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의 현악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1.75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word-break:keep-all;" | <colbgcolor=#e2dcd6,#6c5244> 찰현악기 | |||
동아시아 | ||||
대한민국 | 해금 · 저음 해금 · 아쟁(a) | |||
북한 | 소해금 · 중해금 · 대해금 · 저해금 | |||
중화권 | 쓰후 · 얼후 · 징후 · 징얼후 · 반후 · 마구후 · 자오후 · 투후 · 후루후 · 예후 · 가오후 · 디후 · 다후 · 종후 · 싼후 · 거후 · 디인거후 · 이인 · 콩히안 · 티친 | |||
정니(a) · 주이후(a) · 레이친(a) · 파친(a) · 라루안(a) | ||||
몽골 | 마두금 · 이킬 · 호치르 · 대마두금 | |||
일본 | 코큐 · 앗소(a) · 테이소(a) · 카이사츠코 | |||
중앙아시아 | ||||
시베리아 알타이·투바 | 이킬리 · 비잔치 | |||
킵차크 카자흐·키르기스 | 코비즈 | |||
카를루크 우즈벡·위구르 | 아제크 · 기작 | |||
동남아시아 | ||||
베트남 | 단 니 · 단 호 · 당 가오 · 냐 짜인(a) | |||
태국 | 소 두앙 · 소 삼 사이 · 소 우 · 소 로 | |||
캄보디아 | 트로 · 트로 크메르 | |||
말레이시아 | 움방 | |||
(a) 발현악기의 형태 + 찰현악기의 연주 방식 | ||||
발현악기 | 금·슬·쟁계 | |||
다현금 | 고금 · 슬 · 거문고 · 쟁 · 대쟁 · 가야금 · 고토 · 야특 · 단 짜인 · 미 갸웅 · 철현금 · 한아고 · 제티겐 | |||
일현금 | 이치겐킨 · 단 보우 | |||
월금계 | ||||
비파 | 비파 · 향비파 · 당비파 · 비와 | |||
2현 | 텁쇼르 · 돔브라 · 주워르거 · 도이라 | |||
3현 | 싼시엔 · 산신 · 샤미센 · 샨즈 · 담탐 · 코무즈 · 더슈플루르 | |||
공후계 | ||||
공후 | 수공후 · 대공후 · 와공후 · 소공후 · 옥류금 | |||
이외 | 알타이 야특 · 사산도 | |||
타현악기 | 양금 | |||
}}}}}}}}} |
[clearfix]
1. 개요
중화권의 전통 악기인 얼후의 파생 악기를 종합한 문서이다. 중화권 국가의 악기이면서 얼후의 영향을 받았거나 얼후를 개량한 사실이 확실한 경우에만 기재하였고, 현대 개량 악기의 경우 개발된 시기가 이른 것부터 순서대로 정렬하였다.2. 파생 전통 악기
2.1. 징후
원어로는 京胡(jīnghú)라고 한다. 京胡를 한국 한자음으로 읽으면 "경호"인데, 이는 경극에서 주로 쓰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얼후의 파생 악기 중에서는 물론이요 호금 계열 악기 전체를 통틀어서도 가장 작은 축에 속하는 악기로, 바이올린과 비슷하지만 비교적 조금 더 거친 소리를 낸다.다른 친척 악기들과 다르게 대나무 소재이며, 현의 경우 과거에는 명주실로 만들었지만 1960년대부터는 철사나 나일론으로 대체되기 시작하였다.
2.2. 징얼후
원어로는 京二胡(jīng'èrhú)라고 한다. 京二胡를 한국 한자음으로 읽으면 "경이호"인데, 상술한 징후와의 유사성에서 엿볼 수 있듯 징얼후 역시 경극에서 주로 쓰이는 악기이다. 징얼후는 징후보다 낮은 음역의 소리를 내면서 보조하는 역할을 하며, 1920년대에 메이란팡(梅兰芳, 梅蘭芳, Méi Lánfāng) 극단의 음악가 왕사오칭(王少卿, Wang Shaoqing)에 의해서 대중화되었다.2.3. 반후
중국 북부, 특히 섬서성에서 주로 쓰이는 전통 악기. 원어로는 板胡(bǎnhú)라고 한다. 板胡를 한국 한자음으로 읽으면 "판호"인데, 이는 판자 호금이라는 의미로서 호금 계통 악기들의 특징인 뱀 가죽 대신 얇은 나무판자를 사용하는 데에서 기인한 명칭이다. 그 외에도, 울림통을 나무 대신 코코넛 껍질로 만드는 등 얼후 등과 확연한 차이가 있다.반후는 주로 중국 북부, 특히 섬서성의 전통 민속극인 친창(秦腔, Qín qiāng)에서 즐겨 사용되는데, 재밌는 점은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만드는 예후의 경우 중국 남부에서 주로 사용한다는 것이다. 단, 반후는 예후보다 높고 밝은 소리를 낸다.
