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7 21:08:22

유로리그

유로 리그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유로 리그(동음이의어)]]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유로 리그(동음이의어)#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유로 리그(동음이의어)#|]]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동음이의어: }}}[[유로 리그(동음이의어)]]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유로 리그(동음이의어)#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유로 리그(동음이의어)#|]]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10px -10px"<tablebordercolor=#fff,#fff>
파일:농구 픽토그램.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IBA 아메리카
파일:NBA 로고.svg 파일:WNBA 워드마크.svg 파일:캐네디언바스켓볼리그.svg.png 파일:LNBPLogoOficial.png 파일:아르헨티나농구리그.svg.png
FIBA 유럽
파일:유로리그 로고 가로형.svg 파일:리가 엔데사 로고.svg 파일:프랑스농구리그로고.svg.png 파일:그리스 농구 리그 로고.svg.png 파일:Lega_Basket_Serie_A_logo.png
파일:Turkiye Sigorta Basketbol Ligi Logo.png 파일:리투아니아리그.svg.png 파일:바스켓발 분데스리가 로고.png 파일:serbiabasket.svg.png 파일:vtb.svg.png
FIBA 아시아
파일:한국농구연맹 로고.svg파일:한국농구연맹 로고 화이트.svg 파일:Chinese Basketball Association Logo.png 파일:B.리그 로고.svg파일:B.리그 로고 화이트.svg 파일:NBL logo.svg.png 파일:PBA 로고.png
파일:한국여자농구연맹 로고.svg 파일:이란농구리그.svg.png 파일:대만농구리그로고.svg.png 파일:w league1.png
}}}}}}}}} ||
<colbgcolor=#00a4d2><colcolor=#ffffff> 유로리그
EuroLeague
파일:유로리그 로고.svg파일:유로리그 로고 화이트.svg
정식 명칭 유로리그
EuroLeague
창설 1958년(FIBA European Champions Cup)
2000년(Euroleague)
참가 자격 소속 리그에서 출전권을 부여받은 FIBA 라이선스 구단 (20개)
최다 우승 구단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스페인, 11회)
최근 우승 구단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페네르바흐체 베코 (튀르키예, 2024-25)
웹사이트 및 소셜 미디어 파일:유로리그 심볼.svg | 파일:유로리그 심볼.svgTV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틱톡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대한민국 중계 없음[1]

1. 개요2. 상세3. 인기와 위상4. 특징
4.1. 경기력의 높은 수준4.2. NBA는 쇼, 유로리그는 현실4.3. 세미 국가 대항전의 매력4.4. 유로리그의 장기적 비전
5. 빅 매치6. 참가 구단7. 유로리그 어워드
7.1. 유로리그 MVP7.2. 유로리그 파이널 포 MVP7.3. 유로리그 라이징 스타7.4. 유로리그 역대 최우수 수비수7.5. 알폰소 포드 유로리그 득점왕
8. 역사9. 테마곡10. 역대 결승전11. 기록
11.1. 우승/준우승 횟수
11.1.1. 구단별11.1.2. 국가별
11.2. 4강 진출 횟수
12. 항목이 있는 유로리그 출신 및 소속 농구 선수

1. 개요

유럽 대륙을 대표하는 최고의 농구 리그로, 리그의 수준과 규모면에서 NBA를 제외하면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위상을 자랑한다. NBA가 독보적인 존재로 자리 잡고 있는 가운데, 유로리그는 세계 농구 무대에서 그 다음가는 권위와 경쟁력을 갖춘 리그로 평가받고 있다. 다른 종목에서는 여러 리그 간 유사한 경쟁 구도가 형성되는 반면 농구에서는 유로리그가 압도적인 ‘NO.2’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많은 선수가 이곳을 꿈의 무대로 여긴다.

1958년 FIBA가 처음 조직하였고 이후 2000년에는 ULEB가 주관했으며 현재는 Euroleague Basketball이 단독으로 운영하고 있다.

2. 상세

독자적인 룰을 사용하는 NBA, WNBA와는 달리 FIBA룰을 따른다. FIBA룰에 대해선 농구/규칙 문서 참고.

리그는 총 20개 팀으로 구성되며 정규 시즌-플레이오프-파이널 포(Final Four) 단계로 진행된다.

이 중 ‘A-라이선스’를 가진 12팀에 대해서는 10년간 유로리그 정규 시즌에 자국 리그 성적과 관계없이 출전하는 자격을 부여한다. 즉, 몇몇 선별된 대형 구단만 고정적으로 참가해서 경쟁한다. 유럽 축구계에서 이를 모방한 계획이 바로 슈퍼 리그다.

NBA, WNBA 등 다른 리그와 달리 올스타전이 존재하지 않는다.

정확히는 과거에 한때 개최됐으나 사라졌다. FIBA 유럽 올스타전은 1964년부터 1995년까지 열렸지만 흥행에서 처참히 실패하며 이후 완전히 중단됐다. 이는 유럽의 스포츠 문화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자세한 내용은 인기와 위상 문서 참고.
유럽이 올스타전을 하지 않는 이유

위 영상에 유럽이 올스타전을 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으니 영상 참고.

유로리그의 20개 팀 중 12개는 A-라이선스를 가진 고정 클럽이고, 나머지 8자리는 매 시즌 성적과 선정 기준에 따라 채워진다.
  • 유로리그 정규 시즌에 팀 순위와 상관없이 자동 출전할 수 있는 A-라이선스를 가진 12팀
구단 약칭 연고지 홈구장 창단 유로리그 우승
레알 마드리드
RMB
스페인 마드리드 위신크 센터 1931 ☆ x 11
FC 바르셀로나
FCB
스페인 바르셀로나 팔라우 블라우그라나 1926 ☆ x 2
파나티나이코스
PAN
그리스 아테네 OAKA 아레나 1922 ☆ x 7
올림피아코스
OLY
그리스 피레우스 평화와 우정 스타디움 1931 ☆ x 3
아나돌루 에페스
EFE
튀르키예 이스탄불 시난 에르뎀 돔 1976 ☆ x 2
FC 바이에른 뮌헨
FCB
독일 뮌헨 아우디 돔 1946
마카비 텔아비브
MAC
이스라엘 텔아비브 메노라 미브타힘 아레나 1932 ☆ x 6
ASVEL
ASV
프랑스 빌뢰르반 아스뜨로발 1948
올림피아 밀라노
MIL
이탈리아 밀라노 메디올라눔 포럼 1936 ☆ x 3
페네르바흐체
FEN
튀르키예 이스탄불 울케르 스포츠 아레나 1913 ☆ x 2
잘기리스
ZAL
리투아니아 카우나스 잘기리스 아레나 1944 ☆ x 1
사스키 바스코니아
BKN
스페인 비토리아 페르난도 부에사 아레나 1959

와일드카드는 유럽농구연맹(ULEB)이 전 시즌 성적, 시장 규모, 팬들의 열기, 관중 수 등을 평가해 선정하며, 이 3팀은 유로리그 진출의 변동성을 만든다.

