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4 21:38:18

스피팅코브라

스피팅코브라(독물총코브라)
Spitting cobra
파일:인도 차이나 스피팅 코브라.jpg
인도차이나스피팅코브라
(Siamese spitting cobra, Naja siamensis)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파충강Reptilia
뱀목Squamata
아목 뱀아목Serpentes
코브라과Elapidae

파일:검은 목 코브라.jpg

사진은 검은목스피팅코브라(Black-necked spitting cobra, Naja nigricollis)

1. 개요2. 특징3. 대중매체

1. 개요

코브라 중에서도 독을 뿜을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종들의 총칭.

총 17종이 알려졌는데 아프리카에 9종, 아시아에 6종이 있다. 대표적인 종으로는 검은목스피팅코브라, 붉은스피팅코브라, 필리핀코브라, 검은스피팅코브라 등이 있다. 고리무늬스피팅코브라속(Hemachatus)의 유일종인 고리무늬스피팅코브라(링칼스)도 스피팅코브라의 일종으로 받아들여지기도 한다.

2. 특징

파일:220px-Cobrateeth.png

일반 코브라(왼쪽)와 스피팅코브라(오른쪽)의 독니 비교.

인간, 물총고기와 함께 정확한 원거리 공격이 가능한 몇 안 되는 동물이다. 이름처럼 자신을 지키고자 상대에게 독액을 발사하는 공격으로 유명하다. 독니에 홈이 있는데, 독샘에 있는 근육을 수축시켜서 독니의 홈을 따라 쏴보내는 식이다. 독액이 2 ~ 3m까지 날아간다.

파일:스피팅코브라1.gif

파일:스피팅코브라2.gif

이 녀석의 진짜 무서운 점은 독을 뱉을 때 그냥 뱉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상대의 눈을 노린다는 것이다. 안 그래도 강한 독을 눈에다 쏘니 대형 맹수들도 작다고 쉽게 건드리지 않을 정도이다. 포유동물처럼 유체일 때 성체로부터 사냥교육을 받는 것도 아닌데 본능만으로 다른 생물의 눈을 노려 쏜다니 놀라운 일이다. 독액을 눈에 맞으면 매우 아픈데,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면 신경독이 안구의 시신경을 손상시켜 실명에 이른다.

인도, 동남아시아, 아프리카의 스피팅코브라들은 각각 개별적으로 진화를 거친 수렴 진화의 산물이다. 2021년 사이언스에 개지된 영국 리버풀열대의학연구소 뱀연구혁신센터의 니콜라스 캐스월 교수가 이끄는 국제 공동 연구팀의 연구에 의하면, 수렴진화로 스피팅코브라와 같이 독을 내뿜는 코브라가 나타난 이유는 바로 인간이다. 초기 인류가 등장한 시기와 맞춰 스피팅코브라들이 특정한 독소를 동일하게 생성했기 때문이다. 인류는 시각에 많이 의존하는 동물인데 인류가 뱀을 긴 막대기나 돌맹이로 멀리서 공격하니, 뱀 또한 멀리서 인류의 눈을 멀게 하는 독액을 쏘는 방향으로 진화했다는 것이다. 실제로 인간을 상대로 명중률이 제일 높다고 한다.

코브라답게 뱀치고는 시력이 좋은 편이다. 그 눈은 저격총망원조준경 같은 역할을 하는데, 목표물과 아이컨택을 한 후 탄착점을 계산해 순간적으로 윗턱을 벌려서 쏜다.

이 때문에 스피팅코브라를 사육하는 사람이나 스피팅코브라가 많이 서식하는 아프리카나 동남아시아, 인도 지역에선 보안경을 끼는 것이 좋다고 추천받는다. 물론 직접 물 수도 있는데, 독이 매우 강해서 특히 필리핀코브라에게 물리면 30분 만에 죽을 수 있다.

국내에서도 불법 유통되는 경우도 있으나, 국내에는 해독제도 없으니 물리면 독이 퍼지기 전에 병원으로 가서 절단하거나 아니면 죽는 수밖에 없다.(2025년 기준 한국에도 안티베놈(해외독사 해독제)가 들어왔다

3. 대중매체

  • 엑스컴 시리즈의 외계인 바이퍼는 비록 나가에 가까운 모양새이지만, 독을 뱉는 등 스피팅 코브라의 능력을 지니고 있다.
  • 온라인 게임 바람의 나라에서 백두산 지역 녹명봉의 보스 몬스터인 거대북살모사가 '독액살포'라는 원거리 공격을 사용하는데, 아마 이 녀석을 모티브로 삼지 않았을까 싶다.
  • 터닝메카드베노사의 스킬 중 하나인 "베놈 스프레이"가 스피팅 코브라의 능력에서 모티브를 따 왔다.


[AF] 아프리카 서식 9종[2] 진정한 스피팅코브라로 분류하는 데에는 논쟁이 있다. 생물학적 의미에서의 ‘코브라’는 코브라속(Naja)에 속하는 뱀을 일컫기 때문에, 코브라속이 아닌 Hemachatus속이라는 별개의 속으로 분류하다보니 학문적으로는 외형만 유사할 뿐 별개의 뱀으로 취급한다. 대중적으로 잘 알려진 킹코브라 역시 마찬가지로, 코브라속이 아닌 별도의 속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의 코브라로 보지 않는다.[AF] [AF] [AF] [AF] [AF] [AF] [AF] [AF] [AS] 아시아 서식 6종[AS] [AS] [AS] [AS] [AS] [17] 또 하나는 목도리도마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