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01 00:36:25

Heimatwehr

파일:파스케스(가로).svg
파시즘
<bgcolor=#fff,#1c1d1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 이념 국가주의(국가자본주의일부) · 군국주의 · 권위주의(전체주의) · 내셔널리즘(국수주의 · 민족주의) · 대중주의 · 미래주의일부 · 반공주의 · 반자유주의 · 반자본주의 · 반제국주의일부 · 반민주주의 · 영웅주의 · 제3의 위치 · 제국주의일부 · 협동조합주의
요소 개인숭배(지도자원리) · 경제적 개입주의(군사 케인스주의 · 지도주의) · 계급협조 · 남성성 · 민족다원주의일부 · 반(反)인텔리 · 우생학(사회진화론) · 쇼비니즘 · 우익사회주의 · 음모주의 · 일당독재 · 재생적 국수주의 · 전쟁* · 팽창주의일부(실지회복주의) · 프로파간다 · 혁명(보수혁명 · 혁명적 내셔널리즘)
분파 교권 파시즘 · 국민생디칼리슴 · 군단주의 · 나치즘(네오나치즘) · 네오파시즘 · 대안 우파파일:모호 아이콘.svg · 러시아 파시즘(유라시아주의) · 렉시즘 · 메탁사스주의파일:모호 아이콘.svg · 영국 파시즘 · 오스트리아 파시즘 · 원류 파시즘 · 이탈리아 파시즘 · 일민주의파일:모호 아이콘.svg · 장제스주의파일:모호 아이콘.svg · 트럼프주의파일:모호 아이콘.svg · 좌익 파시즘(슈트라서주의 · 민족 볼셰비즘) · 천황제 파시즘파일:모호 아이콘.svg · 팔랑헤주의(프랑코주의파일:모호 아이콘.svg) · 프랑스 파시즘 · 민족 아나키즘 · 에코파시즘 · 유사 파시즘파일:모호 아이콘.svg
정당/조직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 오스트리아 국가사회주의노동자당 · 국가 파시스트당(공화 파시스트당 · 민주 파시스트당 · 이탈리아 사회운동) · 국민급진기지 · 조국방위대 · 네덜란드 국가사회주의 운동 · 독일노동전선 · 철위대 · 라푸아 운동 · 슬로바키아 인민당 · 산마리노 파시스트당 · 영국 파시스트당 · 우스타샤 ·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 조직 · 국민대중행동파일:모호 아이콘.svg · 스웨덴 국가사회주의노동자당 · 그리스 민족사회당 · 노르웨이 국민연합 · 대정익찬회파일:모호 아이콘.svg · 동방회 · 러시아 파시스트당 · 렉스당 · 미국 은색군단 · 사쿠라회파일:모호 아이콘.svg · 불가리아 국민군단연합 · 불의 십자단 · 브라질 통합주의 행동 · 시리아 사회민족당파일:모호 아이콘.svg · 아르헨티나 파시스트당 · 영국 파시스트 연합 · 오제바브란트바흐 · 유고슬라비아 국민운동 · 육군전우협회 · 조국전선 · 칠레 국가사회주의 운동 · 캐나다 파시스트 연합 · 팔랑헤,(통합 팔랑헤파일:모호 아이콘.svg), · 페르콩크루스츠 · 프랑키스트 운동 · 프랑스 인민당 · 화살십자당 · 국민조합주의자 · 국민정당 우리의 슬로바키아 · 그레이 울프 · 독일 사회주의국가당 · 민족 볼셰비키당 · 소련 자유민주당파일:모호 아이콘.svg,(러시아 자유민주당파일:모호 아이콘.svg), · 조국당 · 조선민족청년단파일:모호 아이콘.svg · 황금새벽당 · 국민공동통치연합 · 혁신관료파일:모호 아이콘.svg · 아르헨티나 파시스트당 · 네덜란드 국가연대주의 연합 · 흑색 전선(네덜란드)
국제 조직 추축국 · 1934년 몽트뢰 파시스트 회의
군사 조직 추축군 · 친위대 · 돌격대 · 히틀러유겐트 · 아인자츠그루펜 · 검은 셔츠단 · 오스트리아 친위대 · 보국단 · 우스타샤 민병대 · 미국 은색군단 · 마카필리파일:모호 아이콘.svg · 발리 콤페타르파일:모호 아이콘.svg · 반볼셰비키 프랑스 의용군단 · 강철늑대 · 황도파 · 남의사파일:모호 아이콘.svg · 레히
인물 아돌프 히틀러 · 에리히 루덴도르프 · 베니토 무솔리니 · 프란시스코 프랑코파일:모호 아이콘.svg · 안테 파벨리치 · 오스왈드 모슬리 · 코르넬리우 젤레아 코드레아누 · 호세 안토니오 프리모 데 리베라 · 아우구스티나스 볼데마라스 · 비드쿤 크비슬링 · 요제프 티소 · 살러시 페렌츠 · 엥겔베르트 돌푸스 · 쿠르트 슈슈니크 · 안톤 뮈세르트 · 레옹 드그렐 · 파울 요제프 괴벨스 · 그레고어 슈트라서 · 오토 슈트라서 · 에른스트 룀 · 카를 하우스호퍼 · 카를 슈미트 · 율리우스 슈트라이허 · 율리우스 에볼라 ·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 오스발트 슈펭글러 · 에른스트 윙어 · 기타 잇키파일:모호 아이콘.svg · 오카와 슈메이파일:모호 아이콘.svg · 안호상파일:모호 아이콘.svg · 이범석파일:모호 아이콘.svg · 아브라함 슈테른 · 장제스파일:모호 아이콘.svg · 다이리파일:모호 아이콘.svg · 호리아 시마 · 미시마 유키오파일:모호 아이콘.svg · 줄리아노 고치 · 마르셀 뷔카르 · 마르틴 하이데거 파일:모호 아이콘.svg · 자크 도리오 · 프랑수아 드 라 로크파일:모호 아이콘.svg · 콘스탄틴 로자예프스키 · 플리뉴 사우가두 · 이오인 오더피 · 조반니 젠틸레 · 알렉산드르 두긴파일:모호 아이콘.svg · 윌리엄 루터 피어스 · 윌리엄 더들리 펠리 · 찰스 코글린 · 아나스타시 본샤츠키 · 도미니코 레치시 · 마커스 가비 · 후안 바티스타 몰리나
국가 나치 독일 · 파시스트 이탈리아** · 스페인국파일:모호 아이콘.svg · 크로아티아 독립국 ·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 국민군단국가 · 노르웨이 국민 정부 · 오스트리아 연방국 ·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 산마리노 공화국 · 일본 제국파일:모호 아이콘.svg · 국민군단연합 불가리아
기타 크립토 파시즘 · 탈파시즘 · 파스케스 · 파시스트 페미니즘 · 백색 테러 · 멸칭으로서의 파시즘(적색 파시즘)
* 모든 파시스트들이 전쟁을 옹호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탈리아 파시즘이나 나치즘 등 전간기의 주요 파시스트들은 '전쟁'을 이데올로기적인 수단으로 여겼다. }}}}}}}}}