이 8팀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와일드카드(3팀)

각국 리그 우승팀: 유로컵, 스페인 리그, ABA(아드리아) 리그, VTB 유나이티드 리그, 독일 분데스리가
각 리그에서 우승한 팀이 출전권을 얻는다.(5팀)

또한, 스페인 리그나 VTB 리그처럼 이미 유로리그 고정 참가팀이 우승한 경우, 그 다음 순위의 팀이 대신 유로리그 출전권을 가져간다.

2020-21 시즌부터는 유로컵에서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상위 두 팀이, 다음 시즌에도 자동으로 유로리그 출전권을 유지하는 규정이 추가되어, 하위 리그 팀들에게 더 많은 기회가 주어졌다.

이렇게 구성된 총 20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유로리그 정규 시즌을 소화한다. 팀당 정규 시즌 34경기를 치르며, 팀당 한 주에 1, 2회 스케줄을 소화한다. 물론 자국 리그 경기와 함께 병행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빡빡한 일정이다. 즉, 유로리그는 사실상 유럽 농구챔피언스 리그다.

각 팀은 홈·원정으로 두 번씩 맞붙는 더블 라운드 로빈 방식의 정규 시즌을 치른다. 정규 시즌 종료 후 가장 성적이 좋은 8팀이 플레이오프에 나서게 된다. 정규 시즌 순위에서 타이브레이커가 발생할 경우 상대 전적, 상대 경기 득실 차, 정규 시즌 득실 차, 정규 시즌 다득점 순으로 순위를 정한다.

상위 8개 팀은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며, 5판 3선승제의 시리즈를 통해 파이널 포 진출팀이 결정된다. 시리즈에서 상위 팀은 홈 경기 3회를 갖는 홈 코트 이점을 가진다. 파이널 포는 한 장소에서 모두 열리며, 준결승, 3위 결정전, 결승전으로 구성된다. 모든 경기는 같은 주말에 진행된다. 파이널 포는 단판 승부다.

유로리그에서 좋은 활약을 펼친 선수는 비NBA권 최상위 수준으로 인정받아 NBA에 진출하고 활약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스플리트와 트레비소 출신인 토니 쿠코치, 시보나와 레알 마드리드 출신인 드라젠 페트로비치, 볼로냐 출신인 마누 지노빌리, FC 바르셀로나 출신인 파우 가솔마크 가솔, 레알 마드리드 출신인 루카 돈치치, ASVEL 출신 빅터 웸반야마가 있다. 참고로, 마누 지노빌리는 유로리그, NBA, 올림픽을 모두 석권한 경력을 가지고 있다.

여자 대회인 유로리그 위민(EuroLeague Women)도 운영하고 있다.

3. 인기와 위상

유로리그는 세계에서 매우 인기 있는 스포츠 리그 중 하나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시장 조사 기관 닐슨의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유로리그는 2024년 10월부터 2025년 초까지 전 세계적으로 무려 4억 5,900만 명의 TV 시청자 수를 기록했다. 메리디안 스포츠의 보도에 따르면 이 시청자의 98%가 유럽남미에서 나왔다.출처

가장 많은 시청자는 발칸 반도에서 1억 2,080만 명이었고, 그 다음으로 스페인 1억 1,240만 명, 그리스 9,680만 명, 이탈리아 3,520만 명, 터키 2,940만 명, 독일 2,350만 명, 프랑스 2,280만 명, 발트 3국 980만 명, 이스라엘 150만 명, 나머지 남아메리카 국가 순이었다. 디지털 성과 측면에서 유로리그는 주요 미디어 웹사이트에서 28억 회의 온라인 노출을 기록했다. 소셜 미디어 플랫폼의 콘텐츠는 총 9억 1,700만 회의 조회수를 기록했다.

이에 더해 2024-25 시즌, 관중 수 3,039,060명을 기록했다. 시청률, 주목도, 관중 수 등 인기면에서 세계 프로 농구 리그로서는 NBA를 제외하면 가장 높으며, 3위인 WNBA와도 차이를 보인다.

유로리그 참가 팀 중 가장 뜨거운 열기를 자랑하는 곳은 세르비아의 전통 명문 구단 KK 파르티잔이다. 이 팀은 파나티나이코스 BC와의 경기에서 무려 22,567명의 관중을 동원했다. 또한 2024-25 시즌 평균 관중 수가 약 2만 명에 달하며, 이는 NBA를 포함해도 세계에서 4번째로 높은 수치다. 이보다 더 많은 평균 관중을 기록한 팀은 시카고 불스, 댈러스 매버릭스, 필라델피아 76ers 뿐이다.

유럽의 농구 열기는 상상을 초월하는데, 그 이유는 유럽의 독특한 스포츠 문화와 깊은 역사에 있다. 유럽에서 농구나 축구는 단순한 오락이 아니라 하나의 전쟁으로 여겨지며, 팬들은 마치 생사를 건 듯한 열정으로 경기에 몰입한다. 이 같은 강렬한 경쟁심과 열광적인 분위기 속에서, 팀 간의 라이벌 의식은 극도로 치열하고 때로는 훌리건과 같은 과격한 팬 문화로 이어지기도 한다. 실제로 구단 팬덤 사건·사고의 빈도 역시 미국과 비교해 훨씬 높다.
유럽 농구의 열기 1
유럽 농구의 열기 2
유럽 농구의 열기 3

특히 유럽의 농구 열기는 유럽 축구 못지않다. 홈 경기는 매번 전쟁터를 방불케 하며, 팬들은 경기장의 공기를 완전히 장악할 정도로 강한 존재감을 드러낸다. 이러한 뜨거운 열기와 치열한 경쟁 구도 속에서는 올스타전과 같은 친선 경기보다는, 팀의 명예와 지역의 자존심이 걸린 실전 경기가 훨씬 더 가치 있게 여겨진다.

튀르키예 출신 NBA 선수 알페렌 센군은 유럽의 경기 분위기를 이렇게 설명했다.

“유럽에서는 경기에서 패배하면 버스 안은 그야말로 쥐죽은 듯한 침묵에 휩싸인다. 음악은 상상도 못 하고, 감히 누구도 말을 꺼낼 수 없는 분위기다. 유럽 코치들은 경기에 지면 세상의 종말이라도 온 것처럼 행동한다. 선수가 실수하거나 잘못하면 쌍욕을 하거나 심지어 손찌검을 하는 경우도 있다. 나도 미국에 처음 왔을 때는 경기에서 지면 너무 우울해서 아무 말도 못 했다. 그런데 NBA는 이틀 뒤 바로 경기가 이어지는 걸 보고, 그 후로는 그렇게 침울하게 굴지 않게 됐다.”

니콜라 요키치 역시 유럽의 강렬한 팬 문화를 언급했다.

NBA 원정에서 야유를 받을 때 신경 쓰이지 않느냐는 질문을 받은 적이 있다. 하지만 내가 자란 세르비아 리그의 관중들은 쌍욕은 기본이고, 심지어 패드립도 서슴지 않는다. 그런 환경을 겪고 나니 NBA의 야유는 내게 귀여운 수준이다.”

이 인터뷰들은 유럽 농구의 치열한 경쟁 분위기와, 때로는 극단적인 훌리건 문화까지 엿볼 수 있게 해준다.

https://www.instagram.com/reel/DMPmp0Iubws/?utm_source=ig_embed&ig_rid=935373de-4f92-4538-b606-d61b962d0834&ig_mid=D527A1BF-17DA-48A7-8AF9-D92AC71C4935
위 SNS 영상은 NBA와 유로리그 코치들을 비교한 패러디 영상으로 큰 인기를 끌었다.

