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5 07:41:25

중화인민공화국 여권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중화민국의 여권에 대한 내용은 대만 여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중국의 신분증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5%"
{{{#!folding [ 정치 · 군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bgcolor=#ee1c25> 상징 국호 · 국기 · 국장 · 국가
정치 ·
행정
정치 전반(홍콩 · 홍콩 입법회 · 마카오 · 마카오 입법회) ·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 ·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 국무원(판공청 · 조성부서 · 국무원 직속기구) · 국가감찰위원회 · 홍콩 행정장관 · 마카오 행정장관 · 헌법(홍콩 기본법) · 행정조직(홍콩 · 마카오) · 국가주석 · 성급행정구 영도인 · 인민대회당 · 공무원 · 중국의 판다 소유권 정책
정당 ·
사상
중국공산당 규약 · 정당(중국공산당 · 민주당파 · 친중파 · 민주파 · 본토파) · 공산당의 파벌(중국 공산주의 청년단 · 태자당 · 상하이방) · 중국몽 · 마오주의 · 중국특색 사회주의 · 신시대 중국특색 사회주의 · 통일적 다민족국가론 · 우마오당 · 공산당 중앙조직(중공당대회 · 중공중앙) · 신권위주의
역대 최고
지도자
마오쩌둥 · 화궈펑 · 덩샤오핑 · 장쩌민 · 후진타오 · 시진핑
역대 최고지도자
기타 정치인 류사오치 · 후야오방 · 자오쯔양 · 저우언라이 · 주더 · 쑹칭링 · 리셴녠 · 양상쿤 · 예젠잉 · 차오스 · 리펑 · 우방궈 · 장더장 · 리잔수 · 주룽지 · 원자바오 · 리커창 · 왕양 · 왕치산 · 쑨춘란 · 후춘화 · 류허 · 한정 · 샤오제 · 자오러지 · 장쥔 · 뤄룽환 · 자춘왕 · 둥비우 · 샤오양
부주석 · 전인대 상무위원장 · 정협 전국위 주석 · 총리 · 최고인민검찰원장 · 최고인민법원장 · 국감위 주임
외교 외교 전반(비판) · 외교부 · 여권(홍콩 · 마카오) · 비자 · 양안관계(하나의 중국 · 92공식 · 양안통일) · 중화권 · 한중관계(동중국해 · 이어도 · 6자회담 · 한한령) · 중일관계(센카쿠 열도 · 중일평화우호조약) · 한중일 · 중인관계(국경분쟁 · 아크사이친 · 아루나찰프라데시 · 평화공존 5원칙) · 난사 군도 · 둥사 군도 · 시사 군도 · 상임이사국 · G20 · G2 · 신냉전 · 일대일로 · 미중관계(패권 경쟁 · 전망) · 미중러관계 · 호주-중국 관계(무역분쟁) · 중국 제국주의 · BRICS · 중뽕 · 친중(대한민국) · 반중(대한민국) · 혐중(대한민국)
사법 사법 전반 · 최고인민법원 · 검찰원 · 사법부 · 엄타 · 사형제도 · 라오가이 · 민법 · 베이징 친청 교도소
공안 경찰(공안부 · 국가안전부 · 이민관리국 · 계급 · 경찰대학 · 경찰법 · 경찰차) · 응급관리부(소방구원대 · 국가소방구원국 · 계급 · 소방학원 · 소방법 · 소방차) · 해관총서(계급) · 홍콩 보안국(경무처 · 소방처 · 비행대 · 입경사무처 · 징교처 · 해관) · 마카오 보안부대(치안경찰국 · 소방국) · 청관 · 정보기관
군사 전반 중국 인민해방군 · 계급 · 중앙군사위원회(기능부서) · 국방부 · 퇴역군인사무부 · 역대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 역대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 전구(서부 · 중부 · 북부 · 남부 · 동부 · 구 편제) · 역사 · 초한전 · 사관학교 · SCO · 중국인민혁명군사박물관
장비 장비(보병장비 · 기갑장비 · 항공병기 · 함선 · 둥펑 미사일) · 군복 · 군장 · 중국북방공업 · 중국선박집단 · 중국항공공업집단
군종 ·
부대
육군 · 해군(육전대) · 공군(공강병군) · 로켓군 · 전략지원부대(우주비행사대대) · 무장경찰(해경) · 연합참모부 · 주홍콩부대 · 주마카오부대 · 해외 주둔 중국군
}}}}}}}}}
[ 역사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역사 ||역사 전반(홍콩)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호 · 백년국치 ||
시대 역사 전반 · 삼황오제 · · · (동주 · 서주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초한쟁패기) · (전한 · · 후한) · 위진남북조시대(삼국시대 · 서진 · 오호십육국시대 · 남북조시대 ·) · (무주 · 호연) · 오대십국시대 · (북송 · 남송) · · · 서하 · · (남명 · · · 동녕국) · (태평천국) · 중화민국(임시정부 · 북양정부 · 유신정부 · 왕징웨이 정권 · 우한정부 · 국민정부 · 만주국) · 중화인민공화국