1. 개요2. 역사

1. 개요

Heimatwehr(하이마트베어)[1]는 1925년 스위스 취리히에서 결성된 극우 민족주의 정치운동으로, 반공주의, 반자유주의, 반유대주의, 기독교적 보수주의, 스위스 전통주의를 강조했다. 초기에는 정당 체제와 의회주의를 강력히 비판하면서 대중 선전에 집중했지만, 1930년대에는 직접적인 정치 참여로 노선을 수정하며 지방 선거에 출마하기도 했다.

2. 역사

하이마트베어는 1925년 취리히에서 창설된 민족주의 성향의 극우 단체로, 당시 스위스 사회에서 확산되던 좌익 사상과 계급 투쟁의 영향력에 대응하고자 하는 보수적·반공주의적 인사들에 의해 조직되었다. 창립자들은 정당이나 특정 계층에 얽매이지 않은 “진정한 애국자”를 자처하며, 스위스의 전통적인 자유, 중립성, 민족적 단결을 보호한다는 명분을 내세웠다.

하이마트베어는 특히 스위스 헌법 질서가 프리메이슨, 유대자본, 사회주의 세력에 의해 위협받고 있다고 주장하며, 이들 ‘초국가적 세력’의 영향으로부터 국가를 수호해야 한다는 강한 민족주의적 메시지를 전달했다. 이를 위해 자체 기관지인 《Schweizerbanner》를 1926년부터 발간하며, 전국에 100,000부씩 배포하는 등 광범위한 대중 선전활동을 펼쳤다. 이 신문은 기존 정당 언론이 다루지 않던 음모론적 서사와 반유대주의적 담론을 퍼뜨리는 데 중요한 도구가 되었다.

하이마트베어는 초기에 정치 참여보다는 계몽운동에 집중하며 자신들을 정당이 아닌 “국민운동”으로 규정했다. 그러나 점차 정치적 입지를 확보하고자 하였고, 특히 보수적인 농촌 지역에서 일정한 영향력을 갖기 시작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1934년 베른의 대의원 선거(Grossratswahlen)에 출마하였으며, 프루티겐(Frutigen), 툰(Thun) 등에서 세 명의 후보를 당선시켰다. 당선자들은 모두 농민 출신으로, 이 시기 하이마트베어는 농촌 중산층의 이해관계를 대변하는 성격을 갖게 되었다.

1934년 2월에는 스위스 파시스트 운동(Schweizerische Faschistische Bewegung)과 함께 헬베티아 행동(Helvetische Aktion)이라는 연합체를 결성하였다. 이 시도는 당시 유럽 각국에서 고조되던 파시즘의 영향을 받아 스위스 내 극우 세력 간의 정치적 통합을 도모하려는 움직임이었다. 하지만 헬베티아 행동은 스위스 파시스트 운동 사이의 협력에 대한 이견으로 같은 해 말에 해체되었다. 그럼에도 하이마트베어는 단체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도, 스위스 헌법과 민주주의에 대한 존중을 선언했다. 그러나 여전히 의회주의와 정당 체제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입장을 고수하며, 정치적 참여보다는 민족주의적 사상 확산에 집중했다.

1935년에는 국민전선(Nationale Front)과 힘을 합쳐 국가 의회의 총선에 출마했으나, 선거에서 승리하지 못했다. 1936년에는 《Schweizerbanner》 신문의 발행이 중단되었고, 이후 당의 활동은 점차 쇠퇴했다. 그러나 1938년, 하이마트베어는 여전히 베른주에서 지방 선거에 출마했으며, 그 결과 루트비히 렝가허 한 명이 당선되었다. 이는 하이마트베어가 여전히 일부 지역에서 지지를 얻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렝가허는 1942년에 사망했으며, 이후 하이마트베어의 활동은 사실상 종료, 1946년 공식적으로 해산을 선언하였다.



[1] Heimat은 고향, 조국 등을 뜻하고 wehr는 방어를 뜻한다. 고로 Heimatwehr는 조국방위대 등으로 번역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