전 세계적으로 축구 다음으로 북미에서 탄생한 구기 종목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진 스포츠 중 하나가 농구다. NBA는 북미 지역에서 막대한 수익을 거두는 동시에, 해외 시장에서 벌어들이는 규모 역시 북미권의 다른 스포츠를 크게 앞선다. 아담 실버 총재의 주도로 리그 자체가 농구의 글로벌화를 적극 추진하면서 유럽을 시작으로, 아시아, 남미는 물론 아프리카까지 진출해 친선 경기, 사인회, 현지 농구 투자와 지원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유럽에서 유로 리그의 폭발적인 인기를 알고 있는 아담 실버 총재는 2025년부터 유럽을 직접 방문해 유럽 리그 관계자들과 회담을 진행 중이며, NBA유로 리그간의 협력을 논의 중이다.

현재 농구는 축구 다음으로 세계적으로 대중화된 구기 종목으로 평가받으며, 유럽, 아시아, 남미, 아프리카 다수 지역에서 높은 인기를 유지하고 있다. 남미에서는 아르헨티나와 브라질이 강호로 꼽히는데, 이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2004년 아테네 올림픽 남자 농구 결승전이다. 유로 리그 출신의 마누 지노빌리가 이끌었던 아르헨티나는 이탈리아를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으며, 당시 아르헨티나가 올림픽에서 획득한 두 개의 금메달은 농구와 축구였다.

유럽의 경우, 지역마다 차이는 있지만 스페인, 발트 3국, 그리스를 포함한 발칸 반도 지역에서 농구 인기가 매우 높다.[2] [3][4] 유로리그는 세계 리그 랭킹에서 NBA 다음인 독보적 NO.2로 꼽히며, 루카 돈치치, 마누 지노빌리와 같은 여러 NBA 스타를 배출했다. 유럽과 아시아의 경계에 있는 튀르키예 또한 축구 다음으로 농구가 큰 인기를 얻는 나라다. 이러한 유럽의 농구 열기는 유로리그로 자연스럽게 이어지고 있다. 유럽 전역의 최상위 클럽들이 맞붙는 유로리그는 이런 전통과 경쟁심을 한데 모으며, 대륙 단위의 농구 문화를 대표하는 무대로 자리 잡았다.

동유럽과 옛 소련권에서도 농구는 중요한 스포츠였다. 냉전 시절에는 올림픽과 세계대회에서 미국과 소련이 치열한 경쟁을 펼쳤다. 특히 소련은 1972년과 1988년 올림픽에서 미국을 꺾었고, FIBA 농구 월드컵에서도 미국을 상대로 5승 3패의 전적을 기록하며 우위를 점했다. 특히 1988 올림픽 농구 준결승에서 아비다스 사보니스를 앞세워 소련이 미국에 승리한 경기는 드림팀의 등장에 큰 영향을 끼친 사건 중 하나로 평가된다.

2000년대 후반, 그리스 리그는 당시 NBA 현역 선수였던 조시 칠드레스를 파격적인 조건으로 영입해 화제를 모았다. 세금 혜택과 우승 수당까지 포함한 계약은 미국 내에서도 주목을 받았고, 르브론 제임스는 “다른 나라가 미국만큼 대우를 해준다면 생각해볼 만하다”라고 농담을 던지기도 했다.

당시만 해도 유럽으로 향하는 미국 선수는 NBA에서 입지를 다지지 못한 유망주나 은퇴를 앞둔 베테랑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며, 2010년대부터 니콜라 미로티치와 같은 주전급 실력을 갖춘 NBA 선수들이 점점 유럽 무대로 향하고 있는 사례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현 유럽 리그, 특히 유로리그의 위상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이런 흐름은 시간이 지나면서 전직 NBA 선수들이 대거 유로 리그로 합류하는 계기가 되었고, 오늘날 유로리그의 높은 경쟁력과 흥행의 한 축을 형성하고 있다.

유럽 다음으로 유로 리그의 인기가 많은 곳은 남미로, 특히 남미 중에서도 마누 지노빌리, 루이스 스콜라, 안드레아스 노시오니 등의 스타들을 배출한 아르헨티나에서의 인기가 높다.

특히 마누 지노빌리아르헨티나 농구 역사를 뒤바꿨다. 2004 아테네 올림픽에서 세계 최강 미국을 꺾고 아르헨티나에 금메달을 안기며 대회 MVP로 선정됐고, 2008 베이징올림픽에서도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후에도 지노빌리는 올림픽을 비롯한 국제대회가 있을 때마다 대표팀의 부름에 응했다.

아르헨티나 내에서 마누 지노빌리의 인기는 상상을 초월하는 수준이다. 지노빌리는 아르헨티나 국민들로 하여금 단순히 농구 스타를 넘어 국민적인 영웅으로 칭송 받고 있다. 아르헨티나 국민들에게는 세계적 축구 스타 리오넬 메시보다도 영웅으로 대접 받고 있다는 말까지 나올 정도이며, 리오넬 메시 역시 여러 차례 지노빌리에 대한 존경심을 드러낸 바 있다.

리오넬 메시는 지노빌리가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뒤 축하 인사를 전하며 의미심장한 메시지를 남겼다. 그는 "많은 이들이 지노빌리를 향해 농구계의 메시라고 부른다. 하지만 이는 맞지 않은 표현이다. 실은 내가 '축구계의 마누 지노빌리'라 불려야 하는 게 맞다"라고 말했다. 지노빌리를 향한 메시의 존경심이 얼마나 큰지 잘 알 수 있는 대목.출처

4. 특징

4.1. 경기력의 높은 수준

유로리그 무대는 유럽 최고의 선수들이 모여 치열하게 경쟁하는 곳이다. 각 나라의 국가대표급 선수들과, 전 NBA 출신 선수들이 대거 활약하며 리그의 질을 보장한다. 이들이 NBA 슈퍼스타라고 부르기에는 다소 부족할 수 있으나, "우주 괴수"들의 리그인 NBA를 제외한다면 바실리스 스파눌리스, 디미트리스 디아만티디스, 데얀 보디로가와 같은 세계 최고의 농구선수들이 즐비했다.

유럽 농구는 오랜 전통 속에서 수많은 전술이 다듬어지며, 전술의 완성도만큼은 NBA보다도 높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마이클 조던과 같은 슈퍼스타 위주로 플레이하는 경향이 강한 NBA와 달리, 유럽은 오래 전부터 팀 농구를 중시했기 때문이다.

창의적인 전술과 팀 플레이 농구를 보는 재미가 상당하다. 특히 수비 강도도 NBA 플레이오프를 제외한다면, 전 세계에서 가장 높다. 유로 리그를 겪고 NBA에 진출한 루카 돈치치는 "득점하는 것은 NBA가 유로 리그보다 훨씬 쉽다. 득점하는데 있어 중요한 규칙, 스페이싱, 제한시간 등이 NBA에서 더 유리하게 작용된다"고 인터뷰했다.

