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9 15:11:26

물왕도마뱀

물왕도마뱀(워터모니터)
Asian water monitor
파일:Monitor.jpg
학명 Varanus salvator
(Laurenti, 1768)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파충강(Reptilia)
뱀목(Squamata)
왕도마뱀과(Varanidae)
왕도마뱀속(Varanus)
아속 소테로사우루스아속(Soterosaurus)
물왕도마뱀(V. salvator)
멸종위기등급
파일:멸종위기등급_최소관심.svg

파일:ㅁㅇㄷㅁㅂ.jpg

영어: Asian water monitor
힌디어: एशियाई जल मॉनिटर
인도네시아어: Biawak air
말레이어: Biawak Air
태국어: เหี้ย
베트남어: Kỳ đà hoa
중국어: 圆鼻巨蜥
일본어: ミズオオトカゲ

1. 개요2. 특징3. 생태4. 사육5. 여담

1. 개요

왕도마뱀의 일종. 영명으로 워터모니터라고 불리기도 한다.

2. 특징

크기는 최대 1.5~2m가 흔하지만 3.21m까지 자란 개체도 있었으며 체중은 수컷을 기준으로 20~50kg이다. 몸은 굵고 육중하며 튼튼한 비늘로 덮여져 있고, 검은색이나 갈색으로 하얀색이나 황색의 작은 반점이 들어간 개체가 대다수지만 아종이나 지역에 따라 무늬가 다르다. 꼬리는 물속에서 물살을 가르며 헤엄치는 것에 적합하다.

파일:ㅁㅇㄷㅁㅂ.jpeg.jpg

이름처럼 물을 좋아하며 헤엄도 잘 친다. 한 번 잠수하면 최대 30분 정도까지 숨을 참을 수 있다.

어릴 때는 몸에 노란 무늬가 있는데 커지면서 사라진다.

코모도왕도마뱀처럼 독을 가지고 있지만 독성이 약해 의료 조치만 받아도 괜찮다.

3. 생태

동남아시아인도네시아[1]+ 싱가포르+말레이시아, 태국중국 남부, 인도 동부 및 남부, 방글라데시, 스리랑카에 서식한다.

특히 동남아시아에 많아서 싱가포르의 보타닉 가든, 태국 방콕의 룸피니 공원 등 물가를 낀 공원에서 자주 보인다.

삼림, 사바나, 늪지, 강가, 하구 등에 서식한다. 수영에 능숙한 동물로, 날카로운 발톱을 이용해 땅에 구멍을 파서 굴로 만들거나, 나무 위로 오르기도 한다.

식성은 육식성으로 먹이로는 어류절지류를 주로 먹지만 등의 소형 포유류, 조류[2], 파충류, 양서류, 갑각류, 동물의 알, 사체, 사람이 버린 음식물 쓰레기 등 다양한 먹이를 먹는다. 때로는 두마리 이상이 협력하며 사냥하기도 하는데, 한마리가 악어를 유인할 때, 다른 한마리가 알을 빼앗는 경우도 있다. 번식 형태는 난생이다. 땅 속에 15개 이상의 알을 낳는다.

생태적 지위가 비슷한 경쟁자로는 비단수달이 있다. 물왕도마뱀이 비단수달보다 커 일 대 일에서는 체급으로 압도하지만 비단수달은 무리생활을 해 비단수달 여러 마리와 물왕도마뱀 한 마리가 팽팽하게 대립하는 구도가 자주 목격된다고 한다.1 2 그 외에도 비단뱀, 킹코브라 같은 대형 뱀들과의 충돌도 많은 편이다.

천적으로는 바다악어, 늪악어, 말레이가비알, 호랑이[3], 표범[4]이 있다.

4. 사육

사육시설등록[5]이 필요한 종이다. 물왕도마뱀은 왕도마뱀 특유의 높은 활동성에 수영을 즐기는 만큼 수영장까지 갖춰놔야 하기에 동물원에 준하는 환경이 있어야 적절한 사육이 가능한 만큼 사육시설등록종으로 지정되었다.

이 때문에 이전부터 물왕도마뱀을 키우고 있던 사육자 외 물왕도마뱀의 개인 사육은 녹색이구아나와 마찬가지로 매우 드물어졌다. 그나마 해당 법령 공포 이후 아예 애호가 커뮤니티에서 언급조차 안 되는 녹색이구아나와는 달리, 물왕도마뱀은 가끔씩 입방아에 오르는 편이다. 이후 사육시설등록요건 중 사육장의 높이가 제외되는 등 시설등록 기준이 개선되어 불필요한 제재가 완화되었다.

파일:826bcb6b284ee3ec04aa954f68926531.jpg
새끼 때부터 사육장의 많은 비중을 물로 하는 것을 추천하며 해외에선 새끼 때 사육장을 저리 꾸미기도 한다고 한다.

유리 슬라이딩 도어 등을 사용하는 중대형 사육장에 사용하는 철제 슬라이딩 락은 힘으로 뜯고 나오는 경우도 있다. 사육장의 재질과 내구성을 충분히 강한 것으로 준비해야 한다.

습한 사육환경을 요구하기에, 물의 오염과 바닥재의 부패에 특히 신경써야 한다. 호흡기질환을 방지하기 위해서 통풍도 어느정도 필요하다.

생태에서 서술된 바와 같이, 먹이는 굉장히 다양한 종류를 먹으나 일반적으로 국내에서 어린 개체에게는 마우스와 래트, 성체에게는 닭과 물고기 등을 급여한다. 만성질환을 방지하기 위해 균형잡힌 식단을 권한다.

다른 대형 왕도마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순하나, 상당히 강력한 치악력을 갖고 있기에 핸들링에는 주의를 요한다. 성체의 경우, 꼬리치기가 살갗이 부어오를 정도로 강력하기에 적절한 파지가 요구된다.

국내에서 디시 갤러리를 통해 누군가가 사육을 인증했다.

코엑스 아쿠아리움서울대공원, 서울어린이대공원에서도 사육 했었으나 폐사했다. 현재 일산 쥬쥬랜드(구 테마동물원 zoo zoo, 쥬라리움 일산점)과 대구 네이처 파크에서 사육중이다. 동물애호가들에게 혹평받는 환경을 지닌 쥬라리움에서 그나마 몇 안 되는 호평받는 환경에서 사육중이고, 네이처파크에 멜라니스틱 변이 개체도 매우 좋은 환경에서 사육중이다.

5. 여담

초고가의 명품 가방으로 유명한 에르메스에서는 물왕도마뱀 가죽으로 에르메스 리자드 벡이라는 이름으로 버킨백을 만들며 가격은 약 1억 5천만원 정도이다. 구하기는 매우 어려우며 에르메스 파리지점에서도 1년 동안 못 구할수 있다.
파일:20221209_234636.png


[1] 수마트라 섬, 자바섬, 보르네오섬 등 여러 섬 및 군도 포함[2] 서식지 근처의 민가에 있는 가금류도 사냥한다고 한다.[3] 벵골호랑이, 인도차이나호랑이, 말레이호랑이, 수마트라호랑이.[4] 인도표범, 스리랑카표범, 인도차이나표범, 자바표범.[5] 높이 약 1.5미터, 넓이 3제곱미터 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