관직 한나라의 공경 · 삼국지 관직 · 외명부 · 환관조직 · 후궁제도
사서 흠정이십사사(사기 · 한서 · 후한서 · 삼국지 · 진서(晉書) · 송서 · 남제서 · 양서 · 진서(陳書) · 위서 · 북제서 · 주서 · 수서 · 남사 · 북사 · 구당서 · 신당서 · 구오대사 · 신오대사 · 송사 · 요사 · 금사 · 원사 · 명사) · 오월춘추 · 여씨춘추 · 월절서 · 국어 · 전국책 · 열녀전 · 위서 · 위략 · 화양국지 · 후한기 · 양기 · 자치통감 · 동관한기 · 건강실록 · 정관정요 · 역대명화기 · 신원사 · 원조비사 · 만주실록 · 청사고 · 십국춘추 · 십육국춘추 · 사고전서
사건 신해혁명 · 국공합작 · 초공작전(대장정) · 중일전쟁(백단대전) · 국공내전 · 반우파 투쟁 · 중인전쟁 · 대약진 운동(7천인 대회 · 제사해 운동 · 신양 사태) · 문화대혁명(해서파관 사건 · 5.16 사건 · 내몽골 인민혁명당 숙청 사건 · 베이징 8월 폭풍 사건 · 경험 대교류 운동 · 상하이 1월 폭풍 사건 · 2월 역류 · 경서빈관 대소동 · 7.20 사건 · 주중 영국 대표부 점령 사건 · 9.13 사건 · 비림비공운동 · 상산하향 운동) · 중소 국경분쟁 · 닉슨-마오쩌둥 회담 · 중월전쟁 · 흑묘백묘론 · 중영공동선언 · 제3차 대만 해협 위기 · 홍콩 반환 · 천안문 6.4 항쟁 · SARS · 재스민 혁명 · 멜라민 파동 · 홍콩 우산혁명 · 2018년 중국 백신 파동 ·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 · 2019년 중국 우한시 환경 시위 · COVID-19(우한 봉쇄 · 상하이 봉쇄 · 2022년 중국 제로 코로나 반대 시위) · 2020년 중국-인도 국경 분쟁 · 정풍운동 · 2021년 헝다그룹 파산 위기
왜곡 중국의 역사왜곡 · 동북공정 · 만물 중국 기원설 · 중국의 한국 문화 예속화 시도(중국의 한복 왜곡 논란 · 중국의 김치 왜곡)
[ 사회 · 경제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경제 ||경제 전반(홍콩 · 마카오) · GDP · 경제성장률 · 상무부(투자촉진사무국) · 재정부 · 공업정보화부 · 중국인민은행 · 세무총국 · 중국 위안 · 중국증권 감독관리위원회(상하이증권거래소 · 선전증권거래소 · 베이징증권거래소) · 홍콩증권거래소 · 국가금융감독관리총국 · ECFA · AIIB · FTAAP · 세서미 크레딧 · 차이나 머니 · 아시아의 네 마리 용(홍콩) ||
기업 ·
산업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중앙 관리 기업) · 은행 · IT 기업(바이두 · 알리바바 그룹) · 5대 자동차 제조사(상하이자동차의 계열사) · 건설사 · 만년필 회사 · BBK(산하 제조사) · Lenovo · 비야디 자동차 · HNA그룹 · 메이드 인 차이나 · 대기업
지리 지리 전반 · 자연자원부(임업초원국) · 수리부 · 중국 대륙 · 중국 본토 · 중원 · 오악 · 장강 · 황하(위수) · 요하 · 목단강 · 송화강 · 흑룡강 · 주강 · 회하 · 톈산 산맥 · 쿤룬 산맥 · 다오청 삼신산 · 루산 · 망탕산 · 북망산 · 티베트 고원 · 쿤룬 산맥 · 타클라마칸 사막 · 화북평야 · 만주 · 둥팅호 · 칭하이호 · 행정구역( · 지급시 · 부성급시 · 특별행정구) · 도시 목록 · 7대 고도 · 박물지 · 중국 석유 천연가스 공사(페트로차이나) · 중국석유화공집단공사 · 국경통상구 · 환경오염
사회 사회 전반 · 신분증 · 주숙등기 · 민정부 · 중국사회과학원 · 인구 · 중국인(민족 · 한족) · 공휴일(국경일 · 홍콩) · 중국 표준시 · 국수주의 · 중화사상 · 중국 붕괴론 · 중국 위협론 · 인권 탄압 · 분청 · 황금방패 · 계획생육정책(소황제) · 양두혼 · 문명점수 · 동타이왕 · Shadowsocks · 탕핑족 · 노동법 · 민주화 운동 · 계투
정보 ·
통신
국가우정국 · 중국우정집단공사 · 홍콩우정 · 통신장비 제조사(화웨이 · ZTE · 다탕텔레콤) · 샤오미 · 이동통신사(차이나모바일 · 차이나유니콤 · 차이나텔레콤 · 중국광전네트워크) · 광전총국 · 중관춘 · 화창베이
과학 ·
기술
과학기술부 · 중국과학원 · 중국공정원 · 우주개발(국가항천국 · 창정 · 동방홍 위성 · 선저우 계획 · 창어 계획 · 톈궁) · 양탄일성 · 중국과학원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 · 양산 바이러스 연구소
교육 교육부 · 수학 교육과정 · 초급중학 학력시험 · 가오카오 · HKDSE · ARWU · 중국교우회망 대학평가(순위) · 구교연맹(목록) · BHUA · 세계일류대학 및 일류학과 건설 · 985공정 · 211공정 · 공자학원 · 천인계획 · 중국정부장학금 · 대외한어과
교통 교통 전반(홍콩 · 마카오) · 교통운수부(국가철도국 · 민용항공국) · 고속공로(강주아오 대교) · 철도(CRH · 도시철도 · 중국국가철도그룹 · 중국중차 · 중국철도박물관) · 항공사(중국국제항공 · 중국남방항공 · 중국동방항공 · 하이난항공) · 공항 목록 · 중국교통건설 · 교통카드(옥토퍼스 카드) · 차량 번호판