4.2. NBA는 쇼, 유로리그는 현실

유럽 농구는 KBL 팬들에게 꽤나 친숙하게 느껴진다. 코트 규격과 룰이 FIBA 방식을 따르는 데다, 패턴 플레이 중심의 전술과 수비 지향적인 운영, 감독의 높은 비중 등이 NBA보다 우리 농구와 가깝다. 많은 전문가들이 한국 농구가 미국식보다는 유럽식 농구를 지향해야 한다고 말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NBA의 플레이가 따라할 수 없는 ‘판타지’라면 유로리그는 ‘현실적인 농구의 완성형’이라 할 수 있다. NBA의 ‘신계’ 플레이는 보는 이들을 매료시키지만, 때로는 지나치게 비현실적으로 느껴지기도 한다. 또한 르브론 제임스, 야니스 아데토쿤보, 자이언 윌리엄슨, 아멘-어사르 탐슨 쌍둥이 등과 같은 선수들의 플레이는 따라할 수 조차 없다. 반면 유럽 농구는 규율과 패턴을 바탕으로 하며, 특히 슛 마무리의 정확성이 뛰어나 아기자기함과 폭발력을 동시에 갖추고 있다. 최근 가드의 영향력이 커진 세계적 추세 속에서도, NBA와 달리 특정 선수 한 명에게 과도하게 의존하지 않는 '팀 농구'를 한다는 점 또한 유로리그만의 매력이다. 특정 스타 플레이어의 아이솔레이션을 최고 효율의 공격으로 생각하는 NBA와 달리 유로 리그에서 아이솔레이션은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을때 최후의 수단으로 사용되며, 감독들에게 가장 효율이 나쁜 공격으로 여겨진다. 수비자 3초룰 유무의 차이도 있고, 당연히 아이솔레이션보다는 와이드오픈된 동료에게 패스를 주는 것이 득점 확률이 가장 높기 때문.

4.3. 세미 국가 대항전의 매력

유로리그의 인기는 각국의 최정상 팀들이 맞붙는 ‘세미 국가 대항전’ 성격에서 비롯된다. 유럽의 지리적 특성을 살린 이 구조는 팬들의 충성도와 관심을 자연스럽게 끌어올린다. 2016-17 시즌부터 조별리그 대신 풀 리그 방식을 도입하며 대회의 위상은 더욱 강화됐다. 현지 팬들 역시 유로리그를 단순한 이벤트성 대회가 아닌 국가 대항전 또는 정규 시즌으로 인식하고 있다.

4.4. 유로리그의 장기적 비전

1958년 FIBA가 주관한 유러피언 챔피언스컵으로 시작한 이 대회는 1991년 설립된 ULEB이 2000년부터 운영을 이어받으며 지금의 유로리그로 발전했다. 각국 우승팀이 경쟁하는 구조에서 시작해 규모가 확대되었고, 2002년부터는 2부 성격의 ‘유로컵’도 병행되고 있다.

FIBA와의 갈등 끝에, 유로리그는 질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운영 방식을 확립했다. 2019-2020 시즌부터는 자국 리그 성적과 무관하게 ‘라이센스 클럽’ 제도를 도입해 AC 밀란처럼 자국 우승팀이 아니더라도 유로리그에 참가할 수 있게 했다. 레알 마드리드, 바르셀로나, 파나티나이코스, CSKA 모스크바 등 유럽의 대표적 명문들이 이 구조에 합류하며 현재 2025-26시즌 기준 총 20개 구단으로 리그가 운영되고 있다.

조르디 베르토뮤 회장은 장기적인 비전으로 런던 연고 팀과 중국 CBA 클럽의 합류를 포함해 20개 팀 체제를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이는 아직 논의 단계이지만, 유로리그가 앞으로 또 다른 매력을 확보할 가능성을 보여주는 움직임이다.

5. 빅 매치

가장 유명한 라이벌리로는 올림피아코스파나티나이코스영원한 적들의 더비(The Derby of the Eternal Rivals)로 이 더비는 모든 전투의 어머니라고도 불린다.

유럽 축구를 상징하는 더비가 엘 클라시코라면 유럽 농구를 상징하는 더비가 바로 영원한 적들의 더비다.

두 번째로는 레알 마드리드FC 바르셀로나엘 클라시코가 뒤를 잇고.

마지막으로 KK 파르티잔KK 츠르베나 즈베즈다베치티 데르비가 뽑히며 이날은 유럽 각지에서 난리가 난다.

특히 바실리스 스파눌리스디미트리스 디아만티디스 시절의 영원한 적들의 더비는, 들의 대결이라 불리며 유럽 내에서 엄청난 화제가 됐었다.

5.1. 영원한 적들의 더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영원한 적들의 더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영원한 적들의 더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영원한 적들의 더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 엘 클라시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엘 클라시코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엘 클라시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엘 클라시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3. 베치티 데르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베치티 데르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베치티 데르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베치티 데르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참가 구단

{{{#!wiki style="margin:-10px -10px"<tablebordercolor=#00a4d2,#00a4d2>
파일:유로리그 로고 화이트.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svg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바스켓발 로고.svg 파일:올림피아 밀라노 로고.svg 파일:ASVEL 로고.svg파일:ASVEL 로고(화이트).svg 파일:사스키 바스코니아 로고.svg
파일:올림피아코스 BC 로고.svg 파일:파나티나이코스 BC 로고.svg 파일:아나돌루 에페스 SK 로고.svg 파일:페네르바흐체 SK 로고.svg 파일:BC 잘기리스 로고.svg 파일:마카비 텔아비브 BC 로고.svg
}}}}}}}}} ||

7. 유로리그 어워드

7.1. 유로리그 MVP

파일:유로리그 로고 가로형.svg
유로리그 역대 MVP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2004-05 2005-06 2006-07 2007-08
앤서니 파커 앤서니 파커 테오도로스 파팔루카스 라무나스 시스카우스카스
2008-09 2009-10 2010-11 2011-12
후안 카를로스 나바로 밀로스 테오도시치 디미트리스 디아만티디스 안드레이 키릴렌코
2012-13 2013-14 2014-15 2015-16
바실리스 스파눌리스 세르히오 로드리게스 네마냐 비엘리차 난도 드 콜로
2016-17 2017-18 2018-19 2019-20
세르히오 율 루카 돈치치 얀 베슬리 코로나로 인한 취소
2020-21 2021-22 2022-23 2023-24
바실리예 미치치 니콜라 미로티치 사샤 베젠코프 마이크 제임스
2024-25 2025-26 2026-27 2027-28
켄드릭 넌 - - -
}}}}}}}}}}}} ||

유로리그 MVP 상은 2004-05 시즌부터 제정되었다. 유로리그 MVP는 정규 시즌 성적만을 기준으로 선정되는 NBA 시즌 MVP와 달리, 정규 시즌은 물론 톱 16, 플레이오프, 그리고 파이널 포까지 시즌 전체 성과를 종합해 선정되며, 해당 시즌 유로리그 최고의 선수에게 수여된다.

