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ebley Signal Pistols 웨블리 신호권총 | |||
| <nopad> | |||
| No.1 Mk.III | |||
| <nopad> | |||
| No.1 Mk.III* | |||
| <nopad> | |||
| No.1 Mk.V | |||
| <nopad> | |||
| No.2 Mk.V | |||
| <nopad> | |||
| No.3 Mk.I | |||
| <nopad> | |||
| No.4 Mk.I |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리볼버 | ||
| 원산지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이력 |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1911년~1953년 | ||
| 개발 | 웨블리 & 스콧 | ||
| 개발년도 | 1911년 | ||
| 생산 | 웨블리 & 스콧 RSAF 엔필드 | ||
| 생산년도 | 1911년~1945년 | ||
| 사용국 | | ||
| 사용된 전쟁 |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6.25 전쟁 등 | ||
| 제원 | |||
| 탄약 | 1인치 신호탄 | ||
| 급탄 | 단발 | ||
| 작동방식 | 중절식 | ||
| 총열길이 | 101.6mm~139.7mm (4인치~5.5인치) | ||
| 전장 | 203.2mm~241.3mm (8인치~9.5인치) | }}}}}}}}} | |
1. 개요
웨블리 & 스콧 사의 신호권총.
2. 상세
영연방 대부분의 국가에서 오랫동안 쓰인 만큼 수많은 바리에이션이 존재한다.3. 대중매체
- 아라비아의 로렌스
- 저니스 엔드
- 덩케르크 - 콜린스 소위가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온다.
- 1917 - 레슬리 중위(앤드류 스콧 분)가 전령으로서 무인지대를 지나가는 주인공 일행에게 독일군 참호에 아무도 없으면 쏘라는 의미로 조명탄 권총을 건네 준다.
- 배틀필드 1 - 정찰병의 보조 장비로 웨블리 & 스콧 사의 No.1 Mk.III 조명탄 권총이 등장하여 착탄 지점의 적들을 스팟하는 역할을 한다. 그 외에 정예 병과 중 잠입병의 보조 장비로도 등장하는데, 착탄 지점에 포격을 요청할 수 있다.
- 파 크라이 2 - 웨블리 & 스콧 No.4 Mk.I 모델이 등장하며, 착탄 지점에 불을 붙일 수 있다.
- 헌트 쇼다운 - 업데이트#2에서 새로 추가되었다.
- 매드 맥스 - 사용하면 매그놈 오푸스가 배달된다.
- 어둠 속에 나 홀로
- 닥터 모로의 DNA
- 더 라스트 오브 어스 시즌 1
4. 둘러보기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영국군 보병장비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영국군의 보병장비 |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MLM Mk.II, SMLE No.1 Mk.III/Mk.III*/Mk.V, No.4 Mk.I/Mk.2, No.5 Mk.I), P14, 드 라일 카빈 | |||
| 반자동소총 | S&W Mk.II, M1 카빈 | |||||
| 레버액션 소총 | 윈체스터 M1894 | |||||
| 기관단총 | 톰슨 M1928/M1928A1/M1A1, 란체스터 Mk.I, 스텐 Mk.I/II/IIS/III/V, V-42, 웰건, 바이퍼 Mk.I/III, 파체트 Mk.I | |||||
| 권총 | 리볼버 | 웨블리 Mk.IV/VI, S&W M&P | ||||
| 자동권총 | 웨블리 자동권총 Mk.I, 하이파워 No.2 Mk.I, M1911A1, 웰로드 | |||||
| 신호권총 | 웨블리 신호권총 |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루이스 Mk.III/IV, 빅커스-베르티에 Mk.III, 브렌 Mk.I/II/III, 베살 Mk.II, 호치키스 Mk.I | |||
| 중기관총 | 빅커스 Mk.I, BESA Mk.I/II/III, 15mm BESA Mk.I, 빅커스 K No.2 Mk.I, 브라우닝 M1919/Mk.II, M2 브라우닝 | |||||
| 대전차화기 | 보이스 Mk.I/II, PIAT, RCL Mk.I | |||||
| 화염방사기 | 2형 휴대용 화염방사기 | |||||
| 박격포 | 오드넌스 SBML 2인치, 오드넌스 ML 3인치 | |||||
| 유탄 | 밀즈 No.36/36M, No.69, No.73 테르모스, No.74 ST, No.75 호킨스, No.82 가몬 | |||||
| 냉병기 | 단검 | 페어번-사익스, BC-41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 말레이시아 비상사태 당시의 영연방군 보병장비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말레이시아 비상사태 영연방군의 보병장비 | ||||