화교 화교(쿨리) · 차이나타운 · 중국계 한국인 · 중국계 미국인 · 중국계 러시아인(둥간족) · 중국계 브라질인 · 중국계 필리핀인(상글레이) ·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 중국계 베트남인 · 중국계 싱가포르인 · 중국계 태국인 · 중국계 멕시코인 · 중국계 칠레인 · 중국계 네덜란드인
[ 문화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문화 전반 ||문화 전반(홍콩 · 마카오) · 문화 검열(검열 사례 · 할리우드 블랙아웃) · 문화여유부(문물국) · 영화(목록) · 홍콩 영화 · 상하이물) · 드라마(목록 · 문제점) · 방송(CCTV · CETV · 라디오 방송 · 홍콩 · 마카오) · 신경보 · 중앙신문(인민일보 · 환구시보 · 광명일보 · 경제일보 · 해방군보) ·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 · 명보 · 미술 · 2021년 중국 규제 · 파룬궁 · 선전물 일람 ||
음식 음식 전반 · 지리적 표시제 · 지역별 요리 · 산둥 요리 · 쓰촨 요리 · 장쑤 요리 · 저장 요리 · 후난 요리 · 광둥 요리 · 구이저우 요리 · 안후이 요리 · 푸젠 요리 · 베이징 요리 · 상하이 요리 · 후베이 요리 · 윈난 요리 · 만주 요리 · 청진 요리 · 한국식(종류) · 미국식(종류) · 일본식(종류) · 러시아식 · 중국술(백주 · 황주 · 맥주) · · 팔진 · 만한전석
전통문화 전통악기(얼후 · 고쟁 · 비파 · 싼시엔 · 쓰후 · 싼후) · 경극(변검) · 잡극 · 모란정환혼기 · 샹치 · 바둑(중국기원 · 중국 바둑 기전 · 갑조리그 · 몽백합배 · 춘란배 · 바이링배 · 봉황고성배 · CCTV 하세배 · 황룡사배 · 천태산농상은행배 · 궁륭산병성배 · 오청원배) · 마작(국표마작 · 광동마작 · 사천마작 · 홍콩대만마작 · 홍콩마작) · 만만디 · 시누아즈리 · 한푸(여성 한푸) · 치파오 · 변발 · 인민복 · 전족 · 회회력 · 시헌력 · 한시 · 무협물(중국사대기서) · 토루 · 사합원 · 패방
현대문화 만화(웹코믹 · 홍콩) · 애니메이션 · 게임 · 텐센트 · 빌리빌리(빌리빌리 매크로 링크 VR) · 넷이즈 · miHoYo · SUNBORN · Hypergryph · X.D. Global · Gaea · Yostar · LPL · 차이나조이 · 차이나 인터내셔널 코믹 페스티벌 · COMICUP · ComiAi · 코미데이 · 선협소설 · VCT CN · 정가(傷感情歌)
종교 ·
신화
삼교 · 대승 불교(선종 · 정토교 · 시왕) · 도교(종파 · 상제 · 서왕모 · 구천현녀 · 일관도 · 육갑비축 · 도술 · 태극패 · 연단술) · 유교(변천사) · 백련교 · 중국 신화 · 하백 · 관우(관왕묘) · 마조 · 산해경 · 삼황오제(복희 · 신농 · 황제 · 소호 · 전욱 · 제곡 · 제지 · 제요 · 제순) · 헌원검 · 누조 · 창힐 · 치우 · 환상종(사신 · 사령 · 오룡 · 사흉) · 동방번개
스포츠 체육총국 · 올림픽 대표팀 · 패럴림픽 대표팀 · 전국운동회 · 중국축구협회 · 축구 국가대표팀(홍콩 · 마카오) · 풋살 국가대표팀 · 여자 축구 국가대표 · FA컵 · 슈퍼 리그 · 갑급 리그 · 을급 리그 · 여자 슈퍼 리그 · 홍콩 프리미어 리그 · 홍콩 퍼스트 디비전 · 홍콩 세컨드 디비전 · 차이나컵 · 홍콩 구정컵 · 축구굴기 · 공한증 · 중국 농구 협회 · 농구 국가대표팀 ·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 남자 배구 리그 · 여자 배구 리그 · 야구 국가대표팀 · 중국권법(실전) · 태극권 · 중국 그랑프리 · 상하이 인터내셔널 서킷 · 기아 서킷 · 베이징 올림픽 · 올림픽공원
언어 중국티베트어족 · 중국어(표준 중국어) · 관화 · 오어 · 월어 · 상어 · 민어 · 객가어 · 둥간어 · 기타 방언 · 한문 · 백화문 · 한자(간체자 · 방언자 · 측천문자 · 한어대사전) · 병음(우정식 병음 · 국어라마자 · 한어병음 · 팔라디 표기법 · 월병 · 예일식 광동어표기법) · 언어문자공작위원회 · HSK · BCT · TSC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서하 문자
관광 관광 전반(홍콩 · 마카오) · 세계유산 · 구단팔묘 · 5A급 여유경구 · 중국국가박물관 · 중화민족원 · 유니버설 베이징 리조트 · 상하이 디즈니 리조트(상하이 디즈니랜드) · 홍콩 디즈니랜드 · 스튜디오 시티 워터파크 · 중국인민항일전쟁기념관 · 베이징 대관원
전시장 베이징 전시센터 · 전국농업전람관 · 중국국제전람센터 · 국가회의센터 · 국립전시컨벤션센터 · 상하이 국제엑스포센터 · 충칭 국제엑스포센터 · 수출입상품교역회전시관 · 선전세계전시컨벤션센터 · 선전전시컨벤션센터 · 우한 국제엑스포센터 · 난징 국제엑스포센터 · 쑤저우 국제엑스포센터 · 쿤밍뎬츠국제컨벤션센터 · 홍콩 컨벤션센터 · 아시아월드엑스포
}}} ||

