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ff5e00><colcolor=#ffffff> 유로리그 | |
| |
정식 명칭 | Turkish Airlines EuroLeague |
창설 | 1958년(FIBA European Champions Cup) 2000년(Euroleague) |
참가 자격 | 소속 리그에서 출전권을 부여 받은 FIBA 유럽 라이선스 클럽 |
최다 우승 구단 | |
최근 우승 구단 | |
웹 사이트 및 소셜 미디어 |
[clearfix]
1. 개요
유럽 대륙의 최상위 농구 클럽 대항전으로서 대회의 수준이나 규모 면에서 NBA 다음가는 위상을 가지고 있다.바스켓볼 챔피언스 리그(Basketball Champions League)라는 이름의 유럽 최상위 농구 리그가 별도로 존재한다. 정확히 말하면 사기업인 유로리그 바스켓볼(Euroleague Basketball)이 주관하는 유로리그와 유로컵(EuroCup)이 있고, 유럽 농구 연맹(FIBA Europe)이 주관하는바스켓볼 챔피언스 리그와 유럽 컵(Europe Cup)이 따로 있다. 유로리그가 갖고 있는 유럽 1부 리그 위상을 되찾기 위해, 유럽 농구 연맹이 기존에 자신들이 주관하던 유로컵 아래의 클럽 대항전 유로챌린지(EuroChallenge)를 폐지하고 2015-16 시즌부터 유럽 컵을, 2016-17 시즌부터 바스켓볼 챔피언스 리그를 창설한 것이다.
1958년에 FIBA 주관 'FIBA 유러피언 챔피언스 컵'으로 출범, 1996년에 FIBA 유로리그로 명칭을 변경해 유로리그라는 이름을 공식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2000년에는 유로리그라는 명칭과 관련한 법적 분쟁이 일어나 FIBA가 주관한 FIBA 수프로리그(FIBA Suproleague)와 유로리그 바스켓볼 유한회사가 주관한 유로리그 이렇게 각각의 유럽 클럽 대항전이 동시에 2000-01 시즌을 진행했다가 다음 시즌부터 유로리그 바스켓볼 산하로 통합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따라서 해당 시즌의 유럽 챔피언은 2팀이고, 모두 공식 기록으로 인정해준다. 이후 유럽 클럽 대항전은 유로리그 바스켓볼이 맡고, FIBA는 FIBA 유로바스켓, FIBA 농구 월드컵, 올림픽 농구 등의 국가 대항전을 담당하게 되었다. 현재 터키항공이 명명권을 가지고 있다.
유로리그에서 좋은 활약을 펼친 선수는 비NBA권 최상위 수준으로 인정받아 NBA에 진출하고 활약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스플리트와 트레비소 출신인 토니 쿠코치, 시보나와 레알 마드리드 출신인 드라젠 페트로비치, 볼로냐 출신인 마누 지노빌리, FC 바르셀로나 출신인 파우 가솔, 레알 마드리드 출신인 루카 돈치치가 있다.[1]
여자 대회인 유로리그 위민(EuroLeague Women)도 운영하고 있다.
2. 진행 방식
총 18팀이 참가하여, 정규 시즌-플레이오프-파이널 포(Final Four) 단계로 진행된다.유로리그는 2016-2017 시즌을 앞두고 새로운 리그 모델을 발표했다. 이 과정에서 유로리그 주최 측은 정규 시즌 참가 팀을 24팀에서 16팀으로 줄였다. 그리고 2019-2020 시즌 와일드카드를 도입해 2팀을 늘려 18팀으로 진행된다. 와일드카드는 유럽농구연맹(ULEB)에서 전 해 성적과 시장 규모, 팬들의 열기, 관중 수 등을 심의하여 해당 리그의 팀들에게 출전권을 주는 제도이다.
이 중 ‘A-라이선스’를 가진 12팀에 대해서는 10년간 유로리그 정규 시즌에 자국 리그 성적과 관계없이 출전하는 자격을 부여했다. 즉, 몇몇 선별된 대형 클럽들만 고정적으로 참가해서 경쟁한다. [2] 12팀은 다음과 같다
- 유로리그 정규 시즌에 자동 출전할 수 있는 12팀
- 이전 참가 구단
- CSKA 모스크바(VTB 유나이티드 리그):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참가 자격 박탈.