| 개인화기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SMLE No.1 Mk.III, No.4 Mk.I, No.5 Mk. I, 드 라일 카빈, 스프링필드 M1903A3 | |||
| 반자동소총 | M1 카빈, M1A1, L1A1 | ||||
| 기관단총 | 톰슨 M1928A1, M1A1, 스텐 Mk.II, Mk.V, L2A1, 오웬 Mk.I, M50, M55, M3, M3A1, M/50 | ||||
| 산탄총 | L32A1 | ||||
| 권총 | 웨블리 Mk.IV, S&W M&P, 브라우닝 하이파워, M1903, M1911A1 | ||||
| 신호권총 | 웨블리 신호권총 | ||||
| 지원화기 | 기관총 | 루이스 경기관총, 브렌, 빅커스 Mk.I, 브라우닝 M1917A1 | |||
| 대전차화기 | 보이스 Mk.II | ||||
| 유탄 | 밀즈 No.36M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 6.25 전쟁기의 영연방군 보병장비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한국전쟁 시기 영연방군의 보병장비 | |||||
| 개인화기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리-엔필드 No.1 Mk.III*, No.4 Mk.I, No.4 Mk.I(T), No.5 Mk. I, P14, 드 라일 카빈 |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M3 카빈 | |||||
| 기관단총 | 톰슨 M1928A1, M1A1, 스텐 Mk.II, Mk.V, L2A1, 오웬 Mk.I | |||||
| 권총 | 웨블리 Mk.IV, 하이파워 No.2 Mk.I, M1911A1 | |||||
| 신호권총 | 웨블리 신호권총 |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루이스 Mk.III/IV, 브렌 Mk.I/II/III | |||
| 중기관총 | 빅커스 Mk.I, BESA, M1919A4, M2HB | |||||
| 대전차화기 | 보이스 Mk.II, PIAT | |||||
| 화염방사기 | 2형 휴대용 화염방사기 | |||||
| 박격포 | 오드넌스 SBML 2인치, 오드넌스 ML 3인치 | |||||
| 유탄 | 밀즈 No.36M | |||||
| 냉병기 | 페어번-사익스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아일랜드군 보병장비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아일랜드군의 보병장비 | ||||
| <colbgcolor=#FF883E> 개인화기 | <colbgcolor=#FF883E> 볼트액션 소총 | SMLE No.1 Mk.III, P14, M1903, M1917 | |||
| 기관단총 | MP18, MP28, M1921 | ||||
| 산탄총 | M1897 | ||||
| 권총 | 웨블리 Mk.IV, 엔필드 No.2, C96 | ||||
| 신호권총 | 웨블리 신호권총 | ||||
| 지원화기 | 기관총 | <colbgcolor=#FF883E> 경기관총 | 루이스 경기관총, 브렌 경기관총, 마드센 경기관총, M1909 | ||
| 중기관총 | 빅커스 기관총 | ||||
| 대전차화기 | 보이스 대전차 소총 | ||||
| 박격포 | Mle 27/31, 오드넌스 ML 3인치, Mle 1935 | ||||
| 유탄 | 밀즈 수류탄, Mk.3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호주군 보병장비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bgcolor=#c3b091,#6e5b3c> 제2차 세계 대전 호주군의 보병장비 | |||
| 개인화기 | <colbgcolor=#c3b091,#6e5b3c> 볼트액션 소총 | 리-메트포드 Mk.II, 리-엔필드 No. 1 Mk.III/No. 5 Mk.I | ||
| 기관단총 | 톰슨 M1928A1, 오웬 Mk.I, 스텐 Mk.II/V, 오스텐 Mk.I/II | |||
| 권총 | 웨블리 Mk.VI, 브라우닝 하이파워, S&W 빅토리 모델 | |||
| 신호권총 | 웨블리 신호권총 | |||
| 지원화기 | 기관총 | 빅커스 Mk.I, 루이스 Mk.III/IV, M1917 브라우닝, M1919 브라우닝, 브렌 Mk.I/II | ||
| 대전차화기 | 보이스 Mk.I/II, PIAT | |||
| 화염방사기 | 2형 휴대용 화염방사기, M2 | |||
| 박격포 | 오드넌스 SBML 2인치, 오드넌스 SBML 3인치 | |||
| 유탄 | 밀즈 No. 36M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뉴질랜드군 보병장비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bgcolor=#d98880> 제2차 세계 대전 뉴질랜드군의 보병장비 | |||
| 개인화기 | <colbgcolor=#d98880> 볼트액션 소총 | MLM Mk.II, SMLE No. 1 Mk.III, No. 5 Mk.I | ||
| 기관단총 | M1928A1, Owen Mk.I, Sten Mk.II, Mk.V | |||
