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4 17:31:02

말레이시아

末聯에서 넘어옴
{{{#!wiki style="padding: 5px 10px 4px; background: linear-gradient(135deg, #010066 0%, #010066 78%, #cc0000 78%, #cc0000 81%, #fff 81%, #fff 84%, #cc0000 84%, #cc0000 87%, #fff 87%, #fff 90%, #cc0000 90%, #cc0000 93%, #fff 93%, #fff 96%, #cc0000 96%, #cc000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cc0000>상징잘루르 그밀랑 · 국가 · 국호
역사역사 전반 · 스리위자야 · 마자파힛 제국 · 믈라카 술탄국 · 영국령 말라야(말레이 연합주 · 말레이 비연합주 · 해협식민지 · 사라왁 왕국 · 북보르네오) · 일본령 말라야 · 말라야 연합 · 말라야 연방 · 말라야 비상사태 · 말레이시아 공산반란
정치정치 전반 · 양 디페르투안 아공 · 말레이시아/이념 · 정당들(희망동맹 · 국민전선 · 사라왁 정당연합 · 국민연합) · 푸트라자야 · 분리주의(동말레이시아) · 인종차별 정책(말레이시아 이민국 · 부미푸트라) · 14번째 주
경제경제 · 말레이시아 링깃 · 말레이시아 증권거래소 · 페트로나스 · 페로두아 · 프로톤 · KL118
국방말레이시아군 (말레이시아 해군 · PASKAL · 조호르군)
외교외교 전반 · ASEAN · IPEF · 영연방 · 말레이권 · 이슬람 협력기구 · 비자/말레이시아
교통교통 전반 · 말레이시아 항공 · 에어아시아 · 동남아시아의 철도 환경(말레이 철도 · 쿠알라룸푸르 도시철도)
문화문화 전반 · 관광 · 말레이시아 요리 · 말레이시아 영화 · 말레이시아 스포츠(말레이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 말레이시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말레이시아 야구 국가대표팀) · 이슬람교 · 세계유산 · 말레이시아인(말레이인 ·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 인도계 말레이시아인 · 크리스탕)
언어마인어 (믈라카 말레이어 · 사라왁 말레이어 · 사바 말레이어 · 수도권 말레이어 · 클란탄 말레이어 · 크다 말레이어 · 트렝가누 말레이어) · 라틴 문자
사회사회 전반 · SPM · (말라야 대학교 · 푸트라 대학교 · 사바 대학교 · 헬프 대학교)
기타말레이 반도 · 보르네오 섬 · 압둘 라작 · 말라야 · 페트로나스 트윈 타워
}}}}}}}}}
말레이시아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말레이시아 - 싱가포르 - 브루나이의 역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소왕국 들 랑카수카 왕국 파항 왕국 멜라유 왕국 스리위자야 싱하사리 왕조 마자파힛 제국 믈라카 술탄 슬랑오르
느그리슴빌란
페락
파항
말레이 연합주 <colbgcolor=#000000> 일본령 말라야 말레이 영국군정부 말라야 연합 말라야 연방 말라야 연방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
조호르
트렝가누
클란탄
크다
프를리스
말레이 비연합주
부족국가시대 테마섹 포르투갈령 믈라카 네덜란드령 믈라카 해협식민지 영국령 피낭
영국령 믈라카
일본령 싱가포르 영국령 싱가포르 싱가포르
비자야푸라 브루나이 술탄국 사라왁 왕국 <colbgcolor=#000000> 일본령 북보르네오 사라왁 왕국 사라왁 식민지 말레이시아
북보르네오 보호령 북보르네오 보호령 북보르네오 왕령식민지
브루나이(영국 보호령) 브루나이(영국 보호령) 브루나이
}}}}}}}}} ||

파일:동남아시아 아이콘.svg 동남아시아의 국가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인도차이나 반도
파일:미얀마 국기.svg 파일:라오스 국기.svg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미얀마 라오스 캄보디아
파일:베트남 국기.svg 파일:태국 국기.svg
베트남 태국
말레이 제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브루나이
파일:필리핀 국기.svg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필리핀 인도네시아[A] 동티모르[A] }}}
[A] 기준에 따라 일부 혹은 전체 지역이 오세아니아로 분류되기도 한다.[A]
}}}}}}

오스트로네시아족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민족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75b2dd> 대만 원주민 부눈족 | 아미족 | 아타얄족 | 파이완족
말레이-폴리네시아인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75b2dd> 말레이계 다약 | 따오족 | 마두라인 | 마카사르인 | 말라가시인 | 말레이인 | 모로인 | 미낭카바우 | 바탁 | 반자르인 | 반튼인 | 발리인 | 부기스인 | 부퉁인 | 비콜라노인 | 비사야인 | 사마 바자우 | 사삭인 | 순다인 | 숨바와인 | 아체인 | 오랑 라우트 | 일로카노인 | 자바인 | 찌아찌아인 | 참족 | 카다잔두순 | 카팜팡안인 | 타갈로그인 | 테툼족
멜라네시아인* 니바누아투 | 솔로몬 제도인 | 카낙인 | 피지인
미크로네시아인 나우루인 | 마샬인 | 차모로인 | 추크인 | 카핑인 | 캐롤라인인 | 키리바시인 | 팔라우인
폴리네시아인 니우에인 | 라파 누이인 | 마르키즈인 | 마오리족 | 사모아인 | 아누타족 | 타히티인 | 토켈라우인 | 통가인 | 투발루인 | 하와이 원주민
국가 및 지역
독립국 파일:나우루 국기.svg 나우루 |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 |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마셜 제도 국기.svg 마셜 제도 |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 파일:미크로네시아 연방 국기.svg 미크로네시아 연방 |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바누아투 |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솔로몬 제도 |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 파일:키리바시 국기.svg 키리바시 |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 파일:투발루 국기.svg 투발루 | 파일:팔라우 국기.svg 팔라우 |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자치 지역 및 다수 거주지 파일:괌 기.svg | 파일:난터우현 휘장.svg 난터우현 | 파일:누벨칼레도니 기.svg 누벨칼레도니 | 파일:니우에 기.svg 니우에 | 파일:태국 국기.svg 대 빠따니 | 파일:미국령 사모아 기.svg 미국령 사모아 | 파일:북마리아나 제도 기.svg 북마리아나 제도 | 파일:왈리스 푸투나 기.svg 왈리스 푸투나 | 파일:이스터 섬 기.svg 이스터 섬 | 파일:코코스 제도 기.svg 코코스 제도 | 파일:쿡 제도 기.svg 쿡 제도 | 파일:타이둥현 휘장.svg 타이둥현 | 파일:토켈라우 기.svg 토켈라우 | 파일:프랑스령 폴리네시아 기.svg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 파일:화롄현 휘장.svg 화롄현 | 파일:하와이 주기.svg 하와이
언어 및 문화
언어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신화 말레이 신화 | 멜라네시아 신화 | 미크로네시아 신화 | 폴리네시아 신화
첨자 *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를 쓰는 멜라네시아인에 한함 }}}}}}}}}

파일:ASEAN 깃발.svg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인도네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태국|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말레이시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필리핀|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베트남|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캄보디아|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라오스|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미얀마|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브루나이|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싱가포르|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

파일:APEC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뉴질랜드 대만 대한민국 러시아 말레이시아
파일:멕시코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멕시코 미국 베트남 브루나이 싱가포르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칠레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인도네시아 일본 중국 칠레 캐나다
파일:태국 국기.svg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일:페루 국기.svg 파일:필리핀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태국 파푸아뉴기니 페루 필리핀 호주
파일:홍콩 국기.svg
홍콩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 ||

<colcolor=#072b5f,#fff> 파일:남극조약기.svg
남극 조약 회원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남극 조약 창립 가맹국
영유권 비주장 자문 가맹국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nopad> 남아프리카 공화국 네덜란드 대한민국 독일 러시아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미국 벨기에 불가리아 브라질 스웨덴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스페인 에콰도르 우루과이 우크라이나 이탈리아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체코 국기.svg 파일:페루 국기.svg
인도 일본 중국 체코 페루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핀란드 국기.svg
폴란드 핀란드
영유권 주장 자문 가맹국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칠레 국기.svg
노르웨이 뉴질랜드 아르헨티나 영국 칠레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프랑스 호주
비자문 가맹국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모나코 국기.svg
과테말라 덴마크 루마니아 말레이시아 모나코
파일:몽골 국기.svg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몽골 베네수엘라 벨라루스 북한 스위스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파일:쿠바 국기.svg
슬로바키아 카자흐스탄 캐나다 콜롬비아 쿠바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튀르키예 파키스탄 파푸아뉴기니 포르투갈 헝가리 }}}}}}}}}

[[영연방|
파일:영연방 기.svg
영연방{{{#!wiki style="margin: -4px 0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영연방 왕국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웨일스|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북아일랜드|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북아일랜드]]
파일:캐나다 국기.svg파일:호주 국기.svg파일:뉴질랜드 국기.svg파일:자메이카 국기.svg파일:바하마 국기.svg
캐나다호주뉴질랜드자메이카바하마
파일:그레나다 국기.svg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파일: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국기.svg파일:세인트키츠 네비스 국기.svg파일:앤티가 바부다 국기.svg
그레나다세인트루시아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세인트키츠 네비스앤티가 바부다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파일:벨리즈 국기.svg파일:투발루 국기.svg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파일:영연방 기.svg
솔로몬 제도벨리즈투발루파푸아뉴기니영연방 왕국
공화국인 회원국 (X 표시: 영국의 지배를 받은 적이 없음)
파일:인도 국기.svg파일:파키스탄 국기.svg파일:스리랑카 국기.svg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인도파키스탄스리랑카나이지리아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가나 국기.svg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파일:키프로스 국기.svg파일:탄자니아 국기.svg파일:케냐 국기.svg
가나시에라리온키프로스탄자니아케냐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파일:우간다 국기.svg파일:말라위 국기.svg파일:몰타 국기.svg파일:잠비아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우간다말라위몰타잠비아
파일:싱가포르 국기.svg파일:가이아나 국기.svg파일:보츠와나 국기.svg파일:모리셔스 국기.svg파일:나우루 국기.svg
싱가포르가이아나보츠와나모리셔스나우루
파일:피지 국기.svg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파일:감비아 국기.svg파일:세이셸 국기.svg파일:키리바시 국기.svg
피지방글라데시감비아세이셸키리바시
파일:바누아투 국기.svg파일:카메룬 국기.svg파일:도미니카 연방 국기.svg파일:몰디브 국기.svg파일:바베이도스 국기.svg
바누아투카메룬도미니카 연방몰디브바베이도스
파일:나미비아 국기.svg파일:모잠비크 국기.svg파일:르완다 국기.svg파일:가봉 국기.svg파일:토고 국기.svg
나미비아X모잠비크(포르투갈)X르완다(벨기에)X가봉(프랑스)X토고(프랑스)
별도의 군주가 있는 회원국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파일:브루나이 국기.svg파일:레소토 국기.svg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파일:통가 국기.svg
말레이시아브루나이레소토에스와티니통가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탈퇴국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아일랜드짐바브웨
가입 희망국
파일:소말릴란드 국기.svg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파일:남수단 국기.svg파일:부룬디 국기.svg파일:수리남 국기.svg
소말릴란드수단남수단부룬디수리남}}}}}}}}}