2.4. 마구후
중국 남부 광시성의 좡족과 구이저우성의 포의족이 주로 사용하는 전통 악기. 원어로는 马骨胡(mǎgǔhú)라고 한다. 马骨胡를 한국 한자음으로 읽으면 "마골호"인데, 이름대로 울림통을 말의 대퇴골로 만든 것이 특징이다.[1] 또한 넥의 끄트머리에 마두금처럼 말 머리 장식이 붙는다.2.5. 자오후
중국 남부 광시성과 구이저우성의 흘로족이 주로 사용하는 전통 악기. 원어로는 角胡(jiǎohú)라고 한다. 角胡를 한국 한자음으로 읽으면 "각호"인데, 이름대로 울림통을 소뿔로 만든 것이 특징이다.2.6. 투후
중국 남부 윈난성 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 푸닝현의 좡족이 특히 주로 사용하는 전통 악기. 원어로는 土胡(tǔhú)라고 한다. 土胡를 한국 한자음으로 읽으면 "토호"인데, 이름과는 다르게 조롱박으로 울림통을 만든다. 마찬가지로 좡족이 사용하는 마구후와 비교했을 때 더 낮은 소리를 낸다.2.7. 후루후
중국 남부 광시성의 좡족이 주로 사용하는 전통 악기. 원어로는 葫芦胡(húlúhú)라고 한다. 葫芦胡를 한국 한자음으로 읽으면 "호로호"인데, 상술한 투후와 똑같이 호로 즉 조롱박으로 울림통을 만든다. 단, 뱀 가죽 대신에 얇은 나무판자를 사용한다. 재미있게도, 마찬가지로 좡족의 악기인 호로사 역시 조롱박을 활용하여 만든 관악기이다.2.8. 예후
중국 남부 광둥성·푸젠성·대만 일대의 전통 악기. 원어로는 椰胡(yēhú)라고 하며, 대만의 경우 민난어식 이름인 칵아히안(殼仔絃, khak-á-hiân)이라고도 한다. 椰胡를 한국 한자음으로 읽으면 "야호"인데, 이는 야자 껍질 호금이라는 의미로서 울림통을 나무 대신 코코넛 껍질로 만드는 데에서 기인한 명칭이다. 그 외에도, 호금 계통 악기들의 특징인 뱀 가죽 대신 얇은 나무판자를 사용하는 등 얼후 등과 확연한 차이가 있다.예후는 주로 중국 남부의 광둥성·푸젠성·대만 등지에서 즐겨 사용되는데, 재밌는 점은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만드는 반후의 경우 중국 북부에서 주로 사용한다는 것이다. 단, 예후는 반후보다 낮은 소리를 낸다. 이외에 예후와 관련된 악기로는 베트남의 당 가오, 태국의 소 우, 캄보디아의 트로 우 등이 있다.
2.9. 투아콩히안
대만과 푸젠성 일대의 전통 악기. 원어인 민난어로는 大廣弦(tōa-kóng-hiân), 표준 중국어로는 다광셴(大广弦, dàguǎngxián)이라고 하는데, 이름대로 얼후를 크고 넓적하게 바꾼 듯한 형태이다. 다른 이름으로는 콩히안(廣弦, kóng-hiân), 타이콴히안(大管弦, tāi-koán-hiân) 등이 있다.3. 현대 개량 악기
3.1. 가오후
원어로는 高胡라고 하며, 표준 중국어로는 gāohú, 광둥어로는 gou1 wu4로 읽는다. 광둥 지역에서 주로 사용되는 악기이므로 粤胡라고도 한다. 1920년대에 음악가 겸 작곡가인 러이만씽(吕文成, Lü Wencheng, Leoi5 Man4 Sing4)이 얼후의 음역대를 높게 개량하여 만든 것이다.유명 연주자로는 상기한 러이만씽을 비롯하여 류톈이(刘天一, Liu Tianyi), 간상스(甘尚时, Gan Shangshi), 위치웨이(余其伟, Yu Qiwei) 등이 있다.
