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7 00:36:55

웨블리 신호권총

Webley Signal Pistols
웨블리 신호권총
<nopad> 파일:Webley_&_Scott_MkIII.jpg
No.1 Mk.III
<nopad> 파일:Webley_&_Scott_MkIII8.jpg
No.1 Mk.III*
<nopad> 파일:WSN1MKV_FSP.jpg
No.1 Mk.V
<nopad> 파일:Webley-Scott_No_2_Mk_V_Flare_Pistol.jpg
No.2 Mk.V
<nopad> 파일:Webley_No_3_Mk_1.jpg
No.3 Mk.I
<nopad> 파일:Webley_No_4_Mk_1.jpg
No.4 Mk.I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리볼버
원산지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영국}}}}}}]]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영국}}}}}}]]
#!if 기 == null && 깃발 == null
[[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if 출력 != null
영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이력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1911년~1953년
개발 웨블리 & 스콧
개발년도 1911년
생산 웨블리 & 스콧
RSAF 엔필드
생산년도 1911년~1945년
사용국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령 홍콩|{{{#!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령 홍콩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령 홍콩}}}{{{#!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인도 제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인도 제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인도 제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호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호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호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캐나다 자치령|{{{#!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캐나다 자치령}}}{{{#!if 출력 != null
캐나다}}}}}}]]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캐나다}}}}}}]]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캐나다}}}}}}]]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뉴질랜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뉴질랜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남아프리카 연방|{{{#!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남아프리카 연방}}}{{{#!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아일랜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아일랜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사용된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6.25 전쟁
제원
탄약 1인치 신호탄
급탄 단발
작동방식 중절식
총열길이 101.6mm~139.7mm (4인치~5.5인치)
전장 203.2mm~241.3mm (8인치~9.5인치) }}}}}}}}}
1. 개요2. 상세3. 대중매체4. 둘러보기

1. 개요

Webley & Scott Signal Pistols

웨블리 & 스콧 사의 신호권총.

2. 상세

영연방 대부분의 국가에서 오랫동안 쓰인 만큼 수많은 바리에이션이 존재한다.