7.2. 유로리그 파이널 포 MVP

파일:유로리그 로고 가로형.svg
유로리그 역대 파이널 포 MVP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87-88 1988-89 1989-90 1990-91
밥 맥아두 디노 라자 토니 쿠코치 토니 쿠코치
1991-92 1992-93 1993-94 1994-95
프레드라그 다닐로비치 토니 쿠코치 자르코 파스팔리 아비다스 사보니스
1995-96 1996-97 1997-98 1998-99
도미니크 윌킨스 데이비드 리버스 조란 사비치 타이어스 에드니
1999-00 2000-01 2001-02 2002-03
젤코 레브라차 마누 지노빌리 데얀 보디로가 데얀 보디로가
2003-04 2004-05 2005-06 2006-07
앤서니 파커 사루나스 야시케비셔스 테오도로스 파팔루카스 디미트리스 디아만티디스
2007-08 2008-09 2009-10 2010-11
트라잔 랭던 바실리스 스파눌리스 후안 카를로스 나바로 디미트리스 디아만티디스
2011-12 2012-13 2013-14 2014-15
바실리스 스파눌리스 바실리스 스파눌리스 타이리스 라이스 안드레아스 노시오니
2015-16 2016-17 2017-18 2018-19
난도 드 콜로 엑페 우도 루카 돈치치 윌 클라이번
2019-20 2020-21 2021-22 2022-23
코로나로 인한 취소 바실리예 미치치 바실리예 미치치 에디 타바레스
2023-24 2024-25 2025-26 2026-27
코스타스 슬루카스 나이젤 헤이스데이비스 - -
2027-28 2028-29 2029-30 2030-31
- - - -
}}}}}}}}}}}} ||

유로리그 파이널 포 MVP 상은 유로리그 파이널 포의 MVP를 선정하는 상이다. 이 상은 유로리그 파이널 포의 현대화가 시작된 1987-88 시즌부터 시행되었다. 이는 ‘가장 가치 있는 선수’를 의미하는 최초의 MVP 시상으로, 유럽 클럽 농구에서 유로 리그 MVP 다음으로 가장 권위 있고 중요한 개인상으로 여겨진다. 이 상은 언론 투표를 통해 결정된다.

NBA의 파이널 MVP와 유사한 상이다.

7.3. 유로리그 라이징 스타

파일:유로리그 로고 가로형.svg
유로리그 역대 라이징 스타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2004-05 2005-06 2006-07 2007-08
에라젬 로르벡 안드레아 바르냐니 루디 페르난데스 다닐로 갈리나리
2008-09 2009-10 2010-11 2011-12
노비차 벨리치코비치 리키 루비오 니콜라 미로티치 니콜라 미로티치
2012-13 2013-14 2014-15 2015-16
코스타스 파파니콜라우 보그단 보그다노비치 보그단 보그다노비치 알렉스 아브리네스
2016-17 2017-18 2018-19 2019-20
루카 돈치치 루카 돈치치 고가 비타제 코로나로 인한 취소
2020-21 2021-22 2022-23 2023-24
우스만 가루바 로카스 요쿠바이티스 얌 마다르 가브리엘레 프로치다
2024-25 2025-26 2026-27 2027-28
나디르 히피 - - -
}}}}}}}}}}}} ||

NBA 신인상(ROY)과 유사한 상이지만, 동일 선수는 1번밖에 받을 수 없는 신인상과는 조금 다르다.

유로리그 라이징 스타 상은 리그의 ‘미래의 떠오르는 스타’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시즌 시작 전 여름 7월 1일 기준으로 22세 미만[5] 선수만 수상 자격이 있다. 이 상은 2004-05 시즌부터 제정되었으며 유로리그 모든 감독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다.

유로리그 라이징스타 상을 수상한 선수들이 NBA에 드래프트되고 활약하는 경우가 많다.

7.4. 유로리그 역대 최우수 수비수

파일:유로리그 로고 가로형.svg
유로리그 역대 최우수 수비수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2004-05 2005-06 2006-07 2007-08
디미트리스 디아만티디스 디미트리스 디아만티디스 디미트리스 디아만티디스 디미트리스 디아만티디스
2008-09 2009-10 2010-11 2011-12
디미트리스 디아만티디스 빅터 크리아파 디미트리스 디아만티디스 안드레이 키릴렌코
2012-13 2013-14 2014-15 2015-16
스테판 라스메 브라이언트 던스톤 브라이언트 던스톤 카일 하인즈
2016-17 2017-18 2018-19 2019-20
아담 행가 카일 하인즈 에디 타바레스 코로나로 인한 취소
2020-21 2021-22 2022-23 2023-24
에디 타바레스 카일 하인즈 에디 타바레스 토마스 워크업
2024-25 2025-26 2026-27 2027-28
닉 와일러밥 - - -
}}}}}}}}}}}} ||

유로리그 정규시즌부터 파이널 포까지 그 시즌 리그 최고의 수비수(DPOY)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이 상은 2004-05 시즌부터 시작되었으며 유로리그 감독들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다. 최다 수상자는 디미트리스 디아만티디스는 2005년부터 2009년까지 5년 연속 이 상을 수상했고, 총 6번의 최우수 수비수상을 수상했다.

7.5. 알폰소 포드 유로리그 득점왕

파일:유로리그 로고 가로형.svg
역대 알폰소 포드 유로리그 득점왕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2004-05 2005-06 2006-07 2007-08
찰스 스미스 드류 니콜라스 이고르 라코체비치 마크 샐리어스
2008-09 2009-10 2010-11 2011-12
이고르 라코체비치 리나스 클레이자 이고르 라코체비치 보 맥켈럽
2012-13 2013-14 2014-15 2015-16
바비 브라운 키스 랭포드 테일러 로체스티 난도 드 콜로
2016-17 2017-18 2018-19 2019-20
키스 랭포드 알렉세이 슈베드 마이크 제임스 셰인 라킨(코로나로 인한 취소)
2020-21 2021-22 2022-23 2023-24
알렉세이 슈베드 바실리예 미치치 사샤 베젠코프 마커스 하워드
2024-25 2025-26 2026-27 2027-28
켄드릭 넌 - - -
}}}}}}}}}}}} ||

알폰소 포드 유로리그 최우수 득점자 트로피(Alphonso Ford EuroLeague Top Scorer Trophy)는 유로리그 시즌 전체, 정규시즌부터 유로리그 파이널 포까지 최다 득점자에게 수여된다. 이 명칭으로는 2004-05 시즌부터 수여되기 시작했으며, 유로리그 역사상 가장 위대한 득점자 중 한 명인 고(故) 알폰소 포드의 이름을 따서 제정되었다.

알폰소 포드 상이 제정된 이후(2004-05 시즌부터)에는 유로리그 정규 시즌에서 평균 득점이 가장 높은 선수라도 이 상을 받지 못할 수 있다. 이는 유로리그 파이널 포까지의 경기 성적을 기준으로 수여되기 때문이다. 2004-05 시즌 이전에는 유로리그 최고 득점자가 통계적으로 기록되었지만 ‘유로리그 최고 득점자상’으로 불렸다.