3.2. 디후
중화권의 찰현 악기. 원어로는 低胡(dīhú)라고 하며, 1930년대 얼후를 기반으로 개량하여 음역대를 낮춘 것이다. 그러나 크기를 너무 키운 탓에 연주하기가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20세기 후반 개발된 거후와 디인거후, 라루안 등으로 대체되어 현재는 사실상 연주되지 않는다.- 샤오디후: 원어로는 小低胡(xiǎodīhú)라고 하며, 다후(大胡, dàhú) 혹은 츠중후(cizhonghu)라고도 한다. 얼후의 크기를 키워서 음역대를 낮춘 악기로서 얼후가 소프라노라면 샤오디후는 테너라고 할 수 있다.
3.3. 중후
원어로는 中胡(zhōnghú)라고 하는데, 이는 中音二胡(zhōngyīn èrhú)의 준말로 알토 음역대의 얼후를 의미한다. 1940년대에 얼후를 비올라와 비슷하게 개량하여 만든 것이다. 미국의 작곡가 제레미 주커만이 아바타 아앙의 전설(프랜차이즈)에서 사용하였다.3.4. 싼후
원어로는 三胡(sānhú)라고 한다. 한국 한자음으로 '삼호'라고도 부른다. 1970년에 얼후를 개량하여 만들어진 3현 찰현 악기이다. 한편, 윈난성의 소수 민족인 이족의 3현 찰현 악기 역시 싼후라고 부르는데 이족의 싼후는 청나라 초기에 해금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졌다고 한다.
3.5. 거후
원어로는 革胡(géhú)라고 하는데 한국 한자음 식으로 풀면 "혁호"가 된다. 이는 얼후를 혁신적으로 개량하였다는 의미이다.20세기 말 중국의 음악가 양위썬(杨雨森, Yang Yusen)이 호금을 기반으로 첼로를 접목하여 개발하였다. 그 때문에 첼로처럼 C-G-D-A로 조율된 4개의 현을 가지고 있으며, 넥을 울림통 옆으로 붙여놓아 대부분의 호금류 악기들과 달리 기러기발이 뱀 가죽과 접하지 않는 것도 특징이다.
다만, 20세기 후반 습도가 높아지자 연주를 못 할 정도로 뱀 가죽이 단단해지는 현상이 자주 발견되면서 결국 첼로에 자리를 내주어야 했으며, 대만이나 홍콩 등지에서만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 디인거후: 원어로는 低音革胡(dīyīngéhú)라고 한다. 거후와 마찬가지로 양위썬이 개발했으며, 거후를 기반으로 크기를 키워 콘트라베이스 음역대로 만든 것이다. 비슷한 케이스로는 대마두금이나 라루안 등이 있다.
4. 둘러보기
- [ 역사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역사 ||역사 전반(홍콩)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호 · 백년국치 ||
- [ 사회 · 경제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경제 ||경제 전반(홍콩 · 마카오) · GDP · 경제성장률 · 상무부(투자촉진사무국) · 재정부 · 공업정보화부 · 중국인민은행 · 세무총국 · 중국 위안 · 중국증권 감독관리위원회(상하이증권거래소 · 선전증권거래소 · 베이징증권거래소) · 홍콩증권거래소 · 국가금융감독관리총국 · ECFA · AIIB · FTAAP · 세서미 크레딧 · 차이나 머니 · 아시아의 네 마리 용(홍콩) ||
- [ 문화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문화 전반 ||문화 전반(홍콩 · 마카오) · 문화 검열(검열 사례 · 할리우드 블랙아웃) · 문화여유부(문물국) · 영화(목록) · 홍콩 영화 · 상하이물) · 드라마(목록 · 문제점) · 방송(CCTV · CETV · 라디오 방송 · 홍콩 · 마카오) · 신경보 · 중앙신문(인민일보 · 환구시보 · 광명일보 · 경제일보 · 해방군보) ·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 · 명보 · 미술 · 2021년 중국 규제 · 파룬궁 · 선전물 일람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5%" {{{#!folding [ 정치 · 군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 상징 | 국기 · 국장 · 국가 · 국기가 |