파일:아시아 아이콘.svg 아시아의 국가 및 지역별 여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한국 여권 북한 여권 중국 여권 홍콩 여권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몽골 국기.svg
마카오 여권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대만 여권 일본 여권 몽골 여권
서아시아
파일:레바논 국기.svg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레바논 공화국 여권 시리아 여권 이라크 여권 쿠웨이트 여권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파일:요르단 국기.svg
이란 여권 이스라엘 여권 팔레스타인 여권 요르단 여권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파일:바레인 국기.svg 파일:예멘 국기.svg 파일:오만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여권 바레인 여권 예멘 여권 오만 여권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파일:카타르 국기.svg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여권 카타르 여권 튀르키예 여권 키프로스 여권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북키프로스 여권 압하지야 여권 남오세티야 여권
남아시아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여권 파키스탄 여권 인도 여권 방글라데시 여권
파일:몰디브 국기.svg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파일:네팔 국기.svg 파일:부탄 국기.svg
몰디브 여권 스리랑카 여권 네팔 여권 부탄 여권
북아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연방 여권
동남아시아
파일:미얀마 국기.svg 파일:라오스 국기.svg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미얀마 여권 라오스 여권 캄보디아 여권 베트남 여권
파일:태국 국기.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태국 여권 말레이시아 여권 싱가포르 여권 브루나이 여권
파일:필리핀 국기.svg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필리핀 여권 인도네시아 여권 동티모르 여권
중앙아시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여권 우즈베키스탄 여권 키르기스스탄 여권 투르크메니스탄 여권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여권 }}}}}}}}}
중화인민공화국 여권
中华人民共和国护照
Passpor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파일:전자여권 로고.svg
파일:prc_passport_image.webp
발급 국가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발급 기관 파일:중화인민공화국 공안부의 깃발.svg 중화인민공화국 공안부
파일:Flag_of_the_National_Immigration_Administration_of_PR_China.jpg국가이민관리국
중국어 中华人民共和国护照
中国护照
영어 Passpor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Chinese Passport
한국어 중화인민공화국 여권
중국 여권
유효기간 만 16세 이상: 10년
만 15세 이하: 5년
국경여행: 3개월
관용: 5년
색상 보통여권: 암적색
외무여권: 붉은색
공무여권: 갈색
비자 현황 무비자: 27개국
도착비자: 51개국
ETA: 3개국
비자 필요: 117개국[1]
관련 링크 주한중국대사관[2]
중화인민공화국 주부산총영사관[3]
중화인민공화국 주광주총영사관[4]
중화인민공화국 주제주총영사관[5]
전 세계의 중국 공관 위치[6]