그 외 나머지 7자리에는 아드리아틱 리그, 독일 분데스리가, 스페인 리그, 유로컵, VTB 유나이티드 리그 우승팀, 와일드카드로 선정된 2팀이 나선다. 다만 스페인 리그와 VTB 유나이티드 리그는 유로리그에 고정적으로 나가는 팀이 우승의 주인공이 되면 다음 성적 순으로 유로리그 정규 시즌에 참가하는 팀이 정해진다.
이렇게 구성된 총 18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유로리그 정규 시즌을 소화한다. 팀당 34경기(34라운드)를 치르며, 팀당 한 주에 1, 2회 스케줄을 소화한다. 이 중 가장 성적이 좋은 8팀이 8강 플레이오프에 나서게 된다. 정규 시즌 순위에서 타이브레이커가 발생할 경우 상대 전적, 상대 경기 득실 차, 정규 시즌 득실 차, 정규 시즌 다득점 순으로 순위를 정한다.
8강 플레이오프는 정규 시즌처럼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이며 5전 3선승제이다. 여기서 살아남은 4팀은 파이널 포에 진출한다. 대체로 3일에 걸쳐 열리는 파이널 포는 단판 승부이며 4강 3-4위전, 파이널이 한 장소에서 펼쳐진다.
3. 역대 결승전
<rowcolor=#fff> 연도 | 우승팀 | 점수 | 준우승팀 | 파이널 포 MVP |
1958 | 170-152 (86-81/71-84) | - | ||
1958-59 | 148-125 (79-58/67-69) | - | ||
1959-60 | 130-113 (51-61/69-62) | - | ||
1960-61 | 148-128 (87-62/66-61) | - | ||
1961-62 | 90-83 | - | ||
1962-63 | 259-240 (86-69/91-74/99-80) | - | ||
1963-64 | 183-174 (110-99/84-64) | - | ||
1964-65 | 157-150 (88-81/76-62) | - | ||
1965-66 | 77-72 | - | ||
1966-67 | 91-83 | - | ||
1967-68 | 98-95 | - | ||
1968-69 | 103-99(연장) | - | ||
1969-70 | 79-74 | - | ||
1970-71 | 67-53 | - | ||
1971-72 | 70-69 | - | ||
1972-73 | 71-66 | - | ||
1973-74 | 84-82 | - | ||
1974-75 | 79-66 | - | ||
1975-76 | 81-74 | - | ||
1976-77 | 78-77 | - | ||
1977-78 | 75-67 | - | ||
1978-79 | 75-67 | - | ||
1979-80 | 89-85 | - | ||
1980-81 | 80-79 | - | ||
1981-82 | 86-80 | - | ||
1982-83 | 69-68 | - | ||
1983-84 | 79-73 | - | ||
1984-85 | 87-78 | - | ||
1985-86 | 94-82 | - | ||
1986-87 | 71-69 | - | ||
1987-88 | 90-84 | 밥 맥아두(올림피아 밀라노) | ||
1988-89 | 75-69 | 디노 라자(스플리트) | ||
1989-90 | 72-67 | 토니 쿠코치(스플리트) | ||
1990-91 | 70-65 | 토니 쿠코치(스플리트) | ||
1991-92 | 71-70 | 사샤 다닐로비치(파르티잔) | ||
1992-93 | 59-55 | 토니 쿠코치(트레비소) | ||
1993-94 | 59-57 | 자르코 파스파예(올림피아코스) | ||
1994-95 | 73-61 | 아비다스 사보니스(레알 마드리드) | ||
1995-96 | 67-66 | 도미니크 윌킨스(파나티나이코스) | ||
1996-97 | 73-58 | 데이비드 리버스(올림피아코스) | ||
1997-98 | 58-44 | 조란 사비치(비르투스 볼로냐) | ||
1998-99 | 82-74 | 타이어스 에드니(잘기리스) | ||
1999-00 | 73-67 | 젤리코 레브라카(파나티나이코스) | ||
2000-01[FSL] | 81-67 | 아리엘 맥도널드(마카비 텔아비브) | ||
2000-01 | 3-2 (65-78/94-73/80-60/79-96/82-74) | 마누 지노빌리(비르투스 볼로냐) | ||
2001-02 | 89-83 | 데얀 보디로가(파나티나이코스) | ||
2002-03 | 76-65 | 데얀 보디로가(FC 바르셀로나) | ||
2003-04 | 118-74 | 앤서니 파커(마카비 텔아비브) | ||
2004-05 | 90-78 | 사루나스 야시케비시우스(마카비 텔아비브) | ||
2005-06 | 73-69 | 테오도로스 파파루카스(CSKA 모스크바) | ||