{{{#!wiki style="margin: -8px"<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 ||

[[이슬람 협력기구|
파일:이슬람 협력기구 기.svg
이슬람 협력기구
منظمة التعاون الاسلامي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정회원국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파일:알제리 국기.svg파일:차드 국기.svg파일:이집트 국기.svg파일:기니 국기.svg
아프가니스탄알제리차드이집트기니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파일:이란 국기.svg파일:요르단 국기.svg파일:쿠웨이트 국기.svg파일:레바논 국기.svg
인도네시아이란요르단쿠웨이트레바논
파일:리비아 국기.svg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파일:말리 국기.svg파일:모리타니 국기.svg파일:모로코 국기.svg
리비아말레이시아말리모리타니모로코
파일:니제르 국기.svg파일:파키스탄 국기.svg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파일:세네갈 국기.svg
니제르파키스탄팔레스타인사우디아라비아세네갈
파일:소말리아 국기.svg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파일:튀니지 국기.svg파일:튀르키예 국기.svg파일:예멘 국기.svg
소말리아수단튀니지튀르키예예멘
파일:바레인 국기.svg파일:오만 국기.svg파일:카타르 국기.svg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바레인오만카타르아랍에미리트시에라리온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파일:가봉 국기.svg파일:감비아 국기.svg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파일:우간다 국기.svg
방글라데시가봉감비아기니비사우우간다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파일:카메룬 국기.svg파일:코모로 국기.svg파일:이라크 국기.svg파일:몰디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카메룬코모로이라크몰디브
파일:지부티 국기.svg파일:베냉 국기.svg파일:브루나이 국기.svg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지부티베냉브루나이나이지리아아제르바이잔
파일:알바니아 국기.svg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파일:모잠비크 국기.svg
알바니아키르기스스탄타지키스탄투르크메니스탄모잠비크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파일:수리남 국기.svg파일:토고 국기.svg파일:가이아나 국기.svg
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수리남토고가이아나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회원자격 정지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참관국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파일:태국 국기.svg파일:러시아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중앙아프리카 공화국북키프로스태국러시아
탈퇴국
파일:잔지바르 기.svg
잔지바르
회원 가입 시도 국가
파일:벨라루스 국기.svg파일:브라질 국기.svg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파일:중국 국기.svg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벨라루스브라질중앙아프리카공화국중국콩고민주공화국
파일:인도 국기.svg파일:케냐 국기.svg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파일:모리셔스 국기.svg파일:네팔 국기.svg
인도케냐라이베리아모리셔스네팔
파일:필리핀 국기.svg파일:세르비아 국기.svg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파일:스리랑카 국기.svg
필리핀세르비아남아프리카 공화국스리랑카}}}}}}}}}
말레이시아
Malaysia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말레이시아 국장.svg
국기 국장
Bersekutu Bertambah Mutu
단결은 힘
상징
국가 Negaraku
국화 부상화
국조 코뿔새
국수 말레이호랑이
역사
말라야 연방 설립 1948년 1월 31일
독립 1957년 8월 31일
연방 수립 1963년 9월 16일
지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수도 쿠알라룸푸르 (입법·사법)
푸트라자야 (행정)
면적 330,803km² / 세계 67위
접경국
[[태국|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싱가포르|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1][2]

[[브루나이|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인도네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
인문 환경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인구 총인구 <colbgcolor=#fff,#1c1d1f>34,671,895명(2024년) | 세계 48위
민족 구성 말레이인 69.4%, 중국계 23.2%, 인도계 6.7%, 기타 0.7%
인구밀도 77명/km² / 세계 115위
출산율 세계은행 자료 2.00명(2020년)[3] CIA 자료 1.75명(2022년)[4]
언어 공용어 말레이어(국어, 공용어), 영어(공용어)
지역 언어 중국어, 타밀어[5]
공용 문자 라틴 문자
종교 국교 이슬람교[6]
종교 분포 이슬람교 61.3%, 불교 19.8%, 그리스도교 9.2%, 힌두교 6.2%, 기타 3.4%
군대 말레이시아군 }}}}}}}}}
하위 행정 구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3연방직할구, 13주
기초자치단체 154개 }}}}}}}}}
정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정치 체제 <colbgcolor=#fff,#1c1d1f>연방제, 입헌군주제, 양원제, 의원내각제
민주주의 지수 7.29점, 결함있는 민주주의 (2023년)
(167개국 중 40위, 아시아 5위)[7]
양 디페르투안 아공
(국가원수)
이브라힘 이스칸다르
(Ibrahim Iskandar)
총리
(정부수반)
안와르 이브라힘
(Anwar bin Ibrahim)
}}}}}}}}}
경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제 체제 <colbgcolor=#fff,#1c1d1f>자본주의
명목 GDP 전체 GDP $4,308.95억(2023년 10월)
1인당
GDP
$13,034(2023년 10월)
국부 $6,540억 / 세계 47위(2020년)
수출입액 수출 $1,896억(2016년)
수입 $1,685억(2016년)
외환보유액 $1,059억(2018년 4월)
신용 등급 무디스 A3
S&P A-
Fitch A-
통화 말레이시아 링깃
국가 예산 1년 세입 $512.5억 (2017년)
1년 세출 $606.3억 (2017년) }}}}}}}}}
단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법정연호 <colbgcolor=#fff,#1c1d1f>서력기원
시간대 UTC+8 (MST)
도량형 SI 단위 }}}}}}}}}
외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한수교현황 <colbgcolor=#fff,#1c1d1f>대한민국
1960년 2월 23일 수교
북한
1973년 6월 30일 수교
2021년 3월 19일 단교 및 승인 취소[8]
국제연합 가입 1963년
무비자 입국 양국 모두 90일
주한 대사관 서울특별시 용산구 독서당로 129 }}}}}}}}}
ccTLD
.my
국가 코드
458, MY, MYS
국제 전화 코드
+60
여행경보
여행유의 출국권고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
출국권고 사바주 동부도서 지역 및 동부해안
위치
파일:말레이시아 위치.svg
파일:external/userimg.enclean.com/1207731131147%5B20080409175211%5D0.jpg
수도 쿠알라룸푸르 (KL)의 야경
1. 개요2. 국가 상징
2.1. 국호2.2. 국기2.3. 국가
3. 역사4. 지리
4.1. 기후4.2. 천연자원
5. 행정6. 교통
6.1. 항공6.2. 철도
7. 정치8. 군사9. 사회
9.1. 언론9.2. 교육
10. 경제11. 외교12. 문화13. 말레이시아 출신의 유명인14. 말레이시아 출신의 가상 인물

[clearfix]

1. 개요

말레이반도보르네오 섬 북부에 있는 동남아시아 국가. 이웃나라는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태국, 브루나이 등이다.

정식 수도는 쿠알라룸푸르이며, 행정 수도는 푸트라자야이다.[9]

사실 푸트라자야는 헌법상 정식 수도는 아니고, 대한민국의 세종특별자치시처럼 정부 청사가 소재한 행정 도시이다. 다른 도시와는 다르게 쿠알라룸푸르와 푸트라자야는 1개 주와 같은 위상을 가진 직할시이다. 도시의 위상은 그렇지만 한국에서 비유할 만한 도시는 세종시 개발 이전의 과천시라고 보면 된다. 쿠알라룸푸르에서 약 25km 떨어져 있는데, 대한민국으로 따지면 서울시청에서 부평구청, 분당구청, 양주시청과 비슷한 거리이다. 즉 서로 인접한 시군의 중심지 거리 정도라 볼 수 있고, 또 말레이시아의 국토 면적이 대한민국의 3배가 넘고 그것도 바다를 사이에 두고 두 부분으로 분할되어 있다 보니 25km면 그냥 붙어있는 거나 다름없다.

2. 국가 상징

2.1. 국호

Malaysia, 말레이시아라는 이름은 이 지역에 살고 있는 주요 민족인 말레이인을 뜻하는 영어 표현 'Malays'에 그리스어·라틴어 어원의 접미사로 땅을 뜻하는 '-ia(-ία)'가 붙은 것이다.[10]

말레이어로는 /məleʃa/(믈레샤) 또는 /məlesia/(믈레시아)[11], 영어로는 /məˈleɪʒə/(멀레이저) 또는 /məˈleɪziə/(멀레이지어)라고 한다.

'말레이(Malay)'라는 표현은 '믈라유(Melayu)'라고도 통칭되는데 둘 다 어원은 아직 확실하지 않다. 타밀어로 산을 의미하는 마랄(Malal)과 도시, 을 의미하는 우르(ur)의 합성어로 추정된다. 유럽 국가들의 동남아시아 각국 식민지배 이전부터 말레이인들은 스스로를 멜라유(melayu) 등으로 칭했다. 그래서 말레이어는 말레이어로 바하사 믈라유(Bahasa Melayu), 말레이인은 오랑 믈라유(Orang Melayu)라고 한다. 그러나 국호는 말레이어로도 Malaysia이다.

영국의 식민지배를 거치고 난 후 말라야 연합이 세워질 때 말레이인들은 국호로 Malay와 랑카수카(Langkasuka)[12] 중 어느 것을 선택할까 고민하다가 Malay를 선택하여 말라야 연합이 되었다. 싱가포르 주와 보르네오 섬 북부 사라왁, 사바의 연방 가입이 이루어져 국가를 개편한 1963년에 국호를 말레이시아로 고쳤다.

한자 음차로는 마래서아(馬來西亞) 혹은 말래서아(末來西亞)가 된다. 중국어 명칭의 경우 전자를 사용하여 표준 중국어로는 마라이시아라고 발음한다. 현지 중국계 말레이시아인들도 마라시아(馬來西亞)를 사용하며 이를 줄여서 대마(大馬)라고 표기하고 표준 중국어로는 따마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13]

한편 한국에서는 연방국가이므로 여기에 '연방'을 붙인 줄임말 마련(馬聯) 또는 말련(末聯)이라고도 한다. 아주 옛날엔 조선일보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국일보 등에서는 "말" 글자에는 한자를 붙이지 않은 말聯이라는 표기를 사용했다. 아무래도 끝 말을 쓰는 것이 어감에 좋지 않아서 그런 듯 하다.

지금은 그냥 말레이시아 또는 말레이로 약칭하지만, 말聯이라고 검색하면 말레이시아 관련 기사가 많이 출력된다. 5060대 이상 기성세대는 지금도 말련, 마련이라고 말레이시아를 칭하기도 한다.

현지 인도계 말레이시아인들의 모어인 타밀어로는 மலேசியா(malēciyā, 말레시야)라고 쓴다. 독음은 영어 말레이시아와 크게 다르지 않다.

2.2. 국기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2.3. 국가

3.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말레이시아/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지리

파일:external/image.chosun.com/2013060600832_0.jpg

태국 아래의 말레이반도에서 맨 끝의 작은 섬인 싱가포르를 제외한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서말레이시아와, 여기서 아예 남중국해로 300여km 떨어진 보르네오 섬의 북부 지역, 그 중 작은 부분인 브루나이를 제외한 북부 보르네오 거의 전 지역을 국토로 두고 있다. 즉, 국토가 서로 연결되지 않은 비연속국인 셈이다. 게다가 중간 해역 상에는 인도네시아령인 리아우 섬까지 끼어 있다. 그래서 북보르네오 동말레이시아는 독립 요구도 자주 하는 편이다.