3. 대중매체

4. 둘러보기

제1차 세계 대전기의 연합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564d44> 제1차 세계 대전
연합군보병장비
파일:영국 국기.svg · 파일:러시아 국기.svg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개인화기 <colbgcolor=#564d44> 소총 <colbgcolor=#564d44> 볼트액션 리-메트포드, 리-네이비, 리-엔필드, 리-스피드, P14, M1917 엔필드, 크로파첵 M1884, 르벨 M1886, 베르티에, K11, 베테를리 M1870/87, M1870/87/15, 모신나강, 베르단, 그라, 샤스포 M1866/74, 무라타, 카르카노, 크라그-에르겐센, 마우저 M1889, 마우저 M1893, 로스 소총, 30년식 소총, 38식 소총, 스프링필드 M1903
레버액션 / 폴링ㆍ롤링ㆍ리프팅블록 / 트랩도어 스나이더 Mk.III, 콤블랭 M1870, 레밍턴 롤링블럭, 알비니-브랭들랭, 크른카 M1867, 밀로나스 M1872, 스프링필드 M1873, 마티니-헨리, 윈체스터 M1886, 윈체스터 M1892, 윈체스터 M1894, 윈체스터 M1895, 새비지 M99D
반자동 레밍턴 모델 8, M1907 SL, 뫼니에 M1916, RSC M1917, RSC 1918, MAB 18, M1903 Mk 1, 브리티쉬 1918 파콰르-힐, 히노 코무로 M1904E, 류장군 소총E
자동 리베롤 1918E, 윈체스터 버튼 1917E, M1907/17, 체이-리고티E, 표도로프, M1918 브라우닝
기관단총 OVP 1918, MIDA 비릴로E, 쇼샤-리베롤 기관단총E
산탄총 M1897, M1912, 레밍턴 모델 11, 레밍턴 M10, 셰그렌 산탄총, 스티븐스 M520
권총 리볼버 콜트 M1873, 엔필드 Mk.II, 웨블리, MAS 1873, 보데오 M1889, S&W M10, 웨블리-포스베리E, 콜트 M1901, Mle 1892, 26년식 권총, 나강 M1895, S&W M3, S&W 트리플 락, 콜트 M1909, M1917
자동권총 C96, 마스E, FN M1900, FN M1903, 콜트 M1903, 히노-코무로 권총, 새비지 M1907, FN M1910, 웨블리 권총, 리센티 M1910, M1911, 루비, 스타 M1914, 프릴루츠키 M1914E 베레타 M1915/17
신호권총 웨블리 신호권총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마드센 M1902, 루이스, 호치키스 M1909, CSRG M1915, 휴오트E, SIA M1918
중기관총 가드너, 맥심, M1895/14 콜트-브라우닝, 빅커스, 호치키스, 생테티엔 M1907, PM M1910, 38식 기관총, 3년식 기관총, 페리노 M1908, 피아트-레벨리 M1914, 빌라르-페로사 M15, M1917 브라우닝
박격포 3인치 스토크스 박격포
유탄발사기 마티니 유탄발사기, No.2 총류탄, 비방-베시에, 댜코노프 총류탄발사기E
유탄 No.1 수류탄, 밀즈 수류탄, RG-14, F-1, Mk.1, Mk.2, Mk.3
화염방사기 실트 화염방사기
경야포 빅커스 Q.F. Gun, Mk II, 37mm Mle 1916 보병포
냉병기 도검 M1902 세이버, U.S M1917 트렌치 나이프, U.S M1918 Mark I 트렌치 나이프, 구군도, 해군단검, 무라타도, 양손세이버, 32식 군도, 13년식 총검, 30년식 총검
※ 윗첨자E: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무기체계 둘러보기 : 파일:영국 국기.svg · 파일:러시아 국기.svg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영국군 보병장비
파일:영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영국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MLM Mk.II, SMLE No.1 Mk.III/Mk.III*/Mk.V, No.4 Mk.I/Mk.2, No.5 Mk.I), P14, 드 라일 카빈
반자동소총 S&W Mk.II, M1 카빈
레버액션 소총 윈체스터 M1894
기관단총 톰슨 M1928/M1928A1/M1A1, 란체스터 Mk.I, 스텐 Mk.I/II/IIS/III/V, V-42, 웰건, 바이퍼 Mk.I/III, 파체트 Mk.I
권총 리볼버 웨블리 Mk.IV/VI, S&W M&P
자동권총 웨블리 자동권총 Mk.I, 하이파워 No.2 Mk.I, M1911A1, 웰로드
신호권총 웨블리 신호권총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루이스 Mk.III/IV, 빅커스-베르티에 Mk.III, 브렌 Mk.I/II/III, 베살 Mk.II, 호치키스 Mk.I
중기관총 빅커스 Mk.I, BESA Mk.I/II/III, 15mm BESA Mk.I, 빅커스 K No.2 Mk.I, 브라우닝 M1919/Mk.II, M2 브라우닝
대전차화기 보이스 Mk.I/II, PIAT, RCL Mk.I
화염방사기 2형 휴대용 화염방사기
박격포 오드넌스 SBML 2인치, 오드넌스 ML 3인치
유탄 밀즈 No.36/36M, No.69, No.73 테르모스, No.74 ST, No.75 호킨스, No.82 가몬
냉병기 단검 페어번-사익스, BC-41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냉전기의 영국군 보병장비
