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십년식 총검 三十年式銃剣 さんじゅうねんしきじゅうけん | |
<colbgcolor=lightgray> 종류 | 총검 |
사용국가 | 일본 제국 전후 일본 만주국 대한민국 북한 중국 중화민국 |
사용된 전쟁 | 제2차 세계 대전 - 중일전쟁 / 태평양 전쟁 국공내전 6.25 전쟁 |
생산 | 고쿠라 조병창 도쿄포병공창 마쓰시타 금속 |
연도 | 1897년~1945년 |
전장 | 약 512mm |
도신 | 약 400mm |
중량 | 약 700g |
[clearfix]
1. 개요
三十年式銃剣 (さんじゅうねんしきじゅうけん)삼십년식 총검
일본 육군이 1897년(메이지 30년)에 채용하여 태평양 전쟁 종전까지 제식 총검으로 계속 쓰였던 칼이다.
2. 개발 및 운용
메이지 30년인 1897년 구식이 되어버린 무라타 소총(村田銃)의 후계 화기로 등장한 30년식 소총이 채택되자 이와 함께 개발된 것을 시작으로 약 840만개가 제조되어 총검 생산량으로는 세계 최대량을 기록하고 있다.원래 제대로 된 제조과정과 품질관리를 거쳐 출고된 물품들은 성능상 문제점은 없으나 중일전쟁 이후 군 규모가 폭발적으로 늘어남에 따라, 대량생산을 하면서 여기저기에 하청을 주다보니 품질관리 미비로 인해 단조처리가 불량하거나 아예 안 된 물건이 보급되는 일이 발생해서 간혹 칼날이 부러지거나 휘는 사례가 생기기도 했다. 물론 기본적으로 길이가 길고 가는 형상 때문에 비교적 부러지기 쉬운 건 사실이다.[1] 그래도 초창기 디자인에서 거의 변하지 않은 채 종전까지 그대로 사용되었는데 1941년 태평양 전쟁이 발발한 이후에는 야습시 칼날에 달빛이 반사되는 것을 막기 위해 도신에 흑색 도료가 칠해지면서 우엉 칼(ゴボウ剣)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외견상 특징은 일본도를 모방한 한쪽에만 날이 있는 도신으로[2] 구미 열강들의 양날 총검들과는 문화적인 차이를 보인다. 도신에는 좌우 윗쪽에 혈장(血裝)이라 불리던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이 있다. 길이는 51.4cm로 지금 보면 상당히 길지만 개발 당시엔 그냥 평범한 길이의 총검이었다.
1940년 독일군의 프랑스 침공 이후 독일군의 영향을 받아 조직되어 태평양 전쟁 당시 동남아시아 일대에서 활약했던 공수부대[3]에게 지급하기 위해 길이를 약 20cm가까이 줄인(실제 길이는 32.3 cm) 2식 총검(二式銃剣)이 제작되어 지급되기도 하였으나, 총검을 사용하던 일본군의 공수부대가 워낙 소수에 불과했던 만큼 25000자루 가량의 소량만이 제작되었다.
2식 총검의 모습출처
30년식 총검은 본래 고쿠라 조병창에서 생산되었는데, 일본 제국의 세력팽창이 심해짐과 함께 총검의 수요량이 늘었던 쇼와 시대에 들어서는 나고야 공창, 마쓰시타 금속, 토요타 자동기기 등 민간업체에 위탁하여 생산되어 제조처에 따라 도신의 길이나 새겨지는 각인 등 여러가지 부분에서 크고작은 차이가 생기기도 했다.
메이지 시대 말기부터 채용되어 태평양 전쟁 이후까지 일본군의 보조병기로 쓰인 무기인만큼 한국인에게도 잘 알려져 있는데, 당장 3.1 운동하면 생각나는 일본군의 폭력 진압이 이 총검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민족 말살 통치기 당시에는 곡식을 징발(공출)하던 일본군과 일본인 관료들이 착검을 한 소총이나 장대 끝에 총검을 달아 쌀이 숨겨져 있을법한 자루를 쑤셔보기도 했다.