인도네시아와는 말라카 해협을 두고 해상 경계선을 이루며 보르네오 섬에서는 다시 육상 경계선을 이룬다. 왜 이런 비연속국이 됐는지는 연방제 국가이기 때문이며, 자세히는 위의 역사 항목 참조.

서말레이시아의 면적은 약 13만㎢로 북한보다 좀 더 크며, 동말레이시아의 면적은 약 20만㎢로 한반도보다 약간 작다. 면적이 더 작지만, 인구의 거의 80%는 수도가 위치한 말레이반도 인 서말레이시아에 거주하고 있다. 그러나 이 중에서도 수도 쿠알라룸푸르가 위치한 반도의 서부와 그 수도권 지역인 클랑 밸리[14]의 집중화가 강해, 중앙의 산맥과 정글 너머의 반도 동부 지역은 상대적으로 낙후되어 있다.

4.1. 기후

적도의 바로 윗 부분인 북반구 저위도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보니, 대부분의 지역이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열대 우림 기후에 속하며, 크다 북부와 프를리스에서는 열대 몬순 기후가 나타난다. 카메론 하이랜드 등 고산 지대 일부에서는 드물게 서안 해양성 기후(Cfb)도 나타난다.

열대 우림 기후 지역에는 건기가 없다. 월 평균강수량이 60mm 미만 일 때가 없기 때문이다. 물론 비가 적게 올 때도 있지만 이 때도 월 평균강수량이 180mm 이상이다. 또한 최한월기온이 18도 이상이기 때문에 건기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다. 말레이시아는 연중 습윤하고 비가 많이 내리는 기후이다. 그래서 울창한 열대우림이 많으며 말레이반도에는 아마존보다 오래된 것으로 보이는, 즉 공룡이 살던 중생대 시대때부터 있어왔다고 하는 정글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말레이반도, 즉 서말레이시아는 게다가 가끔 있는 홍수산사태를 제외하면 자연재해도 매우 드문 축복받은 땅이다. 이는 아래의 원래 같은 나라였고 사실상 말레이반도를 공유하는 싱가포르도 똑같지만 싱가포르는 그나마 배수 시스템이 발달한 선진국이고 산도 없어 홍수와 산사태조차 없다.

서말레이시아의 경우 적도 무풍대에 위치한 국토 덕분에 필리핀에 가까운 동말레이시아 지방 이외에는 태풍은 거의 오지 않는다고 보면 된다. 이웃한 인도네시아수마트라 섬과는 딴판으로 지진이 거의 일어나지 않으며 화산도 없다. 그러나 동말레이시아는 태풍 영향권에 들며 코타키나발루 근교의 휴화산키나발루 산이 있어 지진이 발생하기도 한다.

인간이 만들어낸 신개념 스모그[15]가 특히 9~10월에 서말레이시아 지역 및 여기 붙어있는 싱가포르 등을 괴롭히는데 동아시아식 미세먼지보다는 그나마 덜 독하여 다행이기는 하다.[16] 이것은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의 화전민들이 플랜테이션을 매년 한 번씩 갈아엎으며 나무, 농작물 등을 태운 재가 그대로 날아오는 것이다. 이 때 몬순이 남서풍으로 불기 때문에 인도네시아의 재와 연기가 몬순을 타고 말레이시아로 올라오는 것이다.

사실 열대 우림 기후에는 비가 많이 내리기 때문에 땅의 영양분이 비와 함께 다 쓸려가서 땅이 비옥하지 못하다. 그래서 나무들을 태워 재로 만들어 땅에 영양분을 공급해주고 있다. 열대 우림 기후 지역에서는 이러한 플랜테이션 농업이 활성화되어 있다. 그렇게 하다가 생긴 부작용이 바로 극심한 연무인 헤이즈인 셈이다.

최근에는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 정부의 항의로 인해 인도네시아 정부에서 이러한 화전을 집중 단속했고 그 결과 헤이즈의 발생 또한 크게 줄어들었다.[17]

참고로 2019년에도 발생하여 말레이반도 모든 주에 휴교령이 내려졌으며 한동안 잠잠하다가 2023년 9월 말에서 10월 사이에 또 한번 헤이즈가 발생해 싱가포르와 조호르 주, 말라카 등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고온 다습한 열대 우림 기후이고, 연평균 기온은 32℃, 연평균 강우량은 2,410㎜이다.

적도수렴대에 속하기 때문에 연중 습윤하며 비가 자주 내린다. 그리고 전술했듯 서말레이시아인 말레이반도 본토는 태풍권을 벗어나 있다.

4.2. 천연자원

동말레이시아(보르네오) 앞바다인 남중국해는 빙하기에 육지였던 대륙붕 지역으로 석유천연가스가 매장되어 있다.

말레이시아는 페트로나스 트윈 타워로 유명한 국영 석유회사인 페트로나스[18]에서 이를 채굴하고 있어 대한민국에 비해 기름값이 싼 편이다.

그러나 정제 기술이 없어 대한민국, 중국, 일본 등에서 정제된 석유를 역수입하는 형식 때문에 산유국치고는 현지 가격이 비싼 편이다. 하지만 정제 비용 때문에 비싸졌다 해도 2018년 2월을 기준으로 리터 당 600원 꼴로 한국에 비해서는 싸다. 덕분에 미국에서 잘 팔리는 픽업트럭 등 배기량 큰 차량이 많이 보인다.

열대기후 덕분에 팜유를 얻기 위한 야자나무 플랜테이션[19]을 운영하고 있다. 한때는 생산량 세계 1위를 차지했지만 현재는 연간 생산량이 말레이의 2배 나 되는 인도네시아에 밀려 2위. 하지만 두 나라가 전세계 팜유 생산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팜유의 국제적 수요도 폭발적으로 늘어나서 생산량은 계속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바나나사탕수수도 여기서 많이들 재배한다.

과거에는 고무나무 플랜테이션도 많았고 20세기 중반 까지는 세계 1위의 독보적 천연고무 산지였으나 태국 인도네시아에 밀려나고 더 수익성이 높은 팜유 재배가 늘어나며 현재는 세계 6위 정도. 과거에는 세계적인 주석 광물의 산지였으나 현재는 중국 등에 밀려 세계 10위 정도로 존재감이 없다.

천연광물 자원이 있는 덕에 열대작물 플랜테이션이 아닌 일반 농사는 거의 짓지 않는다. 팜 농장은 그냥 야자나무만 심어져 있으면 관리할 일도 없고 끝인 거라서 있는 거 유지하는 정도라 농사라고 할 것도 없다. 그리고 플랜테이션에서 재배하는 바나나 등 말고도 각종 열대성 과일들도 나기는 하는데 현지인들은 역시 그런 거 안 해도 무상 복지 등 지원이 많고 해서 농사를 짓는 데는 거의 없고 자연산을 채취해 팔거나 이웃 필리핀, 인도네시아, 태국, 베트남 등지에서 수입해 오는 편이다.

현재 대다수의 말레이시아인들은 이런 일은 잘 안하고 필리핀, 인도네시아, 태국, 베트남 등 주변 빈국 출신의 불법체류자들이 플랜테이션이나 하는 경우가 많다.[20] 말레이시아인들조차 현재는 이걸 팔거나 아니면 식당, 중소기업 등에서 일하는 경우가 많다.

5. 행정

파일:Malaysia_states_.png
파일:말레이시아 국장.svg
말레이시아의 행정구역
<bgcolor=#fff,#1c1d1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서말레이시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0px-Flag_of_Selangor.svg.png
파일:Coat_of_arms_of_Selangor.svg.png슬랑오르
파일:조호르 주기.svg
파일:Coat_of_arms_of_Johor.svg.png조호르
파일:크다 주기.png
파일:Coat_of_arms_of_Kedah.svg.png크다
파일:external/www.crwflags.com/my-kelan.gif
파일:Coat_of_arms_of_Kelantan.svg.png클란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0px-Flag_of_Terengganu.svg.png
파일:Coat_of_arms_of_Terengganu.svg.png트렝가누
파일:파항 주기.png
파일:Coat_of_arms_of_Pahang.svg.png파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0px-Flag_of_Perak.svg.png
파일:Coat_of_arms_of_Perak.svg.png페락
파일:퍼를리스 주기.png
파일:Coat_of_arms_of_Perlis.svg.png프를리스
파일:external/www.crwflags.com/my-melak.gif
파일:Coat_of_arms_of_Malacca.svg.png믈라카
파일:250px-Flag_of_Penang_(Malaysia).png
파일:Coat_of_arms_of_Penang.svg.png풀라우피낭
동말레이시아
파일:사라왁 주기.svg
파일:Coat_of_arms_of_Sarawak.svg.png사라왁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0px-Flag_of_Sabah.svg.png
파일:Coat_of_arms_of_Sabah.svg.png사바
연방 구역
파일:푸트라자야 연방 직할구기.svg
파일:Coat_of_arms_of_Putrajaya.svg.png푸트라자야
파일:300px-Flag_of_Labuan.svg.png
파일:Coat_of_arms_of_Labuan.svg.png라부안
: 지역 군주가 존재하는 주
}}}}}}}}} ||

말레이시아는 연방제 국가로서, 과거 영국 시절 지배를 받던 술탄 국가 등이 서로 모여 합쳐진 것으로, 연방정부가 있고 주정부가 따로 있으며, 따라서 주 말고도 워싱턴 D.C.와 비슷한 독립시인 연방 직할구가 존재한다. 주는 서 말레이시아에 11개, 동 말레이시아에 2개로 총 13개이고, 이 연방직할구는 3개가 존재한다. 서 말레이시아에는 수도인 쿠알라룸푸르세종특별자치시의 모델이 된 푸트라자야 총 두 개, 동 말레이시아에는 브루나이 앞에 무역 특구로 지정된, 울릉도보다 조금 큰 섬인 라부안이 그 남은 하나이다.

지방 군주(술탄)가 있는 주는 ★표시한다.

5.1. 서말레이시아 (말레이반도)


말레이반도에 사는 야생동물은 전갈, 거미, 아틀라스나방, 베짱이, 사마귀, 대벌레, 딱정벌레, 바구미, 왕사슴벌레, 장수풍뎅이, 개구리, 살무사, 스피팅코브라, 킹코브라, 그물무늬비단뱀, 물왕도마뱀, 거북, 말레이가비알, 바다악어, 적색야계, 자바공작, 코뿔새, 말레이섬수리부엉이, 말레이천산갑, 고슴도치, 프레보스트다람쥐, 호저, 돼지꼬리원숭이, 검은잎원숭이, 게잡이원숭이, 흰손긴팔원숭이, 큰긴팔원숭이, 아시아코끼리, 말레이맥, 멧돼지, 문착, 사슴, 물소, 가우르, 사향고양이, 빈투롱, 수달사향고양이, 순다삵, 고기잡이삵, 아시아황금고양이, 구름표범, 인도차이나표범, 말레이호랑이, 버마승냥이, 말레이곰등이 서식하며 과거에는 수마트라코뿔소도 있었지만 멸종되었다.

