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07 08:04:08

전서구

파일:attachment/전서구/c0026408_4dca3993a25e0.jpg
파일:1577590014.jpg
2차대전 B-18 폭격기에서 사용된 전서구.

1. 개요2. 특징3. 여담4. 대중매체

1. 개요

통신용으로 쓰는 비둘기. 보통 새의 발에 메시지를 매달아 보낸다. 한자로는 해당 뜻을 그대로 옮긴 傳書鳩(전할 전, 글 서, 비둘기 구). 실제로 존재해서 현대전이라고 할 수 있는 제2차 세계 대전 때까지 잘 사용되었으며, 무협판타지 소설 등에서도 종종 볼 수 있다.

2. 특징

비둘기의 귀소본능을 이용한 것이다. 원래는 아랍인들이 통신용으로 사용하던 것을, 중세시대 십자군 전쟁 이후 유럽까지 전파되었다.

무선 통신이 아직 시험기술 수준[1]이라 아직 실제로는 거의 사용되지 못했던 제1차 세계 대전 때까지만 해도 최전선의 군인들[2]과 폭격기 승무원들[3]이 사용했다.

GPS처럼 절대좌표를 갖고 있는 것은 아니며, 처음 보는 먼 동네로 가서 풀어주면 십중팔구는 못 돌아온다고 한다. 전서구 훈련 시에는 수십 마리를 10km 밖에서 풀어주고, 다시 돌아온 전서구들을 20km 밖에서 풀어주고, 이후 거리를 30, 40km로 늘리는 식으로 훈련을 진행하는데, 최종적으로 수백km 밖에서도 돌아오는 녀석들은 몇 마리 안 된다고 한다. 돌아오다가 사냥꾼의 총에 맞아 죽거나 야생에서 맹금류의 공격을 받아 한 끼 식사로 전락하는 녀석들도 있었다. 적군도 전서구를 노리고 집중사격을 해서 죽어나가는 경우도 많았다.

포스트 A 지점을 집으로 정하고 그곳에서 키우면서 주변에서 날려보내서 집을 인식시키고, 점점 거리를 늘려 포스트 B 지점까지 거리를 늘려 그곳에서 풀어줬을 때도 포스트 A 지점으로 돌아오면 성공이다. 그리고 포스트 B에서 A로 전서구를 날리기 위해서는 당연히 사람이 직접 들고 포스트 B로 가야 한다.

위의 방식에서 볼 수 있듯이 편도용으로만 사용 가능하며 방금 메세지를 갖고 돌아온 비둘기에게 다시 답장을 들려 보내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래서 다시 사용하려면 그 거리만큼 육상으로 직접 수송해야 한다.[4]

옛날 야전에서 쓰는 비둘기도 별로 다를 바는 없어서 운용 난이도가 높고 신뢰성도 그닥... 그래도 1차 세계대전 때는 적군의 집중사격에 중상[5]을 입고도 메시지 전달에 성공하여 아군 포격을 막고 독일군에 포위 당한 미영국군을 구한 비둘기 Cher Ami가 훈장까지 받은 사례가 있다. 이 비둘기는 공적을 기리기 위해 사후 박제되었다.[6]베르됭 전투에서 포화를 뚫고 작전 내용 전달을 완수한 프랑스군의 전서구도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은 사례가 있다.

집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지역을 기억하는 시간이 있는 만큼 우리 안에 오래 방치하면 집으로 돌아가는 길을 잊기도 하고, 계절의 변화나 지형지물의 변화에 따라 길을 헤메기도 하는 등의 문제도 있어 관리를 잘 해주고 주기적으로 길을 왕복시키지 않으면 안 되는 등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편지나 이메일의 개념처럼 편한 물건이 아니다. 중간에 분실 가능성도 높다.

이렇게 한계가 많은 통신 수단이었지만 엄격한 훈련과 선별과정 덕분에 미군에서 운용한 전서구들은 90% 확률로 메세지 전달에 성공했고 때문에 꽤 우수하게 평가받았다. 다만 오해하면 안 되는 것이 전서구 한 마리의 성공률이 90%라는 것이 아니다. 폭격기 같은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면 진지에서 진지로 메세지를 보낼 때 같은 암호 메세지를 담은 전서구 여러 마리를 동시에 날려보냈고 그 중 하나만 도착해도 성공이기에 90%라는 성공률이 나온 것. 하지만 그만큼 무전기의 성능이 크게 발전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퇴역하게 된다.

적군도 바보가 아니었기에 상대측 전서구를 잡기 위해서 비둘기의 천적인 를 길들여서 훈련시켜 사냥하기도 했고,[7] 산탄총까지 동원해 보이는 비둘기란 비둘기들은 죄다 쏘았지만 그 많은 전서구들을 모조리 잡아 죽이는 건 불가능했고, 위에서 설명하듯이 단 한 마리만이라도 살아남아 메시지를 전달하면 성공이라 90%의 확률로 임무를 완수하므로 역부족이였다.

