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역사 ]
- ||<table 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역사 ||역사 전반(홍콩)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호 · 백년국치 ||
- [ 사회 · 경제 ]
- ||<table 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경제 ||경제 전반(홍콩 · 마카오) · GDP · 경제성장률 · 상무부(투자촉진사무국) · 재정부 · 공업정보화부 · 중국인민은행 · 세무총국 · 중국 위안 · 중국증권 감독관리위원회(상하이증권거래소 · 선전증권거래소 · 베이징증권거래소) · 홍콩증권거래소 · 국가금융감독관리총국 · ECFA · AIIB · FTAAP · 세서미 크레딧 · 차이나 머니 · 아시아의 네 마리 용(홍콩) ||
- [ 문화 ]
- ||<table 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문화 전반 ||문화 전반(홍콩 · 마카오) · 문화 검열(검열 사례 · 할리우드 블랙아웃) · 문화여유부(문물국) · 영화(목록) · 홍콩 영화 · 상하이물) · 드라마(목록 · 문제점) · 방송(CCTV · CETV · 라디오 방송 · 홍콩 · 마카오) · 신경보 · 중앙신문(인민일보 · 환구시보 · 광명일보 · 경제일보 · 해방군보) ·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 · 명보 · 미술 · 2021년 중국 규제 · 파룬궁 · 선전물 일람 ||
| |
명칭 | 영문: Chinese Basketball Association 중문: 中国男子篮球职业联赛 |
국문: 중국 농구 협회 | |
종목 | 농구 |
설립 | 1995년([age(1995-01-01)]주년) |
리그 창설 | 1995-96 시즌 |
총수(회장) | 수지청(徐济成) (2023~ ) |
최근 우승 구단 | 저장 광사 라이온스(2024-25 시즌) |
최다 우승 구단 | 광둥 서던 타이거즈(11회) |
1. 개요
Chinese Basketball Association中国男子篮球职业联赛
1995년 출범한 중국의 농구 협회와 프로 농구 리그의 명칭이다.
세계 스포츠 리그 수익 순위 20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농구가 중국의 국민 스포츠인 덕분에 명실상부 중국에서 최고의 인기를 자랑하는 스포츠 리그이다.
2021년부터 아프리카TV가 중국프로농구 경기를 서정환 OSEN 기자, 이초원 ROOKIE 기자 체제로 중계한다.
2. 배경
CBA는 1995-96 시즌에 시작되었다. 이 리그는 1956년 6월에 설립된 중국 농구 협회와 혼동되어서는 안 된다. 중국 농구 협회는 이 스포츠의 관리 기관인 FIBA와 관련된 문제에 대해 국가를 대표한다. 현재 중국의 농구는 중국 농구 관리 센터의 규제를 받는다.다른 중국 농구 리그로는 전국 농구 리그(NBL), 중국 대학 농구 협회(CUBA), 중국 고교 농구 리그(CHBL)가 있다. 한때 중국 신농구 연맹(CNBA)이라는 리그가 있었는데, 가장 유명한 팀 중 하나는 베이징 바다사자였지만 이 사업은 단 한 시즌(1996-97) 동안만 지속되었다.
CBA에 참가한 최초의 외국인 선수는 우즈베키스탄 출신의 미하일 사빈코프이다. 그는 리그가 처음 시작된 1995-96 시즌에 저장 스퀴럴스에 합류했다. 1996-97 시즌 동안 제임스 호지스는 CBA에서 뛰는 최초의 미국인 중 한 명이 되었으며, 랴오닝 헌터스가 그를 영입하면서 이후 몇 년 동안 미국에서 더 많은 외국인 선수가 유입되는 길이 열렸다.
다른 주목할 만한 외국인 선구자로는 1996-97 시즌 후반에 장쑤 드래곤스에 합류한 존 스펜서와 다음 시즌에 지린 노스이스트 타이거스와 계약하여 1998-99 시즌에 팀이 CBA로 승격하는 데 도움을 준 데이비드 반터풀이 있다. CBA의 첫 번째 해외 감독은 미국인 로버트 호가드로, 1997-98 시즌 마지막 8경기 동안 쓰촨 팬더스를 이끌었다.