주들은 수도에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나열한다.
    • 슬랑오르★ (Selangor) : 쿠알라룸푸르를 연방 정부에 떼어준 주로, 경기도처럼 수도권과 바로 인접하고 있는 행정구역이다. 포트 클랑(Port Kelang)이란 항구도시가 있으며 여기는 술탄이 거주한다. 쿠알라룸푸르에서 이곳으로 가는 길에는 프탈링자야(Petaling Jaya) 나 말라야 대학교가 위치한 샤알람(Shah Alam), 수방자야(Subang Jaya) 와 같은 베드타운과 몰이 밀집한 도시들이 있으며, 가장 인구가 많다. 쿠알라룸푸르와의 경계가 매우 지저분하다. 주의 동쪽 경계도 의외로 쿠알라룸푸르에서도 가까운데, 이곳은 거의 설악산 높이의 산이 있어 피서지로 유명한 겐팅 하이랜드[21]가 있고, 워터파크와 카지노 리조트가 있어 많은 사람이 찾고 있다. 사실 상 쿠알라룸푸르와 묶여서 취급된다.
    • 느그리슴빌란★ (Negeri Sembilan): 아홉이란 뜻의 슴빌란에서 알 수 있듯 주 아홉 개가 모여 만든 또 하나의 주 로, 슬랑오르에서 싱가포르로 가는 길에 나타나는 첫 주로, 공항에서 수도 반대 방향으로 가면 곧 슬랑오르와 이 주의 경계가 나온다. 주요 도시로는 스름반(Seremban), 포트 딕슨(Port Dickson), 닐라이(Nilai) 가 있다. 삼성 디스플레이의 현지 공장이 위치해있다.
    • 믈라카 (Melaka, Malacca): 전형적으로 역사유적이 많은 고도(古都)인 동명의 시가 위치한 주이다. 주가 작은 편이라 주요 도시도 동명의 시 하나이다. 오늘날의 말레이시아의 역사가 시작된 곳으로 볼 수 있으며, 주로 포르투갈의 흔적이 많은 편이다.
    • 조호르★ (Johor): 남쪽 끝이 싱가포르에 맞닿아 있으며, 싱가포르와 강과 같은 해협을 사이에 두고 위치한 조호르바루[22]가 주요 도시며, 면적은 경상북도와 비슷한 편이며, 모든 주 중 유일하게 말라카 해협남중국해 모두에 걸치고 있다. 한 때는 플랜테이션 농업이 성황리였으나, 오늘날에는 싱가포르 경제권역에 흡수되어가는 느낌이 강하다. 이에 불만이었던 말레이시아 정부가 최근 이 도시 근처에 외자 유치에 힘을 써서 이스칸다르 신도시를 짓고 있다. 이러한 원인 중 하나는 조호르바루가 싱가포르의 배후지 정도로 변해간다는 인식 때문인데, 조호르 주의 강물이 싱가포르의 식수로 이용되고 있으며 해협을 가로지르는 상수도관으로 공급된다. 또한 조호르 주 자체의 항만은 시설이 부족하고 수심이 얕아 싱가포르에 의존해 더욱 그럴 수밖에 없으며, 말레이시아의 싼 물가와 싱가포르의 상대적으로 비싼 임금이란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으러 조호르바루에서 싱가포르로 출퇴근하는 말레이시아인들도 있기 때문이다. 물론 그럼에도 불구하고 옆의 싱가포르가 워낙 넘사벽이라 싱가포르와 경제가 묶이는 건 어쩔 수 없다. 아무튼 이렇게 세워진 이스칸다르 신도시를 가장 많이 선전해주는 외국자본이 아시아 최초의 레고랜드. 좀 더 가면 헬로키티월드도 있다. 그러나 이외의 지역은 상당히 덜 개발된 지역이며, 특히 남중국해 연안 지역은 반도 동부 지역이라 산업보다는 자연관광이 더 주류인 곳이다. 주말은 금요일토요일이다.
    • 파항★ (Pahang): 면적도 상대적으로 넓으며 자연을 이용한 관광사업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말레이시아 최대의 정글 국립공원이 두 개나 있기 때문이다. 이 국립공원 내에는 말레이시아의 진 원주민인 오랑아슬리 (Orang Asli) 가 살고 있다. 주요 도시는 항구도시인 쿠안탄(Kuantan)으로 강릉시속초시와 비슷한 위상. 남중국해상의 띠오만(Tioman) 섬은 산호초와 섬에 사는 개 만한 모니터 도마뱀으로 유명하다. 우기에 비가 특히 많이 내리며, 특히 파항 주 중에서 슬랑오르 주와 페락 주에 가까운 경계에 위치한 카메론 하이랜즈는 고원지대로 말레이 반도에서 가장 서늘한 곳으로 현지 유명 피서지다. 특히 이 서늘한 기후를 이용해 열대 우림 기후에선 익사하거나 쪄죽어버리는 딸기를 먹어보겠다는 말레이시아인의 눈물겨운 의지를 볼 수 있는 곳이다.
    • 트렝가누★ (Terengganu): 주요도시로는 쿠알라트렝가누(Kuala Terengganu)가 있다. 이 주는 특히 보수적인 이슬람 지역으로 알려져 있고, 부미푸트라계가 훨씬 더 절대 다수를 차지하는 주다. 그러나 경제권을 쥔 사람들은 중국계 말레이시아인들이 여전히 다수인 말레이시아 사정을 반증하듯 이 곳은 자체적 산업기반이 상대적으로 빈약한 지역이다. 쿠알라트렝가누에는 국교가 이슬람교인 말레이시아에서도 보기 힘든, 쿠란 구절이 크게 적힌 대형 전광판 싸인이 도시를 굽어보고 있는 점이 매우 독특하다. 이 도시의 시장에서 탁구공 같은 것을 파는 걸 보면 사지 말자. 바다거북의 알이다. 실제로 이 도시 앞바다와 그 앞의 르당 섬은 바다거북의 주요 산란지역으로, 바다거북 알의 불법 채취가 심하며, 환경보호를 위한 노력이 이뤄지고 있다. 19세기 술탄국 시절에 인근 클란탄의 술탄국끼리 전쟁을 한 특이한 역사가 있다. 주말은 금요일토요일이다.
    • 클란탄★ (Kelantan): 바로 아래의 트렝가누 주와 함께 종교적으로 보수적인 지역으로 꼽히며, 강을 경계로 하는 태국 국경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사실 이 태국 지역은 영국에 의해 태국에 편입된 술탄국으로 현재는 태국 주 3개로 되어 있다. 주요 도시로는 코타바루(Kota Bharu)가 있다. 클란탄에는 특유의 방언인 클란탄팟타니어를 사용하는 인구가 많다. 자신의 주 이름조차 클란탄이 아니라 '클라떼'로 발음하며, 억양이 특이해 지역마다 방언이 많고 언어도 많은 말레이시아임에도 타지역 사람은 잘 못 알아듣는다. 주말은 금요일토요일이다.
    • 크다★ (Kedah): 끄다라고도 하며 역시 태국과 국경을 마주하고 있다. 다만 국경부터 말라카 해협쪽으로 비스듬하게 길쭉한 모습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시절에도 영국에 의해 잠시 태국에 병합된 적이 있었던 술탄국이었다. 그런데 사실상 해안 지역에만 도시가 분포하며 내륙 지역은 산맥과 정글이 자리해 막상 태국으로 가는 길도 많지 않고, 오늘날에는 사실상 페낭 경제권으로 주요도시 또한 숭아이쁘따니(Sungai Petani))라는 페낭 주와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다. 이 곳의 비단은 전통의상 치마에도 쓰이며, 태국 양잠의 영향을 많이 받은 질감과 패턴을 보여준다. 말라카 해협앞의 부속 섬으로는 관광지인 랑카위(Langkawi) 섬이 있으며, 태국의 푸껫과 가깝고 비슷한 편. 사실 이 섬은 아래 후술할 프를리스 주에 더 가깝다. 주말은 금요일토요일이다.
    • 프를리스★ (Perlis): 면적이 서울특별시의 1.3배 정도인, 말레이시아에서 가장 작은 주로, 주요 도시는 캉아르(Kangar)가 있으며, 태국 핫야이로 넘어가는 국제철도가 이 주를 지나간다. 현지에서는 신발 산업이 유명한 주다. 말레이시아의 아홉 군주들 중에 유일하게 술탄이 아닌 왕 칭호를 쓴다.
    • 풀라우피낭 (피낭, Pulau Pinang): 한국에는 '페낭'으로 더 잘 알려져있다. 풀라우는 섬이란 뜻으로 이름 자체는 페낭 섬을 의미하지만, 페낭 섬 이외의 말레이반도 본토 지역에도 버터워스 (Butterworth)라는 도시를 포함에 절반의 땅이 더 있다. 육지인 버터워스에서 섬으로 넘어가려면 다리나 카페리를 이용해야 하고, 다리는 두 개가 있다.이 중 더 긴 피낭대교는 사장교로 13.5km 의 길이를 자랑하며, 한국의 현대건설이 지은 것이다. 또한 대한항공 화물기 직행편이 이 도시까지 있다. 이 섬에는 조지타운 (Georgetown) 이라는 영국의 무역항이 있다. 이곳은 빅토리아 시대의 건축양식이 중국계 말레이시아인들 그리고 중국계와 말레이계의 혼혈인 바바/뇨냐라고 불리는 페라나칸[23]의 양식이 섞여 매우 독특한 풍광을 자아내는 곳이며, 현지에서 가장 길거리 야식이 맛있는 곳으로 꼽힌다. 중국계의 비중이 다른 주에 비해 매우 높은 곳이며 따라서 말레이 계통 주에서 볼 수 있는 주별 호칭도 없으며 주의 국왕도 없다. 싱가포르처럼 독립을 원했던 적이 있었다. 이곳의 중국계는 대게 푸젠성 출신으로 현지화된 민남어를 써서 민남어 및 차오저우어, 객가어 화자가 많은 싱가포르와도 닮았다. 반면 쿠알라룸푸르의 중국계는 광둥성 출신이 많아 광동어 화자가 많은 편이다.
    • 페락★ (Perak): 주요 도시는 이포(Ipoh) 피낭과 마찬가지로 중국계가 많은 주다. 그래서 교회도 쉽게 찾을 수 있다. 도시는 이외에도 타이핑(Taiping), 쿠알라캉사르(Kuala Kangsar) 등이 있으며 쿠알라 캉사르는 마치 행정수도처럼 주의 국왕 왕궁이 있는 곳이다. 쿠알라룸푸르와 슬랑오르에서 페낭에 가는 길목에 위치하고 있다. 주석 채굴로 유명했으며, 석회암 지대가 많아 채석장도 쉽게 볼 수 있는 주다. 카메론 하이랜즈로 가는 길목이 있는 주. 참고로 이뽀(Ipoh)는 음식으로 유명한 도시이며 말레이시아의 대표적 커피인 올드타운화이트커피도 여기서 시작되었다.

5.2. 동말레이시아 (보르네오 섬 북부)

동 말레이시아는 광활한 면적과 천연자원의 생산기지 역할을 함에도 불구하고, 울창한 정글 때문에 같은 섬 안에서도 도로보다는 항공이나 해안선을 따라 해운에 의존하는 편이다. 전체 면적의 2/3에 가까운 면적임에도 인구는 20%밖에 없고, 주도 두 군데이며, 이 두 주는 모두 국왕을 선출하지 않는 주다.