| 권총 | Webley Mk.IV, Browning Hi-Power, S&W M&P, P08 | |||
| 신호권총 | Webley & Scott Signal Pistol | |||
| 지원화기 | 기관총 | Charlton Automatic Rifle, Lewis Mk.III Mk.IV, Vickers Mk.I, Bren Mk.I, Mk.II | ||
| 대전차화기 | Boys Mk.I, Mk.II, PIAT | |||
| 유탄 | Mills No. 36M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캐나다군 보병장비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캐나다군의 보병장비 |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MLM Mk.II, 리-엔필드 No. III/No. 4 Mk.I, 로스 Mk.III, M1917 엔필드 | ||
| 반자동소총 | M1 카빈 | ||||
| 레버액션 소총 | 윈체스터 M1894 | ||||
| 산탄총 | M1897, M37 | ||||
| 기관단총 | 톰슨 M1928A1, 톰슨 M1A1, 스텐 Mk.II/III/V, M50 레이징 | ||||
| 권총 | 리볼버 | 웨블리 Mk.VI, S&W 빅토리 모델, 트리플 락 | |||
| 자동권총 | 브라우닝 하이파워, M1911A1 | ||||
| 신호권총 | 웨블리 신호권총 |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루이스 Mk.III/IV, 브렌 Mk.III/IV, M1918 브라우닝, M1941 존슨 | ||
| 중기관총 | 빅커스 Mk.I, 브라우닝 M1917, 브라우닝 M1919, Mk.II | ||||
| 대전차화기 | 보이스 Mk.I/II, PIAT, M9 | ||||
| 화염방사기 | 2형 휴대용 화염방사기 | ||||
| 박격포 | 오드넌스 SBML 2인치, 오드넌스 SBML 3인치 | ||||
| 유탄 | 밀즈 No.36M, Mk.2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인도 제국군 보병장비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bgcolor=#b22222> 제2차 세계 대전 인도 제국군의 보병장비 | |||
| 개인화기 | <colbgcolor=#b22222> 볼트액션 소총 | MLM Mk.II, SMLE No. 1 Mk III, No. 4 Mk I, No. 5 Mk I, Pattern 14 | ||
| 기관단총 | M1928A1, M1, Sten Mk.II, Mk.III | |||
| 권총 | Webley Mk.IV, M1910, M1911A1, Pistol No.2 Mk.I, Webley & Scott Signal Pistol | |||
| 지원화기 | 기관총 | Lewis Mk.II, Mk.III, Vickers Mk.I, Vickers-Berthier Mk.III, Bren Mk.I, Mk.II | ||
| 유탄 | Mills No. 36M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남아프리카 연방군 보병장비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남아프리카 연방군의 보병장비 | |||
| 개인화기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Lee-Enfield No.3, No.4 Mk.I | ||
| 기관단총 | Thompson M1928, M1928A1, Sten Mk.II, Mk.V | |||
| 권총 | Webley Mk.IV, Webley & Scott Signal Pistol | |||
| 지원화기 | 기관총 | Rieder Automatic Rifle, Vickers Mk.I, Bren Mk.I, Mk.II | ||
| 대전차화기 | M1, PIAT | |||
| 박격포 | Ordnance SBML 2 Inch Mortar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냉전기의 캐나다군 보병장비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냉전기 캐나다군의 보병장비 | ||||
| <colbgcolor=#012169>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SMLE No.4 Mk.I, C3, C3A1 | ||
| 반자동소총 | C1, C1A1 | ||||
| 자동소총 | C7, C7A1 | ||||
| 기관단총 | 톰슨 M1928A1, M1A1, 스텐 Mk II, C1 SMG | ||||
| 권총 | 리볼버 | 웨블리 Mk IV, S&W 빅토리 모델, 콜트 뉴 서비스 | |||
| 자동권총 | M1910, M1911A1, 잉글리스 하이파워 | ||||
| 신호권총 | 웨블리 신호권총 |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BAR, 브라우닝, C2A1 SAW, C9 LMG | ||
| 다목적기관총 | C5 GPMG, C6 GPMG | ||||