3. 팀명
각 팀의 전체 이름은 일반적으로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는 지리적 명칭으로, 기술적으로는 "8월 1일"을 영어로 번역한 팔일(八日)을 제외하며, 그 외 모든 명칭은 성 단위(성 또는 직할시) 이름이다. 두 번째는 기업 스폰서 이름으로, 매년 혹은 시즌 중간에도 변경될 수 있다. 세 번째는 팀 별명으로, 일반적으로 동물 이름을 사용한다.기업 스폰서 이름이 있을 경우 영어 표기가 혼란스러울 수 있으며, 여러 변형이 존재할 수 있다. 팀 이름은 보통 약어로 표기되며, 기업 스폰서 이름과 별명을 혼용하는 경우는 드물다. 팀 별명은 영어로 여러 방식으로 번역될 수 있으며, 기업 스폰서는 시간이 지나면서 자주 바뀐다.
별명 변경은 드물지만, 산둥 팀은 1995년 플레이밍 불스에서 2003년 라이온스, 2004년 골드 라이온스, 2014년 골든 스타스로 이름을 바꾼 사례가 있다. 랴오닝 팀은 1995년 헌터스에서 다이노소어, 2008년 플라잉 레오파즈로 변경했다. 포산 팀은 2001년 기린스에서 드랄리온스, 롱 라이언스로 바뀌면서 별명을 영국식으로 바꾸려는 시도가 있었다.
과거에는 리그 자체의 타이틀을 기업 명명 스폰서십에 사용할 수 있었다. 1999-2000년과 2000-2001년에는 힐튼 리그로 알려졌고, 2001-2002년과 2002-2003년에는 모토로라 리그였으며, 2003-2004년에는 차이나 유니콤의 스폰서를 받았다. 이러한 기업 리그 타이틀이 항상 뉴스 미디어에 사용된 것은 아니었으며, 이 관행은 2004-2005 시즌 시작과 함께 중단되었다.
4. 리그 진행
FIBA룰과는 다소 차이가 있는데 NBA처럼 한 쿼터가 12분, 총 48분 경기고 개인 반칙이 6반칙이어야 퇴장이다. 총 20개 팀이 직전시즌 순위의 따라 5개의 그룹으로 운영하며 같은 그룹 구단과 3경기, 다른 그룹 구단과 2경기를 치러 총 42라운드로 진행한다. 플레이오프는 5-12위의 경기는 3전 2선승제, 8강전과 준결승은 5선 3선승제, 결승은 7전 4선승제로 진행한다.5. 소속 구단
5.1. 북부 지구
구단 | 중문(간체자)[1] | 연고지 |
랴오닝 플라잉 레오파즈 | 辽宁衡润飞豹 | 랴오닝성 선양시 |
베이징 덕스 | 北京首钢鸭 | 베이징 |
베이징 로얄 파이터즈 | 北京紫禁勇士 | 베이징 |
산둥 하이 스피드 키린 | 山东高速 | 산둥성 지난시 |
산시 룽스 | 山西汾酒猛龍 | 산서성 타이위안시 |
쓰촨 블루 웨일즈 | 四川金强藍鯨 | 쓰촨성 청두시 |
신장 플라잉 타이거스 | 新疆廣匯飛虎 | 신장 위구르 자치구 우루무치 |
칭다오 이글스 | 青島国信双星雄鹰 | 산둥성 칭다오 |
지린 노스이스트 타이거스 | 吉林九台农商银行東北虎 | 지린성 창춘시 |
텐진 파이오니어스 | 天津荣钢金狮 | 톈진시 |
5.2. 남부 지구
구단 | 중문 | 연고지 |
광둥 서던 타이거즈[2] | 广东宏远华南虎 | 광둥성 둥관시 |
광저우 롱 라이온스 | 龍獅 | 광둥성 광저우시 |
난징 몽키킹스 | 南京同曦大聖[3] | 장쑤성 난징시 |
닝보 로케츠[4] | 宁波火箭[5] | 저장성 닝보시 |
상하이 샤크스 | 上海東方大鯊魚 | 상하이시 |
선전 레오파즈 | 深圳新世纪领航者 | 광둥성 선전시 |
장쑤 드래곤즈 | 江苏龍肯帝亚 | 장쑤성 쑤저우시 |
저장 골든 불스 | 浙江稠州金牛 | 저장성 이우시 |
저장 광사 라이온스 | 浙江广厦猛獅 | 저장성 항저우시 |
푸젠 스터전스[6] | 福建鱘浔兴 | 푸젠성 취안저우시 |