2006-07 | 93-91 | 디미트리스 디아만티디스(파나티나이코스) | ||
2007-08 | 91-77 | 트라잔 랭던(CSKA 모스크바) | ||
2008-09 | 73-71 | 바실리스 스파눌리스(파나티나이코스) | ||
2009-10 | 86-68 | 후안 카를로스 나바로(FC 바르셀로나) | ||
2010-11 | 78-70 | 디미트리스 디아만티디스(파나티나이코스) | ||
2011-12 | 62-61 | 바실리스 스파눌리스(올림피아코스) | ||
2012-13 | 100-88 | 바실리스 스파눌리스(올림피아코스) | ||
2013-14 | 98-86(연장) | 타이리스 라이스(마카비 텔아비브) | ||
2014-15 | 78-59 | 안드레스 노시오니(레알 마드리드) | ||
2015-16 | 101-96(연장) | 난도 데콜로(CSKA 모스크바) | ||
2016-17 | 80-64 | 엑페 우도(페네르바흐체) | ||
2017-18 | 85-80 | 루카 돈치치(레알 마드리드) | ||
2018-19 | 91-83 | 윌 클라이번(CSKA 모스크바) | ||
2019-20 | 취소(COVID-19 유행) | |||
2020-21 | 86-81 | 바실리예 미치치(아나돌루 에페스) | ||
2021-22 | 58-57 | 바실리예 미치치(아나돌루 에페스) | ||
2022-23 | 79-78 | 에디 타바레스(레알 마드리드) | ||
2023-24 | 95-80 | 코스타스 슬루카스(파나티나이코스) |
4. 기록
4.1. 우승/준우승 횟수
※ 최다 기록은 굵게 표시.4.1.1. 구단별
<rowcolor=#fff> 순위 | 구단명 | 우승 횟수 | 준우승 횟수 | 우승 연도 |
1 | 11 | 10 | 1963-64, 1964-65, 1966-67, 1967-68, 1973-74, 1977-78, 1979-80, 1994-95, 2014-15, 2017-18, 2022-23 | |
2 | 8 | 6 | 1960-61, 1962-63, 1968-69, 1970-71, 2005-06, 2007-08, 2015-16, 2018-19 | |
3 | 6 | 9 | 1976-77, 1980-81, 2000-01[FSL], 2003-04, 2004-05, 2013-14 | |
4 | 7 | 1 | 1995-96, 1999-00, 2001-02, 2006-07, 2008-09, 2010-11, 2023-24 | |
5 | 5 | 5 | 1969-70, 1971-72, 1972-73, 1974-75, 1975-76 | |
6 | 3 | 6 | 1996-97, 2011-12, 2012-13 | |
7 | 3 | 2 | 1965-66, 1986-87, 1987-88 | |
8 | 3 | 1 | 1958, 1958-59, 1959-60 | |
3 | 1 | 1988-89, 1989-90, 1990-91 | ||
10 | 2 | 6 | 2002-03, 2009-10 | |
11 | 2 | 3 | 1997-98, 2000-01 | |
12 | 2 | 0 | 1981-82, 1982-83 | |
2 | 0 | 1984-85, 1985-86 | ||
14 | 1 | 2 | 2016-17 | |
15 | 1 | 1 | 1961-62 | |
1 | 1 | 1993-94 | ||
1 | 1 | 1998-99 | ||
2 | 1 | 2020-21, 2021-22 | ||
18 | 1 | 0 | 1978-79 | |
1 | 0 | 1983-84 | ||
1 | 0 | 1991-92 | ||
1 | 0 | 1992-93 | ||
22 | 0 | 2 | - | |
0 | 2 | - | ||
0 | 2 | - | ||
0 | 2 | - | ||
26 | 0 | 1 | - | |
0 | 1 | - | ||
0 | 1 | - |
4.1.2. 국가별
<rowcolor=#fff> 순위 | 국가 | 우승 횟수 | 준우승 횟수 | 우승 구단 | 준우승 구단 |
1 | 14 | 19 | 레알 마드리드 11회 FC 바르셀로나 2회 호벤투트 데 바달로나 1회 | 레알 마드리드 10회 FC 바르셀로나 6회 바스코니아 2회 호벤투트 데 바달로나 1회 | |
2 | 13 | 13 | 바레세 5회 올림피아 밀라노 3회 칸투 2회 비르투스 볼로냐 2회 비르투스 로마 1회 | 바레세 5회 비르투스 볼로냐 3회 올림피아 밀라노 2회 트레비소 2회 포르티투도 볼로냐 1회 | |
3 | 10 | 7 | 파나티나이코스 7회 올림피아코스 3회 | 올림피아코스 6회 AEK 1회 파나티나이코스 1회 | |
4 | 8 | 6 | CSKA 모스크바 4회 리가스 ASK 3회 디나모 트빌리시 1회 | CSKA 모스크바 3회 디나모 트빌리시 1회 리가스 ASK 1회 잘기리스 1회 | |