1. 개요2. 특징
2.1. 종류2.2. 여권 요청문 및 안내문2.3. 기재된 정보
2.3.1. 기재 상세
2.4. 발급 신청
3. 전자여권과 여권위조
3.1. 위조여권과 위명여권
4. 무비자 혜택5. 대만 출입국6. 여담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중화인민공화국여권으로 중국어로는 후자오([ruby(护照, ruby=hùzhào)])라고 한다. 한국 한자음으론 '호조(護照)'인데 단어를 해석하면 '(신분) 조회(照)를 돕는(護) 물건'이라는 뜻이다.

중화인민공화국 공민으로서의 자격을 가진 사람들에게 발급되며 대만인, 홍콩인, 마카오인대륙으로 호적을 옮기면 발급받을 수 있다.[7]

중국 여권의 발급 기관은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가 아닌 중화인민공화국 공안부 산하의 경찰 기관인 이민관리국이다. 다만 중국 국내에서 신청된 일반여권만 이민관리국이 발급을 담당하며 관용여권(외교 및 공무 등)과 중국 국외 거주 중국인이 중국의 재외공관에서 신청하는 여권은 외교부 및 산하의 중국 대사관(영사부/영사관)이 발급업무를 담당한다.

2. 특징

개혁개방 이전에는 북한, 소련처럼 일반인의 출국이 거의 불가능했다. 개혁개방 이후에도 해외로 나갈 수 있는 사람은 극소수였으나 중국 경제가 발전함에 따라서 2000년대 이후로는 매년 급속도로 늘어났다.[8]

중국 본토후커우가 있는 사람에게만 발급된다. 홍콩 시민권자, 마카오 시민권자[9]들은 각각 홍콩 여권, 마카오 여권따로 발급받으며 발급 기관도 중화인민공화국 공안부 이민관리국이 아니다. 무비자 입국 가능 국가는 도착비자 포함해서 85개국이다.

대만에서는 중국 여권을 인정하지 않으므로 따로 통행증을 발급받아야 하고 홍콩이나 마카오도 별도의 신분증이 필요하다.

2.1. 종류

중국은 다음과 같은 형태의 여권을 발행한다.
  • 보통여권 - 10년, 5년, 변경여유여권의 3가지 버전이 있으며 전부 48페이지로 발급된다. 해당 여권은 중화인민공화국 공안부 산하 이민관리국이 발급한다. 발급비용은 120元(약 2만 5천원).
    • 10년(일반여권, 16세 이상) - 대한민국 여권의 10년 여권을 생각하면 편하며, 만 16세부터 발급이 가능하다.
    • 5년(일반여권, 15세 이하) - 대한민국 여권의 5년 여권을 생각하면 편하며, 만 15세 이하가 발급받으며 만 16세부터는 위 10년 여권으로 발급받는다.
    • 3개월(변경여유여권) - 국경지역 전용 여권으로, 중국 국경지대에서 발급받는 여권이다. 단수만 발급된다.
    • 홍콩특별행정구 여권 - 홍콩인들에게 발급되는 여권이다.
    • 마카오특별행정구 여권 - 마카오인들에게 발급되는 여권이다.
  • 관용여권 - 특수한 신분을 가진 자들이 발급받는 여권으로, 일괄 5년 고정이다. 해당 여권은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가 발급한다.
    • 외교여권 - 외교부 및 중국공산당 대외연락부 등의 허가를 받은 외무업무를 수행하는 사람들이 발급받는 여권이다. 일반적으로는 32페이지로 발급되지만 외교특사는 96페이지로 발급되는 경우도 있다.
    • 공무여권 - 일반 관용여권으로, 외교가 아닌 기타 공무를 수행하는 현처급 이상 공무원 및 가족들에게 발급되는 여권이다.
    • 공무보통여권 - 역시 관용여권이지만 현처급 밑, 즉 향과급 ~ 판사원의 위치에 있는 공무원 및 가족들에게 발급되는 여권이다.[10]
여권 표지 형태
보통여권 외교여권 공무여권
파일:중화인민공화국 전자 여권 커버.jpg 파일:PRC_passport_(Diplomatic).png 파일:PRC_passport_(Service).png
공무보통여권 홍콩 여권 마카오 여권
파일:PRC_passport_(for_Public_Affairs).png 파일:hong kong passport.png 파일:마카오 여권 표지.jpg

2.2. 여권 요청문 및 안내문

中华人民共和国外交部请各国军政机关对持照人予以通行的便利和必要的协助。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requests all civil and military authorities of foreign countries to allow the bearer of this passport to pass freely and afford assistance in case of need.

Le Ministère des Affaires Étrangères de la République Populaire de Chine prie les autorités civiles et militaires des pays étrangers de laisser passer librement le titulaire de ce passeport et de lui prêter aide et assistance en cas de besoin.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는 해당 여권을 보유한 자의 통행 편의 및 필요한 협조를 각국 군정기관에게 요청한다.
모든 여권에 적힌 요청문. 프랑스어는 현재 적히지 않는다.
本护照前往世界各国有效

This passport is valid for travel to all countries in the world.
Ce passeport est valable pour tous les pays du monde.