특별행정구속령 등 사실상 다른 나라까지는 아니지만, 서부 말레이시아 사람이 여기에 오려면 당국의 허가가 필요하다. 자국민도 엄연히 90일 무비자가 찍힌다. 여기서 공부하고 싶거나 취직하려면 아예 정부에 비자를 신청해야 한다.

북부 보르네오섬에 주로 서식하는 야생동물로는 전갈, 거미, 대벌레, 모기, 사마귀, 노린재, 꿀벌, 개미, 나비, 말레이왕넓적사슴벌레, 모엘렌캄피장수풍뎅이, 두꺼비, 개구리, 살모사, 스피팅코브라, 킹코브라, 비단구렁이, 도마뱀붙이, 물왕도마뱀, 바다악어, 말레이가비알, 샴악어, 적색야계, 코뿔새, 뿔매, 천산갑, , 멧토끼, 과일박쥐, 호저, 프레보스트다람쥐, 투파이아, 슬로로리스, 날원숭이, 안경원숭이, 돼지꼬리원숭이, 필리핀원숭이, 흰손긴팔원숭이, 코주부원숭이, 보르네오오랑우탄, 멧돼지, 쥐사슴, 문착, 사슴, 반텡, 아시아물소, 수마트라코뿔소, 말레이맥, 보르네오코끼리, 몽구스, 사향고양이, 빈투롱, 순다삵, 보르네오구름표범, 보르네오황금고양이, 작은발톱수달, 노란목도리담비, 오소리, 말레이곰등이 서식한다.
  • 연방직할구
    • 라부안 (Labuan): 동 말레이시아 유일의 연방직할구로 브루나이 근처에 있는 섬이며, 말레이시아 사바 주 해안에서 8km 정도 떨어져있다. 브루나이에서 영국, 또 일본에서 다시 말레이시아로 넘어간 복잡한 역사의 섬이며, 역외금융특구 및 남중국해의 수많은 석유 및 천연가스 채굴 등의 오프쇼어 산업의 전초 기지로 육성하기 위한 목적에서 연방직할구로 지정되었다. 라부안 섬 크기는 울릉도와 비슷하나 평지가 많다.

    • 사라왁 (Sarawak) : 북한과 비슷한 면적의 거대 주이며, 그 자체로 서말레이시아 하나와 맞먹는 크기다. 인구는 약 250만. 가장 큰 도시는 쿠칭(Kuching)으로 고양이란 뜻이다. 이외에도 시부(Sibu), 빈툴루(Bintulu), 미리(Miri) 가 있다. 본래 브루나이의 영토였으나 식민지 침탈의 복잡한 역사 끝에 지금에 이르게 되었고, 이미 브루나이 시절부터 다양한 부족이 거주하고 있었기 때문에 지금도 이들 민족의 입김이 센 지역이다. 주요 민족으로는 이반(Iban), 비다유(Bidayuh)와 오랑울루(Orang Ulu)[24]를 비롯한 다약계 민족들과 믈라나우(Melanau) 등이 있다.
    • 사바 (Sabah) : 필리핀 남부와도 맞닿아 있는 지역으로, 사라왁 주의 동북부에 브루나이 다음으로 위치해 있다. 인구는 약 300만이다. 상술했듯이 필리핀 남부까지 지배했던 브루나이의 역사와 맞물려 필리핀 무장세력이 2013년 침투했던 그곳이 바로 사바 주 동부의 술루 해와 술라웨시 해 연안의 소규모 항구 도시들이다. 한국인들에게 친숙한 휴양지 코타키나발루(Kota Kinabalu)도 이 사바 주에 위치하고 있긴 한데, 피해를 입은 도시와는 아예 다른 남중국해 해안에 위치하고 있다. 다양한 종류의 수익성 작물이 재배되고 있으며, 동북부는 험준한 산맥 속에 동남아시아 최고봉(4,101m)인 키나발루 산이 있다. 사바도 사라왁처럼 소수민족의 입김을 무시할 수 없을 만큼 다양한 소수민족이 거주하는데, 사바 주 전체 인구의 17%를 차지하는 카다잔두순(Kadazan-Dusun)족과 14%를 차지하는 바자우(Bajau)족이 살고 있다. 사바 주 최동단 해안이 출국권고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므로 주의.

6. 교통

6.1. 항공

현지에서 KLIA로 흔히 줄여 부르는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은 말레이시아의 관문 공항이다.[25] 이 공항을 허브로 사용하는 말레이시아 항공에어아시아는 말레이시아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에서도 큰 규모의 항공사들이다.
한국에서도 이곳으로 가는 직항편이 다수 존재한다. 대한항공, 말레이시아항공, 바틱에어 말레이시아, 에어아시아X가 운항하고 있다. 에어아시아X부산(김해) 노선도 운항한다.

반도와 섬으로 이루어진 넓은 국토 덕분에 국내선 항공교통이 매우 활발하다. 국토가 넓게 퍼져있기에 그렇다.
최근에 기존에 있던 LCCT(Low Cost Carrier Terminal)을 폐쇄하고 KLIA 2 터미널이 생겼다. 원래 에어아시아와 같은 저가 항공사들은 기존 터미널인 LCCT 또는 수방 공항이라 불리는 술탄 압둘 아지즈 샤 공항[26]에 있었다. 하지만 에어아시아가 제2의 국적 항공사로 승격되고 수요도 점차 늘어나자 에어아시아만을 위한 터미널을 만들기로 협의하고 기존 터미널 옆에 제2터미널을 신규 오픈하여 저가 항공사들만 따로 취항하게 됐다. 물론 수방 공항은 폐쇄된 것은 아니고 또 기존에 이용되던 LCCT 터미널은 현재 화물터미널으로 이용 중이다. KLIA 1터미널은 1993년 6월 1일, KLIA 2터미널은 2014년 5월 2일에 오픈되었다.

코타키나발루 국제공항은 공항 규모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말레이시아에서 두 번째로 바쁜, 제2의 공항이다.
한국에서 이곳으로 가는 직항편도 다수 존재하나, 코타키나발루가 상용 비즈니스 수요는 거의 없고 관광 수요가 대부분인 휴양지인 탓에 저비용 항공사들만 운항하고 있다. 서울(인천)발 노선은 제주항공, 진에어[27], 티웨이항공, 에어아시아에서 운항 중이며 부산(김해)발 노선은 에어부산, 진에어에서 운항 중이다.

6.2. 철도

말레이반도철도교통말레이 철도(KTM)가 운영한다. 동남아시아 철도가 그렇듯이 1,000mm 협궤로 깔려 있으며, 3개의 간선 위주로 운행하고 있다. 주요 역은 버터워스 역, 쿠알라룸푸르 역, KL 센트럴 역, JB 센트럴 역 등이 있으며 태국 국철과는 말레이시아 - 태국 국경의 파당 베 사르 역에서 상호 환승하며, 조호르바루JB 센트럴 역에서는 싱가포르 우드랜즈 역으로의 셔틀 국제선 열차를 운영중이다.[28] 화물열차도 활발히 운행되고 있다.

보르네오 섬사바 주에서 운영하는 사바주영철도(Sabah State Railway)는 말레이 철도와는 전혀 별개로 운영되며 관광열차 위주로 다닌다.

도시철도로는 수도권인 쿠알라룸푸르슬랑오르푸트라자야 일대를 운행하는 클랑 밸리 통합 교통 시스템(Klang Valley Integrated Transit System/Sistem Transit Bersepadu Lembah Klang)이 존재한다.

말레이시아는 철도 인프라 수준이 열악한 동남아시아에서는 철도 선진국에 속한다.[29][30] 다만 말레이 반도 한정으로 보르네오에는 앞서 설명한 사바주영철도 밖에 없다.

7.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말레이시아/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1. 이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말레이시아/이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 분리주의

동말레이시아 (보르네오 북부) 와 서말레이시아 (말레이반도) 사이에는 같은 말레이인이라는 뿌리를 공유함에도 불구하고 1963년이 되어서야 한 나라로 합쳐진 탓에 양쪽 간에는 심각한 지역감정의 골이 있다. 특히 동부의 경우 주민들이 스스로 말레이시아인이라고 생각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는 통계가 나올 정도이며 분리독립이나 자치정부 수립을 주장하는 반 말레이시아 분리 독립운동 단체들이 존재하고 있다.

현실적으로도 동서 말레이시아는 서로 별도의 이민국을 두고 있고 양측을 오가려면 출입경 심사를 거쳐야 해서 동말레이시아에 사는 사람들에게는 더욱 그런 면이 있기도 하다.

헌데 동말레이시아 지역에 속해있는 보르네오 섬 북부의 사바사라왁이 독립국가로 분리 독립하게 되면 말레이시아와 앙숙인 태국인도네시아, 그리고 비슷한 과정으로 말레이시아에서 축출당한 싱가포르가 이득을 볼 수도 있다.

말레이시아가 차지하고 있는 보르네오 섬 북부의 사바, 사라왁 지역이 분리 독립하게 되면 말레이시아의 영토는 말레이반도 본토 지역으로 한정되고, 보르네오 섬 북부 지역의 석유 매장지 등 지하자원들 상당수를 잃게 되는데다 지정학적으로도 자국과 앙숙관계인 여러 이웃 나라들에게 사실상 포위되는 등 타격이 심화된다.

게다가 이 지역이 독립할 경우 말레이시아와 인접한 태국 남부의 이슬람 지역의 분리 독립 문제로 말레이시아와 대립하고 있는 태국은 물론 말레이시아와 전통적 앙숙관계인 인도네시아와 필리핀, 중국계가 많다는 이유로 1960년대 말레이시아로부터 독립하는 등 말레이시아와 역사적인 반감이 있는 싱가포르로서는 반 말레이시아 동맹 국가를 하나 더 얻게 되어 말레이시아를 더욱 더 압박할 수 있게 되기도 한다.

게다가 인도네시아는 말레이시아와 보르네오 북동부 인근 해역에서 암발랏, 스바틱 등 몆 군데의 섬들을 놓고 말레이시아와 분쟁을 치르고 있다. 만약 이 지역이 말레이시아에서 독립할 경우,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의 국가 경계선 특히 보르네오 지역에서의 양국 국경선은 이제 말레이시아와 무관하게 된다.[31] 따라서 양국의 국경선은 수마트라 섬과 말레이 반도 사이의 말라카 해협 일대로 한정된다.

더불어 보르네오 북부 지역이 새로 독립국이 될 경우 국가승인 및 국교 수립의 조건으로 이들 지역이 말레이시아 영토였을 때 말레이시아와 영토 분쟁을 치렀던 암발랏, 스바틱 등 이들 보르네오 북동부 근해의 섬들을 완전한 인도네시아 영토로 인정할 것을 요구하여 영유권 분쟁을 종식시켜 완전히 자국 영토로 만들 수도 있는 만큼, 보르네오 북부 독립이 현실화됐을 때 영토가 말레이 반도 일대만 남게 될 말레이시아의 상황이 어떻게 흘러갈지도 관건일 듯 하다.

필리핀의 경우도 사바 앞바다를 둘러싸고 말레이시아와 국경분쟁이 있는지라 이 경우에 필리핀의 입장에서도 굉장히 이득이 된다.