5 | 7 | 1 | 스플리트 3회 치보나 2회 보스나 1회 FK 파르티잔 1회 | 스플리트 1회 | |
6 | 6 | 9 | 마카비 텔아비브 6회 | 마카비 텔아비브 9회 | |
7 | 4 | 3 | CSKA 모스크바 4회 | CSKA 모스크바 3회 | |
8 | 3 | 3 | 페네르바흐체 1회 아나돌루 에페스 2회 | 페네르바흐체 2회 아나돌루 에페스 1회 | |
9 | 1 | 0 | 리모주 CSP 1회 | - | |
1 | 0 | 잘기리스 1회 | - | ||
11 | 0 | 3 | - | 브르노 2회 USK 프라하 1회 | |
12 | 0 | 2 | - | 아카데믹 2회 |
4.2. 4강 진출 횟수
※ 결승에 진출한 연도는 굵게 표시.<rowcolor=#fff> 순위 | 구단명 | 4강 진출 횟수 | 연도 |
1 | 31 | 1958, 1961, 1962, 1963, 1964, 1965, 1967, 1968, 1969, 1970, 1971, 1972, 1974, 1975, 1976, 1978, 1980, 1985, 1993, 1995, 1996, 2011, 2013, 2014, 2015, 2017, 2018, 2019, 2022, 2023, 2024 | |
2 | 28 | 1961, 1962, 1963, 1965, 1966, 1969, 1970, 1971, 1973, 1996, 2001[FSL],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1 | |
3 | 18 | 1984, 1989, 1990, 1991, 1994, 1996, 1997, 2000, 2003, 2006, 2009, 2010, 2012, 2013, 2014, 2021, 2022, 2023 | |
4 | 17 | 1977, 1980, 1981, 1982, 1987, 1988, 1989, 1991, 2000, 2001[FSL], 2002, 2004, 2005, 2006, 2008, 2011, 2014 | |
5 | 13 | 1972, 1994, 1995, 1996, 2000, 2001[FSL], 2002, 2005, 2007, 2009, 2011, 2012, 2024 | |
13 | 1994, 1995, 1997, 1999, 2009, 2010, 2012, 2013, 2015, 2017, 2022, 2023, 2024 | ||
7 | 11 | 1965, 197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 |
8 | 9 | 1964, 1966, 1967, 1968, 1983, 1987, 1988, 1992, 2021 | |
9 | 6 | 2001, 2005, 2006, 2007, 2008, 2016 | |
10 | 5 | 1981, 1998, 1999, 2001, 2002 | |
5 | 2000, 2001[FSL], 2019, 2021, 2022 | ||
6 | 2015, 2016, 2017, 2018, 2019, 2024 | ||
13 | 4 | 1958, 1959, 1960, 1961 | |
4 | 1972, 1989, 1990, 1991 | ||
4 | 1963, 1964, 1968, 1969 | ||
4 | 1993, 1998, 2002, 2003 | ||
4 | 1966, 1967, 1970, 1971 | ||
4 | 1988, 1992, 1998, 2010 | ||
4 | 2003, 2004, 2008, 2011 | ||
20 | 3 | 1960, 1962, 1963 | |
3 | 1976, 1982, 1983 | ||
3 | 1986, 1999, 2018 | ||
3 | 1966, 1998, 2001 | ||
3 | 1990, 1993, 1995 | ||
3 | 1999, 2001, 2004 | ||
3 | 1959, 1964, 1965 | ||
3 | 1962, 1967, 1997 | ||
3 | 1988, 1989, 1990 | ||
29 | 2 | 1958, 1959 | |
2 | 1985, 1986 | ||
2 | 1992, 1994 | ||
2 | 1968, 1975 | ||
2 | 1976, 1997 | ||
34 | 1 | 1981, 1982 | |
1 | 1979 | ||
1 | 1984 | ||
1 | 1958 | ||
1 | 1959 | ||
1 | 1960 | ||
1 | 1960 | ||
1 | 1961 | ||
1 | 1969 | ||
1 | 1974 | ||
1 | 1991 | ||
1 | 1992 | ||
1 | 1993 | ||
1 | 2007 | ||
1 | 2016 | ||
1 | 2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