본 여권은 세계 각국에서 유효한 통행이 가능하다.
관용여권에만 적혀있는 추가 문장. 역시 프랑스어는 현재 적히지 않는다.
跟随旅游团队一次出入境有效。
出入境口岸:某某某

Valid for single exit and entry with tourist group only.
Port(s) of exit and entry: XXX

단체관광그룹에 한해 1번의 출입경만 유효하다.
출입 국경통상구: XXX
변경여유여권에 적힌 안내문. 해당 안내문은 출입가능 국경통상구가 적혀 있어 그 곳으로만 1회에 한해 출입경이 가능하다. 출입경이 가능한 통상구 목록은 중국의 국경통상구 문서 참조.

2.3. 기재된 정보

<colbgcolor=#f5f5f5,#2d2f34> 신원정보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파일:Interior_of_People's_Republic_of_China_Biometric_passport.jpg
일반여권 신원정보란(국가이민관리국 발급)
파일:Informatin_Page_of_PRC_Ordinary_Passport_(97-2_Version).jpg
일반여권 신원정보란(구 출입경관리국 발급)
파일:Chinese_Diplomatic_E-Passport_2021_Version_Personal_Info_Page.jpg
외무여권 신원정보란 }}}}}}}}}
여권 종류, 발행국, 여권 번호, 성명(간체자 및 로마자), 성별, 국적, 생일, 출생지, 여권 발행지[11], 발행 기관, 발급일, 유효 기간, 서명이 쓰여 있다.

중국은 여권에 로마자 이름을 적을 때 무조건 한어병음을 사용하지만 약간 변칙적인 표기 방식을 사용한다. 한어병음 문서의 중국 여권의 표기 방식 단락을 참고할 것.

2.3.1. 기재 상세

다음은 여권에 기재되는 정보 상세이다.
  • 유형: TYPE P: P는 Passport라는 뜻으로, 일반적인 여권은 모두 이 형태로 발급되기 때문에 다른 유형을 보기는 굉장히 힘들다. 이는 본래 외교여권과 공무여권 등이 다른 타입으로 나왔기 때문인데 중국은 모든 타입이 P이지만 대한민국 여권 등 일부 여권은 아직도 타입이 세분화되어 있다.
  • 국가코드: ISO 3166으로 지정된 중화인민공화국 국가코드인 CHN만이 기재된다.
  • 여권번호: 총 9자리이며 맨 앞은 알파벳이 붙는데, 해당 알파벳은 다음과 같다.
10년, 5년, 관용여권
일반여권 외교여권 공무여권 공무보통여권 홍콩여권 마카오여권
E DE SE PE H, K, KJ MA, MB
변경여유여권
일반여권 외교여권 공무여권 공무보통여권 홍콩여권 마카오여권
G D S P H M
  • 이름: 중국어영어로 표기되며 중국어가 상단, 영어가 하단으로 적힌다. 로마자 표기는 반드시 보통화 발음이 한어병음으로 기재되며 소수민족도 이름의 한자 음차 표기에 따른 보통화 발음이 한어병음으로 적힌다.[12] 음절 구분을 위한 어깻점은 표기에서 생략되고 ü는 과거에는 규정 미비로 인해 발급 기관에 따라 u 또는 v로 적혔으나 현재는 관련 규정이 정비되면서 yu로 갈음하여 표기한다.
  • 성별: 남성男/M여성女/F
  • 국적: 중화인민공화국 국적자에게 발급되는 여권이므로 中国 / CHINESE로 적힌다.
  • 출생지: 성급행정구를 기준으로 하여 중국어와 영어로 기재되는데 가령 광둥성广东/GUANGDONG으로 적힌다. 홍콩, 마카오, 대만 출신자들도 중화인민공화국 공민 자격만 있으면 여권을 발급받을 수 있고 만약 이들이 중국 여권을 발급받는다면 해당 출신지가 香港/HONG KONG, 澳门/MACAU, 台湾/TAIWAN으로 적힌다.[13] 만약 중국 국내 출생이 아니라면 해당 출신국의 코드가 적힌다.[14]
  • 발급지: 출생지와 동일한 형태로 적히며 국외에서 신청한 여권은 발급한 외무공관이 위치한 곳으로 표기된다.
  • 발급일자
  • 유효기간 및 만료일
  • 발급기관: 일반여권은 중화인민공화국 공안부 국가이민관리국이 발급하므로 中华人民共和国国家移民管理局National Immigration Administration, PRC가 적히며 관용여권 및 중국국외에서 발급된 여권은 외교부가 대행하므로 外交部MFA 혹은 발급한 외무공관[15]이 적힌다.
  • 소지자 서명: 중국 여권은 여권 소지자의 서명이 신원정보란에 추가되어 있다.

2.4. 발급 신청

중국 여권을 발급받으려면 다음의 준비물이 필요하다.
  1. 중국의 신분증[16]
  2. 여권사진
  3. 호구부
  4. 발급비용 120元 (연장 및 재발급의 경우 140元)
  5. 여권신청서
  6. 지문[17] ||

신장 위구르 자치구티베트 자치구를 포함한 티베트 자치지역은 여기서 추가로 더 제출하여야 하는 서류가 있다.
  1. 출국목적이 적힌 서류

이를 모두 제출하면 공안부 이민관리국에서 5일, 최대 15일 이내에 여권을 발급하며 개인의 요청에 따라 발급기간을 30일까지 늘리는 것이 가능하다.