3. 여담

현재도 마약 밀거래에 이용되는 듯하다.

교도소에서 죄수들에게 비밀리에 소식을 전달하는 편지나 그러한 것을 전달해주는 조력자를 부르는 은어가 비둘기인데 이 전서구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1990년 4월 1일 국제 인터넷 표준화 기구(IETF)에서는 이 전서구를 인터넷 프로토콜의 구현에 이용하는 내용을 담은 RFC 1149를 발표했다. 이 RFC는 1999년 4월 1일 RFC 2549에 의해 개량되었으며, 2011년 4월 1일에는 이를 IPv6에 적용하는 RFC 6214도 나왔다.

발표 날짜들을 보면 알겠지만 전부 장난성 RFC. IETF가 이런 장난을 치는 건 1989년 이래로 내려오는 전통이며(!), 그 이전에도 1973년1978년 만우절에 장난성 RFC를 발표하기도 했다.

한편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진짜로 인터넷과 전서구로 4 GB의 자료를 옮기는 대결이 벌어졌는데, 전서구가 메모리카드를 옮기는 데 1시간, 그걸 복사하는 데 또 1시간, 총 2시간이 걸린 데 반해, 그 동안 인터넷으로는 고작 4%밖에 전송이 되지 않았다고. 국영 통신회사 '텔콤'이 초저속으로 악명이 워낙 높았는지라 벌인 시위성 실험으로 보인다. 전서구를 하루 빌리는 비용과 통신장비를 설치하고 계약하는 비용이 1000배나 차이난다고 덧붙이기까지 했으니까.

당연하지만 통신 수단이 매우 발달한 현대에는 전서구를 통신용으로 사용하는 사례는 거의 없고, 비둘기를 이용한 스포츠 레저 활동에 가까워졌다. 전서구의 실력을 겨루는 대회는 세계적으로도 많이 있다.

1차대전에서는 영국군 등이 를 이용해 참호간에 전갈을 주고받은 적이 있다. 이쪽도 우리말로는 전서구(狗)인데 비둘기와 헷갈리므로 그냥 전서견이라 부른다. 전서견의 장점은 비둘기와 달리 방독면을 착용시킬 수 있다는 점. 즉 독가스 살포 시에도 이용이 가능했다.

유사품(?)으로 전서이라는 것이 있지만 말 그대로 상상의 영역으로 국내 일부 무협소설 이외엔 안 나온다.[8] 항법 능력은 매도 가지고 있고 포식자에게 당해 메세지가 유실될 확률은 매가 최상위 포식자인만큼 낮다. 하지만 비둘기에 비해 야성이 강하고 개체수가 적으며 사육에 고기를 필요로 하니 포획, 인공 번식, 훈련의 난이도가 비둘기에 비해 매우 높다. 수십, 수백 마리씩 키울 수 있는 비둘기도 몇 번의 반복 훈련을 실시해 소수만 통과하는데 맹금류인 매를 가지고 그런 게 가능할 리가...

그리고 비둘기가 통신 수단으로 쓰게 된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항법 능력도 능력이지만 귀소본능이 강해 소식을 받아야 하는 장소로 잘 돌아가기 때문이다. 매 종류 중 귀소본능이 강한 건 벌매로서 대중매체에 등장하는 매처럼 부리부리하게 생기지 않았다.