6. 국가대표팀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자세한 내용}}}에 대한 내용은 [[중국 농구 국가대표팀]]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중국 농구 국가대표팀#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중국 농구 국가대표팀#|]]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자세한 내용: }}}[[중국 농구 국가대표팀]]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중국 농구 국가대표팀#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중국 농구 국가대표팀#|]]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7. 역대 결승전 결과
시즌 | 우승 | 전적 | 준우승 |
1995-1996 | 바이 로케츠 | 2-0 | 광둥 서던 타이거즈 |
1996-1997 | 랴오닝 헌터스 | ||
1997-1998 | 3-0 | ||
1998-1999 | |||
1999-2000 | 상하이 샤크스 | ||
2000-2001 | 3-1 | ||
2001-2002 | 상하이 샤크스 | 바이 로케츠 | |
2002-2003 | 바이 로케츠 | 광둥 서던 타이거즈 | |
2003-2004 | 광둥 서던 타이거즈 | 바이 로케츠 | |
2004-2005 | 3-2 | 장쑤 드래곤스 | |
2005-2006 | 4-1 | 바이 로케츠 | |
2006-2007 | 바이 로케츠 | 광둥 서던 타이거즈 | |
2007-2008 | 광둥 서던 타이거즈 | 랴오닝 다이너소어스 | |
2008-2009 | 신장 플라잉 타이거즈 | ||
2009-2010 | |||
2010-2011 | 4-2 | ||
2011-2012 | 베이징 덕스 | 4-1 | 광둥 서던 타이거즈 |
2012-2013 | 광둥 서던 타이거즈 | 4-0 | 산둥 라이언스 |
2013-2014 | 베이징 덕스 | 4-2 | 신장 플라잉 타이거즈 |
2014-2015 | 랴오닝 플라잉 레오파즈 | ||
2015-2016 | 쓰촨 블루 웨이브스 | 4-1 | |
2016-2017 | 신장 플라잉 타이거즈 | 4-0 | 광둥 서던 타이거즈 |
2017-2018 | 랴오닝 플라잉 레오파즈 | 저장 라이언스 | |
2018-2019 | 광둥 서던 타이거즈 | 신장 플라잉 타이거즈 | |
2019-2020 | 2-1 | 랴오닝 플라잉 레오파즈 | |
2020-2021 | |||
2021-2022 | 랴오닝 플라잉 레오파즈 | 4-0 | 저장 광사 라이언스 |
2022-2023 | 저장 골든 불스 | ||
2023-2024 | 신장 플라잉 타이거즈 | ||
2024-2025 | 저장 광사 라이언스 | 4-2 | 베이징 덕스 |
8. 역대 수상
8.1. 최우수 선수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995-96 | 1996-97 | 1997-98 | 1998-99 |
후웨이동 | 후웨이동 | 공효빈 | 쑨전 | |
1999-00 | 2000-01 | 2001-02 | 2002-03 | |
왕즈즈 | 야오밍 | 류위둥 | 쑨전 | |
2003-04 | 2004-05 | 2005-06 | 2006-07 | |
탕젱둥 | 탕젱둥 | 멍크 바터 | 탕젱둥 | |
