탈리아 왕국 연합군 점령하 이탈리아
역사
[ 펼치기 · 접기 ]
로마로의 진군: 1922년 10월 31일
코르푸섬 사건: 1923년 8월 29일
라테라노 조약 체결: 1929년 2월 11일
스트레사 전선 출범: 1935년 4월 14일
아비시니아 침공: 1935년~1936년
스페인 내전 개입: 1936년~1939년
알바니아 침공: 1939년 4월 7일~4월 12일
강철 조약 체결: 1939년 5월 22일
제2차 세계대전 참전: 1939년 5월 22일
삼국 동맹 조약 체결: 1940년 9월 27일
연합군의 시칠리아 침공: 1943년 7월 10일~8월 17일
이탈리아 왕국의 무조건 항복: 1943년 9월 8일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의 멸망: 1945년 5월 2일
위치 이탈리아 반도(본토)
프랑스 남부와 발칸반도 서부 대부분
북아프리카 및 동아프리카 일부(식민지, 점령지)
수도 로마
정치체제 입헌군주제 (1922년~1925년)
국가 파시스트당 치하 전체주의적 파시즘 일당독재 (1925년~1943년)
나치 독일의 괴뢰국 (1943년~1945년)
국가원수 이탈리아 국왕 (1922년~1943년)[6]
두체 (1922년~1945년)[7]
언어 이탈리아어
통화 리라 (₤)
법정연호 서력기원 (공식)
파시스트 기원 (비공식)

1. 개요2. 역사3. 이탈리아에서의 평가

1. 개요

우리 국가에 대한 파시스트의 개념은 모든 것을 포용하고 있다. 그밖의 개인이나 영적인 존재의 가치란 무의미할뿐만 아니라 무쓸모하다. 따라서 파시스트 국가는 전체주의적이며 모든 가치를 포함하는 통합된 개념인 파시즘으로써 한 민족의 모든 삶을 해석하고 발전시키며 또한 강화한다.

조반니 젠틸레, 1935년 베니토 무솔리니에게 헌정한 저서 파시즘 교리(La dottrina del fascismo) 에서
파시즘 정권이 집권했던 시기의 이탈리아. 자세히 말하자면 1922년부터 1943년까지의 국가 파시스트당 무솔리니 집권기 이탈리아 왕국이탈리아 사회 공화국을 부르는 명칭. 파시스트 집권 후 이탈리아 왕국은 알바니아 왕국, 에티오피아 제국을 침략 및 강제 합병하고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는 나치 독일의 편을 들어 추축국으로 참전해[8] 유고슬라비아 왕국, 이집트 왕국, 프랑스 제3공화국, 그리스 왕국의 일부를 지배했다. 그러나, 북아프리카 전선에서의 거듭된 패배와 연합군의 시칠리아 침공으로 인해 항복했다. 이후 나치 독일에 의해 북부・중부 이탈리아 지방에 괴뢰국이탈리아 사회 공화국이 수립되었으나, 이 또한 1945년 4월 말에 멸망했다.

2. 역사

2.1. 무솔리니 집권기 이탈리아 왕국 (1922~1943)

1922년, 로마 진군으로 정권을 잡은 베니토 무솔리니국가 파시스트당은 반대파를 무자비하게 숙청하고, 조합주의적 경제 정책을 펼쳐 어느 정도 경제를 되살렸다. 이후 에티오피아알바니아를 점령하는 등 패권주의/제국주의적 정책을 폈다. 자세한 내용은 이탈리아 왕국 문서의 팽창 정책과 제2차 세계 대전 문단 참조.

2.2.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1943~1945)

거듭된 실책과 패배로 인해 대중 지지를 상실한 무솔리니국왕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의 명령으로 지도자 자리에서 축출되며 전범 혐의로 체포되어 애인과 함께 알프스의 한 산장에 연금되었고, 이탈리아 왕국은 연합군으로 전향했다. 그러나, SS가 연금된 베니토 무솔리니를 구출, 나치 독일의 이탈리아 주둔군을 이용해 북쪽 지방을 장악해 괴뢰 정부를 세웠다.

자세한 내용은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참조.

3. 이탈리아에서의 평가

나치 독일의 만행과는 달리 전향 및 서유럽 백인종에 한해서[9] 전범 행위를 자제한 이탈리아의 방침 덕에 별다른 처벌이나 악행에 대한 조명 및 연구가 되지 않은 채 유야무야 묻혔다. 그 탓에 1960년대에는 네오파시즘 정당이자 국가 파시스트당의 직계 후손이탈리아 사회운동이 4번째로 큰 정당으로 성장했다.[10] 그러나 난민 사태로 인하여 극우 민족주의가 성장하자, 이탈리아 정부가 파시스트 경례를 금지시킴으로서 다소 엄격해졌다. # 그런데 2018년 극우 포퓰리즘 정부가 성립하면서 사실상 사문화된 법이 되었고, 파시스트 경례를 해 봤자 독일과는 달리 경찰에 체포당하지 않고, 잔소리나 약간의 핀잔만 듣는 수준이라고 한다.[11]
[1] 이탈리아 왕국과 동일함.[2] 이탈리아령 리비아,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3] 이탈리아령 알바니아는 이탈리아 국왕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가 알바니아 국왕 직위를 겸임했음으로 속령이 아니라 점령지로 취급한다.[4] 그외 유고슬라비아 분할 당시 획득한 달마티아와 몬테네그로, 그리스 침공 당시 획득한 북이피로스 지역 등.[5] 1922년~1943년까지는 이탈리아 왕국, 1943년~1945년까지는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으로서 존속함.[6] 알바니아 국왕에티오피아 황제 칭호를 겸임함.[7] 1922년 로마 진군 이후 실권 장악, 1945년 추축국 패망 및 베니토 무솔리니 본인의 피살.[8] 사실 스페인국프랑코처럼 직접 전쟁에 뛰어들지 않았다면 파시스트 이탈리아는 훨씬 더 수명을 연장할 수 있었지만 결국 추축국 측에 참전해 멸망의 길을 걷게 된다.[9] 유럽이 아닌 에티오피아리비아 등지에서는 거리낌없이 잔혹한 대학살을 저질렀다. 심지어 같은 유럽이라도 몬테네그로, 그리스 등지에서는 학살을 저지른 바 있는데, 그 당시 제국주의 관념의 위계서열상으로는 유럽 백인이라고 다 같은 백인이 아니고 발칸 반도 사람들은 열등한 인간들로 취급되었기 때문이다. 오늘날의 백인 우월주의자들 사이에서도 발칸반도 쪽 사람들은 백인 중에서도 2류로 취급된다. 정작 이탈리아인도 영프독 계통의 진짜배기 서유럽, 북유럽계보단 은근히 낮은 취급을 받았는데 과거에는 미국에서도 이탈리아계 미국인들은 WASP보다 낮은 2류 백인 취급을 받았다.[10] 현재의 방계 후손 정당은 이탈리아의 형제들이다.[11] 그래도 주변 사람들한테 따가운 눈총을 받고 무슨 생각으로 그러는 거냐며 욕 먹기 딱 좋은 짓이니 안 하는 게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