4. 대중매체

  • 전서구를 소재로 한 영화로 발리언트가 있다.
  • 사극 무인시대에서도 간간이 등장하는데, 가령 극 초반에 보현원에 감금된 의종이 황궁에 군사를 이끌고 반역도당을 진압하라는 전서구를 날렸다가 이의민의 사냥매에 잡히는 장면이 나온다. 또 이지영이 최충수의 비둘기를 강탈한 기록도 충실히 묘사되어 나온다.
  • 어쌔신 크리드 시리즈의 조직 암살단(어쌔신 크리드 시리즈)은 비둘기를 통한 전서구로 상황이나 서신을 전달한다. 대부분의 작품들 시대가 시대다보니 이러한 전서구를 주 통신 수단으로 삼을 수밖에 없었고 이는 게임 내에서도 반영되어 브라더후드나 레벨레이션의 형제단 시스템에서도 비둘기장을 통해 수습생들을 타 임무에 파견하는 것이 가능하다. 간혹 템플러들도 사용하는 경우도 있긴 하지만 대부분은 암살단 쪽에서 더 자주 쓰는 것으로 묘사된다.
  • 존 윅 시리즈에서 바우어리 킹이 통신 수단으로 사용한다. 본인 말로는 감청당할 위험이 없는 자신만의 인터넷이라고... 방법 자체는 그렇게 구식이지만 시대가 시대인 만큼 편지나 쪽지 대신 플래시 메모리 등을 넣어서 보낸다.
  • 블레이드 앤 소울에서는 유저가 NPC를 거치지 않고 즉석에서 메일이나 물건을 받을 때 전서구가 구구구 하는 소리와 함께 날아와 물건을 내놓고 가는 연출이 있다. 이건 장소 불문이라 던전에서도 어김없이 비둘기가 날아온다.
  • 마비노기해리 포터 시리즈에서는 부엉이가 이 역할을 대신한다. 마비노기에서는 퀘스트 지령이나 보상을 나르는 역할이고 해리포터에서는 부엉이가 편지를 발로 잡고 있다가 목적지에 도착하면 투하한다.
  • 배틀필드 1 싱글 플레이의 한 스토리에선 주인공의 탱크가 진흙에 빠져 적군 보병들에게 둘러싸여 위기에 처하나 현재 자신들의 좌표가 적힌 쪽지를 전서구로 후방에 있는 아군 포병 부대로 보내 아군 포병 부대의 지원 사격으로 위기에서 탈출한다. 이렇듯 무선통신장비 발달 이전의 전쟁에서 갖는 전서구의 위치는 매우 중요했다. 게임이라고 간과하기 쉽겠지만 실제로도 전서구로 한 부대의 운명을 좌우한 일이 고대 전쟁사에 자주 나온다.
  • 만화 원피스에서는 전서박쥐(伝書バット(Bat):덴쇼밧토)라는 것이 등장하는 데, 이는 전서구가 伝書バト(덴쇼바토)임에서 온 말장난. 하지만 박쥐 역시 비둘기처럼 날아다니고 크기도 그렇게 크지 않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으므로 아주 적합한 활용이라고 할 수 있다.
  • 넷플릭스 드라마 나르코스에서는 마약왕 파블로 에스코바르가 자신이 직접 지은 개인 특별 감옥 "La Catedral"에서 외부로 메세지를 전할 때, 도청을 막기 위해 전서구를 사용한다. 이를 주인공 DEA 요원들이 총으로 잡는 장면이 나온다.
  • 일본 버츄얼 유튜버 팬덤에서는 방송 도중 타 버튜버의 현황을 알리는 행동을 전서구라고 하며, 많은 채널에서 금지하고 있다.
  • 로스트아크에서 루테란 서부에서 영광의 벽 전투를 준비하기 전 전서구를 띄워 서부의 병력들을 모으는 장면이 나온다.


[1] 1895년부터 무선통신 실험에 성공해서 20세기 초에 점점 발전 중이긴 했지만, 군부대에서 실제로 쓸 수 있을 정도로 실용화되는 건 전간기에서 2차 대전 사이다.[2] 보통 상자형 새장에 전서구들을 넣고 다녔는데, 격렬하게 움직이다가 비둘기들이 스트레스로 죽어나가는 건 예사고 멀리서 봐도 네모난 새장을 등에 지고 달려오는 꼴이 딱 눈에 띄기 때문에 적의 1순위 표적이 되어 운반병도 많이 죽어나갔다.[3] 예를 들어 고타 G.IV는 최대상승고도가 6.500m 정도 올라가는 데다, 장거리 비행을 하는 경우 교신이 필요한데 당시 기술로는 소형화된 무전기가 없었기 때문이다.[4] 왕복 이용이 완전히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고도의 훈련이 필요하며 편도 이동에 비해 두 지점 간의 거리가 짧아야 한다. 비둘기가 먹이 먹고 잠자는 장소를 두 군데 마련해 두 장소가 모두 자신의 집이라고 훈련시키는 것이다. 비둘기에게 아침에 먹이를 주지 않으면 배고픈 비둘기가 먹이를 먹기 위해 다른 집으로 날아가는데, 이를 이용해 두 장소 간 양방향 메시지 전달이 가능하다. 편도 전서구와 달리 양방향 전서구는 굶은 상태로 날아가야 하므로 이동 거리가 너무 멀면 비둘기가 날아갈 수 없다.[5] 이전에 날렸던 전서구 두 마리는 모두 독일군의 집중사격으로 죽었다. Cher Ami도 메시지를 가지고 도착했을 당시 한쪽 눈은 실명, 가슴 관통상에 다리 하나를 잃었고, 남은 다리도 힘줄만 남은 상태였다고....[6] 이 전투가 영화 로스트 바탈리온의 배경이 되는 아르곤 숲 전투다.[7] 그러나 전서구가 아닌 그냥 평범한 비둘기를 사냥해오는 경우도 있었다.[8] 예외적으로 미국 애니메이션인 아바타 아앙의 전설에서 나온 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