2007-08 | 2008-09 | 2009-10 | 2010-11 | |
주팡위 | 멍크 바터 | 멍크 바터 | 멍크 바터 | |
2011-12 | 2012-13 | 2013-14 | 2014-15 | |
주팡위 | 이젠롄 | 이젠롄 | 이젠롄 | |
2015-16 | 2016-17 | 2017-18 | 2018-19 | |
이젠롄 | 딩얀유향 | 딩얀유향 | 왕저린 | |
2019-20 | 2020-21 | 2021-22 | 2022-23 | |
이젠롄 | 우치엔 | 후진추 | 왕저린 | |
2023-24 | 2024-25 | 2025-26 | 2026-27 | |
압두살람 압두릭시트 | 후진추 | -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999-00 | 2000-01 | 2001-02 | 2002-03 |
왕즈즈 | 야오밍 | 류위둥 | 류위둥 | |
2003-04 | 2004-05 | 2005-06 | 2006-07 | |
두펭 | 주팡위 | 이젠롄 | 왕즈즈 | |
2007-08 | 2008-09 | 2009-10 | 2010-11 | |
주팡위 | 주팡위 | 주팡위 | 왕시펭 | |
2011-12 | 2012-13 | 2013-14 | 2014-15 | |
리수에린 | 이젠롄 | 랜돌프 모리스 | 스테판 마버리 | |
2015-16 | 2016-17 | 2017-18 | 2018-19 | |
하메드 하다디 | 다리우스 아담스 | 레스터 허드슨 | 이젠롄 | |
2019-20 | 2020-21 | 2021-22 | 2022-23 | |
소니 윔스 | 후밍쉬안 | 자오즈웨이 | 자오즈웨이 | }}}}}}}}}}}} |
9. 여담
- 최다 우승 구단은 광동 서던 타이거즈로 10회 우승했다.
- 바이 난창을 제외한 구단은 외국인 선수를 두 명씩 보유할 수 있으며, 전년도 하위 성적 5팀은 아시아 출신(대만, 홍콩 제외)[7]를 한 명 더 쓸 수 있다. 재미있는건 바이 난창을 상대할때는 한명의 외국인 선수만 코트에 들어 갈 수 있다.
- 전 NBA 올스타 출신인 트레이시 맥그레이디, 길버트 아레나스, 스테판 마버리, 스티브 프랜시스 등이 CBA에서 선수 생활한 적이 있다.
- NBA 선수가 부진하면 상하이 샤크스[8]로 보내라는 밈이 있다.
- 리그 초창기 (90년대 말?) STAR SPORTS에서 CBA 리그 경기를 중계하기도 했다.
10. 항목이 있는 CBA 출신 및 소속 농구 선수
- 야오밍
- 제레미 린
- 이젠롄
- 양한센
- 정판보
- 후웨이동
- 왕즈즈
- 딩얀유향
- 저우치
- 취용시
- 왕준제
- 궈아이룬
- 장전린
- 자오즈웨이
- 후진추
- 왕저린
- 자오루이
- 후밍쉬안
- 주팡위
- 멍크 바터
- 쑨웨
- 위자하오
- 류웨이
- 무톄주
- 쑨밍밍
- 브랜든 굿윈
- 퀸데리 웨더스푼
- 제러드 설린저
[1] 중국어명에는 중간에 기업명이 들어간다. 연고지 + 기업명 + 팀명 순서. 이 점은 KBL과 같다.[2] "서던 타이거즈"는 광둥성의 마스코트인 남중국호랑이를 지칭한다. 그리하여 이 팀과 똑같은 이름의 중국 갑급 리그 축구팀도 있으며 광저우 헝다의 별명이기도 하다.[3] 大聖은 제천대성, 즉 손오공을 가리킨다.[4] 2021년에 창단한 신생 구단[5] 닝보 푸방 홀딩스의 이름을 따서 宁波富邦火箭이라고 부르기도 한다.[6] sturgeon. 철갑상어를 말한다.[7] 대부분 중동 국가 출신을 쓴다.[8] 야오밍이 뛰어서 NBA 팬들에게 가장 잘 알려진 구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