정치·행정 | 정치 전반 · 오권분립 · 입법원 · 행정원(조직) · 사법원 · 헌법(중화민국 임시약법 · 동원감란시기임시조관) · 정당(범람연맹 · 범록연맹) · 총통(총통부 · 대총통선거법 · 수정대총통선거법 · 총통 전용기) · 행정구역(성 · 미수복지구) · 행정조직 · 정부총통선거 · 총선 · 지방선거 · 국민대회 | |
국가원수 | 쑨원 · 위안스카이 · 쉬스창 · 차오쿤 · 돤치루이 · 왕징웨이 · 탄옌카이 · 장제스 · 린썬 · 옌자간 · 장징궈 · 리덩후이 · 천수이볜 · 마잉주 · 차이잉원 · 라이칭더 | |
국가원수(명단) · 총통(명단) | ||
기타 정치인 | 옌시산 · 성스차이 · 우페이푸 · 리위안훙 · 장쭤린 · 후웨이더 · 옌후이칭 · 두시구이 · 구웨이쥔 · 펑위샹 · 마부팡 · 마훙빈 · 위유런 · 탕성즈 · 마훙쿠이 · 리쭝런 · 바이충시 · 룽윈 · 장쉐량 · 황싱 · 한궈위 · 장치천 · 주리룬 · 허우유이 · 쑹추위 · 커원저 · 쑤전창 · 셰창팅 · 천젠런 · 샤오메이친 | |
부총통 · 행정원장 · 입법원장 · 감찰원장 · 대성지성선사봉사관 | ||
외교 | 외교 전반 · 여권 · 양안관계(하나의 중국 · 대만 해협 위기 · 92공식 · 양안통일 · 화독 · 대독) · 중화권 · 한국-대만 관계 · 대만-일본 관계 · 미국-대만 관계(타이완 관계법 · 타이완 동맹 보호법 · 대만 보증법 · 2022년 낸시 펠로시 대만 방문 및 중국 군사훈련 사태) · 한국-대만-일본 관계(자코타 삼각지대) · 재외공관 | |
감정 | 친화 · 친대 · 반대 · 중화민국빠 · 대만빠 | |
사법 · 치안 | 사법제도 · 경찰 · 국가안전국 · 소방 · 사형제도 | |
군사 전반 | 국방부(역정서) · 대만군(육군 · 해군 · 공군 · 국민혁명군) · 계급 · 군복 · 보병장비 · 기갑차량 · 군함 · 항공병기 · 병역법 · 체대역 · 성공령 · 핵개발 · 군벌 |
- [ 역사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bgcolor=#fe0000><width=15%> 역사 ||역사 전반(민국사 · 대만사) · 대만의 민주화 운동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명 · 군벌 · 대외 전쟁 및 분쟁 ||
- [ 사회 · 경제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bgcolor=#fe0000><width=15%> 경제 ||경제 전반 · 재정부 · 경제부 · 중화민국중앙은행 · 신대만 달러 · 대만증권거래소 · 타이베이거래소 · 기업(메인보드 제조사) · 이동통신사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ECFA ||
교육 교육부 · 대학 목록 · 재대복교 교통 교통 전반 · 대만의 철도 환경 · 교통부 · 중화민국국도(중산고속공로 · 포모사고속공로) · 타이완 성도 · 공항 목록 · 항공사(중화항공 · 에바항공 · 스타럭스항공) · 타이완철로유한회사(THSR · 쯔창하오 · 구간차) · 대만의 시외버스 · 첩운(타이베이 첩운 · 타오위안 첩운 · 신베이 첩운 · 타이중 첩운 · 가오슝 첩운) · 이지카드 · 아이패스 · 아이캐시 민족 한족 · 본성인(객가) · 외성인 · 대만 원주민(아미족 · 아타얄족 · 따오족) · 인도네시아계 대만인 · 일본계 대만인 · 한국계 대만인 화교 화교(쿨리) · 차이나타운(인천 차이나타운) · 중국계 한국인(재한 화교 · 화교협회) · 중국계 미국인 · 중국계 러시아인(둥간족) · 중국계 브라질인 · 중국계 필리핀인(상글레이) ·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 중국계 베트남인 · 중국계 싱가포르인 · 중국계 태국인 · 중국계 호주인 · 중국계 일본인 · 중국계 캐나다인 · 대만계 한국인 · 대만계 미국인 · 대만계 일본인 · 대만계 캐나다인
- [ 문화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fe0000><width=15%> 문화 전반 ||문화 전반 · 영화(금마장) · 드라마 · TV방송(CTV · CTS · TTV) · 라디오 방송 · 스포츠 · 중국시보 · 빈과일보 · 미술 · 파룬궁 · 등려군 · 거류증 · 중화 타이베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