파일:영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냉전기
영국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리-엔필드 No.4 Mk.I, L8A1, 엔필드 No.3 Mk.I, 드 라일 카빈, L42A1, L81A1, L96A1, L118A1
반자동소총 M1 개런드, M1 카빈, L1A1
자동소총 M2 카빈, EM-1, EM-2, XL64, XL70, LAR, L85A1, SAR-87
기관단총 스텐 Mk II/V, 란체스터 Mk.I, L2A1, L34A1, 톰슨 M1928A1, M1A1
산탄총 L32A1, L74A1
권총 웨블리 Mk IV, S&W 38/200, L9A1, L9A1 DS
신호권총 웨블리 신호권총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루이스 Mk IV, 브렌 Mk2, L4A4, XL65, L86A1
다목적기관총 L7A2, L94A1
중기관총 빅커스 Mk I, 브라우닝 L3A1, 브라우닝 L2A1
총류탄발사기 No.94
로켓발사기 PIAT, M20, L72A9, LAW-80
미사일발사기 밀란
무반동총 L2, L4, L6, L14A1
화염방사기 No.2
맨패즈 블로우파이프, 재블린, FIM-92
박격포 오드넌스 SBML 2인치, L9A1, L16A1
유탄 밀즈 No. 36M Mk I, L2A2
특수전 화기 자동소총 L22A1, M16A1, M16A2, L100A1, L101A1, HK33
기관단총 부시맨 Mk.I, MAC-10, L80A1, L90A1, L91A1, L92A1
권총 웰로드, L47A1, L66A1, L102A1
유탄발사기 M79, M203
비치사성무기 ARWEN 37
냉병기 페어번-사익스
취소선: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말레이시아 비상사태 당시의 영연방군 보병장비
파일:영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말레이시아 비상사태
영연방군보병장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로디지아 니아살랜드 연방 국기.svg
개인화기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SMLE No.1 Mk.III, No.4 Mk.I, No.5 Mk. I, 드 라일 카빈, 스프링필드 M1903A3
반자동소총 M1 카빈, M1A1, L1A1
기관단총 톰슨 M1928A1, M1A1, 스텐 Mk.II, Mk.V, L2A1, 오웬 Mk.I, M50, M55, M3, M3A1, M/50
산탄총 L32A1
권총 웨블리 Mk.IV, S&W M&P, 브라우닝 하이파워, M1903, M1911A1
신호권총 웨블리 신호권총
지원화기 기관총 루이스 경기관총, 브렌, 빅커스 Mk.I, 브라우닝 M1917A1
대전차화기 보이스 Mk.II
유탄 밀즈 No.36M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영국 국기.svg · 파일:호주 국기.svg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6.25 전쟁기의 영연방군 보병장비
파일:영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한국전쟁 시기
영연방군보병장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921-1957).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개인화기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리-엔필드 No.1 Mk.III*, No.4 Mk.I, No.4 Mk.I(T), No.5 Mk. I, P14, 드 라일 카빈
반자동소총 M1 개런드, M1 카빈, M3 카빈
기관단총 톰슨 M1928A1, M1A1, 스텐 Mk.II, Mk.V, L2A1, 오웬 Mk.I
권총 웨블리 Mk.IV, 하이파워 No.2 Mk.I, M1911A1
신호권총 웨블리 신호권총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루이스 Mk.III/IV, 브렌 Mk.I/II/III
중기관총 빅커스 Mk.I, BESA, M1919A4, M2HB
대전차화기 보이스 Mk.II, PIAT
화염방사기 2형 휴대용 화염방사기
박격포 오드넌스 SBML 2인치, 오드넌스 ML 3인치
유탄 밀즈 No.36M
냉병기 페어번-사익스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영국 국기.svg · 파일:캐나다 국기.svg · 파일:호주 국기.svg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아일랜드군 보병장비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아일랜드군보병장비
<colbgcolor=#FF883E> 개인화기 <colbgcolor=#FF883E> 볼트액션 소총 SMLE No.1 Mk.III, P14, M1903, M1917
기관단총 MP18, MP28, M1921
산탄총 M1897
권총 웨블리 Mk.IV, 엔필드 No.2, C96
신호권총 웨블리 신호권총
지원화기 기관총 <colbgcolor=#FF883E> 경기관총 루이스 경기관총, 브렌 경기관총, 마드센 경기관총, M1909
중기관총 빅커스 기관총