8. 역사

1958년에 FIBA 주관 'FIBA 유러피언 챔피언스 컵'으로 출범, 1996년에 FIBA 유로리그로 명칭을 변경해 유로리그라는 이름을 공식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2000년에는 유로리그라는 명칭과 관련한 법적 분쟁이 일어나 FIBA가 주관한 FIBA 수프로리그(FIBA Suproleague)와 유로리그 바스켓볼 유한회사가 주관한 유로리그 이렇게 각각의 유럽 클럽 대항전이 동시에 2000-01 시즌을 진행했다가 다음 시즌부터 유로리그 바스켓볼 산하로 통합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따라서 해당 시즌의 유럽 챔피언은 2팀이고, 모두 공식 기록으로 인정해준다. 이후 유럽 클럽 대항전은 유로리그 바스켓볼이 맡고, FIBAFIBA 유로바스켓, FIBA 농구 월드컵, 올림픽 농구 등의 국가 대항전을 담당하게 되었다. 현재 터키항공명명권을 가지고 있다.

바스켓볼 챔피언스 리그(Basketball Champions League)라는 이름의 유럽 최상위 농구 리그가 별도로 존재한다. 정확히 말하면 사기업인 유로리그 바스켓볼(Euroleague Basketball)이 주관하는 유로리그와 유로컵(EuroCup)이 있고, 유럽 농구 연맹(FIBA Europe)이 주관하는 바스켓볼 챔피언스 리그와 유럽 컵(Europe Cup)이 따로 있다. 유로리그가 갖고 있는 유럽 1부 리그 위상을 되찾기 위해, 유럽 농구 연맹이 기존에 자신들이 주관하던 유로컵 아래의 클럽 대항전 유로챌린지(EuroChallenge)를 폐지하고 2015-16 시즌부터 유럽 컵을, 2016-17 시즌부터 바스켓볼 챔피언스 리그를 창설한 것이다.

지금까지 유로리그에서 우승한 팀은 총 22개이며, 이 중 15개 팀이 두 번 이상 우승을 차지했다. 이 대회에서 가장 성공적인 팀은 레알 마드리드로, 총 11회 우승했다. 그 뒤를 이어 CSKA 모스크바가 8회, 파나티나이코스가 7회 우승을 기록했다.

FIBA 유러피언 챔피언스컵은 1958년부터 2000년 여름까지 FIBA가 운영했으며, 1999-2000 시즌을 끝으로 종료되었다. 이후 유로리그 농구가 새롭게 출범했다. FIBA는 1996년부터 ‘유로리그’라는 명칭을 사용했지만 상표권 등록은 하지 않았으며, 법적 보호를 받지 못했다. 이에 따라 FIBA는 ‘FIBA 슈퍼리그’라는 새로운 대회를 창설했다. 그 결과 2000-01 시즌에는 유럽 최고의 프로 클럽 농구 대회가 두 개로 나뉘었다.

당시 파나티나이코스, 마카비 텔아비브, CSKA 모스크바, 아나돌루 에페스는 FIBA 리그에 남았고, 올림피아코스, 비르투스 볼로냐, 레알 마드리드, FC 바르셀로나, 포르티투도 볼로냐, 잘기리스 카우나스, 트레비소, AEK, 사스키 바스코니아는 유로리그 농구에 합류했다.

2001년 5월, 유럽에는 FIBA 슈퍼리그 우승팀 마카비 텔아비브와 유로리그 우승팀 비르투스 볼로냐라는 두 개의 챔피언이 존재했다. 양측 모두 단일 통합 대회의 필요성을 인식했고, 유로리그가 주도하여 협상과 절차를 이끌었으며, FIBA도 이를 수용했다. 그 결과 유럽 클럽 대항전은 유로리그 산하로 완전히 통합되었고, FIBA 슈퍼리그에 참가했던 팀들도 유로리그에 편입되었다.

유럽 프로 농구는 클럽 대회와 국가대표 대회로 권한이 나뉘어 운영되고 있다. 국가대표팀 대회(유로바스켓, FIBA 월드컵, 하계 올림픽 등)는 여전히 FIBA가 주관하며, 유로리그 농구는 프로 클럽 대회를 담당하고 있다. 이후 FIBA의 코라치컵과 사포르타컵은 한 시즌 더 운영된 뒤 종료되었고, 유로리그 농구는 유로컵(구 ULEB 컵)을 출범시켰다.

2015년 11월, 유로리그는 스포츠 마케팅사 IMG와 10년간의 합작 투자 계약을 체결했다. 이 계약은 유로리그와 IMG가 전 세계 상업적 운영, 미디어, 마케팅 권한을 공동 관리하는 것을 골자로 하며, 보장 금액은 6억 3천만 유로, 총 수익 예상은 9억 유로에 달했다. 이 계약을 통해 유로리그는 정규 시즌에 16개 팀이 서로 맞붙고, 이후 플레이오프를 치르는 리그 형식으로 전환되었다. A 라이선스를 보유한 클럽은 향후 10년간 리그 참여가 보장되었다.

하지만 이후 FIBA가 국가대표팀 경기 창구 일정을 신설하면서, 유로리그와 FIBA 간의 갈등이 불거졌다. 유로리그는 FIBA 및 일부 국가 연맹들로부터 ‘폐쇄형 리그’라는 비판을 받았으며, 실력주의 원칙을 훼손하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되었다. 2019년 7월, 유로리그는 2019-20 시즌부터는 국내 리그 성적에 따른 자동 진출이 더 이상 적용되지 않는다고 발표했다.