일본이 항복하고 일본군이 철수한 후에는 철수하는 일본군으로부터 노획하거나 몰수한 물량을 조선국방경비대에 보급해 사용했고, 미군정시기와 6.25 전쟁으로 신생 대한민국 국군에 대한 미군의 물자 공여가 이루어지면서 소총 자체가 미국제 M1 개런드나 M1 카빈으로 교체된 이후에는 2선급으로 돌려진 아리사카소총과 함께 경찰이나 대한청년단, 서북청년회 등 2선급 병력에서 사용되었다.
30년식 총검을 허리에 차고 99식 소총으로 무장한 조선국방경비대대원. 쓰고 있는 방탄모는 1930년부터 일본군의 제식 방탄모로 쓰이던 90식 철모이며, 무릎앉아를 하고있어 잘 보이지 않지만 대원들이 신고 있는 전투화 역시 일본 육군의 기병용 부츠이다.
그외 제주 4.3 사건 당시 남조선로동당 제주도당의 무장대, 또는 본토의 빨치산이 사용하기도 했다.
3. 여담
도요타상사 사건의 범인 이이다 아츠오와 야노 마사카즈가 이 30년식 총검으로 범행을 저질렀다.
4. 가검
국내에서 구하기 정말 어려운 가검이 있다. 가검이라서 생산번호가 칼등에 없다.5. 둘러보기
러일전쟁기의 일본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colbgcolor=#B0313F> 러일전쟁 일본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B0313F,#393b42> 볼트액션 소총 | 13년식 소총, 18년식 소총, 22년식 소총, 30년식 소총. 35년식 소총 | |||
단발 소총 | 스나이더-엔필드, 마티니-헨리 소총 | ||||
권총 | S&W M3, 26년식 권총, 남부 권총 | ||||
지원화기 | 기관총 | M1874 개틀링, 보식 기관포 | |||
화포 | 7cm 산포, 31식 75mm 산포, 28cm 곡사포 L/10 | ||||
냉병기 | 군도 | 구군도, 30년식 총검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일본군의 운용장비 | 근대 보병장비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만주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color=#373a3c> 제2차 세계 대전 만주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color=#373a3c>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88식 소총, 30년식 소총, 38식 소총, 99식 소총, 38식 기병총, 44식 기병총, 모식 소총, 13식 소총 | |||
기관단총 | MP18, EMP35 | ||||
권총 | C96, M900, M1900, M1910, P08, 26년식 권총, 94식 권총, 남부 권총, 브라우닝 하이파워, M1911 | ||||
지원화기 | 기관총 | 11년식 경기관총, 96/99식 경기관총, Vz.26, 3년식 기관총, 92식 중기관총 | |||
유탄 | 10식 척탄통 | ||||
냉병기 | 군도 | 일본 군도(구군도/신군도)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만주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한국전쟁기의 대한민국 군경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한국전쟁 시기 대한민국 국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9식 소총, 스프링필드 M1903, M1917 엔필드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 |||||
자동소총 | M1918A2, M2 카빈 | |||||
기관단총 | M3 기관단총, 톰슨 기관단총 | |||||
권총 | M1911A1, M1917, M10 | |||||
지원화기 | 기관총 | 92식 중기관총, M1917A1, M1919A4/A6, M2 중기관총 | ||||
대전차화기 | M9, M20 로켓발사기, 57mm 무반동총, 75mm 무반동총 | |||||
화염방사기 | M2 화염방사기 | |||||
박격포 | M1 81mm 박격포, M2 60mm 박격포 | |||||
유탄 | Mk.2 수류탄, MK3A2 수류탄, M7 총류탄발사기 | |||||
냉병기 | 군도 | 구군도, 신군도, 경찰도, 30년식 총검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한국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보병장비 둘러보기 | |||
근대 (~1914)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
[1] 게베어 1898이 초기에 사용한 seitengewehr 98도 칼날이 가늘고 길어서 부러지기 쉽다 보니 더 짧은 칼날의 총검들로 교체되었다.#[2] 다만 곡도인 일본도와는 달리 직도가 되고 있다는 차이는 있다.[3] 일본 육군은 정진연대(挺進連隊), 일본 해군은 공정부대(空挺部隊)라는 이름으로 따로 불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