대전차화기 보이스 대전차 소총
박격포 Mle 27/31, 오드넌스 ML 3인치, Mle 1935
유탄 밀즈 수류탄, Mk.3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호주군 보병장비
파일:호주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c3b091,#6e5b3c> 제2차 세계 대전
호주군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c3b091,#6e5b3c> 볼트액션 소총 리-메트포드 Mk.II, 리-엔필드 No. 1 Mk.III/No. 5 Mk.I
기관단총 톰슨 M1928A1, 오웬 Mk.I, 스텐 Mk.II/V, 오스텐 Mk.I/II
권총 웨블리 Mk.VI, 브라우닝 하이파워, S&W 빅토리 모델
신호권총 웨블리 신호권총
지원화기 기관총 빅커스 Mk.I, 루이스 Mk.III/IV, M1917 브라우닝, M1919 브라우닝, 브렌 Mk.I/II
대전차화기 보이스 Mk.I/II, PIAT
화염방사기 2형 휴대용 화염방사기, M2
박격포 오드넌스 SBML 2인치, 오드넌스 SBML 3인치
유탄 밀즈 No. 36M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뉴질랜드군 보병장비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d98880> 제2차 세계 대전
뉴질랜드군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d98880> 볼트액션 소총 MLM Mk.II, SMLE No. 1 Mk.III, No. 5 Mk.I
기관단총 M1928A1, Owen Mk.I, Sten Mk.II, Mk.V
권총 Webley Mk.IV, Browning Hi-Power, S&W M&P, P08
신호권총 Webley & Scott Signal Pistol
지원화기 기관총 Charlton Automatic Rifle, Lewis Mk.III Mk.IV, Vickers Mk.I, Bren Mk.I, Mk.II
대전차화기 Boys Mk.I, Mk.II, PIAT
유탄 Mills No. 36M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캐나다군 보병장비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921-1957).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캐나다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MLM Mk.II, 리-엔필드 No. III/No. 4 Mk.I, 로스 Mk.III, M1917 엔필드
반자동소총 M1 카빈
레버액션 소총 윈체스터 M1894
산탄총 M1897, M37
기관단총 톰슨 M1928A1, 톰슨 M1A1, 스텐 Mk.II/III/V, M50 레이징
권총 리볼버 웨블리 Mk.VI, S&W 빅토리 모델, 트리플 락
자동권총 브라우닝 하이파워, M1911A1
신호권총 웨블리 신호권총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루이스 Mk.III/IV, 브렌 Mk.III/IV, M1918 브라우닝, M1941 존슨
중기관총 빅커스 Mk.I, 브라우닝 M1917, 브라우닝 M1919, Mk.II
대전차화기 보이스 Mk.I/II, PIAT, M9
화염방사기 2형 휴대용 화염방사기
박격포 오드넌스 SBML 2인치, 오드넌스 SBML 3인치
유탄 밀즈 No.36M, Mk.2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인도 제국군 보병장비
파일:인도 제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b22222> 제2차 세계 대전
인도 제국군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b22222> 볼트액션 소총 MLM Mk.II, SMLE No. 1 Mk III, No. 4 Mk I, No. 5 Mk I, Pattern 14
기관단총 M1928A1, M1, Sten Mk.II, Mk.III
권총 Webley Mk.IV, M1910, M1911A1, Pistol No.2 Mk.I, Webley & Scott Signal Pistol
지원화기 기관총 Lewis Mk.II, Mk.III, Vickers Mk.I, Vickers-Berthier Mk.III, Bren Mk.I, Mk.II
유탄 Mills No. 36M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인도 제국 국기.svg 인도 제국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남아프리카 연방군 보병장비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남아프리카 연방군보병장비
개인화기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Lee-Enfield No.3, No.4 Mk.I
기관단총 Thompson M1928, M1928A1, Sten Mk.II, Mk.V
권총 Webley Mk.IV, Webley & Scott Signal Pistol
지원화기 기관총 Rieder Automatic Rifle, Vickers Mk.I, Bren Mk.I, Mk.II
대전차화기 M1, PIAT