9. 테마곡

구 유로리그 테마곡(오프닝 ver.)
유로리그 테마곡

10. 역대 결승전

<rowcolor=#fff> 연도 우승 점수 준우승 파이널 포 MVP
1958 파일:소련 국기.svg 리가스 ASK 170-152
(86-81/71-84)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아카데믹 -
1958-59 파일:소련 국기.svg 리가스 ASK 148-125
(79-58/67-69)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아카데믹 -
1959-60 파일:소련 국기.svg 리가스 ASK 130-113
(51-61/69-62)
파일:소련 국기.svg 디나모 트빌리시 -
1960-61 파일:소련 국기.svg CSKA 모스크바 148-128
(87-62/66-61)
파일:소련 국기.svg 리가스 ASK -
1961-62 파일:소련 국기.svg 디나모 트빌리시 90-83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
1962-63 파일:소련 국기.svg CSKA 모스크바 259-240
(86-69/91-74/99-80)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
1963-64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183-174
(110-99/84-64)
파일:체코 국기.svg 브르노 -
1964-65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157-150
(88-81/76-62)
파일:소련 국기.svg CSKA 모스크바 -
1965-66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올림피아 밀라노 77-72 파일:체코 국기.svg USK 프라하 -
1966-67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91-8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올림피아 밀라노 -
1967-68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98-95 파일:체코 국기.svg 브르노 -
1968-69 파일:소련 국기.svg CSKA 모스크바 103-99(연장)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
1969-7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바레세 79-74 파일:소련 국기.svg CSKA 모스크바 -
1970-71 파일:소련 국기.svg CSKA 모스크바 67-5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바레세 -
1971-7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바레세 70-69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스플리트 -
1972-7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바레세 71-66 파일:소련 국기.svg CSKA 모스크바 -
1973-74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84-8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바레세 -
1974-7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바레세 79-66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
1975-76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바레세 81-74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
1976-77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마카비 텔아비브 78-7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바레세 -
1977-78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75-6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바레세 -
1978-79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보스나 75-6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바레세 -
1979-80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89-85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마카비 텔아비브 -
1980-81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마카비 텔아비브 80-79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르투스 볼로냐 -
1981-8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칸투 86-80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마카비 텔아비브 -
1982-8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칸투 69-6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올림피아 밀라노 -
1983-8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르투스 로마 79-73 파일:스페인 국기.svg FC 바르셀로나 -
1984-85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치보나 87-78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
1985-86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치보나 94-82 파일:소련 국기.svg 잘기리스 -
1986-8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올림피아 밀라노 71-69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마카비 텔아비브 -
1987-8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올림피아 밀라노 90-84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마카비 텔아비브 밥 맥아두(올림피아 밀라노)
1988-89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스플리트 75-69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마카비 텔아비브 디노 라자(스플리트)
1989-90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스플리트 72-67 파일:스페인 국기.svg FC 바르셀로나 토니 쿠코치(스플리트)
1990-91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스플리트 70-65 파일:스페인 국기.svg FC 바르셀로나 토니 쿠코치(스플리트)
1991-92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파르티잔 71-70 파일:스페인 국기.svg 호벤투트 데 바달로나 사샤 다닐로비치(파르티잔)
1992-93 파일:프랑스 국기.svg 리모주 CSP 59-5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트레비소 토니 쿠코치(트레비소)
1993-94 파일:스페인 국기.svg 호벤투트 데 바달로나 59-57 파일:그리스 국기.svg 올림피아코스 자르코 파스파예(올림피아코스)
1994-95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73-61 파일:그리스 국기.svg 올림피아코스 아비다스 사보니스(레알 마드리드)
1995-96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나티나이코스 67-66 파일:스페인 국기.svg FC 바르셀로나 도미니크 윌킨스(파나티나이코스)
1996-97 파일:그리스 국기.svg 올림피아코스 73-58 파일:스페인 국기.svg FC 바르셀로나 데이비드 리버스(올림피아코스)
1997-9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르투스 볼로냐 58-44 파일:그리스 국기.svg AEK 조란 사비치(비르투스 볼로냐)
1998-99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잘기리스 82-7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르투스 볼로냐 타이어스 에드니(잘기리스)
1999-00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나티나이코스 73-67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마카비 텔아비브 젤리코 레브라카(파나티나이코스)
2000-01[FSL]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마카비 텔아비브 81-67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나티나이코스 아리엘 맥도널드(마카비 텔아비브)
2000-0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르투스 볼로냐 3-2
(65-78/94-73/80-60/79-96/82-74)
파일:스페인 국기.svg 바스코니아 마누 지노빌리(비르투스 볼로냐)
2001-02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나티나이코스 89-8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르투스 볼로냐 데얀 보디로가(파나티나이코스)
2002-03 파일:스페인 국기.svg FC 바르셀로나 76-6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트레비소 데얀 보디로가(FC 바르셀로나)
2003-04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마카비 텔아비브 118-7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포르티투도 볼로냐 앤서니 파커(마카비 텔아비브)
2004-05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마카비 텔아비브 90-78 파일:스페인 국기.svg 바스코니아 사루나스 야시케비시우스(마카비 텔아비브)
2005-06 파일:러시아 국기.svg CSKA 모스크바 73-69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마카비 텔아비브 테오도로스 파파루카스(CSKA 모스크바)
2006-07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나티나이코스 93-91 파일:러시아 국기.svg CSKA 모스크바 디미트리스 디아만티디스(파나티나이코스)
2007-08 파일:러시아 국기.svg CSKA 모스크바 91-77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마카비 텔아비브 트라잔 랭던(CSKA 모스크바)
2008-09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나티나이코스 73-71 파일:러시아 국기.svg CSKA 모스크바 바실리스 스파눌리스(파나티나이코스)
2009-10 파일:스페인 국기.svg FC 바르셀로나 86-68 파일:그리스 국기.svg 올림피아코스 후안 카를로스 나바로(FC 바르셀로나)
2010-11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나티나이코스 78-70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마카비 텔아비브 디미트리스 디아만티디스(파나티나이코스)
2011-12 파일:그리스 국기.svg 올림피아코스 62-61 파일:러시아 국기.svg CSKA 모스크바 바실리스 스파눌리스(올림피아코스)
2012-13 파일:그리스 국기.svg 올림피아코스 100-88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바실리스 스파눌리스(올림피아코스)
2013-14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마카비 텔아비브 98-86(연장)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타이리스 라이스(마카비 텔아비브)
2014-15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78-59 파일:그리스 국기.svg 올림피아코스 안드레스 노시오니(레알 마드리드)
2015-16 파일:러시아 국기.svg CSKA 모스크바 101-96(연장)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페네르바흐체 난도 데콜로(CSKA 모스크바)
2016-17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페네르바흐체 80-64 파일:그리스 국기.svg 올림피아코스 엑페 우도(페네르바흐체)
2017-18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85-80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페네르바흐체 루카 돈치치(레알 마드리드)
2018-19 파일:러시아 국기.svg CSKA 모스크바 91-83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아나돌루 에페스 윌 클라이번(CSKA 모스크바)
2019-20 취소(COVID-19 유행)
2020-21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아나돌루 에페스 86-81 파일:스페인 국기.svg FC 바르셀로나 바실리예 미치치(아나돌루 에페스)
2021-22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아나돌루 에페스 58-57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바실리예 미치치(아나돌루 에페스)
2022-23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79-78 파일:그리스 국기.svg 올림피아코스 에디 타바레스(레알 마드리드)
2023-24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나티나이코스 95-80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코스타스 슬루카스(파나티나이코스)
2024-25 파일:프랑스 국기.svg AS 모나코 70-81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페네르바흐체 나이젤 헤이스 데이비스(페네르바흐체)

11. 기록

11.1. 우승/준우승 횟수

※ 최다 기록은 굵게 표시.

11.1.1. 구단별

<rowcolor=#fff> 순위 구단명 우승 횟수 준우승 횟수 우승 연도
1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11 10 1963-64, 1964-65, 1966-67, 1967-68, 1973-74, 1977-78, 1979-80, 1994-95, 2014-15, 2017-18, 2022-23
2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CSKA 모스크바 8 6 1960-61, 1962-63, 1968-69, 1970-71, 2005-06, 2007-08, 2015-16, 2018-19
3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마카비 텔아비브 6 9 1976-77, 1980-81, 2000-01[FSL], 2003-04, 2004-05, 2013-14
4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나티나이코스 BC 7 1 1995-96, 1999-00, 2001-02, 2006-07, 2008-09, 2010-11, 2023-24
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바레세 5 5 1969-70, 1971-72, 1972-73, 1974-75, 1975-76
6 파일:그리스 국기.svg 올림피아코스 BC 3 6 1996-97, 2011-12, 2012-13
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올림피아 밀라노 3 2 1965-66, 1986-87, 1987-88
8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리가스 ASK 3 1 1958, 1958-59, 1959-60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스플리트 3 1 1988-89, 1989-90, 1990-91
10 파일:스페인 국기.svg FC 바르셀로나 2 6 2002-03, 2009-10
1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르투스 볼로냐 2 3 1997-98, 2000-01
1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칸투 2 0 1981-82, 1982-83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치보나 2 0 1984-85, 1985-86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페네르바흐체 2 2 2016-17, 2024-25
15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조지아 국기.svg 디나모 트빌리시 1 1 1961-62
파일:스페인 국기.svg 호벤투트 데 바달로나 1 1 1993-94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잘기리스 1 1 1998-99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아나돌루 에페스 2 1 2020-21, 2021-22
18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나 1 0 1978-79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르투스 로마 1 0 1983-84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파르티잔 1 0 1991-92
파일:프랑스 국기.svg 리모주 CSP 1 0 1992-93
22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아카데믹 0 2 -
파일:체코 국기.svg 브르노 0 2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트레비소 0 2 -
파일:스페인 국기.svg 바스코니아 0 2 -
26 파일:체코 국기.svg USK 프라하 0 1 -
파일:그리스 국기.svg AEK 0 1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포르티투도 볼로냐 0 1 -
파일:프랑스 국기.svg AS 모나코 0 1 -