이러한 연유로 말레이시아 중앙정부는 다른 건 다 참아도 분리주의만은 절대로 참지 않는다. 애초 동말레이시아는 천연자원과 엄청나게 넓은 영해 덕에 말레이시아 입장에선 약속의 땅이나 마찬가지라 절대 포기하지 못하는 곳이다.

7.2.1. 14번째 주

말레이시아판 51번째 주. 14번째 주 문서 참조.

8. 군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말레이시아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사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말레이시아/사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1. 언론

민족 통용어인 영어와 국어인 말레이어로 된 신문, 방송국이 많다. 또한 중국계 말레이시아인들이 20% 이상의 상당한 지분을 차지하는 나라라 중국어로 된 신문, TV, 라디오 방송국도 있다. 이들은 중국이나 대만 등 외국 신문이나 방송이 아닌 버젓한 말레이시아 국내 신문 및 방송으로 한국인들이 생각하는 것과 달리 중국이나 대만 등과 결이 좀 다른 느낌이 든다.

특히 말레이시아의 중국계 신문으로는 싱저우르바오(星州日報(성주일보))가 있다. 싱저우(星州)는 원래 싱가포르를 일컫던 옛 중국어 명칭인데 이 신문은 뜻밖에 말레이시아 신문이다. 간체자를 정식으로 통용하는 말레이시아이지만 이 신문 등 중국어 신문들의 경우 정체자를 쓰는 경우들도 있다.

9.2. 교육

대학입시 시험으로는 SPM을 치른다.

나무위키에 문서가 작성된 대학으로는 말라야 대학교, 푸트라 대학교, 사바 대학교, 헬프 대학교가 있고, 국제학교Garden International School Kuala Lumpur, International School of Kuala Lumpur(ISKL), Nexus International School Putrajaya, Prince of Wales Island International School, Sayfol International School, Sunway International School, Mont Kiara International School, Sri Utama International School 등이 있다.

10. 경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말레이시아/경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외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말레이시아/외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문화

동남아시아 문화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파일:라오스 국기.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미얀마 국기.svg
동티모르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파일:베트남 국기.svg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베트남 브루나이 싱가포르 인도i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파일:코코스 제도 기.svg 파일:호주 원형.png 파일:크리스마스 섬 기.svg 파일:호주 원형.png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코코스 제도 크리스마스 섬
파일:태국 국기.svg 파일:필리핀 국기.svg
태국 필리핀
i : 동부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 한정 }}}}}}}}}


일단 역사적으로 원주민인 말레이인의 경우 이슬람 문화가 영향을 주었다. 이에 이슬람에 기반한 말레이식 문화가 기반으로 자리잡아왔다. 여기에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인도계 말레이시아인 그리고 기타 다양한 문화권의 민족들이 오랜세월 동안 이주하여 현재 문화적으로는 다양하다.

그래서 특유의 문화가 독특하다고 할 수 있는데 추상적인 말 같지만 쿠알라룸푸르에 와보면 이해하게 된다. 어느 인종이 사는 곳이냐에 따라 한 블록 건너서 분위기가 확연히 바뀌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성향은 인종의 용광로미국, 캐나다 등 북미와는 전혀 다른 양상이며 각 인종이 정체성을 유지하며 공존하는 인종의 전시장이다. 물론 인종의 전시장이 나쁜 건 절대 아니며 되려 각 인종이 색깔을 잃지 않아 미국식 인종융합과는 다른 맛에 흥미를 느끼는 관광객들도 많다.

이슬람이 사실상 국교 비슷하게 자리잡았지만 다른 종교시설들도 많다. 쿠알라룸푸르 근교의 바투 동굴은 동굴 전체가 힌두교 사원이고 페낭에는 중국식과 태국식 양식이 결합된 켁록시(極樂寺) 및 누워 있는 석가불로 유명한 와불사 등 불교 절과 조지타운 교회 등 기독교 교회가 공존하며 오랜 역사 동안 주인이 여러번 바뀌었던 말라카에는 포르투갈 양식의 교회들이 많은지라 이슬람 일색은 절대 아니다.

어느 정도 문화를 공유하는 인도네시아하고는 겉으로는 달라 보이겠지만 어떤 면에서는 공통점이 있다. 그럴만한 게 둘다 말레이어를 사용하며 이슬람을 믿고 거리도 가까워 엇비슷한 것들이 많고 그만큼 서로 자기네가 원조라고 싸우는 것들도 많다. 나시 고랭만 해도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가 서로 자기네 전통음식이라고 우기는 실정이다.

12.1. 관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말레이시아/관광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2. 요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말레이시아 요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3. 영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말레이시아 영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4. 음악

한때 유머러스하고 뭔가 싼티난 특수효과가 돋보이는 PV와 몬더그린 가사에 힘입어 컬트적인 인기를 얻을 했지만 빠삐놈 등에 묻힌 통칭 인도 최강 락커 시리즈[32]를 부른 가수는 실제로는 인도인이 아니라 삼바락이라는 장르를 표방하고 있는 인도계 말레이시아인 가수 다크키다. 물론 인도인은 맞지만 인도 본토인은 아니다. 그리고 이 가수는 내한공연을 한 적도 있다. 안산시제3세계 외국인 문화행사의 음악공연 아티스트 자격으로 초대된 것이기 때문에 정규 내한공연이라고 보기에는 애매하지만 어쨌든 방한한 적이 있었다. 안산에는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스리랑카남아시아 출신 외국인이 많아 어필이 쉬웠을 것이다.

수도 쿠알라룸푸르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도 유명하다. 무함마드 마하티르 말레이시아 총리가 말레이시아에도 세계적인 악단이 필요하다며 석유재벌 페트로나스의 돈을 끌어다 멋진 콘서트홀도 세워서 1990년에 창립하였다. 국내 클래식계에서도 말레이시아의 클래식 투자와 관심도를 부러워하며 음악춘추라든지 객석같은 월간 클래식 잡지에서도 이명박 전 대통령이 서울시장을 역임할 때부터 기획되었다가 늘 취소하던 서울시 오케스트라홀 건립문제와 여러가지로 견주는 곳이 바로 말레이시아의 쿠알라룸푸르 오케스트라다.

영국의 영향을 받아서인지 한국보다 팝의 역사가 더 오래 되었는데 일단 1980년대까지만 해도 한국 가요계는 포크, 트로트 위주였지만 말레이시아는 이미 팝이 정착해 있었다.[33] 대표적인 팝의 전설 P. 람리와 아내 살로마 등이 유명하고, 소위 '팝의 여왕'이라 불리던 샤리파 아이니노르아니자 아드리스, '재즈의 여왕'이라 불리던 셰일라 마지드 등의 여가수들도 인기가 많다. 1980년대 후반부터 발라드 일색에서 벗어나 댄스, 락 등의 변화를 대대적으로 추구했으며 람라 람, 파우지아흐 라티프, 지아나 제인, 자이톤 사메온, 엘라 아미누딘 등의 수많은 전설들이 생겼다. 하지만 1996년 혜성처럼 시티 누르할리자가 등장한 이후로는 모두 다 밀려버려 그 뒤로는 그 어떠한 가수도 시티를 넘는 것은 불가능해졌다.

현재는 그 외에 한류 등으로 한국식 걸그룹을 따라한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걸그룹 아모이 아모이(Amoy Amoy)나 솔로가수인 쥬쥬아이등도 데뷔했다.

사람들이 잘 모르는 사실 중 하나가 있는데 이슬람은 사실 나쉬드 외의 음악을 금지하고 있다. 왜냐하면 음악이 사람들을 안 좋은 쪽에 빠지도록 유도한다는 이유 때문이다.

어린 세대 한국인 초중고교 유학생들이 종종 하는 소리가 '한국에는 학교에 음악 수업이 있는데 여기는 없다'고 그러는데 왜냐하면 음악이 금기된 특성상 문제를 불러일으킬 수 있어서 초/중등 교육에서 음악을 가르치지 않는다.

다만 이는 어디까지나 말레이계 공립학교에만 국한된 이야기이며, 중국계 사립학교들이나 국제학교들은[34] 별도의 음악 수업을 두고 있다.

그리고 철저한 이슬람 국가임에도 음악산업이 발달해 있으며, 이웃나라인 인도네시아 등에서도 폭발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사실 이슬람 국가라고 해도 튀르키예만 해도 타르칸이나 이브라힘 타틀르세스, 귈센 등 여러 걸출한 가수들도 나오는 등 대중음악으로 유명하며 이집트레바논에서는 아랍어로 된 대중가요의 99%가 제작되고 있고 말레이시아의 이웃 인도네시아도 음악이 활발하다. 더구나 전근대 시대에서도 수피 교단은 음악을 통한 신과의 합일을 추구했고, 보수적인 율법학자와의 갈등이 존재하긴 했지만 수피교단은 이슬람 문화권 민중에게 큰 영향력을 발휘했다.

과거 ISIL 점령지나 탈레반이 정권을 되찾은 현재의 아프가니스탄, 그리고 사우디아라비아, 브루나이 등 종교 꼴통국가만 음악을 금기할 뿐이다. 당장 이슬람이 모두 음악을 금지했다면 튀르키예가 엔터테인먼트 강국으로 이슬람권에서 뜰 수도 없었고 일본의 AKB48을 현지화한 JKT48도 있는 인도네시아 등도 이렇게 할 수 없었을 것이다

12.5. 스포츠

스포츠는 축구가 제일 인기가 많다. 현재는 약체이지만 사랑만은 아주 대단하다.

월드컵 시즌만 되면 자기나라도 아닌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 등 우승후보로 꼽히는 세계최강급 팀들을 둘러싼 축구도박이 성행한다.

국내 축구 리그는 말레이시아 슈퍼 리그를 운영하고 있다.

과거에는 므르데카컵으로 1970년대까지 한국에서도 유명했던 적도 있다. 그때는 말레이시아는 한국에게 태국, 인도네시아 그리고 호주와 함께 아시아의 난적이었다. 이후 중동 국가들의 오일머니로 인한 미칠듯한 성장과 한국/일본의 기량향상 등으로 밀려나서 약체화되었다가 최근 김판곤 감독의 영입과 월드컵 출전권 확대 직후 동남아시아 축구의 급성장 등으로 태국 축구 국가대표팀,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과 함께 만만치 않은 복병으로 성장해 서서히 한국과 일본을 위협하고 있다.[35]

특히 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에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을 밀어붙이며 3-3 무승부를 기록했으며 한국 입장에서 더이상 동남아시아가 약체가 아니라는 사실을 상기시키는 간담 서늘한 경기가 되었다. 일본 역시 더이상 동남아시아를 얕볼 수 없다며 경계하게 되었다. 참고로 이 경기 직후 한국 축구는 2024 AFC U-23 아시안컵 카타르에서도 신태용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에 승부차기 패배를 당해 올림픽 진출에 실패하면서 동남아시아 팀들에 2연속 축구 참사(...)를 당하는 신세가 되었다.[36]

축구 열기는 지금도 여전하며, 말레이시아 수퍼리그[37]의 셀랑고르 FA(Selangor FA)처럼 인기있는 팀은 평균관중이 4만이 넘는다. 황금기는 라이벌 싱가포르가 말레이시아 리그에서 활동하던 시절이다. 싱가포르 라이온과 Selangor FA는 리그의 최강자이자 최대의 라이벌이었으며 이들이 말레이시안 컵 파이널에서 붙으면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는 불타오르곤 했다. 하지만 1995년 이후 싱가포르는 말레이시아 리그에 참가하지 않고 자국 리그인 S리그를 운영한다. 다만, S리그에는 말레이시아 팀이 하나 참가하고 말레이시아 리그에는 라이온스 XII가 참가한다. 이렇게 외국 도시국가가 인근 큰 나라 프로리그에 참가하는 예는 꽤 있어서 프랑스 프로축구에도 AS 모나코와 안도라가 참가한다.