3. 전자여권과 여권위조

대만 여권과 마찬가지로 전자여권 발급이 굉장히 늦어 2012년 5월 15일에야 발급되기 시작했다. 그로 인해 2010년대까지는 중국 국적자들 중에는 비전자여권을 가지고 다니는 사람들이 많이 보였으나 현재 비전자여권은 유효기간이 만료되었으므로 모든 여권은 전자여권이다.

중국 여권으로 무비자 입국이 되는 곳이 많이 없다 보니 2008년 8월 25일 대한민국 여권과 2008년 3월 1일 대만 여권의 전면 전자화 이전에는 대한민국 여권이나 대만 여권을 위조하여 사용하다 걸리는 경우도 상당히 많았다.

3.1. 위조여권과 위명여권

자국의 위조여권과 위명여권이 많다. 특히 위명여권은 돈만 있으면 발급이 가능할 정도다. 그래서 중국을 제외한 외국에서는 중국 여권에 대한 신뢰도가 낮다.[18]

그래서 북한이탈주민들이 대한민국으로 귀순할 때 주로 위명여권을 사용한다.[19] 어차피 북한이탈주민들의 대한민국 입국은 서울, 부산 아니면 제주[20]에 착륙하자마자, 아니 한국 국적기에 탑승하자마자 보장된 것이기 때문에 중국 여권의 유효성은 고려 대상이 아니다.[21]

애초에 비합법적인 중국 여권은 중국의 공항 입국심사대만 넘으려고 확보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북한이탈주민들도 위명 중국 여권을 이용해서 법적으로 중국을 출국하고 무비자 혜택이 없는 서울, 부산에 도착하더라도 출입국심사관에게 북한이탈주민이라고 신고하고 국가정보원, 대한민국 경찰청, 통일부에 인계를 요구한다.

4. 무비자 혜택

파일:Visa_requirements_for_Chinese_citizens.png

헨리 여권 지수에 따르면 국력에 비해서 무비자 입국이 가능한 나라가 한국이나 대만, 일본, 싱가포르에 비하면 적다. 이는 중국의 국민소득이 2000년대까지 낮았던 만큼 선진국뿐만 아니라 웬만한 개발도상국 중에도 국민 소득 수준이 중국보다 높았던 나라들이 많아서 이들도 중국인들의 불법 체류를 우려해서 비자 발급에 대해 깐깐한 조건을 내걸었기 때문이었으며 중국 당국에서 상당수 국가에 중국에 체류할 때 비자를 요구하는 편인지라 상호주의 적용이 안 되었던 이유도 있었다.

그러나 2010년대와 2020년대에는 중국의 1인당 국민 소득과 임금 수준이 웬만한 개발도상국보다 높아지고 해외여행을 갈 수 있을 만큼의 여유가 생긴 중산층들이 크게 늘어남에 따라 불법체류 리스크가 줄어들어 많은 개발도상국에서는 중국 기업 투자 및 관광 산업 진흥목적으로 중국인에 대한 비자 발급 제한을 완화하거나 무비자로 전환하는 추세다. 그래서 동남아시아, 남아시아, 구소련권 국가 등 개발도상국 입국은 나라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과거에 비해 현저히 쉬워졌다.[22]

물론 솅겐 조약 비준국이나 영국, 아일랜드,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대만, 싱가포르[23], 한국, 일본과 같은 선진국들의 임금 수준이 아직도 중국 대륙보다 높다는 점 때문에 무비자가 안 되고 있기는 하다.

5. 대만 출입국

중국 대륙 - 대만 양안은 서로를 국가로 승인하지 않기 때문에 여권을 보지 않는다. 중국인이 대만에 입국하려면 대만 내정부 입출국이민서로부터 중화민국 대만지구 출입허가증을 발급받아야만 왕래할 수 있다.#

허가가 나서 대만을 갈 땐 공안부가 발급한 대륙인 대만여행증과 중국 여권은 신분증에 불과하고 출입경 심사는 허가증과 같이 나오는 '왕래대만통행증'으로 이루어진다.

아예 통행증에 전자여권에도 쓰이는 ICAO 표준 마크가 새겨져 있으며 인적 사항이 세부적으로 나와있기 때문에 여권은 자국에서 출입국 심사를 받을 때를 제외하면 거의 필요하지 않다.

대만중국적대관계중국 대륙인밀입국, 불법체류 문제로 인해 인솔자는 사무실에서 따로 면담해야 하고 인솔자가 일행의 동선을 보고해야 하며 보증금을 지급해야 한다.

