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로네시아족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 민족 |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75b2dd> 대만 원주민 | 부눈족 | 아미족 | 아타얄족 | 파이완족 | ||
말레이-폴리네시아인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75b2dd> 말레이계 | 다약 | 따오족 | 마두라인 | 마카사르인 | 말라가시인 | 말레이인 | 모로인 | 미낭카바우 | 바탁 | 반자르인 | 반튼인 | 발리인 | 부기스인 | 부퉁인 | 비콜라노인 | 비사야인 | 사마 바자우 | 사삭인 | 순다인 | 숨바와인 | 아체인 | 오랑 라우트 | 일로카노인 | 자바인 | 찌아찌아인 | 참족 | 카다잔두순 | 카팜팡안인 | 타갈로그인 | 테툼족 | |
멜라네시아인* | 니바누아투 | 솔로몬 제도인 | 카낙인 | 피지인 | ||
미크로네시아인 | 나우루인 | 마샬인 | 차모로인 | 추크인 | 카핑인 | 캐롤라인인 | 키리바시인 | 팔라우인 | ||
폴리네시아인 | 니우에인 | 라파 누이인 | 마르키즈인 | 마오리족 | 사모아인 | 아누타족 | 타히티인 | 토켈라우인 | 통가인 | 투발루인 | 하와이 원주민 | ||
국가 및 지역 | |||
독립국 | 나우루 | 동티모르 | 마다가스카르 | 마셜 제도 | 말레이시아 | 미크로네시아 연방 | 바누아투 | 브루나이 | 사모아 | 솔로몬 제도 | 인도네시아 | 키리바시 | 통가 | 투발루 | 팔라우 | 피지 | 필리핀 | ||
자치 지역 및 다수 거주지 | 괌 | 난터우현 | 누벨칼레도니 | 니우에 | 대 빠따니 | 미국령 사모아 | 북마리아나 제도 | 왈리스 푸투나 | 이스터 섬 | 코코스 제도 | 쿡 제도 | 타이둥현 | 토켈라우 |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 화롄현 | 하와이 | ||
언어 및 문화 | |||
언어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 ||
신화 | 말레이 신화 | 멜라네시아 신화 | 미크로네시아 신화 | 폴리네시아 신화 | ||
첨자 *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를 쓰는 멜라네시아인에 한함 | }}}}}}}}} |
동남아시아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태국인 | 베트남인 | 필리핀인 | 크메르인 | 라오인 | |
인도네시아인 | 자바인 | 발리인 | 아체인 | 미낭카바우 | ||
부기스인 | 마카사르인 | 다약 | 카다잔두순 | 마두라인 | ||
바탁 | 네그리토 | 말레이인 | 태국계 말레이시아인 | 말레이계 태국인 | ||
버마족 | 샨족 | 카렌족 | 몽 | 로힝야 | ||
인도계 싱가포르인 | 중국계 싱가포르인 |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 중국계 태국인 | 중국계 필리핀인 / 상글레이 | 스페인계 필리핀인 | |
참족 | 수이족 | 태족 | 모로인 | 사마 바자우 | ||
비사야인 | 프라나칸 | 친디언 | 브루나이인 | 타갈로그인 | ||
테툼족 | 라카인족 | 비콜라노인 | 파푸아인 | 고산족 | ||
※ 현존 민족만을 표기 | ||||||
※ 다른 지역·국가의 민족 둘러보기 | }}}}}}}}} |
Batak (영어)
Halak Batak (인도네시아어)
인구: 8,466,969(2010)
1. 개요
바탁, 또는 바탁인은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의 민족이다. 원래 말레이인(미낭카바우인을 포괄한다고 가정)과 함께 수마트라의 주요 인구 집단이었다. 전통 시대에도 나구르(Nagur)라는 고대 왕국을 세웠다고도 하고[1] 중세에는 아루 왕국을 비롯해 여러 국가를 세웠던 적이 있다. 아체 술탄국의 역사에서도 북수마트라로 진출해 토착 바탁인들을 지배하려는 아체와 이에 반발하는 바탁인 집단들의 팽팽한 대립을 볼 수 있다. 현재는 자바인 이주민과 해안 지대를 중심으로 세력이 커진 말레이인에게 자리를 빼앗겨 비중이 줄기는 했지만 아직도 북수마트라 지방의 시골은 바탁인이 많다.넓게 보아 '바탁'으로 묶지만, 사실 단일한 '바탁인'이나 '바탁어'가 있지는 않다. 바탁어군 하위에 여러 가지 하위 어군과 언어가 존재한다. 대략 바탁 하위의 민족/언어 집단은 카로 바탁(Karo Batak), 토바 바탁(Toba Batak), 만다일링(Mandailing), 팍팍(Pakpak), 앙콜라(Angkola), 시말룽운(Simalungun) 등으로 분류한다. '바탁'은 다약과도 비슷한 포괄 용어인 셈이다.
'바탁'이라는 단어가 민족 명칭으로 쓰이게 된 경위에 대해서는 20세기 초부터 다양한 논쟁이 있었지만 정설은 없다. 우선 바탁어군 내에서 '바탁'이라는 단어가 '말을 잘 타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쓰이다가 민족 명칭이 되었다는 설이 있고, 한편으로는 말레이 반도나 필리핀 해안 지방에서 과거에 내륙 정글에 사는 사람들을 경멸적으로 '바탁'이라고 불렀다는 설도 있다. 정확한 어원은 알기 어렵지만, 확실한 것은 이 대략적인 '바탁' 개념을 네덜란드인들이 널리 쓰면서 이에 의존해 네덜란드 인류학자들이 바탁 민족을 분류했고, 결과적으로 이것이 오늘날까지 이어져 내려왔다는 것이다.[2]
바탁 고유의 문화로 장승 비슷한 걸 만들어서 악령을 없애기도 하고, 바탁 계열 민족들에는 각자 전통 종교도 있다. 다만 오늘날 신자는 거의 없다고. 그리고 전통 종교에서 식인을 하기도 하는데 이 또한 의식이라고 한다.[3] 바탁 고유의 바탁 문자도 있는데, 전통 시대에는 주로 종교적, 주술적 문서가 바탁 문자로 쓰였다.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전반까지 네덜란드령 동인도 체제의 학교 교육에서도 바탁 문자를 가르쳤고, 바탁 문자로 인쇄된 종교 서적과 문학 작품도 나왔지만 오늘날 바탁 문자는 거의 장식 용도로만 쓰인다.
2. 인구
2010년 기준 인도네시아에는 약 8,466,969명의 바탁 인구가 있다. 이중 5,785,716명이 북수마트라주에 산다. 나머지 주들은 주별 바탁인 인구가 1백만 미만이다.3. 종교
약 60%가 개신교, 40%가 이슬람이다.4. 언어
대다수가 바탁어군 언어를 일상어로 쓰지만 도시에 사는 젊은이들은 인도네시아어를 쓴다.5. 여담
라자 나잉골란의 아버지가 바탁인이라 한다.6. 저명한 바탁인
[1] 단, 나구르 왕국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진 것이 극히 적어 단정하기 어렵다.[2] "Arti dan Asal Mula Kata Batak," Simarmata, 2016년 6월 2일.[3] 당연히 현대에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