11.1.2. 국가별

<rowcolor=#fff> 순위 국가 우승 횟수 준우승 횟수 우승 구단 준우승 구단
1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14 19 레알 마드리드 11회
FC 바르셀로나 2회
호벤투트 데 바달로나 1회
레알 마드리드 10회
FC 바르셀로나 6회
바스코니아 2회
호벤투트 데 바달로나 1회
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13 13 바레세 5회
올림피아 밀라노 3회
칸투 2회
비르투스 볼로냐 2회
비르투스 로마 1회
바레세 5회
비르투스 볼로냐 3회
올림피아 밀라노 2회
트레비소 2회
포르티투도 볼로냐 1회
3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10 7 파나티나이코스 7회
올림피아코스 3회
올림피아코스 6회
AEK 1회
파나티나이코스 1회
4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8 6 CSKA 모스크바 4회
리가스 ASK 3회
디나모 트빌리시 1회
CSKA 모스크바 3회
디나모 트빌리시 1회
리가스 ASK 1회
잘기리스 1회
5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7 1 스플리트 3회
치보나 2회
보스나 1회
FK 파르티잔 1회
스플리트 1회
6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6 9 마카비 텔아비브 6회 마카비 텔아비브 9회
7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4 3 CSKA 모스크바 4회 CSKA 모스크바 3회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4 3 페네르바흐체 2회
아나돌루 에페스 2회
페네르바흐체 2회
아나돌루 에페스 1회
9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 1 리모주 CSP 1회 AS 모나코 1회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1 0 잘기리스 1회 -
11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 0 3 - 브르노 2회
USK 프라하 1회
12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0 2 - 아카데믹 2회

11.2. 4강 진출 횟수

※ 결승에 진출한 연도는 굵게 표시.
<rowcolor=#fff> 순위 구단명 4강 진출 횟수 연도
1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31 1958, 1961, 1962, 1963, 1964, 1965, 1967, 1968, 1969, 1970, 1971, 1972, 1974, 1975, 1976, 1978, 1980, 1985, 1993, 1995, 1996, 2011, 2013, 2014, 2015, 2017, 2018, 2019, 2022, 2023, 2024
2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CSKA 모스크바 28 1961, 1962, 1963, 1965, 1966, 1969, 1970, 1971, 1973, 1996, 2001[FSL],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1
3 파일:스페인 국기.svg FC 바르셀로나 18 1984, 1989, 1990, 1991, 1994, 1996, 1997, 2000, 2003, 2006, 2009, 2010, 2012, 2013, 2014, 2021, 2022, 2023
4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마카비 텔아비브 17 1977, 1980, 1981, 1982, 1987, 1988, 1989, 1991, 2000, 2001[FSL], 2002, 2004, 2005, 2006, 2008, 2011, 2014
5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나티나이코스 BC 14 1972, 1994, 1995, 1996, 2000, 2001[FSL], 2002, 2005, 2007, 2009, 2011, 2012, 2024, 2025
파일:그리스 국기.svg 올림피아코스 BC 14 1994, 1995, 1997, 1999, 2009, 2010, 2012, 2013, 2015, 2017, 2022, 2023, 2024, 2025
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바레세 11 1965, 197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올림피아 밀라노 9 1964, 1966, 1967, 1968, 1983, 1987, 1988, 1992, 2021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페네르바흐체 6 2015, 2016, 2017, 2018, 2019, 2024, 2025
10 파일:스페인 국기.svg 바스코니아 6 2001, 2005, 2006, 2007, 2008, 2016
1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르투스 볼로냐 5 1981, 1998, 1999, 2001, 2002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아나돌루 에페스 5 2000, 2001[FSL], 2019, 2021, 2022
13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리가스 ASK 4 1958, 1959, 1960, 1961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스플리트 4 1972, 1989, 1990, 1991
파일:체코 국기.svg 브르노 4 1963, 1964, 1968, 1969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트레비소 4 1993, 1998, 2002, 2003
파일:체코 국기.svg USK 프라하 4 1966, 1967, 1970, 1971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파르티잔 4 1988, 1992, 1998, 201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멘스 사나 1871 4 2003, 2004, 2008, 2011
20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조지아 국기.svg 디나모 트빌리시 3 1960, 1962, 196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칸투 3 1976, 1982, 1983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잘기리스 3 1986, 1999, 2018
파일:그리스 국기.svg AEK 3 1966, 1998, 2001
파일:프랑스 국기.svg 리모주 CSP 3 1990, 1993, 199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포르티투도 볼로냐 3 1999, 2001, 2004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OKK 베오그라드 3 1959, 1964, 1965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올림피아 3 1962, 1967, 1997
파일:그리스 국기.svg 아리스 3 1988, 1989, 1990
29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아카데믹 2 1958, 1959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치보나 2 1985, 1986
파일:스페인 국기.svg 호벤투트 데 바달로나 2 1992, 1994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자다르 2 1968, 1975
파일:프랑스 국기.svg ASVEL 2 1976, 1997
파일:프랑스 국기.svg AS 모나코 2 2023, 2025
35 파일:프랑스 국기.svg 베르크 1 1981, 1982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나 1 1979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르투스 로마 1 1984
파일:헝가리 국기.svg 부다페스티 혼베드 1 1958
파일:폴란드 국기.svg 레흐 포즈난 1 1959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로니아 바르샤바 1 1960
파일:체코 국기.svg 슬로반 오르비스 프라하 1 1960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1 1961
파일:벨기에 국기.svg 스탕다르 리에주 1 1969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라드니츠키 베오그라드 1 197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빅토리아 리베르타스 1 1991
파일:스페인 국기.svg 에스투디안테스 1 1992
파일:그리스 국기.svg PAOK 1 1993
파일:스페인 국기.svg 말라가 1 2007
파일:러시아 국기.svg 로코모티브 쿠반 1 2016

12. 항목이 있는 유로리그 출신 및 소속 농구 선수


[1] 유로리그 TV 사이트를 통해 시청 가능. #.[2] 상기한 유로리그 시청자 통계에서 국가 전체 인구의 2배 이상의 시청자수를 보이는 지역들.[3]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러시아 등에서도 1,2위에는 들지 못하지만 주요 스포츠 중 하나로 꼽힌다.[4] 영국, 아일랜드, 저지대 국가, 스칸디나비아에서는 비인기 종목이다.[5] 이는 해외 선수의 NBA 드래프트 참가 자격과 동일하다.[FSL] FIBA 수프로리그[FSL] [FSL] [FSL] [FSL] [FSL]