국대에 대한 것은 말레이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문서 참조.

수도인 쿠알라룸푸르에는 AFC의 본부가 위치해 있다. AFC 자체는 중동의 아라비아 반도 산유국들이 좌지우지하지만 본부만은 동남아시아에 두고 있으며 다시 동아시아/동남아시아/서아시아/중앙아시아 지역연맹으로 나뉜다.

배드민턴도 인기가 많은 편인데, 이는 빈약한 스포츠환경에서 전국민이 편하게 즐길 수 있는 스포츠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에이스인 리총웨이(Lee Chong Wei, 李宗偉/이종위)라는 국제적인 배드민턴 선수가 있기 때문이다. 2012 런던 올림픽에서 말레이시아는 단 1개의 은메달만 획득했는데 이 은메달이 리총웨이가 벌어온 은메달이었다.[38] 리총웨이는 사람이 사람인지라 그렇게 인종 간 갈등이 심한 말레이시아에서 중국계 말레이시아인임에도 인도계 말레이시아인들과 말레이인들까지 모두 한 마음으로 응원하는 사람이다.

영연방 국가답게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남아시아와 함께 필드 하키를 꽤 하는 편이다. 필드 하키는 2001년에 일본을 제치고 플레이오프 끝에 필드 하키 월드컵에도 진출한 바 있다. 아시아 필드 하키 선수권 대회인 하키 아시안 컵에서는 4강에 5번 진출하는 성적을 냈다. 2007년 인도 대회에서 사상 최고인 3위를 거뒀는데 조예선에서 일본을 2-0, 3,4위전에서 다시 만난 일본을 5-3으로 이겼다. 준결승전에서 한국에게 1-2로 패했다.[39] 그래서 아시안 게임에서도 제법 강호이긴 한데 남자 필드 하키는 은메달 1개, 동메달 6개, 여자 하키가 동메달 1개를 받았다. 2014 인천 아시안 게임에서는 남자 필드 하키는 4위를 차지했다.

영연방에서는 누구나 하는 크리켓도 그럭저럭 한다고는 하지만 크리켓 월드컵에 한번도 나가본 적도 없기에 세계적으로 보면 약체다.

럭비도 꽤 인기가 많다. 특히 10인제 럭비인 럭비 텐스가 말레이시아에서 탄생하였으며 10인제 럭비에서 가장 권위 있는 “COBRA 럭비 텐스”라는 세계 대회를 매년 개최한다 15인제 럭비로 보자면 국내에 4만 명이 넘는 선수가 등록되어 있고 300개가 넘는 클럽과 600여 곳의 학교에서 럭비를 가르치고 있다. 다만 실력은 좋지 못해서 럭비 월드컵 아시아 예선도 뚫지 못하고 있다. 오히려 등록 선수가 1000명도 되지 않는 한국이 훨씬 잘 한다.

가라테도 상당히 잘한다. 역대 아시안 게임 가라테 총메달은 일본이 금 26개, 은 10개, 동 7개를 받은 일본에 이어 금 12개, 은 8개, 동 7개인 이란이 추격 중이며 말레이시아는 금 8개, 은 7개, 동 15개를 받았는데 전체 메달 수로 따지면 이란을 제치고 일본에 이어 2위이다. 최근인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에서도 금메달 3개를 받은 일본, 이란에 이어 카자흐스탄, 대만과 더불어 금메달 2개와 동메달 2개를 받았다.

그 외 볼링, 스쿼시, 승마 등도 하며 요트, 스케이트보딩도 인기 있는 편이다. 그러나 체격 등의 여러 문제로 스포츠를 그렇게 썩 잘하는 이미지는 아니다.

그리고 1999년부터 2017년까지 F1 말레이시아 GP를 개최하였으며 말레이시아의 국영기업 석유업체인 페트로나스메르세데스-AMG 페트로나스 포뮬러 원 팀의 타이틀 스폰서로 2010년부터 현재까지 장기간 후원하고 있다. 페트로나스는 말레이시아 GP의 대회 스폰서 이기도 했고 자우버를 후원할 시절에 엔진 이름으로 잠시 쓰인 적이 있었다. 또한 이 나라도 F1 드라이버를 배출해낸 국가다. 미나르디 F1 팀에서 2001년부터 2002년까지 뛰었던 알렉스 융.

13. 말레이시아 출신의 유명인

아래 목록을 보면 중국계 말레이시아인(화교) 출신 배우나 가수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화교들은 그 출신상 말레이시아보다는 중국, 대만, 홍콩 등 중화권이나 이웃이고 원래 같은 나라이던 싱가포르 그리고 멀지 않은 호주 등 해외에서 활동하는 경우가 많다. 당장 아래에 나오는 인물들만 해도 제임스 완 감독은 호주할리우드, 양자경과 정이건, 안젤리카 리, 미코 웡 등은 홍콩, 양정여는 대만, 지미 추/ 대니 추 부자와 나이젤 응 등은 영국, 류쥔은 중국 대륙, 그리고 쥬쥬아이싱가포르에서 활동하고 중국 대륙에도 진출해 활동하며 미코 웡은 홍콩이 주 무대라지만 싱가포르에서도 광고에 자주 출연한다. 클로이처럼 한국에서 활동하는 인물들도 있다.
* 광량(光良, Michael Wong) - 본명은 왕광량(王光良)이다.[40] 화교 즉 중국계 말레이시아인이며 주로 홍콩/마카오대만에서 활동중인 가수다. 개신교 신자로 동화라는 제목의 서정적인 노래로 유명하다.
* 시티 누르할리자 - 말레이시아의 국민 가수이자 여왕님.
* 양자경(楊紫瓊/미셸 예오 추 컹, Michelle Yeo Choo Kheng) - 화교이며 미스 말레이시아 출신으로 1980년대~1990년대 홍콩에서 액션배우로 활동했고 2000년대 들어서는 미국영국에서 활동하고 있다. 미국에선 당연히 동떨어진 말레이시아 사람이 아닌 익숙한 홍콩 출신 배우로 인식한다. 2023년에 아시아계 최초로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 지미 추(周仰傑(주앙걸)/추앙킷, Jimmy Chu)- 유명 구두브랜드 지미 추도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디자이너다.
* 대니 추(周國棟(주국동)/저우쥐퉁, Danny Chu)- 댄스 트루퍼구체관절인형 Smart Doll로 유명한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오타쿠다. 바로 위의 지미 추의 아들로 출생지는 영국, 주 활동 거점은 일본이라서 좀 복잡하다. 부인은 일본인인데 한류의 열혈 팬이며 부인의 영향으로 한국어를 배우는 중이라고 밝혔다.
* 양정여(梁靜茹/량징루, Fish Leong) - 화교 출신의 가수. 말레이시아에서 데뷔하고 대만에서 활동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
* 니콜라스 테오(張棟樑(장동량)/장둥량, Nicholas Teo) - 화교 출신의 가수. 말레이시아 노래 경연대회에서 입상한 후 중국 및 대만 등 중화권과 이웃 싱가포르에서 활동하고 있다.
* 안젤리카 리(李心潔(이심결)/리신제, Angelica Lee) - 화교로 홍콩 호러영화 디 아이즈(The eyes,2002)에 주인공 역으로 나왔다. 현재는 홍콩인이 되었는데 남편이 홍콩 영화감독 옥시드 팡이라 그렇다.
* 정이건(鄭伊建/청이킨, Ekin Cheng) - 화교로 역시 홍콩에서 활동하며 홍콩 영화에 많이 나왔다.
* 토니 페르난데스(기업인) - 에어아시아 CEO로 포르투갈인 혈통이 섞인 크리스탕인도계 말레이시아인이다.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에서 가톨릭을 믿는 남인도 출신들은 포르투갈 식민지 말라카 및 고아, 디우 등에서 이주해서 이베리아식 성명을 많이 갖는다.
* 제임스 완(溫子仁(온자인)/원쯔런, James Wan) -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영화감독으로 보르네오 섬 사라왁주 쿠칭 출신이며, 7살때 호주에 이민가서 퍼스에서 성장했다. 국적은 호주인지라 중국계 호주인 감독으로 주로 소개되는데 말레이시아의 인지도가 낮기 때문이다.
* 파우지아흐 라티프 - 말레이시아의 여가수로 말레이인이다.
* 엘라 아미누딘 - 말레이시아의 여가수로 일명 락의 여왕으로 불린다.
* 아칙 스핀 - 말레이시아의 가수. 2010년 아쉽게도 사고로 세상과 이별했다.
* 자리나 자이누딘 - 말레이시아의 배우로 말레이인이다.
* 나미위(Namewee/ 黄明志(황명지)/위멩치/황밍쯔) -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가수로 아주 강한 혐한+혐일+혐중 및 친대만 성향을 갖고 있으며 노래로 한국을 비하한 적 있다. 항목 참조.[41]
* 쥬쥬아이{조이스 츄/쓰예차오(四葉草(사엽초)), Joyce Chu} - 원 이름은 주주아이(朱主愛, 주주애)로 영문명 조이스 츄는 원래 성씨인 추(朱)씨를 나타낸다.[42] 1997년 생으로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출신 싱어송라이터다. 성씨 때문에 종종 한국인이냐는 질문을 많이 받아서 그런지 데뷔곡 Malaysia Chabor의 가사 중 "안녕하세요" 가 뭔가요?? 저는 말레이시아 여자랍니다'' 라는 내용으로 화제가 되었다. 하지만 혐한 의혹도 불거진 적이 있다. 그러자 쥬쥬아이 본인은 혐한이 아니며 그가 소속된 회사가 혐한 엔터테인먼트이기 때문에 혐한으로 오해할 수 있다.[43] 그 뒤 발표한 곡 하오샹니(好想你)[44]로 말레이시아의 국민 여동생으로 자리잡았고 베트남어 버전과 각종 리믹스 버전 등으로 커버되기도 했다. 주로 사용하는 악기는 우쿨렐레이다. 노래 커버는 대게 말레이시아의 중국계 가수들이 다 그렇듯이 표준 중국어로 한다.[45] 싱가포르와 가까운 조호르바루 출신이며 현재는 말레이시아-싱가포르를 벗어나 중국 예능에 출연하는 등 중국에도 진출하였다.
* 류쥔 - 청춘유니 3 출연자로 중국 아이돌 그룹 IXFORM 멤버다.
* 민 말릭
* 모나 펜디
* 아이젝 - 한국 아이돌 그룹 IN2IT 멤버
* 요장징 - 우상연습생 출연자, 중국 아이돌 그룹 NINE PERCENT 멤버
* 스카이
* haniwa(ayyk92) - 쿠파 공주 유행의 발단이 된 마리오 시리즈 팬 만화를 그린 일러스트레이터.
* 셰릴 샤즈와니
* 클로이 - 데이브 유튜브에 나왔던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여성 모델이다. 말레이시아 언어편에 첫 등장. 한국에 자주 놀러가는 친한파이며 싱가포르에서도 자주 활동한다.
* 슈 푸이 이(Siew Pui Yi) - 1998년생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모델이자 배우다. 모델 활동 시 노출이 심한 사진을 자주 찍는다.[46][47]
* 나이젤 응 [48]- (Nigel Ng) 영국을 배경으로 활동하는 스탠드업 코미디언. 본인의 개인 유튜브 채널에서 또 다른 자아인 엉클 로저를 연기하면서 큰 화제가 되었다.
* 주하오란(Meka Aoratos) - 애니메이터.
* 목타르 다하리 - 축구선수로 말레이인이다.
* 아루무감 렌가사미 - 축구선수로 인도계 말레이시아인이다.
* 소친온 - 축구선수로 중국계 말레이시아인이다.
* 초우 치 케옹 - 역시 축구선수로 중국계 말레이시아인이다.
* 툰쿠 압둘 라만: 말레이시아 연방의 초대 총리로 말레이시아가 1957년 영국으로부터 독립하는데 기여한 인물로 말레이시아의 국부(國父)로 추앙받으며 1963년에는 사바, 사라왁과 싱가포르를 끌어들여 말레이시아 연방을 완성했다.[49] 말레이시아의 독립 영웅으로서 곳곳에 그의 이름이 붙어버렸다.
* 압둘 라작: 말레이시아의 2대 총리로 툰쿠 압둘 라만과 더불어 독립영웅으로 추앙받지만 인종문제 이슈에서는 그 악명높은 부미푸트라 정책을 도입하기도 하였다. 어쨋든 말레이시아에서 존경받는 사람이기에 그의 이름 또한 곳곳에 붙어버렸다. 당장 쿠알라룸푸르에도 그의 이름을 딴 반다르 툰 라작이 있다.
* 후세인 온: 말레이시아의 3대 총리.
* 압둘라 아마드 바다위: 말레이시아의 5대 총리.
* 미코 웡(Miko Wong Jie Kee):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모델 겸 배우, 가수다. 홍콩싱가포르에서 주로 활동하며 싱가포르에서는 광고 등에 자주 등장한다.[50]
* 마하티르 빈 모하맛: 말레이시아의 4대 및 7대 총리로 말레이시아 역사 상 최장기 집권 총리라서 외국에서는 독재자로 욕먹기도 한다만 말레이시아를 발전시킨 업적이 있어 자국 내에서는 존경받기도 한다. 1997년 아시아의 외환위기 때 IMF 및 미국의 처방을 씹고 마이웨이로 외환위기를 극복하기도 해서 한국에서도 주목을 받은 인물이다.
* 일린 렁(梁愉苓/량위링, Elyn Leong, Leong Yeeling) - 화교이며, 아역배우 출신의 인플루언서이자 태국 걸그룹 Gen1es의 멤버다. 2015년[51]에 아역배우로 데뷔했고, 2024년에는 태국판 프로듀스 101인 CHUANG ASIA THAILAND에 참가하였으며, 최종회에서 5위를 기록하여 Gen1es의 멤버로 호명되었다.
* Yuna : 말레이시아의 R&B 가수. 아름다운 음색으로 유명. 2017년 미국의 유명 가수 Usher와 콜라보 한 Crush라는 곡이 빌보드 R&B 차트 상위권에 오르고 그녀의 앨범이 롤링스톤지에 오르는 등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었다.