6. 여담

  • 여권 발급 비용이 대한민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편이다. 대한민국 주재 중국 공관에서의 중국 여권 발급 수수료는 달랑 38,000원밖에 안 하고 관용(공용)여권은 무료이다. 2017년 1월부터는 예약제로 바뀌었다고 한다. 중국 본토 발급 수수료인 120元 역시 한화로 약 23,000원 정도밖에 안 한다. 한국 여권이 10년 26면 기준 50,000원인 것을 생각하면 엄청나게 저렴하다.#
  • 앞서 말했듯이 경제력의 신장으로 개발도상국은 무비자로 많이 갈 수는 있게 되었지만 솅겐 조약 비준국이나 영국, 아일랜드,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대만, 한국, 일본과 같은 선진국에 입국하려면 무조건 비자를 발급받아야 하고, 입국 절차도 까다롭기 때문에 무비자가 가능한 국가가 많은 여권 발급국의 국적을 따기를 원하는 사람도 꽤 많다. 중국 여권으로는 선진국에 무비자로 출입국하는 것이 불가능이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 그러나 중국은 복수국적을 인정하지 않고 국적포기 시 회복이 거의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불편함을 감수하고 국적을 유지하는 해외 영주자들도 상당수 존재한다. 특히 이 중에서도 해외에서 개최되는 영화제 등 각종 행사에 반드시 참여해야 하는 연예인들이 대표적인 경우인데 중국 본토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가깝게는 홍콩 영주권을 취득하거나 아예 중국 국적을 포기하고 외국 국적을 취득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그 예로 중국 배우인 공리 역시 싱가포르 여권을 갖고 있다.

7. 관련 문서



[1] #[2] 관할지역은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강원특별자치도,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충청북도[3] 관할지역은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 대구광역시, 경상북도[4] 관할지역은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5] 관할지역은 제주특별자치도[6] 이 중 휴스턴 총영사관은 미국 정부미중 무역 전쟁미중 패권 경쟁에 의한 압박으로 인해 폐쇄.[7] 일단 중화인민공화국 국적법에 따르면 중국 대륙 거주민 외에도 특별행정구 소속 홍콩인, 마카오인대만인 모두 자국민으로 간주하지만 중국 공민에는 중국 대륙 거주민만 해당되며 홍콩인, 마카오인대만인중국 대륙 후커우를 가지면 중국 여권 발급 대상이 된다. 그런데 대만인, 홍콩인, 마카오인대만인홍콩 여권, 마카오 여권, 대만 여권을 소지하고 있고 홍콩 여권, 마카오 여권, 대만 여권 모두 중국 대륙 여권에 비해 무비자 국가 개수가 많기 때문에 중국 여권을 굳이 발급받지 않는다.[8] 중국북한의 1인당 GDP를 앞서게 된 것이 1990년대 중반의 일이다.[9] 중국 국적의 홍콩 영주권자나 중국 국적의 마카오 영주권자만을 대상으로 한다.[10] 튀르키예의 특별여권과 비슷하다.[11] 출생지 및 여권발행지는 省단위다. 예: 지린성, 헤이룽장성 등[12] 조선족은 이름을 원래 한자로 지으므로, 그 한자 표기의 보통화 발음이 한어병음으로 적힌다.[13] 홍콩 특별행정구와 마카오 특별행정구는 성급행정구이고 대만도 성급행정구인 타이완성으로 간주하므로 이 역시 성급행정구를 기준으로 기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14] 예를 들어 대한민국 출생자는 韩国/ROK로 표기된다.[15] 예를 들어 주한중국대사관 발급은 中国驻大韩民国大使馆 및 EMBASSY OF P. R. CHINA IN R.O.K.로 표기된다.[16] 주로 거주증 및 거민신분증을 사용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이 본인이 거주 중인 곳의 경찰관서 인장이 찍힌 신분증을 제시해야만 발급을 해 준다는 점이다.[17] 현장에서 채취한다.[18] 물론 중국 공항의 출국 심사가 있긴 하지만 사전에 브로커 등을 통해서 중국 국내의 호적 등을 조작한 다음에 위명여권을 발급받은 것이므로 공항의 출국심사관은 통과시켜줄 수밖에 없다.[19] 위조/변조여권은 중국의 출국심사에서 적발될 확률이 높다.[20] 무사증입국이 가능한 제주도가 선호된다.[21] 그야 북한이탈주민은 선천적 대한민국 국적자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자국민의 입국을 거부하는 것은 국제법 위반이다. 당연히 중국 여권을 위조한 것은 탈북을 위한 것임이 분명하므로 위법성조각사유에 해당하므로 속인주의를 채택하고 있는 대한민국 형법(사문서위조)으로도 처벌되지 않는다.[22] 아프리카남아시아동남아시아에서 중국보다 잘사는 나라는 그야말로 손에 꼽는 수준이고 동유럽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크로아티아, 체코, 헝가리, 슬로바키아, 폴란드, 슬로베니아를 제외하면 중국과 경제 수준의 차이가 나지 않는다. 그래서 중국인들이 불법 체류해도 이득을 볼 수 있는 메리트가 확 줄어들었다.[23] 2023년 12월 7일 싱가포르-중국 상호 30일 무비자에 합의했다.(CNA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