박격포 Ordnance SBML 2 Inch Mortar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냉전기의 캐나다군 보병장비
파일:캐나다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냉전기
캐나다군보병장비
<colbgcolor=#012169>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SMLE No.4 Mk.I, C3, C3A1
반자동소총 C1, C1A1
자동소총 C7, C7A1
기관단총 톰슨 M1928A1, M1A1, 스텐 Mk II, C1 SMG
권총 리볼버 웨블리 Mk IV, S&W 빅토리 모델, 콜트 뉴 서비스
자동권총 M1910, M1911A1, 잉글리스 하이파워
신호권총 웨블리 신호권총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BAR, 브라우닝, C2A1 SAW, C9 LMG
다목적기관총 C5 GPMG, C6 GPMG
중기관총 빅커스 Mk I, M2 HMG
로켓발사기 PIAT, M9, M20, M72
미사일발사기 블로우파이프, 재블린
화염방사기 2형 휴대용 화염방사기, M2 화염방사기
무반동총 M40A2, 칼 구스타프 M2
박격포 오드넌스 SBML 2인치, C3, 오드넌스 ML 3인치, M19
폭발물 수류탄 No.36M, V40, M61, C13
화학탄 M7A3
폭약 Bangalore torpedo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냉전기의 호주군 보병장비
파일:호주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냉전기
호주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SMLE No.1 MkIII*, SMLE No.4 Mk.I, L81A1
반자동소총 L1A1 SLR, M21 SWS, AR-7
자동소총 M14, M16A1, CAR-15, T2, F88
기관단총 오웬 Mk.I, L2A1 SMG, F1, 톰슨 M1928A1
권총 웨블리 Mk IV, 웨블리 Mk VI, 웨블리 신호권총, S&W 빅토리 모델, L9A1, M1911A1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브렌 Mk2, L4A4, L2A1 LMG, F89
다목적기관총 MAG58, M60, MG3
중기관총 빅커스 Mk I, 브라우닝 L3A1, M2HB-QCB
유탄발사기 M79, M203
로켓발사기 PIAT, M20, L72A9
미사일발사기 FIM-43, 밀란
무반동총 L6, L14A1
화염방사기 No.2, M2A2
박격포 오드넌스 SBML 2인치, L9A1, 오드넌스 ML 3인치, L16A1
폭발물 수류탄 밀즈 No. 36M, M26
화학탄 M7A2, M18, M25A2
지뢰 M18A1
취소선: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채용되지 않음}}}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냉전기의 뉴질랜드군 보병장비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냉전기
뉴질랜드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SMLE No.4 Mk.I, L81A1
반자동소총 L1A1 SLR
자동소총 M16A1, IW 슈타이어
산탄총 L32A1, L74A1
기관단총 오웬 Mk.I, 스텐 Mk.II, L2A1 SMG, 란체스터 Mk I*, 톰슨 M1928A1, MP5
권총 웨블리 Mk VI, 웨블리 신호권총, S&W 빅토리 모델, L9A1, M1911A1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브렌 Mk2, L4A3, L2A1 LMG, C9
다목적기관총 L7A2, L43A1, M60
중기관총 빅커스 Mk I, 브라우닝 L3A1, L3A4, M2HB-QCB
유탄발사기 ENERGA, M79, M203
로켓발사기 PIAT, M20, L72A1
무반동총 M40, L4, L14A1
박격포 오드넌스 SBML 2인치, L9A1, 오드넌스 ML 3인치, L16A1, L16A2
폭발물 수류탄 밀즈 No. 36M, M67
지뢰 M18A1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보병장비 둘러보기
근대 (~1913) 대전기 (1914~1945) 냉전기 (1945~1991) 현대전 (1992~)


파일:Royal_Small_Arms_Factory_logo.png 왕립 소화기 공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colbgcolor=#c7c7c7,#353535> 왕립 소화기 공장 생산 총기
리볼버 Mk I · Mk II · No.2
신호권총 웨블리 신호권총
기관단총 스텐 기관단총 · 바이퍼 기관단총
소총 <colbgcolor=#c7c7c7,#353535> 단발 P53 · 스나이더-엔필드 · 마티니-헨리 소총
볼트액션 리-메트포드 · 리-스피드 · 리-엔필드 · P14 · 보이스 대전차 소총
반자동 L1A1
자동 EM-1 · EM-2 · XL64 · XL65 · XL70 · SA80
기관총 브렌 경기관총 · L7
기관포 ADEN · RARDEN
라이엇 건 ARWEN 3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