14. 말레이시아 출신의 가상 인물



[1] 1965년까지는 말레이시아의 한 주였다.[2] 싱가포르가 섬나라여서 영토가 맞닿아있지는 않고, 대신 다리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3] 출처[4] 출처[5] 많이 쓰이지만 공식적 지위를 갖지는 않는다.[6] 그러나 종교의 자유는 보장이 된다.[7]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 회원국 중 가장 민주주의 지수가 높다.[8] 김정남 피살 사건 참조. 유엔 대북제재 위반 혐의로 기소된 북한인을 미국에 인도했다는 이유로 북한이 단교를 선언했다.[9] 2001년 이전에는 쿠알라룸푸르가 행정도 담당했으며 지금도 일부 행정은 쿠알라룸푸르가 여전히 담당한다.[10] 말레이시아가 다민족 국가이다 보니 Malay(말레이)+S(Sino, 중국인)+I(Indian, 인도인)+A(그 외)로 해석하는 사람들도 있다. 또한 말라야 연방에 싱가포르가 가입하면서 말레이(Malay) + 싱가푸라(Singapura)에서 나왔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다.[11] 말레이어 철자('Malaysia')와 실제 발음이 일치하지 않는 케이스이다.[12] 영국 지배 이전 말레이시아 지역에 있던 왕국 중 하나이다.[13] 중국계 말레이시아인들은 표준 중국어를 정식으로 사용해서 한자음은 공식적으로는 표준어식으로 발음한다.[14] Klang Valley, 클랑 강 유역[15] 헤이즈라고 불린다. ?? 한국동아시아의 각종 중금속 및 화학물질이 섞인 미세먼지보다는 덜 독하기는 하지만 가끔 산불이 원인이 되면 유독가스가 섞인 연무라는 괴물이 되어버려 동아시아식 미세먼지보다 더 나쁘기도 하다.[16] 중국발 미세먼지는 각종 중금속 및 화학물질이 섞여 있어서 단순히 농작물이나 나무 등을 태운 재와 연기가 날아오는 헤이즈와는 비교가 안 된다.[17] 두 나라가 이 짓 좀 하지 말라고 돈까지 주며 인도네시아를 설득하고 있고 산불이 발생할 경우 두 나라가 공군 항공기까지 보내서 진화를 도와준다. 물론 그 플랜테이션 농장주들이 북미, 유럽, 일본에 심지어 한국까지 주요 선진국 기업들이라 근본적 해결은 요원하다. 사실 주요 선진국 중에 정작 헤이즈로 고통받는 싱가포르 기업들도 수마트라 플렌테이션의 주요 농장주 중 하나다.[18] 페트로 나쇼날, 즉 국영 석유회사란 뜻이다.[19] 과자 재료로 쓰이는 그 팜유맞다.[20] 당연히 돈도 거의 못 받고 노예 취급 당하면서 한다.[21] 웬만한 평지 쇼핑몰보다 더 호화로운데, 특이하게 하이랜드 내 교촌치킨, 네네치킨 점포도 있다. 네네치킨의 경우 후라이드보다 매운맛 메뉴 판매량이 더 높다.[22] Johor Bahru, New Johore라는 뜻이다.[23] 중국계와 말레이계의 혼혈로 성명은 중국식이고 종교는 기독교, 불교를 믿는 경우가 많다. 무슬림이 아니고 성명도 중국식이라 그냥 중국계 취급한다.[24] 오랑은 사람이고, 울루는 내륙이란 뜻이다.[25] 공항 청사 입구에 아예 KLIA라고 적힌 조형물도 있다.[26] 1998년 KLIA가 개항하기 이전까지는 말레이시아의 관문 역할을 했었다. 당시에는 KLIA가 이 공항을 의미했다. 물론 지금은 일부 저가 국내선만 운용한다.[27] 대한항공 코드셰어[28] 소요시간 5분의 세계 최단거리 국제선 열차이다.[29] 당장 필리핀이나 인도네시아 등에 비하면 훨씬 나은 편이며 한국만큼은 아니지만 많이 좋은 편이다.[30] 동남아 유일 선진국인 싱가포르도 급행 열차가 없다. 다만 이쪽은 도시국가라 필요성이 없어서 만들지 않는 것에 가깝다.[31] 일단 말레이시아가 이 일대를 지배하던 영향력이 완전히 소멸되기 때문이다.[32] 대표작 "뿛릿뿔렛"[33] 한국에서는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전후로 한 1980년대 중후반에 정착했다.[34] 말레이시아에는 다민족 국가인지라 국제학교가 꽤 많은 편이다. 주로 화교나 인도인들 같은 비말레이계 학생들이 많다.[35] 최소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형편없는 모습과는 비교가 모욕이며 오만 축구 국가대표팀과 비슷한 급으로 올라온 모습이 보인다. 오만은 일본을 1-0으로 꺾으며 일본에 오만 쇼크를 선물해준 적 있는 복병팀인데 그정도 역량까지 성장한 것이다.[36] 사실 2026 북중미 월드컵에서 태국과의 2연전도 1차전 무승부, 2차전 3-0 완승으로 생각보다 고전한 감이 있다.[37] 1989년부터 M-리그라는 명칭을 썼다가 2004년부터 수퍼리그로 바꾸고 2부리그는 프리미어리그로 이름을 바꿨다.[38] 그래서 리총웨이는 사실상 국민영웅 수준이며 말레이어공작을 뜻하는 다토(Dato)라는 작위가 그에게 수여되었다.[39] 우승은 한국을 7-2로 이긴 홈팀 인도가 차지했다.[40] 이 사람 이름은 한국 한자음표준 중국어 독음이 일치한다.[41] 다만 일본은 한국이나 중국에 비하면 그리 싫어하지 않는다.[42] 민남어로 주씨는 추(Chu)로 발음되는지라 원어를 존중하면 조이스 츄로 부르면 된다.[43] 위의 나미위가 만든 회사가 홍런으로 사실 사주인 나미위가 혐한이며 사주의 정치성향은 홍런의 공식입장은 아니다. 오히려 실제로 그녀는 본인의 유튜브에 한국 노래를 커버하는 영상을 자주 올렸었다.[44] 다만 이 곡의 뮤직비디오에 사람이 뛰어내리는 것으로 추정되는 장면이 나와 자살 의혹이 불거진 바 있었으나 이후 교묘한 영상 편집에 의한 트릭으로 밝혀졌다.[45]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가수들의 표준중국어 발음은 중국본토보단 대만에 가까워 대만 가수로 오인받기도 한다. 당연히 중국인들은 자기네 나라 가수라고 우긴다.[46] 게시물로 올리는 사진들의 대부분은 신체 부위의 노출이 매우 강하므로 주의바람. 굳이 알려주자면 세미누드로 유두랑 음부 부분만 가린 정도이며 엉덩이까지 노출한다.[47] 이 모델은 온리팬스도 하는데 거기 올리는 것은 AV 수준이다. 유두와 음부를 전부 노출한 누드와 남자친구와 성관계를 가지면서 찍은 섹스 테이프를 올린다.[48] 광동어로는 잉으로 읽지만 이 사람은 성씨가 민남어여서 응이다.[49] 그러나 인종문제로 말썽이 일어나 2년만인 1965년 싱가포르를 떼어내며 사라왁과 사바를 따라 말레이시아에 합류하려던 브루나이도 결국 1984년 홀로서기를 택한다.[50] 일본풍의 미코라는 이름은 예명이며 일본인 혈통은 아니다.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여성들 중에 일본식 예명을 가진 이들이 꽤 있다.[51] 아역배우로 정식 데뷔하기 이전인 2008년에 미국 유명 치약 회사 Colgate 광고에 한번 출연했었다.[52] 필리파 조지우 역을 연기한 배우가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양자경이라 그런지, 극중에서 필리파 조지우도 말레이시아 팔라우 랑카위 출신의 중국계 말레이시아인으로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