| 중기관총 | 빅커스 Mk I, M2 HMG | ||||
| 로켓발사기 | PIAT, M9, M20, M72 | ||||
| 미사일발사기 | 블로우파이프, 재블린 | ||||
| 화염방사기 | 2형 휴대용 화염방사기, M2 화염방사기 | ||||
| 무반동총 | M40A2, 칼 구스타프 M2 | ||||
| 박격포 | 오드넌스 SBML 2인치, C3, 오드넌스 ML 3인치, M19 | ||||
| 폭발물 | 수류탄 | No.36M, V40, M61, C13 | |||
| 화학탄 | M7A3 | ||||
| 폭약 | Bangalore torpedo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 냉전기의 호주군 보병장비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냉전기 호주군의 보병장비 |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SMLE No.1 MkIII*, SMLE No.4 Mk.I, L81A1 | |||
| 반자동소총 | L1A1 SLR, M21 SWS, AR-7 | |||||
| 자동소총 | M14, M16A1, CAR-15, | |||||
| 기관단총 | 오웬 Mk.I, L2A1 SMG, F1, 톰슨 M1928A1 | |||||
| 권총 | 웨블리 Mk IV, 웨블리 Mk VI, 웨블리 신호권총, S&W 빅토리 모델, L9A1, M1911A1 |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브렌 Mk2, L4A4, L2A1 LMG, F89 | |||
| 다목적기관총 | MAG58, M60, MG3 | |||||
| 중기관총 | 빅커스 Mk I, 브라우닝 L3A1, M2HB-QCB | |||||
| 유탄발사기 | M79, M203 | |||||
| 로켓발사기 | PIAT, M20, L72A9 | |||||
| 미사일발사기 | FIM-43, 밀란 | |||||
| 무반동총 | L6, L14A1 | |||||
| 화염방사기 | No.2, M2A2 | |||||
| 박격포 | 오드넌스 SBML 2인치, L9A1, 오드넌스 ML 3인치, L16A1 | |||||
| 폭발물 | 수류탄 | 밀즈 No. 36M, M26 | ||||
| 화학탄 | M7A2, M18, M25A2 | |||||
| 지뢰 | M18A1 | |||||
|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 냉전기의 뉴질랜드군 보병장비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냉전기 뉴질랜드군의 보병장비 |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SMLE No.4 Mk.I, L81A1 | ||
| 반자동소총 | L1A1 SLR | ||||
| 자동소총 | M16A1, IW 슈타이어 | ||||
| 산탄총 | L32A1, L74A1 | ||||
| 기관단총 | 오웬 Mk.I, 스텐 Mk.II, L2A1 SMG, 란체스터 Mk I*, 톰슨 M1928A1, MP5 | ||||
| 권총 | 웨블리 Mk VI, 웨블리 신호권총, S&W 빅토리 모델, L9A1, M1911A1 |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브렌 Mk2, L4A3, L2A1 LMG, C9 | ||
| 다목적기관총 | L7A2, L43A1, M60 | ||||
| 중기관총 | 빅커스 Mk I, 브라우닝 L3A1, L3A4, M2HB-QCB | ||||
| 유탄발사기 | ENERGA, M79, M203 | ||||
| 로켓발사기 | PIAT, M20, L72A1 | ||||
| 무반동총 | M40, L4, L14A1 | ||||
| 박격포 | 오드넌스 SBML 2인치, L9A1, 오드넌스 ML 3인치, L16A1, L16A2 | ||||
| 폭발물 | 수류탄 | 밀즈 No. 36M, M67 | |||
| 지뢰 | M18A1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 보병장비 둘러보기 | |||
| 근대 (~1913)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 <colbgcolor=#c7c7c7,#353535> 왕립 소화기 공장의 생산 총기 | ||
| 리볼버 | Mk I · Mk II · No.2 | ||
| 신호권총 | 웨블리 신호권총 | ||
| 기관단총 | 스텐 기관단총 · 바이퍼 기관단총 | ||
| 소총 | <colbgcolor=#c7c7c7,#353535> 단발 | P53 · 스나이더-엔필드 · 마티니-헨리 소총 | |
| 볼트액션 | 리-메트포드 · 리-스피드 · 리-엔필드 · P14 · 보이스 대전차 소총 | ||
| 반자동 | L1A1 | ||
| 자동 | EM-1 · EM-2 · XL64 · XL65 · XL70 · SA80 | ||
| 기관총 | 브렌 경기관총 · L7 | ||
| 기관포 | ADEN · RARDEN | ||
| 라이엇 건 | ARWEN 3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